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1855A1 -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1855A1
WO2016021855A1 PCT/KR2015/007703 KR2015007703W WO2016021855A1 WO 2016021855 A1 WO2016021855 A1 WO 2016021855A1 KR 2015007703 W KR2015007703 W KR 2015007703W WO 2016021855 A1 WO2016021855 A1 WO 20160218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nd
filler
pipe
inner pipe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7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이성원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42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661857A/zh
Publication of WO20160218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18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for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of a soft groun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file, which are concerned about cutting of a mountain and ground subsidence.
  •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file for the soft ground including the incised cut site 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ile.
  • retaining walls are constructed in incisions (surfaces) formed by cutting the mountains for road construction, and in soft grounds where ground subsidence is concerned. These retaining walls are artificially cut to prevent the slopes from collapsing by cutting the ground or accumulating soil, gravel, and stones. It is a wall made.
  • the retaining wall was firmly supported by inserting a reinforcement into the retaining wall and the soil inside the retaining wall.
  •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55930 name of the invention: retaining wall method using waste tires
  •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7-0011078 design name: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55930 has the advantage of recycling waste tires, but firmly supports the soft ground including a cut in the mountains There is a fatal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devised to meet the needs to be piled with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oft ground, including the incision cut the mountain, and then the end of the piled piled concrete block integrally
  •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for piles of soft ground which is concerned about the cut of the mountains and ground subsidence, which prevents landslides and minimizes the input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by reinforcing the soft ground including the cut in the mountain. And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ile.
  • the pile (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of the soft ground which is concerned about the cut of the acid and ground subsid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21 and the outer wall and the outer pipe 20 is formed with a cohesive means 22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that the ground and strong cohesive force can be exerted in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groove 70
  • the inner pipe 10 and the outer pipe 20 are fixed to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30 can b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lling is filled in the inner pipe 10.
  • the support pipe 40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soil and cohesion in the interior of the drilling groove 70, and the filler in the slush state that is forcibly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30) )
  • a support 60 which is embedded to improve adhesion in the filler 50, and has an extension 61 extending in length compared to the inner and outer pipes 10 and 20. It is characterized by.
  • the support 60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rebar, round bar, pipe.
  • the filler 5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mortar, corrosion mortar.
  • the inner pipe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attachment means 11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as to be able to exert a strong adhesive force with the filler 50 on the inner, outer diameter wall surface in the drilling groove 70
  • the inner wall surface any selected of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that the strong adhesive force with the filler 50 can be exerted
  • the attachment means 21 is formed as one formed on the outer wall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that the strong cohesive force with the ground in the interior of the drilling groove 70 can be exerted
  • the outer pipe 20 in which the collecting means 22 is formed, and the inner pipe 10 and the outer pipe 20 are fixed to
  • finishing block 80 is characterized in that a variety of patterns and colors can be expresse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 the core material 9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rebar, round bar, I-beam, H-beam.
  •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ile of the soft ground which is concerned about the cut of the mountain and ground subsid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ile has a long length in the interior of the soft ground which is concerned about the cutting of the mountain and ground subsidence As the pile is inserted, the surrounding ground and cohesion are strengthened to prevent landslides, and the simple and rapid construction can greatly reduc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and ou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sing block is fixed integrally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onstruction proces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ile (S) of the soft ground which is concerned about cutting the ground and ground subsidenc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iller 50 and strong adhesion to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walls; Attachment means (11)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as to be exerted is configured and the inner pipe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 the inner wall is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as to exert a strong adhesive force with the filler 50
  • the attachment means 21 is configured to the outer side wall is formed on the outer wall is formed with a cohesion means 22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as to exhibit a strong cohesive force with the ground in the interior of the drilling groove (70) 20 is provided.
  • the inner pipe 10 and the outer pipe 20 are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30 can b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ller 50 filled in the inner pipe 10 diverges outward.
  • Is provided with a support pipe 40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soil and cohesion in the interior of the drilling groove (70).
  • the support pipe 40 is configured so that the filler filled through the inner pip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nd 4 can be diverted outward through the outer pipe to increase the cohesion between the pile and the soil. You can.
  • the receiving space 30 is filled with the filler 50 in the slush state is filled with pressure
  • the filler 50 may be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mortar, corrosion mortar.
  • the support 60 having an extension portion 61 is extended compared to the inner, outer pipe (10, 20) is provided.
  • the support 60 may be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rebar, round bar, pipe, as shown in Figure 3, the extension 61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at a 90 ° angle in the future finishing block 80 It will be a skeleton of.
  • At least one file (S) is first inserted into the soft ground where the ground is cut and the ground settlement is concerned.
  • S100 a drilling groove 70 that can be fixed
  • the perforated groove 70 is preferably constructed at least one or more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soft ground that is concerned about the incision and ground subsidence.
  • the attachment means 11 is formed at any one selected from the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as to be able to exert a strong adhesive force with the filler 50 on the inner, outer wall surface in the perforated groove 70 perforated in the perforation step and the predetermined
  • An inner pipe 10 having a length and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inner pipe 10 are disposed in an outer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pipe 10, and a strong adhesive force with the filler 50 may be exer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 Attachment means 21 is formed to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that at the same time the outer wall surface is formed with any one selected from the wrinkles or irregularities so that a strong cohesion with the ground in the perforated groove 70 can be exerted
  • the outer pipe 20, the means 22 is configured, the inner pipe 10 and the outer pipe 20 is fixed to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receiving space 30 can be formed
  • the filler 50 filled in the inner pipe 10 is dive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upport pipe 40 and the accommodation space 30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soil and cohesion in the interior of the drilling groove 70 Filled in the slush state (50) and the filling is reinforced in the interior of the filler 50, the extension portion 61 is extended compared to the inner and outer pipes (10, 20) Insert the file (S) consisting of a support 60 having a (S200).
  • the extension 61 of the support 60 is fixed in an outward direction so as to be fixed integrally with the closing block 80 (S300).
  • the core material 90 having an extended portion 91 is expanded into the inner pipe 10 of the pile S compared with the inner pipe 10 (S400), and then into the inner pipe 10.
  • the filler 50 is strongly injected, but the filler 50 is injected to be sufficiently diverg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outer pipe 20 through the support pipe 40.
  • the finishing block 80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round the curved extension 61 of the support 60 and the extension 91 of the core material 90 Constructing the formwork 100 to be formed, the role of the skeleton of the finishing block 80 is the extension portion 61 of the support, the extension portion 91 of the core to be in charge can be completed a solid finishing block.
  • the mortar is poured into the constructed formwork 100 to form a finishing block 80 (S700), and when the finishing block is completed, the formwork is removed by removing the formwork (S800), 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5.
  • the finishing block 80 may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patterns and colors to achiev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 the core material 90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rebar, round bar, I-beam, H-beam. Accordingly, through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ile (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landslides and settlement in advance by reinforcing the soft ground that is concerned about ground subsidence.
  • Figure 5 is shown in the state of use to be constructed in the incis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ile (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foundation work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을 깎은 절개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에 장 방향의 파일을 이용하여 지반을 보강함과 동시에 기존에 비해 시공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산을 깎은 절개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 적어도 한 개 소 이상 파일(S)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천공홈(70)을 한 다음, 그 천공홈(70)에 내, 외경 벽면에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11)이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측파이프(1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파이프(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에 배치되며, 내측 벽면에는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외측 벽면에는 천공홈(70)의 내부에서 지반과 강한 응집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위한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응집수단(22)이 구성되는 외측파이프(2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고정되어 수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파이프(10)에 충진 되는 충진제(50)가 외측으로 발산되어 천공홈(70)의 내부에서 토사와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파이프(40)와, 상기 수용공간(30)에 강압 충진되는 슬러쉬 상태의 충진제(50)와, 상기 충진제(50)의 내부에서 부착력 향상을 위해 매립되며, 상기 내,외측파이프(10,20)에 비해 길이가 확장된 연장부(61)를 갖는 지지체(60)가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일(S)을 삽입시키고, 그 파일의 끝단에는 마감블록을 일체형으로 시공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본 발명은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산을 깎은 절개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에 장 방향의 파일을 이용하여 지반을 보강함과 동시에 기존에 비해 시공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산을 깎은 절개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착공을 위해 산을 깎아서 형성된 절개지(면)와, 지반 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는 옹벽을 시공하는데, 이러한 옹벽은 땅을 깎거나 흙,자갈, 돌 등을 쌓아 비탈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벽이다.
따라서 옹벽이 무너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탱되기 위해서는 옹벽과 옹벽의 내측에 있는 토양의 내부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옹벽이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옹벽시공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출원 제10-2000-0055930호(발명의 명칭 : 폐타이어를 이용한 옹벽 공법)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1078호(고안의 명칭: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구조)호 등이 있으며, 이중 상기 특허출원 제10-2000-0055930호에 게시된 발명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견고하게 산을 깎은 절개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을 지지해주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1078호에 게시된 고안은 작은 옹벽블록이 쌓여 옹벽이 형성되는 구조인데,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옹벽블록을 쌓아올릴 터를 착공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하나씩 쌓아올리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쌓아 올린 이후에도 옹벽블록들이 서로 맞물림 고정되도록 해야하는 등 상당한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이 요구될 수밖에 없는 시공방법이었다.
이에 따라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향상된 지지력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옹벽시공방법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산을 깎은 절개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에 장 방향의 길이를 갖는 파일을 박은 다음 박힌 파일의 끝단에는 콘크리트블록이 일체형으로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산을 깎은 절개지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이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산사태를 방지함과 동시에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S)은,
내, 외경 벽면에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11)이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측파이프(1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파이프(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에 배치되며, 내측 벽면에는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외측 벽면에는 천공홈(70)의 내부에서 지반과 강한 응집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위한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응집수단(22)이 구성되는 외측파이프(2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고정되어 수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파이프(10)에 충진 되는 충진제(50)가 외측으로 발산되어 천공홈(70)의 내부에서 토사와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파이프(40)와, 상기 수용공간(30)에 강압 충진되는 슬러쉬 상태의 충진제(50)와, 상기 충진제(50)의 내부에서 부착력 향상을 위해 매립되며, 상기 내, 외측파이프(10,20)에 비해 길이가 확장된 연장부(61)를 갖는 지지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60)는 철근, 환봉, 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제(50)는 모르타르, 내식 모르타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 적어도 한 개 소 이상 파일(S)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천공홈(70)을 시공하는 천공단계(S100)와, 상기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천공홈(70)에 내, 외경 벽면에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11)이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측파이프(1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파이프(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에 배치되며, 내측 벽면에는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외측 벽면에는 천공홈(70)의 내부에서 지반과 강한 응집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위한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응집수단(22)이 구성되는 외측파이프(2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고정되어 수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파이프(10)에 충진 되는 충진제(50)가 외측으로 발산되어 천공홈(70)의 내부에서 토사와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파이프(40)와, 상기 수용공간(30)에 강압 충진되는 슬러쉬 상태의 충진제(50)와, 상기 충진제(50)의 내부에서 부착력 향상을 위해 매립되며, 상기 내,외측파이프(10,20)에 비해 길이가 확장된 연장부(61)를 갖는 지지체(60)가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일(S)을 삽입시키는 파일삽입단계(S200)와, 천공홈(70)에 파일 삽입 후 상기 지지체(60)의 연장부(61)를 마감블록(80)과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휘게 하는 연장부 휨 단계(S300)와, 상기 파일(S)의 내측파이프(10) 내부에 내측파이프(10)에 비해 확장된 연장부(91)을 갖는 심재(90)를 투입하는 심재 투입단계(S400)와, 상기 심재(90) 투입 후 내측파이프(10)의 내측으로 충진제(50)를 강압주입하는 충진제 주입단계(S500)와, 상기 충진제 주입단계에서 주입된 충진제가 충분히 양생 되면, 지지체(60)의 휘어진 연장부(61)와 심재(90)의 연장부(91) 주변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마감블록(80)이 형성되도록 거푸집(100)을 시공하는 거푸집시공단계(S600)와, 상기 시공된 거푸집(100)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블록(80)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감블록 형성단계(S700)와, 상기 마감블록 형성 후 거푸집을 철거하는 거푸집 철거단계(S800)로 이루어지되,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 적어도 1회 이상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블록(80)은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무늬와 색채가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재(90)는 철근, 환봉, I 형강, H형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내부에 장방향의 길이를 갖는 파일이 삽입됨과 동시에 주변 지반과 응집력이 강화되어 산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신속한 시공으로 인해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 외측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마감블록이 일체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시공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S)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S)은 먼저, 내, 외경 벽면에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11)이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측파이프(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측파이프(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파이프(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에 배치되며, 내측 벽면에는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외측 벽면에는 천공홈(70)의 내부에서 지반과 강한 응집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위한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응집수단(22)이 구성되는 외측파이프(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고정되어 수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파이프(10)에 충진 되는 충진제(50)가 외측으로 발산되어 천공홈(70)의 내부에서 토사와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파이프(40)가 구비된다.
이때 지지파이프(4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파이프를 통해 충진되는 충진제가 외측파이프를 통과하여 외측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파일과 토사와의 응집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30)에는 강압 충진되는 슬러쉬 상태의 충진제(50)가 충진 되는바, 상기 충진제(50)는 모르타르, 내식 모르타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제(50)의 내부에는 부착력 향상을 위해 매립되며, 상기 내, 외측파이프(10,20)에 비해 길이가 확장된 연장부(61)를 갖는 지지체(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60)는 철근, 환봉, 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61)가 90°각도로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휘어져 향후 마감블록(80)의 뼈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먼저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 적어도 한 개 소 이상 파일(S)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천공홈(70)을 시공한다(S100).
상기 천공홈(70)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면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천공홈(70)에 내, 외경 벽면에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11)이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측파이프(1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파이프(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에 배치되며, 내측 벽면에는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외측 벽면에는 천공홈(70)의 내부에서 지반과 강한 응집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위한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응집수단(22)이 구성되는 외측파이프(2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고정되어 수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파이프(10)에 충진 되는 충진제(50)가 외측으로 발산되어 천공홈(70)의 내부에서 토사와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파이프(40)와, 상기 수용공간(30)에 강압 충진되는 슬러쉬 상태의 충진제(50)와, 상기 충진제(50)의 내부에서 부착력 향상을 위해 매립되며, 상기 내,외측파이프(10,20)에 비해 길이가 확장된 연장부(61)를 갖는 지지체(60)가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일(S)을 삽입시킨다(S200).
또한 상기 천공홈(70)에 파일 삽입 후 상기 지지체(60)의 연장부(61)를 마감블록(80)과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연장부(61)를 외측 방향으로 휜다(S300).
또한 상기 파일(S)의 내측파이프(10) 내부에 내측파이프(10)에 비해 확장된 연장부(91)을 갖는 심재(90)를 투입한 다음(S400), 내측파이프(10)의 내측으로 충진제(50)를 강압주입하되, 충진제(50)가 지지파이프(40)를 통해 외부파이프(20)의외측 방향으로 충분히 발산될 수 있도록 주입한다.
또한 상기 충진제 주입단계에서 주입된 충진제가 충분히 양생 되면, 지지체(60)의 휘어진 연장부(61)와 심재(90)의 연장부(91) 주변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마감블록(80)이 형성되도록 거푸집(100)을 시공하되, 마감블록(80)의 뼈대 역할은 지지체의 연장부(61)와, 심재의 연장부(91)가 담당을 하게 되어 견고한 마감블록이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된 거푸집(100)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블록(80)이 형성한 다음(S700), 그 마감블록이 양생 완료되면 거푸집을 철거(S800)함으로써 옹벽시공은 완성되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 적어도 1회 이상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블록(80)은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무늬와 색채가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심재(90)는 철근, 환봉, I 형강, H형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옹벽 시공용 파일(S)과 그 파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통해 절개지는 물론,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을 보강시켜 산사태와 침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5에서는 절개지에 시공되는 사용상태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건물을 착공하기 전 기초공사를 할 때도 본원 발명의 옹벽 시공용 파일(S)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내, 외경 벽면에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11)이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측파이프(10);
    상기 내측파이프(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파이프(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에 배치되며, 내측 벽면에는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외측 벽면에는 천공홈(70)의 내부에서 지반과 강한 응집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위한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응집수단(22)이 구성되는 외측파이프(20);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고정되어 수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파이프(10)에 충진 되는 충진제(50)가 외측으로 발산되어 천공홈(70)의 내부에서 토사와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파이프(40);
    상기 수용공간(30)에 강압 충진되는 슬러쉬 상태의 충진제(50);
    상기 충진제(50)의 내부에서 부착력 향상을 위해 매립되며, 상기 내, 외측파이프(10,20)에 비해 길이가 확장된 연장부(61)를 갖는 지지체(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0)는 철근, 환봉, 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50)는 모르타르, 내식 모르타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4.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 적어도 한 개 소 이상 파일(S)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천공홈(70)을 시공하는 천공단계(S100);
    상기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천공홈(70)에 내, 외경 벽면에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11)이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측파이프(1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파이프(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에 배치되며, 내측 벽면에는 충진제(50)와 강한 부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부착수단(21)이 구성됨과 동시에 외측 벽면에는 천공홈(70)의 내부에서 지반과 강한 응집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위한 주름 또는 요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응집수단(22)이 구성되는 외측파이프(20)와, 상기 내측파이프(10)와 외측파이프(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고정되어 수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파이프(10)에 충진 되는 충진제(50)가 외측으로 발산되어 천공홈(70)의 내부에서 토사와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파이프(40)와, 상기 수용공간(30)에 강압 충진되는 슬러쉬 상태의 충진제(50)와, 상기 충진제(50)의 내부에서 부착력 향상을 위해 매립되며, 상기 내,외측파이프(10,20)에 비해 길이가 확장된 연장부(61)를 갖는 지지체(60)가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일(S)을 삽입시키는 파일삽입단계(S200);
    천공홈(70)에 파일 삽입 후 상기 지지체(60)의 연장부(61)를 마감블록(80)과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휘게 하는 연장부 휨 단계(S300);
    상기 파일(S)의 내측파이프(10) 내부에 내측파이프(10)에 비해 확장된 연장부(91)을 갖는 심재(90)를 투입하는 심재 투입단계(S400);
    상기 심재(90) 투입 후 내측파이프(10)의 내측으로 충진제(50)를 강압주입하는 충진제 주입단계(S500);
    상기 충진제 주입단계에서 주입된 충진제가 충분히 양생 되면, 지지체(60)의 휘어진 연장부(61)와 심재(90)의 연장부(91) 주변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마감블록(80)이 형성되도록 거푸집(100)을 시공하는 거푸집시공단계(S600);
    상기 시공된 거푸집(100)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블록(80)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감블록 형성단계(S700);
    상기 마감블록 형성 후 거푸집을 철거하는 거푸집 철거단계(S800);
    로 이루어지되,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에 적어도 1회 이상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록(80)은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무늬와 색채가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90)는 철근, 환봉, I 형강, H형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CT/KR2015/007703 2014-08-08 2015-07-24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WO201602185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42282.4A CN106661857A (zh) 2014-08-08 2015-07-24 削山形成的断崖及可能发生地基下沉的软弱地基的挡土墙施工用桩子及利用该桩子的挡土墙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138A KR101468465B1 (ko) 2014-08-08 2014-08-08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014-0102138 2014-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855A1 true WO2016021855A1 (ko) 2016-02-11

Family

ID=5174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703 WO2016021855A1 (ko) 2014-08-08 2015-07-24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68465B1 (ko)
CN (1) CN106661857A (ko)
WO (1) WO2016021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285B1 (ko) * 2023-10-18 2024-03-13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보강토 옹벽용 복합보강유닛
KR102663031B1 (ko) * 2023-10-18 2024-05-07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보강재와 주름관이 적용된 복합보강유닛을 이용한 옹벽 구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143A (ja) * 1999-12-03 2001-06-12 Yasunobu Yoshida 金属製パイプとfrp吸引圧送の三重構造による擁壁土止め工法
KR100404756B1 (ko) * 2001-07-09 2003-11-07 금호엔지니어링 (주) 어스 앵커 공법 및 이에 적합한 강선 가이드
KR100721786B1 (ko) * 2006-11-03 2007-06-04 주식회사 오륙개발 연약지반을 보강하면서 앵커ㆍ네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169732B1 (ko) * 2012-04-04 2012-07-30 초석엔지니어링(주) 지중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1279945B1 (ko) * 2013-02-04 2013-07-17 박정혁 옹벽조경물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5880A (zh) * 2009-02-25 2009-09-09 河海大学 塑料套管混凝土桩及其加固处理软土地基的方法
KR100984040B1 (ko) 2010-01-14 2010-10-05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CN101892661B (zh) * 2010-07-15 2011-12-14 南京工业大学 双管加强复合材料组合桩柱
CN103074891B (zh) * 2013-01-29 2015-07-15 浙江信博城市建设有限公司 双层塑料套管散体材料与混凝土劲芯组合桩及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143A (ja) * 1999-12-03 2001-06-12 Yasunobu Yoshida 金属製パイプとfrp吸引圧送の三重構造による擁壁土止め工法
KR100404756B1 (ko) * 2001-07-09 2003-11-07 금호엔지니어링 (주) 어스 앵커 공법 및 이에 적합한 강선 가이드
KR100721786B1 (ko) * 2006-11-03 2007-06-04 주식회사 오륙개발 연약지반을 보강하면서 앵커ㆍ네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169732B1 (ko) * 2012-04-04 2012-07-30 초석엔지니어링(주) 지중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1279945B1 (ko) * 2013-02-04 2013-07-17 박정혁 옹벽조경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1857A (zh) 2017-05-10
KR101468465B1 (ko) 2014-12-10
KR20140103890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368B1 (ko) 지오튜브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의 두부정리부위를 지상화하여 시공하는 방법
KR101685088B1 (ko) 터널 시공방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GB2519270B (en) Stepwise repeated de-stabilisation and stabilisation of highly collapsible soil by 'soil nailing technique' for construction of railway/road underpass
WO2016021855A1 (ko) 산을 깎은 절개지 및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연약지반의 옹벽 시공용 파일 및 그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618597B1 (ko) 인너튜브와 콘크리트 오름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CN204662494U (zh) 一种公路挡土墙加固结构
CN113216213A (zh) 一种地下室防水基坑结构及施工方法
EP2364399B1 (en) Modular lining for tunnels
CN201874008U (zh) 非连续混凝土灌注桩墙结构
CN110984216A (zh) 水平t字形钢筋混凝土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206337566U (zh) 基坑竖向预应力锚杆支撑结构
CN114278333A (zh) 一种马头门的施工方法
CN112228076B (zh) 一种硬岩大跨度隧道快速开挖施工工法
CN103556629A (zh) 一种异形桩的施工方法
CN109653193B (zh) 逆作地下连续墙施工方法
CN210002441U (zh) 用于大跨度城市隧道的箱型顶板结构
CN112942374A (zh) 一种明挖暗支的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02677679A (zh) 建筑基坑用现浇异型钢筋混凝土桩芯水泥土地下连续墙
CN108019209B (zh) 适于浅埋隧道的上覆土层沉降变形的拉锚施工方法
CN206279790U (zh) 一种悬挑楼板临时支撑结构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CN218894091U (zh) 一种利用硬化道路的一体化悬臂桩支护结构
CN115262533B (zh) 免接头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CN211173214U (zh) 一种用于空斗墙单面钢筋网加固的拉结筋锚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296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296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