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64176A1 -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64176A1
WO2016064176A1 PCT/KR2015/011106 KR2015011106W WO2016064176A1 WO 2016064176 A1 WO2016064176 A1 WO 2016064176A1 KR 2015011106 W KR2015011106 W KR 2015011106W WO 2016064176 A1 WO2016064176 A1 WO 20160641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iner
cover
variable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11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427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0385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427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38248B1/ko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US15/511,24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33157B2/en
Publication of WO20160641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641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04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 B65D65/08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with fastening elements, e.g.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04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 B65D65/06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formed with foldable flaps, e.g. inter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7Flexible or de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4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areas coated with adhesive

Definitions

  • Airtight containers are widely used not only for food but also for storage of items that need to be sealed.
  • Such a sealed container has the following inconveniences.
  • the cover should be separated and used near the body, and the cover may be contaminated as the cover is placed on the contaminated floor. If the cover is not properly managed, it may be troublesome to find it.
  •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removable cover that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container and optionally seals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container with the outside, wherein the sealed cover portion; A first cover frame, which may be fixedly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inlet edge of the portion, and disposed or connected adjacent to the first cover frame,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r sp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maining area of the inlet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 a second fixing par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part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art
  • the first connector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cover frame,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cover frame.
  • connection suppor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intain a constant shape, when storing objects in the container part, no extra effort is put into opening and maintaining the stat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embodiment of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having a variable contain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opened and placed the storage.
  • cover film 23 folded as shown in FIG. 1 may be unfolded to close the inlet 11 of the container part 10.
  • the cover film 23 is a rubber film or silicone film having elasticity, or a vinyl film with a free space
  •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let 11 of the container part 10 so as to rise above the container part.
  • the shape of the cover layer 23 may be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raised shape.
  • first reinforcing member 51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5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this case, the cover film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52 and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51. It is preferable that a folded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for easy folding of (23).
  • the container portion 100 shown in Figs. 7 to 9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film, when the shap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is changed from Fig. 2 to Fig. 3, the shap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is also the same. It may be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torage (A)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밀폐용기의 커버부의 관리가 용이하게 하는 한편, 대용량의 고정형 용기부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커버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또는 수용 공간 및 입구의 확장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보관물을 밀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고정된 용기부에 가변적으로 그 형태가 변할 수 있는 가변형 커버부를 구비하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호 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간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면접하거나 결합되어, 면접되거나 결합되는 경우 그 면접되는 부분이나 결합되는 부분을 밀폐할 수 있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걸쳐서 배치되며 소정의 보관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되, 그 형상이 가변적인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2.11.2015]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
본 발명은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밀폐용기의 커버부의 관리가 용이하게 하는 한편, 대용량의 고정형 용기부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커버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 공간 및 입구의 확장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보관물을 밀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채소 및 과일 같은 식재료를 신선하고 외부의 오염으로 차단하여 보관하는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된다.
음식물 뿐만 아니라 밀폐가 필요한 물건들의 보관에도 밀폐용기가 광범위 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인 밀폐용기는 금속,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형태를 이루는 용기와 물체를 담고 역시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된 커버를 덮어 밀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버의 하부 테두리에는 실링을 위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실링부재가 마련된다.
이러한 밀폐용기가 한국등록실용 20-0396084에 나타난다.
이러한 밀폐용기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커버를 몸통 근처에 분리해서 놓고 사용해야 하며 이 과정에 커버가 오염된 바닥에 놓여지면서 커버가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커버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나, 용기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높이보다 높은 물건을 담아서 밀폐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냄비나 솥과 같은 용기의 경우 커버가 두꺼운 유리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냄비나 솥이 크기 때문에 커버 역시 커지게 되어 무게가 상당하고 유리 커버의 경우 파손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파손될 경우 커버 없이 냄비나 솥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지퍼락과 같은 봉투형의 경우, 그 입구를 벌리는데 한계가 있고, 수박과 같은 큰 물체를 담기 어려우며, 그 형상도 탄성 변형되지 않아서 담을 수 있는 물품의 한계가 있고, 입구부가 고정된 형상이 아니므로 물품을 담을 때 항상 손으로 벌리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 불편함을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버부가 가변되면서, 그 일부가 용기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개폐 작용을 함으로써, 커버부의 오염을 방지하고, 그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냄비나 솥과 같은 대용량의 용기부에도 가변형의 커버부를 적용함으로써 유리나 금속과 같은 무거운 커버부를 대체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고, 그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물이 수용되는 공간인 용기부가 가변되는 한편, 보관 공간의 입구도 확장이 가능한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형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가 강도를 갖는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어 그 입구가 가변되면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용기부와;상기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용기 내부의 저장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 커버부는;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의 일부 영역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제1커버 프레임과, 상기 제1커버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의 나머지 영역과 밀착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는 제2커버 프레임과;상기 제1커버 프레임 및 제2커버 프레임에 걸쳐서 마련되며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기체 및 액체의 투과가 방지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커버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에 걸리거나 체결되어 제1커버 프레임을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부 측면에 마련되고 제1고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커버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부와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체결될 수 있게 마련되어 상기 커버막이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막은 경우, 제2커버 프레임이 상기 용기부 입구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고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커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커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커버 프레임의 형상은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이 고정되는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 일부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의 형상은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이 밀착될 수 있는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 나머지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막의 재질은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막은;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이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와 이격되어 제1커버 프레임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접힐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제2커버 프레임에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와 밀착되는 경우 펴질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커버 프레임 또는 제2커버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막의 표면 또는 커버막의 속에 배치되어 커버막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커버 프레임과,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은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와 밀착되도록 점착력 있는 성분 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성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간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면접하거나 결합되어, 면접되거나 결합되는 경우 그 면접되는 부분이나 결합되는 부분을 밀폐할 수 있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걸쳐서 배치되며 소정의 보관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되, 그 형상이 가변적인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부는 탄성 재질 또는 비탄성 재질의 주머니 형태로 가변되며, 기체나 액체가 투과할 수 없는 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프레임의 두께와 상기 제2프레임의 두께의 합은 상기 연결 지지부의 상면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고정부 및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어 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려지거나 또는 체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돌출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 이나 상기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리거나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상호 간에 밀착되도록 점착력 있는 성분 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성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가 용기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가 오염된 바닥에 놓여지면서 커버가 오염되는 경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유연하여 그 형상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용기의 높이보다 높은 물건을 담아서 밀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커버막이 탄성을 갖는 고무막 또는 실리콘 막이거나, 여유공간이 있는 비닐막인 경우, 보관물이 상단부가 용기부 입구 상단부보다 높아서 용기부 보다 위로 솟아오른 경우, 그 솟아오른 형상에 대응되게 커버막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커버의 제1프레임이 용기 입구 테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움직여서 용기를 열면, 용기 입구 전체를 투입구로 활용할 수 있어서, 커버를 용기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내용물을 투입구 전체를 통해서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형상을 유지하는 제1,2프레임 및 이들과 연결되는 가변형의 용기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보관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용기부가 탄성 재질이며, 액체, 기체 비투과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보관물의 크기에 의한 제약을 극복하면서 보관물의 원형을 유지한 채로 밀폐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제1,2 프레임 간의 간격 조절을 통해서 용기부의 입구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용기부에 보관물 수납시, 입구를 벌리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들어가지 않아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배가된다.
제1,2프레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재질 또는 점착 재질로 구성되어 서로 면접하는 경우, 밀폐 상태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고정부와 연결부가 마련되어, 이들간에 체결, 결합 또는 걸림 작용이 있으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간의 밀착 상태를 더욱더 높여서 용기부 내부를 외부와 더욱더 우수하게 밀폐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를 세척하는 경우, 용기부 자체를 뒤집어서 닦으면 되기 때문에 그 세척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커버부를 구비한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서 가변형 커버부가 닫히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가변형 커버부에 보강부재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커버부가 도1과 다른 형태의 용기부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커버부가 접시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용기부를 갖는 밀폐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용기부를 갖는 밀폐용기의 실시예에서 이를 완전하게 개방하고 보관물을 놓은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용기부를 갖는 밀폐용기의 실시예에서 용기부에 보관물을 넣고 밀폐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용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용기(1)는 고정형의 용기부(10)와, 용기부(10)의 입구(11) 테두리에 배치되는 커버부(20)를 구비한다.
용기부(10)는 금속이나, 합성 수지와 같은 고분자 물질, 유리로 구성되며, 그 형상이 고정되고, 내부에 정적 용량을 갖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커버부(20)는 용기부(10)의 입구(11) 테두리 일부 영역(11a)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 제1커버 프레임(21)과, 용기부(10)의 입구(11) 테두리 나머지 영역(11b)에 고정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 제2커버 프레임(22)을 포함한다.
제1커버 프레임(21)과 제2커버 프레임(22)의 단부는 상호 연결될 수도 있고, 연결되지 않고 인접하게만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버 프레임(21)과 제2커버 프레임(22)의 형상은 각각이 담당하는 용기부(10)의 입구(11) 테두리 일부(11a) 영역 및 나머지 영역(11b)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커버부(20)는 제1커버 프레임(21)과 제2커버 프레임(22)에 걸쳐져서 용기부(10) 입구(11)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막(23)을 더 포함한다.
커버막(23)은 고무막이나 실리콘 막과 같은 탄성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비닐막과 같은 비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제2 커버 프레임(22)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가변형 커버막이면 된다.
제1커버 프레임(21)과 제2커버 프레임(22)은 일종의 리브 또는 살대과 같은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커버 프레임(21)과 제2커버 프레임(22)이 용기부(10)의 입구(11)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1커버 프레임(21)과 제2커버 프레임(22)은 점성 재질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커버 프레임(21)은 제2커버 프레임(22)에 비해서 지속적으로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 일부 영역에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 일부(11a)영역에 단차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1 커버 프레임(21)에는 그러한 단차부에 결합될 수 있는 홈이나 또 다른 결합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 나머지 영역(11b)에도 단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커버 프레임(22)에도 그러한 단차부에 결합될 수 있는 홈이나 다른 결합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커버 프레임(21)이 용기부(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고정구조가 별도로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구조는 용기부(10)의 측면에 배치되는 돌출부 또는 돌기부 형태의 제1고정부(31)와, 제1커버 프레임(21)에 연결되며 제1고정부(31)에 걸리거나 결착되거나 체결되는 제1연결부(41)를 포함한다.
도1에서는 제1연결부(41)가 제1고정부(31)에 걸리는 고리 형상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고, 제1고정부(31)는 옆으로 돌출된 작은 돌출된 보스 형태로 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호 연결되거나 체결되어 그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제1고정부(31)는 용기부(10)에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연결부(41)도 그러하다.
제1고정부(31)와 제1연결부(41) 와의 결합에 의하여 제1커버 프레임(21)과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 일부 영역(11a)간의 밀착 상태가 더욱더 강해질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부(41)는 제1고정부(3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커버 프레임(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41)가 제1고정부(31)와 결합되기 전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껴져 있다가, 제1고정부(31)와 결합되기 위해서 제1고정부(31)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커버막(23)이 용기부(11) 입구를 완전하게 막은 경우, 제2 커버 프레임(22)과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 나머지 영역(11b) 간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용기부(10) 측면에는 제2고정부(32)가 마련되고, 제2커버 프레임(22)에는 제2연결부(42)가 연결되어 마련된다.
제2연결부(42)는 제2고정부(32)와 체결, 또는 걸림,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일례로서,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고정부(32)는 돌출된 보스와 같은 구조이며, 제2연결부(42)는 고리와 같은 구조인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상호 연결되거나 체결되어 그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제2연결부(42)도 제2고정부(32)와 용이하게 체결 또는 걸림, 또는 연결될 수 있게, 제2커버 프레임(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연결부(42)가 제2고정부(32)와 결합되기 전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껴져 있다가, 제2고정부(32)와 결합되기 위해서 제2고정부(32)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도1과 같이 보관물을 용기부(10) 내부에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건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제2커버 프레임(22)을 용기부 입구(11) 테두리와 이격시켜서 제1커버 프레임(21) 방향으로 젖히면 된다.
이 경우, 비정형, 또는 가변형의 커버막은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특히, 제2커버 프레임(22)은 제1커버 프레임(21) 위까지 완전하게 젖혀질 수 있는데, 이는 커버막(23)이 얇은 비닐막이나 고무 또는 실리콘 막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며, 이에 의하여 용기부 입구(11)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부(10)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의 인출 또는 수납이 완료되어 다시 용기부(10)를 밀폐하기 위해서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버 프레임(22)을 잡고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 나머지 영역(11b)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3과 같이, 제2커버 프레임(22)을 꾹 눌러서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의 나머지 영역(11b)과 밀착 또는 결착시키고, 제2연결부(42)를 제2고정부(32)와 결합, 결착, 체결 또는 걸리게 한다.
이에 의하여 제2커버 프레임(22)의 하면이 전체적으로 용기부(10) 입구(11) 테두리와 밀착되고, 더 나아가 제2고정부(32)와 제2연결부(42)와의 상호 결합 또는 결착 또는 체결 또는 걸림 상태에 의하여 그러한 밀착 상태가 더욱 공고해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2) 및 제2연결부(42)의 수량을 늘리고, 이들을 체결시키면 밀착상태가 더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같이 접혀졌던 커버막(23)이 펼쳐져서 보기 좋게 용기부(10) 입구(11)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커버막(23)이 탄성을 갖는 고무막 또는 실리콘 막이거나, 여유공간이 있는 비닐막인 경우, 보관물 상단부가 용기부(10) 입구(11) 상단부보다 높아서 용기부 보다 위로 솟아오른 경우, 그 솟아오른 형상에 대응되게 커버막(23)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커버막(23)이 탄성을 갖는 경우, 커버막(23)을 약간 눌러주면, 용기부(10) 내부의 공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어서 내부의 밀폐상태가 더욱더 강화된다.
한편, 도4와 같이 커버막(2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강 부재(50)를 둘 수 있다.
도4에서는 용기부와 제1,2고정부 및 제1,2연결부는 편의상 생략하였다.
보강부재(50)는 제1커버 프레임(21) 또는 제2커버 프레임(22)과 연결되는 리브나 살대과 같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하지 않고 커버막(23)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여기서, 보강부재(50)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커버 프레임(21)과 연결되거나, 제2커버 프레임(22)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서는 제1커버 프레임(21)과 연결되는 제1보강 부재(51)와, 제2커버 프레임(22)과 연결되는 제2 보강 부재(52)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는데, 이는 커버막(23)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제1보강부재(51)와 제2보강부재(52)가 서로 만나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제2보강부재(52)와 제1보강부재(51) 간의 연결 부위에 커버막(23)의 용이한 접힘을 접힘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강 부재(50)는 커버막(23)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커버막(23)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50)가 있어서, 커버막(23) 위에 가벼운 물건을 올려둘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배가될 수 있다.
도5(a) 내지 도5(c)는 원통형의 용기부가 아닌 사각통 형상의 용기부(2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인데, 사각통의 용기부(20)를 제외하고는 커버부(20)의 구성이나 동작, 그리고 보강부재의 적용 가능 상태는 도1 내지 도4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언급한 것으로 대체하겠다.
용기부의 형상은 원통형이나, 사각통 이외에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한편 도6은 용기부(20)가 접시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접시의 경우 도1 내지 도5에서 나타난 일정한 높이가 있는 용기부와 달리 측면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작다.
따라서, 도1 내지 도4에서 나타난 커버부(20)의 구성에서 제1,2고정부(31,42) 및 제1,2 연결부(41,42)의 구성을 생략하고, 제1,2커버 프레임(21, 22) 및 커버막(23)의 구성이 중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서 나타난 커버막(23)과 제1,2커버 프레임, 그리고 보강부재의 구성은 도6에서 나타난 접시의 커버부(2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 형상, 재질, 상호 간의 동작, 연결관계는 도1 내지 도4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해당 설명은 도1 내지 도4에 대한 것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
한편, 이하에선 가변형 용기부를 갖는 밀폐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용기는 가변형의 용기부(100)와, 용기부 입구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용기부(100)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재질의 막으로 구성되거나, 비닐과 같은 비탄성 재질의 주머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배치된 구조는 원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폐루프 구조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상호 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는 각각 연결 지지부(230)에 의하여 연결되고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젖혀진 경우, 상호 이격되는데, 이러한 이격 공간(240)이 제1,2프레임(210,220)이 서로 만날때 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각각 고정형태를 가진 보강물과 유사하므로 용기부(100)가 개방된 경우, 입구 테두리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제1프레임(210)에는 돌기 형태의 고정부(310)가 마련되고, 제2프레임(220)에는 고정부(310)에 결착 또는 결합 또는 체결 가능한 연결부(320)가 마련된다.
연결부(320)는 제2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밀착된 경우, 그 밀착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부(310)에 결착 또는 결합 또는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만나서 밀착되는 경우,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밀폐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1프레임(210)의 전부 또는 일부, 특히 제2프레임(220)과 만나는 표면은 점착 성분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프레임(220)의 전부 또는 일부, 특히, 제1프레임(210)과 만나는 표면도 점착 성분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에서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만나는 표면이 평면으로 표현되었지만,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에는 그 표면을 따라 연속적인 돌출부(미도시)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그 표면을 따라서 연속적이며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홈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접혀서 상호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1프레임(210)의 두께와, 제2프레임(220)의 두께의 합이 연결 지지부 (230)상면의 이격 공간(24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두께의 합이 연결 지지부(240) 상면의 이격 공간(240)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제1,2프레임(210, 220)이 전체적으로 밀착된다고 하여도, 연결 지지부(230) 근처에서 그 차이(두께의 합과 연결 지지부 상면의 길이의 차)만큼 빈틈이 생성되고, 이에 의하여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도7과 같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평면상에서 완전히 젖혀진 상태에서는 용기부(100)도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물을 그 위에 올려놓고 비상시 도마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본 발명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도8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피가 큰 수박과 같은 물품(A)의 경우, 종래의 시중에서 유통되는 고정형 밀폐용기나 지퍼락과 같은 비닐봉투로만 이루어진 밀폐 주머니에는 그 원형을 유지하면서 넣을 수 없어서 수박을 잘라서 그 내용물을 잘게 분해해서 넣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을 최대한 펼친 상태에서 용기부(100) 위에 수박과 같은 큰 보관물이나 아니면 다수의 작은 보관물을 놓을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간격 조절에 따라서 용기부(100) 입구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고정형의 밀폐 용기는 입구의 크기가 처음부터 고정되어 있고, 지퍼락과 같은 밀폐 주머니의 경우도 그 입구의 크기를 벌려서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은 용기부(100)의 입구의 크기를 확대하는 자유도가 종래의 비닐 밀폐 주머니에 비해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을 잡고 서로를 향해서 밀착시킨다.
이 경우,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직립하면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하단부가 각각 연결 지지부(240)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된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탄성재질 또는 점착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홈과 돌기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밀착성능이 우수하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부(320)를 회동하여 고정부(310)를 감싸거나 고정부(310)와 체결 또는 결착시키면, 그 체결 또는 결착력에 의하여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간의 밀착상태가 더 강해진다.
도 7 내지 도9에서는 연결부(310)와 고정부(320)가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에 각각 한 개씩 있는 것을 나타냈으나, 밀착력 개선을 위해서 각각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에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7 내지 도9에서 나타난 용기부(100)는 탄성 재질의 고무나 실리콘 막과 같은 것을 구성되기 때문에, 도2에서 도3과 같은 형태로 변하는 경우, 용기부(100)의 형상도 그 내부의 보관물(A)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액체나 기체를 투과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10는 용기부(100')가 도7 내지 도9과 같은 탄성 변형 특성이 부족하지만 액체나 기체를 투과시킬 수 없는 주머니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간의 간격 조절에 따라서 그 입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최대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을 벌린 경우, 그 크기를 최대화 할 수 있으며, 그 입구의 개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보관물의 수납이 용이하다.
그리고,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을 접어서 상호 밀착시키고, 연결부(320)와 고정부(310)를 체결하거나 결합 또는 걸리게 하는 경우 용기부(100') 내부와 외부를 밀폐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7 내지 도9에서 나타난 밀폐용기나, 도10에서 나타난 밀폐용기를 세척하는 경우, 용기부(100, 100') 자체를 뒤집어서 닦으면 되기 때문에 그 세척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용기 내부의 저장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 커버부는;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의 일부 영역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제1커버 프레임과, 상기 제1커버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의 나머지 영역과 밀착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는 제2커버프레임과;
    상기 제1커버 프레임 및 제2커버 프레임에 걸쳐서 마련되며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형상이 변형되고,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기체 또는 액체의 투과가 방지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커버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이 상기 제1커버 프레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커버막에 의하여 덮힌 용기 입구 전체가 개방될 수 있게 마련되되,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의 위치 상태에 따라서 용기 입구 전체의 개방 정도가 변화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커버막의 재질은 탄성 또는 비탄성 재질이며 가변성을 구비하되,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서 접혀지거나 펼쳐짐으로써 단면적이 가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커버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에 걸리거나 체결되어 제1커버 프레임을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측면에 마련되고 제1고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커버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부와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체결될 수 있게 마련되어 상기 커버막이 상기 용기부의 입구를 막은 경우, 제2커버 프레임이 상기 용기부 입구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고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커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커버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프레임의 형상은 상기 제1커버 프레임이 고정되는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 일부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의 형상은 상기 제1커버 프레임이 고정되는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 나머지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막은;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이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와 이격되어 제1커버 프레임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접힐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제2커버 프레임에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와 밀착되는 경우 펴질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프레임 또는 제2커버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막의 표면 또는 커버막의 속에 배치되어 커버막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프레임과, 상기 제2커버 프레임은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와 밀착되도록 점착력 있는 성분 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성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10. 상호 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간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면접하거나 결합되어, 면접되거나 결합되는 경우 그 면접되는 부분이나 결합되는 부분을 밀폐할 수 있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걸쳐서 배치되며 소정의 보관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되, 그 형상이 가변적인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 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용기부가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으로서 활용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간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 조절에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이 벌려지거나 좁아져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의 체적이 변화 가능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입구의 크기가 변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탄성 재질 또는 비탄성 재질의 주머니 형태로 가변되며, 기체나 액체가 투과할 수 없는 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의 두께와 상기 제2프레임의 두께의 합은 상기 연결 지지부의 상면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고정부 및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어 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려지거나 또는 체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돌출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 이나 상기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리거나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상호 간에 밀착되도록 점착력 있는 성분 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성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한 밀폐 용기.
PCT/KR2015/011106 2014-10-21 2015-10-21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 WO20160641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11,242 US10633157B2 (en) 2014-10-21 2015-10-21 Airtight container having deformable cover unit or deformable contain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59A KR101603850B1 (ko) 2014-10-21 2014-10-21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KR10-2014-0142707 2014-10-21
KR1020140142707A KR101638248B1 (ko) 2014-10-21 2014-10-21 가변형 커버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
KR10-2014-0142759 2014-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176A1 true WO2016064176A1 (ko) 2016-04-28

Family

ID=5576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1106 WO2016064176A1 (ko) 2014-10-21 2015-10-21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33157B2 (ko)
WO (1) WO2016064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075381U (zh) 2021-12-03 2022-07-29 宁波凯迅进出口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密封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214U (ko) * 1989-07-13 1991-03-07
JP2542350Y2 (ja) * 1991-06-04 1997-07-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 器
KR200386516Y1 (ko) * 2005-03-21 2005-06-13 서우석 가요성 범용 용기커버
KR200400652Y1 (ko) * 2005-08-18 2005-11-08 박선호 양측 방향으로 개폐가능한 접철식 커버를 구비한 다용도용기
KR200448463Y1 (ko) * 2009-05-18 2010-04-15 주식회사 이솔에프앤씨 수납시에만 크기가 늘어나는 주머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599A (en) * 1894-12-11 Freda von oiieimb
US3555663A (en) * 1968-12-09 1971-01-19 Us Navy Method of making an annular glass-to-metal joint
US4270668A (en) * 1980-02-05 1981-06-02 Shop-Vac Corporation Buckle or latch for holding lid to container
US4561480A (en) * 1982-09-30 1985-12-31 Underwood Stephen C Leaf caddy
US4996727A (en) * 1989-07-28 1991-03-05 Guardian Products, Inc. Disposable waste bag
CH686066A5 (de) * 1993-08-27 1995-12-29 Peter Gerster Schutz- und Warmhaltehaube fur Speisen.
US5451107A (en) * 1994-01-31 1995-09-19 Ricker; Melvin E. Leaf and debris yard transport
JP3022214U (ja) 1995-08-31 1996-03-22 天馬株式会社 保存容器の蓋体におけるダブルヒンジ構造
US6212711B1 (en) * 1998-10-02 2001-04-10 Michael Gilmour Mat for clothing change and carry
GB9825586D0 (en) * 1998-11-24 1999-01-13 Worlds Apart Limited Storage device with improvements
US6892897B2 (en) * 1998-11-24 2005-05-17 Spin Master Limited Collapsible storage device with movable closure element
US6186640B1 (en) * 1999-02-16 2001-02-13 Melina Typaldos Circumferential bellows purse with internal light
US7243809B2 (en) * 2005-05-31 2007-07-17 David Bezar Gift wrapping package and method of use
US7243482B2 (en) * 2005-05-31 2007-07-17 David Bezar Gift wrapping package and method of use
KR200396084Y1 (ko) 2005-06-23 2005-09-15 주식회사 두산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US8733585B2 (en) * 2012-06-14 2014-05-27 Merrick Engineering, Inc. Folding container li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214U (ko) * 1989-07-13 1991-03-07
JP2542350Y2 (ja) * 1991-06-04 1997-07-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 器
KR200386516Y1 (ko) * 2005-03-21 2005-06-13 서우석 가요성 범용 용기커버
KR200400652Y1 (ko) * 2005-08-18 2005-11-08 박선호 양측 방향으로 개폐가능한 접철식 커버를 구비한 다용도용기
KR200448463Y1 (ko) * 2009-05-18 2010-04-15 주식회사 이솔에프앤씨 수납시에만 크기가 늘어나는 주머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33157B2 (en) 2020-04-28
US20170283140A1 (en)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5885A (en) Airtight container
WO2011115346A1 (ko) 화장품용기의 기밀링 구조
JP5640339B2 (ja) ウェットシート用包装体の蓋体
US7350541B2 (en) Leakproof one-way valve for use with vacuum attachment
WO2017146408A1 (en) Push type cosmetic container
WO2019017571A1 (ko)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US20080237239A1 (en) Reclosable storage bag having flexible sidewalls combined with less flexible container
US20060213796A1 (en) Airtight container
WO2016064176A1 (ko) 가변형 커버부 또는 가변형 용기부를 구비하는 밀폐 용기
JPH07303326A (ja) 基材間封止用物品
US20090218342A1 (en) Folding container
WO2015030532A1 (ko)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를 포장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WO2010150985A2 (ko) 밀폐용기와 그 제조방법
WO2017164655A1 (ko) 체크밸브
WO2013065952A1 (ko) 화장품 용기
WO2018212593A1 (ko) 밀폐용기
JP2630548B2 (ja) パッケージング
WO2018155780A1 (ko)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WO2019083205A1 (ko) 저장용기
WO2021162453A1 (ko) 연질 힌지부 및 이중 사출 구조를 갖는 밀폐 용기
WO2020085713A1 (ko) 저장용기
WO2013005998A2 (ko) 컵라면 뚜껑의 고정장치
JP2004075352A (ja) 袋保持具
JPH01253698A (ja) 容器の蓋、及びディスペンサから容器に物質を移す方法及び装置
WO2017183937A1 (ko)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517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1124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D 02.11.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517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