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40499A1 -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창출방법 - Google Patents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창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40499A1
WO2016140499A1 PCT/KR2016/002060 KR2016002060W WO2016140499A1 WO 2016140499 A1 WO2016140499 A1 WO 2016140499A1 KR 2016002060 W KR2016002060 W KR 2016002060W WO 2016140499 A1 WO2016140499 A1 WO 20161404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nearly polarized
birefringent medium
medium
polarized light
linear pola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0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욱
김주원
Original Assignee
최욱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욱, 김주원 filed Critical 최욱
Priority to CN201680013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407762B/zh
Priority to US15/555,501 priority patent/US10746912B2/en
Priority to EP16759135.3A priority patent/EP3267429A4/en
Publication of WO20161404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404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color using polarization and birefringen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 the case of irradiating the display means after th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changed for each wavelength by birefring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generating devic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colors that increase the color generated by the display means.
  •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mea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means is arranged a birefringent medium for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ation means for each wavelength and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olarization means is irradiated Will be displayed.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55010 Name: color generating device using polarized light to create a high saturation or a deep color. This relates to the arrangement of three polarizing means and at least two birefringent media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r saturation of the color produc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high tendency of linear polarization even if the light (visible ray) entering the polarization means that is polarized and passes through the birefringence medium to generate color is linearly polarized or elliptically polarized for wavelengths, which helps in color generation.
  • circular polarization or elliptical polarization close to circular polarization does not contribute to color generation. Therefore, if the polarization state by wavelength increases, the linear polarization or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for each wavelength is increased and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an be different. We found that the color saturation, if any, could be improved, and more colorful colors could be created.
  • linear polarization means that if the polarization state of light is placed on one side and circular polarization is on the other side, the elliptical polarization will be between them. It can be said that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s close to.
  • the wavelengths of any two colors of visible light are linearly polarized light. If the angle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rections are the same or the angles are not the same, the colors according to the two wavelengths are mixed to improve the color. It won't help. Therefore, when different wavelengths of different colors are linearly polarized,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s are sur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mproving color by increasing saturation and increasing color diversity.
  • increasing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of light or increasing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means that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of the light (visible ray) is high in overall polarization state, and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each wavelength is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a way to increase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tendency of the ligh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sul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capable of receiving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passing the birefringence medium to increase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 the state where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changed for each wavelengt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early polarized light increasing means comprising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to transmit and receive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n the form of a film, sheet or plate, the liquid crystal is excluded,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rranged in sequence so that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sequentially, wherei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are not the same as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re no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degree of phase delay is visible.
  • the first birefringence is arranged so as to form an angle between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and -20 ° to 20 ° or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It is irradiated by, to reflect or transmit only the light in a specific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to provide a color generating device to create an improved color by increasing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means that the user sees do.
  • the phase retardation degree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900 nm to 1200 nm with respect to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400 nm to 700 nm) or with respect to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of 550 nm.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an angle betwe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n angle between 25 ° and 65 ° or between -25 ° and -65 °.
  •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is mor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45 ° or -4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has a first birefringence direction in which one of its major axes coincides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or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ither major axis of the medium.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 1 / 4 ⁇ retarder.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preferably exhibits a phase delay between 100 nm and 180 nm in green wavelength (560 nm).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ing through the linearly polarized means
  •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preferably a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means.
  • the linearly polarized means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may be sequentially attached to each other.
  • the display means may comprise a base member and polarizing mean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 the polarizing mean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is preferably any one of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sheet or a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ation means is adjacent to each other can form a plurality of polarization zones different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 the display means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of liquid, glass, crystal, acrylic, polycarbonate, transparent paint or plastic which partially reflects the incident light from the surface and partially transmits the light therein It may be made of.
  • the linearly polarized means,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may be rotated together.
  • the main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and transmitted,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a second birefringent medium;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n the form of a film, sheet or plate, the liquid crystal is excluded,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rranged in sequence so that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sequentially, wherei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are not the same as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re no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degree of phase delay is visible.
  •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is arranged so as to form an angle between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20 ° and 20 ° or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 a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form an angle of -20 ° to 20 ° with the direc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y one major axis of the vagina.
  • the phase retardation degree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900 nm to 1200 nm with respect to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400 nm to 700 nm) or with respect to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of 550 nm.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an angle betwe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n angle between 25 ° and 65 ° or between -25 ° and -65 °. Further,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mor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the major axes thereof are 45 degrees or -45 degrees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has a first birefringence direction in which one of its major axes coincides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or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ither major axis of the medium.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 1 / 4 ⁇ retarder.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preferably exhibits a phase delay of 100 nm to 180 nm at green wavelength (560 nm).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ing 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preferably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 the linearly polarizing means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passes, and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may be sequentially attached to each other.
  • the main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nearly polarized light propagation means comprising: a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a second birefringent medium to transmit and receive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n the form of a film, sheet or plate, the liquid crystal is excluded,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rranged in sequence so that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sequentially, wherei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has an angle between 25 ° to 65 ° and a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whose main axes are incident or from -25 ° to -65 °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is disposed such that an angle of one of its major axes forms an angle between ⁇ 20 ° and 20 ° with a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t an angle between ⁇ 20 ° and 20 °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symmetric about one main axi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45 ° or -4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has a first birefringence direction in which one of its major axes coincides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or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ither major axis of the medium.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 1 / 4 ⁇ retarder.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preferably exhibits a phase delay of 100 nm to 180 nm at green wavelength (560 nm).
  • the main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on and transmitted. It comprises a second birefringent medium, wherei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n the form of a film, sheet or plate, the liquid crystal is excluded,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sposed sequentially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and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has a major axis betwe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between 25 ° and 65 °.
  • a second birefringence medium the direction of one of the major axe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to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and a -20 ° angle.
  • a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arranged to achieve an angle of between 20 °.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45 ° or -4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has a first birefringence direction in which one of its major axes coincides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or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ither major axis of the medium.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 1 / 4 ⁇ retarder.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preferably exhibits a phase delay of 100 nm to 180 nm at green wavelength (560 nm).
  • the main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ntering linearly polarized light into a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incident to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is dispos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an angle between 25 ° and 65 ° or an angle between -25 ° and -6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liquid crystal is excluded, and a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thod, which is made from synthetic resin or natural resin, is provided.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45 ° or -4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has a first birefringence direction in which one of its major axes coincides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or the linearly polarized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direc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ither major axis of the medium.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a 1 / 4 ⁇ retarder.
  • the main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to change the polarization direction for each wavelength.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tends to increase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That is,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tends to be high for each wavelength, and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for each wavelength is different. Accordingly, the light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irradiated with the increased light of the linear polarization tends to improve color saturation and to produce more colorful colors.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lor generating device for creating an improved color by increasing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to 8 is a view showing the phase delay relative to the wavelength for each wavelength in the visible region for the phase delay of the birefringent medium is 500nm, 600nm, 700nm, 800nm, 900nm and 1000nm, respectively;
  • FIG. 11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condition of the main axi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 FIG. 13 shows that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FIG. 12;
  • FIG. 1 illustrates a color generating apparatus 1000 that increases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reate an improved color.
  • a light source 8 is provided, and a linear polarizing means 1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8, and in front of the linear polarizing means 10.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are sequentially installed.
  • the linearly polarized means 10 refers to linearly polarized light while receiving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8, and generally,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sheet, or a polarizing plate used to linearly polarize the light may be used.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to say that birefringence while receiving the light to pass through it,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quid crystal is excluded, is made from synthetic resins such as PP, PET or PC, or made from natural resins or other minerals such as cellophane or natural glass.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form a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8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10, and the light thus linearly polarized passes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sequentially arranged. do.
  • these linear polarizing means 10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are sequentially attached to each other, these linear polarizing means 10,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rotating together.
  • This rotation is made around the direction (optical axis) whe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8 travels, i.e., the optical axis as the rotation axis. As described later, the color generated by the display means 500 changes according to the rotation.
  • the display means 500 is to see the user by polarizing the incident light, the polarizing means such as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sheet or a polarizing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 the polarizing means such as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sheet or a polarizing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 the base member may be opaque, translucent or transparent.
  •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polarizing means and is reflected from the base member and passes out again through the polarizing means (when the base member is opaque or translucent) or passes through the base member (the base member is translucent or Transparent), the user sees this light to form a display.
  • the translucent base member some light is reflected and passes again through the polarizing means, and some light passes through the base member.
  •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display means 500 described above.
  • the base member 50 is provided and a polarizing film which is a polarizing means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 the polarizing film comprises a plurality of polarization zones 51, 52, 53, and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polarization zones 51, 52, 5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se polarization zones 51, 52, 53 may form a letter, pattern, or character as a whole, and are D-shaped in this drawing.
  • the display means 500 polarizes the incident light and is visible to the user. By the way,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is transmitted and at the same time a part is reflected on the surface, the reflected light is all or part of the polarization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the reflection angle and the refraction angle.
  • the display mean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lass, acrylic, polycarbonate, crystal, or other plastic material, and the reflection of the light at the same time as the transmission of a part of the light.
  • a glass plate, a sculpture made of crystal material, a liquid such as a transparent film, water, or the like may be the display mean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300 and the display means 500 are mutually
  • the display means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cident light to selectively reflect or transmit only light in a specific polarization direction to be displayed to a user.
  • FIG. 1 shows that light 70a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8 passes 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1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300 is irradiated to the display means 500, and the light 70a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 the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at 500 and the user sees the light reflected by the polarized light at the display means 500 to form a display.
  • the display means 500 creates the color. If the display means 500 i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display means 500 has zones with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different colors are generated between zone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and the colors generated are Make a difference.
  • the display means 500 is a polarizing means such as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sheet or a polariz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s shown in Figure 2 the linear polarizing means 10,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ce Even when the medium 30b is stopped and the display means 500 rotates, the color generated by the display means 500 changes, and the polarization means provided on the base member is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zones, different colors are generated between zones in which polarization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generated colors vary.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arranged such that its principal axes are not the same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lso have a phase delay degre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0 nm to 1400 nm with respect to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400 nm to 700 nm).
  • the uniaxial crystal when the uniaxial crystal has an optical axis included in the plane, the polarized light that generates the normal ray or the extraordinary ray and the extraordinary ray
  • the direc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two polarization directions are called the principal axes of the crystal, which are usually divided into a fast axis and a slow axis, so that the high axis and the low axis are Although vertical, these high and low speed axes are preferably contained in the same plane when the medium is in the form of a plate, in the form of a film, sheet or plate.
  • biaxial crystals In the case of biaxial crystals, biaxial crystals have two optical axes, have three main axes, and the refractive index (ie, the speed of light) is different for each of the three major axes. In the case where light passes through a plane including two main ax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main axis, the two main axes on the plane have the propagation of light polarized in the other main axis direction The faster ones can be seen as the high and low axes, respectively, and these two main ax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may be uniaxial crystals or biaxial crystals.
  • the optical axis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plane, and the pair In the layering determination,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polarized light to pass through the plane including two of the three main ax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main axis.
  •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is a plate-shaped in the form of a film, sheet or plate, in the case of uniaxial crystals, the plane including the optical axis, the high axis and the low axis, and 3 in the case of biaxial crystals It is preferable that a plane including two main axes among the two main axes forms a surface other than the side forming the thickness in the plate shape.
  • birefringent medium made by artificially stretching chemical resin or natural resin, etc.
  • most of them are plate-shaped, and in the case of uniaxial crystal, the plane including optical axis, high axis and low axis is biaxial crystal. It is common that a plane including two main axes among three main axes constitutes a surface other than the side forming the plate-shaped thickness.
  • the plate-shaped first birefringent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are preferably disposed such that the plane including the two main axes is locate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light propagation.
  • the high-speed axis and the low-speed axis are called 'axes', and in the biaxial determination, the remaining two main axes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light travel except for the main axis in the direction of light propagation, respectively.
  • the high-speed and low-speed axes will be called 'axes'.
  • the main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are located i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each of them.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disposed such that any one of its major axes does not become the same direction as the linear plane direction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is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Causes phase delay for each wavelength.
  • the phase delay made i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0 nm to 1400 nm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region (400 nm to 700 nm).
  • Visible light is usually light whose wavelength is between 400 nm (purple) and 700 nm (red).
  • FIGS. 3 to 8 show visible light when the birefringence medium is 500 nm, 600 nm, 700 nm, 800 nm, 900 nm and 1000 nm, respectively.
  • the phase delay relative to the wavelength that is, the phase delay indicat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wavelength lambda (lambda)
  • the phase delay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gree of phase delay of the birefringent medium changes, it can be seen that the phase delay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for each wavelength changes.
  • a phase delay of at least one 1/2 lambda of visible light may occur.
  • the phase retardation of the birefringent medium is 600 nm
  • the birefringence medium has a phase delay value smaller than 600 nm, there are no two wavelengths having two phase delay values of 1/2 and ⁇ in the visible light region.
  • the polarization state of each wavelength is linearly polarized, and the higher the linear polarization is, the more preferable it will be.
  • the linear polarization will be performed immediately if the phase delay is 1 / 2 ⁇ or ⁇ to 0. Then, the absence of a phase delay wavelength of 1 / 2 ⁇ and ⁇ means that there is no wavelength having linear polarization corresponding to the phase delay in the wavelengths of the visibl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preferably has a phase delay of 600 nm or more and two or more wavelengths of linear polarization in the visible light region due to the phase delay.
  • the wavelengths of the phase delay of 1/2 lambda and lambda are respectively different in polarization directions.
  • phase delay of the birefringent medium increases, the phase delay for each wavelength is evenly distributed. 3 to 8, it can be seen that the phase delay of each wavelength is evenly distributed as the phase delay of the birefringent medium increases to 600 nm, 700 nm, 800 nm, 900 nm, and 1000 nm.
  • phase retardation of the birefringent medium goes beyond 900 nm to 1000 nm, the overlapping phase delay occurs.
  • the overlap of phase delays for each wavelength means that the wavelengths of different colors are the same, but the polarization states are the same, and when colors are generated in the display means 500, the colors of different colors are mixed to desaturate.
  • the phase delay for each wavelength is evenly distributed and not overlapping,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optimal value from these criteria.
  • the phase retardation value of 2 ⁇ which is the longest red color of 700 nm, is about 1400 nm, and if it exceeds, the overlapping portion may be too wide and difficult. Therefore, as the upper limit, the phase delay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preferably 1400 nm.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has the best saturation in that the phase delay is between 900 nm and 1200 nm.
  • the phase retardation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preferably between 600nm and 1400nm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visible light, preferably between 900nm and 1200nm.
  • the most evenly distributed phase delay in the visible light region (400 nm to 700 nm) is 933.33 nm,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phase delay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933.33 nm.
  • the phase delay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preferably between 600 nm and 1400 nm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visible light, preferably between 900 nm and 1200 nm,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and depending on the medium.
  • the refractive index at (the speed of light at that wavelength in the medium) can vary slightly, and can actually be based on 550 nm, which is the middle of the visible wavelength range for convenience.
  • the phase retardation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in the range of 600 nm to 1400 nm with respect to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of 550 nm, and may be said to be preferably between 900 nm and 1200 nm.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any one of the major axis betwe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20 ° to 20 ° A direction in which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that is disposed to form an angle (FIG. 10B) or that is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one main axi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form an angle between -20 ° and 20 ° (Fig.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any one of the major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ce
  •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medium 30a or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s arranged to mat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one main axi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t is good to be. (FIG. 10A)
  • the wavelength having a phase delay of ⁇ relative to the wavelength is maintained at a1 such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incident polarization, but the wavelength having a phase delay of 1 / 2 ⁇ relative to the wavelength is one main axis (P1) of the birefringence medium. ) Is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P2.
  • the wavelength whose phase delay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is 1 / 2 ⁇ has the polarization direction equal to any one of the birefringent medium. It becomes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axis P1 (P2). (See FIG. 9C)
  •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10 is a1, and any one direction of the main axis of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corresponds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a1 or the polarization direction a1. Is a direction a32 symmetrical to any one of the main axes P1 and p2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 the original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lambda]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symmetrical to either main axi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refore, if one main axis of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coincides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original linear polarization means, the other main axis of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naturally changes the original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lambda] to either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It becomes a direction (1 / 2 ⁇ ) symmetrical to the main axis and eventually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original linear polarization means.
  • the main axes a31 and a32 of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coincide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a1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or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 the major axes a31 and a32 of the C1) pass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respectively, and coincide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wavelength at which the phase delay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becomes ⁇ or the wavelength becomes 1 / 2 ⁇ .
  • a wavelength having a contrast phase delay of ⁇ or 1 / 2 ⁇ passes through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without phase delay.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passes through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and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maintained while being emitted.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oes not affect the exis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thereby making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linearly polarized. You can do it.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linearly polarized in which one of its major axes (one of a31 or a32 in FIG. 10 (a)) is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 the light is arranged so as to form an angle betwe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rection a1 of light and -20 ° (a311 ') to 20 ° (a311).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has one of its major axes (one of a31 or a32 of FIG. 10 (a)) incident on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 the direction of the main axis of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30b coincides with the polarization direction a1 of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or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larization direction a1 of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is symmetrical to the main axis of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Most preferably, it is emitted while maintaining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However, even when the direction of the main axis of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in the range of -20 ° to 20 ° as described above. It is based on the results of sensory experiments that maintain saturation and maintain a constant level.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has a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a1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whose main axes are incident and an angle between 25 ° and 65 ° or an angle between -25 ° and -65 °.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disposed such that its major axes form 45 ° or ⁇ 4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a1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is arranged such that the directions a21 and a22 of the major axes form 45 ° or ⁇ 4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a1 of the linear polarization means 10.
  • the vector component divided by ⁇ 45 ° of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is the vector size.
  • a phase delay of 3 / 4 ⁇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formed.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then subjected to a 1 / 4 ⁇ retarder (1 / 4 ⁇ retarder, 1 / 4 ⁇ phase retarder to visible light, that is, to visible light, strictly visible light.
  • a phase delay between 100 nm and 180 nm for visible light (strictly with respect to green wavelength (560 nm) of visible light).
  • the wavelength causing the phase delay of 1/2 lambda h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 the wavelength component that become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causes the phase delay of ⁇ is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the sam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as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direction, and the wavelengths that cause the phase delay of 1 / 4 ⁇ and 3 / 4 ⁇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o.
  • linearly polarized light When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to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to form an angle of 45 ° or -45 ° with its main axes, it passes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with reference to FIG. 13.
  • linearly polarized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101a), originally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linearly polarized light (103a), two circularly polarized light (102a) (104a) with a different rotation direction between each other and the wavelength between them They form elliptical polarizations depending on their phase delay.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passes through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and when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employs a 1 / 4 ⁇ phase retarder and its main axes are the same as or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inearly incident linear polarization, Referring to FIG. 13,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s 102a and 104a are linearly polarized light 102b and 104b which form an angle of 45 ° or -45 ° with the direction of linearly incident light due to the 1 / 4 ⁇ phase delay.
  • the ones 101a and 103a which were originally the same or perpendicular to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birefringent medium 30a are outputted while maintaining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s it is (101b) and 103b.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to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to form an angle of 45 ° or -45 ° with the main axis and then adjust the phase delay degree and the placement angle of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Linear polarization tends to be maximized.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has an angle a21 between 25 ° and 65 ° or an angle a21 between 25 ° and 65 °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whose main axes are incident, or between -25 ° and -65 °.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achieve an angle a22.
  • the directions of the major axes of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so as to form an angle of 45 ° or -45 ° with the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a1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but the angle between 25 ° and 65 ° or- Even when placed at an angle of between 25 ° and -65 °, the result is a result of sensory experiments in which saturation does not drop sharply and maintains a certain level.
  •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is a 1 / 4 ⁇ phase retarder so that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passed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to be linearly polarized.
  • a quarter lambda retarder is also called a quarter lambda wave plate, a quarter-wave plate, or the like.
  • a phase delay of 100 nm to 180 nm with respect to visible light (strictly with respect to green wavelength (560 nm) of visible light) It is desirable to show that 100nm is 1 / 4 ⁇ of purple (400nm) and 180nm is about 1 / 4 ⁇ of red (700nm), which in turn is 1 / 4 ⁇ phase delay in the visible region when in the range 100nm to 180nm. This is because the effect can be close to. In this case, most preferably, 1/4 of 560nm is 140nm, so it is preferable to be 140nm.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becomes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an elliptical polarization close to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thus, linearly polarized light or at least linearly polarized l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having a phase delay of 100 to 180 nm.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to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passes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to increase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and generate the chroma saturation. Can be improved and colorful colors can be created.
  •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30a and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30b may be uniaxial crystals or biaxial crystals.
  • the optical axis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plane.
  • the optical axis is included in the plane, or in the biaxial crystals, the polarized light is left in the plane including two main axes of the three.
  • the first birefringence medium and the second birefringenc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 birefringent medium.
  • the degree of phase delay of visible light that has been linearly polarized above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birefringent medium should be between 600 nm and 1400 nm, preferably between 900 nm and 1200 nm, and the visible light incident and passed through the second birefringent medium.
  • the degree of phase delay of the line should be 100 nm to 180 nm, preferably 140 nm, with respect to the green wavelength (560 nm) of visible light.
  • the optical axis is included in the plane, or in the biaxial crystals, light polarized in the plane including two of the three main axes is the other main axis.
  • the variety of colors, the saturation of the colors, etc. may fall.
  • FIG. 14 shows a color generating device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8a, 8b, 8c are provided, and linear polarizing means 10a, 10b, 10c and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300a for each of the light sources 8a, 8b, 8c. 300b and 300c are provided.
  • each of the light sources 8a, 8b and 8c passes through each of the linear polarizing means 10a, 10b and 10c and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increasing means 300a, 300b and 300c to display the same display means. (500).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8a, 8b, 8c blink each other.
  • the color generated by the display means 500 also changes as the blink.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wo birefringent media to pass through linearly polarized incident light while adjusting the arrangement or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birefringent media to maximize the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of the emitted light.
  •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aturation of the displayed color and to create a colorful col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색상창출장치(1000)는 광원(8)과 상기 광원(8)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부착된 선편광수단(10), 제1복굴절매질(30a) 그리고 제2복굴절매질(30b)을 가지고, 이들 선편광수단(10), 제1복굴절매질(30a) 그리고 제2복굴절매질(30b)과 이격되어 설치된 디스플레이수단(500)을 가진다.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주축이 상기 선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은 그 주축이 상기 선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과 동일하거나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1/4파장판이 사용된다.

Description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창출방법
본 발명은 편광 및 복굴절 현상을 이용하여 색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빛을 복굴절에 의하여 파장별로 편광방향들이 달라지게 한 후에 디스플레이 수단에 조사하는 경우에 있어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창출되는 색상을 개선하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을 창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및 제2편광수단의 사이에 제1편광수단을 통과한 빛을 파장별로 편광방향을 다르게 하는 복굴절매질을 배치하고 이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빛을 조사하면 제2편광수단을 투과하는 빛은 색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장치들을 발명하여 왔으며, 이들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70627호(발명의 명칭: 보는 위치에 따라 색상과 모양이 변하여 보일 수 있는 편광디스플레이 장치), 제10-2012-0070519호(발명의 명칭: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환장치), 제10-2011-0124247호(발명의 명칭: 편광조명시스템) 등으로 출원되었다.
이와 같이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에서 편광을 이용하여 색상을 창출함에 있어서, 다채로운 색을 창출 할 수 있고 또한 창출되는 색은 채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색상창출장치가 광고간판 등에서 사용될 때 채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다채로운 색상이 창출될수록 사람의 주목을 끌고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편광을 이용하여 색상을 창출하는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면서 그 창출되는 색의 품질을 개선시키고자 노력하여 왔으며, 그 노력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55010호(발명의 명칭: 높은 채도 또는 짙은 농도의 색을 창출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 창출 장치)를 출원하였다. 이것은 세 개의 편광수단과 적어도 두 개의 복굴절매질을 배치하여 창출되는 색상의 농도 또는 채도를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자는 편광되어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색이 창출되는 편광수단으로 진입하는 빛(가시광선)이 파장별 편광상태에서 선편광이거나 또는 타원편광이라도 선편광의 경향이 높은 것은 색상 창출에 도움이 되나, 원편광 또는 원편광에 가까운 타원편광의 것은 색상 창출에 도움이 되지 않고, 따라서 만약 파장별 편광상태에서 파장별로 선편광 내지 선편광 경향이 높은 것을 많게 하고 동시에 그 파장에 따른 선편광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면 창출되는 색의 채도가 개선되고, 또한, 더욱 다채로운 색을 창출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선편광의 경향이 높다는 것은 빛의 편광상태를 예를 들어 원편광을 한쪽에 놓고 다른 한쪽은 선편광을 놓는다면 이들의 사이는 타원편광들이 될 것인데, 원편광에서 선편광 쪽으로 갈수록 그 진동상태가 직선에 가까워지는 것으로서 선편광경향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가시광선의 어떠한 두 가지 색상의 파장이 선편광이라고 가정하고, 만약 그 선편광방향들의 방향이 동일하거나 또는 방향이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각도의 차이가 작은 경우는 그 두 파장에 따른 색상이 혼합되어 색상개선에 도움이 되지는 못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색상의 서로 다른 파장이 선편광이 되는 경우 가능한 한 그 선편광방향은 서로 확실히 다른 것이 채도를 개선하고 색상의 다양성을 증가시켜 색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빛의 선편광경향이 증가한다 또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빛(가시광선)의 파장별 편광상태에 있어 전체적으로 선편광경향이 높은 것을 많게 하고 동시에 파장별 선편광 방향을 서로 확실히 다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빛의 선편광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왔으며 본 발명은 그 결과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빛의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색상을 개선할 수 있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을 창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편광된 빛을 받아 복굴절매질을 통과시켜 각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달라진 상태에서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출력할 수 있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동일하지 않고 그리고 수직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되며, 또한 그 위상지연정도가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600nm 에서 1400nm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선편광 된 빛이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것으로서, 입사된 빛 중 특정 편광방향의 빛만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게 되는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정도는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900nm에서 1200nm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 사이의 위상지연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선편광된 빛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선편광수단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은 상기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과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편광필름, 편광시트 또는 편광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편광구역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여 입사되는 빛을 그 표면에서 일부 반사시키고, 일부는 그 내부로 투과시키는 액체, 유리, 크리스털,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투명 도료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 제1복굴절매질 및 제2복굴절매질은 같이 회전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과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은 다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다수개의 광원은 상호간에 점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제1복굴절매질과; 그리고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여기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동일하지 않고 그리고 수직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되며, 또한 그 위상지연정도가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600nm 에서 1400nm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정도는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900nm에서 1200nm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선편광된 빛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선편광수단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은 상기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과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선편광 된 빛이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것으로서, 입사된 빛을 편광시켜 사용자에게 보이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나아가서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어 상기 제1복굴절매질을 통과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어 상기 제1복굴절매질을 통과한 빛이 제2복굴절매질로 입사되어 상기 제2복굴절매질을 통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달라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제2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나가면서 그 선편광경향이 증가된다. 즉 파장별로 선편광경향이 높은 것이 많아지게 되며, 그 파장별 선편광방향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선편광경향이 증가된 빛을 조사받은 디스플레이수단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빛은 색의 채도가 개선되고 더욱 다채로운 색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디스플레이수단의 예를 보이는 도면;
도 3에서 도 8은 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이 각각 500nm, 600nm, 700nm, 800nm, 900nm 및 1000nm인 경우에 대하여 가시광선영역에서 파장별로 파장대비 위상지연을 보이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의 배치조건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제1복굴절매질의 주축의 배치조건을 보이는 도면;
도 12는 가장 이상적인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배치조건을 보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배치에 따라 선편광경향이 증가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1000)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8)이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 광원(8)에서 방출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방에는 선편광수단(10)이 설치되고, 상기 선편광수단(10)의 전방에는 순차적으로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이 설치된다.
상기 선편광수단(10)은 광원(8)의 빛을 받아 이를 통과시키면서 선편광을 시키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선편광을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편광필름, 편광시트, 또는 편광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은 모두 빛을 받아 이를 통과시키면서 복굴절을 이루는 것을 말하는데, 본 발명에서 이들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은 통상적으로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를 가지고, 액정은 제외되며, PP, PET 또는 PC 등과 같이 합성수지로부터 만들어지거나 또는 셀로판과 같이 천연수지 또는 기타 광물이나 천연유리 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들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이 본 발명에 따른 선편광경향증가수단(300)을 이루게 된다.
상기 광원(8)에서 방출된 빛은 선편광수단(1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이 되고, 이렇게 선편광이 된 빛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을 통과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들 선편광수단(10)과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은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선편광수단(10), 제1복굴절매질(30a), 제2복굴절매질(30b)은 같이 회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회전은 광원(8)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진행하는 방향(광축)을 중심으로 즉 광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창출되는 색상은 변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 광원(8)에서 방출되어 선편광수단(10)을 통과하여 선편광이 된 빛은 이후 선편광경향증가수단(300)을 통과하여, 즉 순차적으로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을 통과하고, 이후, 디스플레이수단(500)으로 조사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은 입사된 빛을 편광시켜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인데, 베이스부재에 편광필름, 편광시트 또는 편광판 등의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불투명의 것이거나 또는 반투명이거나 투명한 것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빛은 편광수단을 통과하고 베이스부재에서 반사되어 다시 편광수단을 통과하여 나가거나 (베이스부재가 불투명 또는 반투명인 경우) 또는 베이스부재를 투과하여 나가게 되고 (베이스부재가 반투명 또는 투명인 경우), 이러한 빛을 사용자가 보게 되어 디스플레이를 이루게 된다. 반투명의 베이스부재의 경우 일부 빛은 반사되어 다시 편광수단을 통과하여 나가고, 일부 빛은 베이스부재를 투과하여 나가게 된다.
도 2는 전술한 디스플레이수단(500)의 일 예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50)가 제공되고 그 앞면에 편광수단인 편광필름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편광필름은 다수개의 편광구역(51)(52)(53)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편광구역(51)(52)(53)들 상호간의 편광방향은 서로 다르다.
이들 편광구역(51)(52)(53)이 전체로서 글자, 문양, 또는 캐릭터 등의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본 도면에서 D자를 이루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은 입사된 빛을 편광시켜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이다. 그런데, 입사된 빛의 일부가 투과되면서 동시에 그 표면에서 일부가 반사되는 것은 입사각, 반사각 및 굴절각에 따라 그 반사광이 전부 또는 일부 편광을 이룬다. 따라서 유리,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크리스털, 기타 플라스틱 재질 등의 것으로서 빛의 일부의 투과와 동시에 표면에서 반사가 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수단(50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판이나, 크리스털 재질의 조형물, 투명 필름, 물 등의 액체 등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500)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편광 된 후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300)을 통과한 빛이 디스플레이수단(500)에 조사되는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300)과 디스플레이수단(500)은 상호간에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은 입사되는 빛 중 특정 편광방향의 빛만을 선별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사용자에게 보여 디스플레이를 이루게 된다.
도 1은 광원(8)에서 방출되어 선편광수단(10)을 거치고 이후 선편광경향증가수단(300)을 통과한 빛(70a)이 디스플레이수단(500)으로 조사되고, 이 빛(70a)이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편광되어 반사되고 사용자가 이렇게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편광되어 반사된 빛을 보게 되어 디스플레이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보인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색이 창출되어 보이고, 상기 선편광수단(10)과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이 같이 회전을 이루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창출되는 색은 변화를 이루고, 만일 디스플레이수단(500)이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구역을 가지는 경우, 상호간에 편광방향이 다른 구역들 사이에서는 상호간에 다른 색이 창출되고 이렇게 창출되는 색들은 각각 변화를 이룬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이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베이스부재에 편광필름, 편광시트 또는 편광판 등의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인 경우 상기 선편광수단(10)과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이 정지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수단(500)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창출되는 색은 변화를 이루고,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구역을 이루는 경우, 상호간에 편광방향이 다른 구역들 사이에서는 상호간에 다른 색이 창출되고 이렇게 창출되는 색들은 각각 변화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주축들(principal axes)이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동일(평행)하지 않고 그리고 수직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되며, 또한 그 위상지연정도가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600nm 에서 1400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복굴절매질 중 일축성(Uniaxial) 결정에서 광축(Optic Axis)이 평면 내에 포함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정상광선(Ordinary Ray 또는 Ordinary wave) 및 이상광선(Extraordinary Ray 또는 Extraordinary Wave)을 만들어 내는 편광의 방향은 서로 수직이고, 이 두 편광방향은 결정의 주축들(Principal Axes)이라 불리며, 이러한 주축들은 통상 고속축(Fast Axis)과 저속축(Slow Axis)으로 나뉘어지며, 따라서 고속축과 저속축은 서로 수직인데, 이들 고속축과 저속축은 매질이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인 판상형인 경우 모두 동일평면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굴절매질 중 쌍축성(Biaxial)결정의 경우 광축이 두 개 형성이 되고, 세 개의 주축을 갖게 되며, 굴절율(즉 빛의 속력)이 세 주축에 대해 각기 다르게 되는 바, 이러한 복굴절매질의 경우에는 두 개의 주축을 포함한 평면을 빛이 나머지 하나의 주축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경우, 그 평면상의 두 개의 주축은 그 중 하나의 주축방향으로 편광된 빛의 진행이 나머지 하나의 주축방향으로 편광된 빛의 진행보다 빠른 경우 각각 고속축과 저속축으로 볼 수가 있으며 이 두 주축은 서로 수직이다.
위와 같은 쌍축성 결정의 경우 위와 같이 빛이 세 개의 주축 중 어느 하나의 주축방향으로 통과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빛의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두 개의 광선(정상광선, 이상광선, 쌍축성 결정의 경우 이상광선만 2개인 경우도 있음)을 발생시키는 편광방향의 방향이 서로 수직인 경우에는, 그 중 하나의 광선의 진행속도가 나머지 하나의 광선의 진행속도보다 빠를 경우에는 각각의 광선의 편광방향을 고속축과 저속축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은 일축성 결정이거나 쌍축성 결정일 수 있는데, 일축성 결정인 경우 광축이 평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쌍축성 결정에서는 세 개 중 두 개의 주축을 포함한 평면을 편광된 빛이 나머지 하나의 주축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복굴절매질 및 제2복굴절 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인 판상형으로서, 일축성 결정인 경우에는 광축과 고속축 및 저속축이 포함된 평면이, 그리고 쌍축성 결정인 경우에는 3개의 주축가운데 두 개의 주축을 포함하는 평면이 판상형에서 두께를 구성하는 쪽이 아닌 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적으로 화학수지 또는 천연수지를 연신하는 등의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복굴절매질의 경우는 대부분 판상형이고, 일축성 결정인 경우에는 광축과 고속축 및 저속축이 포함된 평면이, 쌍축성 결정인 경우에는 3개의 주축가운데 두 개의 주축을 포함하는 평면이 판상형의 두께를 구성하는 쪽이 아닌 면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판상형의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은 그 두 개의 주축이 포함된 평면이 빛의 진행방향에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바람직한 경우를 기본으로 설명하겠다.
그리고 일축성 결정에 있어서는 고속축과 저속축을 합하여 '주축들(axes)'이라 하고, 쌍축성 결정에 있어서는 빛이 진행하는 방향의 주축을 제외한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상의 나머지 두 주축을 각각 고속축과 저속축으로 보고 '주축들(axes)'이라고 하겠다.
이에 따라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은 이들 각각에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그 주축들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주축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평광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어 통과하는 선편광된 빛은 파장별로 위상지연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이렇게 제1복굴절매질(30a)에서 이루어지는 위상지연은 가시광선영역의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해, 600nm 에서 1400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가시광선은 통상 파장이 400nm(보라)에서 700nm(적색)의 사이에 있게 되는 빛인데 도 3에서 도 8은 각각 복굴절매질이 위상지연 500nm, 600nm, 700nm, 800nm, 900nm 및 1000nm인 경우에 대하여 가시광선영역(400nm에서 700nm)에서 파장별로 파장대비 위상지연(즉 파장의 길이 λ(lambda)를 기준으로 표시된 위상지연)을 보이는 것으로, 복굴절매질에 의한 위상지연이 발생하면 가시광선의 각 파장별로 파장대비 위상지연이 서로 다르게 되고, 또 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 정도가 변화함에 따라 각 파장별 파장대비 위상지연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볼 경우, 복굴절매질이 600nm이상의 위상지연이 있을 때, 가시광선 중 적어도 한 개의 1/2λ의 위상지연이 발생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이 600nm일 때 가시광선 중 400nm의 보라색 파장에 대하여는 1/2λ의 위상지연이 있게 되며, 동시에 가시광선 중 600nm 파장에 대하여 λ의 위상지연이 있게 된다. 또한 복굴절매질이 600nm보다 작은 위상지연 값을 갖는 경우 가시광선 영역에서 각 1/2λ와 λ의 두 가지 위상지연 값을 갖게 되는 두 가지 파장이 존재하는 경우는 없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장별로 편광상태가 선편광경향이 높게 하는 것으로서, 파장별로 선편광이 많을수록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파장대비 위상지연의 경우 1/2λ 또는 λ내지는 0의 위상지연인 경우에는 곧 선편광이 된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1/2λ, λ의 위상지연이 되는 파장이 없다는 것은 곧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한 가시광선의 파장들에서 당해 위상지연에 해당하는 선편광을 가지는 파장이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위상지연이 600nm이상이 되어 그 위상지연으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선편광이 되는 파장이 2개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 1/2λ, λ의 위상지연이 되는 파장들은 그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다르다.
다음, 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의 정도가 커질수록 파장별 위상지연은 점점 골고루 분포된다. 도 3에서 도 8을 볼 경우, 600nm, 700nm, 800nm, 900nm, 1000nm로 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이 커져가면서 파장별 위상지연은 점점 골고루 분포됨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가시광선의 전 영역에서 파장별 위상지연이 골고루 분포되는 것이 다채로운 색을 창출 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이 900nm를 넘어 1000nm로 가게 되면 그 위상지연이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파장별 위상지연이 겹치게 된다는 것은 서로 다른 색상의 파장이지만 그 편광상태가 같은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색이 창출될 때 서로 다른 색상의 것이 섞이게 되어 채도가 떨어지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파장별의 위상지연은 골고루 분포되고 또한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기준에서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가시광선영역에서 파장이 가장 긴 적색의 700nm의 2λ로 되는 위상지연값은 1400nm 정도로서 이를 초과할 경우 겹치는 부분이 너무 넓어져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한선으로는 제1복굴절매질(30a)의 위상지연은 14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본 발명자의 관능실험에 따를 경우,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위상지연이 900nm에서 1200nm 사이에 있는 것이 채도가 가장 좋게 나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의 위상지연은 가시광선의 파장에 대하여 600nm에서 1400nm의 사이에 있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900nm에서 1200nm 사이에 있는 것이 좋다.
특별히, 가시광선영역(400nm에서 700nm)에서 위상지연이 가장 골고루 분포되는 것은 933.33nm로서 제1복굴절매질(30a)의 위상지연은 933.33n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의 위상지연은 가시광선의 파장에 대하여 600nm에서 1400nm의 사이에 있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900nm에서 1200nm 사이에 있게 되는데, 가시광선의 파장에 따라, 또 매질에 따라, 매질에서의 굴절율(매질에서의 그 파장 빛의 속도)이 미세하게 차이가 날 수 있어 실제로는 편의상 가시광선 파장대의 중간인 550nm를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제1복굴절매질(30a)의 위상지연은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600nm 에서 1400nm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900nm에서 1200nm 사이에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은 그 주축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도 10의 (b))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30a)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도 10의 (c))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은 그 주축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도 10의 (a))
도 9를 참고로, 일반적으로 편광방향이 a1인 편광수단(10)을 통과하여 그 편광방향이 a1인 빛(가시광선)이 그 주축이 P1과 P2인 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였을 때 (도 9의 (a) 참조), 파장대비 위상지연이 λ인 파장은 그 편광방향이 입사편광과 같은 a1으로 유지되지만, 파장대비 위상지연이 1/2λ인 파장은 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P1)(P2)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방향이 된다.
즉 그 편광방향이 a1인 입사편광이 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였을 때(도 9의 (b) 참조), 파장대비 위상지연이 1/2λ인 파장은 그 편광방향이 상기 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P1)(P2)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방향이 된다. (도 9의 (c) 참조)
도 10의 (a)를 참고로, 선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이 a1인데, 제2복굴절매질(30b)의 주축중 어느 하나의 방향은 상기 편광방향 a1과 일치하는 a31 또는 상기 편광방향 a1을 제1복굴절매질의 주축(P1)(p2) 중 어느 하나에 대칭시킨 방향 a32를 이루고 있다.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과 제1복굴절매질의 주축들 각도가 45도 또는 -45도인 경우, 원래의 선편광방향(λ)과 이를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에 대칭시킨 방향(1/2λ)은 서로 수직이 되고, 따라서 제2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원래의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에 일치시키면 제2복굴절매질의 나머지 한 주축도 당연히 원래의 선편광방향(λ)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에 대칭시킨 방향(1/2λ)이 되어 결국 원래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과 수직인 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의 주축(a31)(a32)을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과 일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을 상기 제1복굴절매질의 주축(P1)(P2)에 대하여 대칭시킨 방향(a32)과 일치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의 주축(a31)(a32)은 각각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면서 그 파장대비 위상지연이 λ가 되는 파장 또는 1/2λ가 되는 파장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들 파장대비 위상지연이 λ 또는 1/2λ인 파장은 제2복굴절매질(30b)을 위상지연 없이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위와 같이,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과 제1복굴절매질의 주축들 각도가 45도 또는 -45도를 이루게 하고, 제2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원래의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에 일치시키면, λ 및 1/2λ인 파장 모두 제2복굴절매질(30b)을 위상지연 없이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선편광이 제2복굴절매질(30b)을 통과하면서 그 선편광이 그대로 유지되어 방출되는 것으로서, 기존 선편광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의 (b)를 참고로,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은 그 주축 중 하나(도 10 (a)의 a31 또는 a32 중 하나)가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과 -20°(a311')에서 20°(a311)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있다. 또는 도 10의 (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은 그 주축 중 하나(도 10 (a)의 a31 또는 a32 중 하나)가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을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의 주축(P1)(P2)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방향(a12)과 -20°(a312)에서 20°(a312')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것은 제2복굴절매질(30b)의 주축의 방향이 선편광수단의 편광방향(a1)과 일치하거나 또는 선편광수단의 편광방향(a1)을 상기 제1복굴절매질의 주축에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가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선편광을 유지하면서 방출되어 가장 바람직하지만, 제2복굴절매질(30b)의 주축의 방향이 전술한 바와 같이 -20°에서 20°의 범위에 있을 경우에도 채도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고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관능실험의 결과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먼저 도 12를 참고로,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주축들의 방향(a21)(a22)이 선편광수단(10)의 선편광방향(a1)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30a)로 그 주축들과 45° 또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입사되는 경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45°로 나누어진 벡터성분은 그 벡터크기가 같게 되어, a) 어떤 두 가지 파장에서 각각 λ(또는 0), 1/2λ 위상지연이 있는 경우 이로 인한 선편광은 벡터크기가 같고 그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되며, b) 어떤 파장에서 1/4λ 또는 3/4λ의 위상지연이 있는 경우 원편광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원편광을 이루면, 이후, 제2복굴절매질(30b)을 1/4λ 위상지연자(1/4λ retarder, 가시광선에 대한 1/4λ 위상지연자, 즉 가시광선에 대하여, 엄밀히는 가시광선 중 녹색파장에 대하여 1/4λ의 위상지연을 발생시키는 것 이하 동일) 또는 가시광선에 대하여(엄밀히는 가시광선 중 녹색파장(560nm)에 대하여) 100nm에서 180nm 사이의 위상지연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원편광을 최대한으로 선편광으로 만들어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을 통과하는 빛의 선편광경향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30a)로 그 주축들과 45° 또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입사되면, 1/2λ의 위상지연을 일으키는 파장은 본래 선편광방향과 수직의 방향을 가지는 선편광이 되고, λ의 위상지연을 일으키는 파장성분의 것은 본래 선편광방향과 동일한 선편광방향을 가지는 선편광이 되며, 1/4λ와 3/4λ의 위상지연을 일으키는 파장은 각각 그 회전방향이 다른 원편광이 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30a)로 그 주축들과 45° 또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입사되면, 제1복굴절매질(30a)을 거치면서, 도 13을 참고로, 파장별로 본래 선편광과 동일한 방향의 선편광이 되는 것(101a), 본래 선편광과 수직인 선편광이 되는 것(103a), 상호간에 회전방향이 다른 두 개의 원편광(102a)(104a)으로 되고 이들의 사이의 파장들은 그 위상지연정도에 따라 타원편광을 이루게 된다.
이후, 제2복굴절매질(30b)을 통과하게 되는데, 제2복굴절매질(30b)을 1/4λ 위상지연자를 채용하고 또한 그 주축들이 본래 입사되는 선편광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수직을 이루도록 하는 경우, 다시 도 13을 참고로, 1/4λ 위상지연자로 인하여 원편광(102a)(104a)은 본래 입사되는 선편광의 방향과 45° 또는 -45°의 각도를 이루는 선편광(102b)(104b)으로 되고,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면서 본래 선편광과 동일하거나 또는 수직한 선편광이 되었던 것(101a)(103a)은 그 선편광을 그대로 유지(101b)(103b)하여 출력된다.
결국, 이렇게 가시광선 영역에서 원편광에 가까운 파장이 없이 파장별로 4개의 각각 다른 방향의 선편광을 이루게 되는 경우가 선평광경향이 최대화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30a)로 그 주축들과 45° 또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입사되도록 하고 이후 제2복굴절매질(30b)의 위상지연정도와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선편광경향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고로, 제1복굴절매질(30a)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a21)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a22)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복굴절매질(30a)의 주축들의 방향을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과 45° 또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로 배치된 경우에도 채도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고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관능실험의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완전한 4개의 선편광을 얻을 수는 없더라도, 선편광에 가까운 타원편광들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채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제1복굴절매질(30a)의 주축들의 방향이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a1)과 45° 또는 -45°의 각도를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세 개의 선편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선편광(a1)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여 얻은 선편광 2개 중에 하나는 제2복굴절매질(30b)의 주축과 일치되지는 못하고, 이렇게 제2복굴절매질(30b)의 주축과 일치하지 못하는 선편광은 타원편광을 이루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선편광은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이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여 원편광이 된 것을 선편광으로 만들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1/4λ 위상지연자(retarder)는 1/4λ 파장판 또는 1/4 파장판(quarter-wave plate) 등으로도 불리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복굴절매질(30b)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가시광선에 대하여(엄밀히는 가시광선 중 녹색파장(560nm)에 대하여)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100nm는 보라색(400nm)의 1/4λ이고 180nm는 적색(700nm)의 약 1/4λ로서 결국 100nm에서 180nm의 범위에 있을 때 가시광선 영역에서 1/4λ 위상지연에 가까운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가장 바람직하게는 560nm의 1/4가 140nm이므로 140nm인 것이 좋다.
이 경우, 제1복굴절매질(30a)을 통과하여 원편광 또는 원편광에 근접한 타원편광이 된 것은 이와 같이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내는 제2복굴절매질(30b)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이 되거나 적어도 선편광에 근접한 타원편광이 되어, 제1복굴절매질(30a)로 입사된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을 통과하여 그 선편광경향이 증가되고 창출된 색의 채도가 개선되고 다채로운 색이 창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은 일축성 결정이거나 쌍축성 결정일 수 있는데, 일축성 결정인 경우 광축이 평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쌍축성 결정에서는 세 개 중 두 개의 주축(광축인 주축)을 포함한 평면을 편광된 빛이 나머지 하나의 주축(광축이 아닌 주축)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특정 복굴절매질에 빛(편광되지 않은 빛)이 입사할 경우에는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무수한 편광성분들 중에 특정 방향의 편광성분을 가진 빛의 진행이 다른 특정 방향의 편광성분의 빛의 진행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되고 이것이 결국 복굴절이며, 이로 인하여 편광된 빛이 복굴절매질에 입사한 후 빠져나오게 되면 파장에 따라 위상차가 서로 다르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30a)과 제2복굴절매질(30b)이, 일축성 결정인 경우 광축이 평면 내에 포함되거나, 쌍축성 결정에서는 세 개 중 두 개의 주축을 포함한 평면을 편광된 빛이 나머지 하나의 주축방향으로 통과하는 것과 같은 전술한 바람직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입사되는 편광된 빛이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파장별로 위상차가 서로 다르게 발생하는 결과가 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복굴절매질 및 제2복굴절매질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위에서 선편광되어 제1복굴절매질을 통과한 가시광선의 위상지연의 정도는 600nm에서 1400nm의 사이에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900nm에서 1200nm 사이에 있어야 하고, 제2복굴절매질로 입사되어 통과한 가시광선의 위상지연의 정도는 가시광선 중 녹색파장(560nm)에 대하여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 바람직하게는 140nm가 되어야 한다. 또한 제2복굴절매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1/4λ 위상지연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위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이 각각 일축성 결정인 경우 광축이 평면 내에 포함되거나, 쌍축성 결정에서는 세 개 중 두 개의 주축을 포함한 평면을 편광된 빛이 나머지 하나의 주축방향으로 통과하는 것과 같은 전술한 바람직한 경우와 비교하여 색상의 다양성이나 색상의 채도 등이 떨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창출장치(2000)를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 광원(8a)(8b)(8c)은 다수개가 제공되고 각각의 광원(8a)(8b)(8c)에 대하여 선편광수단(10a)(10b)(10c)과 선편광경향증가수단(300a)(300b)(300c)이 제공된다.
각각의 광원(8a)(8b)(8c)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각각의 선편광수단(10a)(10b)(10c)과 선편광경향증가수단(300a)(300b)(300c)을 통과하여 동일한 디스플레이수단(500)을 조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복수개의 광원(8a)(8b)(8c)은 상호간에 점멸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0)에서 창출되는 색상도 역시 점멸에 따라 변화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 두 개의 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하면서 각각의 복굴절매질의 배치 또는 특성을 조정하여 방출되는 빛의 선편광경향을 최대화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렇게 선편광경향이 최대화된 빛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에 조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색의 채도가 개선되고 다채로운 색을 창출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2)

  1. (a)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여기서,
    (a1)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a2)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a3)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동일하지 않고 그리고 수직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되며, 또한 그 위상지연정도가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600nm 에서 1400nm의 범위에 있고,
    (a4)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b)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선편광 된 빛이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것으로서, 입사된 빛 중 특정 편광방향의 빛만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게 되는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정도는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900nm에서 1200nm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5. 제1항부터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6. 제1항부터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7. 제1항부터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된 빛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선편광수단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은 상기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과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편광필름, 편광시트 또는 편광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편광구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여 입사되는 빛을 그 표면에서 일부 반사시키고, 일부는 그 내부로 투과시키는 액체, 유리, 크리스털,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투명 도료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 제1복굴절매질 및 제2복굴절매질은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과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은 다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다수개의 광원은 상호간에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8. 제1항부터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19.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a) 제1복굴절매질과; 그리고
    (b)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c1)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c2)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c3)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동일하지 않고 그리고 수직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되며, 또한 그 위상지연정도가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600nm 에서 1400nm의 범위에 있고,
    (c4)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의 위상지연정도는 가시광선 파장(400nm에서 700nm)에 대하여 또는 550nm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하여 900nm에서 1200nm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3. 제19항부터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4. 제19항부터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별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5. 제19항부터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된 빛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선편광수단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은 상기 선편광수단의 선편광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선편광수단과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30. 제19항부터 제2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31. (a)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여기서,
    (a1)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a2)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a3)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a4)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b)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선편광 된 빛이 상기 선편광경향증가수단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것으로서, 입사된 빛을 편광시켜 사용자에게 보이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5.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8. 제31항부터 제3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39. 선편광된 빛을 입사받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a) 제1복굴절매질과;
    (b) 제2복굴절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c1)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c2)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편광된 빛은 이들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c3)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c4)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2.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3.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녹색파장(560nm)에서 100nm에서 180nm의 위상지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6. 제39항부터 제4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수단.
  47. (a) 선편광된 빛이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어 상기 제1복굴절매질을 통과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어 상기 제1복굴절매질을 통과한 빛이 제2복굴절매질로 입사되어 상기 제2복굴절매질을 통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c1)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5°에서 65° 사이의 각도 또는 -25°에서 -65°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c2)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20°에서 20°의 사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c3)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필름, 시트 또는 판의 형태로서, 액정은 제외되며,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이 상기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45° 또는 -4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방법.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그 주축들 중 하나의 방향이 상기 제1복굴절매질로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과 일치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선편광된 빛의 선편광방향을 제1복굴절매질의 어느 한 주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킨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방법.
  50.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reta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굴절매질은 1/4λ 위상지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방법.
  52. 제47항부터 제5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굴절매질과 제2복굴절매질의 주축들은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편광경향증가방법.
PCT/KR2016/002060 2015-03-03 2016-03-02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창출방법 WO201614049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13412.6A CN107407762B (zh) 2015-03-03 2016-03-02 创建改进的颜色的颜色创建装置及颜色创建方法
US15/555,501 US10746912B2 (en) 2015-03-03 2016-03-02 Color generation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birefringence media for generating improved color by increasing tendency of linear-polariz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EP16759135.3A EP3267429A4 (en) 2015-03-03 2016-03-02 Color creation device and color creation method for creating improved color by increasing linear polarization tend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9529 2015-03-03
KR10-2015-0029529 2015-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0499A1 true WO2016140499A1 (ko) 2016-09-09

Family

ID=5684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060 WO2016140499A1 (ko) 2015-03-03 2016-03-02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창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6912B2 (ko)
EP (1) EP3267429A4 (ko)
KR (1) KR101890266B1 (ko)
CN (1) CN107407762B (ko)
WO (1) WO20161404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4722A (zh) * 2017-07-10 2020-03-24 株式会社Lg化学 圆偏光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8639B2 (en) * 2015-02-20 2022-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ve occlusion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devices
CN113298863B (zh) * 2021-04-14 2022-12-09 清华大学 分焦平面偏振图像传感器中偏振主轴方向标定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04A (ja) * 1991-09-03 1993-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装飾用照明器具
KR20050042145A (ko) * 2002-08-09 2005-05-04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면 광원 장치
KR20120056794A (ko) * 2010-11-25 2012-06-04 최욱 편광조명시스템
KR101306359B1 (ko) * 2010-07-27 2013-09-09 김주원 편광디스플레이장치
KR20140086900A (ko) * 2012-12-28 2014-07-08 최욱 그림자 편광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3689B2 (ja) * 1999-09-30 2007-06-06 株式会社東芝 カラーシャッタ及びカラー画像表示方法
JP2005164834A (ja) 2003-12-01 2005-06-23 Jsr Corp 波長板
US7618715B2 (en) 2003-12-01 2009-11-17 Jsr Corporation Wavelength plate
US7417796B2 (en) * 2006-09-29 2008-08-26 Chemimage Corporation Wavelength discrimination filter for infrared wavelengths
EP2644983A4 (en) 2010-11-25 2014-07-09 Uk Choi LIGHTING SYSTEM WITH POLARIZED LIGH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04A (ja) * 1991-09-03 1993-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装飾用照明器具
KR20050042145A (ko) * 2002-08-09 2005-05-04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면 광원 장치
KR101306359B1 (ko) * 2010-07-27 2013-09-09 김주원 편광디스플레이장치
KR20120056794A (ko) * 2010-11-25 2012-06-04 최욱 편광조명시스템
KR20140086900A (ko) * 2012-12-28 2014-07-08 최욱 그림자 편광디스플레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67429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4722A (zh) * 2017-07-10 2020-03-24 株式会社Lg化学 圆偏光板
CN110914722B (zh) * 2017-07-10 2022-03-08 株式会社Lg化学 圆偏光板
US11314007B2 (en) 2017-07-10 2022-04-26 Lg Chem, Lt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7762B (zh) 2020-06-30
EP3267429A1 (en) 2018-01-10
EP3267429A4 (en) 2018-12-12
CN107407762A (zh) 2017-11-28
KR101890266B1 (ko) 2018-09-28
US10746912B2 (en) 2020-08-18
US20180045871A1 (en) 2018-02-15
KR20160107115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40499A1 (ko) 선편광 경향을 증가시켜 개선된 색상을 창출하는 색상창출장치 및 색상창출방법
WO2010110549A2 (en) A coupled polarizing plate set and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DE60101310T8 (de) Reflektierendes lcd projektionssystem mit kartesischem weitwinkel-polarisationsstrahlteiler und farbteilenden und -vereinigenden prismen
US5867239A (en) Wide angle optical retarder
WO2017061768A1 (ko) 광학 필름
JP2002196281A (ja) 画像分離装置
EP0351200A3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8780176B (zh) 带光学补偿层的偏振片以及使用了该偏振片的有机el面板
KR20050050589A (ko) 디스플레이용 프라이버시 스크린
WO2018199614A1 (ko) 투과율 가변 장치
WO2013174040A1 (zh) 液晶显示面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WO2013174022A1 (zh) 液晶显示面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WO2014030814A1 (ko) 광변색성 및 이색성을 갖는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EP0147098A3 (en) Electro-optic switching system using circularly polarized light
WO2019083160A1 (ko)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20160098574A (ko) 표시 장치
WO2019124752A1 (ko) Ips 모드용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CN1312509C (zh) 在偏振光影响下具有旋光性的滤色镜装置
JP6855368B2 (ja) 画像生成方法および画像合成方法
WO2012011676A2 (ko) 입체화상시스템
WO2020255653A1 (ja) 画像生成システム用光学フィルムのセット
WO2013062364A1 (ko) 액티브 리타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나노 액정층 기반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7146546A1 (ko) 미러 디스플레이
WO2020204411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3002597A2 (ko)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591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550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59135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