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14443A1 -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 Google Patents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14443A1
WO2017014443A1 PCT/KR2016/007147 KR2016007147W WO2017014443A1 WO 2017014443 A1 WO2017014443 A1 WO 2017014443A1 KR 2016007147 W KR2016007147 W KR 2016007147W WO 2017014443 A1 WO2017014443 A1 WO 20170144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ental
miner
methyl methacrylat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1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철웅
임종영
홍주현
안지해
신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보텍
Publication of WO20170144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144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87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nd firmly adhere the abutment and the prosthesis when the missing tooth is implanted (implant), as well as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miner bure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force after bonding It relates to a dental bond containing.
  • Dental implant refers to an artificial tooth structure or a method of dental surgery formed by implanting artificial tooth roots at partially or totally missing teeth and attaching them to the alveolar bone and fixing prosthesis or crowns to the artificial tooth roots. do.
  • implants are a fixture composed of titanium, an abutment fixed on the fixture, an abutment screw fixing the abutment to the fixture, and an artificial tooth fixed to the abutment. It is composed of prosthesis.
  • the implant can be performed only on the lost part without damaging adjacent teeth or surrounding tissues around the lost tooth, supporting bone tissue, delaying the absorption of bone tissue, and providing the same chewing power as natural teeth. And aesthetics that are almost identical to natural teeth in appearance.
  • implants have recently been widely used as a dental procedure for repairing damaged or lost teeth.
  • the conventional cement retaining prosthesis (CRP) of the implant treat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screw retaining type, the cement abutment is fixed to the implant fixture by screws, and the final prosthesis manufactured separately is placed on the fixed abutment And, mean the method of bonding the final prosthesis and abutment through the dental cement therebetween.
  • the cement retaining prosthesis (CRP) will be briefly described, including the fixture 32, the cemented abutment 34 and the prosthesis 38.
  • An abutment 34 having a screw hole is disposed in the fixture 32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abutment 34 is fixed by fastening the screw 36 to the fixture 32 through the screw hole.
  • the prosthesis 38 is inserted into the fixed abutment 34, and the abutment 34 and the prosthesis 38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dental cement therebetween. Unlike the screw-held prosthesis, the prosthesis 38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abutment 34, and then the prosthesis 38 and the abutment 34 are bonded using dental cement.
  • the cement to which the prosthesis 38 and the abutment 34 are bond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bisphenol, A diglycidylether methacrylate (Bis-GMA), and 4-methacryloxy ethyl trimellitate anhydride (4-META) monom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and firmly bond the abutment and the prosthesis (artificial teeth),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mplant, when the missing tooth is implanted, as well as secure a curing time until completion of the procedur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bond containing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fish bream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force after curing.
  • It consists of a polymer consisting of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and zirconium oxide, a monomer consisting of adhesive extracted from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and fishfish, and a catalyst consisting of tri-n-butyl borane and hydrocarbons.
  • the monomer is composed of Methyl methacrylate 82-88wt%, Hydroxyethyl methacrylate 4-6wt%, bisphenol A 4-6wt%, 4-6wt% adhesive extracted from the fish bream,
  • the catalyst is tri-n-butyl borane 78-82wt%, Hydrocarbons 18-22wt% of the composition,
  • composition ratio of the polymer, the monomer and the catalyst is mixed at a ratio of 100 ⁇ 5 mg of the polymer, 200 ⁇ 10 ⁇ l of the monomer and 200 ⁇ 10 ⁇ l of the catalyst.
  • the amount of dried fish fillet and water is 500 ⁇ 10 g of dried fish fillet and water 1-2 L.
  • the abutment and the prosthesis can be bonded efficiently and firmly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bond cutting strength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procedure for bonding the abutment and the prosthesis when the missing tooth is implanted (implant) efficiently and firmly
  • the basic configuration is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It is formed from a polymer of zirconium oxide, a monomer consisting of adhesive extracted from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and fishfish, and a catalyst consisting of tri-n-butyl borane and Hydrocarbons.
  • Poly methyl methacrylate is a basic base material (polymer)
  • Molybdenum oxide increases the physical properties as a filler during polymerization
  • Zirconium oxid serves to increase physical properties and increase adhesion to the prosthesis.
  •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is a basic base material (polymer)
  • the adhesive extracted from the fishfish is a natural material that serves to increase biological stability and adhesion.
  • tri-n-butyl borane, Hydrocarbons serves as an initiator during the polymerization.
  • composition ratios of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and zirconium oxide forming the polymer in the above constitution are 97-99 wt% of poly methyl methacrylate, 0.5-1.5 wt% of Molybdenum oxide, and 0.5-1.5 wt% of Zirconium oxide.
  • composition ratio of the adhesive extracted from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and Mineru Bule forming the monomer is 82-88wt% Methyl methacrylate, 4-6wt% of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4-6wt%, Minerbure Adhesive 4-6 wt%.
  • composition ratio of tri-n-butyl borane and hydrocarbons forming the catalyst is 78-82 wt% of tri-n-butyl borane and 18-22 wt% of hydrocarbons.
  • composition ratio of the polymer, the monomer and the catalyst is preferably in the ratio of 100 ⁇ 5 mg of the polymer, 200 ⁇ 10 ⁇ l of the monomer and 200 ⁇ 10 ⁇ l of the catalyst.
  • the amount of dried fish fillet and water is preferably 500 ⁇ 10 g of dried fish fillet and water 1-2L.
  • Sheath bond strength was measured by adding poly methyl methacry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MMA"), zirconia powder (1, 3, 5 wt%), and a catalyst to the monomer added with 5 wt% of freshwater broth. As shown, when the zirconia powder was added, the bond strengt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adding zirconia powder, and it was confirmed to increase by 110% compared to the control (0wt% zirconium oxide).
  •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 Sheath bond strength was made by adding a powder (1, 3, 5 wt%) catalyst composed of 99 wt% PMMA and 50 molybdenum 50 (0.5 wt%): zirconia 50 (0.5 wt%) to the monomer added with 5 wt% of freshwater broth.
  • a powder (1, 3, 5 wt%) catalyst composed of 99 wt% PMMA and 50 molybdenum 50 (0.5 wt%): zirconia 50 (0.5 wt%) to the monomer added with 5 wt% of freshwater broth.
  • the shear bond strengths of PMMA and molybdenum: zirconia (50:50) powder (1, 3, 5 wt%) were 140%, 130%, and 117%, respectively, as compared to control (PMMA). You can see the increased results.
  • PMMA and Molybdenum 50 (0.5 wt%): Zirconia 50 (0,5 wt%) powder (1, 3, 5 wt%) was added to the monomer added with 5 wt% of freshwater broth, and the bond was measured. As shown in FIG. 8, the curing time of the control (PMMA), PMMA and molybdenum: zirconia (50:50) powder (1, 3, 5 w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8-9 minutes, and ISO 4049 The experimental value was satisfied (within 10 minutes of curing time).
  • the dental bond containing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miner bri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nd firmly abutment and prosthetic bonding, and secure a curing time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ocedure after the prosthetic bonding. Therefore, after the prosthesis is bonded, there i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stable bonding fo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손 된 치아를 임플란트(implant)로 시술할 때에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합착을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합착 후 안정적인 합착 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Zirconium oxide로 이루어진 폴리머와,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로 이루어진 모노머와, tri-n-butyl borane, Hydrocarbons으로 이루어진 카탈리스트 이다.

Description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본 발명은 결손 된 치아를 임플란트(implant)로 시술할 때에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합착을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합착 후 안정적인 합착 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에 관한 것이다.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치근에 치아 보철(prosthesis or crown)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치아 구조 또는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구성된 픽스쳐(fixture), 픽스쳐 상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 및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인공치아로서의 보철(prosthesis)로 구성된다.
임플란트는 손실된 치아 주변의 인접 치아 또는 주위의 조직(tissue)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실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을 지지하여 골조직의 흡수 속도를 지연시키고, 자연 치아와 동일한 저작 력을 제공할 수 있고, 외관상 자연 치아와 거의 동일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임플란트는 손상 또는 손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 시술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시술방법에 따라 나사 유지형 보철(Screw Retained Prosthesis; SRP)과 시멘트 유지형 보철(Cement Retained Prosthesis; CRP)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방법 중 종래의 시멘트 유지형 보철(CRP)은 나사 유지형과는 달리, 임플란트 픽스쳐에 시멘트형 어버트먼트를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하고, 별도로 제작된 최종보철물을 고정된 어버트먼트 위에 배치하고,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를 개재하여 최종보철물과 어버트먼트를 합착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의 시멘트 유지형 보철(CRP)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픽스쳐(32), 시멘트형 어버트먼트(34) 및 보철물(38)를 포함한다.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32)에 스크류 홀이 형성된 어버트먼트(34)를 배치하고, 스크류 홀을 통해 스크류(36)를 픽스쳐(32)에 체결하여 어버트먼트(34)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된 어버트먼트(34)에 보철물(38)을 끼우고,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를 개재하여 어버트먼트(34) 및 보철물(38)을 합착한다. 나사 유지형 보철과는 달리, 보철물(38)을 어버트먼트(34)와 분리하여 제조한 후, 보철물(38)과 어버트먼트(34)를 치과용 시멘트를 사용하여 합착한다.
상기와 같이 보철물(38)과 어버트먼트(34)를 합착하는 시멘트들은, bisphenol, A diglycidylether methacrylate (Bis-GMA), 4-methacryloxy ethyl trimellitate anhydride (4-META) 모노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 Bis-GMA계 레진 시멘트는 지르코니아에 대한 낮은 결합력을 보이며, 대부분 조기 파절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결손 된 치아를 임플란트 시술할 때에 그 임플란트의 구성인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인공치아)의 합착을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합착 후 시술완료시까지의 경화시간이 확보되며, 또 경화 후에는 안정적인 합착 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는,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Zirconium oxide로 이루어진 폴리머와,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로 이루어진 모노머와, tri-n-butyl borane, Hydrocarbons으로 이루어진 카탈리스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는, Poly methyl methacrylate 97 - 99wt%, Molybdenum oxide 0.5 - 1.5wt%, Zirconium oxide 0.5 - 1.5wt%의 비율로 조성되고,
상기 모노머는, Methyl methacrylate 82 - 88wt%, Hydroxyethyl methacrylate 4 - 6wt%, bisphenol A 4 - 6wt%,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 4 - 6wt%의 비율로 조성되며,
상기 카탈리스트는, tri-n-butyl borane 78 - 82wt%, Hydrocarbons 18 - 22wt%의 비율로 조성되고,
상기 폴리머, 모노머, 카탈리스트의 조성비는, 폴리머 100±5㎎, 모노머 200±10㎕, 카탈리스트 200±10㎕의 비율로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는,
건조된 민어 부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민어 부레를 물에서 충분히 불리는 단계:
상기 물에 불려진 민어 부레를 80±5℃에서 5 - 6시간 끓이는 단계;
상기 끓여진 탕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고 용액만을 수득하고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것이고,
상기 건조된 민어 부레를 물에서 불릴 때에 건조된 민어 부레와 물의 양은, 건조된 민어 부레 500±10g, 물 1 - 2L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는,
첫째,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합착을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둘째, 보철물의 합착 후 시술완료시까지의 경화시간이 확보되며,
셋째, 보철물의 합착 후에는 안정적인 합착 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민어 부레 풀(접착제) 절단결합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지르코니아 절단결합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몰리브덴 절단결합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드 절단 결합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민어 부레 풀(접착제) 경화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지르코니아 경화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몰리브덴 경화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드 경화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결손 된 치아를 임플란트(implant)로 시술할 때에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합착을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본드에 관한 것으로 그 기본 구성은,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Zirconium oxide로 이루어진 폴리머와,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로 이루어진 모노머와, tri-n-butyl borane, Hydrocarbons로 이루어진 카탈리스트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에서 각 성분의 역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Poly methyl methacrylate는, 기본 베이스 물질(중합체)이고,
Molybdenum oxide는, 중합시 필러 역할로 물성을 증가시키며,
Zirconium oxid는, 물성 증가 및 보철물과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는, 기본 베이스 물질(중합체)이고,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는 천연 물질로 생물학적 안정성 및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tri-n-butyl borane, Hydrocarbons는, 중합시 개시제 역할을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폴리머를 형성하는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Zirconium oxide의 조성비는, Poly methyl methacrylate 97 - 99wt%, Molybdenum oxide 0.5 - 1.5wt%, Zirconium oxide 0.5 - 1.5wt%이다.
또 상기 모노머를 형성하는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의 조성비는, Methyl methacrylate 82 - 88wt%, Hydroxyethyl methacrylate 4 - 6wt%, bisphenol A 4 - 6wt%,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 4 - 6wt%이다.
또한, 상기 카탈리스트를 형성하는 tri-n-butyl borane, Hydrocarbons의 조성비는, tri-n-butyl borane 78 - 82wt%, Hydrocarbons 18 - 22wt%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 모노머, 카탈리스트의 조성비는, 폴리머 100±5㎎, 모노머 200±10㎕, 카탈리스트 200±10㎕의 비율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서 민어 부레로부터의 접착제 추출방법은,
ⓐ건조된 민어 부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민어 부레를 물에서 충분히 불리는 단계:
ⓒ상기 물에 불려진 민어 부레를 80±5℃에서 5 - 6시간 끓이는 단계;
ⓓ상기 끓여진 탕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고 용액만을 수득하고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다.
이때 상기 건조된 민어 부레를 물에서 불릴 때에 건조된 민어 부레와 물의 양은, 건조된 민어 부레 500±10g, 물 1 - 2L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 성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실험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1) 민어 부레 풀을 첨가한 본드 전단 결합강도
모노머 성분(Methyl methacrylate 85wt%, bisphenol A 5wt%, Hydroxyethyl methacrylate 5wt%에 민어부레 풀을 5wt%, 촉매를 넣어 본드를 만들어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해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민어 부레 풀을 5wt% 첨가하였을 때 접착력이 향상 되어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0wt%에 비하여 최대 170% 증가하였지만 5wt% 이상 넣었을 경우 본드의 결합력이 5wt% 첨가한 것에 비하여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2) Zirconium oxide를 첨가한 본드 전단 결합강도
민어 부레 풀 5wt% 첨가한 모노머에 Poly methyl methacrylate(이하 "PMMA"라 칭함)와 지르코니아 파우더(1, 3, 5 wt%), 촉매를 넣어 본드를 만들어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르코니아 파우더를 첨가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결합강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수 있었으며 control(0wt% zirconium oxide)에 비하여 110%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3) Molybdenum oxide를 첨가한 본드 전단 결합강도
민어 부레 풀 5wt% 첨가한 모노머에 PMMA와 몰리브덴 파우더를(1, 3, 5 wt%), 촉매를 넣어 본드를 만들어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리브덴 파우더를 첨가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결합강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control에 비하여 118%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4) 본 발명의 본드 전단 결합 강도
민어 부레풀 5wt% 첨가한 모노머에 PMMA 99 wt%와 몰리브덴 50(0.5wt%) : 지르코니아 50(0.5wt%)로 이루어진 파우더(1, 3, 5 wt%) 촉매를 넣어 본드를 만들어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ntrol(PMMA)에 비하여 PMMA와 몰리브덴:지르코니아(50:50) 파우더(1, 3, 5 wt%)의 전단결합강도가 각각 140%, 130%, 117% 증가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이하 각 성분에 따른 경화시간의 실험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1) 민어 부레 풀을 첨가한 본드 경화시간
모노머 성분(Methyl methacrylate 85wt%, bisphenol A 5wt%, Hydroxyethyl methacrylate 5wt%에 민어 부레풀 5wt% 넣어 경화시간을 측정해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민어 부레 풀이 들어간 본드의 경화시간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2) Zirconium oxide를 첨가한 본드 경화시간
민어 부레풀 5wt% 첨가한 모노머에 PMMA와 지르코니아 파우더(1, 3, 5 wt%)를 섞어 경화시간을 측정해 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르코니아 파우더를 첨가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경화시간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3) Molybdenum oxide를 첨가한 본드 경화시간
민어 부레풀 5wt% 첨가한 모노머에 PMMA와 몰리브덴 파우더(1, 3, 5 wt%)를 섞어 경화시간을 측정해 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시간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4) 본 발명의 본드 경화시간
민어 부레풀 5wt% 첨가한 모노머에 PMMA와 몰리브덴 50(0.5wt%) : 지르코니아 50(0,5wt%) 파우더(1, 3, 5 wt%)를 촉매를 넣어 본드를 만들어 경화시간을 측정해 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ntrol(PMMA)과 PMMA와 몰리브덴:지르코니아(50:50) 파우더(1, 3, 5 wt%)의 경화시간이 8~9분 사이로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ISO 4049(경화시간 10분 이내)를 만족하는 실험값을 보여주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는,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합착을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보철물의 합착 후 시술완료시까지의 경화시간이 확보되며, 보철물의 합착 후에는 안정적인 합착 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Poly methyl methacrylate, Molybdenum oxide, Zirconium oxide로 이루어진 폴리머와,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bisphenol A,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로 이루어진 모노머와, tri-n-butyl borane, Hydrocarbons으로 이루어진 카탈리스트로 조성되는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Poly methyl methacrylate 97 - 99wt%, Molybdenum oxide 0.5 - 1.5wt%, Zirconium oxide 0.5 - 1.5wt%의 비율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Methyl methacrylate 82 - 88wt%, Hydroxyethyl methacrylate 4 - 6wt%, bisphenol A 4 - 6wt%,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 4 - 6wt%의 비율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탈리스트는, tri-n-butyl borane 78 - 82wt%, Hydrocarbons 18 - 22wt%의 비율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모노머, 카탈리스트의 조성비는, 폴리머 100±5㎎, 모노머 200±10㎕, 촉매제 200±10㎕의 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어 부레로부터 추출된 접착제는,
    건조된 민어 부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민어 부레를 물에서 충분히 불리는 단계:
    상기 물에 불려진 민어 부레를 80±5℃에서 5 - 6시간 끓이는 단계;
    상기 끓여진 탕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고 용액만을 수득하고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민어 부레를 물에서 불릴 때에 건조된 민어 부레와 물의 양은, 건조된 민어 부레 500±10g, 물 1 - 2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PCT/KR2016/007147 2015-07-22 2016-07-01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WO20170144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98 2015-07-22
KR1020150103898A KR20170012709A (ko) 2015-07-22 2015-07-22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4443A1 true WO2017014443A1 (ko) 2017-01-26

Family

ID=5783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147 WO2017014443A1 (ko) 2015-07-22 2016-07-01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12709A (ko)
WO (1) WO2017014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498A (ko) 2018-12-17 2020-06-2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화각용 접착제의 제조 방법,이로부터 제조되는 화각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화각 공예품의 제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65A (ko) * 1996-08-10 1998-05-25 조재옥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WO2002062901A1 (en) * 2001-02-06 2002-08-15 Pekka Vallittu Dental and medical polymer composites and compositions
WO2007022503A2 (en) * 2005-08-18 2007-02-22 Dentsply International Inc. Adhesive and method for bonding artificial plastic teeth
US20090247660A1 (en) * 2008-04-01 2009-10-01 Jonggu Park Novel monomer for dental compositions
KR101254533B1 (ko) * 2010-08-19 2013-04-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엔-아세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골 시멘트의 제조방법
US20140051039A1 (en) * 2012-08-16 2014-02-20 Steven D. Jensen Reversible Dental Adhesiv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18B1 (ko) 2003-03-13 2005-12-16 허영구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65A (ko) * 1996-08-10 1998-05-25 조재옥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WO2002062901A1 (en) * 2001-02-06 2002-08-15 Pekka Vallittu Dental and medical polymer composites and compositions
WO2007022503A2 (en) * 2005-08-18 2007-02-22 Dentsply International Inc. Adhesive and method for bonding artificial plastic teeth
US20090247660A1 (en) * 2008-04-01 2009-10-01 Jonggu Park Novel monomer for dental compositions
KR101254533B1 (ko) * 2010-08-19 2013-04-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엔-아세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골 시멘트의 제조방법
US20140051039A1 (en) * 2012-08-16 2014-02-20 Steven D. Jensen Reversible Dental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709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49263A1 (ko) 혈소판풍부혈장(prp)을 활성화하여 조직재생을 유도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2018241A2 (ko) 치아를 이용한 골 이식재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해 가공된 골 이식재
Hulterström et al. Changes in appearance of silicone elastomers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as a result of aging.
WO2017014443A1 (ko) 민어 부레의 접착성분을 함유하는 치과용 본드
Mascarenhas et al. Load to failure of different zirconia implant abutments with titanium components
Fabbri et al. A novel approach to implant screw-retained restorations: adhesive combination between zirconia frameworks and monolithic lithium disilicate
Jemt Customized Titanium Single-Implant Abutments: 2-Year Follow-up Pilot Study.
WO2019143096A1 (ko) 볼트형 임플란트
WO2013141579A1 (ko) 지르코니아 분말을 포함하는 치아 충전용 조성물
Sterzenbach et al. Increased tooth mobility because of loss of alveolar bone support: A hazard for zirconia two‐unit cantilever resin‐bonded FDPs in vitro?
WO2012173376A9 (ko) 치과용 수복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7788A1 (ko) 기성형 세라믹 치아수복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과용-수의과용 기성형 세라믹 치아수복물
WO2015178588A1 (ko) 인상채득용 힐링어버트먼트 캡
Sönmez et al. Evaluation of biocompatibility of Targis Dentin and Artglass by using subcutaneous implantation test
RU267664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модели пародонтита
Salama et 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Macaca fascicularis using polysulfone with and without demineralized bone powder
Rosato et al. An in-vitro study of retentive force for prefabricated posterior zirconia crowns using five different cements
DAHL Some biological considerations in crown and bridge prosthetics
Owittayakul et al. Microleakage of zirconia frameworks cemented with two types of phosphate monomer-based resin cements
Jurukovska-Shotarovska et al. The Effect of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Cement and Zirconium Post Systems on Endondontically Treated Teeth. Open Access Maced J Med Sci
WO2024010157A1 (ko) 모유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Bartoletti et al. Fracture Resistance of Endodontically Treated Premolars Restored with Different Techniques.
WO2022050503A1 (ko) 치아용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적용 가능한 기성형 인레이
EP0036272A2 (en) Permanent dental restora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m
WO2023075203A1 (ko) 피부 복원용 3차원 스캐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79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79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