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03031A1 -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03031A1
WO2016003031A1 PCT/KR2014/011567 KR2014011567W WO2016003031A1 WO 2016003031 A1 WO2016003031 A1 WO 2016003031A1 KR 2014011567 W KR2014011567 W KR 2014011567W WO 2016003031 A1 WO2016003031 A1 WO 20160030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loth
planar heating
solution
heating cloth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5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원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이지원
이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이은정 filed Critical 이지원
Priority to CN201480080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664750A/zh
Priority to US15/322,158 priority patent/US20170142778A1/en
Publication of WO20160030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030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ar heating clot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ar heating clot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is inexpensive and easy to manufacture, improves physical properties, prevents falling of particles, and realizes high heat at low power. will be.
  • a cotton heat generating cloth (heating fabric) is manufactured by weaving with metal yarn or carbon fiber, or impregnating cotton fabric with a solution made of carbon black or general activated carbon, and in the case of metal yarn or carbon fiber, Are very high,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require expensive equipment.
  • a binder or the like is added to suppress insulation and particle dropout, and thus, an increase in resistance and an increase in viscosity are inevitable, and as the viscosity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to quickly coat and penetrate deep into the cotton fabric.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inexpensive, easy to manufacture, easy to maintain low resistance and low viscosity,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preventing falling of particles and high heat with low pow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nar heating clot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he plane heating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loth impregnated in a solution in which carbon nanotubes are dispersed; And an electrode formed along the cloth.
  • the solvent mixed in the solution is water, ethanol, methanol, N, N-dimethylformamide, N, N-dimethylacetamide, dimethyl sulfoxide, N-methylpyrrolidone, hexamethylphospholim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acetic acid, acetone.
  • the solu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ersant consisting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SDS, SDBS, PVP, Triton X-100, Arabic gum is added.
  • the dispersant consisting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SDS, SDBS, PVP, Triton X-100, Arabic gum is added.
  • the solu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djuvant including a penetrating agent consisting of a surfactant and alum, caustic soda is added.
  • an adjuvant including a penetrating agent consisting of a surfactant and alum, caustic soda is added.
  • the electrode is formed on a cloth impregnated with 70 to 90 wt% of a solvent, 0.5 to 20 wt% of a dispersant, 0.5 to 20 wt% of an auxiliary agent, and 0.5 to 20 wt% of carbon nanotubes.
  • planar hea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carbon nanotubes are dispersed; Forming an electrode along the cloth; And impregnating a cloth in the solution.
  • the preparing of the solution may include a first mill dispersion step of performing micronization and homogenization at a micron size, and a second ultrasonic dispersion step of a tip method of performing ultra-fine and further homogenization at a nano size. It features.
  •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ceeding the ultrasonic dispersion of the bath method before the first wheat dispersion step.
  • the cooling is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at 20 ⁇ 30 °C during the dispersion process.
  • the step of forming the electrode is characterized in that zigzag stitching cloth over the copper electrode.
  • the impregnation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is used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binder coating, laminating coating, thermal transfer coating.
  • planar heating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useful effects.
  • the heat loss is small due to the actual planar heat generation, so it can be realized at a heating temperature similar to the target temperature.
  • applying the electrode stitched copper electrode between the upper, lower fabric can have a high dur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product.
  • the impregnation process using carbon nano materials is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to mass produ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ar heat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ar heat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lanar heating cloth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ar heat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ar heat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nar heating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th 100 and an electrode 200 used as a substrate.
  •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simple method of impregnation, using carbon nanotubes (SWNT, MWNT, DWNT, etc.), adding a dispersant and an auxiliary to coat a planar heating cloth, and an electrode between or between the ends of the cloth. Formed to configure the entire area to generate heat.
  • SWNT carbon nanotubes
  • MWNT MWNT
  • DWNT DWNT
  • the cloth 100 is impregnated with a solution in which carbon nanotubes (SWNT, MWNT, DWNT, etc.), which are conductive materials, are dispersed.
  • carbon nanotubes SWNT, MWNT, DWNT, etc.
  • the cloth 100 may be applied to any kind, but it is advantageous to use less than 30 fabrics and use a cloth 100 of thickness less than 1 mm, in particular, it is advantageous to use 10 fabrics or 0.2 mm thick fabrics. Do.
  • the carbon nanotubes When the carbon nanotubes are enlarged in a SEM or the like, they secure the flexibility of the planar heating cloth, and are impregnated and coated in a entangled structure to reduce particle dropout.
  • the carbon nanotubes are easy to handle at a higher concentration than SWNTs, and are easy to handle,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so that MWNTs having a very low unit cost are preferably used.
  • the solvent mixed in the solution is water, ethanol, methanol, N, N-dimethylformamide, N, N-dimethylacetamide, dimethyl sulfoxide, N-methylpyrrolidone, hexamethylphospholimide,
  • One solvent selected from acetic acid and acetone is used.
  • the solution is further added with a dispersant comprising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SDS, SDBS, PVP, Triton X-100, and Arabic gum, in particular PVP is adhesive enough to be used for adhesive preparation.
  • a dispersant comprising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SDS, SDBS, PVP, Triton X-100, and Arabic gum, in particular PVP is adhesive enough to be used for adhesive preparation.
  • an auxiliary agent including a surfactant and a penetrating agent consisting of alum and caustic soda is added to the solution.
  • the carbon nanotubes are dispersed in a solvent such as water, it may not be easy to absorb in the cloth (100), in this case is to use auxiliaries such as surfactants and penetrants.
  • a small amount of antifoaming agent may be additionally used.
  • the penetrant can be easily used alum, caustic soda, etc., any material that can help absorption can be used.
  • the surface heating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200 in a cloth impregnated in a mixed solution of a solvent 70 ⁇ 90wt%, dispersant 0.5 ⁇ 20wt%, auxiliary agent 0.5 ⁇ 20wt% and carbon nanotubes 0.5 ⁇ 20wt% It is preferable that this be formed.
  • the electrode 200 is formed along the fabric 100 between both ends of the cloth 100 and between the fabric 100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cloth 100 may generate heat.
  •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lanar heating cloth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nar hea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 of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carbon nanotubes are dispersed (S100), forming an electrode along the fabric (S200) and comprising a step of impregnating a cloth in the solution (S300) do.
  • the step (S100) of preparing the solu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rocess of miniaturizing and homogenizing and dispersing the material by selecting only one of ultrasonic dispersion and mill dispersion, and the first mill dispersion step (S110) and the seco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ultrasonic dispersion step (S120).
  • the first mill dispersion step (S110) proceeds to micronization and homogenization to a micron size, and then the second ultrasonic dispersion step (S120) to ultra-fine and further homogenization to a nano size by a tip method (tip) method Proceeding will shorten time and increase efficiency.
  • the second ultrasonic dispersion step (S120) can be evenly dispersed by giving a flow to the solution rather than a static dispersion, in particular continuous ultrasonic dispersion is more effective.
  • first wheat dispersion step (S11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the step (S50) of the ultrasonic dispersion of the bath (bath) method.
  • the ultrasonic dispersion (S50) of the bath (bath) method before the first mill dispersion step (S110) can reduce the dispersion time, the dispersant and the auxiliary agent penetrates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to facilitate the subsequent dispersion. Can be.
  •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may be maintained between 4 and 50 ° C. when the cooling is performed at several times of dispersing. If the temperature is too low, coagulation of the dispersant and the auxiliary may occur to decrease the dispersing effect.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the surface of the solvent may evaporate. A film is formed or carbon nanotubes agglomerate.
  • the step of impregnating the cloth in the solution (S300)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from 10 seconds to 10 minutes as the impregnation time of the fabric 100, the drying and curing temperature after impregnation can be selected from 50 ⁇ 200 °C, if necessary Therefore, the natural drying or low temperature drying (25 ⁇ 80 °C) can be proceeded first and then secondary drying / curing.
  • Forming an electrode along the cloth 100 (S200) is formed by using a material of low resistance to the electrode 100 to the cloth 100, forming the electrode by weaving or sewing with metal yarn, conductive paste printing, conductive sheet or tape
  • the electrode can be formed by the like.
  • the copper electrode 200 may be used to reduce the unit cost.
  • the copper electrode 200 is attached to the fabric before coating and wrapped in the fabric.
  • the copper electrode 200 may be attached, but the copper electrode 200 may be placed on the copper electrode 200 to further enhance durability and eliminate line heating.
  • the cloth 100 is put on the zigzag padding cloth, even heat generation is possible.
  • the zigzag stitching stitching interval is 0.5 ⁇ 50mm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in particular 0.8 ⁇ 1.2mm.
  • the zigzag spacing is also adjusted to 0.5 ⁇ 50mm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in particular 8 ⁇ 12mm.
  • the copper electrode 200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cloth 100, the copper electrode 200 is attached to both ends thereof, and then the fabric 100 is folded and padded by the width of the copper electrode 200 to cover the center of the copper electrode 200. If you sew on the basis of the effect is more effective.
  • the width of the copper electrode 200 can be adjusted to 1 ⁇ 30mm according to the situation, but 10mm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efficiency.
  • the impregnating step (S3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applying an insulating coating (S400).
  • the cloth 100 which has been impregnated (coated), is subjected to an insulation coating, and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binder coating, laminating coating, and thermal transfer coating is preferably used.
  • Laminating film can secure transparency, thin coating and change of touch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base film.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but it may need to be relatively thick or weak to strong impact.
  • Thermal transfer method can increase the thickness, but can not raise indefinitely, it is difficult to secure transparency and high unit cost. If the surface heating cloth module is used alone, there is a thickness of the thermal transfer method to be protected. If the layer is absorbed like a mat, it is better to insulate it with lamination.
  • the material of the film used for laminating is irrelevant to any material such as PET, PC, PP, PVC, acrylic, urethane, and Teflon.
  • the soft urethane material is soft to the touch and less wrinkled, and there is a rusting sound when bending or moving. There is no excellent productability.
  • the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is cut to a suitable size, it may be inserted into a suitable step as necessary, such as before conductive impregnation (coating), after conductive impregnation (coating), or after insulation coating, but it is better to cut before conductive impregnation (coating).
  • planar heating cloth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both AC / DC, but the use of DC is suitable for problems such as electromagnetic waves.
  •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far infrared rays are emitted due to the application of carbon material, which is far infrared rays are also emitted to the heating element woven from the existing carbon fiber, carbon fiber is only partially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weakness of the extremely low far infrared emission amount will be.
  • planar heat generating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with a carbon material, especially carbon nanotubes in the form of cotton, and the far-infrared emission is high, and even farther, it is possible to lay a blanket on the heating element.
  • the heating source when the heating source is composed of points or lines, the heating source must have a temperature that is very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temperature, but there is a risk of local burns, but in the cas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ant heating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and may have the advantag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ource is not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there is no risk of burns).
  • the reference numeral is a zigzag stitching line (L).
  • the planar heat generating cloth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planar heat generating cloth using carbon nano material, so heat and current transfer is fast and uniform, very low loss, high heat can be realized with low power, and second, substantial planar heating Realization of heat dissipation is possible due to the low heat loss, which is similar to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de sewn on the copper electrod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abrics has high dur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application of carbon nano materials As a result, far infrared rays are widely emitted and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s very low. There is an industrial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mass production is easy due to the impregnation process using carbon nano material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물성이 향상되고 입자의 탈락이 방지되며 저전력으로 높은 열량을 구현하는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는 용액에 함침되는 천; 및 상기 천을 따라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을 제공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천을 따라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천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물성이 향상되고 입자의 탈락이 방지되며 저전력으로 높은 열량을 구현하는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상발열천(발열 직물)이라고 하면 금속사 또는 탄소섬유 등으로 직조하여 제조하거나, 면 원단을 카본블랙이나 일반 활성탄소 등으로 제조된 용액에 함침을 하게 되는데, 금속사나 탄소섬유의 경우 단가가 매우 높고, 제조하기 매우 힘들며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카본블랙, 활성탄소 등으로 면 원단을 함침하여 발열직물을 제조하는 경우 카본블랙, 활성탄소의 입자 모양이 구형태이기 때문에 저저항을 얻기 위해서 다량으로 투입해야 하고, 그로 인해 물성이 저하되고 모양변화에 따른 저항변화가 민감하게 반응하며 코팅 후 외부로 입자가 탈락되기도 한다. 그리고, 과량 투입으로 인한 분산제의 추가 투입으로 인해 농도가 올라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절연 및 입자 탈락을 억제하기 위해 바인더 등을 추가하는데, 이로 인한 저항 상승 및 점도 상승은 불가피하고, 점도가 올라가면 빠른 코팅이 어렵고 면 원단 내부로 깊숙이 침투가 어렵게 된다.
면상발열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면상발열체(특허 제621418호)" 참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저저항과 저점도를 유지하기 쉽고 물성이 향상되며 입자의 탈락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저전력으로 높은 열량을 구현하는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상발열천은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는 용액에 함침되는 천; 및 상기 천을 따라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액에 혼합되는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로리돈, 헥사메틸포스폴아마이드, 아세트산,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액에는 SDS, SDBS, PVP, Triton X-100, Arabic g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분산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액에는 계면활성제와 백반, 가성소다로 이루어지는 침투제를 포함하는 보조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용매 70~90wt%, 분산제 0.5~20wt%, 보조제 0.5~20wt% 및 탄소나노튜브 0.5~20wt%에 의해 함침된 천에 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천을 따라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천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기서, 상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마이크론 사이즈로 미세화 및 균질화를 진행하는 1차 밀분산 단계 및 나노 사이즈로 초미세화 및 추가 균질화를 진행하는 팁 방식의 2차 초음파 분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밀분산 단계 전에 배스 방식의 초음파 분산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 진행시 용액의 온도를 20~30℃로 유지하여 냉각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구리 전극 위로 천을 덧대어 지그재그 박음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시키는 단계 후에 바인더 코팅, 라미네이팅 코팅, 열전사 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되는 절연 코팅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면상 발열천이므로 열전달과 전류전달이 빠르고 균일하며 손실이 매우 적고 낮은 전력으로 높은 열량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실질적인 면상발열 실현으로 열손실이 적어 목표온도와 유사한 발열온도로 구현이 가능하다.
셋째, 상,하 천 사이에 구리전극을 바느질한 전극을 적용하게 되면 제품의 높은 내구성과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넷째, 탄소나노소재의 적용으로 원적외선이 많이 넓게 방출되고 전자파 발생이 매우 낮다.
다섯째, 탄소나노소재를 활용한 함침 공정으로 제조단가가 낮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천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천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면상발열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로 사용되는 천(100) 및 전극(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략적으로 본 발명은 공정이 간단한 함침하는 방식을 선택하되, 탄소나노튜브(SWNT, MWNT, DWNT 등)를 사용하고, 분산제, 보조제를 추가하여 면상발열천을 코팅하며, 천의 양단 또는 그 사이에 전극을 형성하여 전면적이 발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천(원단)(100)은 도전성 물질인 탄소나노튜브(SWNT, MWNT, DWNT 등)가 분산되는 용액에 함침된다.
상기 천(100)은 어느 종류든 적용이 가능하지만 30수 이하의 원단을 사용하며 1mm 이내 두께의 천(100)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특히 10수, 0.2mm 두께의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SEM 등으로 확대해서 보면 실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어서 면상발열천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서로 얽히는 구조로 함침, 코팅이 되어 입자 탈락이 적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SWNT에 비해 고농도로 분산이 용이하면서 다루기가 쉽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단가가 매우 낮게 형성되어 있는 MWN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액에 혼합되는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로리돈, 헥사메틸포스폴아마이드, 아세트산,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용액에는 SDS, SDBS, PVP, Triton X-100, Arabic g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하나의 재료 또는 몇 가지 재료의 혼합)로 이루어지는 분산제가 추가되는데, 특히 PVP는 접착제 제조에 사용될 만큼 접착력이 우수하여 천(원단)(100)을 함침한 후 코팅시 탄소나노튜브를 천(100)에 단단히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용액에는 계면활성제 및 백반, 가성소다로 이루어지는 침투제를 포함하는 보조제가 추가된다.
이것은 탄소나노튜브를 물 등의 용매에 분산시키기 때문에 천(100)에 흡수가 용이하기 않을 수 있는데, 이때 보조제로 계면활성제 및 침투제와 같은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거품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소량의 소포제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침투제는 쉽게 구할 수 있는 백반, 가성소다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흡수를 도울 수 있는 재료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면상발열천은 일 실시예로 용매 70~90wt%, 분산제 0.5~20wt%, 보조제 0.5~20wt% 및 탄소나노튜브 0.5~20wt%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함침되는 천에 전극(2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200)은 상기 천(100)의 전면적이 발열할 수 있도록 구리 재질로 천(100)의 양단 내지 그 사이에 천(100)을 따라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0), 천을 따라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S200) 및 상기 용액에 천을 함침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0)는 기존에 초음파 분산, 밀(mill)분산 중에서 하나만 선택해서 재료의 미세화 및 균질화, 분산을 진행하는 것과는 달리, 1차 밀분산 단계(S110)와 2차 초음파 분산 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밀(mill)분산 단계(S110)는 마이크론 사이즈로 미세화 및 균질화를 진행하고, 그 후에 2차 초음파 분산 단계(S120)는 팁(tip) 방식에 의해 나노 사이즈로 초미세화 및 추가 균질화를 진행하면 시간이 단축되고 효율이 더 높아진다.
상기 2차 초음파 분산 단계(S120)는 정적인 분산보다는 용액에 흐름을 주어 용액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연속식 초음파 분산을 적용하면 더 효과가 우수하다.
이때, 상기 1차 밀분산 단계(S110) 전에 배스(bath) 방식의 초음파 분산을 진행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1차 밀분산 단계(S110) 전에 배스(bath) 방식의 초음파 분산(S50) 단계를 거치면 분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탄소나노튜브 사이사이로 분산제 및 보조제가 침투하여 이후 분산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여러 번의 분산시 냉각을 진행할 때 용액의 온도를 4~50℃ 사이를 유지할 수 있는데, 온도가 너무 낮으면 분산제 및 보조제의 응고가 일어나서 분산 효과를 떨어뜨리고, 너무 고온일 경우 용매가 증발되면서 표면에 막이 생기거나 탄소나노튜브가 뭉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러 번의 분산 진행시 용액의 온도를 20~30℃로 유지하여 냉각을 진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액에 천을 함침시키는 단계(S300)는 천(100) 원단의 함침시간으로 10초~10분까지 특성에 맞게 선택할 수 있고, 함침 후 건조 및 경화온도는 50~200℃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자연 건조 또는 저온 건조(25~80℃)를 먼저 진행 후 2차 건조/경화를 진행할 수 있다.
천(100)을 따라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S200)는 천(100)에 전극 형성은 저항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하며, 금속사로 직조 도는 바느질로 전극 형성, 도전성 페이스트 인쇄, 도전성 시트 또는 테이프 등으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특별히 단가를 줄이기 위해 구리 전극(200)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리 전극(200)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리 전극(200)을 코팅 전 원단에 부착하여 원단으로 감싸는 방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구리 전극(200)을 배치한 후 미싱 장비를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박음질을 하게 되면 구리 전극(200)을 부착할 수 있지만, 더 내구성을 강화하고 선 발열을 없애기 위해 구리 전극(200) 위로 천(100)을 천을 덧대어 지그재그 박음질하게 되면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그재그 박음질시 박음질 하는 간격은 0.5~50mm로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나 특히 0.8~1.2mm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그재그 간격 역시 0.5~50mm로 상황에 맞게 조절하게 되는데 특히 8~12mm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천(100)의 양단에 구리 전극(200)을 부착할 경우에는 양단에 구리 전극(200) 부착 후 구리 전극(200)의 폭만큼 천(100)을 접어 덧대어 구리 전극(200) 중앙을 기준으로 박음질을 하게 되면 더 효과가 높아진다.
이때, 구리 전극(200)의 폭은 1~30mm로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나 10mm가 특히 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함침시키는 단계(S300) 후에 절연 코팅을 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코팅)이 끝난 기재인 천(100)은 절연 코팅을 진행하는데, 바인더 코팅, 라미네이팅 코팅, 열전사 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코팅시 저항 변화를 가져오거나 완전한 절연이 불가능하여 특히 라미네이팅 및 열전사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라미네이팅 필름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얇게 코팅이 가능하며 베이스 필름(base film)에 따라서 촉감 및 유연성 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두께를 높일 필요가 있거나 강한 충격에는 약할 수 있다.
열전사 방식은 두께를 높일 수는 있으나 무한정 올릴 수는 없고, 투명성 확보가 어려우며 단가가 높다. 면상발열천 모듈 단독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두께가 있어서 보호까지 되는 열전사 방식을 사용하면 되고, 매트처럼 충격이 흡수가 되는 층이 들어간다면 라미네이팅으로 절연코팅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보호층이 있다면 열전사 방식보다는 라미네이팅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단가 및 외관 측면에서도 좋다.
라미네이팅에 사용되는 필름의 재질은 PET, PC, PP, PVC, 아크릴, 우레탄, 테프론 등 어떠한 재질을 사용해서 무관하며, 특히 연질 우레탄 재질은 촉감이 부드럽고 구김이 적으며 구부리거나 움직일 시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없어 우수한 제품성을 갖게 된다.
알맞은 크기로 기재를 재단할 때에는 도전성 함침(코팅) 전이나, 도전성 함침(코팅) 후, 절연 코팅 후 등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공정에 삽입하면 되는데, 도전성 함침(코팅) 전에 재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면상발열천 구동 방식은 AC/DC 모두 적용이 가능하지만, 전자파 등의 문제로 DC 사용이 적합하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은 탄소소재 적용으로 인해 원적외선이 방출되며, 이는 기존의 탄소섬유로 직조한 발열체에도 원적외선이 방출되었으나, 탄소섬유는 일부만 적용되어 원적외선 방출량이 극히 적은 편인 약점이 보완된 것이다.
본 발명의 면상발열천은 면형태로 전(全)면적이 탄소소재, 특별히 탄소나노튜브로 코팅되어 원적외선 방출량이 높고, 더 멀리까지도 발산되어 발열체 위에 이불을 깔아도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의 효과 중 하나는 체온 상승으로 인한 저전력으로 체감상 높은 발열 효과를 나타내는데, 실제로 매트 등의 제품에 적용하게 되면 열선, 보일러가 있는 온수매트 등의 제품보다 낮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면서 높은 열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발열원이 점이나 선으로 구성된 경우 전체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온도보다 매우 높은 온도를 발열원이 가져야 하므로 국부적인 화상의 위험이 있으나,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의 경우 목표온도를 전(全)면에서 일정하게 발열하여 발열량이 많고, 발열원의 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지 않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화상의 위험이 없음).
본 발명에서 미설명 부호는 지그재그 박음질 라인(L)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은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면상 발열천이므로 열전달과 전류전달이 빠르고 균일하며 손실이 매우 적고 낮은 전력으로 높은 열량을 구현할 수 있고, 둘째, 실질적인 면상발열 실현으로 열손실이 적어 목표온도와 유사한 발열온도로 구현이 가능하며, 상,하 천 사이에 구리전극을 바느질한 전극을 적용하게 되면 제품의 높은 내구성과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탄소나노소재의 적용으로 원적외선이 많이 넓게 방출되고 전자파 발생이 매우 낮으며, 탄소나노소재를 활용한 함침 공정으로 제조단가가 낮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산업상의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는 용액에 함침되는 천; 및
    상기 천을 따라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혼합되는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로리돈, 헥사메틸포스폴아마이드, 아세트산,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는 SDS, SDBS, PVP, Triton X-100, Arabic g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분산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는 계면활성제와 백반, 가성소다로 이루어지는 침투제를 포함하는 보조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5. 용매 70~90wt%, 분산제 0.5~20wt%, 보조제 0.5~20wt% 및 탄소나노튜브 0.5~20wt%에 의해 함침된 천에 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6.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천을 따라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천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마이크론 사이즈로 미세화 및 균질화를 진행하는 1차 밀분산 단계 및 나노 사이즈로 초미세화 및 추가 균질화를 진행하는 팁 방식의 2차 초음파 분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밀분산 단계 전에 배스 방식의 초음파 분산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진행시 용액의 온도를 20~30℃로 유지하여 냉각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구리 전극 위로 천을 덧대어 지그재그 박음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시키는 단계 후에 바인더 코팅, 라미네이팅 코팅, 열전사 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되는 절연 코팅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천 제조방법.
PCT/KR2014/011567 2014-07-01 2014-11-28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 WO20160030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80190.0A CN106664750A (zh) 2014-07-01 2014-11-28 面状发热布料及其制造方法
US15/322,158 US20170142778A1 (en) 2014-07-01 2014-11-28 Planar heating clo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116A KR101575500B1 (ko) 2014-07-01 2014-07-01 면상발열천
KR10-2014-0082116 2014-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3031A1 true WO2016003031A1 (ko) 2016-01-07

Family

ID=5501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567 WO2016003031A1 (ko) 2014-07-01 2014-11-28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42778A1 (ko)
KR (1) KR101575500B1 (ko)
CN (1) CN106664750A (ko)
WO (1) WO2016003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909A (ko) 2016-11-30 2018-06-11 이지원 충전식 패브릭 손난로
CN107592688B (zh) * 2017-10-11 2020-08-28 陈名海 一种电热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11045660B2 (en) * 2018-01-29 2021-06-29 Wine-Font International Commerce Corp. Far infrared film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823969B (zh) * 2018-07-06 2020-07-31 江西克莱威纳米碳材料有限公司 一种碳纳米管远红外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09056309B (zh) * 2018-08-09 2021-03-02 苏州涵轩信息科技有限公司 柔性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16632B1 (ko) * 2019-07-22 2020-05-28 지유엠아이씨 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KR102265966B1 (ko) * 2019-10-16 2021-06-17 지유엠아이씨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CN115161995B (zh) * 2021-07-23 2023-11-17 南京工业大学 一种单壁碳纳米管均匀包覆商用棉绷带的导电织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953A (ko) * 2011-11-29 2012-01-09 박상구 도전성 코팅 섬유와 그의 직물
KR20130012992A (ko) * 2011-07-27 2013-02-06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면상발열체
KR20130094392A (ko) * 2012-02-16 2013-08-26 박철환 정전기 제거 기능 온열 내의
KR101316964B1 (ko) * 2013-02-06 2013-10-11 주식회사 성도 면상발열체로 구성된 온열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5222A (ko) * 2012-08-22 2014-03-04 (주)탑나노시스 광 투과율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 기능성 코팅 용액 및 탄소나노튜브 기능성 제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37723A (zh) * 2007-01-31 2008-08-06 介观量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电热膜用组成物及以其所制得的电热膜与电热装置
CN101605409B (zh) * 2008-06-13 2012-11-21 清华大学 面热源
KR101177298B1 (ko) * 2011-11-11 2012-08-30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축열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992A (ko) * 2011-07-27 2013-02-06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면상발열체
KR20120002953A (ko) * 2011-11-29 2012-01-09 박상구 도전성 코팅 섬유와 그의 직물
KR20130094392A (ko) * 2012-02-16 2013-08-26 박철환 정전기 제거 기능 온열 내의
KR20140025222A (ko) * 2012-08-22 2014-03-04 (주)탑나노시스 광 투과율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 기능성 코팅 용액 및 탄소나노튜브 기능성 제품의 제조방법
KR101316964B1 (ko) * 2013-02-06 2013-10-11 주식회사 성도 면상발열체로 구성된 온열장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500B1 (ko) 2015-12-21
CN106664750A (zh) 2017-05-10
US20170142778A1 (en)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3031A1 (ko) 면상발열천 및 그 제조방법
CN104674573B (zh) 一种柔性导线及其制备方法、导电织物、发热织物
US20060175581A1 (en) Antistatic fabrics and anti-taser protective device
Soong et al. Multilayered graphene/boron nitride/thermoplastic polyurethane composite film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stretchability, and washability for adjustable-cooling smart clothes
WO2013069849A1 (ko) 탄소나노튜브 축열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183320A (zh) 离子液体碳纳米远红外辐射发热材料的研发与应用
WO2014181927A1 (ko) 광발열 섬유시트
CN108601411A (zh) 可加热的服装,用于这种服装的织物和制造方法
WO2017131422A1 (ko) 플렉서블 발열품
WO2019066173A1 (ko) 탄소펠트 발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747210A (zh) 一种石墨烯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51064A (ko) 면상발열 기기 및 이의 적용 방법
TW201412178A (zh) 電熱(地)毯之發熱裝置及其製造方法與發熱系統
KR20120021023A (ko) 발열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22192A1 (ko) 발열체
US20230413390A1 (en) Aerogel blanket insulator and its functional composite
CN106273921A (zh) 一种基于改性碳纤维热芯层的新型碳纤维热芯地板
CN205134069U (zh) 一种电磁屏蔽布
CN107881762A (zh) 一种氧化石墨烯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40137234A (ko) 발열 직물 또는 이의 제조 방법
Claypole et al. Large area, stretchable, wearable, screen-printed carbon heaters for use in elite sport
CN109068413A (zh) 石墨复合膜的制备方法、由此方法制得的石墨复合膜及其应用
WO2014106963A1 (ko) 유연성 발열체 원단의 제조방법
WO2017122875A1 (ko) 난연성 전자파 차폐 전열시트
CN203827532U (zh) 电热毯的发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6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2215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6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