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10728A1 -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10728A1
WO2017010728A1 PCT/KR2016/007273 KR2016007273W WO2017010728A1 WO 2017010728 A1 WO2017010728 A1 WO 2017010728A1 KR 2016007273 W KR2016007273 W KR 2016007273W WO 2017010728 A1 WO2017010728 A1 WO 20170107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ece
pivot
base unit
pos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2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성
황규민
윤홍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ublication of WO20170107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107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capable of inducing the chair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of a user.
  • cervical spine corresponding to the neck bone
  • thoracic spine corresponding to the spine
  • lumbar spine corresponding to the lumbar spine
  • sacral corresponding to the sacral bone
  • tail
  • the cervical spine (neck) and lumbar spine (back) are convex (forward lordosis), the thoracic (chest) and sacral (hip) ⁇ shape (post curvature, Kyphosis).
  • the gravity centerline is located at the back of the vertebrae, and the weight bearing points are placed on the back and the posterior joints of the vertebral vertebrae to obtain physiological fixation.
  • nucleus nucleus tends to move backwards, which is relatively borderless, and as a result can easily cause nucleus prolapse (neck or lumbar disc) of the cervical or lumbar spine.
  • the prior art calculates the center of gravity us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chair pressure sensor and the chair pressure sensor measurements received from the chair pressure sensor, respectively, and the desk pressure received outside the reference area or received from the desk pressure sensor. When the sensor readings exceed the thresholds,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vibration or alarm sound.
  • the meaning of the posture correction may be uncolored if the user does not want to sit by correcting the posture according to the user's own will.
  • the prior ar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user is difficult to feel whether the correct posture even if the user feels vibration or after changing the posture after hearing the alarm soun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on function that can induce the chair itself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that can help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user by grasping the habit and posture of the user for a long time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et of Thing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unit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upper surface; And a posture correcting unit disposed above the base unit to induce the user to maintain a correct seating posture while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user.
  • This provided chair assembly can be provided.
  • the base unit may include a bas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 the pressure sensor may include a first front sensor disposed at the front left side of the base plate, a second front sensor disposed at the front right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first rear sensor disposed at the rear left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rear sensor disposed at the rear right side of the base plate.
  • the posture correc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art provided to allow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and a rotational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wherein the first rotation part is provided. And a second pivot connected to the pivot.
  • the first rotating par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left side of the base unit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right side of the base unit.
  • a second rear pivoting piece which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shares one side edge with the first rear pivoting piece, and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ar pivoting piece, and the first rear pivoting piece and the second rearward portion;
  • a pair of rear hinge bars rotatably coupled to one edge of each of the pivoting pieces, the pair of rear hinge bars are disposed at both edges, and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of the base unit;
  • a rear actuator configured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a rear hinge bar, wherein the second pivot part includes the first rear pivot piece and the second rea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edge of each rotating piece.
  • the second rotating par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left side of the base unit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ef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rotating part;
  • a first front hinge bar sharing a rear end edge of the first front pivot piece and a left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 part, the first front hinge bar being arranged to allow rotation of the first front pivot piec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 part;
  • a second front pivoting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right side of the base unit to face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a righ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ing portion; The rear end edge is shared with the right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front pivot piec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 is performed.
  • a front actuator disposed in the base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of the base unit,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front hinge bar and the second front hinge bar, respectively.
  • the base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nd a cutting slot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edge of the base plate to the rear sid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that transmits pressure information due to a load to a server.
  • the bas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ircuit unit connecting the first front sensor, the second front sensor, the first rear sensor, and the second rear sens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circuit uni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ressur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for transmitting the pressure information due to the load generated by the user sitting on the posture correction unit to the server.
  • the chair assembly having the posture correc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rear rotating piece or the second rear rotating piece to communicate with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and the first rear rotating piece and the second rear side may be used.
  • a rear vibration means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user's body over the pivoting piece wherein the rear actuator connected to the pair of rear hinge bars has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on the first rear pivoting piece or the second rear pivoting piece.
  • the chair assembly having the posture correc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front pivot piece or the second front pivot piece to communicate with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and the first front pivot piece and the second front part may be used. Further comprising a front vibration means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user's body over the rotating piece, wherein the front actuator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hinge bar and the second front hinge bar, respectively, the first front pivot piece or the second front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to the rotating piec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to rotate the first front rotating piece or the second front rotating pie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characterized by.
  •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the chair itself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user from a structure including a posture correcting unit which induces a correct seating posture while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bove the base unit, the user himself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correct sitting 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may help to correct a user's posture accurately by identifying a user's habits and postures for a long time in connection with the IoT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and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in a base unit. I will give.
  • the preventive function is strengthened to prevent spinal diseases through the usual lifestyl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to which a chair assembly having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hair assembly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using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provided in a base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chair assembly having posture correc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conceptual view of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mal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chair assembly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rota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hen abnormal pressur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hair assembly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mal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chair assembly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ft and right rotational state when abnormal pressur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hair assembly having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to which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hair assembly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unit 100 is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upper surface, the posture correction unit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unit 100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itting position In doing so, the user is encouraged to maintain a correct sitting postur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pine disease by fundamentally inducing the chair itself in contact with the body to the cushion unit 300 to maintain the correct sitting posture.
  • the base unit 100 includes a base plate 11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 the base unit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utting slot 120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edge of the base plate 110 to the rear sid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further includes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that delivers pressure information due to the load generated by the posture correcting unit 200 to the server.
  • the base plate 110 is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osture correction unit 200 as shown in Figs. 5 and 6 or the posture correction unit 200 as shown in Figs.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that can bend and reconstruct the shap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 first front sensor 101f disposed at the front left side of the base plate 110, a second front sensor 102f disposed at the front right side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base plate 110.
  • the first rear sensor 101r disposed at the rear left side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rear sensor 102r disposed at the rear right side of the base plate 110.
  • the position of these pressure sensors is mainly to be placed on the representative portion to which the pressure is mainly appli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through the cushion unit 300.
  • the base plate 110 may include a sensor circuit 111 connecting the first front sensor 101f, the second front sensor 102f, the first rear sensor 101r, and the second rear sensor 102r, respectively.
  • An IoT-compatible communic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circuit 1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nd configured to transmit pressure information due to the load generated by the user to sit in the posture correcting unit 200 to the server ( 13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Internet of Things is a term that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in everyday life is shared by connecting wired and wireless networks.
  • the IoT can share information by connecting things to networks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care, remote meter reading, smart homes, smart cars, as well as home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may largely include a signal processor 131 and a communicator 132.
  • the signal processor 131 i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700 or a personal computer (not shown), and includes a first front sensor 101f, a second front sensor 102f, a first rear sensor 101r, and a second rear sensor. Receive one or more pressure information input from each of the 102r through the server, process and analyze the one or more pressure information, and output an operation signal of the posture correcting unit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32 is provided in the base unit 100 and wirelessly communicates the pressur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with the portable terminal 700 or the PC, and corrects the posture output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 the operation signal of the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posture correcting unit 200.
  • the posture correct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rotating unit 201 and a base unit 100 provided to allow rotation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100. It can be seen that it is provided to allow the rota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e top of the, and includes a second rotating part 202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part 201.
  • the first rotating part 201 includes a first rear rotating piece 211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left side of the base unit 100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 the first pivot 20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right side of the base unit 100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and shares one side edge with the first rear pivot piece 211.
  • a second rearward pivoting member 212 that is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rearward pivoting member 211.
  • the first pivot 201 includes a pair of rear hinge bars 213 and 213 rotatably coupled to one edge of each of the first rear pivot piece 211 and the second rear pivot piece 212. Include.
  • the first pivot 201 has a pair of rear hinge bars 213 and 213 disposed at both edges thereof,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of the base unit 100, and a pair of rear And a rear actuator 214 which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hinge bars 213 and 213.
  • the second pivot 202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edge of each of the first rear pivot piece 211 and the second rear pivot piece 212.
  • the second rotating part 20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left side of the base unit 100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and with respect to the lef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rotating part 201. It includes a rotatable first front rotating piece (221).
  • the second pivot 202 shares a rear end edge of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and a left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 part 201.
  • a first front hinge bar 221h is disposed to allow rotation of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 the second pivot 20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right side of the base unit 100 so as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and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 201. And a rotatable second front pivoting piece 222.
  • the second pivot 202 shares the rear edge of the second front pivot 222 with the right edge of the front edge of the first pivot 201, and the second pivot 201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 201.
  • a second front hinge bar 222h arranged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second front pivoting piece 222.
  • the front actuator 223 may communicate with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of the base unit 100, and transmit driving force to the first front hinge bar 221h and the second front hinge bar 222h, respectively. .
  • first front hinge bar 221h and the second front hinge bar 222h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ront actuator 223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pivot piece 222 as shown in FIG. 5.
  • first front rotating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rotating piece 222 is allowed to rotate downward to the base unit 100 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pivot piece 222 to communicate with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and the second front pivot It may further include a front vibration means (not shown)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user's body over the piece 222.
  • the front actuator 223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hinge bar 221h and the second front hinge bar 222h, respectively, is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pivot piece 222 as shown in FIG.
  • the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unit 100 to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pivot piece 222. It will rotate for a certain time.
  • the user corrects the postur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front rotating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rotating piece 222,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s that the user's own posture is unstable as the front vibration means.
  • the first front pivoting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pivoting piece 22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that the pressure is within the set value range by the user correcting the posture. .
  • the pressure information exchanged with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2 of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is database-stored and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700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for a short period to a long time. do.
  • front actuator 223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front vibration means, or may be operated before or after the front vibration means.
  • the pair of rear hinge bars 213 and 213 connected to the rear actuator 214 is applied with a pressure within a set value range to the first rear pivoting member 211 or the second rear pivoting member 212 as shown in FIG.
  • the ground, the first rear rotating piece 211 or the second rear rotating piece 212 is allowed to rotate down to the base unit 100 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rear rotating piece 211 or the second rear rotating piece 212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or 130 capable of IoT, the first rear rotating piece 211 and the second rear pivot
  • a rear vibrating means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impart vibration to the user's body over the piece 212.
  • a pressu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is applied to the first rear pivoting member 211 or the second rear pivoting member 212 as shown in FIG.
  • the first rear pivoting piece 211 or the second rear pivoting piece 212 is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unit 100 by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communicator 130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ground IoT.
  • the user corrects the postur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ear rotating piece 211 or the second rear rotating piece 212, and simultaneously recognizes that the user's posture is unstable as the rear vibrating means.
  • the first rear pivoting member 211 or the second rear pivoting member 21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user corrects the posture and the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that the pressure is within the set range. .
  • the pressure information exchanged with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2 of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is database-stored and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700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for a short period to a long time. do.
  • the rear actuator 214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rear vibrating means, or may be operated before or after the rear vibrating means.
  • the signal processor 131 provided in the form of an app or an external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700 such as a smart phone may set a set value for one day from pressure information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32. The frequency or number of off-pressures applied will be recorded and stored for each pressured area.
  • the database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700 by the signal processor 131 calculates and analyzes statistical values in units of days, weeks, months, and years, thereby analyzing the posture of the user and the spine. Analytical data regarding the degree of burden applied an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spinal disease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 the user from the analysis data can be helped to determine whether his sitting position is correct by the chair assembly with posture corr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continuously.
  • the portable terminal 700 or the PC is input from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first front sensor 101f, second front sensor 102f, first rear sensor 101r, and second rear sensor 102r).
  • the received pressur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2 and the server (S110: first step).
  •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of the portable terminal 700 or the PC processes and analyzes the above-described pressure information, so that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first front rotating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rotating piece 222 is fixed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above is applied,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or 130 capable of IoT.
  • the above-described movable signal rotates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or the second front pivot piece 22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unit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first front pivot piece 221 or the first 2, the front rotation piece 222 i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when the user corrects the posture and the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within the set value range (S120: second step).
  •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1 of the portable terminal 700 or the PC processes and analyzes the above-mentioned pressure information, so that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in the first rear rotating piece 211 or the second rear rotating piece 212 is constant.
  •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or 130 capable of IoT.
  • the above-described movable signal rotates the first rear pivoting piece 211 or the second rear pivoting piece 212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unit 100, and the first rear pivoting piece 211 or the first 2, the rear pivoting piece 21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user corrects the posture and the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IoT-compatible communicator 130 within the set value range (S130: third step).
  • the pressure information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700 or the PC by the signal processor 131 may be collected in units of days, weeks, months, and years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graph form by analyzing statistical values. It may be (S140: fourth step).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it is a basic technical idea to provide a chair assembly having a posture correction function that can induce the chair itself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of the user.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및 후방 상면에 복수의 압력 센서가 배치된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는 자세에 따라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착좌(着座)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자세 교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의자 자체가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본 발명은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자체가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의자에 앉아서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업무나 학업을 수행하는 데에 소비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에게 좋은 의자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어떤 의자이든 올바르게 앉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왜냐면, 다리를 꼬고 앉거나 한쪽 다리를 다른쪽 무릎 위에 올리고 앉는 등의 나쁜 자세로 인하여 중력이 척추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거나 한쪽으로만 쏠리게 된다면 척추 질환에 노출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척추는 목뼈에 해당하는 경추(頸椎), 등뼈에 해당하는 흉추(胸椎), 허리뼈에 해당하는 요추(腰椎), 엉치뼈에 해당하는 천추(薦椎), 꼬리뼈에 해당하는 미추(尾椎)로 구성된다.
정상적인 척추는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 경추부(목쪽)와 요추부(허리쪽)는 앞으로 볼록 나온 모양(전만곡(前彎曲), Lordosis)을, 흉추부(가슴쪽)와 천추부(엉덩이쪽)는 뒤로 휜 모양(후만곡(後彎曲), Kyphosis)을 나타낸다.
그러나, 추체, 추간판 및 주위 근육의 이상으로 인해 이러한 척추의 정상 모양이 아니고 흉부의 후만곡이 증가되어 있거나, 경부와 요부에서 후만 변형이 보일 때를 후만증이라 부른다.
경추나 요추의 전만곡이 정상인 경우에 중력 중심선은 추체의 후면에 위치하게 되며, 무게를 지탱하는 점은 척추 추체의 후면과 후관절면에 놓이게 되어 생리적인 고정 작용을 얻게 된다.
그러나 경추나 요추가 일자가 되거나 후만이 되면 중력중심선이 추체의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무게 중심은 수핵 위로 이동하게 되고 추체가 불안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로 인해 수핵은 상대적으로 경계가 취약한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그 결과로 경추 또는 요추의 수핵 탈출증(목 또는 허리 디스크)이 쉽게 유발될 수 있으므로 경추 또는 요추의 전만각을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402195호의 "척추 변형 예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변형 예방 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의자 압력 센서의 위치값 및 상기 의자 압력 센서로부터 각각 수신한 의자 압력 센서 측정값을 이용하여 무게 중심을 산출하고, 상기 무게 중심이 기준 영역을 벗어나거나 상기 책상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한 책상 압력 센서 측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경보 신호를 생성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경보 신호는 진동이나 경보음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진동을 느끼거나 경보음을 듣더라도 사용자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세를 고쳐서 앉지 않으려 하면 자세 교정의 의미가 무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진동을 느끼거나 경보음을 들은 후 자세를 고쳐 앉더라도 올바른 자세인지 아닌지 사용자가 체감하기 힘든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의자에 앉을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직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의자 자체가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과 연계하여 장시간에 걸친 사용자의 습관 및 자세를 파악하여 정확하게 사용자의 자세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 및 후방 상면에 복수의 압력 센서가 배치된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는 자세에 따라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착좌(着座)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자세 교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전방 센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전방 센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센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후방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세 교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회동부와 연결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는 제1 후방 회동편과,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1 후방 회동편과 일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상기 제1 후방 회동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제2 후방 회동편과,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및 상기 제2 후방 회동편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 힌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후방 힌지 바가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의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후방 힌지 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제1 후방 회동편과 상기 제2 후방 회동편 각각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전방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좌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1 전방 회동편과, 상기 제1 전방 회동편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좌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상기 제1 회동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전방 회동편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1 전방 힌지 바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전방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우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2 전방 회동편과,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우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상기 제1 회동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전방 힌지 바와, 상기 제1 전방 힌지바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좌측 가장자리 사이와, 상기 제2 전방 힌지 바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우측 가장자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의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전방 힌지 바와 상기 제2 전방 힌지 바에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전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의 중앙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 슬롯과,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세 교정 유닛에 앉아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한 압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방 센서와 상기 제2 전방 센서와 상기 제1 후방 센서와 상기 제2 후방 센서 각각을 연결하는 센서 회로부와, 상기 센서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세 교정 유닛에 앉아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한 압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에 구비되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및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에 걸쳐진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후방 진동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방 힌지 바와 연결된 상기 후방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에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로부터 가동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에 구비되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및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에 걸쳐진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전방 진동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방 힌지 바 및 상기 제2 전방 힌지 바와 각각 연결된 상기 전방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에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로부터 가동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의 상측에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올바른 착좌 자세를 유도하는 자세 교정 유닛을 포함한 구조로부터, 의자 자체가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스스로가 올바른 자세로 고쳐 앉음을 체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베이스 유닛에 구비된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휴대용 단말기 등과의 상호 통신을 통한 사물 인터넷과 연계하여 장시간에 걸친 사용자의 습관 및 자세를 파악하여 정확하게 사용자의 자세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척추 질환의 치료 목적에 치중하거나, 직접적인 자세 교정의 기능이 결여된 기존의 선행기술들에 비하여, 평소 생활 습관을 통하여 척추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예방 기능이 강화된 기술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베이스 유닛에 구비된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를 이용한 상호 통신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의 평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의 정상적인 전후 방향 회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때 전후 방향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의 정상적인 좌우 방향 회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때 좌우 방향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를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팔걸이부(400)와 등받이부(500)와 다리부(600)를 구비한 의자의 쿠션부(300) 속에 내장되는 베이스 유닛(100)과 자세 교정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0)은 전방 및 후방 상면에 복수의 압력 센서가 배치된 것이며, 자세 교정 유닛(200)은 베이스 유닛(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는 자세에 따라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사용자가 올바른 착좌(着座)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자 자체가 쿠션부(300)에 신체를 접촉시켜 앉은 사용자에게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척추 질환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베이스 유닛(100)은 일정 면적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며, 후술할 복수의 압력 센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유닛(100)은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의 중앙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 슬롯(120)과,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자세 교정 유닛(200)에 앉아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한 압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절개 슬롯(120)을 기준으로 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은 자세 교정 유닛(200)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 또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자세 교정 유닛(200)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굴곡 및 형상 복원을 허용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력 센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전방 센서(101f)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전방 센서(102f)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센서(101r)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후방 센서(102r)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력 센서들의 위치는 주로 쿠션부(3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압력이 주로 가해지는 대표적인 부위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1 전방 센서(101f)와 제2 전방 센서(102f)와 제1 후방 센서(101r)와 제2 후방 센서(102r) 각각을 연결하는 센서 회로부(111)와, 센서 회로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자세 교정 유닛(200)에 앉아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한 압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우선,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의 설명에 앞서, IoT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IoT, 즉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생활속의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가리키는 용어로 최근 부각되고 각광받는 기술이다.
사물인터넷은,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는 크게 신호 처리부(131)와 통신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31)는 휴대용 단말기(700)나 PC(이하 미도시)에 구비되며, 제1 전방 센서(101f)와 제2 전방 센서(102f)와 제1 후방 센서(101r)와 제2 후방 센서(102r)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압력 정보를 서버를 통하여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압력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하며 자세 교정 유닛(200)의 가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통신부(132)는 베이스 유닛(100)에 구비되며, 신호 처리부(131)에 의하여 처리된 압력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700)나 PC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신호 처리부(131)를 통하여 출력된 자세 교정 유닛(200)의 가동 신호를 자세 교정 유닛(200)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자세 교정 유닛(200)은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베이스 유닛(10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 회동부(201)와, 베이스 유닛(100)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며, 제1 회동부(201)와 연결되는 제2 회동부(202)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동부(201)는 베이스 유닛(100)의 후방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베이스 유닛(100)의 상면과 대면하는 제1 후방 회동편(211)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회동부(201)는 베이스 유닛(100)의 후방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베이스 유닛(100)의 상면과 대면하고, 제1 후방 회동편(211)과 일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제1 후방 회동편(2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제2 후방 회동편(2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회동부(201)는 제1 후방 회동편(211) 및 제2 후방 회동편(212)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 힌지 바(213, 213)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회동부(201)는 한 쌍의 후방 힌지 바(213, 213)가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베이스 유닛(100)의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와 통신 가능하며, 한 쌍의 후방 힌지 바(213, 21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방 액추에이터(2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회동부(202)는 제1 후방 회동편(211)과 제2 후방 회동편(212) 각각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 회동부(202)는 베이스 유닛(100)의 전방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베이스 유닛(100)의 상면과 대면하고, 제1 회동부(201)의 전방 단부의 좌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1 전방 회동편(2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회동부(202)는 제1 전방 회동편(221)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와 제1 회동부(201)의 전방 단부의 좌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제1 회동부(201)에 대하여 제1 전방 회동편(221)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1 전방 힌지 바(221h)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회동부(202)는 베이스 유닛(100)의 전방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베이스 유닛(100)의 상면과 대면하고, 제1 회동부(201)의 전방 단부의 우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2 전방 회동편(2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회동부(202)는 제2 전방 회동편(222)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와 제1 회동부(201)의 전방 단부의 우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제1 회동부(201)에 대하여 제2 전방 회동편(222)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전방 힌지 바(222h)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전방 힌지바 와 제1 회동부(201)의 전방 단부의 좌측 가장자리 사이와, 제2 전방 힌지 바(222h)와 제1 회동부(201)의 전방 단부의 우측 가장자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 액추에이터(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 액추에이터(223)는 베이스 유닛(100)의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와 통신 가능하며, 제1 전방 힌지 바(221h)와 제2 전방 힌지 바(222h)에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 액추에이터(223)와 각각 연결된 제1 전방 힌지 바(221h) 및 제2 전방 힌지 바(222h)는 도 5와 같이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에 설정값 범위 내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이 베이스 유닛(100)측으로 하강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에 구비되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와 통신 가능하며, 제1 전방 회동편(221) 및 제2 전방 회동편(222)에 걸쳐진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전방 진동 수단(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방 힌지 바(221h) 및 제2 전방 힌지 바(222h)와 각각 연결된 전방 액추에이터(223)는 도 6과 같이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에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로부터 가동 신호를 전달받아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을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의 회동에 의하여 자세를 바로잡게 되고, 동시에 전방 진동 수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자세가 불안정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은 사용자가 자세를 바로잡음으로써 압력이 설정값 범위 내임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에 의하여 파악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이러한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 중 통신부(132)를 통해 신호 처리부(131)와 주고 받은 압력 정보는 신호 처리부(131)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700)에 단기~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된다.
또한, 전방 액추에이터(223)는 전방 진동 수단과 동시에 가동되거나, 전방 진동 수단보다 먼저 또는 나중에 가동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후방 액추에이터(214)와 연결된 한 쌍의 후방 힌지 바(213, 213)는 도 7과 같이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에 설정값 범위 내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이 베이스 유닛(100)측으로 하강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에 구비되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와 통신 가능하며, 제1 후방 회동편(211) 및 제2 후방 회동편(212)에 걸쳐진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후방 진동 수단(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 쌍의 후방 힌지 바(213, 213)와 연결된 후방 액추에이터(214)는 도 8과 같이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에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로부터 가동 신호를 전달받아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을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의 회동에 의하여 자세를 바로잡게 되고, 동시에 후방 진동 수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자세가 불안정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은 사용자가 자세를 바로잡음으로써 압력이 설정값 범위 내임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에 의하여 파악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이러한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 중 통신부(132)를 통해 신호 처리부(131)와 주고 받은 압력 정보는 신호 처리부(131)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700)에 단기~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된다.
또한, 후방 액추에이터(214)는 후방 진동 수단과 동시에 가동되거나, 후방 진동 수단보다 먼저 또는 나중에 가동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700)의 앱이나 외부 기기의 형태로 제공되는 신호 처리부(131)는 통신부(132)와의 상호 통신을 통하여 압력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압력 정보들로부터 하루 동안 설정값을 벗어난 압력이 가해진 빈도나 횟수를 압력이 가해진 부위별로 기록 및 저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신호 처리부(131)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700)에 저장되는 압력 정보들에 의한 데이터 베이스는 일, 주, 월, 년 등의 기간 단위로 통계값을 산출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 교정 및 척추 등에 가해지는 부담 정도 및 척추 질환의 발생 가능성 등에 관한 분석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 자료로부터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에 의하여 자신의 앉는 자세가 올바른지 여부를 파악하고 올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를,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휴대용 단말기(700)나 PC는 복수의 압력 센서(제1 전방 센서(101f), 제2 전방 센서(102f), 제1 후방센서(101r), 제2 후방 센서(102r))들로부터 입력된 압력 정보를 통신부(132)와 서버를 통하여 수신받게 된다(S110: 제1 단계).
이후, 휴대용 단말기(700)나 PC의 신호 처리부(131)는 전술한 압력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에서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를 통해 가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전술한 가동 신호는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을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고, 제1 전방 회동편(221) 또는 제2 전방 회동편(222)은 사용자가 자세를 바로잡음으로써 압력이 설정값 범위 내임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에 의해 파악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S120: 제2 단계).
한편, 휴대용 단말기(700)나 PC는 의 신호 처리부(131)는 전술한 압력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에서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를 통해 가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전술한 가동 신호는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을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고, 제1 후방 회동편(211) 또는 제2 후방 회동편(212)은 사용자가 자세를 바로잡음으로써 압력이 설정값 범위 내임이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130)에 의해 파악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S130: 제3 단계).
계속하여, 이와 같은 신호 처리부(131)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700)나 PC에 입력되는 압력 정보 등은 일, 주, 월, 년 단위로 취합되어 분석된 통계값에 의하여 그래프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S140: 제4 단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의자 자체가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베이스 유닛
101f...제1 전방 센서
102f...제2 전방 센서
101r...제1 후방 센서
102r...제2 후방 센서
110...베이스 플레이트
111...센서 회로부
120...절개 슬롯
130...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
131...신호 처리부
132...통신부
200...자세 교정 유닛
201...제1 회동부
211...제1 후방 회동편
212...제2 후방 회동편
213, 213...후방 힌지 바
214...후방 액추에이터
202...제2 회동부
221...제1 전방 회동편
221h...제1 전방 힌지 바
222...제2 전방 회동편
222h...제2 전방 힌지 바
223...전방 액추에이터
300...쿠션부
400...팔걸이부
500...등받이부
600...다리부
700...휴대용 단말기

Claims (10)

  1. 전방 및 후방 상면에 복수의 압력 센서가 배치된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는 자세에 따라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착좌(着座)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자세 교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전방 센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전방 센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후방 센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후방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제1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회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회동부와 연결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는 제1 후방 회동편과,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1 후방 회동편과 일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상기 제1 후방 회동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제2 후방 회동편과,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및 상기 제2 후방 회동편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 힌지 바와,
    상기 한 쌍의 후방 힌지 바가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의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후방 힌지 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제1 후방 회동편과 상기 제2 후방 회동편 각각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 유닛의 전방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좌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1 전방 회동편과,
    상기 제1 전방 회동편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좌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상기 제1 회동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전방 회동편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1 전방 힌지 바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전방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우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2 전방 회동편과,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우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상기 제1 회동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전방 힌지 바와,
    상기 제1 전방 힌지바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좌측 가장자리 사이와, 상기 제2 전방 힌지 바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전방 단부의 우측 가장자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의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전방 힌지 바와 상기 제2 전방 힌지 바에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전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의 중앙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 슬롯과,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세 교정 유닛에 앉아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한 압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방 센서와 상기 제2 전방 센서와 상기 제1 후방 센서와 상기 제2 후방 센서 각각을 연결하는 센서 회로부와,
    상기 센서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세 교정 유닛에 앉아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한 압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에 구비되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및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에 걸쳐진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후방 진동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후방 힌지 바와 연결된 상기 후방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에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로부터 가동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후방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에 구비되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및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에 걸쳐진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전방 진동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방 힌지 바 및 상기 제2 전방 힌지 바와 각각 연결된 상기 전방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에 설정값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면 상기 IoT 대응 가능한 통신기로부터 가동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전방 회동편 또는 상기 제2 전방 회동편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PCT/KR2016/007273 2015-07-14 2016-07-05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WO20170107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576 2015-07-14
KR1020150099576A KR101674489B1 (ko) 2015-07-14 2015-07-14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728A1 true WO2017010728A1 (ko) 2017-01-19

Family

ID=5748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273 WO2017010728A1 (ko) 2015-07-14 2016-07-05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4489B1 (ko)
WO (1) WO20170107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9476A1 (en) * 2020-07-16 2022-01-19 Vic Engineering ApS Support unit and seat comprising an integrated support unit
EP4173522A1 (de) * 2021-10-29 2023-05-03 Priestersberger, Sebastian Sitzanordnung
WO2023073601A1 (de) * 2021-10-29 2023-05-04 Priestersberger Sebastian Sitzanordnung mit einer zweiteiligen sitzfläch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4415B4 (de) * 2017-05-05 2022-10-13 Audi Ag Fahrzeugsitz für ein Kraftfahrzeug, Si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s Fahrzeugsitzes
CN115151167A (zh) * 2020-02-21 2022-10-04 艾特龙有限责任公司 椅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033A (ja) * 1996-09-30 1998-06-09 Mikio Fukunaga 椅 子
JPH11151129A (ja) * 1997-11-20 1999-06-08 Hiroshi Udo 自動座面傾動椅子
KR20040017034A (ko) * 2002-08-20 2004-02-26 권상남 척추 측만증 예방의자
KR20100138207A (ko) * 2009-06-24 2010-12-31 (주)컴텍코리아 자세감지시트, 자세감지시트가 설치된 의자, 및 그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101391912B1 (ko) * 2012-07-17 2014-05-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95B1 (ko) 2012-07-30 2014-06-02 한국과학기술원 척추 변형 예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변형 예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033A (ja) * 1996-09-30 1998-06-09 Mikio Fukunaga 椅 子
JPH11151129A (ja) * 1997-11-20 1999-06-08 Hiroshi Udo 自動座面傾動椅子
KR20040017034A (ko) * 2002-08-20 2004-02-26 권상남 척추 측만증 예방의자
KR20100138207A (ko) * 2009-06-24 2010-12-31 (주)컴텍코리아 자세감지시트, 자세감지시트가 설치된 의자, 및 그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101391912B1 (ko) * 2012-07-17 2014-05-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9476A1 (en) * 2020-07-16 2022-01-19 Vic Engineering ApS Support unit and seat comprising an integrated support unit
EP4173522A1 (de) * 2021-10-29 2023-05-03 Priestersberger, Sebastian Sitzanordnung
WO2023073601A1 (de) * 2021-10-29 2023-05-04 Priestersberger Sebastian Sitzanordnung mit einer zweiteiligen sitzflä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89B1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0728A1 (ko) 자세 교정 기능이 구비된 의자 어셈블리
KR102278456B1 (ko) 촉각 정보 변환 장치, 촉각 정보 변환 방법, 및, 촉각 정보 변환 프로그램, 및, 소자 배치 구조체
JP6875010B2 (ja) 触覚情報変換装置、触覚情報変換方法、および、触覚情報変換プログラム
Sardini et al. Wireless wearable T-shirt for posture monitoring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s
EP3286675A1 (en) Wearable posture advisory system
US58781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cognition for blind and severely visually handicapped persons
WO2018110917A1 (ko) 자세 교정 웨어러블 이어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876828B1 (en) Physical therapy and vestibular training systems with visual feedback
KR20160135583A (ko) 스마트 시트,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777391B1 (ko) 척추 관절가동범위 측정 방법
KR20110089646A (ko) 기능성 의자
CN110916867A (zh) 颈部可穿戴设备、颈部可穿戴系统及其交互平台
Zhao et al. A privacy-aware compliance tracking system for skilled nursing facilities
WO2015017776A2 (en) In-ear orthotic for relieving temporomandibular joint-related symptoms
US20200046261A1 (en) System for correcting shoulder alignment, assembly of a system and a further processing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498498B1 (ko) 골격 추적을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KR101839106B1 (ko) 체형분석시스템
JP2009011613A (ja) 動作支援装置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WO2019045526A1 (ko)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25880A (ko) 체형교정을 위한 의자
Costa et al. Mobility and orientation aid for blind persons using artificial vision
WO2017007222A1 (ko) 백팩 지지용 어셈블리
KR20220014604A (ko) 라운드숄더 교정 장치
WO2021261639A1 (ko) 스마트 방석 척추 자동 진단 교정 시스템
JPWO2019065303A1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用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4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4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