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204432A1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204432A1
WO2016204432A1 PCT/KR2016/005806 KR2016005806W WO2016204432A1 WO 2016204432 A1 WO2016204432 A1 WO 2016204432A1 KR 2016005806 W KR2016005806 W KR 2016005806W WO 2016204432 A1 WO2016204432 A1 WO 20162044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skin
emitting source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8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귀삼
양용주
최규형
어해석
김동원
박희진
김상훈
신승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
Priority to US15/736,98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94952B2/en
Priority to EP16811845.3A priority patent/EP3315060B1/en
Publication of WO20162044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2044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4Evaluating skin marks, e.g. mole, nevi, tumour, s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8Laser speckle opt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부에 형성되는 투광서클; 그리고, 상기 헤드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투광서클을 바라보는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투광서클에 스펙클 이미징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제1 발광원; 그리고, 상기 투광서클과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투광서클을 바라보는 이미지센서 및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피부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과 진료 및 시술은 고비용의 문제가 있다. 또한, 자신의 피부상태에 대한 정확한 측정 또는 진단이 어려워 자신에게 맞지 않는 화장품 등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피부의 상태는 다양한 요소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피부의 탄력, 유분, 수분, 주름 등의 요소는 피부의 상태를 평가하는 몇몇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측정지표 또는 내력을 알 수 있다면 스스로 자신의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종래의 피부측정기기는 피부 클리닉을 위한 대형이거나, 소형의 경우 그 정밀도 또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의 상태를 적절히, 정밀하게 또는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another)은, 레이저 빛을 제공하여 스펙클 이미징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피부측정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 또는 분석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케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피부측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부에 형성되는 투광서클; 그리고, 상기 헤드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투광서클을 바라보는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투광서클에 스펙클 이미징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제1 발광원; 그리고, 상기 투광서클과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투광서클을 바라보는 이미지센서 및 렌즈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고,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제2 발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LD)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각각이 서로 다른 영역대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조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자외선과 근적외선 영역대 사이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헤드는: 상기 투광서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접촉부; 그리고, 상기 접촉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원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발광원은, 자외선, 가시광선, 그리고 근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대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측면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형성되는 함몰영역; 상기 함몰영역의 가운데 위치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고, 스펙클 이미징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제1 발광원; 그리고, 상기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고,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제2 발광원;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L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각각이 서로 다른 영역대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조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자외선과 근적외선 영역대 사이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헤드는, 함몰부와 이격되고, 상기 함몰부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접촉부; 그리고, 상기 접촉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원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발광원은, 자외선, 가시광선, 그리고 근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대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발광원은,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조사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지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에 실장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지표를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의 상태를 적절히, 정밀하게 또는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레이저 빛을 제공하여 스펙클 이미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피부측정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 또는 분석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케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피부측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발광원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원 및 렌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측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측정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원 및 렌즈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이미지의 예들을 나타낸다.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 순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8및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의 일 예들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색 보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 내지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바디(110), 헤드(120), PCB(130), 광제어부(140), 무선통신부(150), 전원공급부(160), 렌즈(170) 및 센서(180), 발광원(200), 전극(300), 버튼(190), 디스플레이(400) 그리고 기준차트(105)를 나타낸다.
바디(1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편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110)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120)는 바디(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헤드(120)는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되어 형성되고 바디(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헤드(120)는 함몰영역(12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헤드(120)는 접촉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부(124)는 헤드(12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PCB(130)는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 실장될 수 있다. PCB(130)는 전자 디바이스에 필요한 전자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는, PCB(130)는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전자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광제어부(140)는 바디 내부공간에 실장될 수 있다. 광제어부(140)는 발광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제어부(140)는 발광원(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릴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50)는 전자 디바이스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150)는 Wi-Fi, BT, NFC 등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전자소자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160)는 Li-ion 배터리 일 수 있다.
렌즈(170)는 바디(110)의 함몰영역(122)에 구비될 수 있다. 렌즈(170)는 광각(w)렌즈가 될 수 있다. 센서(180)는 렌즈(170)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외부 빛을 받아들여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180)는 CMOS, CCD 일 수 있다.
발광원(200)은 헤드(120)에 구비될 수 있다. 발광원(200)은 함몰영역(122)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원(200)은 렌즈(170) 둘레에 위치하도록 함몰영역(122)에 실장될 수 있다. 발광원(200)은 복수개 일 수 있다. 전극(300)은 헤드(120)의 접촉부(124)에 실장될 수 있다. 전극(300)은 복수개 일 수 있다.
버튼(190)은 바디(1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190)은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190)을 누르면 피부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피부측정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가 버튼(190)을 누르면 피부측정은 종료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바디(1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 및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기준차트(105)는 헤드(120)의 함몰영역(12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차트(105)는 RGB 또는 Gray 일 수 있다. 기준차트(105)는 렌즈(170) 및 센서(180)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정보의 기준은 White balance, 색 온도 등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바디(110), 헤드(120), 함몰영역(122), 접촉부(124), 제1 발광원(220), 제2 발광원(240), 렌즈(170), 그리고, 전극(300)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발광원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및 제2 발광원의 일 예로서, 레이저다이오드(a), 근적외선LED(b), 자외선LED(c), 가시광선LED(d), 그리고 렌즈 및 센서(e)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내용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펙클 이미징(speckle imaging)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피사체에 조사하고, 이들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의 중첩 또는 간섭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표면 또는 표면에 근접한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발광원(220)은 함몰영역(122)의 코너 또는 외곽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원(220)은 스펙클 이미징을 위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발광원(220)은 자외선과 근적외선 사이 영역대(자외선과 근적외선 영역을 포함한다)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원(220)은 450nm, 530nm, 650nm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원(220)은 레이저 다이오드(LD)일 수 있다. 제1 발광원(220)은 복수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발광원은 Red, Green, Blue 일 수 있다. Red LD(222)는 65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제공할 수 있고, Green LD(224)는 53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제공할 수 있고, Blue LD(220)는 45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두개(222,224)가 함몰영역의 두 코너에, 나머지(220)가 상기 두개(222,224)와 함께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발광원(240)은 함몰영역(122)에서 렌즈(170)와 제1 발광원(220) 사이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원(240)은 이미지획득을 위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원(240)은 자외선, 가시광선, 그리고 근적외선 중 어느 하나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원(240)은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제2 발광원(240)은 복수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룰 수 있고, 세트는 복수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세트는 Red, Green, Blue 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발광원(240)은 자외선영역, 가시광선영역, 그리고 근적외선영역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발광원(240)은 자외선 영역(405nm), 근적외선영역(930nm , 960nm)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발광원(240)은 3개의 세트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00)은 접촉부(124)에 위치할 수 있다. 전극(300)은 전극(300) 표면에 접촉되는 대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300)은 스위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극(300)에 피부 등을 접촉하면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발광원(220,240)에서 제공되는 빛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극(300)은 피부측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극(300)에 피부 등을 접촉하여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 상태는 수분, 유분 등의 함유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피부의 수분, 유분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극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전극은 전기적인 숫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육안으로 하나의 전극이라고 관찰되더라도, 전기적으로 복수개의 전극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다른(another)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두개(220,224)가 함몰영역(122)의 두 코너에, 나머지(222)가 상기 두개(220,224)와 함께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발광원은 3개의 세트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및 제2 발광원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발광원(220,222,224)은 각각이 삼각형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발광원(240,242,244)은 각각이 삼각형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두개(222,224)가 함몰영역(122)의 두 코너에, 나머지(220)가 상기 두개(222,224)와 함께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발광원은 3개의 세트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및 제2 발광원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발광원(220,222,224)은 각각이 삼각형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발광원(240,242,244)은 또한 각각이 삼각형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두개(220,224)가 함몰영역의 두 코너에, 나머지(222)가 상기 두개(220,224)와 함께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제2 발광원은 3개의 세트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함몰영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및 제2 발광원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발광원(220,222,224)은 각각이 원형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2 발광원(240,242,244)은 각각이 원형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복수개의 제1 발광원(260,262), 복수개의 제2 발광원(280,282,284,286,288,289), 그리고 렌즈(170)를 나타낸다.
복수갱의 제1 발광원(260,262)은 스펙클 이미징을 위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발광원(260,262)은 자외선과 근적외선 사이 영역대(자외선과 근적외선 영역을 포함한다)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제1 발광원(260,262)은 450nm, 530nm, 650nm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발광원(260,262)은 렌즈(170)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광원(260)은 렌즈(17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450nm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발광원(262)은 렌즈(17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650nm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발광원(280,282,284,286,288,289)은 렌즈(170)의 상하측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열은 렌즈(170)의 상측에, 제2 열은 렌즈(170)의 하측에 배열될 수 있다.
발광원들(280,282)은 자외선 또는 근적외선 영역대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원들(280,282)은 405nm, 930nm, 960nm 중 어느 하나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원들(284,286,288,289)은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거리(D1)는, 예를 들면, 30mm일 수 있다. 거리(D2)는 30mm일 수 있다. 거리들(D1,D2)은 헤드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리들은 헤드의 크기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각도에 의존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원 및 렌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발광원들(260,262), 렌즈(170), 그리고 피사체(99)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발광원들(260,280)은 도 8에서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170)가 빛을 수광하는 축을 광축이라 정의하고, 발광원들(260,262)이 빛을 조사하는 축을 조사축이라 정의한다. 조사축은, 발광원들(260,262)에서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피사체(99)에 반사되어 피사체(99)의 표면(표면은 피사체 외면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 깊이를 포함할 수 있다)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원(262)이 피사체(99)를 조사하는 각도(θ1)는 약 30~40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펙클 이미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발광원(260)이 피사체(99)를 조사하는 각도(θ2)는 약 30~40 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사체(99)의 난반사를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억제할 수 있다.
거리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렌즈와 발광원(260)간의 거리(D4)는 13~15mm일 수 있고, 렌즈와 발광원간(262)의 거리(D3)는 10mm일 수 있고, 발광원(260)의 높이(H3)는 17~22mm일 수 있고, 발광원(262)의 높이(H2)는 20~25mm일 수 있고, 렌즈의 높이(H1)은 25~30mm일 수 있다.
도 9 내지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측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는 PCB(135)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헤드(120)는 투광서클(IC)을 구비할 수 있다. 투광서클(IC)은 헤드(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투광서클(IC)은 접촉부(124)에 형성될 수 있다. 투광서클(IC)과 접촉부(124)는 헤드(12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는 투광서클(IC)을 향할 수 있다. 즉, 렌즈(170)와 이미지센서(180)는 투광서클(IC)에 접촉하는 피사체(99)를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렌즈(170)는 매크로(macro) 렌즈일 수 있다.
제1 발광원(260,262)은 렌즈(170)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발광원(260,262)은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조사각을 형성하며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발광원(260,262)은 발광소자(260S,262S), 그리고 렌즈(260L,262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260S,262S)는 405nm 또는 650nm의 빛을 제공하는 LD일 수 있다. 이때, 렌즈(260L,262S)는 발광소자(260S,262S)에서 제공하는 빛을 퍼트릴 수 있다. 발광소자(260S,262S)가 LD인 경우, 발광소자(260S,262S)에서 제공되는 빛은 직진성을 지닐 수 있다. 이는, 빛의 방사각이 좁은 것을 의미한다.
발광소자(260S,262S)가 좁은 방사각으로 빛을 제공하면, 투광서클(IC)의 전체에 빛을 비추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서클(IC)의 전체에 빛을 제공하기 위해 발광소자(260S,262S)는 렌즈(17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170)를 구비하는 발광소자(260S,262S)는 부품수가 증가하고, 정밀한 공정을 요구하게 되어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발광원(260,262)은 이미지센서(180) 또는 렌즈(17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원(260,262)은 투광서클(IC)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발광원(260,262)은 복수개의 발광소자(260,26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260,262)는 제1 발광소자(260), 그리고 제2 발광소자(2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180)는 투광서클(IC)로부터 일정한 거리(H1)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180)는 광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투광서클(IC)은, 예를 들면, 10 내지 12mm직경(ICD)을 지닐 수 있다. 이때,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는 투광서클(IC)을 모두 커버하는 화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광서클(IC)로부터 이미지센서(180)의 거리(H1)는 25 내지 30mm일 수 있고, 렌즈(170)는 매크로(macro) 렌즈일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는 이미지센서(18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262)는 이미지센서(18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와 제2 발광소자(262)는 이미지센서(18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는 이미지센서(18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미지센서(18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거리(D4)는 13 내지 15mm일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는 이미지센서(180)의 광축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2)를 유지하며 기울어진 조사축을 지닐 수 있다. 조사축이 광축으로부터 이루는 각도(θ2)는 25 내지 35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광소자(260)는 450nm파장의 빛을 제공하는 LD일 수 있다.
제2 발광소자(262)는 이미지센서(18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미지센서(18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거리(D3)는 10mm일 수 있다. 제2 발광소자(262)는 이미지센서(180)의 광축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1)를 유지하며 기울어진 조사축을 지닐 수 있다. 조사축이 광축으로부터 이루는 각도(θ1)는 25 내지 35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발광소자(262)는 650nm 파장의 빛을 제공하는 LD일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는 이미지센서(18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소자(260)는 이미지센서(180)의 좌측 또는 우측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가 이미지센서(18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거리(H3X)는 제1 발광소자(260)가 제공하는 빛이 투광서클(IC)에서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는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광소자(260)에서 제공되는 빛은 투광서클(IC)에서 1mW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262)는 이미지센서(18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발광소자(262)는 이미지센서(180)의 좌측 또는 우측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262)가 이미지센서(18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거리(H2X)는 제2 발광소자(262)가 제공하는 빛이 투광서클(IC)에서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는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발광소자(262)에서 제공되는 빛은 투광서클(IC)에서 1mW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발광소자(260) 및 제2 발광소자(262)가 제공하는 빛은 투광서클(IC)상에서 합산하여 1mW의 출력을 지니도록 제1 발광소자(260) 및 제2 발광소자(262)는 이미지센서(18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135)는 헤드(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35)의 평면은 헤드(120)의 내부에서 투광서클(IC)을 향할 수 있다. 베이스(135)는 광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35)는 투광서클(IC)로부터 일정거리(H1)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35)는 PCB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베이스(135)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PC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180)는 베이스(135)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렌즈(170)는 이미지센서(180)와 얼라인(align)을 맞춘 상태에서 베이스(135) 상에 장착(mount)될 수 있다.
광지지부(light source supporter: 510,520)는 베이스(135)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베이스(135)는 광지지부(510,52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광지지부(510,520)는 복수개의 광지지부들(510,520)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지지부들(510,520)은 제1 광지지부(510), 그리고 제2 광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지지부(520)에 대한 설명은 제1 광지지부(510)와 동일한 범위에서 생략한다.
제1 광지지부(510)는 수직부(512), 그리고 경사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512)는 베이스(135)의 후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512)는 베이스(135)의 후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512)는 베이스(135)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수직부(512)는 베이스(135)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514)는 수직부(512)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부(512)의 일단은 베이스(135)에 인접할 수 있고, 수직부(512)의 타단은 경사부(514)에 인접할 수 있다. 경사부(514)는 베이스(135)의 일측(a side)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514)는 수직부(512)의 타단에서 수직부(512)의 일단에 가까워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경사부(514)는 수직부(512)의 타단에서 수직부(512)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면서 베이스(135)의 일측(a side)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는 경사부(514)의 전면 일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제1 발광소자(260)의 위치는 베이스(135)로부터 13 내지 15mm의 거리(D4)만큼 이격될 수 있다. 경사부(514)의 전면은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의 광축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2)를 지니는 제1 발광소자(260)의 조사축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즉, 경사부(514)의 전면이 제1 발광소자(260)의 조사축의 접선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경사부(514)의 전면이 제1 발광소자(260)의 조사축과 접선을 이루지 않고, 제1 발광소자(260)의 조사축이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의 광축과 소정 각도(θ2)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측정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발광원(280,282)은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은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의 후방에서 투광서클(IC)을 향해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원(280,282)은 LED소자일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은 복수개의 발광소자들(280,28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들(280,282)은 제1 발광소자(280), 그리고 제2 발광소자(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80)는 투광서클(IC)을 향하여 빛(LA1)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282)는 투광서클(IC)을 향하여 빛(LA2)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80) 및/또는 제2 발광소자(282)가 제공하는 빛(LA)은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에 의해 가려져서 암부(D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암부(DA)는 투광서클(IC)을 통해 획득하는 이미지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발광원(280,282)은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은 렌즈(170)에 대하여 수평 상에 놓이거나 약간 후방에 놓일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은 복수개의 발광소자들(280,282)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들(280,282)은 제1 발광소자(280), 그리고 제2 발광소자(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80)는 투광서클(IC)을 향하여 빛(LA1)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282)는 투광서클(IC)을 향하여 빛(LA2)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80) 및/또는 제2 발광소자(282)가 제공하는 빛은 명부(L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명부(LA)는 투광서클(IC)를 통해 획득하는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원 및 렌즈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헤드(120)는 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120)는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120)는 리어커버(120H), 그리고 프런트커버(120C)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120)는 내부에 보스(B)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35)는 보스(B)에 의해서 헤드(1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광지지부(510,520)는 베이스(13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광지지부(510,520)는 복수개의 광지지부들(510,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광지지부들(510,520)은 제1 광지지부(510), 그리고 제2 광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지지부(510)는 베이스(135)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광지지부(520)는 베이스(135)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광지지부들(510,520)은 보스(B)의 옆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광지지부들(510,520)의 높이는 보스(B)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제1 발광원(260,262)의 제1 발광소자(260)는 제1 광지지부(5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발광원(260,262)의 제2 발광소자(262)는 제2 광지지부(5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60) 및 제2 발광소자(262)는 투광서클(IC)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스펙클 이미징을 위한 빛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발광원(260,262)은 LD일 수 있다.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는 베이스(13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284,286)은 이미지센서(180) 및/또는 렌즈(170)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284,286)은 복수개의 발광원들(280,282,284,28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원들(280,282,284,286)은 이미지센서(180) 및/ 또는 렌즈(170)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284,286)은 투광서클(IC)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원(280,282,284,286)은 LED일 수 있다. 제2 발광원(280,282,284,286)에 의해서 투광서클(IC)에 제공되는 빛은 투광서클(IC)에 인접하여 획득되는 피사체의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이미지의 일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a)는 405nm의 빛을 제공하여 얻은 피사체의 측정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5(b)는 650nm의 빛을 제공하여 얻은 피사체의 측정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5(c)는 자외선(UV)을 제공하여 얻은 피사체의 측정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9(d)는 가시광선을 제공하여 얻은 피사체의 측정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구성들에서, 도 15(a)(b)는 스펙클 이미징을 나타내고, 도 15(c)(d)는 난반사가 제거될 수 있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는, 도 8의 구성을 통해 얻어진 효과일 수 있고, 도 14의 구성을 통해 얻어진 효과일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 얻어진 효과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면, 도 15(a)(b)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들에 의해 사용자 피부의 거칠기, 탄력, 유분, 수분 등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5(c)(d)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들에 의해 사용자 피부의 유분, 수분, 모공, 색소 등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앞서 설명된 동일참조번호에 따른 동일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측정기(앞서, 전자 디바이스로 설명함)를 피부에 접촉한다(S10). 이때, 전극이 피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측정기가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먼저 누르고 측정기를 피부에 접촉하면, 피부의 접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측정기가 작동할 수도 있다. 측정기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S20). 피부 상태의 측정은 제1 발광원 및 제2 발광원이 피부에 빛을 제공하고 렌즈 및 센서가 피부에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30). 피부 상태 측정은 생성된 이미지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S40). 피부 상태 분석에 의해 피부지표들이 산출될 수 있다(S50). 피부지표들은, 예를 들면, 거칠기, 탄력, 유분, 수분, 모공, 기미, 색조 등 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측정기(앞서, 전자 디바이스로 설명함)를 피부에 접촉한다(S100). 이때, 전극이 피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측정기가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먼저 누르고 측정기를 피부에 접촉하면, 피부의 접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측정기가 작동할 수도 있다. 측정기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S200). 피부 상태의 측정은 제1 발광원 및 제2 발광원이 피부에 빛을 제공하고 렌즈 및 센서가 피부에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300).
이미지는 복수개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05nm 빛에 의해 이미지를 1초당 30~50프레임 생성할 수 있고, 650nm 빛에 의해 이미지를 1초당 30~50 프레임 생성할 수 있고, 자외선 LED, 적외선 LED, 가시광선 LED가 제공하는 빛에 의해 1~10 프레임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들은 서로 합산되어 피부 상태가 분석될 수 있다(S400). 피부 상태 분석(S500)에 의해 피부지표들이 산출될 수 있다(S600). 피부지표들은, 예를 들면, 거칠기, 탄력, 유분, 수분, 모공, 기미, 색조 등 일 수 있다. 산출된 피부지표들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S600). 한편, 산출된 피부지표들은 후술하는 사용자 피부상태의 히스토리 파악을 위해 저장될 수 있다(S700).
도 18및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의 일 예들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히, 도 18은 제1 발광원에 의한 피부 상태 측정 결과의 일 예들을 나타내고, 도 19는 제2 발광원에 의한 피부 상태 측정 결과의 일 예들을 나타낸다.
도 18(a)는 측정된 피부의 거칠기 상태의 분포를, 도 18(b)는 측정된 피부 탄력 상태의 분포를, 도 18(c)는 측정된 피부 유분 상태의 분포를, 도 18(d)는 측정된 피부 수분 상태의 분포를 나타낸다. 주목할 것은, 도 18(c)의 X 및 도 18(d)의 Y영역의 분포가 분산된 것이다. 분산은 측정의 정확성 또는 정밀도가 낮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9(a)는 측정된 피부의 유분 상태의 분포를, 도 19(b)는 측정된 피부 수분 상태의 분포를, 도 19(c)는 측정된 피부 모공 상태의 분포를, 도 19(d)는 측정된 피부 기미 상태의 분포를, 도 19(e)는 측정된 피부 색조 상태의 분포를 나타낸다. 주목할 것은, 도 19(a)의 Z 및 도 19(b)의W영역의 분포가 분산된 것이다. 분산은 측정의 정확성 또는 정밀도가 낮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의 측정 결과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다.
도 20(a)는 측정된 피부의 거칠기 상태의 분포를, 도 20(b)는 측정된 피부 탄력 상태의 분포를, 도 20(c)는 측정된 피부 유분 상태의 분포를, 도 20(d)는 측정된 피부 수분 상태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20(e)는 측정된 피부 모공 상태의 분포를, 도 20(f)는 측정된 피부 기미 상태의 분포를, 도 20(g)는 측정된 피부 색조 상태의 분포를 나타낸다. 주목할 것은, 모든 상태의 분포, 특히 유분과 수분의 분포가 고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고른 분포는 측정의 정확성 또는 정밀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전자 디바이스(100), 그리고 다른 전자 디바이스(500)를 나타낸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통신부(150: 도1참조)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5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전자 디바이스(500)는 이동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는 피부 관리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피부 관리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10)의 일 예가 도시된다.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본인의 피부 상태를 측정 후, 이동 단말기(500)에 산출 및/또는 저장된 피부 지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는 상기 지표를 송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상태를 이동 단말기(500)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상태 중 탄력에 관한 지표(520), 거칠기에 관한 지표(530), 또는 주름에 관한 지표(540)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피부 관리용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색 보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 그리고 기준차트(514)가 표시되는 이미지(512)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부분에서, 기준차트(514)가 사용자 피부를 측정할 때 동시에 또는 후에 측정 이미지(512)에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 중 측정된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마의 피부상태, 눈 주변의 피부상태, 볼의 피부상태, 또는 입 주변의 피부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부분에 대한 측정 이미지(512)와 기준차트(514)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준차트(514)는, 예를 들면, Red, Green, Blue, Gray scale 일 수 있다. 기준차트(514)의 색을 기준으로 측정된 이미지(512)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색상 또는 색조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고, 피부상태 측정의 정밀도 또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메인화면(551), 모공버튼(552), 주름버튼(553), 수분버튼(554), 측정일(555), 그리고 피부지표(556)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메인화면(551)을 선택하고, 모공버튼(552), 주름버튼(553), 수분버튼(55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측정일(55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측정일(555)에 측정된 피부지표(556)를 표시할 수 있다. 피부지표(556)는 사용자 피부의 전체 피부지표일 수 있고, 모공, 주름, 수분 등의 각각의 피부지표일 수도 있다. 피부지표(556)는 소정의 기준으로부터 상대적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일 수 있고, 절대 값을 나타내는 지수일 수도 있다.
도 24 내지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다. 메인화면(551), 모공버튼(552), 주름버튼(553), 수분버튼(554), 모공지표(552a), 주름지표(553a), 수분지표(554a), 탄력버튼(557), 유분버튼(558), 탄력지표(557a), 유분지표(558a)를 나타낸다.
도 24에서, 사용자는 메인화면(551) 중, 모공버튼(552)을 선택하여 모공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모공버튼(552)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모공 지표(552a)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에서, 사용자는 메인화면(551) 중, 주름버튼(553)을 선택하여 주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주름버튼(553)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주름 지표(553a)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6에서, 사용자는 메인화면(551) 중, 수분버튼(554)을 선택하여 수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수분버튼(554)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수분 지표(554a)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7에서, 사용자는 메인화면(551) 중, 탄력버튼(557)을 선택하여 탄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탄력버튼(557)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탄력 지표(557a)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8에서, 사용자는 메인화면(551) 중, 유분버튼(558)을 선택하여 유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유분버튼(558)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유분 지표(558a)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측정화면(561), 눈썹버튼(562), 이마버튼(563), 볼버튼(564), 그리고 측정위치(565)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측정화면(561)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피부 측정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눈썹버튼(562)을 선택하면 측정위치(565)를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이마버튼(563)을 선택하면 이마 중 측정위치(565)를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볼버튼(564)을 선택하면 볼 중 측정위치(565)를 알려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부를 측정할 측정위치(565)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히스토리화면(571), 측정일(572), 피부지표(573), 피부상태(574), 피부상태선택버튼(575), 그리고 관심일(576)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히스토리화면(571)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피부 측정과 관련된 히스토리를 표시할 수 있다. 히스토리는 가로축에 측정일(572), 세로축에 피부지표(573)를 표시할 수 있다. 히스토리는 피부상태별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피부상태선택버튼(575)에서, 수분, 유분, 주름, 탄력, 모공 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피부의 상태에 관한 히스토리를 표시할 수 있다. 피부지표(573)는 정량적인 수치 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피부상태는 선택된 피부상태별 정성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관심일(576)은 사용자가 피부를 측정한 어느 특정일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간별, 월간별, 년간별로 조회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1은 케어가이드화면(581), 추천 아이템들(582,583), 그리고 광고(584)를 나타낸다.
사용자의 측정된 피부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하거나 필요한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어가이드화면(581)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하거나 필요한 추천 아이템들(582,583)을 표시할 수 있다. 추천아이템들(582,583)은, 예를 들면 일종의 화장품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필요한 성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광고(584)를 표시할 수 있다. 광고(584)는 사용자가 추천아이템들(582,58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대한 광고일 수 있고, 랜덤하게 제공되는 광고일 수도 있다. 추천아이템들(582,583)은 해당 제품의 광고에 링크되거나,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따라서 피부과를 추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부에 형성되는 투광서클; 그리고,
    상기 헤드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투광서클을 바라보는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투광서클에 스펙클 이미징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제1 발광원; 그리고,
    상기 투광서클과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투광서클을 바라보는 이미지센서 및 렌즈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주위에 위치하고, 이미지 촬영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제2 발광원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LD)인 전자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각각이 서로 다른 영역대의 빛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조사 각도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원은, 자외선과 근적외선 영역대 사이의 빛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투광서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접촉부; 그리고,
    상기 접촉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원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발광원은, 자외선, 가시광선, 그리고 근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대의 빛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지표를 표시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실장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지표를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자 디바이스.
PCT/KR2016/005806 2015-06-16 2016-06-01 전자 디바이스 WO20162044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36,987 US10694952B2 (en) 2015-06-16 2016-06-01 Electronic device
EP16811845.3A EP3315060B1 (en) 2015-06-16 2016-06-01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841 2015-06-16
KR1020150084841A KR102383653B1 (ko) 2015-06-16 2015-06-16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432A1 true WO2016204432A1 (ko) 2016-12-22

Family

ID=5754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806 WO2016204432A1 (ko) 2015-06-16 2016-06-01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4952B2 (ko)
EP (1) EP3315060B1 (ko)
KR (1) KR102383653B1 (ko)
WO (1) WO201620443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5671A1 (fr) * 2017-05-26 2018-11-29 Neobie Sonde, système et procédé pour analyser la peau
CN110505838A (zh) * 2017-04-05 2019-11-2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使用布鲁斯特角的皮肤光泽测量
CN110740679A (zh) * 2017-04-05 2020-01-3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对皮肤光泽定量估计的皮肤光泽测量
CN111526780A (zh) * 2017-12-27 2020-08-1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成像皮肤的设备
EP3703553B1 (en) * 2017-11-02 2022-02-09 Koninklijke Philips N.V. Optical skin sensor and method for optically sensing skin parameters
EP4000503A4 (en) * 2019-07-15 2023-08-30 Medivel Bio Co., Ltd. IMAGE ACQUISI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72A (ko)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JP6885231B2 (ja) * 2017-07-06 2021-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検出装置および生体情報測定装置
KR102049040B1 (ko) * 2017-08-07 2019-11-2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생체용 거칠기 진단장치
KR102230680B1 (ko) * 2017-12-21 2021-03-22 주식회사 베이바이오텍 비접촉식 피부 측정 장치
EP3701854B1 (en) * 2019-02-27 2024-02-07 L'oreal Device for inspecting a hair sample
JPWO2020196196A1 (ko) * 2019-03-26 2020-10-01
CN213551697U (zh) * 2019-05-09 2021-06-29 T·尼克尔斯 个人护理设备
CN211749541U (zh) * 2019-10-18 2020-10-27 励富创瑞士控股有限公司 皮肤检测系统
KR102331320B1 (ko) * 2019-12-06 2021-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진단 기기
US20210182705A1 (en) * 2019-12-16 2021-06-17 7 Trinity Biotech Pte. Ltd. Machine learning based skin condition recommendation engine
USD1000624S1 (en) 2019-12-27 2023-10-03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device with camera
KR102512136B1 (ko) * 2020-06-16 2023-03-21 주식회사 다올메드 It기술이 접목된 빛 조사장치
KR102378195B1 (ko) * 2020-10-27 2022-03-28 주식회사 케이씨테크놀러지 피부 및 모발 측정 및 분석 시스템
USD971407S1 (en) * 2021-03-03 2022-11-2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Oral screening device
USD971406S1 (en) * 2021-03-03 2022-11-2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Oral screening device
USD971408S1 (en) * 2021-03-03 2022-11-2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Oral screening device
KR20230136456A (ko) *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케이씨테크놀러지 모발 검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728A (ko) * 2003-06-28 2005-01-14 가부시키 가이샤 테라바이트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 장치
JP2005168894A (ja) * 2003-12-12 2005-06-30 Futek Inc 美容機器
US20110159463A1 (en) * 2008-07-10 2011-06-30 L'oreal Device for treating human keratinous material
KR20130005598A (ko) * 2011-07-06 2013-01-16 문성모 광 조사기,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44940B1 (ko) * 2014-03-27 2014-09-26 대신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기능 피부 미용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879A (ja) * 1998-05-29 1999-12-07 Ya Man Ltd レーザ脱毛装置
JP3577439B2 (ja) * 2000-03-21 2004-10-13 ヤーマン株式会社 レーザ光照射プローブ
US7220254B2 (en) * 2003-12-31 2007-05-22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Dermatological treatment with visualization
US20080123106A1 (en) 2004-12-27 2008-05-29 Bc Cancer Agency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JP4745084B2 (ja) * 2006-03-03 2011-08-10 富士通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11029086A2 (en) * 2009-09-04 2011-03-1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ultimodal laser speckle imaging
KR101949152B1 (ko) 2012-06-15 2019-0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적합 화장정보 제공 방법
WO2014151114A1 (en) 2013-03-15 2014-09-25 Vasoptic Medical Inc. Ophthalmic examination and disease management with multiple illumination modalit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728A (ko) * 2003-06-28 2005-01-14 가부시키 가이샤 테라바이트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 장치
JP2005168894A (ja) * 2003-12-12 2005-06-30 Futek Inc 美容機器
US20110159463A1 (en) * 2008-07-10 2011-06-30 L'oreal Device for treating human keratinous material
KR20130005598A (ko) * 2011-07-06 2013-01-16 문성모 광 조사기,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44940B1 (ko) * 2014-03-27 2014-09-26 대신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기능 피부 미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5838A (zh) * 2017-04-05 2019-11-2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使用布鲁斯特角的皮肤光泽测量
CN110740679A (zh) * 2017-04-05 2020-01-3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对皮肤光泽定量估计的皮肤光泽测量
WO2018215671A1 (fr) * 2017-05-26 2018-11-29 Neobie Sonde, système et procédé pour analyser la peau
EP3703553B1 (en) * 2017-11-02 2022-02-09 Koninklijke Philips N.V. Optical skin sensor and method for optically sensing skin parameters
CN111526780A (zh) * 2017-12-27 2020-08-1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成像皮肤的设备
EP4000503A4 (en) * 2019-07-15 2023-08-30 Medivel Bio Co., Ltd. IMAGE ACQUISITION DEVICE
US11979650B2 (en) 2019-07-15 2024-05-07 Medivel Bio Co., Ltd. Image acquisition device for diagnosing and analyzing state of a targ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5060B1 (en) 2020-10-14
KR20160148185A (ko) 2016-12-26
KR102383653B1 (ko) 2022-04-07
EP3315060A1 (en) 2018-05-02
US10694952B2 (en) 2020-06-30
US20180168456A1 (en) 2018-06-21
EP3315060A4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4432A1 (ko) 전자 디바이스
WO2017155265A1 (ko) 다중 분광 이미징 디바이스
WO2012067423A2 (ko)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온도측정장치
US7876955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which calculates and displays color grade data and display image data
WO2016085085A1 (ko) 콘택트렌즈 가상 피팅 방법, 장치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101380A1 (ko) 광학식 피부질환 진단장치
WO2017164562A1 (ko) 시력 검사 방법, 시력 검사기 및 이 시력 검사 방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다운로더 서버
WO2021133090A2 (ko)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7209422A2 (ko) 대상체의 성분 분석이 가능한 분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235914A1 (ko)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WO2020242254A1 (en) Electronic device obtaining skin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164375A2 (ko)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변화 측정 장치, 방법 및 블루라이트 조사 장치
JP2010097126A (ja) 顔照明装置及び該顔照明装置を用いた測色装置
WO2018143651A1 (ko)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WO2019074201A1 (ko)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엑스선 디텍터 및 엑스선 영상 촬영 시스템
WO2020105954A1 (ko) 가변파장의 피부 영상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질환 진단장치
JP5074987B2 (ja) 顔撮影装置及び測色装置
WO2020080631A1 (ko)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WO20201495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in structured depth camera system
WO2020032556A1 (ko)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WO2022216008A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
WO2021045359A2 (ko) 체액 테스트기
WO2021112329A1 (ko) 피부 진단 기기
WO2022065847A1 (ko) 광학 센서의 오차 보정 방법 및 장치와, 생체정보 추정 장치
WO2024101857A1 (ko) 컬러 조명과 카메라를 이용한 도포 농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118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36987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