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07041A1 -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07041A1
WO2017007041A1 PCT/KR2015/006944 KR2015006944W WO2017007041A1 WO 2017007041 A1 WO2017007041 A1 WO 2017007041A1 KR 2015006944 W KR2015006944 W KR 2015006944W WO 2017007041 A1 WO2017007041 A1 WO 20170070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predetermined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9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재준
Original Assignee
유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준 filed Critical 유재준
Priority to PCT/KR2015/0069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07041A1/ko
Publication of WO20170070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070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welding device, the air inlet and outlet air is made;
  • An opening / closing part connected to the front part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ir access part;
  • An air distribu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and suction of air;
  • a filter unit including a predetermined filter unit and configured to filter the air sucked in the air inlet / outlet; And an air discharge line and an air suction line connecting the air inlet, the opener, the air distributor, and the filter to form an air flow path.
  • the air inlet comprise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discharge of the welding material is made, and a nozzle surrounding the discharge hole so that a predetermined air flow surrounds the discharge path of the welding material to create an air film around the discharge path. It relates to a dust collector.
  • Welding apparatus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is a device for melting and joining a metal plate or a wire of a metal material at high heat,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ir inlet and air inlet is made;
  • An opening / closing part connected to the front part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ir access part;
  • An air distribu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and suction of air;
  • a filter unit including a predetermined filter unit and configured to filter the air sucked in the air inlet / outlet; And an air discharge line and an air suction line connecting the air inlet, the opener, the air distributor, and the filter to form an air flow path.
  • the air inlet comprise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discharge of the welding material is made, and a nozzle surrounding the discharge hole so that a predetermined air flow surrounds the discharge path of the welding material to create an air film around the discharge path.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ust collector.
  • 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welding device, the air inlet and outlet air is made;
  • An opening / closing part connected to the front part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ir access part;
  • An air distribu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and suction of air;
  • a filter unit including a predetermined filter unit and configured to filter the air sucked in the air inlet / outlet; And an air discharge line and an air suction line connecting the air inlet, the opener, the air distributor, and the filter to form an air flow path.
  • the air inlet comprise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discharge of the welding material is made, and a nozzle surrounding the discharge hole so that a predetermined air flow surrounds the discharge path of the welding material to create an air film around the discharge path. do.
  • the dust collecting device may be used together with a predetermined welding device, and may be used to purify dust, contaminants, fumes and the like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process together with air.
  • the welding gas can be used for welding without dispersing or spreading the gas used for welding despite the external conditions unnecessarily Make it easy.
  • the welding device may be a carbon dioxide welding device that is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carbon dioxide at the same time the wire of the metal material is supplied.
  • the carbon dioxide since carbon dioxide is required together with the molten metal to perform welding, the carbon dioxide is prevented from being dissipated and weld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using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inlet and outlet for performing the intake and exhaust of the air is composed of a nozzle of a multi-pip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rm the air membrane and suction of contaminant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orm an air film surroun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welding material is discharged, and by allowing air to be sucked outside the air film, scattering of contaminants can be prevented, and welding can be easily performed despite an external environment. have.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hether or not to use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termined. That is, when the formation of the air membrane and the suction of contaminants are necessar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opened, and the strength and extent thereof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and when the formation and the suction of the air membrane are unnecessar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closed.
  • the ratio between the intake and discharge of air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control valve. That is, the air suction force and the air discharge force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perly controlled.
  • FIG. 1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first nozzl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second nozzl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views showing a third nozzl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to 13 are views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4 to 15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and the air distribution unit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distribution uni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9 to 21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distribution unit body of the air distribution uni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valve of the air distribution uni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view showing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4 and 25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6 and 27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distribution uni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patially relative terms “bottom”, “top”, “side”, etc., as shown in the figures,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one member or component with another member or component.
  •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erms that differ in orientation of the device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inverting the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other elements.
  • a member described as “top” of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another member, thus, the exemplary term “top” may include both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ccordingly,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 FIG. 1 and 2 show a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view showing the air inlet portion 10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24 and 25 show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0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of the dust coll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inclu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1 for removing contaminants generated in a welding apparatus, including: an air inlet and outlet 10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connected to the air access unit 100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access unit 100; An air distribution unit 300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ling discharge and intake of air; A filter unit 400 including a predetermined filter unit 410 and configured to filter the air sucked in the air access unit 100; And an air discharge line 170, and an air suction line 160 connecting the air access unit 10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and the filter unit 400 to form an air flow path.
  • the air inlet and outlet part 100 include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discharge of the welding material is made, and a predetermined air flow surrounds the discharge path of the welding material, and surrounds the discharge hole so as to generate an air film around the discharge path. Includes a nozzle.
  • the air inlet and outlet 100 inhales and discharges air. Accordingly, the suction of air is used to suck and remove contaminants generated by welding, and the discharge of air is us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air film so that the gas used in the welding process is not dissipa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air inlet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welding material, preferably,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let 100 i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discharge of the welding material is made, and a predetermined air flow And a nozzl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to surround the discharge path of the welding material to create an air film around the discharge path.
  • a predetermined supply pipe having a discharge port may be disposed therein, and a double pipe shape nozzle surrounding the supply pipe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flow of air in the nozzle.
  • the flow of air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both the intake and exhaust of the air described above.
  • the opening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front part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access part 100.
  •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may exchange air with the air access unit 100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 the air discharged or sucked through the air access unit 100 by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have.
  • it may be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sucked in and out depending on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through a predetermined pipe and controls the discharge and suction of air.
  •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intake and discharge of air, and may be used to control the ratio of the intake amount and the discharge amount.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controls the flow rate and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air, it can be seen that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can control the ratio of the intake and discharge of the air and the suction force and the discharge force of the air. hav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a filter unit 400 including a predetermined filter unit 410 and filtering the air sucked in the air inlet and outlet 100 is provided.
  • the filter unit 400 is a member provided to purify the air sucked in and delivered from the air access unit 100, and as shown in FIG. 1, the air sucked in the box-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space is provided.
  • the injection un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filter unit 410 is provided in the box.
  • the filter unit 410 may have a sieve filter and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and the form and the purifying mechanism are not limited thereto.
  • an air discharge line 170 and an air suction line 160 which connect the air inlet part 10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the air distribution part 300, and the filter part 400 to form an air flow path.
  • the air discharge line 170 may be a predetermined pipe as a member that guides the predetermined compressed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let 100.
  • the air suction line 160 may also be a predetermined pipe as a member that guides the sucked air to the filter unit 400 described above.
  • the air discharge line 170 and the air intake line 160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pip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and use of the user.
  •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can be used with a predetermined welding device, and can be used to purify dust, contaminants, fumes and the like generated in the welding process together with the air.
  • a predetermined welding device can be used to purify dust, contaminants, fumes and the like generated in the welding process together with the air.
  • an air barrier is generated around the discharge path, so that the gas used for welding is unnecessarily dispersed despite the external conditions.
  • the welding can be facilitated by allowing it to be used for welding without spreading.
  • the welding device may be a carbon dioxide welding device in which a wire of a metal material is supplied and a predetermined carbon dioxide is provided.
  • a carbon dioxide welding device in which a wire of a metal material is supplied and a predetermined carbon dioxide is provided.
  • carbon dioxide since carbon dioxide is required together with the molten metal to perform welding, the carbon dioxide is prevented from being dissipated and weld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using the dust coll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 and 4 show a first nozzle 11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5 and 6 show a second nozzl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shows a third nozzl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inlet part 100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6, 8,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 the air inlet portion 100 includes a first nozzle 110, a second nozzle 120, and a third nozzle 13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hollow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 the first to third nozzles (110, 120, 130) are sequentially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having a large diameter,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flow path.
  • the air inlet part 100 may include a first nozzle 1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hollow 114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first nozzle 110.
  • the second nozzle 120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llow 124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nozzle 1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second nozzle 120
  • a third nozzle 130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of the third hollow 134 and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nozzle 120, wherein the first nozzle 110 and the second nozzle are disposed.
  • Between the nozzles 120 and between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third nozzle 130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n air flow path.
  • Cylindrical first to third nozzles 110, 120, and 130 having hollows are provided, and the first to third nozzles 110, 120, and 130 have different inner diameters. That is, each of the first to third nozzles 110, 120, and 130 has a body 112, 122, 13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llow 114, 124, 134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 the hollows of the nozzles 110, 120, and 130 may be referred to as first to third hollows 114, 124, and 134, respectively, and inner diameters of the hollows 114, 124, and 13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composed.
  • the inner diameters of the hollows 114, 124, and 134 are a, b, and c, it may be a ⁇ b ⁇ c.
  • the hollow of the first nozzle 110,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third nozzle 130 has been described so as to have a large inner diameter sequentiall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first to third nozzles 114, 124, and 134 have concentric arrangements. That is, the first nozzle 110 is disposed in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third nozzle 130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first to third nozzles 114, 124, 134 may have a configura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f course, concentricity does not necessarily limit the case where the center coincides.
  • the first to third nozzles 114, 124, and 134 are disposed concentrically, and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nozzles 114, 124, and 134.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nozzle 11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nozzle 120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rd nozzle 130. Accordingly,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nozzles 114, 124, and 134, and the gap may be configured as a flow path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gas may flow.
  • air may flow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nozzles 114, 124, and 134, and the space formed by the gaps may include air intake nozzles 15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or sucked, or It may function as an air discharge nozzle 140. 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space between the first nozzle 110 and the second nozzle 120 includes an air discharge nozzle 140 for discharging air, and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second nozzle 120 are formed.
  • the space between the three nozzles 130 may be configured as an air suction nozzle 150 for sucking air.
  • the hollow 114 formed in the first nozzle 110 may function as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aterial supply device W to supply and discharge a gas such as a metal wire and carbon dioxide, which are welding materials. Can be. That i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ir suction nozzle 150 and the air discharge nozzle 140 ar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implement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 a first side through-hole 126 to which the air discharge line 170 is connected is formed at a side of the second nozzle 120, and at the side of the third nozzle 130 the air suction line ( The second side through-hole 136 to which the 160 is connected is formed, an air discharge nozzle 14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nozzle 110 and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second nozzle 120 and An air intake nozzle 150 is formed between the third nozzles 130.
  •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third nozzle 130 are laterally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line 170 and the air suction line 160, respectively.
  • a predetermined side through hole is formed. That is, the first to third nozzles 130 have predetermined bodies 112, 122, and 132 having hollows 114, 124, and 134, and the second nozzles 120 and the third nozzles 13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side through holes 126 and 136 are laterally penetrated to the sides of the bodies 112, 122, and 132.
  • the flow of air is mad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ir supplied as arrow B through the first side through hole 126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nozzle 140 configur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first nozzle 110. Then,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intake nozzle 150 form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nozzle 120 and the third nozzle 130, as shown by arrow C through the second side through-hole 136 Guided to air intake line 160.
  • arrow A is a direc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welding material and gas are discharged.
  • the air inlet 100 can be easily configured, and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and the use can be simplified.
  • the rear part of the second nozzle 1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nozzle 110 to prevent unnecessary air leakage through the air supply pipe.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nozzle 1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nozzle 110 so that the air is guided and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nozzle, so that the predetermined first sealing portion 128 is Can be prepared.
  • the first sealing portion 128 may have, for example, a structure such as a predetermined step and a member such as a predetermined gask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side through-hole 126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128, of course.
  • the rear part of the third nozzle 130 may als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nozzle 120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line 160 may not be unnecessarily leaked.
  • the third nozzle 13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econd sealing part 138 arou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ar part, and its structur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ealing part 128 described above.
  • the second side through-hole 136 may also be located in the front portion than the second sealing portion 138.
  • first sealing part 128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38 may have a predetermined stepped structure as shown in FIGS. 3 to 8.
  • a predetermined step 116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nozzle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ir inlet and outlet 100 for performing the intake and discharge of the air is composed of a nozzle having a multi-pipe structure, such that the formation of the air film and the suction of contaminants can be easily made.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00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2 to 13 are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00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4 to 15 are views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220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0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ning / closing unit 200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body 210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220 inserted into the opening / closing body 210, and the opening / closing body 2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th penetrating laterally ( 2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and the valve insertion hole 214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220, the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and A first connector 224 and a second connector 226 correspondingly laterally penetrating, respectively, and the on / off valve 220 is configured to rotate within the valve insert 214.
  •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is provided to control the access of the air through the air access unit 10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is a member such as a predetermined valve, and is provided to control the discharge and intake of air through the air access part 100.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00 ha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line 170 and the air intake line 160 is connected to the air access unit 10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body 210.
  •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10 is disposed and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line 170 and the air suction line 160.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10 may be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line 170 and the air suction line 160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line 170 and the air suction line 160 depending on whether the air discharge line 170 and the air suction line 160 are opened or closed. have.
  •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10 has a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a second connection path 218 penetrating laterally.
  • the air suction line 160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the air discharge lin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That is, the air suction line 16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the air discharge line 17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respectively.
  • the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210 has a valve insertion hole 214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alve insertion hole 214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are respectively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enetrate laterally, the valve insertion hole 214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irst connection path ( 2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 the open / close valve 220 is inserted into the valve insert 214.
  • the valve insertion hole 214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open / close valve 220.
  • the on-off valve 220 has a cylindrical configuration so that the on-off valve 220 can be rotat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valve insert 214, the valve insert 214 is also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Can be.
  • the open / close valve 220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224 and a second connector 226 formed to penetrate laterally.
  • the first connector 224 and the second connector 226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e an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th 2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h 218 described above. That is, as the on-off valve 220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valve insertion hole 214, the first connector 224 and the second connector 226 also rotate, and the first connector 224 is rotated.
  • the opening / closing part 200 is opened to allow air to flow, and the first connector 224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2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is closed to block the flow of air.
  • the case where the air is blocked means that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26 and the penetrat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ssages 216 and 218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can be said that the connection is blocked.
  • the flow rate of air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on-off valve 2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predetermined handle 229 may be connected and ope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 / close valve 220, and a predetermined handle connection part 228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thereof.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is provided, whether or not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may be easily determined.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is opened when the formation of the air membrane and the suction of contaminants are required, and the strength and degree thereof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220. When the formation of the air membrane and the suction of the contaminants are unnecessar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200 may be clos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on-off valve 220 may be made by turning the handle 229, as shown in Figure 24 and 25.
  •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400 and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8 is an air distribution unit 30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9 to 2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distribution unit body 320 of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2 is a view The control valve 340 of the air distribution part 300 of the dust collector 1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shown.
  • the dust collecting device 1 includes an air distribution unit 300, and the air distribution unit 300 has a predetermined pipe line, and has a predetermined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P and the air discharge line.
  • a first distribution body 310 having a through hole 316 penetrating in a lateral direction and connecting a 170, and having a predetermined channel, disposed at a side of the first distribution body 310, and the air suction line;
  • the second distribution body 320 which is connected to the 160 and the air hole 326 is formed on the side, the side passage 330 connecting the through hole 316 and the air hole 326, and the through hole (
  • a control valve 340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316 and displaced in a conduit of the first distribution body 310 to contact or be spaced from the side passage 33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de passage 330. It may include.
  • the first distributor body 310 and the second distributor body 320 are each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predetermined pipes 314 and 324.
  • the first distributor body 310 connects a predetermined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W with the air discharge line 170 so that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W is transferred to the air discharge line 170.
  • the second distribution unit body 320 connects the air suction line 160 and the filter unit 400 to guide the air sucked in the air suction line 160 to be transferred into the filter unit 400.
  • the first distributor body 310 and the second distributor body 32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parallel to each other.
  •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distribution unit body 31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16 penet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redetermined air hole 326 through which air can flow to the side of the second distribution unit body 320. Is formed.
  • the through hole 316 and the air hole 326 may be conn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side passage 330 to allow air to flow.
  • the control valve 34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316.
  • the control valve 340 has a predetermined head 346,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close the through-hole 316 by contact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assage 330. That is, the control valve 34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316, as shown in FIGS. 28 and 27, the side valve 330 is displ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distribution body 310. ), Or may be spaced apart therefrom, the separation distance is variable by operation.
  • control valve 340 is a head 346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assage 330, a connecting beam 344 extending from the head 346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16, and
  • the user may have a grip portion 342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 the control valve 340 is displaced by operating the grip part 342, and for example, the control valve 340 may be displac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rip part 342 by having a predetermined screw conn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ressed air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P and supplied into the first distribution body 310 may be delivered to the air discharge line 170, but the control valve 340 ) May be delivered into the second distribution body 320.
  • the air hole 326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rear body 322 connected to the front body 328, the air hole 326 is a predetermined
  • a through hole 316 having a diameter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6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ar body 322.
  • the second distribution body 320 includes a front body 328 and a rear body 322 in a tubular form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rear body 322.
  • the air hole 326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ront body 328,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ir hole 326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rear body 322 connected to the front body 328. Accordingly, the air hole 326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6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the compressed air distributed and delivered through the lateral passage 330 is delivered to the second distribution body 320 through the air hole 326.
  • the air hole 326 has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the speed of the compressed air can be accelerated, the accelerated air is injected toward the rear in the through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316. Accordingly, the air injected to the rear has a force to suck the air in the front,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line 160.
  • the air delivered to the side through the side passage 330 is injected in the rear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hole 326, wherein the air hole having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 As it passes 326, the speed is accelerated.
  • the accelerated and injected air has a force to suck the air in front of the air may be inhaled.
  •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side passage 330 is adjusted, accordingly between the intake and discharge of air
  • the ratio of can be adjusted. That is, the air suction force and the air discharge force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34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per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장치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로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출입부; 상기 전방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 출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는 공기 분배부; 소정의 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공기 출입부, 개폐부, 공기 분배부, 및 필터부를 연결하여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 라인, 및 공기 흡입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는, 용접 재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 및 소정의 공기 흐름이 상기 용접 재료의 토출 경로를 둘러싸 상기 토출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진 장치
본 발명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장치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로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출입부; 상기 전방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 출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는 공기 분배부; 소정의 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공기 출입부, 개폐부, 공기 분배부, 및 필터부를 연결하여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 라인, 및 공기 흡입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는, 용접 재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 및 소정의 공기 흐름이 상기 용접 재료의 토출 경로를 둘러싸 상기 토출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접장치는 금속재질의 철판, 또는 와이어 등을 고열로 용융시켜 접합하는 장치로서,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장치 중, 이산화탄소와 같은 소정의 가스를 용접 재료로 사용하는 용접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용접장치의 경우 이러한 가스를 용접하고자 하는 목적 부위에 적절히 공급하는 것이 용접 효율에 있어 큰 문제가 된다.
그러나, 예컨대 선박 등과 같이 대형 구조물의 용접의 경우,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 인해 이러한 가스의 공급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뿐만 아니라 용접에 따라서 생성된 각종 오염 물질이 비산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에 필요한 가스를 적절히 공급하고 오염 물질의 비산을 차단하는 집진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출입부; 상기 전방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 출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는 공기 분배부; 소정의 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공기 출입부, 개폐부, 공기 분배부, 및 필터부를 연결하여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 라인, 및 공기 흡입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는, 용접 재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 및 소정의 공기 흐름이 상기 용접 재료의 토출 경로를 둘러싸 상기 토출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용접 장치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로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출입부; 상기 전방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 출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는 공기 분배부; 소정의 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공기 출입부, 개폐부, 공기 분배부, 및 필터부를 연결하여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 라인, 및 공기 흡입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는, 용접 재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 및 소정의 공기 흐름이 상기 용접 재료의 토출 경로를 둘러싸 상기 토출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는, 소정의 용접 장치와 함께 사용되어, 용접 과정에서 생성되는 분진, 오염물, 흄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용접을 위해 제공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토출되는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여 외부 조건에도 불구하고 용접에 사용되는 가스가 불필요하게 분산되거나 퍼지지 않고 용접에 사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용접 장치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가 공급됨과 동시에 소정의 이산화탄소가 함께 제공되는 이산화탄소 용접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용접을 수행하기 위해 융용 금속 외에 이산화탄소가 함께 필요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소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수행하는 공기 출입부는 다중관 구조의 노즐로 구성됨으로서, 상기와 같은 에어막의 형성 및 오염물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용접 재료가 토출되는 경로를 둘러싸는 에어막의 형성이 가능해지며 또한 상기 에어막의 외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서 오염물질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선박 등의 용접의 경우 선박은 대형구조물인 관계로 높은 위치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 등이 강하여 상기와 같이 이산화탄소 용접을 수행할 경우 이산화탄소가 용접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비산되어 용접 효율성이 매우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에어막이 형성되어 외부의 바람 등을 차단하여 이러한 이산화탄소 및 가스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막의 외측에는공기 흡입에 의한 공기 흡입 영역이 마련됨으로써, 매우 근접한 거리에서 오염물의 흡입이 이루어져 용접에 따른 오염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환경이 개선되며 작업자의 건강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를 구비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용 여부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에어막의 형성 및 오염물의 흡입이 필요할 때에는 개폐부를 개방하며, 그 세기 및 정도를 개폐 밸브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에어막의 형성 및 오염물의 흡입이 불필요할 때에는 개폐부를 폐쇄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 분배부를 포함하며 제어 밸브를 구비함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를 조작하여 공기의 흡입과 배출 사이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어 밸브의 조작에 따라서 공기 흡입력과 공기 배출력이 조절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작동이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제1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제2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제3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공기 출입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개폐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개폐부의 개폐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개폐부의 개폐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필터부 및 공기 분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공기 분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공기 분배부의 제2 분배부 바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공기 분배부의 제어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공기 출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개폐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의 공기 분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하부", "상부", “측부”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상부"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하부”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상부"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부재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부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방향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공기 출입부(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 및 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개폐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공기 분배부(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는, 용접 장치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1)로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출입부(100); 상기 공기 출입부(100)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 출입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부(200); 상기 개폐부(200)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는 공기 분배부(300); 소정의 필터 유닛(41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100)에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필터부(400); 및 상기 공기 출입부(100), 개폐부(200), 공기 분배부(300), 및 필터부(400)를 연결하여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100)는, 용접 재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 및 소정의 공기 흐름이 상기 용접 재료의 토출 경로를 둘러싸 상기 토출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한다.
공기 출입부(100)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한다. 이에 따라서, 공기의 흡입은 용접에 따라 발생한 오염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데 사용되고, 공기의 배출은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스가 외부로 소산되지 않도록 소정의 에어막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공기 출입부(100)는 용접 재료의 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출입부(100)는 용접 재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 및 소정의 공기 흐름이 상기 용접 재료의 토출 경로를 둘러싸 상기 토출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한다. 즉, 토출구를 갖는 소정의 공급관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을 둘러싸는 이중관 형태의 노즐이 마련되어 상기 노즐에서 공기의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의 흐름이라 함은 상술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 출입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부(200)가 마련된다. 개폐부(200)는 소정의 배관을 통해 상기 공기 출입부(100)와 공기의 흐름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출입부(100)를 통해 배출되거나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관을 개폐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정도에 따라서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량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개폐부(200)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는 공기 분배부(300)가 마련된다. 공기 분배부(300)는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며, 흡입량과 배출량의 비율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200)는 공기의 유동량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분배부(300)는 공기의 흡입과 배출의 비율 및 공기의 흡입력 및 공기의 배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고 파악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소정의 필터 유닛(41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100)에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필터부(400)가 마련된다. 필터부(400)는 상기 공기 출입부(100)에서 흡입되어 전달된 공기가 정화되도록 마련된 부재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용적의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의 부재 내에 흡입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며, 상기 박스 내에 소정의 필터 유닛(410)이 마련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 유닛(410)은 체 형태의 필터, 및 여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태 및 정화 기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공기 출입부(100), 개폐부(200), 공기 분배부(300), 및 필터부(400)를 연결하여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은 소정의 압축 공기를 상기 공기 출입부(100)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부재로서 소정의 배관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 흡입 라인(160) 또한, 흡입된 공기를 상술한 필터부(400)로 안내하는 부재로서 소정의 배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은 사용자의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는, 소정의 용접 장치와 함께 사용되어, 용접 과정에서 생성되는 분진, 오염물, 흄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접을 위해 제공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토출되는 경로 주변에 에어막(air barrier)을 생성하여 외부 조건에도 불구하고 용접에 사용되는 가스가 불필요하게 분산되거나 퍼지지 않고 용접에 사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접 장치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가 공급됨과 동시에 소정의 이산화탄소가 함께 제공되는 이산화탄소 용접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용접을 수행하기 위해 융용 금속 외에 이산화탄소가 함께 필요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를 사용함에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소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제1 노즐(110)을 나타내며,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제2 노즐을 나타내고,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제3 노즐을 나타내며,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공기 출입부(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4, 도 6, 도 8, 및 도 10 은 각각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출입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직경의 중공이 형성된 제1 노즐(110), 제2 노즐(120), 및 제3 노즐(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노즐(110, 120, 130)은, 순차적으로 큰 직경을 가져서 서로 동심원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져서 이격되어 유동로가 형성되게 배치된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공기 출입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내경의 제1 중공(114)을 갖는 제1 노즐(11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노즐(110)보다 큰 내경의 제2 중공(124)을 가지며 상기 제1 노즐(110)의 직경 방향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제2 노즐(12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노즐(120)보다 큰 내경의 제3 중공(134)을 가지며 상기 제2 노즐(120)의 직경방향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제3 노즐(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 및 상기 제2 노즐(120)과 상기 제3 노즐(130)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공기 유동로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제1 내지 제3 노즐(110, 120, 130)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노즐(110, 120, 130)은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갖는다. 즉, 제1 내지 제3 노즐(110, 120, 130)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12, 122,132) 및 소정의 내경을 갖는 중공(114, 124, 134)을 갖는다. 여기서, 각각의 노즐(110, 120, 130)이 갖는 중공을 각각 제1 내지 제3 중공(114, 124, 134)이라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중공(114, 124, 134)의 내경은 상이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중공(114, 124, 134)의 내경을 a, b, c 라 할 때, a < b < c 일 수 있다. 편의상, 제1 노즐(110), 제2 노즐(120), 제3 노즐(130)의 중공이 순차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노즐(114, 124, 134)은 동심의 배치를 갖는다. 즉, 제1 노즐(110)이 제2 노즐(120) 내에 배치되며, 이어 제2 노즐(120) 외부에 제3 노즐(130)이 배치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노즐(114, 124, 134)은 동심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동심이란 반드시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3 노즐(114, 124, 134)은 동심으로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각각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노즐(110)의 외경은 제2 노즐(120)의 내경보다 작으며, 제2 노즐(120)의 외경은 제3 노즐(13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노즐(114, 124, 13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간극은 소정의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노즐(114, 124, 134)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간극이 형성하는 공간은 실질적으로 공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흡입되는 공기 흡입 노즐(150), 또는 공기 배출 노즐(140)로 기능할 수 있다. 즉,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의 공간은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 노즐(140)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노즐(120)과 제3 노즐(130) 사이의 공간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노즐(1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즐(110)에 형성된 중공(1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 재료인 금속 와이어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가 공급되어 토출되도록 소정의 재료 공급 장치(W)와 연결되는 토출구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토출구의 외주부에 공기 흡입 노즐(150) 및 공기 배출 노즐(140)이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이 구현될 수 잇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노즐(120)의 측면에는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이 연결되는 제1 측부 통공(126)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노즐(130)의 측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 라인(160)이 연결되는 제2 측부 통공(136)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노즐(110)과 제2 노즐(120) 사이에는 공기 배출 노즐(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노즐(120)과 제3 노즐(130) 사이에는 공기 흡입 노즐(150)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즐(120) 및 제3 노즐(130)의 측면에는 상술한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이 각각 연결되도록 측방향으로 형성된 소정의 측부 통공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노즐(130)은 중공(114, 124, 134)이 형성된 소정의 몸체(112, 122, 132)를 갖되, 상기 제2 노즐(120) 및 제3 노즐(130)은 상기 몸체(112, 122, 132)의 측부에 측방향으로 관통된 측부 통공(126, 136)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공기의 유동은 도 10 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제1 측부 통공(126)을 통해 화살표 B 와 같이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2 노즐(120)과 제1 노즐(1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구성되는 공기 배출 노즐(140)을 통해 배출되며, 이어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2 노즐(120)과 제3 노즐(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구성되는 공기 흡입 노즐(150)을 통해 흡입되어 제2 측부 통공(136)을 통해 화살표 C 와 같이 공기 흡입 라인(160)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화살표 A 는 상술한 용접 재료 및 가스가 토출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서, 공기의 흡입 및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관이 측방향에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공기 출입부(100)의 구성이 용이해지며 아울러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지고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노즐(120)의 후방에는, 공기 배출 라인(17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경로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 노즐(110)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1 실링부(128)가 구비되며, 상기 제3 노즐(130)의 후방에는, 공기 흡입 라인(16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경로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2 노즐(120)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2 실링부(138)가 구비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제2 노즐(120)의 후방부는 제1 노즐(110)의 측면과 밀착하여 공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불필요하게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노즐의 전방부로 상기 공기가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제2 노즐(120)의 후방부의 내경 둘레는 상기 제1 노즐(110)과 밀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소정의 제1 실링부(128)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링부(128)는 예컨대 소정의 단차와 같은 구조, 및 소정의 개스킷과 같은 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제1 실링부(128)보다 전방부에 상기 제1 측부 통공(126)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3 노즐(130)의 후방부 또한 상기 제2 노즐(120)의 측면과 밀착하여 공기 흡입 라인(16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불필요하게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 노즐(130)도 마찬가지로 후방부의 내경 둘레에 소정의 제2 실링부(138)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상술한 제1 실링부(128)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측부 통공(136) 또한 제2 실링부(138)보다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제1 실링부(128), 및 제2 실링부(138)는 도 3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노즐(110)의 측면에도 실링을 달성하기 위해 소정의 단차(116)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수행하는 공기 출입부(100)는 다중관 구조의 노즐로 구성됨으로서, 상기와 같은 에어막의 형성 및 오염물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용접 재료가 토출되는 경로를 둘러싸는 에어막의 형성이 가능해지며 또한 상기 에어막의 외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서 오염물질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선박 등의 용접의 경우 선박은 대형구조물인 관계로 높은 위치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 등이 강하여 상기와 같이 이산화탄소 용접을 수행할 경우 이산화탄소가 용접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비산되어 용접 효율성이 매우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에어막이 형성되어 외부의 바람 등을 차단하여 이러한 이산화탄소 및 가스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막의 외측에는공기 흡입에 의한 공기 흡입 영역이 마련됨으로써, 매우 근접한 거리에서 오염물의 흡입이 이루어져 용접에 따른 오염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환경이 개선되며 작업자의 건강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개폐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개폐부(200)의 개폐 바디(2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개폐부(200)의 개폐 밸브(2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개폐부(200)는, 개폐 바디(210), 및 상기 개폐 바디(210)에 삽입되는 개폐 밸브(22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바디(210)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밸브 삽입구(214)를 가지며, 상기 개폐 밸브(220)는,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와 대응하여 각각 측방향으로 관통된 제1 연결구(224) 및 제2 연결구(226)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밸브(220)가 상기 밸브 삽입구(214) 내에서 회전하게 구성된다.
개폐부(200)는 상기 공기 출입부(100)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개폐부(200)는 소정의 밸브와 같은 부재로서, 공기 출입부(100)를 통한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공기 출입부(100)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2 는 상기 개폐 바디(210)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13 은 개폐 바디(210)의 측면을 나타내고 도 14 는 개폐 바디(210)의 상면을 나타낸다. 상기 개폐부(200)는 개폐 바디(210)를 포함한다. 개폐 바디(210)는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의 일 부분에 배치되어 연결된다. 즉, 개폐 바디(210)는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의 중간 부분에 마련되어 개폐 여부에 따라서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 및 공기 흡입 라인(160)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 바디(210)는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를 갖는다. 제1 연결로(216)의 양 측에는 상기 공기 흡입 라인(160)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로(218)에는 공기 배출 라인(170)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로(216)의 양단에는 상기 공기 흡입 라인(160)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로(218)의 양단에는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바디(21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밸브 삽입구(214)를 갖는다. 밸브 삽입구(214)는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상기 제2 연결로(218)를 관통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측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밸브 삽입구(214)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를 관통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개폐 밸브(220)는 상기 밸브 삽입구(214)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밸브 삽입구(214)는 상기 개폐 밸브(22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 밸브(220)가 상기 밸브 삽입구(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 밸브(220)는 원통형의 구성을 갖고, 이에 따라서 상기 밸브 삽입구(214)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밸브(220)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 연결구(224) 및 제2 연결구(226)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연결구(224) 및 제2 연결구(226)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술한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에 대응하는 배치를 갖는다. 즉, 상기 개폐 밸브(220)가 상기 밸브 삽입구(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제1 연결구(224) 및 제2 연결구(226) 또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연결구(224) 및 제2 연결구(226)가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와 연결되면 개폐부(200)가 개방되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연결구(224) 및 제2 연결구(226)와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면 개폐부(200)가 폐쇄되어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한편, 공기가 차단되는 경우라 함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구(226)의 관통 방향과 상기 제1 연결로(216) 및 제2 연결로(218)의 관통 방향이 서로 수직으로서 공간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 밸브(220)의 회전 정도에 따라서 공기의 유동량이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 밸브(220)의 상단에는 소정의 핸들(229)이 연결되어 조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정의 핸들 연결부(228)이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200)를 구비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사용 여부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에어막의 형성 및 오염물의 흡입이 필요할 때에는 개폐부(200)를 개방하며, 그 세기 및 정도를 개폐 밸브(220)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에어막의 형성 및 오염물의 흡입이 불필요할 때에는 개폐부(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 밸브(220)의 조작은 도 24 및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29)를 돌려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필터부(400) 및 공기 분배부(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공기 분배부(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 내지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공기 분배부(300)의 제2 분배부 바디(3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공기 분배부(300)의 제어 밸브(3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는, 공기 분배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분배부(300)는, 소정의 관로를 갖고 소정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P)와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을 연결하며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316)이 형성된 제1 분배부 바디(310), 소정의 관로를 갖고 상기 제1 분배부 바디(310)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 라인(160)과 연결되며 측부에 공기 홀(326)이 형성된 제2 분배부 바디(320), 상기 관통공(316)과 공기 홀(326)을 연결하는 측방 통로(330), 및 상기 관통공(316)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분배부 바디(310)의 관로 내에서 변위하여 상기 측방 통로(330)와 접촉하거나 이격되어 상기 측방 통로(330)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배부 바디(310)와 제2 분배부 바디(320)는 각각 소정의 관로(314, 324)를 갖는 배관 형태로 구성된다. 제1 분배부 바디(310)는 소정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W)와 상기 공기 배출 라인(170)을 연결하여 압축 공기 공급 장치(W)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배출 라인(170)으로 전달되도록 안내한다. 제2 분배부 바디(320)는 공기 흡입 라인(160)과 필터부(400)를 연결하며, 공기 흡입 라인(160)에서 흡입된 공기가 필터부(400) 내부로 전달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1 분배부 바디(310)와 상기 제2 분배부 바디(320)는 서로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분배부 바디(310)의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316)이 마련되며, 상기 제2 분배부 바디(320)의 측부에는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소정의 공기 홀(32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16)과 상기 공기 홀(326)은 소정의 측방 통로(330)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316)에는 제어 밸브(340)가 배치된다. 상기 제어 밸브(340)는 소정의 헤드(346)를 가져서, 상기 측방 통로(330)에 접촉하여 밀착함으로서 관통공(316)을 밀폐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제어 밸브(340)는 상기 관통공(316) 내에 배치되되, 도 28 및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배부 바디(310)의 측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측방 통로(330)에 밀착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거리가 조작에 의해 가변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340)는 상기 측방 통로(330)와 밀착 가능한 헤드(346), 상기 헤드(346)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316)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연결빔(344),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34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부(342)를 조작함으로서 상기 제어 밸브(340)가 변위하며, 일 예로 소정의 나사 연결을 가짐으로서 그립부(342)의 회전에 따라 변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P)와 연결되어 제1 분배부 바디(310) 내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공기 배출 라인(170)으로 전달될 수 있되, 상기 제어 밸브(340)가 개방되면 상기 제2 분배부 바디(320)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분배부 바디(32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배관 형태의 전방 바디(328), 및 상기 전방 바디(328)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전방 바디(328)와 연결되는 후방 바디(322)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바디(328)와 연결되는 후방 바디(322)의 전면부에는, 상기 공기 홀(326)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 홀(326)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공(316)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후방 바디(322)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9, 도 20, 도 21 은 각각 제2 분배부 바디(320)의 측면, 단면, 전면을 나타낸다. 도 18 및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분배부 바디(32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배관 형태의 전방 바디(328), 및 후방 바디(322)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 바디(322)는 전방 바디(328)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전방 바디(328)와 연결되는 후방 바디(322)의 전면부에는 상기 공기 홀(326)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공기 홀(326)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관통공(316)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상기 측방 통로(330)를 통해 배분되어 전달된 압축 공기는 상기 공기 홀(326)을 통해 제2 분배부 바디(32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공기 홀(326)은 비교적 작은 내경을 가짐에 따라서 압축 공기의 속도가 가속될 수 있으며, 상기 가속된 공기는 상기 관통공(316)의 관통 방향에 따라서 후방을 향해 분사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후방으로 분사되는 공기는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는 힘을 갖게 되며, 상기 공기 흡입 라인(160)을 통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즉,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 통로(330)를 통해 측방으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공기 홀(326)을 통과하면서 방향을 바꾸어 후방으로 분사되며, 이때 비교적 작은 내경을 갖는 공기 홀(326)을 통과함에 따라서 속도가 가속되게 된다. 가속되어 분사되는 공기는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는 힘을 가져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밸브(340)를 조작하여 측방 통로(330)와 상기 제어 밸브(3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서 상기 측방 통로(330)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서 공기의 흡입과 배출 사이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어 밸브(340)의 조작에 따라서 공기 흡입력과 공기 배출력이 조절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1)의 작동이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용접 장치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 출입부;
    상기 공기 출입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 출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와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공기의 배출 및 흡입을 제어하는 공기 분배부;
    소정의 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필터부; 및
    상기 공기 출입부, 개폐부, 공기 분배부, 및 필터부를 연결하여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공기 배출 라인, 및 공기 흡입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입부는,
    용접 재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 및
    소정의 공기 흐름이 상기 용접 재료의 토출 경로를 둘러싸 상기 토출 경로 주변에 에어막을 생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주변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하는 집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출입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직경의 중공이 형성된 제1 노즐, 제2 노즐, 및 제3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노즐은,
    순차적으로 큰 직경을 가져서 서로 동심원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져서 이격되어 유동로가 형성되게 배치된 집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직경의 제1 중공을 갖는 제1 노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노즐보다 큰 직경의 제2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1 노즐의 직경 방향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제2 노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노즐보다 큰 직경의 제3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2 노즐의 직경방향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제3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과 제2 노즐 사이, 및 상기 제2 노즐과 상기 제3 노즐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공기 유동로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의 측면에는 상기 공기 배출 라인이 연결되는 제1 측부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노즐의 측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 라인이 연결되는 제2 측부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노즐과 제2 노즐 사이에는 공기 배출 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노즐과 제3 노즐 사이에는 공기 흡입 노즐이 형성되는 집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의 후방에는,
    공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경로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1 노즐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1 실링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 노즐의 후방에는,
    공기 흡입 라인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경로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2 노즐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2 실링부가 구비되는 집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폐 바디, 및 상기 개폐 바디에 삽입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바디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제1 연결로 및 제2 연결로,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밸브 삽입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연결로 및 제2 연결로와 대응하여 각각 측방향으로 관통된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 상기 밸브 삽입구 내에서 회전하게 구성된 집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로에는 상기 공기 배출 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로에는 상기 공기 흡입 라인이 연결되는 집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 분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분배부는,
    소정의 관로를 갖고 소정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기 배출 라인을 연결하며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분배부 바디,
    소정의 관로를 갖고 상기 제1 분배부 바디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 라인과 연결되며 측부에 공기 홀이 형성된 제2 분배부 바디,
    상기 관통공과 공기 홀을 연결하는 측방 통로,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분배부 바디의 관로 내에서 변위하여 상기 측방 통로와 접촉하거나 이격되어 상기 측방 통로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배부 바디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배관 형태의 전방 바디, 및
    상기 전방 바디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전방 바디와 연결되는 후방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바디와 연결되는 후방 바디의 전면부에는, 상기 공기 홀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공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후방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된 집진 장치.
PCT/KR2015/006944 2015-07-06 2015-07-06 집진 장치 WO201700704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6944 WO2017007041A1 (ko) 2015-07-06 2015-07-06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6944 WO2017007041A1 (ko) 2015-07-06 2015-07-06 집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041A1 true WO2017007041A1 (ko) 2017-01-12

Family

ID=5768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944 WO2017007041A1 (ko) 2015-07-06 2015-07-06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070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5968A (zh) * 2020-06-23 2020-09-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便携式焊锡烟吸排机
CN112025149A (zh) * 2020-09-17 2020-12-04 上海期颐实业有限公司 一种大型箱梁的焊接烟尘治理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48A (ko) * 1998-05-14 1998-07-25 박준석 씨오투 용접시의 흄 집진장치
KR20000019837U (ko) * 1999-04-21 2000-11-25 김영규 이산화탄소 용접연무 집진 배출장치
KR20020083076A (ko) * 2001-04-26 2002-11-01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흄 집진기를 장착시킨 용접장치
KR20090066509A (ko) * 2007-12-20 2009-06-24 정인철 용접흄 집진필터 재생장치
JP2011131132A (ja) * 2009-12-22 2011-07-07 Shimizu Corp 溶接ヒューム集塵装置
KR101548331B1 (ko) * 2014-06-02 2015-08-28 유재준 집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48A (ko) * 1998-05-14 1998-07-25 박준석 씨오투 용접시의 흄 집진장치
KR20000019837U (ko) * 1999-04-21 2000-11-25 김영규 이산화탄소 용접연무 집진 배출장치
KR20020083076A (ko) * 2001-04-26 2002-11-01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흄 집진기를 장착시킨 용접장치
KR20090066509A (ko) * 2007-12-20 2009-06-24 정인철 용접흄 집진필터 재생장치
JP2011131132A (ja) * 2009-12-22 2011-07-07 Shimizu Corp 溶接ヒューム集塵装置
KR101548331B1 (ko) * 2014-06-02 2015-08-28 유재준 집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5968A (zh) * 2020-06-23 2020-09-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一种便携式焊锡烟吸排机
CN112025149A (zh) * 2020-09-17 2020-12-04 上海期颐实业有限公司 一种大型箱梁的焊接烟尘治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2182A1 (ko) 인-라인 진공펌프
WO2019009458A1 (ko) 활성탄의 재생과 교체가 가능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WO2017007041A1 (ko) 집진 장치
WO2013024935A1 (en) Gas type fire-fighting apparatus having double detective function for ships
WO2014109466A1 (ko) 웨이퍼 처리장치의 배기시스템
WO2012153944A2 (ko) 진공 그리퍼 장치
WO2012121442A1 (ko) 퀵-릴리즈 진공펌프
WO2009151199A1 (en) Dust removing and cooling apparatus
WO2016080698A1 (ko) 관로세척장치
WO2018155847A1 (ko) 대직경 롱 백 필터 탈진장치
WO2020013483A1 (ko) 배기가스 희석장치
WO2014014193A1 (ko) 배출 가스 정화 장치 및 이의 배플
WO2011118862A1 (ko) 이중 원주형 슬릿 탈진공기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여과집진장치 탈진시스템
WO2019093560A1 (ko) 보틀 세척장치
WO2017073895A1 (ko) 배기가스 쿨러
WO2010117124A1 (ko)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WO2017018653A1 (ko) 심 플레이트
WO2010104362A2 (ko) 연소기능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
WO2022092773A1 (ko) 사각 형태 스크러버 성능 향상을 위한 가스 분산 장치
WO2019103225A1 (ko) 흄후드
CN214289808U (zh) 管道粉尘清理装置
WO2018124806A1 (ko) 유로 연결 구조
WO2020067671A1 (ko)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WO2020036387A1 (ko) 건식 가스 정화 장치
WO2009091163A2 (ko) 유수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977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977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