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86374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86374A1
WO2016186374A1 PCT/KR2016/005004 KR2016005004W WO2016186374A1 WO 2016186374 A1 WO2016186374 A1 WO 2016186374A1 KR 2016005004 W KR2016005004 W KR 2016005004W WO 2016186374 A1 WO2016186374 A1 WO 20161863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ce
refrigerator
compartment
bucket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0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진
이재승
김윤영
박용종
서국정
장도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29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636407A/zh
Priority to EP16796701.7A priority patent/EP3299749B1/en
Priority to US15/575,223 priority patent/US10254031B2/en
Publication of WO20161863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863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25D13/04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the compartments be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제1저장실과, 제1저장실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실과,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와,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과,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중간벽으로서, 베이스부와, 제빙 공간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중간벽을 포함하고, 제빙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아이스 버킷의 적어도 일부는 제빙 공간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상측의 제1저장실의 실사용 공간과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아이스를 제조하는 제빙기와,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제공하는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의 위치와, 도어의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즉, 냉장고는 냉장실이 상측에 마련되고 냉동실이 하측에 마련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과, 냉장실이 하측에 마련되고 냉동실이 상측에 마련되는 TMF(Top Mounted Freezer)형과, 냉동실이 좌측에 마련되고 냉장실이 우측에 마련되는 SBS(Side By Side)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BMF형 냉장고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과,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가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4 Door 형을 포함한다.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기도 한다.
BMF형 냉장고의 경우, 일반적으로 냉장실의 일 측 코너에 냉장실과 단열되는 별도의 제빙실이 마련되고, 상기 제빙실에 제빙기가 배치된다. 또한, 냉장실 도어에 디스펜서가 마련되어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디스펜서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냉장실에 제빙기와 아이스 버킷 등이 배치되므로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냉장실의 실사용 공간이 잠식되고, 특히 냉장실 일 측 코너에 제빙기와 아이스 버킷 등이 돌출되게 배치되어 냉장실의 공간 활용성이 저해된다. 또한, 아이스 버킷의 전면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심미감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측의 제1저장실과 하측의 제2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제빙기와 디스펜서가 제2저장실 측에 마련되어 제1저장실의 실사용공간이 확대되고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제1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실;과,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및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중간벽으로서, 베이스부와, 제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중간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아이스 버킷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단차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중간벽 전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절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장치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송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아이스 리프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저장실은 냉동실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제1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실;과,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및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중간벽으로서, 베이스부와, 제1제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1단차부와, 제2제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단차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단차부를 포함하는 중간벽; 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제빙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빙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제빙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제빙기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저장실은 냉동실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제1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와, 얼음을 제조하도록 상기 제2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외부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2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도어는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한 쌍의 제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한 쌍의 제2도어 중에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2도어의 수직 방향 중간 높이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트레이는 전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트레이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트레이는 신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얼음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도어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에 연결되어 얼음을 배출하는 배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노즐은 전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노즐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노즐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저장실은 냉동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측의 제1저장실과 하측의 제2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제빙기 및 아이스 버킷 등이 제2저장실에 배치되므로 제1저장실의 실사용 공간이 확대되고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측의 제1저장실과 하측의 제2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제빙기 및 아이스 버킷 등이 중간벽의 제빙 공간에 히든되므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측의 제1저장실과 하측의 제2저장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디스펜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아이스 리프팅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아이스 리프팅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제1저장실(60)과, 제1저장실(60)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70)과, 제1저장실(60)을 개폐하는 제1도어(20,30)와, 제2저장실(70)을 개폐하는 제2도어(40,50)와, 제1저장실(60)과 제2저장실(7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제1저장실(60)은 냉장실이고, 제2저장실(70)은 냉동실일 수 있다. 제1도어(20,30)는 냉장실 도어이고, 제2도어(40,50)는 냉동실 도어일 수 있다. 즉, 냉장고(1)는 4 도어를 갖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4 Door를 갖는 BMF 형 냉장고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상측과 하측에 서로 구획되는 저장실이 마련되는 구조라면 도어의 개수 및 형태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BMF 형뿐만 아니라 TMF 형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본체(10)는 냉장실(60)과 냉동실(7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12)과,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3)를 포함한다. 외상(12)은 강도 및 심미감이 좋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상(11)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13)는 우레탄 발포 단열재이거나 진공 단열재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갖고, 상부벽(15)과, 바닥(16)과, 후벽(17)과, 좌우의 측벽과, 냉장실(60)과 냉동실(70)을 구획하는 중간벽(130)을 포함한다.
냉장실(60)과 냉동실(70)은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용도와, 내부의 온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냉장실(60)은 식품을 얼리지 않고 냉장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될 수 있다. 냉동실(70)은 식품을 냉동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대략 섭씨 0 ~ 영하 30 도로 유지될 수 있다.
냉동실(70)은 실내 온도와의 차이가 냉장실(60) 보다 더 크기 때문에 냉동실(70) 단열재의 두께는 냉장실(60) 단열재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냉장실(60)의 크기는 냉동실(70)의 크기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실(60)에 보관할 식품의 양이 냉동실(70)에 보관할 식품의 양 보다 많기 때문이다.
냉장실(60) 및 냉동실(70)에는 식품을 올려 놓기 위한 선반(61,71) 및 식품을 밀폐 보관하기 위한 박스(72)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30,40,5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30,40,50)의 전면에는 도어(20,30,40,50)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31,41,5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30,40,50)는 저장실(60,70) 단열을 위한 단열재(24,44)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70)의 도어(40,50)는 냉장실(60)의 도어(20,30)에 비해 더 두꺼운 단열재(44)를 가질 수 있다.
도어(20,30,40,50)는 식품을 저장하도록 배면에 마련되는 도어 가드(22,42)를 가질 수 있다. 도어(20,30,40,50)의 배면에는 본체(10)와 밀착하여 저장실을 밀폐할 수 있도록 가스켓(23,43)이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23,43)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20,30,40,50) 배면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23,43)의 내부에는 마그넷이 마련되어, 본체(10)와 도어(20,30,40,50)가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냉동실의 도어(40,50) 중에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8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80)는 후술하는 제빙기(90)에서 생성된 얼음을 냉동실(70)의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냉동실 도어(40,5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디스펜서(80)를 통해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펜서(80)는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냉동실 도어(40)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는 디스펜싱 공간(81)과, 얼음을 받을 수 있는 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용기 트레이(82)와, 얼음을 안내하도록 냉동실 도어(4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슈트(83)와, 디스펜싱 공간(81)으로 얼음을 배출하는 얼음 배출 노즐(8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80)는 디스펜서 작동을 위한 레버(86)와, 슈트(83)와 배출 노즐(84)를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연장 호스(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80)는 얼음 뿐만 아니라 물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디스펜서(80)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최대한 냉동실 도어(4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펜서(80)가 낮은 곳에 있으면 사용자가 디스펜서(80)를 사용 시에 허리를 구부리거나 앉아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디스펜서(80)는 적어도 냉동실 도어(40)의 수직 방향의 중간 지점 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냉기를 냉장실(60)과 냉동실(70)에 공급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압축기(6)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장치(미도시)와, 증발기(2,4)와, 송풍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6)는 본체 후방 하부에 마련되는 기계실(7)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90)와, 제빙기(9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90)는 급수, 제빙, 이빙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제빙기일 수 있다. 제빙기(90)는 물을 급수받고 냉각시키는 복수의 제빙셀을 갖는 제빙 트레이(91)와, 제빙 트레이(91)에서 제조된 얼음을 제빙 트레이(91)에서 이빙시키는 이젝터(92)와, 이젝터(9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빙 모터(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92)는 이빙 모터(95)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이젝터 축(93)과, 이젝터 축(93)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빙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긁어 올리는 이젝터 핀(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90)는 간냉식 방식이나 직냉식 방식으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제빙 트레이(91)는 냉동실(70)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거나, 또는 제빙 트레이(91)에 냉매관이 직접 접촉하여 제빙 트레이(91)에 냉각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제빙 트레이(91)의 하측에 마련되어 제빙 트레이(91)에서 이빙된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스 버킷(10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에는 얼음이 만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에는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1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장치(110)는 아이스 버킷(100)에 저장된 얼음을 전방으로 이송하여 얼음이 디스펜서(8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 장치(110)는 이송축(111)과, 이송축(111)에서 반경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돌출되는 나선 날개(112)와, 이송축(11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 모터(11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 모터(113)가 구동되면 이송축(111)과 나선 날개(112)가 회전하고, 나선 날개(112)는 얼음을 이송축(111)의 축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제빙기(90)와, 아이스 버킷(100)은 중간벽(130)에 의해 형성되는 제빙 공간(134)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제빙 공간(134)에 제빙기(90)의 적어도 일부와, 아이스 버킷(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중간벽(130)은 본체(10)의 일부로서, 후벽(17)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중간벽(130)은 상측의 냉장실(60)과, 하측의 냉동실(70)을 구획하고, 도어(20,30,40,50)를 밀착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간벽(130)은 내부에 단열재(13)를 포함하여 냉장실(60)과 냉동실(70)을 단열시킬 수 있다.
중간벽(130)은 베이스부(131)와, 제빙 공간(134)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부(131) 보다 높게 위치되는 단차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31)와 단차부(133)는 각각 대략 수평하게 마련되고, 베이스부(131)와 단차부(133)는 소정의 높이 차(H,도 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차는 베이스부(131)의 최하단과 단차부(133)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한다.
제빙 공간(134)은 베이스부(131)와, 단차부(133)와, 후벽(17)의 사이에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빙 공간(134)은 냉동실(70)의 일부일 수 있다.
베이스부(131)와, 단차부(133)의 사이에는 연장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132)는 베이스부(131)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단차부(133)는 연장부(132)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2)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31)에는 냉장실의 도어(20,30)와, 냉동실의 도어(40,50)가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31)에는 냉장실 도어(20,30)의 가스켓(23)과, 냉동실 도어(40,50)의 가스켓(43)이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벽(130)의 절곡된 형태로 인해 제빙 공간(134)이 형성되고, 제빙 공간(134)에 제빙기(90)의 적어도 일부와 아이스 버킷(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기(90)는 그 전체가 제빙 공간(134)에 수용되고 아이스 버킷(100)은 그 전단부 일부가 제빙 공간(134)에 수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빙기(9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빙기(90)의 이젝터 축(9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90)는 중간벽(130)의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의 전단부에는 이송된 얼음을 분쇄할 수 있는 분쇄 칼날(104)과, 얼음을 아이스 버킷(100)의 디스펜서(80)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03)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103)에서 토출되는 얼음은 디스펜서(80)의 슈트(83)를 통해 디스펜싱 공간(81)으로 자연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스 버킷(100)의 토출구(103)는 적어도 슈트(83)의 입구 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아이스 버킷(100)의 저장 공간 중에 적어도 일부는 아이스 버킷(100)의 토출구(103) 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송 장치(110)는 아이스 버킷(100)에 저장된 얼음을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이송한다. 즉, 이송 장치(110)의 이송축(111)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아이스 버킷(100)의 하부에는 아이스 버킷(100)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아이스 리프팅 장치(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 버킷(100)의 저장 공간 중에 적어도 일부는 아이스 버킷(100)의 토출구(103) 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고, 이송 장치(110)의 이송축(111)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아이스 리프팅 장치(120)는 얼음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플레이트(121)와, 리프팅 플레이트(121)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121)는 아이스 버킷(100)의 일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 플레이트(121)는 평상 시에 아이스 버킷(100)의 바닥(105)에 눕혀 있다가 구동 장치가 구동되면 일단에 마련된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타단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과, 이송 장치(110)의 이송 모터(113)는 냉동실(70)에 마련되는 지지 부재(140)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0)는 본체(10)의 후벽(17)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기(90)의 적어도 일부와 아이스 버킷(100)의 적어도 일부가 제빙 공간(134)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빙 공간(134)은 충분한 전후 길이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단차부(133)의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마련되어야 한다. 즉, 단차부(133)의 전후 방향 길이(A,도 3)는 중간벽(130)의 전체의 전후 방향 길이(B,도 3)의 적어도 절반 보다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빙기(90)와 아이스 버킷(100)이 상측의 냉장실(60)이 아닌 하측의 냉동실(70)에 배치되므로, 냉동실(7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장되는 식품의 양이 많은 냉장실(60)의 실사용 공간이 확대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40)를 개방하였을 때, 제빙기(90)와 아이스 버킷(100)의 적어도 일부는 제빙 공간(134)에 수용되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80)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최대한 냉동실 도어(40)의 상부에 마련되고 있으나, 사용상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디스펜서(80)의 용기 트레이(82) 또는 배출 노즐(84)이 사용 시에 전방 또는 상방으로 팝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용기 트레이(82) 또는 배출 노즐(84)은 디스펜서 미사용 시에는 냉동실 도어(40)에 밀착되어 있다가 디스펜서(80)의 사용 시에 전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용기 트레이(82) 또는 배출 노즐(84)의 팝업은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트레이(82)와 배출 노즐(84)은 냉동실 도어(40)에 대해 틸팅(tilting)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용기 트레이(82)는 상단의 회전축(8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배출 노즐(84)은 용기 트레이(82)에 결합되어 용기 트레이(82)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출 노즐(84)과 슈트(8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85)는 자바라 형태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배출 노즐(84)이 회전하여도 슈트(83)와 배출 노즐(84)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0)는 제빙기(290)가 제1실시예와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제빙기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었으나, 제2실시예에서 제빙기(29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제빙기(290)는 물을 급수받고 냉각시키는 복수의 제빙셀을 갖는 제빙 트레이(291)와, 제빙 트레이(291)에서 제조된 얼음을 제빙 트레이(291)에서 이빙시키는 이젝터(292)와, 이젝터(29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292)는 이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이젝터 축(23)과, 이젝터 축(293)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빙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긁어 올리는 이젝터 핀(2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290)의 이젝터 축(29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기(290)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됨으로써, 중간벽(130)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다소 길어질 수 있으나, 아이스 버킷(100)의 상단 높이가 높아져서 아이스 버킷(100)의 저장 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냉장고(300)는 냉장실(60)과 냉동실(70)을 구획하는 중간벽(330)을 갖는다.
중간벽(330)은 베이스부(331)와, 제1제빙 공간(334)를 형성하도록 베이스부(331)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1단차부(333)와, 제2제빙 공간(337)을 형성하도록 제1단차부(333)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단차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31)와, 제1단차부(333)와, 제2단차부(336)는 각각 대략 수평하게 마련되고, 베이스부(331)와 제1단차부(333)는 소정의 높이 차(H1)를 갖고, 제1단차부(333)와 제2단차부(336)는 소정의 높이 차(H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높이 차는 베이스부(331)의 최하단과, 제1단차부(333)의 최하단과, 제2단차부(336)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한다.
제1제빙 공간(334)은 베이스부(331)와, 제1단차부(333)와, 후벽(17)의 사이에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제빙 공간(337)은 제1단차부(333)와, 제2단차부(336)와, 후벽(17)의 사이에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제빙 공간(337)은 제1제빙 공간(334)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제빙 공간(334)과 제2제빙 공간(337)은 냉동실(70)의 일부일 수 있다.
베이스부(331)와, 제1단차부(333)의 사이에는 제1연장부(3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연장부(332)는 베이스부(331)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단차부(333)는 제1연장부(332)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332)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차부(333)와, 제2단차부(336)의 사이에는 제2연장부(3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연장부(335)는 제1단차부(333)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단차부(336)는 제2연장부(335)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부(335)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331)에는 냉장실의 도어(20,30)와, 냉동실의 도어(40,50)가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331)에는 냉장실 도어(20,30)의 가스켓(23)과, 냉동실 도어(40,50)의 가스켓(43)이 밀착될 수 있다.
제1제빙 공간(334)에는 아이스 버킷(1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0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제빙 공간(337)에는 제빙기(9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제빙기(9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90)는 중간벽(33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빙기(90) 및 아이스 버킷(100)이 중간벽(330)에 완전히 히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400)는 제빙기(490)가 제3실시예와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다.
즉,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 제빙기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었으나, 제4실시예에서 제빙기(49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제빙기(490)는 물을 급수받고 냉각시키는 복수의 제빙셀을 갖는 제빙 트레이(491)와, 제빙 트레이(491)에서 제조된 얼음을 제빙 트레이(491)에서 이빙시키는 이젝터(492)와, 이젝터(49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492)는 이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이젝터 축(493)과, 이젝터 축(493)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빙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긁어 올리는 이젝터 핀(4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490)의 이젝터 축(49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490)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됨으로써, 중간벽(330)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다소 길어질 수 있으나, 제2단차부(336) 및 제2제빙 공간(337)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므로 냉장실(60)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펜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최대한 냉동실 도어(40)의 상부에 마련되고 있으나, 사용상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디스펜서의 용기 트레이 또는 배출 노즐은 사용 시에 전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트레이(582)는 디스펜싱 공간(581)에 고정되는 고정 트레이(582a)와, 고정 트레이(582a)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트레이(58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용기 트레이(582)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용기 트레이(582)는 디스펜서 미사용시에는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디스펜서의 사용시에 전방으로 신장될 수 있다.
얼음을 토출시키는 배출 노즐(584)은 디스펜싱 공간(581)에 고정되는 고정 노즐부(584a)와, 고정 노즐부(584a)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 노즐부(584b)와, 제1이동 노즐부(584b)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 노즐부(584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 노즐(584)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출 노즐(584)은 디스펜서 미사용시에는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디스펜서의 사용시에 전방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트레이(582)와 배출 노즐(584)의 텔레스코픽 방식은 용기 트레이(582)와 배출 노즐(584)의 이동 구조의 일 례일 뿐이며, 그 밖에 회전 방식, 폴딩 방식, 슬라이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실;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및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중간벽으로서, 베이스부와, 제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중간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아이스 버킷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 공간에 수용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중간벽 전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절반 보다 큰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송축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아이스 리프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저장실은 냉동실인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제1제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1단차부와, 제2제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단차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제빙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빙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제빙 공간에 수용되는 냉장고.
PCT/KR2016/005004 2015-05-20 2016-05-12 냉장고 WO20161863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29042.5A CN107636407A (zh) 2015-05-20 2016-05-12 冰箱
EP16796701.7A EP3299749B1 (en) 2015-05-20 2016-05-12 Refrigerator
US15/575,223 US10254031B2 (en) 2015-05-20 2016-05-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30 2015-05-20
KR1020150070330A KR101998570B1 (ko) 2015-05-20 2015-05-2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6374A1 true WO2016186374A1 (ko) 2016-11-24

Family

ID=5732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004 WO2016186374A1 (ko) 2015-05-20 2016-05-12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54031B2 (ko)
EP (1) EP3299749B1 (ko)
KR (1) KR101998570B1 (ko)
CN (1) CN107636407A (ko)
WO (1) WO20161863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3138A1 (en) * 2016-12-29 2018-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22206851A1 (zh) * 2021-04-01 2022-10-0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电器制冰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7326B2 (en) * 2019-07-08 2021-07-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dispens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lumping
DE102022111275A1 (de) 2022-03-29 2023-10-05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DE102022118681A1 (de) 2022-05-23 2023-11-23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985A (ko) * 2005-01-25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01371A (ko) * 2012-03-05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4006000A (ja) * 2012-06-25 2014-01-16 Toshiba Corp 冷蔵庫
WO2015056977A1 (ko) * 2013-10-16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 트레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50048349A (ko) * 2013-10-28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6295A (en) * 1968-01-03 1969-11-04 Henri E Telfer Liq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dispensing top closure
JP2001280836A (ja) 2000-03-31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JP4028779B2 (ja) * 2002-08-19 2007-12-26 株式会社東芝 コンプレッサの冷媒漏れ検知装置
US6648187B1 (en) * 2002-09-13 2003-11-18 Eugene G. Shypkowski Extendable spout for use with ice and water dispensers
KR20050022804A (ko) * 2003-08-30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100510698B1 (ko)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CN100552346C (zh) * 2004-04-12 2009-10-2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的分配器
US7455085B2 (en) * 2004-06-04 2008-11-25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US8353177B2 (en) * 2004-09-27 2013-01-15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ice from a bottom mount refrigerator
CN101004313B (zh) * 2006-01-18 2011-02-02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可旋转托盘的冰箱分配器
KR20080022466A (ko) * 2006-09-06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775403B1 (ko) 2011-01-10 2017-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203565054U (zh) * 2013-11-30 2014-04-30 淄博方中化工有限公司 桶装固体料高温化料装置
CN203753199U (zh) * 2014-03-28 2014-08-06 宜昌市亚泰陶瓷有限责任公司 一种墙砖转运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985A (ko) * 2005-01-25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01371A (ko) * 2012-03-05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4006000A (ja) * 2012-06-25 2014-01-16 Toshiba Corp 冷蔵庫
WO2015056977A1 (ko) * 2013-10-16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 트레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50048349A (ko) * 2013-10-28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99749A4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3138A1 (en) * 2016-12-29 2018-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80077586A (ko) *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8266946A (zh) * 2016-12-29 2018-07-10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8266946B (zh) * 2016-12-29 2020-09-29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118826B2 (en) 2016-12-29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38471B1 (ko) * 2016-12-29 202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206851A1 (zh) * 2021-04-01 2022-10-0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电器制冰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9398A1 (en) 2018-05-31
EP3299749A1 (en) 2018-03-28
CN107636407A (zh) 2018-01-26
US10254031B2 (en) 2019-04-09
EP3299749A4 (en) 2018-05-02
KR20160136612A (ko) 2016-11-30
EP3299749B1 (en) 2021-06-30
KR101998570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86374A1 (ko) 냉장고
WO2015056977A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WO2012150785A1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0114186A1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EP3194868A1 (en) Refrigerator
WO2011081499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30564A1 (en) Refrigerator
WO2011037342A2 (en) Refrigerator
WO2020159205A1 (ko) 냉장고
WO2020130618A1 (en) Refrigerator
WO2016036005A1 (en) Refrigerator
WO2016017951A1 (en) Refrigerator
WO2010120091A2 (en)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WO2021167284A1 (en) Refrigerator
WO2018135790A1 (en) Refrigerator
WO2019190006A1 (ko) 냉장고
WO2019190055A1 (ko) 냉장고
WO2019066489A1 (ko) 냉장고
WO2018088841A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6688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41412A1 (ko) 냉장고
WO2022131721A1 (ko) 냉장고
WO2021107367A1 (ko) 복수 개의 저장실 갖는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WO2020017775A1 (ko) 냉장고
WO2021141410A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967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7522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9670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