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4898A1 -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 Google Patents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4898A1
WO2016104898A1 PCT/KR2015/006867 KR2015006867W WO2016104898A1 WO 2016104898 A1 WO2016104898 A1 WO 2016104898A1 KR 2015006867 W KR2015006867 W KR 2015006867W WO 2016104898 A1 WO2016104898 A1 WO 20161048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pper plate
dimensional
dimensional copper
corrosion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8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ublication of WO20161048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48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7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tch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production method and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formed through the mold surface coloration, cyan corrosion, contrast, hatching and coating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copper engraving and to a three-dimensional copper engraving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rt walls, tanning and living furniture.
  • copper plate crafts are not used to corrode the metal or engraving method to cut the plate, and using a description tool called a metal pen on the plate to be a groove or groove to be process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relief form It is the art of singularity. Since the copper plate technique is not intended for pres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lection and surface processing of the plate is much freer than the copper plate (etching).
  • the copper plate craf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produced by a manual method of processing to have a three-dimensional relief form by making a groove or groove using a depiction tool on the copper plate, so that the copper plate having the same pattern can not be produced.
  • mass production is not possible.
  • the copper plate craf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by a manual method of processing to have a three-dimensional relief form by making a groove or groove using a depiction tool on the copper plate, fine and precise work in the case of fluoridation or tanning. As a result, the difficulty of the work, as well as the production period is a problem.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43687 (announced on April 30, 2012)
  • Patent Document 2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8550 (published November 20, 2003)
  • Patent 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Model 2012-0001995 (published March 19, 2012)
  • Patent Document 4 4.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3-0091232 (published Aug. 16, 2013)
  • Patent Document 5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7-0095682 (published 1 October 2007)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mass production by producing a copper plate through the surface coloring, cyan corrosion, contrast, hatching and coating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formed through a mol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tereoscopic copperplate and to enable a stereoscopic copperplate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inuous printing of copper plate having the same pattern by making the copper plate through the surface coloring, cyan corrosion, contrast, hatching and coating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formed through the mold To make it possible.
  • 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roduction period of copper engraving by manufacturing copper engraving through the surface coloring, cyan corrosion, contrast, hatching and coating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engraving formed through a mold It is in making it possible.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engra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rocessing the copper plate three-dimensionally through a mold having a pattern; (b) applying a colorant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ly-formed copper plate through step (a) to color it in a desired color; (c) applying a corrosion solution to the surface of the color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the step (b) to achieve a rust corrosion on the desired part; (d) applying a metal polish to a desired portion of the colored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subjected to cyan corrosion through step (c) to rub the nonwoven fabric to obtain contrast; (e) corroding a desired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which has been made through the step (d), through direct flame to give color; And (f) co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orrod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the step (e) with a glossy or matte coating agent to finis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 the molding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y be molded through pressing molding through an aluminum receiving mold or casting through a die casting mold.
  • the colorant is applied by diluting ferric chloride (FeCl 3 ) in a predetermined ratio in water at 15 to 25 ° C., but the dilution ratio is ferric chloride (FeCl 3 ) in 100 ml of water.
  • the colorant may be diluted at a rate of ⁇ 70 g, and in the step (b), the colorant is applied by diluting potassium sulfide (K 2 S) in water at a rate of 5 to 25 ° C. at a predetermined ratio, but the dilution ratio is potassium sulfide (K) in 1800 ml of water. 2 S) may be diluted in a proportion of 15 to 50 g.
  • step (b)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applying a colorant diluted with a certain ratio of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in water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Can be rubbed through a scrubber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pigmentation.
  • a colorant diluted with a certain ratio of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in water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Can be rubbed through a scrubber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pigmentation.
  • the rust corrosion is diluted with a certain ratio of nitrate M (NO 3 ) n in water an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lor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but evaporation of the liquid nitrate applied at a certain temperature Through this can be made the presbyopia corrosion.
  • the corrosion solution in step (c) may be diluted in a ratio of 150 to 250 g of nitrate (M (NO 3 ) n) in 100 ml of water an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a brush. It can be one of the Modern Masters green patina spray, the Modern Masters blue patina spray, the tri-metallic deco medium corrosive copper spray or the tri-metallic deco medium corrosive bronze spray.
  • the rust corrosion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and then rust corrosion may be achieved through evaporation of the applied corrosion solution using a gas fire at 900 to 950 ° C.
  • the hatching may be configured to burn the desired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at a temperature of 900 ⁇ 950 °C through a portable torch to produce a color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 the coating process of step (f)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of finishing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a waterproof coating after a gloss treatment with a glossy or matte coating agent.
  • the stereoscopic copperplate produced by the stereoscopic copperplate manufacturing method which i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ss production is possible by manufacturing copper engraving through the surface coloring, cyan corrosion, contrast, hatching and coating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engraving formed through a mold.
  •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copper plate having the same pattern by making the copper plate through the surface coloring, cyan corrosion, contrast, hatching and coating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formed through the mold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a three-dimensional processing of the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loring process of the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a cyan corrosion process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ntrast process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tching process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mpleted copperplate through the coating process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frame picture using a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produced through a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reen shot using a stereoscopic copperplate prepared through a stereoscopic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multi-image picture using a stereoscopic copperplate prepared through a stereoscopic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2 is a photo showing a three-dimensional processing process of the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manufactur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rust corrosion process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ontrast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hoto showing the etching process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7 is completed through the coating process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surface in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picture shows copper engraving.
  •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engra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e process of three-dimensionally forming the copper plate through a mold formed with a pattern (S100), (b)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molded copper plate Applying a colorant to color the desired color (S110), (c) applying a corrosion solution to the surface of the color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o make the crust corrosion on the desired portion (S120), (d) cyan corrosion Process of making contrast while rubbing with non-woven fabric by applying metal polish to the desired part of the colored surface of the made solid copper plate (S130), (e) process of producing the color by corroding the desired surface of the solid copper plate made of contrast (S140) and (f) the entire surface of the corrod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s coated with a gloss or matte coating agent to finis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S150).
  • the molding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as shown in Figs. Pressing molding through a mold or die-casting through the die casting mold to form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S100).
  • ferric chloride FeCl 3
  • potassium sulfide K 2 S
  • the rust-corrosion is obtained by diluting nitrate M (NO 3 ) n in a predetermined ratio in water and applying it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o help.
  •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can be formed through corrosive corrosion through the corrosion solution, and as shown in FIG. 1 and FIG.
  • a metal polish By applying a metal polish, while rubbing the metal polish coated surface through the cotton or non-woven fabric to take off the cyan to give a contrast (S130).
  • the color of the copper plate is discolored through corrosion by direct heating by heating it by directing it with a torch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o produce various colors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the corrosive corrosion.
  • the color of the copper plate is discolored by directing a torch on the desired surface of the stereoscopic copper plate, and the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rroded stereoscopic copper plate as shown in FIGS. Coating with a coating agent to finis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S150).
  • the coa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by a process of waterproof coating through a waterproof coating agent and a gloss treatment through a glossy or matte gloss coating agent.
  •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produced through the molding, surface coloring, cyan corrosion, contrast, hatching and coating process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s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o be prepar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by pressing or casting a die-casting die, die casting mold, or the like.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is expressed.
  • the step (a)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S100) for the relief work of the copper plate
  • this step (a) step (S100) is a mold having a pattern as shown in Figs.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molding of the copper plate.
  •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forming process of the step (a) step (S100) as described above is pressed through an aluminum receiving mold of the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having the corresponding intaglio and embossing form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or casting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a die casting mold. Mold.
  • the finer pattern may be formed by molding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a die casting mold.
  • the step (b)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S110) of coloring the surface of the mold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gray series, and this step (b) step (S110) is shown in FIGS. 1 and 3.
  • a colora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formed through the step (a) (S100) to color the desired color.
  •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is used as a colorant for coloring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n the step (b) process (S110) as described above.
  •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used as a color-blocking agent is used by diluting to a certain ratio in water rather than using the stock solution as it is.
  • the dilution ratio of ferric chloride (FeCl 3 ) in the colorant as described above is diluted in 100 ml of water at 15 to 25 ° C. in a ratio of 65 to 70 g of ferric chloride (FeCl 3 ). Then, the dilution ratio of potassium sulfide (K 2 S) of the colorant is diluted at a ratio of potassium sulfide (K 2 S) 15 ⁇ 50g in water 1800ml of 5 ⁇ 25 °C.
  •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diluted in water is adjusted within the rang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coloring when coloring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an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 the colorant concentration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a colorant and rubbing it through a loofah.
  •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ation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by controlling within the range of mixing ratio of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in water.
  • the colorant diluted with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in water at a predetermined rate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and then rubbed through a scrubber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coloring. .
  • step (c)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crusting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S120), the process of cyan corrosion of this step (c) (S120) is shown in Figures 1 and 4 As shown in step (b) step (S110) by applying a corrosion solution to the surface of the color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o enable the rust corrosion of the desired portion.
  • the surface corrosion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y be made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copper, as well as to display the unique color of the copper plate due to the rust corrosion.
  • cyan corrosion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y be made only to the entire copper plate surface or a desired portion.
  • step (c) process (S120) as a corrosion solution according to the rust corrosion is used nitrate M (NO 3 ) n but dilute the nitrate M (NO 3 ) n in water to a certain ratio. That is, nitrate M (NO 3 ) n is diluted with water in a constant ratio with a corrosion solution an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of the diluted corrosion solution may be applied using a brush or applied using a spray method.
  • the corrosion of the applied corrosion solution is performed by using a gas fire at 900 to 950 ° C. to enable rust corrosion.
  • the heating by the gas fire heats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corrosion solution is applied so that the corrosion solution can be rusted while the corrosion solution is evaporated.
  • step (c) process (S120) the rust-corrosion is diluted with nitrate M (NO 3 ) n in water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lored solid copper plate, but the evaporation of the liquid nitrate applied at a constant temperature is performed. Through this, presbyopia can be made.
  • the liquid corrosion solution diluted at a rate of 150 to 250 g of nitrate (M (NO 3 ) n) in 100 ml of wate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a brush.
  • the corrosion solution may use any one of modern masters green patina spray, modern masters blue patina spray, tri-metallic deco intermediate corrosive copper spray, and tri-metallic deco medium corrosive bronze spray.
  • spray products can be used easily in many ways.
  • the step (d) process (S1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S130) to further enhanc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copper engraving by giving contrast to the colored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e step (d) process (S130) As shown in FIGS. 1 and 5, a step (c) of step S120 is performed to apply a metallic polish to a desired portion of the colored surface of the corrugated copper plate subjected to cyan corrosion to give a contrast while rubbing with a nonwoven fabric.
  • Contrast of the step (d) step (S130) as described above is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colored with a colorant diluted with ferric chloride (FeCl 3 ) or potassium sulfide (K 2 S) in step (b) step (S110)
  • a general metallic polish By applying a general metallic polish on the surface, the colored surface of the part to be contrasted is rubbed with a non-woven fabric to peel off the colored surface so that the contrast can be expressed more realistically.
  • the step (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S140) to be able to express the color through the erosion by directing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 this step (e) process (S140) is shown in Figure 1 and As shown in FIG. 6, the desired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which has been contrasted through the step (d) process (S130), is corroded through direct weaving to give a color, so that the pictorial feeling can be expressed more realistically.
  • step (e) process (S140) as described above by the heating to a temperature of 900 ⁇ 950 °C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of the portion to express the color through a portable torch to produce a variety of colors.
  • the feeling of spring expressed by such an erosion can be seen in FIGS. 6, 7 and 8.
  • step (f) of the proces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coating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which has undergone coloration, cyan corrosion, contrast, and erosion (S150).
  • the coating treatment is coated with a gloss or matte coating agen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rrod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step (e) to finis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printing in the state where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is finished by co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orroded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with a matt or matting coating agent is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o be manufac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ating process of the step (f) step (S150)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configuration for finishing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through a waterproof coating after a gloss treatment with a glossy or matte coating agent.
  • the coating process of step (f) (S150) is a waterproofing process to form a waterproof surface as well as to protect the contact treatment surface by forming a waterproof surface and a waterproof coating treatment with a glossy or matte coating agent. Is done.
  • FIG. 8 is a multi-phase photograph produced using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ed through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creen photograph prepared using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ed through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multi-phase picture using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ed through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produce a screen as shown in Figure 9, as shown in Figure 10, as shown in FIG. It may be.
  • the three-dimensional copper engraving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attach to products such as partitions, it can also be used as a tank.
  •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duce a three-dimensional copper plate having the same pattern through a mold, thereby enabling mass production.
  • the three-dimensional copper 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semi-permanently, as well as a big and grandiose peculiar to copper can be said to have a product with a feeling of painting and sculpture.
  • the three-dimensional copperplate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thr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n art wall or household furniture by grafting a picture frame, a screen, a refreshment and a 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에 관한 것으로, 금형을 통해 성형한 입체 동판화의 표면에 표면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를 통해 동판화를 제조함으로써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a) 무늬가 형성된 금형을 통해 동판을 입체적으로 가공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을 통해 입체 성형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착색제를 도포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하는 단계; (c) 단계(b) 과정을 통해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녹청부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d) 단계(c) 과정을 통해 녹청부식이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 중 원하는 부분에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부직포로 문지르는 가운데 명암을 내는 단계; (e) 단계(d) 과정을 통해 명암내기가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을 직화를 통해 부식시켜 색감을 내는 단계; 및 (f) 단계(e) 과정을 통해 화부식된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유광 또는 무광의 코팅제로 코팅처리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본 발명은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을 통해 성형한 입체 동판화의 표면에 표면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하여 아트월이나 탱화 및 생활가구에 접목할 수 있도록 한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라가 판화를 보는 자세는 판화의 출현에서부터 현재까지 각 시기에 따라 다르게 변화하여 왔고, 미래에도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초기의 목판화 기법의 개발에서부터 인쇄술이 급격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19세가까지, 그리고 20세기초부터 현재까지도 최근의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으로부터 미래까지 크게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8세기경부터 시작된 목판화 기법과 15세기부터 시작된 동판화 기법 및 18세기말에 발견된 석판화 기법의 발전과 전개과정이 주로 인쇄매체의 발달과정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그것은 예술적인 목적이라기 보다는 현실적인 목적(즉, 종교적이거나 일상생활을 위한 목적)으로 또한 회화를 복제하는 수단으로써 주로 사용되어 왔다. 물론, 이 시기에는 예술적인 판화작품들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고, 그 발달과 전개과정이 예술적인 경향의 변화라기 보다 인쇄매체의 발전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판화는 많은 양을 인쇄할 수 있는 복수성에 중점을 둔 전달매체로써 전달과 보급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하여, 판화가는 회화에 비해 예술적 가치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판화는 미술관보다는 주로 책을 다루는 도서관에서 취급하고 수집하였다(이 당시에는 전문적인 수집가는 없었고 왕이나 귀족계급이나 종교 집단에서 주로 수집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판화를 회화처럼 벽에 걸어 놓고 일정한 거리에서 감상하기 보다는 책처럼 직접 손에 들고 가까이서 감상하고 취급했다. 이러한 감상방법은 이미지의 세부와 그 기법의 완성도에 주목하였다. 그런 이유로 판화는 감상 밥법에 맞추어 제작되었다.
15세기 중반 르네상스 미술의 전성기에 동판화 기법이 개발된 이후 많은 판화공방들이 목판화보다는 동판을 이용한 판화를 제작하게 되었다. 이 기법은 동판에 뷰렌으로 홈을 내어 날카로운 선을 사용하여 묘사하는 인그레이빙 방법으로 목판보다는 이미지가 섬세하고 형태가 쉽게 마모되지 않아서 대량생산이 가능하였다. 이 기법은 재판하는데에 많은 숙련을 요하고 찍는 것도 목판에 비하여 까다롭다는 단점도 있다.
한편, 동판공예는 금속을 녹이는 부식법이나 판을 깍아내는 조각기법이 사용되지 않으며, 판위에 금필(metal pen)이라는 묘사도구를 사용하여 골이나 홈이지도록 하여 입체적인 부조 형태를 띠도록 가공되는 일품 일작의 단수성 예술이다. 이러한 동판공예는 프레스(press)를 목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판재의 선택이나 표면가공이 동판화(에칭)보다 훨씬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판공예는 동판위에 묘사도구를 이용한 골이나 홈이지도록 하여 입체적인 부조 형태를 띠도록 가공하는 수작업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동일한 패턴의 무늬를 갖는 동판화를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판공예는 동판위에 묘사도구를 이용한 골이나 홈이지도록 하여 입체적인 부조 형태를 띠도록 가공하는 수작업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불화나 탱화와 같은 경우에는 미세하고 정밀한 작업을 요하므로 작업의 어려움은 물론, 제작기간이 상당하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3687호(2012.04.30.자 공고)
(특허문헌 2)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8550호(2003.11.20.자 공개)
(특허문헌 3)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2-0001995호(2012.03.19.자 공개)
(특허문헌 4)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1232호(2013.08.16.자 공개)
(특허문헌 5) 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5682호(2007.10.01.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금형을 통해 성형한 입체 동판화의 표면에 표면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를 통해 동판화를 제조함으로써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금형을 통해 성형한 입체 동판화의 표면에 표면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를 통해 동판화를 제조함으로써 동일한 패턴의 무늬를 갖는 동판화의 연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금형을 통해 성형한 입체 동판화의 표면에 표면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를 통해 동판화를 제조함으로써 동판화의 제작기간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은 (a) 무늬가 형성된 금형을 통해 동판을 입체적으로 가공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을 통해 입체 성형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착색제를 도포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하는 단계; (c) 단계(b) 과정을 통해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녹청부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d) 단계(c) 과정을 통해 녹청부식이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 중 원하는 부분에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부직포로 문지르는 가운데 명암을 내는 단계; (e) 단계(d) 과정을 통해 명암내기가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을 직화를 통해 부식시켜 색감을 내는 단계; 및 (f) 단계(e) 과정을 통해 화부식된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유광 또는 무광의 고팅제로 코팅처리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단계(a) 과정에서 입체 동판의 성형은 알루미늄수지금형을 통한 프레싱 성형 또는 다이캐스팅금형을 통한 주물성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단계(b) 과정에서 착색제는 염화제이철(FeCl3)을 15∼25℃의 물에 일정 비율로 희석하여 도포하되 희석비율은 물 100ml에 염화제이철(FeCl3) 65∼70g의 비율로 희석될 수도 있고, 단계(b) 과정에서 착색제는 황화칼륨(K2S)을 5∼25℃의 물에 일정 비율로 희석하여 도포하되 희석비율은 물 1800ml에 황화칼륨(K2S) 15∼50g의 비율로 희석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단계(b) 과정에서 물에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을 일정 비율로 희석한 착색제를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한 후에는 수세미를 통해 문질러 착색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단계(c) 과정에서 녹청부식은 질산염M(NO3)n을 물에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하되 일정온도에서 도포된 액체질산염의 증발을 통해 노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계(c) 과정에서 부식액은 물 100ml에 질산염(M(NO3)n) 150∼250g의 비율로 희석하여 붓을 통해 입체 동판의 표면에 칠할 수도 있고, 단계(c) 과정에서 부식액은 모던 마스터즈 green patina 스프레이, 모던 마스터즈 blue patina 스프레이, 삼화 메탈릭 데코 중도 부식액 copper 스프레이 및 삼화 메탈릭 데코 중도 부식액 bronze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전술한 단계(c) 과정에서 녹청부식은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한 다음 900∼950℃의 가스불을 이용하여 도포된 부식액의 증발을 통해 녹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단계(e) 과정에서 화부식은 휴대용 토치를 통해 900∼950℃의 온도로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을 화부식시켜 입체 동판 표면의 색감을 내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단계(f) 과정의 코팅처리는 유광 또는 무광의 코팅제를 통한 광택처리 후 방수코팅처리를 통해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단계(f)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액자, 병풍, 다과상 또는 파티션에 삽입 또는 부착하여 아트월이나 생활가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인 입체 동판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되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금형을 통해 성형한 입체 동판화의 표면에 표면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를 통해 동판화를 제조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금형을 통해 성형한 입체 동판화의 표면에 표면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를 통해 동판화를 제조함으로써 동일한 패턴의 무늬를 갖는 동판화의 연속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동판화의 제작기간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보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동판의 입체 가공 과정을 보인 사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착색 과정을 보인 사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녹청부식 과정을 보인 사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명암내기 과정를 보인 사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화부식 과정을 보인 사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코팅처리 과정을 통해 완성된 동판화를 보인 사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이용한 액자 사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이용한 병풍 사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이용한 다과상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입체 동판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보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동판의 입체 가공 과정을 보인 사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착색 과정을 보인 사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녹청부식 과정을 보인 사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명암내기 과정를 보인 사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화부식 과정을 보인 사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코팅처리 과정을 통해 완성된 동판화를 보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의 제조과정은 (a) 무늬가 형성된 금형을 통해 동판을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과정(S100), (b) 입체 성형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착색제를 도포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하는 과정(S110), (c)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녹청부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S120), (d) 녹청부식이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 중 원하는 부분에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부직포로 문지르는 가운데 명암을 내는 과정(S130), (e) 명암내기가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을 직화를 통해 부식시켜 색감을 내는 과정(S140) 및 (f) 화부식된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유광 또는 무광의 고팅제로 코팅처리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는 과정(S1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입체 동판의 성형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응하는 음각과 양각의 무늬가 형성된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수지금형을 통해 프레싱성형하거나 다이캐스팅금형을 통해 주물성형으로 입체적인 동판을 성형한다(S10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을 성형한 다음에는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착색제를 도포하여 동판 고유의 색상이 아닌 착색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착색을 한다(S110). 이때, 착색되는 입체 동판의 표면은 평면 바탕보다 튀어나와 있는 부조면에 착색제의 도포가 이루어져 착색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입체 동판 표면의 착색과정에서 사용되는 착색제로는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을 물에 일정량 희석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의 부조면에 착색제를 통해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한 다음에는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하여 녹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20). 이러한 입체 동판 표면의 녹청부식은 동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는 긍정적인 면이나 녹청부식으로 인한 동판 특유의 색상이 표출되도록 한다. 이때, 입체 동판 표면의 녹청부식은 동판 표면 전체 또는 원하는 부분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녹청부식은 질산염M(NO3)n을 물에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일정온도에서 도포된 액체질산염의 증발시킴으로써 입체 동판의 표면에 노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통해 녹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음에는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청부식이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 중 명암을 주기 위한 부분에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면이나 부직포를 통해 금속광택제 도포면을 문지르는 가운데 녹청을 벗게 내면서 명암을 낸다(S130).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 중 명암을 주기 위한 부분에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면이나 부직포로 문지르는 가운데 녹청을 벗겨 내면서 명암을 낸 다음에는 도 1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의 원하는 부분에 토치 등을 통해 직화로 부식시켜 색감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S140).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화부식의 과정에서는 입체 동판의 표면 중 화부식을 통해 입체 동판 전체의 다양한 색감을 연출하고 하는 부분에 토치로 직화를 하여 가열함으로써 직화에 의한 부식을 통해 동판의 색감이 변색되도록 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에 토치를 통한 직화를 통해 동판의 색감이 변색되도록 한 다음에는 도 1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부식된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유광 또는 무광의 고팅제로 코팅처리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한다(S150).
전술한 바와 같은 코팅처리 과정은 본 발명에서는 유광 또는 무광의 광택코팅제를 통한 광택처리와 광택처리면에 방수코팅제를 통한 방수코팅처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2 내지 도 7 에서와 같이 입체 동판의 성형, 표면 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화부식 및 코팅처리 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가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입체 동판화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입체 동판을 알루미늄수지금형이나 다이케스팅금형의 프레싱성형 또는 주물성형을 통해 성형하기 때문에 동일한 무늬의 입체 동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작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a) 과정은 동판의 부조작업을 하기 위한 과정(S100)으로, 이러한 단계(a) 과정(S10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늬가 형성된 금형을 통해 동판을 입체적으로 성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a) 과정(S100)의 입체 동판 성형과정은 상호 대응하는 음각과 양각이 형성된 하형과 상형의 알루미늄수지금형을 통해 프레싱하여 입체 동판을 성형하거나 다이캐스팅금형을 통해 입체 동판을 주물성형한다. 이러한 입체 동판의 성형과정에서 보다 미세한 무늬의 성형은 다이캐스팅금형을 통해 입체 동판을 성형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b) 과정은 성형된 입체 동판의 표면을 회색 계열로 착색하는 과정(S110)으로, 이러한 단계(b) 과정(S110)은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a) 과정(S100)을 통해 입체 성형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착색제를 도포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b) 과정(S110)에서 입체 동판의 표면을 착색시키기 위한 착색제로는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을 사용한다. 이때, 차색제로 사용되는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은 원액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물에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사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착색제 중 염화제이철(FeCl3)의 희석비율은 15∼25℃의 물 100ml에 염화제이철(FeCl3) 65∼70g의 비율로 희석된다. 그리고, 착색제 중 황화칼륨(K2S)의 희석비율은 5∼25℃의 물 1800ml에 황화칼륨(K2S) 15∼50g의 비율로 희석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에 희석되는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의 양을 범위내에서 조절하면 입체 동판 표면의 착색시 착색의 농도를 조절할 수가 있음은 물론, 입체 동판 표면에 착색제를 도포하여 수세미를 통해 문지르는 가운데 착색의 농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단계(b) 과정(S110)에서 물에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의 혼합하는 비율로 범위내에서 조절함으로써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시 착색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물에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을 일정 비율로 희석한 착색제를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한 후 수세미를 통해 문질러 착색의 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c) 과정은 입체 동판 표면을 녹청부식하는 과정(S120)으로, 이러한 단계(c) 과정(S120)의 녹청부식 과정은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b) 과정(S110)을 통해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녹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c) 과정(S120)에서 입체 동판 표면의 노청부식은 동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할 수도 있음은 물론, 녹청부식으로 인한 동판 특유의 색상이 표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입체 동판 표면의 녹청부식은 동판 표면 전체 또는 원하는 일부분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c) 과정(S120)에서 녹청부식에 따른 부식액으로는 질산염M(NO3)n을 사용하되 물에 질산염M(NO3)n을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즉, 부식액으로 질산염M(NO3)n을 물에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한다. 이때, 희석된 부식액의 도포는 붓을 이용하여 칠하거나 스프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에 희석된 부식액을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에는 900∼950℃의 가스불을 이용하여 도포된 부식액의 증발이 이루어지면 녹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스불에 의한 가열은 부식액이 도포된 면의 반대면을 가열하여 부식액이 증발하면서 녹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단계(c) 과정(S120)에서 녹청부식은 질산염M(NO3)n을 물에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하되 일정온도에서 도포된 액체질산염의 증발을 통해 노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부식액으로는 물 100ml에 질산염(M(NO3)n) 150∼250g의 비율로 희석한 액상의 부식액을 붓을 통해 입체 동판의 표면에 칠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단계(c) 과정(S120)에서 부식액은 모던 마스터즈 green patina 스프레이, 모던 마스터즈 blue patina 스프레이, 삼화 메탈릭 데코 중도 부식액 copper 스프레이 및 삼화 메탈릭 데코 중도 부식액 bronze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식액으로는 아무래도 스프레이 제품이 사용하기에 여러모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d) 과정(S130)은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에 명암을 내어 동판화의 입체감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과정(S130)으로, 이러한 단계(d) 과정(S130)은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c) 과정(S120)을 통해 녹청부식이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 중 원하는 부분에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부직포로 문지르는 가운데 명암을 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d) 과정(S130)의 명암내기 과정은 단계(b) 과정(S110)에서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을 희석시킨 착색제를 통해 착색된 입체 동판 표면에 일반적인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명암을 내고자 하는 부분의 착색 표면을 부직포로 문질러 착색면을 벗겨 냄으로써 명암을 내어 회화적인 느낌을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e) 과정은 입체 동판 표면의 직화에 의한 화부식을 통해 색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S140)으로, 이러한 단계(e) 과정(S140)은 도 1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d) 과정(S130)을 통해 명암내기가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을 직화를 통해 부식시켜 색감을 냄으로써 회화적인 느낌이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e) 과정(S140)에서 화부식은 휴대용 토치를 통해 색감을 표현할 부분의 입체 동판 표면에 900∼950℃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다양한 색감이 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화부식에 의한 표현되는 샘감은 도 6, 도 7 및 도 8 에서 살펴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f) 과정은 착색, 녹청부식, 명암내기 및 화부식을 거친 입체 동판의 표면을 코팅처리하는 과정(S150)으로, 이러한 단계(f) 과정(S150)의 코팅처리는 단계(e) 과정(S140)을 통해 화부식된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유광 또는 무광의 고팅제로 코팅처리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부식된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유광 또는 무광의 고팅제로 코팅처리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한 상태의 입체 동판화가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입체 동판화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f) 과정(S150)의 코팅처리는 유광 또는 무광의 코팅제를 통한 광택처리 후 방수코팅처리를 통해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단계(f) 과정(S150)의 코팅처리는 유광 또는 무광의 코팅제를 통한 광택처리 과정과 광택처리면을 방수코팅처리하여 방수면을 형성함은 물론 관택처리면을 보호하는 방수처리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과상 사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이용하여 제조된 병풍 사진 및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이용한 다과상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서와 같이 입체 동판의 성형과정(S100), 입체 동판의 표면을 착색하는 착색과정(S110), 입체 동판 표면을 부식액을 통해 부식시키는 녹청부식 과정(S120), 원하는 착색면을 광택코팅제를 통해 벗겨내어 명암을 내는 명암내기 과정(S130), 입체 동판 표면의 원하는 부분에 화부식을 통해 색감을 내는 화부식 과정(S140) 및 입체 동판 전체면을 코팅처리 하는 코팅처리 과정(S150)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도 8 에서와 같이 액자에 삽입하여 아트월로써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풍으로 제작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과상의 옆면이나 표면에 입체 동판화를 부착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체 동판화는 파티션 등의 제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탱화로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금형을 통해 동일한 무늬를 갖는 입체 동판을 연속적으로 생산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동판화는 반영구적으로 소장이 가능함은 물론, 구리 특유의 빅과 장중함이 있어 회화와 조각의 느낌이 있는 작품성을 지닌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입체 동판화는 액자, 병풍, 다과상 및 파티션 등의 접목하여 아트월이나 생활가구로 사용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부호의 설명
S100. 성형과정
S110. 착색과정
S120. 노청부식 과정
S130. 명암내기 과정
S140. 화부식 과정
S150. 코팅처리 과정

Claims (13)

  1. (a) 무늬가 형성된 금형을 통해 동판을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을 통해 입체 성형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착색제를 도포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하는 단계;
    (c) 단계(b) 과정을 통해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녹청부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d) 단계(c) 과정을 통해 녹청부식이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착색된 표면 중 원하는 부분에 금속광택제를 도포하여 부직포로 문지르는 가운데 명암을 내는 단계;
    (e) 단계(d) 과정을 통해 명암내기가 이루어진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을 직화를 통해 부식시켜 색감을 내는 단계; 및
    (f) 단계(e) 과정을 통해 화부식된 입체 동판의 표면 전체에 유광 또는 무광의 코팅제로 코팅처리하여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과정에서 입체 동판의 성형은 알루미늄수지금형을 통한 프레싱 성형 또는 다이캐스팅금형을 통한 주물성형을 통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과정에서 착색제는 염화제이철(FeCl3)을 15∼25℃의 물에 일정 비율로 희석하여 도포하되 희석비율은 물 100ml에 염화제이철(FeCl3) 65∼70g의 비율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과정에서 착색제는 황화칼륨(K2S)을 5∼25℃의 물에 일정 비율로 희석하여 도포하되 희석비율은 물 1800ml에 황화칼륨(K2S) 15∼50g의 비율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과정에서 물에 염화제이철(FeCl3) 또는 황화칼륨(K2S)을 일정 비율로 희석한 착색제를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한 후에는 수세미를 통해 문질러 착색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과정에서 녹청부식은 질산염M(NO3)n을 물에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착색된 입체 동판의 표면에 도포하되 일정온도에서 도포된 액체질산염의 증발을 통해 노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과정에서 부식액은 물 100ml에 질산염(M(NO3)n) 150∼250g의 비율로 희석하여 붓을 통해 입체 동판의 표면에 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과정에서 부식액은 모던 마스터즈 green patina 스프레이, 모던 마스터즈 blue patina 스프레이, 삼화 메탈릭 데코 중도 부식액 copper 스프레이 및 삼화 메탈릭 데코 중도 부식액 bronze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과정에서 녹청부식은 입체 동판의 표면에 부식액을 도포한 다음 900∼950℃의 가스불을 이용하여 도포된 부식액의 증발을 통해 녹청부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 과정에서 화부식은 휴대용 토치를 통해 900∼950℃의 온도로 입체 동판의 원하는 표면을 화부식시켜 색감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 과정의 코팅처리는 유광 또는 무광의 코팅제를 통한 광택처리 후 방수코팅처리를 통해 입체 동판의 표면을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입체 동판화를 액자, 병풍, 다과상 또는 파티션에 삽입 또는 부착하여 아트월이나 생활가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13.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PCT/KR2015/006867 2014-12-23 2015-07-03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WO20161048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73 2014-12-23
KR20140187073A KR101486455B1 (ko) 2014-12-23 2014-12-23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898A1 true WO2016104898A1 (ko) 2016-06-30

Family

ID=5258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867 WO2016104898A1 (ko) 2014-12-23 2015-07-03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6455B1 (ko)
WO (1) WO20161048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6129B2 (en) 2017-04-18 2022-07-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creasing electrical conductivity at selected locations of a 3D obje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6751A (ja) * 1992-08-17 1994-04-26 Sugimoto Chiyakushiyokushiyo:Kk 銅合金鋳物製品の製造方法
JP2001277792A (ja) * 2000-03-31 2001-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ンボス化粧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30088550A (ko) * 2002-05-13 2003-11-20 김부현 건축 자재용 산화 동판의 제조방법
KR101143687B1 (ko) * 2011-12-07 2012-05-09 김부현 산화 녹청 동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6751A (ja) * 1992-08-17 1994-04-26 Sugimoto Chiyakushiyokushiyo:Kk 銅合金鋳物製品の製造方法
JP2001277792A (ja) * 2000-03-31 2001-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ンボス化粧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30088550A (ko) * 2002-05-13 2003-11-20 김부현 건축 자재용 산화 동판의 제조방법
KR101143687B1 (ko) * 2011-12-07 2012-05-09 김부현 산화 녹청 동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6129B2 (en) 2017-04-18 2022-07-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creasing electrical conductivity at selected locations of a 3D object
US11840016B2 (en) 2017-04-18 2023-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creasing electrical conductivity at selected locations of a 3D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455B1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1708B (zh) 版画制作工艺
CN100506571C (zh) 一种金属戏曲脸谱制作工艺
CN103753990B (zh) 一种陶瓷贴花纸丝印工艺
US10781528B2 (en) Colored metal fil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1508226B (zh) 一种彩色铁画的制作工艺
CN101088781A (zh) 一种制作玻璃蚀刻镀银装饰画的方法
CN101590751A (zh) 胶印热转印纸的生产及其转印的方法
WO2016104898A1 (ko) 입체 동판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동판화
CN1061609C (zh) 新型版画的制造方法
CN102587157B (zh) 一种高仿真油画面料印花工艺
CN1094336A (zh) 金属、铝合金手电筒表面处理方法
US20130161880A1 (en) Method for creating ceramic photos
CN102181901A (zh) 一种颜色可调且具有高饱和度的氧化铝薄膜的制备方法
KR20010097235A (ko) 마스킹을 이용한 금속 도금 문양과 코팅의 접목 도금 방법
CN201863440U (zh) 彩色装饰铝箔
CN1114534C (zh) 一种工艺画的制做方法及用该方法制成的工艺画
JP4093485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の表面処理方法
CN101293463A (zh) 水转印工艺葫芦
US20080075865A1 (en) Ceramic bisque product with underglaze outlines
CN107215147A (zh) 一种彩色铁画制作工艺
CN203282941U (zh) 带珠光粉颜料层的彩钢板
SU992238A1 (ru) Способ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и изделий из металлов
JPH1058900A (ja) 小火器のパーツの装飾方法及びその製品
CN109397964A (zh) 一种金属木感画的制作方法
KR960016052B1 (ko) 사인보오드의 입체무늬모양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4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4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2/12/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4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