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120A1 - 차량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120A1
WO2017039120A1 PCT/KR2016/005516 KR2016005516W WO2017039120A1 WO 2017039120 A1 WO2017039120 A1 WO 2017039120A1 KR 2016005516 W KR2016005516 W KR 2016005516W WO 2017039120 A1 WO2017039120 A1 WO 20170391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se
passage
vehicle
passage member
vehicle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5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재윤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611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2266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50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026873B/zh
Priority to EP16842086.7A priority patent/EP3346119A4/en
Priority to US15/755,979 priority patent/US10900449B2/en
Publication of WO20170391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1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Definitions

  • the vehicle silencer includes a first case installed in the vehicle;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A resonance chamber located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second case such that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and the resonance cha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second case may include a first passage member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passage member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ssage member in a first direction.
  • the first through member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first direction.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silenc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5 to 7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in the vehicle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erior of the resonance chamber 4 and the second case 3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5). Accordingly, the gas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3 flows into the resonance chamber 4 through the through hole 5, and as the frequency is tuned in the resonance chamber 4. Noise is reduced.
  • the resonance chamber 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form as long as it can reduce the noise of the gas.
  • the resonance chamber 4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2a of the first case 2 and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gas by using the resonance chamber 4, but also the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assage hole 5. Implemented to reduce turbulent noise. Therefore,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 the vehicle silencer 1 When the gas flows inside the second case 3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the first pass surface 31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 An included angle 31a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forms an obtuse angle.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 flow shear layer is generat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a point at which the first passage surface 31 and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re connected. Can be. Accordingly,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growth direction in which the flow shear layer grows along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likely to collide with the passage face 32.
  • the vehicle silencer 1 can reduce the turbulence noise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econd case 3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se 3, thereby reducing the noise.
  • the reinforcement can be further enhanced, but also lightweight materials such as plastics and low cost materials can be used to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and low cost of the vehicle.
  •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acute angle between the outside angle 31b of the second case 3 and the outer surface 3b.
  •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s not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Therefore, when gas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along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3,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flow in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where the fault can collide.
  • the vehicle silencer 1 can reduce the turbulence noise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econd case 3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se 3, thereby reducing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Not only can it be strengthened, but also light weight materials such as plastics and low cost materials can be used to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and low cost of the vehicle.
  • any one of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and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Both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and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may b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 the second case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have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3.
  • the angle 31a between 3a forms an obtuse angle
  • the angle 32a between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and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forms an acute angle
  • the external angle 32b between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may be an obtuse angle.
  • the angle 31b between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may be implemented to form an acute angle.
  • the second case 3 has a first passage member 33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5, and a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from the first passage member 33. It may include a second passing member 34 which is spaced apart by)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5).
  • the first through member 33 is formed to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Accordingly, one surface of the passage member 33 is not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 One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member 33 may be a surface facing the second through member 34 from the first through member 33 and may correspond to the first through surface 31. .
  • the vehicle silencer 1 can reduce the turbulence noise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econd case 3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se 3, thereby reducing the noise.
  • the reinforcement can be further enhanced, but also lightweight materials such as plastics and low cost materials can be used to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and low cost of the vehicle.
  •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is inclined to protrude to the maximum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BD arrow direction) at the point 32c (shown in FIG. 5)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It can be formed as.
  • the gas may flow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nside the second case (3).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rea where the flow shear layer growing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can collide with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and the fir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gnitude of turbulent foreclosure perturbation that occurs as the flow shear layer growing in the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mpinges on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 the vehicle silencer 1 can reduce the turbulence noise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econd case 3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se 3, thereby reducing the noise.
  • the reinforcement can be further enhanced, but also lightweight materials such as plastics and low cost materials can be used to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and low cost of the vehicle.
  • the second passage member 32 is formed on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the point 32c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is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s a point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 the length 5L of the through hole 5 based 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s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 the value divided by the thickness 3D of the second case 3 may be greater than 2.
  • the length 5L of the through hole 5 divided by the thickness 3D of the case 3 is less than 2
  • the length 5L of the through hole 5 is short, so that the flow shear layer sufficiently grows.
  • the degree of reduction of noise generated by the gas in the vehicle due to the generation of turbulent noise can be reduced.
  • the length 5L of the through hole 5 divided by the thickness 3D of the case 3 is greater than 2
  • the length 5L of the through hole 5 is equal to the flow shear layer.
  • the area where the flow shear layer impinges on the second pass face 32 is reduced. Accordingly, the degree of reduction of noise generated by the gas in the vehicle due to the generation of turbulent noise can be increased.
  • the second case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through member 33 and the second through member 34. Since the first passage member 33 and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second case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ly portions having differences are described.
  • the first passage member 33 protrudes to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t may be formed to. Accordingly, the point 31d protruding at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from the first passing member 33 is the second case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It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inner surface (3a) of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as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nside the second case 3,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member 33 and the The flow shear layer may be formed at a point spaced from a point at which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is connected. Therefore,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growth direction in which the flow shear layer grows along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The area which can collide with the two-pass member 34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urbulence noise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econd case 3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se 3, thereby reducing the noise.
  • the point 31d protruding at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from the first passing member 33 is the second case 3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It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t an equal distance from each of the inner surface (3a)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 the first passage member 31 is formed on the first passage member 33.
  •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corresponds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assing member 33.
  • the point 31d protruding at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from the first passing member 33 is the first passage surface 31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 Is the point that protrudes to the maximum length.
  •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 the first passage member 33 is the first passage surface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 the cross section of the (31) is implemented to form a semi-elliptic shape, so that the first direction FD between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maximum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the first through member 33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through surface 31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forms a semicircular shape.
  • the first passage member 33 is formed of the first passage surface 31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Since the cross section is formed to have a triangular shape, it protrudes to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t may be formed to.
  •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protrudes to the maximum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BD arrow dire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t may be formed to. Accordingly, the point 32d protruding at the maximum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BD arrow direction) from the second passing member 34 is the second case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It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inner surface (3a) of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n this case, when gas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nside the second case 3,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ows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 the flow shear layer may reduce the area capable of colliding with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and as the flow shear layer growing in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impinges on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gnitude of turbulent foreclosure perturbation that occurs. Accordingly,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urbulence noise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econd case 3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se 3, thereby reducing the noise. Not only can the reinforcement can be further enhanced, but also lightweight materials such as plastics and low cost materials can be used to contribute to the weight reduction and low cost of the vehicle.
  • the point 32d protruding at the maximum length from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in the second direction is the second case 3 based on the second 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It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t an equal distance from each of the inner surface (3a)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 the second passage member 3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corresponds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ng member 34.
  • the point 32d protruding at the maximum length from the second passing member 34 in the second direction (BD arrow direction) is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n the second direction (BD arrow direction).
  •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is the second passage surface based o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 the cross-section of the 32 is implemented to form a semi-elliptic shape, so that the second direction BD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maximum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forms a semicircular shape.
  •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is formed of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on the basis of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Since the cross section is formed to have a triangular shape, it protrudes to the maximum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BD arrow dire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t may be formed to.
  • the second case 3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 5 and 6 illustrate that the first passage surface 31 and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assage surface 31 and the first passage surface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two passing surfaces 32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from each other.
  • the second case 3 has a first pass surface 31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it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formed in any one of the semi-circular cross section.
  • the second case 3 has a first passage surface 31 formed in any one of a semi-elliptic cross section,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a triangular cross section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formed of the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ase 3 decreases as the first passage member 33 faces the first direction (FD arrow direction), and the second passage member 34 has the second direction. It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the thickness is reduced toward the (BD arrow direction).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include the second case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case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by reducing turbulence noise.
  • the high-strength and high-density materials such as metal used in the existing silencer
  • low-density materials such as plastic
  • FIG. 5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and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3a of the second case 3, as shown in FIG. 4, FIG.
  • FIG. 5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assing surface 31 and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ar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FIG. 6.
  • FIG. 2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by calculating turbulent kinetic energy through flow analysis for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assage surface 31 and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are curved are obtained. hav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3 as follows.
  • the number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side are the magnitude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 the symbol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side of the numbers indicate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This is to display them by size range. These numbers and symbols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larger the magnitude of the turbulent energy.
  • FIG. 8 and 9 ar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omparative example as shown in FIG. 4,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8.
  • Part B of FIG. 8 is an area including a part where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is formed in FIG. 4.
  • the symbol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magnitude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ranges from 1.588e + 003 to 1.764 + 003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Rather, symbols with a large size range of turbulent kinetic energy are displayed over a fairly wide area around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 FIGS. 10 and 11 ar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10.
  • a portion C of FIG. 10 is a region including a portion where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is formed in FIG. 5.
  • the first embodiment has a symbol corresponding to a maximum value of 1.588e + 003 to 1.764 + 003 with a magnitude range of turbulent energy around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Is not displaye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embodiment can reduce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passage surface 32,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by further reducing turbulent noise.
  • a symbol belonging to a relatively small size range of 1.766e + 002 to 3.530e + 002 has a size range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and as shown in FIG. Unlike the display, as shown in FIG. 11,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indicated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s locate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embodiment can reduce the magnitude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from the region where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s located,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by further reducing turbulent noise.
  • FIG. 12 and 13 ar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12.
  • Part D of FIG. 12 is an area including a part in which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is formed in FIG. 6.
  •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ymbol corresponding to a maximum value of 1.588e + 003 to 1.764 + 003 in the magnitude range of the turbulent energy around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unlike the comparative example. Is not displaye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embodiment can reduce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passing surface 32,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by further reducing turbulent noise.
  • the symbols belonging to the larger size range of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than the 5.294e + 002 have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Since it occupies a smaller area with respect to the (Y-axis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urbulent noise can be further reduced.
  • the vehicle silencer 1 may include a partition member 6.
  • the partition member 6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2a of the first case 2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 the partition member 6 partitions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2a of the first case 2 and the outer surface 3b of the second case 3 into a plurality of spaces.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chambers 4, 4 ′, 4 ′′.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resonance. I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 5 ', 5 ") for connecting each of the threads (4, 4', 4")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second case (3).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resonance chambers 4, 4 ′, and 4 ′′ to smoothly tune the gas in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 gas in the low frequency band. Since it is implemented to achieve, it is possible to attenuate the frequency noise of the wideband, and therefore,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enhance the noise reduction function
  • the resonance chambers 4, 4 ', 4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 the through holes 5, 5 ′ and 5 ′′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 Each of the portions in which the through holes 5, 5 ′ and 5 ′′ are formed may include the second case 3 described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may be applied.
  •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resonance members 4 and three through holes 5 including two partition members 6 and 6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vehicle silenc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three or more partition members 6, and each of two or four resonance chambers 4 and the through holes 5, respectively. I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he above.
  • the partition member 6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partition member 6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sonance chambers, the partition member 6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The partition member 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case 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2케이스가 제1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제1통과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소음기
본 발명은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는 기체에 의해 소음이 발생된다. 예컨대, 차량의 흡기시스템이 내연기관에 공급하기 위해 흡입한 기체는, 팽창과 압축을 반복하면서 흡기 맥동으로 인한 압력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소음을 발생시킨다. 흡기시스템에는 에어 클리너(Air cleaner), 터보차져(Turbo charger), 인터쿨러(Inter cooler), 에어 덕트(Air duct), 및 엔진 메니폴드(Engine manifolder)가 구비된다.
차량용 소음기는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명기(Resonator)라고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차량(미도시)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110), 및 상기 제1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케이스(120)의 일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120)의 외면 사이에는, 공명실(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120)에는 통과공(14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140)은 상기 제2케이스(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케이스(120)의 내부는 상기 통과공(140)을 통해 상기 공명실(13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케이스(120)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기체는, 상기 통과공(140)을 통해 상기 공명실(130)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공명실(130)에서 주파수가 튜닝(Tunning)됨에 따라 소음이 저감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상기 공명실(130) 쪽으로 유동하는 기체가 상기 통과공(1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 및 성장하여 제2케이스(120)에 충돌함에 따라 난류 압력 섭동을 유발하여 난류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상기 제2케이스(12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난류소음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제2케이스(120)가 갖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두께 증대를 통해 강도를 강화할 수 있는 차량용 소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통과공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면, 및 상기 제1통과면으로부터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면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통과공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부재, 및 상기 제1통과부재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명실을 이용하여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류소음을 저감시키면서도 두께 증대를 통해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기존 소음기에서 사용되던 금속과 같은 고강도, 고밀도 재료를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저밀도 재료로 변경 가능하므로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기준으로 제1통과면과 제2통과면이 제2케이스의 내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에 있어서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유동 해석을 통해 난류운동에너지를 연산하여 도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차량(미도시)에 설치되어서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차량에 설치된 흡기시스템의 터보차져가 흡입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2), 상기 제1케이스(2)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3), 상기 제1케이스(2)와 상기 제2케이스(3)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4), 및 상기 제2케이스(3)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5)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케이스(2)는 차량에 설치된다. 상기 제1케이스(2)는 내부에 상기 제2케이스(3)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2)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상기 제2케이스(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케이스(2)에는 제1통로(20,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20)는 상기 제1케이스(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기체는, 상기 제1통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케이스(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케이스(3)는 일부가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3)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3)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케이스(3)에는 제2통로(30,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30)는 상기 제2케이스(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기체는 상기 제2통로(30)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로 공급된 기체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도 5에 도시됨)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1통로(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공명실(4)은 상기 제1케이스(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부에 상기 제2케이스(3)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공명실(4)은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공명실(4)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는 상기 통과공(5)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기체는, 상기 통과공(5)을 통해 상기 공명실(4)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공명실(4)에서 주파수가 튜닝됨에 따라 소음이 저감된다. 상기 공명실(4)은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명실(4)은,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형태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5)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4)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통과공(5)에 의해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한 제1통과면(31) 및 제2통과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방향일 수 있다.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통과공(5)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통과공(5)의 타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은 각각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이 각각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기체는 상기 통과공(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난류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방향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통과면(31)에서 상기 제2통과면(32)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게 된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유동 전단층은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이 연결된 지점에서부터 생성되어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장된 유동 전단층은,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함에 따라 강한 난류 압력 섭동을 유발하여 난류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제2통과면(32)은 유동 전단층이 충돌 가능한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이러한 난류소음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가 길수록 유동 전단층이 더 크게 성장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난류소음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3D)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3D)가 두꺼울수록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함에 따른 난류 압력 섭동이 커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난류소음 발생으로 인해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3D)가 두꺼울수록 난류소음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제2케이스(3)를 금속에 비해 강도가 약한 플라스틱(Plastic)으로 제조한 경우, 상기 제2케이스(3)가 갖는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난류소음은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에서부터 생성된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한 후에 상기 제1통과면(31)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케이스(3)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면(31)에서 유동 전단층이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다음과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공명실(4)을 이용하여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가 상기 통과공(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를 증대시켜서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케이스(3)가 금속에 비해 강도가 약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가 충분한 강도를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케이스(3)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케이스(3) 및 상기 제1케이스(2) 모두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과의 사잇각(Included Angle, 31a)이 둔각(obtuse angle)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과의 사잇각(31b)이 예각(acute angle)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통과면(32)에서 유동 전단층이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과의 사잇각(32a)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과의 사잇각(32b)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 압류 섭동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 중에서 어느 하나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 모두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간의 사잇각(31a)이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간의 사잇각(32a)이 예각을 이루며,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간의 사잇각(32b)이 둔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간의 사잇각(31b)은 예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통과공(5)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부재(33), 및 상기 제1통과부재(33)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5)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과부재(33)의 일면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은,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2통과부재(34)를 향하는 면(面)으로, 상기 제1통과면(31)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에 연결된 지점(31c, 도 5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에 상기 제1통과면(31)이 형성된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가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에 연결된 지점(31c)은, 상기 제1통과면(31)이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에 연결된 지점이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통과부재(34)의 일면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의 일면은,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1통과부재(33)를 향하는 면으로, 상기 제2통과면(32)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연결된 지점(32c, 도 5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 압류 섭동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상기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연결된 지점(32c)은,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연결된 지점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통과공(5)의 길이(5L)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2케이스(3)의 두께(3D)로 나눈 값이 2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를 상기 케이스(3)의 두께(3D)로 나눈 값이 2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가 짧아서 유동 전단층이 충분히 성장하지 못할 정도로 짧게 구현되므로,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난류소음 발생으로 인해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를 상기 케이스(3)의 두께(3D)로 나눈 값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가 유동 전단층이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정도로 길게 구현되므로, 유동 전단층이 제2통과면(32)에 충돌하는 면적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난류소음 발생으로 인해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통과부재(33) 및 상기 제2통과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통과부재(33) 및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각각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 설명한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1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1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에는 상기 제1통과면(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1d)은, 상기 제1통과면(31)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이다. 상기 제1통과면(31)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면(31)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통과면(31)의 단면이 반(半) 타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통과면(31)의 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통과면(31)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통과면(31)의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2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 압류 섭동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2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에는 상기 제2통과면(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통과부재(34)의 일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2d)은,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이다. 상기 제2통과면(32)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면(32)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단면이 반(半) 타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통과면(32)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2)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이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은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3)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1통과면(31),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 타원 형태의 단면 및 반원 형태의 단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제2통과면(32)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케이스(3)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 타원 형태의 단면, 반원 형태의 단면, 및 삼각형 형태의 단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제1통과면(31), 및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2통과면(32)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통과부재(33)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고, 상기 제2통과부재(34)가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난류소음 저감을 통해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소음기에서 사용되던 금속과 같은 고강도, 고밀도 재료를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저밀도 재료로 변경 가능하므로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과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비교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과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1실시예,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과 상기 제2통과면(32)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2실시예에 대해, 유동 해석을 통해 난류운동에너지를 연산하여 도출한 실험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이에 관해 도 4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험결과에 있어서 좌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된 숫자들은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이고, 해당 숫자들의 좌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된 기호들은 난류운동에너지를 소정의 크기 범위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숫자들 및 기호들은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난류에너지의 크기가 큰 것이다.
다음,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예에 대한 실험결과로, 도 9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 부분은 도 4에서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부분이 포함된 영역이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비교예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588e+003 ~ 1.764+003으로 최대치에 해당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상당히 넓은 영역에 걸쳐서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큰 기호들이 표시되어 있다.
다음, 도 10 및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대한 실험결과로, 도 11은 도 10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C 부분은 도 5에서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부분이 포함된 영역이다. 도 10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실시예는 비교예와 달리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난류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588e+003 ~ 1.764+003으로 최대치에 해당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서의 난류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766e+002 ~ 3.530e+002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범위에 속하는 기호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제2통과면(32)을 벗어난 영역에 표시된 것과 달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제2통과면(32)이 위치한 영역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통과면(32)이 위치한 영역에서부터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12 및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대한 실험결과로,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D 부분은 도 6에서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부분이 포함된 영역이다.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실시예는 비교예와 달리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난류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588e+003 ~ 1.764+003으로 최대치에 해당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서의 난류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5.294e+002에 비해 더 큰 크기 범위에 속하는 기호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작은 크기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구획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6)는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구획부재(6)는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복수개의 공명실들(4, 4', 4")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공명실들(4, 4', 4") 각각을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통과공들(5, 5', 5")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복수개의 공명실들(4, 4', 4")을 이용하여 주파수가 높은 대역의 기체 및 주파수가 낮은 대역의 기체 모두에 대해 원활한 튜닝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되므로, 광대역의 주파수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명실들(4, 4', 4")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들(5, 5', 5")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들(5, 5', 5")이 형성된 부분들 각각에는 상술한 상기 제2케이스(3)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가 2개의 구획부재들(6, 6')을 포함하여 상기 공명실(4) 및 상기 통과공(5)을 각각 3개씩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구획부재(6)를 1개 또는 3개 이상 포함하여 상기 공명실(4) 및 상기 통과공(5)을 각각 2개씩 또는 4개 이상씩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6)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공명실(4)를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6)는 상기 제2케이스(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통과공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면, 및 상기 제1통과면으로부터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통과면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통과면에서 상기 제2통과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기체가 유동하고,
    상기 제1통과면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과의 사잇각(Included Angle)이 둔각(obtuse angle)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면은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면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과의 사잇각이 예각(acute angle)을 이루고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과의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통과공의 길이를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2케이스의 두께로 나눈 값이 2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면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과의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과면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과의 사잇각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과의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6.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통과공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부재, 및 상기 제1통과부재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과부재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부재에는 상기 제2통과부재를 향하는 제1통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이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부재에는 상기 제2통과부재를 향하는 제1통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기체가 유동하고,
    상기 제1통과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에 연결된 지점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부재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부재에는 상기 제1통과부재를 향하는 제2통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부재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이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부재에는 상기 제1통과부재를 향하는 제2통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기체가 유동하고,
    상기 제2통과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에 연결된 지점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기체가 유동하고,
    상기 제1통과부재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과의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1통과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과부재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과의 사잇각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케이스의 외면과의 사잇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2통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부재에는 상기 제2통과부재를 향하는 제1통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부재에는 상기 제1통과부재를 향하는 제2통과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과면은 단면이 반 타원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면은 단면이 반 타원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PCT/KR2016/005516 2015-09-02 2016-05-25 차량용 소음기 WO201703912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50680.5A CN108026873B (zh) 2015-09-02 2016-05-25 车辆消音器
EP16842086.7A EP3346119A4 (en) 2015-09-02 2016-05-25 MUFFLER FOR VEHICLE
US15/755,979 US10900449B2 (en) 2015-09-02 2016-05-25 Vehicle silen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60 2015-09-02
KR20150124160 2015-09-02
KR1020160061178A KR102522668B1 (ko) 2015-09-02 2016-05-19 차량용 소음기
KR10-2016-0061178 2016-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120A1 true WO2017039120A1 (ko) 2017-03-09

Family

ID=5818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516 WO2017039120A1 (ko) 2015-09-02 2016-05-25 차량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391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6607A (zh) * 2022-08-15 2022-11-0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用于涡轮增压器的组合式进气消声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104A (ja) * 2010-05-24 2011-12-08 Inoac Corp 吸気ダクト
JP2012087797A (ja) * 2010-10-19 2012-05-10 Jaguar Cars Ltd エアダクトアッテネータ
KR20130117239A (ko) * 2012-04-18 2013-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이드 브랜치형 소음기
KR20130142997A (ko) * 2010-08-11 2013-12-30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터보차저
KR20150095437A (ko) * 2014-02-13 2015-08-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104A (ja) * 2010-05-24 2011-12-08 Inoac Corp 吸気ダクト
KR20130142997A (ko) * 2010-08-11 2013-12-30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터보차저
JP2012087797A (ja) * 2010-10-19 2012-05-10 Jaguar Cars Ltd エアダクトアッテネータ
KR20130117239A (ko) * 2012-04-18 2013-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이드 브랜치형 소음기
KR20150095437A (ko) * 2014-02-13 2015-08-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46119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6607A (zh) * 2022-08-15 2022-11-0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用于涡轮增压器的组合式进气消声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7276A (zh) 双消声器
CN204458126U (zh) 一种增压发动机进气消声结构
US8622044B2 (en) Intake arrangement for combustion chamber
KR101853601B1 (ko) 소음 저감 구조 및 과급 장치
US7762374B2 (en) Turbine engine diffusing exhaust muffler
CN105003320A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器改进结构
CN105003321A (zh) 一种集成式油气分离器改进结构
WO2017039120A1 (ko) 차량용 소음기
CN205190036U (zh) 中冷管路总成
KR102522668B1 (ko) 차량용 소음기
KR20160067049A (ko) 가스 터빈용 댐퍼
JP2008082312A (ja) 吸気装置
US7707986B1 (en) Noise attenua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7171316A2 (ko) 차량용 소음저감 장치
JP5980139B2 (ja) 車両用消音器
US7712447B2 (en) Noise attenua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422337B (zh) 一种进气消声器
CN105986853B (zh) 消声器
WO2011158996A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1196305B1 (ko) 배기 매니폴드
CN210217866U (zh) 一种消声器及车辆
CN109878741B (zh) 涡轮机的主排气管道的内部结构和涡轮机及飞行器
WO2022092629A1 (ko)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CN216518336U (zh) 一种降噪气道、发动机及作业机械
CN109058008A (zh) 一种涡轮增压发动机进气系统消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420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597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4208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