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6377A1 -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6377A1
WO2017146377A1 PCT/KR2017/000456 KR2017000456W WO2017146377A1 WO 2017146377 A1 WO2017146377 A1 WO 2017146377A1 KR 2017000456 W KR2017000456 W KR 2017000456W WO 2017146377 A1 WO2017146377 A1 WO 20171463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ction
flow path
robot cleaner
main body
su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04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경철
박성주
이노수
Original Assignee
(주)유진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로봇 filed Critical (주)유진로봇
Publication of WO20171463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6377A1/ko
Priority to US16/111,20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3602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94Height adjustment of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structure of a robot cleaner that allows the suction module to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floor.
  • the robot cleaner refers to a device that suction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garbage on the floor while moving the cleaning area by itself,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operate the robot cleaner.
  • the robot cleaner uses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determine the area to be cleaned by driving the outside of the cleaning area surrounded by walls or obstacles, to plan a cleaning path for cleaning the determined cleaning area, and to drive the mileage and the current position during the cleaning process. Drive the planned cleaning route while calculating.
  • the cleaning stat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floor, that is, there may be a part that is well cleaned and a part that is not good. This is because the suction structure that sucks the foreign matter is fixed to the cleaner body, and in particular, when the robot cleaner is running on the carpet, the cleaning efficiency is not smooth and the cleaning efficiency is lower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suction module, the flow path insertion portion provided with a flow path insertion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uction module flow path of the main body It is to provide a suction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to be inserted into the par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ction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having a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rotation axis of the suction module.
  • the suction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and sucks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ush while raising or lowering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 the suc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which is formed on one side and inserted into the flow path por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o form a flow path.
  •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portion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is form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with the inner side of the flow path portion is inserted.
  •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is raised or lowered in the flow path por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s the suction module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 the suction module comprises a suction unit for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rush is disposed and disposed; And a support part which rotates so that the suction part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ortion is mounted to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form a rotation axis according to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suction portion.
  •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uction unit can be raised or lower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 to the rising or lowering of the suction unit.
  • the support member forms a spac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can rise or descend so that the suction portion can rise or descen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suction module to be raised or lowered, the flow path insertion portion provided with a flow path inserting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uction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flow path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surface of the bottom is uneven If not, there is an effect to minimize the suction power loss.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rotation axis of the suction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uction module is separated more than a limited d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suction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leaning state to minimize the suction force loss.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s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uction module shown in FIG.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shown in FIG.
  • 6a to 6b are views showing the suction module is raised or lowe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suction module to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the flow path insertion portion provided with a flow path inserting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uction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flow path portion of the body, A suction structure of a new robot cleaner having a support member for fixing a rotating shaft of the suction module is proposed.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may be cleaned while driving in an area to be cleaned using the sensor unit 111 installed in the main body.
  •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necessary for performing cleaning, for example, a display unit, a controller, a driver, a suction unit, as well as a sensor unit.
  •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well as a circular shape.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uction module 120 and a support member 130 for fixing the suction module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ction module 120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ush mounted therein while being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 the supporting member 130 may fix one side of the suction module 120 to allow the suction module 120 to rise or fal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 to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suction module 120.
  • a plurality of wheels 141, 142, and 143 for driving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at is, one wheel 141 is mount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wo wheels 142 and 143 are moun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receive power from the motor.
  • the auxiliary brush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auxiliary brush may be rotatable.
  • Such an auxiliary brush can 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placed on the surrounding floor to the center of the body, and can clean dust accumulated in a configuration that is a boundary between the floor and the wall.
  •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13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sensor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ction module 120 or the supporting member 130 is separated.
  • a horizontal senso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130 to determine whether the suction module 120 or the supporting member 130 is moved out of a range, that is,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ccording to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supporting member 130.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s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uction module shown in FIG. 3
  • FIG. 5 is a support shown in FIG. 3.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 member.
  • the suction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ction module 120 may be fitted into a reces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 the suction module 120 may include a suction part 121, a support part 122, and a flow path connecting part 123.
  • the suction part 121 may suck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from the bottom surface passing by rotating the main brush 121 in which the main brush 121 is mounted therein.
  • the support part 122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suction part 121, and may act as a lever so that the suction part 121 can be raised (up) or lowered (down) according to the bottom surface state.
  • the support part 122 may be composed of a first support part 122a and a second support part 122b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first support part 122a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2b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ends thereof form a rotation axis according to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suction part 121.
  • each end of the suppor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support to rise or fall smoothly.
  • the flow path connecting part 123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suction part 121 and may be inserted into a flow path part (not show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for deliver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inhaled dust.
  •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so as to form a flow path after collecting air.
  •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various cross sections. have.
  • the flow path connecting part 123 may be inserted into a flow path par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may be formed in a size so that the outside of the flow path connecting part 123 may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inside of the flow path part into which the flow path connecting part 123 is inserted.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portion.
  •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to rise or fall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por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s the suction portion rises or descends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 the support member 130 is provided to fix the support of the suction module, the support member 130 may be fitted into a recess formed in the recess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 the support member 130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support of the suction module may rise or descen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suction module may rise or descen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thickness D2 of the portion at which the suction module is raised or lowered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portion covering the end of the support, which is a rotation shaft for raising or lowering the suction module, and the support of the suction module can be moved therein. Space may be formed.
  • the distance that the suction module can move can be made within the thickness D2 range.
  • 6a to 6b are views showing the suction module is raised or lowered.
  • the suction modul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may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 the suction module is raised 610
  • FIG. 6B Shows the suction module descending (620).
  • the present invention can raise or lower the suction module, and according to the rising or lowering of the suction module, the flow path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module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portion, so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브러쉬의 회전에 따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듈은 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에 삽입되는 유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흡입 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한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청소 구역을 이동하면서 바닥면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로봇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벽이나 장애물로 둘러싸인 청소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청소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경로를 계획하며, 청소 과정에서 주행거리 및 현재 위치를 산출하면서 계획된 청소경로를 주행한다.
그러나 로봇 청소기를 이용하게 되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청소 상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즉, 청소가 잘되는 부분과 잘 안 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구조가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특히, 로봇 청소기가 카펫 위에서 주행하는 경우 청소가 원활하지 않아 청소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흡입 모듈에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유로 삽입부를 구비하여 구비된 유로 삽입부가 본체의 유로부 내에 삽입되도록 한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 모듈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 부재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브러쉬의 회전에 따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듈은 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에 삽입되는 유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 연결부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각 단면을 갖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에 삽입되되, 그 외측이 삽입되는 상기 유로부의 내측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 연결부는 상기 흡입 모듈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 모듈은 상기 브러쉬가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브러쉬의 회전에 따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가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회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는 상기 흡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이 상기 흡입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상기 흡입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흡입부가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흡입부가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흡입 모듈에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유로 삽입부를 구비하여 구비된 유로 삽입부가 본체의 유로부 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닥의 표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흡입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 모듈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흡입 모듈이 제한된 거리 이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흡입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청소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흡입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 모듈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받침 부재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흡입 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흡입 모듈에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유로 삽입부를 구비하여 구비된 유로 삽입부가 본체의 유로부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흡입 모듈의 회전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 부재를 구비한 새로운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본체에 설치된 센서부(111)를 이용하여 청소할 영역 내에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는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 예컨대, 센서부뿐 아니라 표시부, 제어부, 구동부, 흡입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봇 청소기(100)는 원형 형상뿐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본체의 저면에는 흡입 모듈(120), 및 상기 흡입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 모듈(120)은 본체(110)의 저면에 장착되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내부에 장착된 브러쉬의 회전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받침 부재(130)는 흡입 모듈(1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흡입 모듈(120)이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흡입 모듈(120)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저면에는 주행을 위한 다수의 바퀴들(141, 142, 14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체 저면의 전방 영역에는 하나의 바퀴(141)가 장착되고, 본체 저면의 중앙 영역에는 두개의 바퀴(142, 143)가 장착되어 모터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체 저면에는 보조 브러쉬가 장착되되, 보조 브러쉬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브러쉬는 주변 바닥에 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본체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바닥과 벽면의 경계가 되는 구성에 쌓인 먼지를 청소할 수 있다.
이때, 받침 부재(130)의 적어도 일측에는 흡입 모듈(120) 또는 받침 부재(130)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 부재(130)의 적어도 일측에 수평 센서가 구비되어 흡입 모듈(120) 또는 받침 부재(130)이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이동 가능한 범위 즉, 일정 각도 이상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흡입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 모듈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받침 부재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에는 흡입 모듈(120)이 장착되되, 흡입 모듈(120)이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입 모듈(120)은 흡입부(121), 지지부(122), 및 유로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121)는 그 내부에는 메인 브러쉬(121)가 장착되고 장착된 메인 브러쉬(121)를 회전시켜 지나가는 바닥 표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지지부(122)는 흡입부(12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흡입부(121)가 바닥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up) 또는 하강(down)할 수 있도록 지렛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2)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지지부(122a)와 제2 지지부(12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22a)와 상기 제2 지지부(122b)는 그 끝단이 흡입부(121)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의 각 끝단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지지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흡입부의 지렛대 역할을 하는 2개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유로 연결부(123)는 흡입부(12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유로 연결부(123)는 공기를 모은 후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각 단면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일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면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연결부(123)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에 삽입되되, 그 외측이 삽입되는 유로부의 내측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 연결부(120)의 외측 직경이 유로부의 내측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연결부(123)는 흡입부가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입 모듈의 지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 부재(130)가 구비되되, 받침 부재(130)는 본체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받침 부재(130)는 흡입 모듈이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본체와의 사이에 흡입 모듈의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회전축인 지지부의 끝단을 덮는 부분의 두께 D1보다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상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두께 D2가 두껍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흡입 모듈의 지지부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듈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두께 D2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흡입 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저면에 장착된 흡입 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데, 도 6a에서는 흡입 모듈이 상승하는 모습(610)을 보여주고, 도 6b에서는 흡입 모듈이 하강하는 모습(620)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고, 흡입 모듈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흡입 모듈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 연결부가 유로부 내에 삽입되어 같이 상승 또는 하강하기 때문에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바닥의 표면 상태와 무관 특히, 다양한 카펫에서도 원활한 청소 성능의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청소할 영역을 주행하면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브러쉬의 회전에 따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듈은 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에 삽입되는 유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연결부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각 단면을 갖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에 삽입되되, 그 외측이 삽입되는 상기 유로부의 내측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연결부는,
    상기 흡입 모듈이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듈은,
    상기 브러쉬가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브러쉬의 회전에 따라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가 바닥의 표면 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회전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흡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이 상기 흡입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흡입부가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흡입부가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PCT/KR2017/000456 2016-02-24 2017-01-13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WO201714637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11,200 US20180360281A1 (en) 2016-02-24 2018-08-23 Suction structure of robot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61 2016-02-24
KR1020160021961A KR101802233B1 (ko) 2016-02-24 2016-02-24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111,200 Continuation US20180360281A1 (en) 2016-02-24 2018-08-23 Suction structure of robot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377A1 true WO2017146377A1 (ko) 2017-08-31

Family

ID=5968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0456 WO2017146377A1 (ko) 2016-02-24 2017-01-13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60281A1 (ko)
KR (1) KR101802233B1 (ko)
WO (1) WO20171463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986A (zh) * 2018-09-11 2018-12-14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吸尘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5613A (zh) * 2018-06-08 2020-08-2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清洁机器人及其控制方法、清洁机器人系统
USD938115S1 (en) 2018-11-30 2021-12-07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 cleaning robot
JP1659997S (ko) * 2019-03-12 2020-05-25
DE102019209415B4 (de) 2019-06-27 2023-06-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augeinrichtung und Saugroboter
KR102281134B1 (ko) 2019-08-26 202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D947474S1 (en) * 2019-08-28 2022-03-29 Lg Electronics Inc. Robotic vacuum cleaner
TWD209697S (zh) * 2019-08-28 2021-02-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自走式吸塵器
USD936922S1 (en) * 2019-08-28 2021-11-23 Lg Electronics Inc. Robotic vacuum cleaner
USD938677S1 (en) * 2019-08-28 2021-12-14 Lg Electronics Inc. Robotic vacuum cleaner
USD943227S1 (en) * 2019-08-28 2022-02-08 Lg Electronics Inc. Robotic vacuum cleaner
USD935711S1 (en) * 2019-08-28 2021-11-09 Lg Electronics Inc. Robotic vacuum cleaner
USD930299S1 (en) * 2019-11-28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vacuum cleaner
USD930298S1 (en) * 2019-11-28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vacuum cleaner
USD930300S1 (en) * 2019-11-28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vacuum cleaner
CN114727733B (zh) 2019-11-29 2023-08-08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真空清洁器
US11717120B2 (en) * 2019-12-09 2023-08-08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42B1 (ko) * 2003-12-2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높이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8797A (ko) * 2004-11-01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20070032838A (ko) * 2005-09-20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흡입 헤드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80087596A (ko)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KR20130107642A (ko) * 2012-03-22 2013-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42B1 (ko) * 2003-12-2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높이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8797A (ko) * 2004-11-01 200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20070032838A (ko) * 2005-09-20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흡입 헤드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80087596A (ko)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KR20130107642A (ko) * 2012-03-22 2013-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986A (zh) * 2018-09-11 2018-12-14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吸尘机器人
CN108991986B (zh) * 2018-09-11 2021-10-26 广东聚晨知识产权代理有限公司 一种吸尘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27A (ko) 2017-09-01
KR101802233B1 (ko) 2017-11-28
US20180360281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6377A1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WO2013009060A2 (ko) 이동 로봇의 휠 조립체
AU2017389339B2 (en) Cleaner
WO2018169180A1 (ko) 로봇 청소기
WO2021045330A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3042975A2 (ko) 자동 청소기
CN101330858A (zh) 全自动除尘器
WO2018190609A1 (ko)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GB2413945A (en) Robot vacuum cleaner and associated contaminant guide members
WO2011122818A2 (ko) 청소 로봇의 집진 블레이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청소 로봇
WO2011055872A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WO2013012179A2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JP7124606B2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
WO2016105076A1 (ko)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24691A1 (en) Cleaner
WO2013162242A1 (ko) 물세척 집진장치
WO2017142202A1 (ko) 로봇 청소기
KR101108049B1 (ko) 로봇 청소기
WO2021066222A1 (en) Robot cleaner
WO2021107321A1 (en) Robot cleaner
WO2023277243A1 (ko) 바스켓이 구비된 암레스트형 공기청정기
WO2021066223A1 (en) Robot cleaner
WO2021006370A1 (ko) 로봇 청소기
WO2019182410A1 (en) Vacuum cleaner
WO2021066224A1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567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31.10.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567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