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0328A1 - 티모신 베타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티모신 베타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0328A1
WO2017030328A1 PCT/KR2016/008924 KR2016008924W WO2017030328A1 WO 2017030328 A1 WO2017030328 A1 WO 2017030328A1 KR 2016008924 W KR2016008924 W KR 2016008924W WO 2017030328 A1 WO2017030328 A1 WO 20170303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hymosin
citric acid
acid
corneal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9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신욱
김경순
성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트리비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트리비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트리비앤티
Priority to EP16837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38792B1/en
Priority to ES16837270T priority patent/ES2895923T3/es
Priority to JP2018503784A priority patent/JP6910072B2/ja
Publication of WO20170303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032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292Thymosin;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Definitions

  • Corneal damage prevention or treat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ymosin beta 4 and citr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comprising thymosin ⁇ 4 and citr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rnea is a transparent, bloodless tissue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eye, often called the black jerky.
  • the cornea is a transparent tissue that not only protects the eyes from the outside but also allows the light to pass through and be refracted, making it possible for the refraction and transmission of light.
  • the cornea consists of five layers: corneal epithelium, Bowman's cornea, corneal parenchyma, posterior border plate (Desme's membrane) and corneal endothelium.
  • the corneal surface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making it vulnerable to trauma and scratches.
  • corneal damage frequently occurs in patients suffering from diseases such as dry eye syndrome, which is caus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eye protection due to tears.
  • irritation symptoms such as irritation, foreign body or dryness, as well as keratitis may develop if the damage is severe.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eye health and preserve vision, it is essential to prevent corneal damage, to prevent minor corneal damage, or to treat damaged corneas.
  • thymosin ⁇ 4 is a protein first discovered in the thymus in 1981, and consists of 41 to 43 amino acids, isoelectric point (isoelectric point) is in the 5.1 protein eu actin in an animal cell or the like 1991 Riva-isolated molecule Thymosin ⁇ 4,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an ac tin-sequestering molecule, was later found to be involved in immune regulation and neuroendocrine.
  •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8-33939 discloses an eye drop composition comprising thymosin ⁇ 4 and an amino acid stabilizer, and discloses an eye drop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bulking agent, a laxative agent, and a ⁇ regulator.
  • 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does not disclose the combination and content of ingredients that can optimize or enhance the efficacy of thymosin 4.
  • the inventors have combined the components to optimize the efficacy of thymosin ⁇ 4, and each component. While trying to find the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a specific organic acid may affect the activity of thymosin 4,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is specific organic acid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corneal damage.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comprising thymosin ⁇ 4, and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phthalmic preparation comprising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corneal injury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to a subj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ymosin ⁇ 4 and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as active ingredients, thereby promoting corneal epithelial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and inhibiting the penetration of ⁇ ⁇ in the damaged cornea than when thymosin ⁇ 4 is used alone. This can help to repair corneal damage.
  • thymosin ⁇ 4 citric acid and acetic acid at the same time, showing excellent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ve efficiency compared to thymosin 4 and at the same time lowering the infiltration effect compared to each of them, thymosin ⁇ It can be utiliz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by increasing the utility of 4.
  • 1 to 3 shows the cell migration after treatment with the composition combining thymosin ⁇ 4 and an organic acid.
  • Figure 4 shows the degree of cell prolifer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in which thymosin ⁇ 4 and the organic acid is mixed.
  • FIG. 5 illustrate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infiltration of the cyanide of the composition in which the thymosin ⁇ 4 and the organic acid were mix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comprising thymosin ⁇ 4 and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 thymosin ⁇ 4 '' as used herein is a protein, also referred to as Thymosin bet a-4 or ⁇ 4, isolated from the initial thymus and composed of 43 amino acids of 4.9 kDa identified in various tissues.
  • the protein is a protein that is upregulated during 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vitro, and many thymosin ⁇ 4 iso forms have been identified.
  • the thymosin ⁇ 4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omology of about or about 75%, or about 80% or more with the known amino acid sequence of thymosin ⁇ 4.
  • the thymosin ⁇ 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N-terminal variant of wild type thymosin ⁇ 4, and the C-terminal variant of thymosin 4.
  • the thymosin ⁇ 4 may be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1.
  • Citric ac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called citric acid, is a compound having a chemical formula of C 6 3 ⁇ 40 7 .
  • citric ac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citrate.
  • the citrate is a derivative of citric acid, in one embodiment may be sodium citrate or trisodium citrate.
  • the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are generally used as a laxative to alleviate the change in pH, but the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sed in a larger amount than the amount commonly used.
  • the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may include 1% (w / v) to 15% (w / v) in the total composition.
  • the citric acid or salt thereof may include 5% (w / v) to 12% (w / v), or 10% (w / v) in the tot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120 parts by weight and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ymosin ⁇ 4.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10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ymosin ⁇ 4. More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may include 15 to 10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ymosin ⁇ 4. More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may include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ymosin J34.
  • the term "corneal injury" refers to the cornea that is the surface of the eyeball.
  • wound means a wound and can be created by factors not only in external stratification but also in the body.
  • wounds include wounds that may occur in any one of corneal epithelium, Bowman's membrane, corneal parenchyma, posterior border plate or corneal endothelium.
  • weight / volume percent or “% (w / v)” as used herein refer to the percent by mass of solute in solution, calculated as the mass of solute to the volume of the solution, for example (w / v ) Solution means that 1 g of solute is dissolved in 100 i solution.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organic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ic acid, ascorbic acid, or salts thereof.
  • Acetic ac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k acid having the chemical formula CH 3 C00H, also referred to as acetic acid.
  • the acetic ac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an acetate salt.
  • One embodiment of the acetate salt may be sodium acetate.
  • Ascorbic ac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k acid having the chemical formula C 6 3 ⁇ 40 6 , also referred to as vitamin C.
  • ascorbic ac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alt.
  • Ascorbate may be sodium ascorbate.
  • the organic acid may be generally used as a laxative or an antioxidant to alleviate the pH change, but the organic acid should be used in an amount larger than the amount commonly used.
  • the organic aci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w / v) to 8 (w / v), or 1.0% (w / v) to 5% (w / v) in the total composition.
  • the organic acid may be included in the total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5% (w / v) to 5% (w / v).
  • the organic aci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5 to 4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Specifically, the organic aci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5 to 350 parts by weight, 15 to 100 parts by weight, 15 to 70 parts by weight, or 30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organic aci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hthalmic formulation comprising the composition.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lotion, plaster, gel, cream, paste, spray, suspension, dispersion, hydrogel, ointment, oil or blowing agent.
  •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by mix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 particular non-toxic excipient or carrier which is acceptable for ophthalmic use.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 particular non-toxic excipient or carrier which is acceptable for ophthalmic use.
  • carriers such as those of the types mentioned below, in particular carriers, stabilizers, solubilizers, lamellar substrates, preservatives, thickeners, tonics and other excipients can be used.
  • each agent can be used to adjust to the desired pH.
  • Carriers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typically suitable for topical or general purpose administration, for example a mixture of water, water and water-miscible solvents
  • the water-miscible solvent is for example d to C 7 alkanes, vegetable oils or mineral oils (e.g. 0.5 to 5% by weight of hydroxyethyl cellulose, ethyl oleate, carboxymethyl cellulose, polyvinyl-pyridone, etc.), acrylates (e.g. Salts of polyacrylic acid or ethyl acrylate), methacrylates, polyacrylamides, natural products (e.g.
  • gelatin alginates, pectins, tragacanth, karaya gum, xanthan gum, catheters
  • cellulose-induced alkali metal salts of m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hydroxy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methyl hydroxypropyl cellulose and hydroxypropyl cellulose
  • synthetic products e.g.
  • the carrier may be water, a cellulose derivative, (eg, methyl cellulose, alkali metal salts of carboxymethyl cellulose, hydroxy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methyl hydroxypropyl cellulose, and hydroxy).
  • Propylcelose Propylcelose
  • neutral carbopol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stabilizer examples include tyloxapol, fatty acid glycerol, poly-lower alkylene glycol esters, fatty acid poly-lower alkylene glycol esters, polyethylene glycols, glycerol eth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addition amount of the additive stabilizer may be an amount sufficient to dissolve the composition as the active ingredient.
  • the loosen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rate-based, hydrogen carbonate / carbonate-based, gluconate-based, phosphate-based, propionate-based and tromethamine (TRIS) -based buffers.
  • the release agent may be a tromethamine-based release agent or a borate-based release agent.
  • the amount of laxative substrate can be, for example / the amount necessary to ensure and maintain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pH range.
  • the physiologically acceptable pH range may be pH 5 to 9, specifically 6 to 8.2, more specifically, 6.8 to 8.1.
  • the preservatives may be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cetrimide, benzalkonium chloride or benzoxium chloride), alkyl-mercury salts of thiosalicylic acid (e.g. thimerosal, phenylmercuric acid nitrate, phenylmercuric acid acetate or phenyl Mercuric acid borate), parabens (e.g. phenylparaben or propylparaben), alcohols (e.g. chlorobutane, benzyl alcohol or phenyl ethanol), guanidine derivatives (e.g. chloronucidine or polynuclear methylene biguani De) or sorbic acid.
  • the preservative may be a quaternary ammonium salt or parabens.
  • the content of the preserva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amount capable of preventing secondary contamination caused by use by bacteria and fungi.
  • the tonicity agent is used to control the target formulation physiological tonicity (eg 0.9% saline).
  • the amount of tonic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agent to be added.
  •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with a tonic agent to make the final composition osmotic to 150-450 mOsm, more specifically 250-350 mOsm.
  • the tonicity agent may be a sodium salt or a potassium salt. More specifically, the tonicity agent may be sodium chloride or potassium chloride.
  • the tonicity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dextrose and mannelite. More specifically, the tonicity agent may be sodium chloride.
  • formulations may be used to maintain the appropriate viscosity in ophthalmic formulations: (a) monomeric poly (s) (eg tyloxapol, glycerol,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b) polymeric polyethers (e.g., polyethylene glycol (e.g. PEG 300, PEG 400)); (c) cellulose derivatives (cells of the cellulose family) (e.g.
  • hydroxyethyl cellulose Hypromellose ,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meth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hydroxyl propyl cellulose); (d) textrans (eg dextran 70); (e) water soluble proteins (eg gelatin); (f) vinyl polymers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pyrrolidine); (g) other polyols (eg, polysorbate 80, povidone); (h) carbomers (eg, carbomer 934P, carbomer 941, carbomer 940, carbomer 974P); And 0 polysaccharides / glycosaminoglycans (eg, hyaluronan (hyaluroranic acid / hyaluronate), chondroitin sulfate).
  • textrans eg dextran 70
  • e water soluble proteins
  • vinyl polymers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pyrrolidine
  • the amount and type of excipient add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requirements, but can be used in the range of 0.0001 to 90 weight 3 ⁇ 4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ophthalmic formulation, and can be used within the range normal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ophthalmic arts.
  • the pH range of the ophthalmic preparation may be 3.5 to 9, specifically, 4.5 to 8, more specifically, 5.5 to 7.8, more specifically, about 7.0.
  •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corneal damage comprising contacting an eye tissue with an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containing thymosin ⁇ 4 and citr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 a composition containing thymosin ⁇ 4 and citr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 examples of such administration are tissues, for example, by direct application with solutions, lotions, plasters, 3 ⁇ 4, creams, pastes, sprays, suspensions, dispersions, hydrogels, ointments, oils or blowing agents comprising a composition as disclosed herein. And contacting it.
  • thymosin ⁇ 4 and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or sequentially, and may be administered in appropriate amounts divided into several times daily.
  • the most preferred form of administration is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thymosin 4 and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 the additive composition comprises 0.05 to 0.5% (w / v) thymosin ⁇ 4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and may be dosed at a total dose of 0.08 to 2.0 per day. That is, thymosin ⁇ 4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0.04 to 10 mg per day.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0.1 to 0.4% (w / v) of thymosin 4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thymosin ⁇ 4 divid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It may be administered, specifically, it may be administered twice to five times a day.
  • the composition comprises 1.0 to 10% (w / v)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and may be administered in a total dose of 0.1 to 4.0 per day. That is,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1 to 400 mg per day.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may be administered once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daily, specifically, may be administered twice to five times daily.
  • acetic acid, ascorbic acid, or salts thereof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or sequentially with thymosin ⁇ 4 and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Specifically, acetic acid, ascorbic acid, or salts thereof may be administered simultaneously with thymosin 4 and citric acid or salts thereof.
  • the composition comprises 0.5 to 8 (w / v), or 1.0 to 5 3 ⁇ 4> (w / v) acetic acid, ascorb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n a total dose of 0.1 to 4.0 i per day Can be administered. That is, acetic acid, ascorbic acid, or salts thereof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1 to 400 mg per day.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etic acid, ascorbic acid, or salts thereof may be administered once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daily, specifically, may be administered twice to five times daily.
  • Examples of routes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injur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transdermal (such as topical) dosage for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arenteral, intranasal (such as inhalation), administration via mucous membranes. It doesn't work.
  • the treatment method may be a subject in need of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for example, a mammalian animal, and more specifically, a huma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ymosin ⁇ 4, and citric acid or a salt thereof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amage.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citric acid, acetic acid and salts thereof.
  • Example 1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ymosin ⁇ 4
  • sodium citrate was quantified to 1.5% (w / v)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mixed until the reagents were dissolved, and then mixed
  • the drug thymosin ⁇ 4 was added by 0.01% (w / v) and mixed until dissolved.
  •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unit of the numerical value is not indicated. % (W / v), which is a reference concentration.
  • HCEO CATCC 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 96 well plates (Thermo, Ltd) were inoculated with 3 ⁇ 10 3 cells within 100 ⁇ per well, followed by thymosin ⁇ 4 prepared in the control group, Example 1, Example 3,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3. A composition to add was added.
  • the supernatant 0.1 was mixed with 0.19 mg / l o_ dianisidine hydrochloric acid and 2.9 50 mM complete phosphate solution (pH 6.0) containing 0.0005% hydrogen peroxide. Absorbance change at 460 nm was measured using a UV spectrometer at 25 ° C. for 5 minutes. 1 uni t of MP0 activity was defined as degrading 1 ⁇ peroxide at 25 ° C. per minute.
  • composition includ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 4 with citric acid thymosin T, citric acid and acetic acid compared to the composition comprising normal saline or thymosin ⁇ 4 manyi was confirmed that inhibiting ⁇ penetration (see FIG. "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종래에 사용되던 티모신 β 4의 활성을 유지 또는 증가시킴으로써, 각막에 생긴 상처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므로 각막 손상 치료를 위한 안과용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티모신 베타 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배경 기술】
각막은 안구 앞쪽 표면에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으로 흔히 검은자위라고 하는 부분이다. 각막은 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빛을 통과, 굴절시켜 볼 수 있게 하는 투명한 조직으로 빛의 굴절과 전달에 주요한 가능을 하며 신경이 잘 발달되어 있어 외부의 이물질에 민감하게 반웅한다. 각막은 각막상피, 보우만막, 각막실질, 뒤경계판 (데스메막), 각막내피 5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각막 표면은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있어 외상이나 스크래치에 취약하다. 특히, 눈물의 양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눈물에 의한 안구 보호 기능이 현저히 낮아져서 나타나는 안구건조증과 같은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에서 각막 손상은 자주 발생한다. 각막이 손상될 경우 자극감, 이물감 또는 건조감 등의 자극 증상은 물론, 손상이 심각해 질 경우 각막염 등으호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안구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시력을 보존하기 위하여는 각막 손상을 예방하거나, 경미한 각막 손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거나, 손상된 각막을 치료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각막 손상, 특히 화학적 화상 (alkal i burn)에 의한 각막 손상에 있어 다형핵백혈구 (polymorphonuc lear leukocyte , BIN)의 광범위한 침투 ( inf i l trat ion)가 일어남은 잘 알려져 Invest. Ophthalmology Vis.
Sci. , 1987, 28, 295-304) , 이러한 Ρ丽의 침투는 조직 손상에 대한 일반적인 염증 반웅 중의 일부이다. 그러나 각막의 화학적 화상에 있어서는 이러한 Ρ丽의 침투가 일차적인 염증 반응일 뿐 아니라 궤양으로 발전하거나 각막 천공에 이르게 할 수도 있으며 (7 a/25.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 1970, 74, 375-383, Invest. Ophthalmology Vis. Sci. , 1979, 18, 570-587) , 실제로 P丽은 각막의 콜라겐 조직을 파괴하는 콜라게나제를 활성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P丽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병변의 확장을 막을 수 있으며 , P丽 대사를 저해함으로써 각막 상처가 궤양으로 진행되는 속도를 늦출 수도 있다. 이러한 P丽의 침투를 낮추는데 시트르산이 효과를 나타내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하여 보고된 바 있다 {Exp. Eye. Res. , 1984, 39, 701-708) .
한편, 티모신 β4는 1981년에 흉선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단백질로서, 41 ~ 4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등전점 (isoelectric point)이 5.1인 단백질이다ᅳ 1991년 리바 등에 의해 동물세포에서 액틴 -격리 분자 (actin- sequestering molecule)로 밝혀진 티모신 β4는 이후 면역 조절 및 신경내분비에도 관여함이 밝혀졌다. 최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 33939호에는 티모신 β4와 아미노산 안정제를 포함하는 점안액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였고, 벌킹제, 완층제, ρΗ 조절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점안액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공보에는 티모신 4의 효능을 최적화하거나 증진시킬 수 있는 성분의 조합 및 함량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자는 티모신 β4의 효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성분와 조합, 및 각 성분의. 함량을 찾기 위해 노력하던 중, 특정 유기산이 티모신 4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정 유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각막 손상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티모신 β4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제제, 및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각막 손상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제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손상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더불에 본 발명은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모신 β 4와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티모신 β 4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각막 상피 세포 이동 및 증식을 촉진시키고 손상된 각막에서 Ρ丽의 침투를 저해하여 각막 손상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티모신 β 4, 시트르산 및 아세트산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티모신 4에 비해 우수한 세포 이동 및 증식 효능을 보이는 것과 동시에 이들 각각을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Ρ丽 침투를 낮추는데 효과를 보이므로, 티모신 β 4의 활용성을 높여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활용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내지 3은 티모신 β 4와 유기산을 흔합한 조성물을 처리한 후 세포 이동을 관찰한 것이다.
도 4는 티모신 β 4와 유기산을 흔합한 조성물에 따른 세포 증식 정도를 관찰한 것이다.
도 5는 티모신 β 4와 유기산을 흔합한 조성물의 Ρ丽 침투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티모신 β 4"는 Thymosin bet a-4 또는 Τβ 4로 지칭되기도 하는 단백질로서, 최초 흉선으로부터 단리되었고, 여러 조직들에서 식별된 4.9 kDa의 4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펩티드이다. 상기 단백질은 시험관 내 내피 세포 이동 및 분화 중에 상향ᅳ조절되는 단백질로서, 많은 티모신 β 4 이소 ( iso) 형태들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티모신 β 4는, 티모신 β 4의 공지된 아미노산 서열과 약 또는 약 75%, 또는 약 8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티모신 β 4는 야생형의 티모신 β 4의 Ν-말단 변종, 및 티모신 4의 C-말단 변종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모신 β 4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트르산은 구연산이라고도 하며, C6¾07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르산은 시트르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르산염은 시트르산의 유도체로서, 일 구체예로는 시트르산 나트륨 또는 시트르산 삼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은 통상 pH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완층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에 비하여 많은 양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조성물에서 1 %(w/v) 내지 15 %(w/v)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조성물에서 5 %(w/v) 내지 12 %(w/v) , 또는 10 %(w/v)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티모신 β 4의 1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0 중량부와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티모신 β 4의 1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의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티모신 β 4의 1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100 중량부의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티모신 J34의 1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 중량부의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각막 손상" 은 안구의 표면인 각막에 생긴 상처를 의미하며, 외부적인 층격뿐만 아니라 신체 내부에 의한 요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처는 각막상피, 보우만막, 각막실질, 뒤경계판 또는 각막내피의 부위 중 어느 하나에 생길 수 있는 상처를 포함한다. -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중량 /부피 퍼센트" 또는 "%(w/v) " 은 용액 부피에 대한 용질의 질량으로 계산된 용액 내 용질의 질량 퍼센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 예로 (w/v) 용액은 100 i 용액 내 1 g의 용질이 용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ᅳ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세트산은 초산이라고도 지칭되는 CH3C00H의 화학식을 갖는 약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세트산은 아세트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세트산염의 일 구체예는 아세트산나트륨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은 비타민 C라고도 지칭되는, C6¾06의 화학식을 갖는 약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은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염의 일 구체예는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통상 pH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완층제 또는 항산화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유기산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에 비하여 많은 양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유기산은 전체 조성물에 0.5 %(w/v) 내지 8 (w/v) , 또는 1.0 %(w/v) 내지 5 %(w/v)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산은 전체 조성물에 1.5 %(w/v) 내지 5 %(w/v)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 100 증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400 증량부의 양으로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50 중량부, 15 내지 100 중량부, 15 내지 70 중량부, 또는 30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제제는 용액, 로션 , 고약, 겔, 크림, 페이스트, 분무제, 현탁액, 분산액, 하이드로겔, 연고, 오일 또는 발포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특히 안과용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부형제들 또는 담체와 흔합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언급된 유형의 것들, 특히 담체, 안정제, 용해제, 완층제 기질, 보존제, 증점제, 긴장제 및 기타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제는 바람직한 pH로 조절되어 사용될 수밌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전형적으로 국소 투여 또는 범용 투여에 적절하고, 예를 들면 물, 물과 수-흔화성 용매들의 흔합물 [상기 수-흔화성 용매는 예를 들면, d 내지 C7 알칸을류, 식물성 오일류 또는 미네랄 오일류 (예를 들면 0.5 내지 5 중량 %의 히드록시에틸셀를로스, 에틸 올레에이트, 카르복시메틸샐를로스, 폴리비닐―피를리돈 등), 아크릴레이트류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의 염류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 메타크릴레이트류, 폴리아크릴아미드류, 천연 생성물류 (예를 들면 젤라틴, 알기네이트류, 팩틴류, 트라가칸트, 카라야 검, 크산탄 검, 캐라기닌, 한천, 아카시아, 전분 유도체 (예를 들면 전분 아세테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 ], 안과 용도의 기타 무독성 수- 용해성 중합체 (예를 들면 셀를로스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셀를로스, 카르복시메틸샐를로스의 알칼리금속 염들, 히드록시메틸셀를로스, 히드록시에틸셀를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를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샐를로스) ), 다른 합성 생성물들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를리돈;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에틸렌 산화물,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예를 들면 중성 카보폴) ), 또는 이들 중합체들의 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물, 샐를로스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셀를로스, 카르복시메틸샐를로스의 알칼리 금속염류, 히드록시메틸셀를로스, 히드록시에틸셀를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를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를로스), 중성 카보폴, 또는 이들의 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예를 들어, 틸록사폴, 지방산 글리세를 폴리 -저급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류, 지방산 폴리 -저급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 글리콜류, 글리세를에테르류 또는 이들 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가 안정제의 첨가량은 활성 성분인 상기 조성물을 용해시키기에 층분한 양일 수 있다. 상기 완층제는 보레이트계, 탄산 수소 /카르보네이트계, 글루코네이트계, 포스페이트계, 프로피오네이트계 및 트로메타민 (TRIS)계 완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층제는 트로메타민계 완층제 또는 보레이트계 완층제일 수 있다. 상기 완층제 기질의 양은, 예를 들어/ 생리학상 허용되는 pH 범위를 보장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양일 수 있다. 상기 생리학상 허용되는 pH 범위는 pH 5 내지 9, 구체적으로, 6 내지 8.2, 더욱 구체적으로, 6.8 내지 8. 1일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4차 암모늄염 (예를 들면 세트리미드, 염화 벤잘코늄 또는 염화 벤족소늄), 티오살리실산의 알킬 -수은 염류 (예를 들면 티메로살, 페닐머큐리산 나이트레이트, 페닐머큐리산 아세테이트 또는 페닐머큐리산 보레이트), 파라벤류 (예를 들면 페닐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알콜류 (예를 들면 클로로부탄을, 벤질 알콜 또는 페닐 에탄올), 구아니딘 유도체 (예를 들면 클로로핵시딘 또는 폴리핵사메틸렌 비구아니드), 또는 소르브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존제는 4차 암모늄염 또는 파라벤류일 수 있다. 상기 보존제의 함량은 세균 및 진균에 의해 사용증에 유발되는 2차 오염을 막을 수 있는 양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긴장제는 목적물인 제제꾀 생리학적 강장성 (예, 0.9% 염수)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긴장제의 양은 부가되어야 하는 특정작용제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150-450 mOsm, 보다 구체적으로, 250-350 mOsm의 안과용으로 허용되는 삼투성을 최종 조성물이 갖게 위해 긴장제가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긴장제는 나트륨 염 또는 칼륨 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긴장제는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긴장제는 염화나트륨, 칼륨 염화물, 염화칼슘, 덱스트로스 및 만니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긴장제는 염화나트륨일 수 있다.
또한, 안과용 제제 내의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 제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단량체성 폴리을류 (예를 들면, 틸록사폴, 글리세를,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 (b) 중합체성 폴리을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 PEG 300 , PEG 400) ); (c) 셀를로스 유도체 (셀를로스 부류의 중합체들)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셀를로스, 히프로멜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샐롤로스, 메틸샐를로스, 카르복시메틸셀롤로스 소듐, 히드록실프로필샐를로스) ; (d)텍스트란류 (예를 들면, 덱스트란 70) ; (e) 수용성 단백질 (예를 들면, 젤라틴) ; ( f ) 비닐 중합체류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을, 폴리비닐 피롤리딘) ; (g) 다른 폴리올류 (예를 들면, 폴리소르베이트 80, 포비돈) ; (h) 카르보머류 (예를 들면, 카르보머 934P, 카르보머 941 , 카르보머 940, 카르보머 974P) ; 및 ( 0 다당류 /글리코사미노글리칸류 (예를 들면, 히알루로난 (히알루로란산 /히알루로네이트) , 콘드로이탄 설페이트) .
부가된 부형제의 양 및 유형은 특정 요건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안과용 제제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0중량 ¾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 안과용 당업자가사용하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과용 제제의 pH 범위는 3.5 내지 9, 구체적으로, 4.5 내지 8, 보다 구체적으로, 5.5 내지 7.8, 더욱 구체적으로, 약 7.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눈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여의 실례는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 로션, 고약, ¾, 크림, 페이스트, 분무제, 현탁액, 분산액, 하이드로겔, 연고, 오일 또는 발포제에 의한 직접 도포에 의해 조직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은 병용 투여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일일 수회에 나누어 적정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투여 방법은 티모신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동시에 병용투여하는 것이다. 상가 조성물은 총 조성물 기준으로 0.05 내지 0.5 %(w/v)의 티모신 β 4를 포함하며, 일일 총 0.08 내지 2.0 의 용량으로 투약될 수 있다. 즉, 티모신 β 4는 일일 0.04 내지 10 mg의 용량으로 투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총 조성물 기준으로 0. 1 내지 0.4 %(w/v)의 티모신 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모신 β 4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일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일 2회 내지 5회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성물은 총 조성물 기준으로 1.0 내지 10 %(w/v)의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며, 일일 총 0.1 내지 4.0 의 용량으로 투약될 수 있다. 즉,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은 일일 1 내지 400 mg의 용량으로 투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일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일 2회 내지 5회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은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과 병용 투여되거나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은 티모신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과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총 조성물 기준으로 0.5 내지 8 (w/v) , 또는 1.0 내지 5 ¾>(w/v)의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올 포함하며, 일일 총 0.1 내지 4.0 i 의 용량으로 투약될 수 있다. 즉,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은 일일 1 내지 400 mg의 용량으로 투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일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일 2회 내지 5회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경로의 예는 경피 (이를 테면, 국소) 투여 형태가 바람직하며, 비경구, 비강내 (이를 테면, 흡입), 점액막을 통한 투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치료방법은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 예를 들어, 포유류 동물,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이의 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티모신 β 4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멸균조제용수에 시트르산나트륨이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1.5 %(w/v)이 되도록 정량하고, 시약이 다 녹을 때까지 흔합한 뒤, 흔합된 용액에 약물인 티모신 β 4 (Bachem , US , 서열번호 1)를 0. 1 %(w/v)만큼 넣고 다 녹을 때까지 흔합하였다. 위 흔합 공정을 마친 용액을 수산화나트륨 및 염산을 이용하여 산도를 7.0으로 조정하였다. 그 후, 위 조정 공정을 거친 용액을 0.2 im 필터에 여과시킨 후, 위 여과 공정을 거친 흔합액을 저밀도 폴리에틸렌 용기에 층전한 후 밀봉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6. 티모신 β 4를 포함하는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1에서 별도의 표시가 없는 수치의 단위는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농도인 %(w/v)이다.
【표 1】
Figure imgf000012_0001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2에서 별도의 표시가 없는 수치의 단위는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농도인 %(w/v)이다.
【표 2】
Figure imgf000013_0001
실험예 1. 세포 이동 실험
1차 인간 각막 상피 세포 (primary human corneal epi thel ial cel ls , HCEO CATCC, US) 를 6웰 플레이트 (Thermo, Ltd)에 웰당 3 X 105 세포를 접종한 후, 단층 세포층을 형성하게 하였다. 그 후, 각 웰의 중간을 1 m£의 멸균 파이펫팁으로 유사한 크기의 스크레치를 만들었다. 배양액으로 세척하여 세포 잔해들을 제거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티모신 β 4를포함하는 조성물을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그 후 Oh, 6h, 12h 및 24h 후에 각 웰을 역상 현미경에 디지털 카메라를 결합하여 촬영하였다. 스크레치의 크기는 세포의 이동에 의해 줄어들며, 이는 각막 손상와 치료 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도 1 내지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티모신 β 4만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티모신 β 4에 시트르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세포의 이동이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티모신 β 4, 시트르산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각막 상피 세포의 이동을 가장 현저하게 촉진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세포 증식 실험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1차 인간 각막 상피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CK-8 키트 (Dojindo, Japan)를사용하여 세포들을 염색하였다. 96웰 플레이트 (Thermo, Ltd)에 웰당 100 ^ 내에 3 X 103 세포를 접종한 후, 상기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 투여 후, 12h, 24h 및 48h후에 CCK-8 시약 10 를 첨가하고 , 37 °C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ᅳ 마이크로풀레이트 리더기로 450 ran 파장으로 흡광도 (optical density, 0D450)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티모신 β4만 포함된 조성물에 비해, 티모신 β4와 시트르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티모신 β4와 시트르산,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세포 증식이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도 4 참조). 실험예 3. 동물 모델에서 티모신 베타 4, 시트르산 및 혼합물의 치료 효과 측정
3.1. 화학적 화상 동물 모델 제조 상처치료 효과 실험을 위해서 6 내지 8 주령 마우스 (BALB/c)를 에테르로 마취한 후, 1 N NaOH를 적신 등근 여과지 (filter paper , 2 mm diameter)를 각막 중앙부에 30초간 접촉하여 각막 상피에 손상을 유발하였다. 0.9% 생리식염수로 5초간 세척한 후, 각각 0.9% 생리 식염수, 실시예 3, 실시예 4, 및 대조군의 조성물을 각막 손상 유발 후 5분 후에 점안하고, 이후로부터 1일 4회 (20 πι / 1회) 점안하였다.
3.2. Myeloperoxidase (MP0) 활성 검토 종래 보고된 방법 0¾σ. Eye Res., 1984, 39, 261-265)을 사용하여 Myeloperoxidase 활성 분석을 통한 상기 조성물 (0.9% 생리 식염수, 실시예 3, 실시예 10, 및 대조군)을 투여한 각막에서의 P丽을 정량하였다. MP0의 활성은 P丽의 수에 비례한다.
각막 손상 1일, 7일, 14일 후, 각 조성불을 투여한 마우스 (n = 3/군, 각 시점)의 각막을 적출하여 0.5% HTABChexadecyl tr imethylammonium bromide)를 함유한 50 mM 인산버퍼 (pH 6.0) 1 ^를 함유한 바이알에서 잘게 썰고, 얼음상에서 폴 리트론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였다. 균질 후, 균질기를 HTAB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HTAB를 첨가하여 균질액을 1 당 100 mg 조직이 되도록 조정하였고, 10초 동안 초음파처리하고, 3회 넁동 및 해동을 하며, 4°C , 14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0. 1 를 0. 167 mg/i o_디아니쉬딘 염산 (으 di ansidine dihydrochlor ide) 및 0.0005%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50 mM 인산완층액 (pH 6.0) 2.9 과 흔합하였다. 460 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25°C에서 5분 동안 UV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P0 활성 1 uni t는 25°C에서 1분마다 1 μ πι이의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측정 결과, 생리 식염수나 티모신 β 4만이 포함된 조성물에 비해, 티모신 β 4와 시트르산을 포함한 조성물, 시트르산과 아세트산을 포함한 조성물이 Ρ丽 침투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도' 5 참조) .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티모신 β 4 및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르산 염이 시트르산나트륨인,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티모신 β 4의 1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0 중량부의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산올 더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이 아세트산 또는 이의 염인,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산이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7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7】
제 1항 내지 계 6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제제.
【청구항 8】
게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청구항 9】
게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조성물 기준으로 0.05 내지 0.5 %(w/v)의 티모신 β 4를 포함하며, 일일 총 0.08 내지 2.0 ii^의 용량으로 투약되는 것인, 방법.
【청구항 10]
거 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조성물 기준으로 1.0 내지 10.0 %(w/v)의 시트르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며, 일일 총 0. 1 내지 4.0 의 용량으로 투약되는 것인, 방법.
【청구항 11】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계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의 용도.
PCT/KR2016/008924 2015-08-18 2016-08-12 티모신 베타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303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37270.4A EP3338792B1 (en) 2015-08-18 2016-08-12 Corneal damage prevention/treat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ymosin beta 4 and citric acid as active ingredients
ES16837270T ES2895923T3 (es) 2015-08-18 2016-08-12 Composición para prevención/tratamiento de daño corneal que comprende timosina beta 4 y ácido cítrico como ingredientes activos
JP2018503784A JP6910072B2 (ja) 2015-08-18 2016-08-12 チモシンベータ4およびクエン酸を活性成分として含む角膜損傷予防/治療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089 2015-08-18
KR20150116089 2015-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0328A1 true WO2017030328A1 (ko) 2017-02-23

Family

ID=5805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924 WO2017030328A1 (ko) 2015-08-18 2016-08-12 티모신 베타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67868B2 (ko)
EP (1) EP3338792B1 (ko)
JP (1) JP6910072B2 (ko)
KR (1) KR20170021745A (ko)
ES (1) ES2895923T3 (ko)
WO (1) WO2017030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358A (ko) 2017-02-17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체성분 측정 방법
KR101910908B1 (ko) * 2017-06-14 2018-10-24 (주)휴온스 Gly-Tβ4 (Gly-티모신β4)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7457A1 (en) * 2002-04-12 2009-12-24 Yale University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effects of lymphoid thymosin b-4
US20120071411A1 (en) * 2005-06-17 2012-03-22 Regenerx Biopharmaceuticals, Inc. Lkktet and/or lkktnt peptide compositions which are lyophilized or in a form capable of being lyophilized
US20120264681A1 (en) * 2010-11-08 2012-10-18 Healor Ltd. Buffered ophthalm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258316B1 (ko) * 2007-07-11 2013-04-30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안구 건조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927A2 (en) * 2007-03-06 2008-09-12 Regenerx Bio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tabilizing polypeptides
JP6634451B2 (ja) * 2014-10-22 2020-01-22 ジー−トゥリー・ビーエヌティ・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G−Treebnt Co., Ltd. チモシンβ4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製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7457A1 (en) * 2002-04-12 2009-12-24 Yale University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effects of lymphoid thymosin b-4
US20120071411A1 (en) * 2005-06-17 2012-03-22 Regenerx Biopharmaceuticals, Inc. Lkktet and/or lkktnt peptide compositions which are lyophilized or in a form capable of being lyophilized
KR101258316B1 (ko) * 2007-07-11 2013-04-30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안구 건조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방법
US20120264681A1 (en) * 2010-11-08 2012-10-18 Healor Ltd. Buffered ophthalm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38792A4 *
SOSNE ET AL.: "Thymosin Beta 4: a Novel Corneal Womid Healing and Anti-inflammatory Agent", CIINICAL OPHTHALMOLOGY, vol. 1, no. 3, 2007, pages 201 - 207, XP05527547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8792B1 (en) 2021-09-29
EP3338792A1 (en) 2018-06-27
EP3338792A4 (en) 2019-05-15
JP2018523648A (ja) 2018-08-23
US9867868B2 (en) 2018-01-16
US20170049857A1 (en) 2017-02-23
JP6910072B2 (ja) 2021-07-28
KR20170021745A (ko) 2017-02-28
ES2895923T3 (es)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94260A1 (en) Buffered ophthalm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75949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rneal haze and scarring
AU2006260184B2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corneal/conjunctival disease
WO2017030328A1 (ko) 티모신 베타4 및 시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10265378A (ja) 角膜上皮損傷治療剤
US20200353052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goblet cell proliferation or mucin secretion comprising thymosin beta 4 or derivative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WO2018158681A1 (en) Ophthalmic composition for use in the regeneration of corneal nerve fibres after a kerato-plasty operation
EP3639842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gly-thymosin 4 (gly-t 4) for treatment of dry eye
CN115779072B (zh) 一种包含低浓度il-2的用于治疗干眼的药物组合物
US20210213103A1 (en) Methods of treating dry eye syndrome
KR20170021667A (ko) 티모신 β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영양성각막염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372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0378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