KR101762252B1 -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252B1
KR101762252B1 KR1020160043560A KR20160043560A KR101762252B1 KR 101762252 B1 KR101762252 B1 KR 101762252B1 KR 1020160043560 A KR1020160043560 A KR 1020160043560A KR 20160043560 A KR20160043560 A KR 20160043560A KR 101762252 B1 KR101762252 B1 KR 10176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ical
technical literatures
population
literatures
simi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중
정미경
한선아
차지현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riority to KR102016004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252B1/ko
Priority to PCT/KR2016/005356 priority patent/WO201717591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7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69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 각각을 분리구축 한 뒤 기술문헌을 구성하는 특정 항목 간 연관도를 연산함으로써 관련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선별하는 방식, 또는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 간 연관도가 높은 문헌들만 선별해 내고 이에 따른 모집단 내에서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중소그룹으로 선별하여 제공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DEA GENERATION}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 각각을 복수의 항목별로 분리구축 한 뒤 기술문헌을 구성하는 항목 간 연관도를 연산함으로써 관련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선별하는 방식, 또는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 간 연관도가 높은 문헌들만 선별해 내고 이에 따른 모집단 내에서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중소그룹으로 선별하여 제공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이를 기록하고 있는 기술문헌들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에는 특허권 및 실용신안 등을 기록하고 있는 공보, 새로이 발견된 자연법칙 또는 새로이 고안된 응용기술을 기술하고 있는 논문, 또는 종래 기술들부터 현재의 기술까지 망라하여 정리하고 있는 다양한 서적들까지 매우 많은 종류, 양의 기술문헌들이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새로운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그 기반이 되는 기술의 분야에 대해 상세히 알고 있어야 함은 당연하나, 최근에는 서로 다른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동기를 얻어 아이디어를 얻는 사례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수 많은 기술문헌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또 관련성이 있는 기술들을 일일이 분류하여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소수의 관련 문헌들을 참고로 할 수 밖에 없어 실상 대다수의 기술문헌들을 적절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문헌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도출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이하에서는 해결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 2001-0027419 (2001.04.06.공개)
본 발명은 대량의 기술문헌들을 참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 아이디어를 도출해 내는 데에 지원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술문헌들을 분리구축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에 대하여만 기술문헌 비교를 가능케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술문헌들만을 효과적으로 분별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류된 기술문헌 모집단 내에서 각 문헌들의 유사도를 연산하고 사용자가 기준문헌과의 유사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디어를 도출해 내는 데에 쉽게 참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을 각 항목 별로 비교할 수 있어, 어느 특정 항목으로부터 추출된 제1속성(예. 기술분야)끼리 비교하고, 제1속성이 유사한 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예. 효과)을 서로 유사한 것들끼리 분류함으로써 기술 간 경계를 넘어선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에 참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기 설정된 속성에 따라 복수의 항목으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기술문헌들 간의 특정 항목을 각각 비교하여 해당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항목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모집단에서 임의의 기술문헌을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문헌과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복수의 항목들은, 기술분야, 배경기술, 발명의 효과, 해결수단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에 있어서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의 유사어 또는 유의어를 기준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준문헌을 중심으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은 상기 기준문헌과의 유사도에 따라 거리를 달리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은 상기 기준문헌과의 유사도가 동일한 것끼리 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목록 또는 대표도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기 설정된 속성에 따라 복수의 항목으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각각에 대한 제1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기술문헌들 간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제1속성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별된 모집단은 해당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명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제2속성 간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것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술문헌을 분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사상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기술문헌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술문헌 내에서 원하는 항목만을 선택하여 참조할 만한 기술문헌을 선별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술 간 목적, 용도 등이 다르더라도, 즉 기술간 경계를 넘어 상호 참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아이디어 착안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기술문헌을 분리구축 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각 항목 간 연관도를 연산하고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모집단 내에서 기준문헌과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에 따라 배열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2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기술분야)을 추출하고 연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모집단으로 구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모집단 내에서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효과)를 유사한 것끼리 분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8에서 분류된 기술문헌들 중 임의 기술문헌들의 제3속성을 비교하여 유사한 것끼리 재분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3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서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서는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9를 참조하여서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조합된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는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101),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임의 항목을 비교하여 해당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S102) 및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103)를 포함하며, 나아가 상기 모집단 내에서 기준문헌을 선정하는 단계(S104), 기준문헌과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S105), 유사도 값에 따라 기술문헌들을 배열하여 출력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먼저 기술문헌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101)에 대해 살펴본다.
특허공보, 논문 등과 같은 기술문헌들은 비교적 정형화 된 틀에 따라 작성되는데 본 발명은 기술문헌의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이를 분리구축 한다. 예를 들어 특허공보는 기술분야, 배경기술, 발명의 효과, 해결수단,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등을 포함하는데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위와 같은 항목들을 분류해 내어 각각 별도로 저장한다. 한편, 논문의 경우에는 요약, 서론 및 문제점, 배경이론, 해결수단, 결과 등의 항목을 포함하며,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같은 방식으로 이를 분리구축 시킬 수 있는데, 이 때 각 기술문헌들의 항목 명칭이 서로 다른 경우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속성이 유사한 항목들은 하나의 항목으로 보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보에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과 논문에서의 문제점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같은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특허공보에서의 배경기술과 논문에서의 배경이론 역시 “배경기술”과 같은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리구축 할 수 있다.
한편, 기술문헌을 분리구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기술문헌 내 항목을 구분하는 특정 구, 또는 기호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기술문헌을 읽어 들인 후 해당되는 구 또는 기호가 감지된 경우 해당 지점부터 또 다른 구 또는 기호가 감지될 때까지의 내용을 하나의 항목으로 저장함으로써 분리구축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임의 항목을 비교하여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S102) 및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103)에 대해 살펴본다.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앞서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항목들을 비교하여 연관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연관도란 각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 간 관련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가리키는 지표로, 항목 간 관련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유의어 포함) 간의 유사도를 관련성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문헌 내에 동일한 키워드 복수개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비교되는 기술문헌들은 연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유사한 키워드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공통된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도 각각 그에 상응하는 연관도 값이 부여될 수 있다. 키워드 간 유사성 관계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아이디어 창출 지원장치는 이를 참조하여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들을 비교 및 연관도 연산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 간 비교 및 연관도 연산은 궁극적으로는 각 항목이 관련성이 높은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하나의 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술문헌 내 ‘효과’ 항목이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 ‘기술분야’항목이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있어 수행되는 단계이다. 도 3은 각 기술문헌들의 ‘효과’ 항목을 비교하여 연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모집단으로 구성한 예를 도식화 한 것이다.
다음으로 기준문헌 선정 단계(S104)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기준문헌이란 앞서 구성된 모집단 내에서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기술문헌을 일컫는 것으로, 이 때 기준문헌은 향후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과의 유사성 연산을 하는 데에 활용된다.
상기 기준문헌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가 임의의 기술문헌 하나를 선정할 수도 있다. 기준문헌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을 출력하여 보여준 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술문헌을 입력 받아 이를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집단 내에서의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S105) 및 유사도 값에 따라 기술문헌들을 배열하는 단계(S106)에 대해 살펴본다.
앞선 단계에서 기준문헌이 선정된 이후,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모집단 내에서 상기 기준문헌과 기술문헌들 간의 유사도를 연산한다. 이 때 유사도 연산은 앞서 설명한 연관도 연산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기준문헌의 특정 항목과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의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얼마나 유사한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값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모집단 내에서 각 기술문헌들에 대한 유사도 연산이 마쳐진 이후,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기준문헌을 중심으로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주변에 배열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기준문헌과 각 기술문헌들의 거리는 유사도 값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사도가 높은 기술문헌일수록 기준문헌에 가깝게 배열하고, 유사도가 낮은 기술문헌일수록 기준문헌에 멀게 배열함으로써 이를 본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기술문헌이 유사도가 높고 낮은지, 혹은 어느 기술문헌이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에 활용도가 높은지를 판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기준문헌 및 기술문헌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래에서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2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2실시예는 기술문헌들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501),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S502)하고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503),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의 유사도를 연산(S504)하고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S505)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아이디어 창출 지원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06)
기술문헌들을 분리구축 하는 단계(S501)는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에서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을 추출해 내어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S502)와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503)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기술문헌의 속성이란, 기술문헌을 구성하는 각 항목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어느 기술문헌의 효과 항목에 공정상 소요시간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라는 취지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술문헌의 효과 항목에 대응되는 속성은 공정 소요시간 절감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을 추출해 낸다는 것의 의미는 각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으로부터 기술적 사상을 도출해 냄을 의미한다.
도 6은 복수의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을 추출해 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복수 기술문헌들의 ‘기술분야’ 항목으로부터 기술적 사상, 즉 각 기술문헌들이 서술하고 있는 기술의 분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한편,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이 추출된 이후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제1속성 간의 연관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연관도 연산은 상기 추출된 제1속성들이 사전적으로 얼마나 근접해 있는 개념인지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연관도 연산에 필요한 사전적 의미의 관계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일 예시로 제1속성으로서 ‘기술분야’가 동일한 기술문헌들, 더 구체적으로는 ‘기술분야’ 가 ‘반도체 공정’으로 유사한 기술문헌들이 하나의 모집단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의 유사도를 연산(S504)하고 유사도에 따라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S505)에 대해 살펴본다.
제2속성이란 제1속성을 추출하는 데에 참조되지 않은 다른 항목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기술사상을 가리킨다. 도 7을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기술문헌들의 ‘효과’를 제2속성 추출용 항목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제1속성으로서 ‘기술분야’가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모아 모집단을 구성한 후, 제2속성으로서 ‘효과’가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유사도 연산에 따라 선별해 내고, 이들 기술문헌들을 그룹화 한다.
도 7을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반도체 공정’ 기술분야의 기술문헌들을 한데 모아 모집단으로 구성한 후, ‘효과’가 유사한 기술문헌들, 즉 효과가 ‘공정시간 절감’인 것, ‘공정비용 절감’인 것, ‘공정수율 개선’인 것, ‘공정 모니터링 개선’인 기술문헌들을 나누어 그룹화 한다.
이와 같이 제1속성의 연관도 연산 및 모집단 형성에 이어 제2속성의 유사도 연산 및 그룹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제1속성의 기술문헌들 내에서 어떤 종류의 제2속성이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곧 기술 간의 경계를 넘어 아이디어를 참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기술분야’가 ‘반도체 공정’인 기술문헌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공정시간, 공정비용, 공정수율, 공정 모니터링 등 다양한 효과를 위한 기술들이 존재함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는 사용자에게 (a)방식 또는 (b)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a)는 제1속성(기술분야) 내에 어떤 종류의 제2속성(효과)이 기술된 기술문헌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블록으로 나타낸 것이며, (b)는 제1속성(기술분야)를 중심에 둔 채 제2속성(효과)이 구별된 기술문헌들이 중심 주변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7의 (b)는 제1속성을 중심으로 제2속성들이 거리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 관련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기술문헌들로부터 속성을 추출해 내고 속성 간 유사도를 연산하여 개개의 그룹으로 선별하는 과정은 반복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는 앞서 도 7에서 도출된 제2속성 별 그룹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재차 제3속성을 추출해 내고 그룹화 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7에서 도출된 ‘공정비용 절감’의 효과를 위한 기술문헌들 중 ‘해결수단’이 유사한 것끼리를 묶어 소그룹으로 나눈 것이다. 즉,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해결수단, 예를 들어 공정순서 변경, 공정상 투입되는 물질 변경, 첨가물 추가, 공정 장비 개선 등의 해결수단이 존재함을 보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각각의 그룹, 소그룹들은 특정 항목, 즉 속성이 유사한 기술문헌들의 집합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별된 기술문헌들은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때 각 그룹 내지 소그룹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각 그룹, 소그룹을 구별할 때에는 해당 그룹, 소그룹을 포괄하는 대표 키워드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술문헌들의 분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8의 (b)는 (a)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에서도 볼 수 있듯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꾀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 공정순서 변경, 물질 변경, 첨가물 추가, 장비 개선을 기술하고 있는 문헌들을 소그룹화 하여 표시하는데, 이 때 상기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중심(중심원)에 두고 해결수단 소그룹들을 상기 효과 주변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이 때, 상기 소그룹들은 상기 중심원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공유하는 문헌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문헌으로 선택하고, 상기 소그룹 내 기술문헌들과 기준문헌간의 유사도가 반영되어 거리의 장단이 정해질 수 있다. 가령, 소그룹 내 10개의 기술문헌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기술문헌들과 기준문헌 간의 유사도를 연산한 값의 평균을 내어 중심원과 소그룹 사이의 거리를 정하고, 다른 소그룹들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유사도를 연산한 값의 평균을 내어 거리를 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심원과 소그룹 간의 거리는 소그룹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의 개수를 중심으로 정할 수도 있다. 즉, 소그룹 내 기술문헌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수록 거리를 짧게 정하며 기술문헌이 적을수록 거리를 길게 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중심원에 가까운 소그룹일수록 관련 기술문헌이 다수 존재함, 즉 관련 기술이 활발히 연구개발 중임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와 같은 표시 방식은 도 7의 (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3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제3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조합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기술문헌들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901),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S902)하고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903),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의 유사도를 연산(S904)하고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S905)를 포함하고, 이후 상기 모집단 또는 그룹 내 기술문헌 중 임의의 문헌을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단계(S906), 상기 기준문헌과 상기 모집단 또는 그룹 내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S907)하고 그 값에 따라 배열하여 출력하는 단계(S908)를 포함한다.
즉,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를 거쳐 구성된 모집단 또는 그룹이 있음을 전제로 해당 모집단 또는 그룹 내에서 제1실시예를 수행하는 것과 같다. 도 8에서의 실시예를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첨가물 추가’의 해결수단을 가지는 소그룹 내에서 임의의 기술문헌을 기준문헌으로서 선정할 수 있으며, 해당 기준문헌과 상기 소그룹 내 기술문헌들 간의 유사도 크기에 따라 기준문헌과의 거리를 달리하여 기술문헌들을 배열할 수 있다. 기준문헌 및 기술문헌들이 배열되는 모습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분리구축부(110), 연산부(120), 정보제공부(130), DB(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분리구축부(110)란 기술문헌들이 포함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각 항목별로 분리구축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분리구축부(110)는 DB(140)에 저장된 규칙 및 조건을 참조하여 특정 구 또는 기호가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기술문헌 부분을 특정 항목으로 저장한다.
연산부(120)는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 간 특정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거나 또는 유사도를 연산한다. 연산부(120)가 연관도 또는 유사도를 연산하는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의 유사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 때 키워드간 유사의 정도에 대한 값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연산부는 DB에 저장된 조건, 즉 단어들 간의 포함관계 또는 유의어 관계 등을 정의하고 있는 관계조건을 참조할 수 있다. 연산부가 문헌들 간 연관도 또는 유사도를 연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정보제공부(130)는 연산부에서의 연산 결과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모집단 또는 그룹별로 분별하여 출력용 화면을 구성하는 것, 모집단 또는 그룹 내 기술문헌들을 유사도 값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하는 것, 모집단 또는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명칭을 선정하는 것 등은 모두 정보제공부가 관여하여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분리구축부, 연산부, 정보제공부를 총괄하여 제어한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분리구축부
120 연산부
130 정보제공부
140 DB
150 제어부

Claims (13)

  1.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가 기술문헌을 기초로 아이디어 창출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해결 수단 및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속성에 따라 복수의 항목으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

    상기 기술문헌들 간의 특정 항목을 각각 비교하여 해당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항목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집단에서 임의의 기술문헌을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문헌과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준문헌을 중심으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의 유사어 또는 유의어를 기준으로 연산하고

    상기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문헌의 특정 항목과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의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얼마나 유사한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하되,
    상기 특정 항목은 해결 수단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복수의 항목들은,
    기술분야, 배경기술 또는 발명의 효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은 상기 기준문헌과의 유사도에 따라 거리를 달리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목록 또는 대표도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각각에 대한 제1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기술문헌들 간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제1속성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1속성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모집단은 해당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명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속성 간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것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 및
    제2속성 간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KR1020160043560A 2016-04-08 2016-04-08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KR10176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60A KR101762252B1 (ko) 2016-04-08 2016-04-08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PCT/KR2016/005356 WO2017175912A1 (ko) 2016-04-08 2016-05-20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60A KR101762252B1 (ko) 2016-04-08 2016-04-08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252B1 true KR101762252B1 (ko) 2017-07-31

Family

ID=5941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560A KR101762252B1 (ko) 2016-04-08 2016-04-08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2252B1 (ko)
WO (1) WO20171759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42B1 (ko) * 2018-07-18 2019-10-10 홍진용 아이디어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54B1 (ko) 2007-06-27 2009-05-27 재단법인 한국특허정보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등록특허의 기술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292663B1 (ko) * 2012-02-06 2013-08-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KR101521862B1 (ko) 2014-12-15 2015-05-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문서 분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9150758A1 (ja) * 2008-06-13 2011-11-10 株式会社パテント・リザルト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KR101560756B1 (ko) * 2009-05-07 2015-10-15 씨피에이 소프트웨어 리미티드 전자 문서 콜렉션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54B1 (ko) 2007-06-27 2009-05-27 재단법인 한국특허정보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등록특허의 기술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292663B1 (ko) * 2012-02-06 2013-08-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KR101521862B1 (ko) 2014-12-15 2015-05-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문서 분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42B1 (ko) * 2018-07-18 2019-10-10 홍진용 아이디어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5912A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nckevičius et al. Comparison of naive bayes, random forest, decision tree, support vector machines, and logistic regression classifiers for text reviews classification
TWI718643B (zh) 異常群體識別方法及裝置
Sutton Introduction to k nearest neighbour classification and condensed nearest neighbour data reduction
JP6293642B2 (ja) 推薦エンジンに基づく汎用グラフ、ルール及び空間構造
US86833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information visualization
Liu et al. Incrests: towards real-time incremental short text summarization on comment streams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KR20140067065A (ko) 차트 추천 기법
KR20160083017A (ko) 소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인플루언서들 및 그들의 커뮤니티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03844B1 (ko) 플레이리스트 리스트 결정 방법 및 디바이스, 전자 장비 및 저장 매체
JP2010009577A (ja) 情報処理装置、全文検索方法、全文検索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0928992B (zh) 文本搜索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30092310A (ko) 상품 추천 시스템
JP2019128634A (ja) 最適化装置及びハイパーパラメータの最適化方法
JP2008059442A (ja) 文書集合分析装置,文書集合分析方法,その方法を実装した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Torres-Tramón et al. Topic detection in Twitter using topology data analysis
Koltcov et al. Analysis and tuning of hierarchical topic models based on Renyi entropy approach
KR101762252B1 (ko)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Pohl et al. Supporting crisis management via sub-event detection in social networks
JP5716966B2 (ja) データ分析装置、データ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Mohd Pozi et al. A new classification model for a class imbalanced data set using genetic programming and support vector machines: case study for wilt disease classification
JPWO2014064777A1 (ja) 文書評価支援システム、及び文書評価支援方法
KR101347884B1 (ko) 사이트 특성 단어를 이용한 연관 사이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a'ady et al. Temporal exploration in 2D visualization of emotions on twitter stream
Van Le et al. An efficient pretopological approach for document clustering
Yang et al. A study of interestingness measures for associative classification on imbalance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