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2296A1 - 의료용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2296A1
WO2017142296A1 PCT/KR2017/001630 KR2017001630W WO2017142296A1 WO 2017142296 A1 WO2017142296 A1 WO 2017142296A1 KR 2017001630 W KR2017001630 W KR 2017001630W WO 2017142296 A1 WO2017142296 A1 WO 20171422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jection
valve
level contro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6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동구바이오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179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2817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1792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2817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1793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2818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102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5319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동구바이오제약 filed Critical (주)동구바이오제약
Publication of WO20171422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22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injec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cells suspended in the injection liquid from being lost due to sedimentation or not floating, and safely injecting them evenly.
  • the infusion solution is a mixture of a particular drug or other substance (including stem cells, etc.) with saline solution (or Ringer's solution, nutrient solution, etc.) that can be administered to the human body, saline solution (Ringer's solution, nutrient solution, etc.), a liquid chemical solution. It means any one of a liquid medicine, an emulsion, or a slurry in the form of a liquid mixed with two or more medicines.
  • Stem cells refer to cells capable of self-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can be broadly divided into embryonic stem cells and adult stem cells. In the case of adult stem cells, it is found that abundantly exists in adipose tissue and bone marrow tissue of our body.
  • the cells that can be easily used in the current hospital are derived from adipose tissue, followed by enzymatic treatment of the stromal vascular fraction cells (SVF cells, Stromal Vascular Fraction cells), which are obtained after purification of the stromal vascular fraction cells.
  • Adipose derived stem cells (ADSCs),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MMSC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ulture process after extracting bone marrow fluid from bone marrow.
  • stem cell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rapies using stem cells, interest in stem cells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stem cells has been made a lot.
  • Stem cells are easily sedimented (precipitated) under water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with water after the extraction process or completion of extraction.
  • an adhesive that adheres well to the plastic, can be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solidified.
  • stem cell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em cells, if a great care is not taken when the extracted stem cells are injected into the human body, they may cause considerable cell los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and as a result, the therapeutic effect may be reduced.
  • stem cells when stem cells are agglomerated or administered in high concentrations, blood vessels may be blocked and thrombosis may occur, and allergy may be induced.
  • an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stem cells is insignificant.
  • a fatal medical accident may occur because there is no device that can be administered at a constant rate and the stem cell is stirred at a safe concentration.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0275 (August 13, 2004)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generating a vibration in the injection device by agitating the injection liquid by shaking the stirring device to maintain the proper concentration of the stem cells are administered at the same time the vibration generated to the injection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usion device that prevents the recipient from being harmed by blocking the delivery and controls the infusion solution at a constant rate or speed and safely.
  • the injection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s formed i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n which the injection liquid is stored is located in the inlet port and the container for supplying additional material therein, if the vibration occurs in the container shake And a guide tu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with a stirring means for stirring the injection liquid, and an outlet port for discharging the injection liquid therein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port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moves.
  • the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lope so that the injection liquid is directed toward the outlet port.
  • the stirring means includes a first stirrer hanging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stirrer hanging on the bottom of the first stirrer, the first stirrer having a lower portion heavier than the top, and a second stirring
  • the sie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is heavier than the lower part.
  • the first stirring body and the second stirring body has a form in which an annular ring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ick, the upper ring of the first stirring body is caught by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irring body The ring is hooked to the lower ring of the first stirring body, the lower ring of the first stirring body is larger than the upper ring, the upper ring of the second stirring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than the lower ring.
  • Another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n which the injection liquid is stored is provided in the inlet por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for supplying additional material therein and the outlet port and the outlet port is discharged inside one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tube for providing a flow path for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air and an air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speed of the injection liquid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the air control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port cov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coupling with the valve port and the valve port formed in the container.
  • valve port extends from the wall of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side wall, the valve cover and the valve port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port is extended
  • the valv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inlet is increased as the valve port mov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 the air control valve is coupled to the valve port formed in the containe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valve port, the other side is bent to extend downward curved tube, connected to the curved tube, the valve chamber, the air inlet is formed, the valve cha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chamb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 valve por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wall of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he tubular sha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valve cha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tube, the lower side wall is formed with an air inlet port, the valve The chamber cover is closed to cover the air inlet by engaging with the valve chamber so as to reciprocate downward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valve chamber,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inlet increases as the valve chamber cover moves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valve chamber. It is characterized by.
  • the air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is installed.
  • Another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injection liquid is stored is an outlet port for discharging the injection liquid insid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utlet port flow path for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to move It is installed on the guide tube and the guide tube to prov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the injection liquid.
  • the filte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level control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in combination with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and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lter in the hollow housing and the housing wall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
  • a guide tube and a guid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n which the injection liquid is stored and connected to the outlet port and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moves It is installed in the tube, and includes 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the injection liquid,
  • the filter device is a hollow tube and the housing wall inside the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formed upstream than the filte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the other side is bent to extend the curved tube curve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vel control chamb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liquid outlet in combination with the level control chamber and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is formed with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ort.
  •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tube, the lower side wall is formed with an air inlet,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cover is coupl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from the top of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to the lower direction
  •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ort is closed and closed,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ort is increased as the level control chamber cover moves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level control chamber.
  • injection liquid discharge port or the level control cha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is installed.
  • a portion of the guide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wrinkles are formed.
  • the material of the wrinkl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ity.
  • the guide tube is formed with an expansion portion for receiving a vibration detecting plug for closing the flow path, when the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container, the vibration detection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ath is opened.
  • the expansion portion and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e.
  • the w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upper portion.
  • the injection solution when the vibration is applied, the injection solution is agitated to maintain a constant concentration of cells, and at the same time, the generated vibration is attenuated by the wrinkles of the guide tube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injection device.
  • an air control valve can be injected while adjusting the constant rate or speed of the injection liquid.
  • the injection can be automatically cut off, and since the lump material is filtered by the filter, safe injection is possible.
  •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can be injected.
  • FIG. 1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 3, 4 is a view showing an air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leats of the guid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j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j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tirring means 114 for stirring the inlet port 104, the air control valve 106, the outlet port 122 and the internal injection liquid Connected to the container 102 and the outlet port 122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injection liquid moves, and the fold 130 to prevent the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with the expansion part 126 in which the vibration sensing stopper 128 is accommodated.
  • the guide tube 124 is formed, and includes a filter device 132 and the injection device (144).
  • the injection liquid is stored in the container 102 and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 the container 102 is not a known pouch but has a bottle-like shape so that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can be kept constant.
  • the inclined portion 12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2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funnel so that the outlet port 122 is the lowest side of the container 102 to guide the injection liquid toward the outlet port 122. Therefore, the target material (stem cells, etc.) having the sedimentation property in the injection solution does not remain, and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122.
  • a hook ring 112 is provide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 the container 102 is installed by hanging on a hook (not shown) by the hook 112.
  • Hanging ring 112 is hooked with a hanger in the form of a hook.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2 can swing while performing a pendulum motion, precession motion, etc. when the vibration is loaded on the container 102 by an external force (produced by the user shaking or caused by the vibration device) to the free end.
  • Inlet port 104 may be formed i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 a hollow protective wall surrounding the inlet port 104 may be formed.
  • the user may grip the protective wall instead of the inlet port 104 to fit the tube to supply the injection liquid to the inlet port 104. Therefore, contaminants and the lik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2 through the inflow port 104 by the user's contact.
  • the air control valve 106 is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to adjus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102.
  • the air control valve 106 may use a known technique such as a cock valve.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trol valve 106 includes a valve port cover 110 and a valve port cover 110 coupled to the valve port 108 to close the air inlet.
  •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trol valve 106.
  • valve port 108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 the upper part is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2.
  • the upper side wall is formed with an air inlet in the form of a slit, and a screw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valve port cover 110.
  • An air inlet may be provided with an ultrafine filter or a hepa filter that can block external contaminants from entering.
  • Ultrafine filters have small meshes of 0.1-0.2 micrometers or less,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airborne contamination by inhibiting or trapping the entry of tiny substances, bacteria, and viruses suspended in the air. Therefore, even if the injection is made in a contaminated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including bacteria and viruses) from the filter, thus enabling safe injection.
  • the valve port cover 110 is closed in an upper sid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lower side is opened, and a screw is formed in an upper inner side wall.
  • the valve port cover 110 is screwed with the valve port 108.
  • valve port cover 110 moves downward, and when the screw is loosened, the valve port cover 110 moves upward. Therefore, the valve port cover 110 is coupled to the valve port 108 to enabl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port 108 extends from the container 102.
  • valve port cover 110 When the valve port cover 11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by maximizing the screw, the side wall covers and closes the air inlet of the valve port 108.
  • the air inlet When the air inlet is closed,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102 is lowered, and air is not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2, the outlet diameter of the outlet port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mall enough that no outflow occurs. This can be blocked (similar to the principle that, even if the syringe is upright, the injection liquid will not flow out unless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is increased).
  • the opening diameter of the outlet port 122 is large enough to cause an outflow even though no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2, a small amount of the injecting liquid may be injected. In this case, injection can be interrupted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outlet using a known connector.
  • valve cover 110 moves to the top dead center by loosening the screw,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inlet of the valve port 108 increases. Therefore,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102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injection amount.
  • the injection liquid can be injected at a constant speed or finely changed speed, and can be blocked if necessary.
  • FIGS. 3 and 4 are vertical sectional view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ir control valve
  • FIG. 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ir control valv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first curved tube 146 to block the injection in an emergency. Vertical section.
  • the air control valve 106 includes a valve port 108, a first curved tube 146, a valve chamber 148, and a valve chamber cover 150.
  • the valve port 108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 the lower par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2, and the upper par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urved tube 14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One end of the first curved tube 14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valve port 108 is fitted in communication,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valve chamber 148 to be described later. It is made of rubber-like elastic material, and has an arch shape that is convex upwardly so that the other end is downward.
  • the valve chamber 148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connecting pip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engage and communicate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curved tube 146.
  • the lower end is closed, and the lower side wall is formed with a screw for engaging with the slit-shaped air inlet and the valve chamber cover 150.
  • the air inlet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that can block the entry of external pollutants.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filter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valve chamber cover 15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other side is closed and one side is open, and a screw for engaging the valve chamber 148 is formed in the other inner side wall. Therefore, the valve chamber cover 150 is screwed with the valve chamber 148.
  • valve chamber cover 150 When the valve chamber cover 150 is unscrewed, the valve chamber cover 150 moves upward in the valve chamber 148, and when the valve chamber cover 150 is unscrewed, the valve chamber cover 150 moves downward. Therefore, the valve chamber cover 150 is coupled to the valve chamber 148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from the top of the valve chamber 148 to the downward direction.
  • the side wall of the valve chamber cover 150 covers and closes the air inlet of the valve chamber 148.
  • injection may be blocked or a small amount of injection liquid may be injec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utlet of the outlet port 122.
  • valve chamber cover 150 moves downwar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chamber 148 by unscrewing, the air inlet of the valve chamber 148 gradually opens, so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102 becomes higher and the injection amount gradually increases. do.
  • valve chamber 148 and the valve chamber cover 150 which can adjust the injection amount by the first curved tube 146 extend downwardly.
  • the injection device 100 Since the injection device 100 is usually suspended above the core of the patient, it becomes difficult to operate when the air control valve is forme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as in the first embodiment.
  • valve chamber 148 and the valve chamber cover 150 are formed downwar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nyone can easily operate regardless of the elongation of the user.
  • the first curved tube 146 may be folded with a finger to close the air flow path, thereby completely block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container 102.
  • the user should stop the injection immediately after confirming this, but to close the air inlet by screwing the valve chamber cover 150 It takes a lot of time.
  • the user may close the air flow path by folding the first curved tube 146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urved tube 146 abuts on the folded portion.
  • the injection is also blocked because the inflow of air into the container 102 is blocked.
  • the stirring means 114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02, and the first stirring body 116 hanging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and the second stirring hanging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tirring body 116 are suspended. Sieve 118.
  • the first stirring body 116 is in the form of the annular ring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tick, the diameter of the lower ring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ring. Since the first stirring body 116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irring body 116 becomes heavier than the upper portion.
  • the upper ring of the first stirring body 116 is hooked to a hook forme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2. Therefore, an upper end of the first stirring body 116 is a free end, and the first stirring body 116 may move in various directions.
  •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has a ring-shaped ring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tick, the diameter of the upper ring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ring. Since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is heavier than the lower portion.
  • the upper ring of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is caught by the lower ring of the first stirring body 116.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is a free end and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can move in various directions.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irring bodies 116 and 118 move when a vibration occurs in the container 102.
  • the first stirring body 11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e because of its center of gravity at the bottom, while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is unstable because of its center of gravity at the top.
  • the stable first stirring body 116 is oscillated with a pendulum motion and a precession motion mai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a change in height.
  • the unstable second stirring body 118 swing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lso swings up and down, and performs an irregular pendulum motion and precession motion. This phenomenon is caught in the lower ring of the stable first stirring body 116, it is not apparen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weight of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but appears more clearly toward the unstable bottom.
  • the lower ring of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is the most irregular pendulum movement and precession movement.
  • Stem cells have a strong tendency to settle in the container 102, and may be adsorbed and solidified on the inner wall near the outlet port 122 of the container 102.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stem cells in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2, and in particular, a large amount of coagulation occurs in the inner wall of the outlet port 122.
  • the lower ring of the first stirring body 116 and the upper ring of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stabilize the pendulum motion and precession motion mai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Directional convection can occur in the middle.
  • This convection causes stirring to occur over the first half of the injection liquid.
  • the injection liqui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2 is intensively agitated, and exhibits superior stirring performance than the lower ring of the first stirring body 116 and the upper ring of the second stirring body 118 in the localized portion.
  • the agitation means 114 the concentration of the stem cells in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2, in particular a lot of coagulation occurs in the inner wall near the outlet port 122, the inclined portion (toward the outlet port 122) ( 120 is formed is suitable for the inj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inner space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 the injection solution is agitated by the agitating means 114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prevent stem cells from being precipitated and administered in high concentration or entangled with each other.
  • the outlet port 122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2,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guide tube 124 by fitting. The injection liquid inside the container 102 moves to the guide tube 130 through this.
  • the guide tube 124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injection liquid moves, and the upstream side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port 122 described above. 144 are formed or installed one by one.
  • the injection device is a well-known devic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the expansion part 126 is hollow, and the opening part is formed i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injection liquid moves is continuous.
  •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128 is spherically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expansion part 126 and closes the lower opening of the expansion part 126 by gravity.
  • the lower portion of the vibration sensing stopper 128 is heavier than the upper portion.
  •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pansion part 126 through the outflow port 122, and the vibration detecting cap 128 is oscillated and repeatedly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ameter of the vibration detecting cap 128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tube 124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pening of the inflation portion 126 to close the flow path, injection To block.
  • the container 102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102 to cause vibration, the container 102 is swi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opening of the expansion part 126 to open the flow path.
  •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128 Since the lower part is heavier,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128 is not overturned during swinging, and is mainly swinged in the form of a pendulum or precession. prevent.
  •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1228 since the injection proceeds only when vibration occurs in the container 102, only the injection liquid properly stirred by the stirring means 114 may be injected.
  • air control valve 106 and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128 may interact with each other to control the injection amount and injection of the injection liquid, a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injection device 100 is safe to start the injection only after performing all the double operation. That is, even if the air control valve 106 is accidentally opened, if the vibration does not occur in the container 102, the injection is not made and the injection liquid that is not stirred cannot be injected. On the contrary, even if agitation is made, when the concentration of stem cells is high, injection is blocked when the air control valve 106 is blocked.
  • the injection can be blocked only by selectively performing only one operation of closing the air control valve 106 or stopping the vibration, so that the emergency immediately You can prepare.
  • the injection amoun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air control valve 106 and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vibration detecting stopper 128 due to an external force (a person shakes or is generated by a known vibration device). It also serves as a regulator.
  • the pleats 130 are located downstream of the inflation 126 of the guide tube 124.
  • As a part of the guide tube 124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orruga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n elastic material.
  • the container 102 In order to agitate the injection liquid, the container 102 should be shaken to generate vibration.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by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needle along the guide tube 124 to cause the needle to oscillate (vibration) in the state of being plugged into the recipient. This can be unpleasant for the person receiving the injection and includes all the risks from mild abrasions to fatal medical accidents.
  • the wrinkle part 130 is formed in a part of the guide tube 124, as shown in FIG. 7, since the wrinkle part 130 is curved, the upstream vibration is wrinkled. It may block the delivery downstream of the unit 130.
  • the filter device 132 filters the lump material from the injection liquid and performs the filtering process without damaging the cells.
  • the filter device 132 is installed below the pleats 130.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lter device 132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lter device 132 when the water level adjusting cover 142 is opened.
  • the filter device 132 may be fitted with the upper tube and the downstream guide tube 124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upstream guide tube 124.
  • the lower pip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level control cover coupled with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and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formed on the housing 134 and the uppermost wall of the housing provided with the filter 136 therein. 142 may include.
  • the injection liquid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upstream injection liquid is filtered and moved downstream by the filter 136 disposed in the middle.
  • the filter 136 is in the form of a known bag filter, and has a dense membrane structure to filter out the agglomerate material of the injection liquid by the sifting effect, and to inject the injection material (target material) such as stem cells.
  • the level control port 140 may be formed on the wall of the housing 134 so as to be located upstream than the filter 136, and more preferably, may be formed on the most upstream wall of the housing 134.
  • the water level control cover 142 is coupl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the water level adjusting cover 142 is detached to open and close the water level adjusting port 140.
  • the injection liquid is gradually fill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34, and when the inside of the housing 134 is full,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is filled. It is e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rough this phenomenon it can be seen that the inside of the housing 134 is full.
  • the reason for fill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34 using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38 is to ensure stable injection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target material (cells, etc.) during the filtering process.
  • the filter 136 may be caught and damage to the target material such as cells may occur.
  • the injection liquid should be filled up to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136, and for this purpose,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should be located upstream of the filter 136.
  • the housing 134 when the housing 134 is filled up to the top and injecting, even if the container 102 is shaken by an external force, the inside of the housing 134 is not shaken and stable filtration is possible.
  • the injection liquid should be filled to fill the housing 134, and for this purpose,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should be located at the most upstream side of the housing 134.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ter device 132
  •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ter device 132 closed by pressing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with a finger in an emergency situation. .
  • One end portion of the second curved tube 15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140, and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152. It is made of rubber-like elastic material, and has an arch shape that is convex upwardly so that the other end is downward.
  •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152 is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 the upper connection pipe is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urved tube 150 is connected.
  • the lower part is closed, and the lower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screw for engaging with the slit injection liquid outlet and the level control chamber cover 154.
  • a fil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jection liquid outlet or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152 to re-inject the purified air.
  • an ultra-fine filter can be used, and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block the discharge of the target substance contained in a part of the injection liquid to the outside during the level control process.
  •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cover 154 is closed in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open cylindrical shape, the other inner side wall is formed with a screw for coupling with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152. Therefore, the level control chamber cover 154 is screwed with the level control chamber 152.
  • the level control chamber cover 154 is moved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level control chamber 152 when the screw is unscrewed, and moves 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level control chamber 152 when the screw is loosened. Therefore, the level control chamber cover 154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level control chamber 152.
  • the side wall of the level control chamber cover 154 covers and closes the injection liquid outlet of the level control chamber 152.
  •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ort of the water level control chamber 152 is gradually opened, and the discharge is gradually increased.
  •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second curved tube 151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nd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 the injection liquid which is not filtered during the level contro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Unfiltered infusions are undesirable because they contain contaminants that can contaminate the outside environment.
  • the discharged filtrate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ause it stays in the second curved tube 151.
  • the discharge amount can be adjusted, the injection liqui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more than the amount necessary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and since the second curved tube 151 is curved downward, the discharge amount can be easily adjusted regardless of the user's height.
  • the second curved tube 151 is folded with the user's finger to abut the inner walls of the folded portion so that the injection liquid overflows the second curved tube 151. Can be closed to prevent further emis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입장치에 진동을 발생시켜 교반장치에 의해 주입액을 교반함으로써 세포를 희석해서 낮은 농도로 투여하는 동시에 발생된 진동이 주사 장치까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투여 받는 자가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주입액을 일정한 속도 또는 속도를 조절하여 투여할 수 있도록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형성되어 컨테이너의 내부로 주입액을 공급할 수 있는 유입포트와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진동이 발생되면 주입액을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컨테이너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주입액을 가이드 튜브를 통해 주입시키는 주입부와 주입부에 설치되고 컨테이너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감쇄장치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하부는 유출부를 향해 주입액이 유도되도록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주입장치
본 발명은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입액에 부유된 세포가 침강 또는 부유하지 못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균등하게 교반하여 안전하게 주입하기 위한 의료용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상태의 주입액을 인체 또는 동물의 혈관을 통해서 주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속도로 주입할 수 있는 주입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주입액이란 식염수(또는 인체투여가 가능한 링거액, 영양수액 등), 식염수(링거액, 영양수액 등)에 특정의 약물 또는 기타물질(줄기세포 등을 포함한다)을 섞은 것, 액체상태의 약액, 2종이상의 약을 혼합한 액체상태의 약액, 에멀젼이나 슬러리 형태의 약액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줄기세포는 자가증식과 분화가 가능한 세포를 의미하며 크게 배아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성체 줄기세포의 경우에는 우리 몸의 지방조직과 골수 조직 등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현재 병원에서 쉽게 사용 가능한 세포는 지방조직을 채취 한 후 이를 효소처리한 후 얻어지는 간질혈관분획세포(SVF cells, Stromal Vascular Fraction cells), 간질혈관분획세포를 한번 더 정제 한 후 얻을 수 있는 지방유래줄기세포(ADSCs, Adipose derived stem cells), 골수에서 골수액을 추출한 뒤 배양과정을 거쳐서 얻을 수 있는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BMMSCs,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되면서, 줄기세포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줄기세포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장비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줄기세포는 추출과정 또는 추출완료 후, 물과의 비중차로 인해 물 아래로 쉽게 침강(침전)하는 성질이 있다. 또, 플라스틱에 잘 부착되는 부착성이 있으며, 서로 엉겨 붙어 응고될 수 있다.
이러한 줄기세포의 특성 때문에 추출 된 줄기세포를 인체에 투입할 때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투입과정 중에 상당한 세포 손실을 초래할 수가 있어, 결과적으로 치료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또, 줄기세포가 덩어리진 상태 또는 고농도로 투여될 경우 혈관을 막아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고, 알레르기가 유발될 수도 있다.
또, 에멀전 또는 슬러리 형태의 물질(세포 또는 용액에 용해되지 않은 형태의 물질)을 투입할 때 안전을 위해서 필터링 등의 추가 과정이 필요 한데, 이러한 추가 과정 중 조금만 부주의해도 주입되는 목적물질이 쉽게 손상을 받아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줄기세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장치의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종래의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투여하는 경우, 일정한 속도로 속도를 조절하며 투여할 수 있는 장치나 줄기세포를 교반하여 안전한 농도로 투여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치명적인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0275호(2004.12.13공고)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장치에 진동을 발생시키면 요동하는 교반장치에 의해 주입액을 교반함으로써 줄기세포가 적정한 농도를 유지하며 투여되는 동시에 발생된 진동이 주사 장치까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투여 받는 자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고, 주입액을 일정한 속도 또는 속도를 조절하며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는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형성되어 내부로 추가물질을 공급할 수 있는 유입포트와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컨테이너에 진동이 발생되면 요동하여 주입액을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주입액이 배출되는 유출포트와 일측이 상기 유출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에서 배출된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튜브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하부는 유출포트를 향해 주입액이 유도되도록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수단은 컨테이너의 상측 벽체에 걸려 있는 제1 교반체와 제1 교반체의 하부에 걸려 있는 제2 교반체를 포함하고, 제1 교반체는 하부가 상부보다 더 무겁고, 제2 교반체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교반체와 상기 제2 교반체는 스틱의 상부와 하부에 환형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제1 교반체의 상부고리는 컨테이너의 상측 벽체에 걸리고, 제2 교반체의 상부고리는 제1 교반체의 하부고리에 걸리고, 제1 교반체의 하부고리는 상부고리보다 더 크고, 제2 교반체의 상부고리는 하부고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주입장치는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형성되어 내부로 추가물질을 공급할 수 있는 유입포트와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주입액이 배출되는 유출포트와 일측이 유출포트와 연결되어 컨테이너에서 배출된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튜브와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주입액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공기조절밸브는 컨테이너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포트와 밸브포트와 결합하여 개폐하는 밸브포트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포트는 컨테이너의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컨테이너의 내부와 연통하고, 측벽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덮개는 밸브포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밸브포트와 결합하여 공기유입구를 폐쇄하고, 밸브덮개가 밸브포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공기유입구의 개방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조절밸브는 컨테이너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포트와 일측이 밸브포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하향되도록 휘어져 연장된 만곡튜브, 만곡튜브와 연결되고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챔버, 밸브챔버와 결합하여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챔버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포트는 컨테이너의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컨테이너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형태이고, 밸브챔버는 상부가 만곡튜브의 타측과 연결되고, 하부 측벽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챔버덮개는 밸브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밸브챔버와 결합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덮어 폐쇄하고, 밸브챔버덮개가 밸브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공기유입구의 개방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유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는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주입액이 배출되는 유출포트와 일측이 유출포트와 연결되어 컨테이너에서 배출된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튜브와 가이드튜브에 설치되고, 주입액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와 하우징 벽체에 필터보다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위조절포트와 수위조절포트와 결합하여 개폐하는 수위조절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주입액이 배출되는 유출포트와 일측이 유출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에서 배출된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튜브와 가이드튜브에 설치되고, 주입액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필터장치는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과 하우징 벽체에 상기 필터보다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위조절포트와 일측이 수위조절포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하향되도록 휘어져 연장된 만곡튜브 만곡튜브의 타측과 연결되고, 주입액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위조절챔버와 수위조절챔버와 결합하여 상기 주입액배출구를 개폐하는 수위조절챔버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위조절챔버는 상부가 만곡튜브의 타측과 연결되고, 하부 측벽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수위조절챔버덮개는 수위조절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수위조절챔버와 결합하여, 주입액배출구를 덮어 폐쇄하고, 수위조절챔버덮개가 수위조절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주입액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입액배출구 또는 수위조절챔버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가이드튜브의 일부분에는 여러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주름이 형성된 부분의 재질은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가이드튜브에는 유로를 폐쇄하는 진동감지마개가 수용되어 있는 팽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테이너에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진동감지마개가 요동하며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팽창부와 상기 진동감지마개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진동감지마개의 하부의 무게는 상부의 무게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을 주면 주입액이 교반되어 세포가 일정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발생한 진동이 가이드튜브의 주름에 의해 감쇄되어 주사 장치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조절밸브를 구비하여 주입액을 일정한 속도 또는 속도를 조절하며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진동반응마개에 의해 진동에 의한 교반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주입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고, 필터에 의해 덩어리 물질이 걸러지기 때문에 안전한 주입이 가능하다.
또한, 컨테이너 하부가 경사져 있고, 필터장치의 필터 인근에서도 줄기세포가 부유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줄기세포의 침강에 의한 응고를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주입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3,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절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마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튜브의 주름부의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9, 10,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주입장치(100)는 유입포트(104)와 공기조절밸브(106)와 유출포트(122)와 내부 주입액을 교반하는 교반수단(114)이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102)와 유출포트(122)와 연결되어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고, 진동감지마개(128)가 수용되는 팽창부(126)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름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튜브(124)를 포함하고, 필터장치 (132)와 주사장치 (144)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102)에는 주입액이 저장되고,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102)는 공지의 파우치가 아니라 병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내부 공간의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컨테이너(102)의 하부의 경사부(120)는 유출포트(122)가 컨테이너(102)의 최하측이 되도록 깔때기 형태로 배치되어 유출포트(122)를 향해 주입액이 유도되도록 한다. 따라서 주입액 중 침강성질이 있는 목적물질(줄기세포 등)이 잔존하지 않고, 유출포트(122)를 통해 완전히 배출된다.
컨테이너(102)의 상측 벽체에는 걸림고리(112)가 설치되어 있다. 컨테이너(102)는 걸림고리(112)에 의해 걸이대(미도시)에 매달려 설치된다.
걸림고리(112)는 후크 형태로 걸이대와 견련한다. 따라서 컨테이너(102)의 상측 끝단은 자유단으로 외력(사용자가 흔들거나 진동장치에 의해 발생)에 의해 컨테이너(102)에 진동이 부하될 때, 진자운동, 세차운동 등을 하며 요동할 수 있다.
유입포트(104)는 컨테이너(102)의 상측 벽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입포트(104)를 둘러싸는 중공의 보호벽체가 형성될 있다.
사용자는 유입포트(104) 대신 보호벽체를 파지하여 주입액을 공급하는 튜브를 유입포트(104)에 끼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오염물질 등이 유입포트(104)를 통해 컨테이너(10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조절밸브(106)는 컨테이너(102)의 상측 벽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102) 내부의 공기압력을 조절한다. 공기조절밸브(106)는 콕 밸브와 같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공기조절밸브(106)의 제1 실시형태는 밸브포트(108)와 밸브포트(108)에 결합되어 공기유입구를 폐쇄하는 밸브포트덮개(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공기조절밸브(106)의 제1 실시형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포트(108)는 컨테이너(102)의 상측 벽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부는 폐쇄되어 있고, 하부는 개구되어 이를 통해 컨테이너(102)의 내부와 연통한다.
상측측벽에는 슬릿형태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포트덮개 (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구에는 외부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극미세필터 또는 헤파필터가 설치 될 수 있다. 극미세필터의 경우 0.1-0.2 마이크로미터 또는 그 이하의 작은 그물코를 가지고 있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아주 작은 물질이나 세균, 바이러스 들의 침입을 억제 또는 포집하여 공기로 인한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환경에서 주입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필터에서 이물질(세균, 바이러스 포함)을 제거 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주입이 가능해 진다.
밸브포트덮개(110)는 상측이 폐쇄되고, 하측이 개방된 통형태로, 상측 내부 측벽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포트덮개(110)는 밸브포트(108)와 나사 결합된다.
나사를 쪼이면, 밸브포트덮개(11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나사를 풀면 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밸브포트덮개(110)는 밸브포트(108)가 컨테이너(10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밸브포트(108)와 결합한다.
나사를 최대로 쪼여 밸브포트덮개(110)가 하사점에 이르면, 측벽이 밸브포트(108)의 공기유입구를 덮어 폐쇄한다. 공기유입구가 폐쇄되면, 컨테이너(102)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고, 컨테이너(102)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서, 후술하는 유출포트(122)의 유출구 직경이 유출이 일어나지 않을 만큼 작은 경우, 주입이 차단될 수 있다(주사기를 주사바늘이 아래로 향하게 직립시켜도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 주입액이 유출되지 않는 원리와 같다).
만약, 유출포트(122)의 개구 직경이 컨테이너(102)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더라도 유출이 일어날 만큼 큰 경우, 적은양의 주입액이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지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유출구의 직경을 작게 하여 주입을 차단할 수 있다.
나사를 풀러 밸브덮개(110)가 상사점으로 이동할수록 밸브포트(108)의 공기유입구의 개방 정도는 증가한다. 따라서 컨테이너(102) 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져 주입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조절밸브(106)를 통해, 주입액을 일정한 속도로 주입하거나 미세하게 속도를 변경하여 주입할 수 있고, 필요시 주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3, 4를 참조하여 공기조절밸브(106)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공기조절밸브의 제2 실시형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응급상황에서 주입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여 제1 만곡튜브(146)를 압착한 공기조절밸브의 제2 실시형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절밸브(106)는 밸브포트(108)와 제1 만곡튜브(146)와 밸브챔버(148)와 밸브챔버덮개(150)를 포함한다.
밸브포트(108)는 관형태로, 컨테이너(102)의 상측 벽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부는 컨테이너(102)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부는 후술하는 제1 만곡튜브(146)와 연통한다.
제1 만곡튜브(146)는 일측 단부가 밸브포트(108)와 끼임결합되어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후술하는 밸브챔버(148)와 끼임결합되어 연통한다.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지고, 타측 단부가 하향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만곡된 아치형태이다.
밸브챔버(148)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상부에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만곡튜브(146)의 타측 단부와 끼임결합하여 연통한다.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하부 측벽에는 슬릿형태의 공기유입구와 밸브챔버덮개(15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구에는 외부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의 역할과 기능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밸브챔버덮개(150)는 타측이 폐쇄되고, 일측이 개방된 통형태로, 타측 내부 측벽에는 밸브챔버(148)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챔버덮개(150)는 밸브챔버(148)와 나사 결합된다.
밸브챔버덮개(150)는 나사를 쪼이면, 밸브챔버(148)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사를 풀면, 밸브챔버(148)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밸브챔버덮개(150)는 밸브챔버(148)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밸브챔버(148)와 결합한다.
나사를 최대로 쪼이면, 밸브챔버덮개(150)의 측벽이 밸브챔버(148)의 공기유입구를 덮어 폐쇄한다. 이 경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출포트(122)의 유출구 크기에 따라 주입이 차단될 수도 있고, 미량의 주입액이 주입될 수도 있다.
나사를 풀러 밸브챔버덮개(150)가 밸브챔버(148)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밸브챔버(148)의 공기유입구는 차차 개방되어, 컨테이너(102) 내부의 공기압은 점점 높아지고, 주입량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제1 만곡튜브(146)에 의해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챔버(148)와 밸브챔버덮개(150)가 아래로 향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는 점이다.
주입장치(100)는 보통 환자의 심부보다 높은 곳에 매달려 있으므로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공기조절밸브가 컨테이너(102) 상부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조작이 어렵게 된다.
하지만 제2 실시형태와 같이 밸브챔버(148)와 밸브챔버덮개(150)가 아래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신장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제1 만곡튜브(146)를 접어 공기유로를 폐쇄하여 컨테이너(102)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주입액의 줄기세포 농도가 높거나, 줄기세포가 응고된 경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는 즉시, 주입을 중단하여야 하나 밸브챔버덮개(150)의 나사를 쪼여 공기유입구를 폐쇄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응급상황에서 사용자는 제1 만곡튜브(146)를 접어 접힘부위에서 제1 만곡튜브(146)의 내벽이 맞닿게 하여 공기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공기유로가 폐쇄되면, 컨테이너(102)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기 때문에 주입 또한 차단된다.
교반수단(114)은 컨테이너(102)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테이너(102)의 상측벽체에 걸려 매달린 제1 교반체(116)와 제1 교반체(116)의 하부에 걸려 매달려 있는 제2 교반체(118)를 포함한다.
제1 교반체(116)는 스틱의 상부와 하부에 환형태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하부고리의 직경은 상부고리의 직경보다 더 크다. 제1 교반체(116)는 단일재질로 만들어 지므로 제1 교반체(116)의 하부는 상부보다 더 무겁게 된다.
제1 교반체(116)의 상부고리는 컨테이너(102)의 상측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에 걸려 있다. 따라서 제1 교반체(116)의 상단은 자유단이고, 제1 교반체(116)는 여러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다.
제2 교반체(118)는 스틱의 상부와 하부에 환형태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부고리의 직경은 하부고리의 직경보다 더 크다. 제2 교반체(118)는 단일재질로 만들어 지므로 제2 교반체(118)의 상부는 하부보다 더 무겁다.
제2 교반체(118)의 상부고리는 제1 교반체(116)의 하부고리에 걸려 있다. 따라서 제2 교반체(118)의 상단은 자유단이고 제2 교반체(118)는 여러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다.
도 5는 컨테이너(102)에 진동이 발생했을 때, 제1, 2교반체(116, 118)가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2)에 외력(사용자가 흔들거나 진동장치에 의해 발생)이 가해졌을 때, 컨테이너(102)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이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1, 2 교반체(116, 118)에 전달되어 제1, 2 교반체를 요동시킨다.
이러한 교반체의 운동에 의해, 주입액 내의 줄기세포 등의 응고를 막고, 적정한 농도로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1 교반체(116)는 하부에 무게중심이 있어 안정적인 반면, 제2 교반체(118)는 상부에 무게중심이 있어 불안정적이다.
따라서, 컨테이너(102)에 진동이 발생하면,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정적인 제1 교반체(116)는 높이의 변화가 없어 수평방향이 주가되는 진자운동과 세차운동을 하며 요동한다.
이에 반해, 불안정적인 제2 교반체(118)는 수평방향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위아래로도 요동하며, 불규칙적인 진자운동과 세차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안정적인 제1 교반체(116)의 하부고리에 걸려있고, 무게가 큰 제2 교반체(118)의 상부에서는 뚜렷하지 않으나, 불안정적인 하부로 갈수록 극명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제2 교반체(118)의 하부고리는 가장 불규칙적인 진자운동과 세차운동을 하게 된다.
줄기세포는 컨테이너(102) 내에서 침강하려는 성질이 강하고, 컨테이너(102)의 유출포트(122) 인근 내벽에 흡착, 응고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102)의 하부로 갈수록 줄기세포의 농도는 증가하고, 특히 유출포트(122)인근 내벽에서 응고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교반수단(114)에서 제1 교반체(116)의 하부고리와 제2 교반체(118)의 상부고리는 수평방향이 주가되는 진자운동과 세차운동을 안정적으로 하기 때문에 컨테이너(102) 중간부에 방향성이 있는 대류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대류현상에 의해서 주입액 전반부에 거쳐 교반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반해, 제2 교반체(118)의 하부고리는 수평, 수직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진자운동과 세차운동을 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있는 대류현상이 일어나진 않는다. 즉, 컨테이너(102) 하부에서는 주입액 전반부에 영향을 미치는 교반이 일어나진 않는다.
하지만 컨테이너(102) 하부의 주입액을 집중적으로 휘저으며, 국부적인 부분에서만큼은 제1 교반체(116)의 하부고리와 제2 교반체(118)의 상부고리보다 더 뛰어난 교반성능을 보인다.
이러한 교반수단(114)은 컨테이너(102)의 하부로 갈수록 줄기세포의 농도는 증가하고, 특히 유출포트(122) 인근 내벽에서 응고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유출포트(122)를 향하도록 경사부(120)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공간이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는 본 발명의 주입장치(100)에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교반수단(114)에 의해 주입액이 교반되어 줄기세포가 침전되어 고농도로 투여되거나 서로 엉켜 덩어리진 상태로 투여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유출포트(122)는 컨테이너(102) 하부에 형성되고, 가이드튜브(124)와 끼임결합하여 연통한다. 컨테이너(102) 내부의 주입액은 이를 통하여 가이드튜브(130)로 이동한다.
가이드튜브(124)는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로 최상류측은 상술한 유출포트(122)와 연통하고, 하류로 갈수록 팽창부(126)와 주름부(130)와 필터장치(132)와 주사장치(144)가 차례로 형성 또는 설치되어 있다. 주사장치는 공지의 장치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팽창부(126)는 중공의 구형으로, 상측과 하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는 연속된다.
진동감지마개(128)는 구형으로 팽창부(126)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중력에 의해 팽창부(126)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다. 진동감지마개(128)의 하부는 상부보다 더 무겁다.
컨테이너(102)에 외력이 가해져 진동이 발생하면 유출포트(122)를 통해 팽창부(126)까지 진동이 전달되고, 내부의 진동감지마개(128)는 요동하며, 반복적으로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마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진동감지마개(128)의 직경이 가이드튜브(124)의 단면의 직경보다 커 팽창부(126)의 하측 개구부에 밀착하여 유로를 폐쇄하고, 주입을 차단한다.
하지만 컨테이너(102)에 외력이 가해져 진동이 발생하면, 요동하기 때문에 팽창부(126)의 하측 개구부와 이격되어 유로를 개통시킨다.
하부의 중량이 더 무거우므로 요동 중 진동감지마개(128)는 전복되지 않고, 주로 진자운동이나 세차운동 형태로 요동하기 때문에 이격된 공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하게 줄어들어 주입량이 급격히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진동감지마개(128)에 의하면, 컨테이너(102)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주입이 진행되므로, 교반수단(114)에 의해 적정하게 교반된 주입액만이 주입될 수 있다.
또, 공기조절밸브(106)와 진동감지마개(12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주입액의 주입량과 주입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주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공기조절밸브(106)를 개방하여 컨테이너(102) 내부의 압력을 높이고, 외력(사람이 흔들거나, 공지의 진동장치에 의해 발생)을 부하하여 가이드튜브(124)의 유로를 개방하는 이중동작이 필요하다.
주입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공기조절밸브(106)를 닫아 컨테이너(102) 내부의 압력을 낮추거나, 외력(사람이 흔들거나, 공지의 진동장치에 의해 발생)이 부하되는 것을 중단하여 팽창부(126)를 차폐하는 선택적 동작만으로 충분하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100)는 이중동작을 모두 수행하여야만 주입을 시작할 수 있어 안전하다. 즉, 실수로 공기조절밸브(106)가 개방되었더라도 컨테이너(102)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입액이 주입될 수 없다. 이와 반대로 교반이 이루어졌더라도 줄기세포의 농도가 높은 경우, 공기조절밸브(106)가 차단되어 있으면 주입은 차단된다.
반면 주입 중 줄기세포의 농도가 너무 높거나 응고된 경우, 공기조절밸브(106)를 닫거나 진동을 멈추는 것 중 하나의 동작만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주입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즉각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기조절밸브(106)의 개폐 정도와 외력(사람이 흔들거나, 공지의 진동장치에 의해 발생)에 의한 진동감지마개(128)의 흔들림의 정도를 각각 조절하여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중 조절 장치의 역할도 수행한다.
주름부(130)는 가이드튜브(124)의 팽창부(126)의 하류에 위치한다. 가이드튜브(124)의 일부분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탄성재질이다.
주입액을 교반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102)를 요동하여 진동을 발생시켜야 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는 가이드튜브(124)를 따라 주사바늘까지 전달되어 주사바늘이 주입 받는 자에게 꽂혀있는 상태에서 요동(진동)하게 만든다. 이는 주입과정에서 주입 받는 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가벼운 찰과상부터 치명적인 의료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성까지 모두 내포함은 자명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튜브(124)의 일부분에 주름부(13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름부(130)가 만곡 되기 때문에, 상류측의 진동이 주름부(130)의 하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장치(132)는 주입액에서 덩어리 물질을 거르고, 아울러 세포 손상 없이 필터링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주름부(130)보다 하방에 설치된다.
도 8은 필터장치(132)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수위조절덮개(142)를 개방하였을 때의 필터장치(132)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장치(132)는 상류측 가이드튜브(124)와 끼임결합하여 연통되는 상부관과 하류측 가이드튜브(124)와 끼임결합하여 연통되는 하부관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필터(136)가 구비된 하우징(134)과 하우징의 최상부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수위조절포트(140)와 수위조절포트(140)와 결합된 수위조절덮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4)에서 주입액은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고, 중간에 설치된 필터(136)에 의해 상류측 주입액은 여과되어 하류로 이동한다.
필터(136)는 공지의 백필터(bag-filter)형태이고, 치밀막구조로 체걸음 효과에 의해서 주입액의 덩어리 물질은 거르고, 줄기세포 등의 주입물질(목적물질)은 투과시킨다.
수위조절포트(140)는 하우징(134)의 벽체에 필터(136)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34)의 최상류측 벽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위조절덮개(142)는 수위조절포트(140)와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수위조절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위조절덮개(142)가 탈부착되어 수위조절포트(140)를 개폐한다.
주입액이 유출포트(122)에서 하우징(134)으로 이동하면, 유로의 직경이 급격히 커지기 때문에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방울 형태로 떨어져 하우징(134)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고, 주입액의 이격공간이 생기게 된다.
수위조절포트(140)를 개방하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액이 하우징(134)내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점진적으로 채워지며, 하우징(134)내부가 가득 차면, 수위조절포트(140)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며, 이러한 현상을 통해 하우징(134)의 내부가 가득 찼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이격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이격공간의 압력이 낮아져, 이격공간으로의 주입액의 이동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수위조절부(138)을 이용하여 하우징(134)의 내부를 채우는 이유는 필터링 과정에서 목적물질(세포 등) 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안정적인 주입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다.
즉, 하우징(134)을 채우지 않는 상태에서 목적물질을 주입하는 경우, 필터(136)에 걸려 세포 등의 목적물질의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 크기 때문이다.
또한, 하우징(134)을 채운 상태에서 주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세포(목적물질)가 필터망을 손상 없이 통과하는 형태, 즉, 안정되고 효과적인 "침강성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136) 상부까지 주입액이 차올라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수위조절포트(140)가 필터(136)보다 상류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나아가 하우징(134)을 최상측까지 가득 채우고 주입을 유도하면, 외력에 의해 컨테이너(102)는 요동한다 하더라도, 하우징(134) 내부는 흔들리지 않는 상태가 되어 안정적인 여과가 가능하다.
따라서 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34)을 가득 채우도록 주입액이 차올라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수위조절포트(140)가 하우징(134)의 최상류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도 10은 필터장치(132)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응급상황에서 수위조절포트(140)를 손가락으로 눌러 폐쇄한 필터장치(132)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2 만곡튜브(151)와 수위조절챔버(152)와 수위조절덮개(154)로 구성된 차이점이 있고, 나머지 기술적 특징은 동일하다. 이하, 동일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만곡튜브(151) 는 일측 단부가 수위조절포트(140)와 끼임결합되어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수위조절챔버(152)와 끼임결합되어 연통한다.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지고, 타측 단부가 하향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만곡된 아치형태이다.
수위조절챔버(152)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상부에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어 제2 만곡튜브(150)의 타측 단부와 끼임결합하여 연통한다.
하부는 폐쇄되어 있고, 하부 측벽에는 슬릿형태의 주입액배출구와 수위조절챔버덮개(154)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시 하우징(134)내의 수위 조절이 다시 필요한 경우, 정화된 공기의 재주입을 위해서 주입액배출구 또는 수위조절챔버(152)의 내부에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 극미세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위조절과정 중 일시적으로 주입액의 일부에 포함된 목적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 할 수 있다.
수위조절챔버덮개(154)는 타측이 폐쇄되고, 일측이 개방된 통형태로, 타측 내부 측벽에는 수위조절챔버(152)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위조절챔버덮개(154)는 수위조절챔버(152)와 나사 결합되다.
수위조절챔버덮개(154)는 나사를 쪼이면, 수위조절챔버챔버(152)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사를 풀면, 수위조절챔버챔버(152)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위조절챔버덮개(154)는 수위조절챔버(152)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한다.
나사를 최대로 쪼이면, 수위조절챔버덮개(154)의 측벽이 수위조절챔버(152)의 주입액배출구를 덮어 폐쇄한다.
나사를 풀러 수위조절챔버덮개(154)가 수위조절챔버(152)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수위조절챔버(152)의 주입액배출구는 차차 개방되어, 배출량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제2 만곡튜브(151)에 아래로 향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위조절포트(140)에 직접 수위조절덮개(142)가 결합된 경우, 수위조절시 여과되지 않은 주입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여과되지 않은 주입액은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환경이 오염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수위조절포트(140)가 개방되더라도 배출되는 여과액이 제2 만곡튜브(151)에 머무르므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또,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입액이 수위조절에 필요한 양 이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만곡튜브(151)이 하향만곡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장 등에 상관없이 손쉽게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도 11에서와 같이 제2 만곡튜브(151)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접어 접힘부위의 내벽을 서로 맞닿게 하여 주입액이 제2 만곡튜브(151)을 넘쳐흐르는 즉시, 수위조절포트(140)를 폐쇄하여 추가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 제2 만곡뷰트(151)에 차있던 주입액은 수위조절챔버(152)로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설사 수위조절챔버(152)의 주입액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필터(이 경우는 오염 방지 기능, 오염방지필터 기능)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목적물질 (세포 등)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며, 아울러 외부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하우징(134)내의 수위 조절이 다시 필요한 경우,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하우징(134) 내부로 재주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주입장치
102: 컨테이너
104: 유입포트
106: 공기조절밸브
108: 밸브포트
110: 밸브포트덮개
112: 걸림고리
114: 교반수단
116: 제1 교반체
118: 제2 교반체
120: 경사부
122: 유출포트
124: 가이드튜브
126: 팽창부
128: 진동감지마개
130: 주름부
132: 필터장치
134: 하우징
136: 필터
138: 수위조절부
140: 수위조절포트
142: 수위조절덮개
144: 주사장치
146: 제1 만곡튜브
148: 밸브챔버
150: 밸브챔버덮개
151: 제2 만곡튜브
152: 수위조절챔버
154: 수위조절챔버덮개

Claims (19)

  1.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컨테이너에 진동이 발생되면 요동하여 주입액을 교반하는 교반수단;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주입액이 배출되는 유출포트; 및
    일측이 상기 유출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에서 배출된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튜브를 포함하는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 벽체에 걸려 있는 제1 교반체;
    상기 제1 교반체의 하부에 걸려 있는 제2 교반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반체는 하부가 상부보다 더 무겁고, 상기 제2 교반체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체와 상기 제2 교반체는 스틱의 상부와 하부에 환형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제1 교반체의 상부고리는 컨테이너의 상측 벽체에 걸리고,
    제2 교반체의 상부고리는 제1 교반체의 하부고리에 걸리고,
    상기 제1 교반체의 하부고리는 상부고리보다 더 크고, 상기 제2 교반체의 상부고리는 하부고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4.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주입액이 배출되는 유출포트;
    일측이 상기 유출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에서 배출된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튜브; 및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주입액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주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포트;
    상기 밸브포트와 결합하여 개폐하는 밸브포트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포트는 상기 컨테이너의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와 연통하고, 측벽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포트덮개는 상기 밸브포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밸브포트와 결합하여 공기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밸브포트덮개가 상기 밸브포트가 연장된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공기유입구의 개방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포트;
    일측이 상기 밸브포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하향되도록 휘어져 연장된 만곡튜브;
    상기 만곡튜브와 연결되고,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챔버;
    상기 밸브챔버와 결합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챔버덮개를 포함하는 주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포트는 상기 컨테이너의 벽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형태이고,
    상기 밸브챔버는 상부가 상기 만곡튜브의 타측과 연결되고, 하부 측벽에는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챔버덮개는 상기 밸브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밸브챔버와 결합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덮어 폐쇄하고,
    상기 밸브챔버덮개가 상기 밸브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공기유입구의 개방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0. 주입액이 저장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주입액이 배출되는 유출포트;
    일측이 상기 유출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에서 배출된 주입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튜브;
    상기 가이드튜브에 설치되고, 주입액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주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벽체에 상기 필터보다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위조절포트;
    상기 수위조절포트와 결합하여 개폐하는 수위조절덮개를 포함하는 주입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벽체에 상기 필터보다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위조절포트;
    일측이 상기 수위조절포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하향되도록 휘어져 연장된 만곡튜브;
    상기 만곡튜브의 타측과 연결되고, 주입액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위조절챔버;
    상기 수위조절챔버와 결합하여 상기 주입액배출구를 개폐하는 수위조절챔버덮개를 포함하는 주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챔버는 상부가 상기 만곡튜브의 타측과 연결되고, 하부 측벽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위조절챔버덮개는 상기 수위조절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수위조절챔버와 결합하여, 상기 주입액배출구를 덮어 폐쇄하고,
    상기 수위조절챔버덮개가 상기 수위조절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주입액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액배출구 또는 상기 수위조절챔버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5. 제1항, 제4항 또는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튜브의 일부분에는 여러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이 형성된 부분의 재질은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7. 제1항, 제4항 또는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튜브에는 유로를 폐쇄하는 진동감지마개가 수용되어 있는 팽창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감지마개는 상기 컨테이너에 진동이 발생되면 요동하며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와 상기 진동감지마개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마개의 하부의 무게는 상부의 무게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장치.
PCT/KR2017/001630 2016-02-16 2017-02-15 의료용 주입장치 WO20171422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930 2016-02-16
KR10-2016-0017933 2016-02-16
KR1020160017933A KR101628177B1 (ko) 2016-02-16 2016-02-16 의료용 주입장치
KR1020160017927A KR101628179B1 (ko) 2016-02-16 2016-02-16 의료용 주입장치
KR10-2016-0017927 2016-02-16
KR1020160017930A KR101628182B1 (ko) 2016-02-16 2016-02-16 의료용 주입장치
KR1020160031028A KR101653191B1 (ko) 2016-03-15 2016-03-15 의료용 주입장치
KR10-2016-0031028 2016-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296A1 true WO2017142296A1 (ko) 2017-08-24

Family

ID=5962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630 WO2017142296A1 (ko) 2016-02-16 2017-02-15 의료용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1422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844A (zh) * 2018-12-10 2019-04-09 武汉康昕瑞基因健康科技有限公司 振荡混匀仪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207A (ja) * 1995-02-10 1996-08-27 Takashi Ito 内視鏡用の鉗子や造影剤注入用チューブにおける先端に可動性を持たせる構造3
JP2000509620A (ja) * 1996-05-06 2000-08-02 マリンクロッ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体よりガスを除去するための滴下チェンバ
KR200370927Y1 (ko) * 2004-09-13 2004-12-18 (주)서룡상사 통기량 조절 및 위생 밸브구조를 갖는 수유용 젖병
KR200416363Y1 (ko) * 2006-03-02 2006-05-15 손봉두 관장액 주입기구
JP2006223871A (ja) * 2005-02-18 2006-08-31 Becton Dickinson & Co ドリップチャンバアクセスを有する圧力作動式脈管内セット
KR101544922B1 (ko) * 2014-06-23 2015-08-18 (주)인젝타 골시멘트 혼합 및 주입용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골시멘트 혼합 및 전달시스템
KR101628182B1 (ko) * 2016-02-16 2016-06-0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KR101628177B1 (ko) * 2016-02-16 2016-06-0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KR101628179B1 (ko) * 2016-02-16 2016-06-0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KR101640481B1 (ko) * 2016-05-25 2016-07-1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207A (ja) * 1995-02-10 1996-08-27 Takashi Ito 内視鏡用の鉗子や造影剤注入用チューブにおける先端に可動性を持たせる構造3
JP2000509620A (ja) * 1996-05-06 2000-08-02 マリンクロッ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体よりガスを除去するための滴下チェンバ
KR200370927Y1 (ko) * 2004-09-13 2004-12-18 (주)서룡상사 통기량 조절 및 위생 밸브구조를 갖는 수유용 젖병
JP2006223871A (ja) * 2005-02-18 2006-08-31 Becton Dickinson & Co ドリップチャンバアクセスを有する圧力作動式脈管内セット
KR200416363Y1 (ko) * 2006-03-02 2006-05-15 손봉두 관장액 주입기구
KR101544922B1 (ko) * 2014-06-23 2015-08-18 (주)인젝타 골시멘트 혼합 및 주입용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골시멘트 혼합 및 전달시스템
KR101628182B1 (ko) * 2016-02-16 2016-06-0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KR101628177B1 (ko) * 2016-02-16 2016-06-0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KR101628179B1 (ko) * 2016-02-16 2016-06-0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KR101640481B1 (ko) * 2016-05-25 2016-07-1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844A (zh) * 2018-12-10 2019-04-09 武汉康昕瑞基因健康科技有限公司 振荡混匀仪
CN109589844B (zh) * 2018-12-10 2022-04-15 武汉康昕瑞基因健康科技有限公司 振荡混匀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04448A1 (ko) 의료용 주입장치
WO2017142296A1 (ko) 의료용 주입장치
WO2011095091A1 (zh) 自动输液配药设备及自动输液配药方法
AU781834B2 (en) Process for producing fine medicinal substances
FR2560049B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le raccordement d'une seringue avec l'ouverture d'une bouteille contenant un medicament ou d'un petit tube pour fourniture d'un medicament venant de la seringue
WO2017043830A1 (ko) 필터 주사기
MXPA04003718A (es) Procesamiento de fluidos supercriticos: preparacion de microparticulas de proteina y su estabilizacion.
CN108079649B (zh) 一种中医内科用中药过滤装置
NO964595D0 (no) Innretning for depolymerisasjon av brukt plast og avfallsplast
WO2017074040A1 (ko) 필터 주사기
KR101628177B1 (ko) 의료용 주입장치
KR101628182B1 (ko) 의료용 주입장치
WO2021221229A1 (ko) 여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물병 뚜껑
WO2017104989A1 (ko) 물통의 내부 세척장치
KR101628179B1 (ko) 의료용 주입장치
US3494110A (en) Compressed air cleaning system for turbine powered dental equipment
WO2022146114A1 (ko) 미네랄 소재를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 방법
KR102551028B1 (ko) 원유탱크 청소 시스템
SE9001322L (sv)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eparering av en fibersuspension
FR2586210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oxydation et/ou la nitruration d'un jet de metal liquide et son utilisation
WO2024085581A1 (ko)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서방형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334126A (zh) 医用自动清洁灌肠机
WO2023003321A1 (ko) 무세포 진피 제조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CN205031571U (zh) 神经内科喂药器
GB72496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neumatic cleaning of open-topped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534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534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