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11976A1 -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11976A1
WO2015111976A1 PCT/KR2015/000796 KR2015000796W WO2015111976A1 WO 2015111976 A1 WO2015111976 A1 WO 2015111976A1 KR 2015000796 W KR2015000796 W KR 2015000796W WO 2015111976 A1 WO2015111976 A1 WO 20151119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input terminal
conductive wire
phas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07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춘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피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피티
Publication of WO20151119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119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type shielding member having an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be-type shielding member for distinguishing a phase voltage and a neutral point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suctioning effect. It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 a grounding terminal is grounded, and a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is tested to check whether the grounding is performed normally. 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a separate device for checking grounding is not provided, the test is often performed by a worker touching it with hands, and the testing for ground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which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an unskilled person or an unknowing person. .
  •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when implementing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that is prevalent or commonly used while being connected to a specific electrical device or electronic device still causes the electromagnetic wave exposure problem unless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electronic device is used.
  •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which can be used universally and generically and is compatible with other electric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round through the neutral terminal to eliminate the occurrence of leakage current, and to automatically identify the neutral terminal without having to find the neutral terminal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ircuit capable of grounding, reduce the exposure to electromagnetic waves due to the zero potential phenomenon, and has a tubular shield member having an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to be used universally to other electrical equipment 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is provided.
  •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wer input unit for receiving AC power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When the AC power is input, a predetermined first conductor is connected to a phase voltage input terminal among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second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 Terminal polarity fixing unit for being connected to the neutral input terminal;
  • a shielding member which is generally formed in a linear shape and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conductive wire is surrounded by the second conductive wire;
  • a power output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phase voltage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a neutral point out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line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 the shielding member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wire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are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or the terminal polarity portion, and the first conductive wire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are the phase voltage output terminal or the neutral point. Except for a portion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ll of the first conductive wires may be formed to be surrounded by the second conductive wires.
  • the first conductive wire is formed as a conductive wir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provided at the innermost angle of the cable
  • the second conductive wire is formed as a conductive wire having an annular cross section and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cable. Can be.
  • the shielding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is clos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secured through the experimen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internal electric field suction under the state manufactured to a limited size
  •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by a predetermined multiple secured through experiments.
  • An insulato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wire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and outside of the second conductive wire.
  •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unit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input terminal is the phase voltage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s the neutral poin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hase input terminal.
  • a connec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input terminal is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neutral input terminal; And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first lea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lead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first lead is disconnected.
  •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and configured to connect the second lea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may be a cable provided in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or a cabl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 the shielding member connected to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portion for applying any one of the neutral point power supply and the phase voltage power supply to the designated terminal and the other to the specified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a first conductor always receiving the neutral power, regardless of which terminal the neutral power and the phase voltage power are connected to which terminal;
  • a second lead wire always receiving the phase voltage power regardless of which terminal the neutral point power supply and the phase voltage power supply are connected to which terminal.
  • the second wire having the first lead wire having a tubular shape. It is formed so as to be surrounded by the conductor.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uter shape and the inner cross-section of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having the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provided to explain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rinciple using the tubular shielding member 800.
  • FIG 5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the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using the electromagnetic shield 10 having a tubular shield member 800.
  • FIG. 6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the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using the electromagnetic shield 10 having a tubular shield member (800).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apparatus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tubula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mber, so that the neutral point terminal is alway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tubula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mber, and the phase voltage terminal is alway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 the neutral terminal should be grounded to provide a shielding effect.
  •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apparatus 10 includes a power input unit 100, a terminal polarity fixing unit 200, an output terminal unit 300, a shielding member 800, and a power output unit 500.
  • the power input unit 1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g or in the form of a wire and is used for receiving an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 the power input unit 100 is supplied with phase voltage power to any one of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Neutral power will be applied.
  •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phase voltage terminal of the AC power to receive the phase voltage power
  •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100 is When the neutral power is connected to the neutral terminal of the AC power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phase voltage terminal of the AC power to receive the phase voltage power to receive the first input of the power input unit 100.
  • the terminal to which the neutral power source is applied is always grounded regardless of which case.
  • the AC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unit 200.
  •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part 200 allows a phase voltage power to be connected to a specific terminal and is output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connects the plug to the outlet to the other terminal so that the neutral power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part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neutral terminal power is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100 and the neutral terminal power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 the neutral point power is output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both of the case where the phase voltage power is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case where the phase voltage power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the second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Phase voltage power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includes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receives a neutral point power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ransmits the neutral point power to the shielding member 800, and applies phase voltage power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It serves to deliver to the shield member 800.
  • the shield member 800 may generally be assumed to be a cable connected to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hair dryer. That is, except in the cas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general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re supplied with AC power provided in an outlet through a cable provided by itself, such that the cable provided by itself is implemented to be a shield member 800 or by itself
  • the shielding member 800 which is a separate cable from the cable, is implemented to be connected to a cable or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by itself, thereby achieving a shielding effect.
  • the shielding member 80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conductive wire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and the neutral point power appli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is grounded, thereby realizing shielding for the first half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10.
  • the shielding member 800 implements the first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 the shielding effect is caused by the connection.
  • the shield member 800 recognizes in advance that the neutr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and the phase voltag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 the first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is implemented to surrou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so that the overall shielding effect is generated.
  •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terminal unit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separately provided with a ground terminal G as illustrated.
  •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and the ground terminal G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part 200 according to a circuit implementation.
  •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unit 200 includes a switching unit 210, a switching control unit 220, and an SMPS 230.
  • the SMPS 230 converts AC power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into a DC voltag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210 constituting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unit 200. It will play a role.
  • the power converted into the DC voltage in the SMPS 230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210.
  • the switching controller 22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while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receive the neutral point power and the phase voltage power,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and the second voltage.
  •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receives the phase voltage power and the neutral power.
  •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witching controller 220 is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unit 210.
  • the switching unit 210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witching control unit 220.
  • the switching unit 210 receives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ower input unit 100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ower inpu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witching controller 220.
  •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of the power inpu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f the power input unit 100 is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 the neutral point power is always appli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phase voltage power is always a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regardless of the position / direction in which the user connects the plug to the outlet. .
  • the neutral point power and the phase voltage power outputted to the designated output terminal are transmitted to the shielding member 800.
  • the shielding member 800 is connected to the neutral point power and the phase voltage power through which terminal. Since it is known in advance, shielding of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realized by implementing the first conductor connected to the neutral power to surround the second conductor connected to the phase voltage.
  • the neutral point power source and the phase voltage power shielded with electromagnetic waves are transferred to both output terminals P1 and P2 of the power output unit 500 so that they can be supplied where necessary.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uter shape and the inner cross-section of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having the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ubular shielding member 800 includes a first conductive wire 810, a second conductive wire 820, a first insulating part 830, and a second insulating part 840.
  • the first conductive line 8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8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neutral point power source and the phase voltage power source of the external AC power inputt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00.
  • connection of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and the neutral point power supply and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and the phase voltage power supply are made through the terminal polarity part 300 which fixes the polarity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AC power is input at all times. It becomes possible.
  • the first insulato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o prevent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 830 is provided and a second insulator 84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to prevent electrical conduction with the outside.
  •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Since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is provided at the innermost part,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has a form of enclosing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 As a result,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can surrou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and furthermore, the grounding using the neutral terminal can be performed.
  •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has a conductive wire 310 for receiving the neutral point power supply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output terminal portion 300 to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 the conductive wire 320 for receiving the phase voltage power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 tubular shield member 800 is such that the conductive wire 510 for supplying the neutral power to the neutral point output terminal P1 of the power output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wire 810, the power output unit 500.
  • the conductive wire 520 for supplying the phase voltage power to the phase voltage output terminal P2 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wire 820.
  •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utral point output terminal P1
  •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of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hase voltage output terminal P2. Will be connected.
  • the portion allowing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to be connected to the neutral point output terminal P1 electrically surrounds the portion for allowing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to be connected to the phase voltage output terminal P2. It is possible to enable grounding according to the neutral point connection.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provided to explain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rinciple using the tubular shielding member 800.
  • the cylindrical body indicated by '+' located in the center is a model of the second conductor 820 connected to the phase voltage power supply, and the outermost round tube is a model of the first conductor 810 connected to the neutral point voltage. It is.
  • the second wire 820 will alternate between + or ⁇ charges, and since the first wire 810 is grounded, the second wire 820 will be grounded. It will have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820.
  • the inside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810 may be assumed to be an electrically isolated space. That is, the total charge of a completely isolated conductor does not change once it is determined by the surrounding charge or potential distribution.
  • the second conductor 820 may be assumed to be a conductor added to this isolated space.
  • the existing electric field lines are readjust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and the electric field in the space occupied by the conductor becomes zero.
  • an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occurs in which the existing electric force lines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ductor.
  •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can be used to replace the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it may not be manufactured indiscriminately for the purpose of shielding only. Therefore,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is secured by experimen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or 810 and the second conductor 820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internal electric field suction under the limited size manufactured state.
  •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820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810 by a predetermined multiple secured through experiments.
  • FIG 5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the electric field suction effect using the electromagnetic shield 10 having a tubular shield member 800.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in which electromagnetic waves are emitted when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10 is not used or the general cable 80 is not the tubular shielding member 800.
  • a general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700 that does not use a separate device such as the electromagnetic shield 10 may have a significant electromagnetic wave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is measured by the electromagnetic measuring instrument 900 while being plugged into an outlet. Showing the numbers was confirmed experimentally.
  •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in which electromagnetic waves are emitted when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10 is used but the tubular shielding member 800 is used.
  •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700 is connected through a cable that is a tubular shield member 80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400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10 except for the cable are disposed inside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700.
  •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wave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ed even if any one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700 or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was measured.
  • the remaining components 400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10 except for the cable that is the tubular shielding member 800 are provided inside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700, and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700 is the tubular shielding. It may be sufficiently assumed that the member 800 is manufactured / sold together with the cable. For example,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700, which is a hair dryer, is almost always manufactured / sold with a cable having a plug.
  •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700 itself will be seen as an electromagnetic shield 10.
  • tubular shield member 800 having a shielding function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 sold separately from the electric / electronic device 700 such as a hair dryer having the general cable 80.
  • the power input unit 100 of the remain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to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the terminal polarity fixing portion 200 is a single chip form It may be implemented to be inserted into the furnace tubular shield member (800).
  • the output terminal unit 300 may be embodied so as to be omitted during manufacture / sale or inserted into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and the power output unit 500 may be implemented to b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ular shield member 800.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중성점 전원과 상전압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지정된 단자로 인가하고 다른 하나를 나머지 지정된 단자로 인가하는 단자극성 고정부에 연결되는 차폐 부재는, 상기 중성점 전원과 상기 상전압 전원 중 어떠한 전원이 어떠한 단자에 연결되던지 상관없이, 항상 상기 중성점 전원을 인가받는 제1 도선; 및 상기 중성점 전원과 상기 상전압 전원 중 어떠한 전원이 어떠한 단자에 연결되던지 상관없이, 항상 상기 상전압 전원을 인가받는 제2 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선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제2 도선에 포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중성점단자를 찾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없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하게 되고, 중성점단자를 통해 접지를 하게 되어 미숙련자나 미인지자에 의한 감전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영전위 현상에 따른 전자파에의 노출이 저감되어 인체로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전기기기나 전자기기를 교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타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와 병행적으로 사용하면서 전자파 차폐에 따른 인체 피해 저감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본 발명은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Tube)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전압과 중성점을 구분하여 전기장 흡인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의 경우, 접지가 되는 단자를 접지시키고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를 테스팅하여 접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접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작업자가 손으로 만져보면서 테스팅하는 경우도 빈번하며 접지에 대한 테스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미숙련자 또는 미인지자에게 상당한 위험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 KR1020000043269 또는 한국실용신안 KR2019990011300과 같이 자동으로 접지가 되도록 구현되고 있는 기술들이 도처에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으로 접지가 구현되는 기술들의 경우, 대부분 접지 단자(GROUND)에 접지를 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와 GROUND 사이에 발생되는 전위차에 의한 누설전류의 발생에 대해서는 대처가 올바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접지단자가 아닌 중성점단자에 접지를 하도록 하여 누설전류의 발생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은 없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가정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경우 상전압단자와 중성점단자가 구분되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관련 기술자들이 송배전 선로에서 중성점단자를 찾아내지 않는 이상 일반 수요자 입장에서는 어떠한 부분을 접지시켜야 하는지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접지단자에 접지를 시키거나 중성점단자에 접지를 시키는 양자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누설전류의 발생을 차단시키는 접지 역할은 가능하지만 전자파가 발생되는 부분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고민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전자파 차폐장치를 구현할 때, 특정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에 연결된 상태로 보급되거나 통용되는 전자파 차폐장치의 경우라면 해당 전기기기나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이상 여전히 전자파 노출 문제는 발생하게 된다는 점에서, 범용적이고 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타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에 호환가능한 전자파 차폐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성점 단자를 통해 접지를 하여 누설전류의 발생을 제거하고, 중성점 단자를 별도로 찾아야 할 필요없이 중성점 단자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접지가 가능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며, 영전위 현상에 따른 전자파에의 노출이 저감되고, 타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장치는, 제1 입력단자와 제2 입력단자를 통해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기지정된 제1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2 입력단자 중 상전압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기지정된 제2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2 입력단자 중 중성점 입력단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자극성고정부; 전체적으로 선형(線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도선이 상기 제2 도선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제1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전압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성점 출력단자를 마련하여,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도선 및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전원입력부 또는 상기 단자극성부와 연결되는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도선 및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상전압 출력단자 또는 상기 중성점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제1 도선이 모두 상기 제2 도선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선은 원형(圓形) 단면을 가지는 도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최내각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도선은 환형(環形) 단면을 가지는 도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곽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는, 제한된 크기로 제작된 상태 하에서 내부의 전기장 흡인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도선과 상기 제2 도선 간의 거리가 실험을 통해 확보된 기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 도선의 면적이 상기 제1 도선의 면적보다 실험을 통해 확보된 기설정된 배수만큼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선과 상기 제2 도선의 사이 및 상기 제2 도선의 외부에는 절연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극성고정부는, 상기 제1 입력단자가 상기 상전압 입력단자이고 상기 제2 입력단자가 상기 중성점 입력단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단자가 상기 상전압 입력단자이고 상기 제1 입력단자가 상기 중성점 입력단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결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도선이 상기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파 차폐장치는 전기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케이블 또는 상기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성점 전원과 상전압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지정된 단자로 인가하고 다른 하나를 나머지 지정된 단자로 인가하는 단자극성 고정부에 연결되는 차폐 부재는, 상기 중성점 전원과 상기 상전압 전원 중 어떠한 전원이 어떠한 단자에 연결되던지 상관없이, 항상 상기 중성점 전원을 인가받는 제1 도선; 및 상기 중성점 전원과 상기 상전압 전원 중 어떠한 전원이 어떠한 단자에 연결되던지 상관없이, 항상 상기 상전압 전원을 인가받는 제2 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선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제2 도선에 포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중성점단자를 찾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없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하게 되고, 중성점단자를 통해 접지를 하게 되어 미숙련자나 미인지자에 의한 감전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영전위 현상에 따른 전자파에의 노출이 저감되어 인체로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전기기기나 전자기기를 교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타 전기기기나 전자기기와 병행적으로 사용하면서 전자파 차폐에 따른 인체 피해 저감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10)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의 외부 형상 및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를 가지는 전자파 차폐장치(10)를 이용한 전기장 흡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은 튜브형 차폐 부재(800)를 가지는 전자파 차폐장치(10)를 이용한 전기장 흡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10)는 튜브형 전자파 차폐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튜브형 전자파 차폐 부재의 어느 한 단자로 항상 중성점 단자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로 항상 상전압 단자가 연결되도록 하며, 중성점 단자를 접지시켜 차폐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10)는 전원 입력부(100), 단자극성 고정부(200), 출력 단자부(300), 차폐 부재(800) 및 전원 출력부(500)로 구성된다.
전원 입력부(100)는 플러그와 같은 형태로 마련되거나 도선 형태로 마련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입력받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제1 입력 단자와 제2 입력 단자를 구비하게 된다.
전원 입력부(100)는 플러그가 AC 전원에 어떻게 연결되느냐에 따라 제1 입력 단자와 제2 입력 단자 중 어느 한 단자로 상전압 전원이 인가되고 제1 입력 단자와 제2 입력 단자 중 다른 한 단자로 중성점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정에 공급되는 AC 전원의 경우 상전압단자와 중성점 단자가 구분되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관련 기술자들이 송배전 선로에서 중성점 단자를 찾아내지 않는 이상 일반 수요자 입장에서는 어떠한 부분을 접지시켜야 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10)는, 전원 입력부(100)의 제1 입력 단자가 AC 전원의 상전압 단자와 연결되어 상전압 전원을 인가받고 전원 입력부(100)의 제2 입력 단자가 AC 전원의 중성점 단자와 연결되어 중성점 전원을 인가받는 경우와, 전원 입력부(100)의 제2 입력 단자가 AC 전원의 상전압 단자와 연결되어 상전압 전원을 인가받고 전원 입력부(100)의 제1 입력 단자가 AC 전원의 중성점 단자와 연결되어 중성점 전원을 인가받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어떤 경우가 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중성점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가 접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원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AC 전원은 단자극성 고정부(200)로 전달되게 된다.
단자극성 고정부(200)는 사용자가 콘센트에 플러그를 어떠한 위치/방향으로 연결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특정 단자로 상전압 전원이 연결되어 출력되어 다른 단자로 중성점 전원이 연결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즉, 단자극성 고정부(200)는, 전원 입력부(100)의 제1 입력 단자로 중성점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및 제2 입력 단자로 중성점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출력 단자부(300)의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중성점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며, 제1 입력 단자로 상전압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및 제2 입력 단자로 상전압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출력 단자부(300)의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상전압 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 단자부(300)는 제1 출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로 구성되며,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중성점 전원을 인가받아 차폐 부재(800)로 전달하고,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상전압 전원을 인가받아 차폐 부재(8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차폐 부재(800)는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전기전자기기에 연결된 케이블로 상정할 수 있다. 즉, 무선전력 전송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인 전기전자기기들은 자체적으로 마련된 케이블을 통해 콘센트에 마련된 AC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자체적으로 마련된 케이블이 차폐 부재(800)가 되도록 구현하거나 자체적으로 마련된 케이블과 별도의 케이블인 차폐 부재(800)가 자체적으로 마련된 케이블 또는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차폐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폐 부재(800)는,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1 출력 단자로 인가되는 중성점 전원이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자파 차폐 장치(10)의 전반에 대한 차폐를 구현한다.
즉, 차폐 부재(800)는 출력 단자부(300)의 제1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도선이 출력 단자부(300)의 제2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도선을 포위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전술한 중성점 연결에 따른 차폐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차폐 부재(800)는 출력 단자부(300)의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중성점 전원이 인가되고 출력 단자부(300)의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상전압 전원이 인가된다는 사실을 미리 인지한 상태에서, 단지 제1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도선이 제2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도선을 포위하는 형태로 구현함에 따라 전체적인 차폐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자파가 차폐된 상태의 전원은 전원 출력부(500)로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10)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입력 단자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단자(IN1) 및 제2 입력 단자(IN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별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그라운드 단자(G)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입력 단자(IN1), 제2 입력 단자(IN2) 및 그라운드 단자(G)는 회로적 구현에 따라 단자극성 고정부(200)와 연결된다.
단자극성 고정부(200)는 스위칭부(210), 스위칭 제어부(220) 및 SMPS(230)로 구성된다.
SMPS(230)는 제1 입력 단자(IN1) 및 제2 입력 단자(IN2)로 입력되는 AC 전원을, 단자극성 고정부(200)를 구성하는 스위칭부(210)의 동작에 필요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SMPS(230)에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전원은 스위칭부(210)로 인가된다.
스위칭 제어부(220)는 제1 입력 단자(IN1) 및 제2 입력 단자(IN2)가 각각 중성점 전원 및 상전압 전원을 인가받는 동안에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1 입력 단자(IN1) 및 제2 입력 단자(IN2)가 각각 상전압 전원 및 중성점 전원을 인가받는 동안에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스위칭 제어부(220)에 대한 구체적 회로 구현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에 대한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어 이와 별도로 출원된 한국등록특허 10-1197414호 등을 참조하면 충분하므로 이하에서는 부연을 생략하기로 한다.
스위칭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제1 제어신호 또는 제2 제어신호는 스위칭부(210)로 전달된다.
스위칭부(210)는 스위칭 제어부(2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스위칭동작을 하게 된다.
특히, 스위칭부(210)는, 스위칭 제어부(220)로부터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전원 입력부(100)의 제1 입력 단자(IN1)가 출력 단자부(300)의 제1 출력 단자(OUT1)에 연결됨과 동시에 전원 입력부(100)의 제2 입력 단자(IN2)가 출력 단자부(300)의 제2 출력 단자(OUT2)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스위칭 제어부(220)로부터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전원 입력부(100)의 제2 입력 단자(IN2)가 출력 단자부(300)의 제1 출력 단자(OUT1)에 연결됨과 동시에 전원 입력부(100)의 제1 입력 단자(IN1)가 출력 단자부(300)의 제2 출력 단자(OUT2)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콘센트에 플러그를 어떠한 위치/방향으로 연결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제1 출력 단자(OUT1)로 중성점 전원이 인가되고 항상 제2 출력 단자(OUT2)로 상전압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정된 출력 단자로 출력되는 중성점 전원과 상전압 전원은 차폐 부재(800)로 전달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 부재(800)는 어떠한 단자를 통해 중성점 전원이 인가되고 상전압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미리 알기 때문에, 중성점 전원이 인가되어 연결되는 제1 도선이 상전압 전원이 인가되어 연결되는 제2 도선을 포위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전자파의 차폐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자파의 차폐가 이루어진 중성점 전원과 상전압 전원은 필요처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 출력부(500)의 양 출력 단자(P1, P2)으로 전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의 외부 형상 및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차폐 부재(800)는 제1 도선(810), 제2 도선(820), 제1 절연부(830) 및 제2 절연부(8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도선(810)과 제2 도선(820)은 전원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AC 전원 중 중성점 전원과 상전압 전원에 각각 연결된다.
특히, 제1 도선(810)과 중성점 전원의 연결 및 제2 도선(820)과 상전압 전원의 연결은 AC 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의 극성을 항상 일정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단자극성부(3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도선(810)과 제2 도선(820)의 사이에는 제1 도선(810)과 제2 도선(820) 간의 상호 전기적 도통방지를 위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절연체(830)가 마련되고 최외곽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도통방지를 위해 일정 두께로 된 제2 절연체(840)가 마련된다.
제2 도선(820)이 최내곽에 마련되기 때문에 제1 도선(810)은 제2 도선(820)을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가며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의해, 궁극적으로 제1 도선(810)이 제2 도선(820)을 포위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중성점 단자를 이용한 접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었던 바와 같이, 튜브형 차폐 부재(800)는 출력 단자부(300)의 제1 출력 단자(OUT1)를 통해 중성점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도선(310)이 제1 도선(810)에 연결되도록 하고, 출력 단자부(300)의 제2 출력 단자(OUT2)를 통해 상전압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도선(320)이 제2 도선(8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튜브형 차폐 부재(800)는 전원 출력부(500)의 중성점 출력단(P1)으로 중성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510)이 제1 도선(810)에 연결되도록 하고, 전원 출력부(500)의 상전압 출력단(P2)으로 상전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520)이 제2 도선(8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출력 단자부(300)의 제1 출력 단자(OUT1)가 중성점 출력단(P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 단자부(300)의 제2 출력 단자(OUT2)가 상전압 출력단(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이에 의해, 제1 출력 단자(OUT1)가 중성점 출력단(P1)에 연결되도록 하는 부분이, 제2 출력 단자(OUT2)가 상전압 출력단(P2)에 연결되도록 하는 부분을 전기적으로 포위하도록 함으로써 중성점 연결에 따른 접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식도이다.
가운데 위치한 '+'로 표시된 원기둥체는, 상전압 전원에 연결되는 제2 도선(820)을 모식화한 것이며, 최외곽의 원형 관체는, 중성점 전압에 연결되는 제1 도선(810)을 모식화한 것이다.
여기서, 제2 도선(820)에는 상전압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제2 도선(820)는 + 전하 또는 - 전하를 번갈아 띠게 될 것이며, 제1 도선(810)은 접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 도선(820)의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제1 도선(810)의 내부는 전기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공간으로 상정할 수 있다. 즉, 완전히 고립된 도체의 총 전하량은 주변의 전하나 전위 분포에 따라 일단 정해지고 나면 변하지 않게 된다.
제2 도선(820)은 이러한 고립된 공간에 추가된 도체로 상정할 수 있다. 즉, 이미 형성된 전기장 분포를 가지는 공간에 특정한 도체가 추가되는 경우, 기존의 전기력선은 그 도체의 표면에 수직한 상태로 재조정되고 도체가 점유한 공간의 전기장은 제로가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전기력선이 도체의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 전기장 흡인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전압 전원에 의해 제2 도선(820)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은 모두 제1 도선(810)에서 흡수되게 되고 제1 도선(810)은 제2 도선(820)에 비해 상당히 넓은 면적으로 제2 도선(820)을 포위하므로, 이에 의해 전기장 차폐 효과가 발생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튜브형 차폐 부재(800)는 전기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차폐만을 목적으로 하여 무분별한 크기로 제작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튜브형 차폐 부재(800)는 제한된 크기로 제작된 상태 하에서 내부의 전기장 흡인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도선(810)과 제2 도선(820) 간의 거리가 실험을 통해 확보된 기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고, 제2 도선(820)의 면적이 제1 도선(810)의 면적보다 실험을 통해 확보된 기설정된 배수만큼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를 가지는 전자파 차폐장치(10)를 이용한 전기장 흡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우선, 도 5는 전자파 차폐 장치(10)를 이용하지 않거나 튜브형 차폐 부재(800)가 아닌 일반 케이블(80)인 경우에, 전자파가 방출되는 실험 결과를 도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차폐장치(10)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 전기전자기기(700)는,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상태에서 전자파 계측기(900)로 전자파를 측정하는 경우 상당한 전자파 수치를 보여주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전기전자기기(70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계측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기전자기기(700)에 연결되되 튜브형 차폐 부재(800)가 아닌 일반 케이블(80)에서 노출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도 6은 전자파 차폐 장치(10)를 이용하나 튜브형 차폐 부재(800)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파가 방출되는 실험 결과를 도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전자기기(700)가 튜브형 차폐 부재(800)인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케이블을 제외한 전자파 차폐장치(10)의 나머지 구성요소(400)가 전기전자기기(70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 전기전자기기(700)나 튜브형 차폐 부재(800) 중 어디를 계측하여도 계측된 전자파 수치가 확연히 낮아진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이와 같이 전기전자기기(700)의 내부에, 튜브형 차폐 부재(800)인 케이블을 제외한 전자파 차폐장치(10)의 나머지 구성요소(400)가 마련되고, 전기전자기기(700)가 튜브형 차폐 부재(800)인 케이블과 함께 제조/판매되는 경우를 충분히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헤어드라이기인 전기전자기기(700)는 거의 대부분 플러그를 가진 케이블과 함께 제조/판매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기전자기기(700) 자체를 전자파 차폐장치(10)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 케이블(80)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등의 전기전자기기(700)와 별도로, 차폐 기능이 있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만 따로 제조/판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전자파 차폐 장치(10)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요소들 중 전원 입력부(100)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고, 단자극성 고정부(200)는 하나의 칩 형태로 튜브형 차폐 부재(800)에 삽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출력 단자부(300)는 제조/판매시 생략되거나 튜브형 차폐 부재(800)에 삽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고, 전원 출력부(500)는 튜브형 차폐 부재(800)의 타단에 위치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제1 입력단자와 제2 입력단자를 통해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기지정된 제1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2 입력단자 중 상전압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기지정된 제2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2 입력단자 중 중성점 입력단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자극성고정부;
    전체적으로 선형(線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도선이 상기 제2 도선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제1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전압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성점 출력단자를 마련하여,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도선 및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전원입력부 또는 상기 단자극성부와 연결되는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도선 및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상전압 출력단자 또는 상기 중성점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제1 도선이 모두 상기 제2 도선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은 원형(圓形) 단면을 가지는 도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최내각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도선은 환형(環形) 단면을 가지는 도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제한된 크기로 제작된 상태 하에서 내부의 전기장 흡인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도선과 상기 제2 도선 간의 거리가 실험을 통해 확보된 기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 도선의 면적이 상기 제1 도선의 면적보다 실험을 통해 확보된 기설정된 배수만큼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과 상기 제2 도선의 사이 및 상기 제2 도선의 외부에는 절연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극성고정부는,
    상기 제1 입력단자가 상기 상전압 입력단자이고 상기 제2 입력단자가 상기 중성점 입력단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단자가 상기 상전압 입력단자이고 상기 제1 입력단자가 상기 중성점 입력단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결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도선이 상기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선이 상기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장치는 전기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케이블 또는 상기 전기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8. 중성점 전원과 상전압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지정된 단자로 인가하고 다른 하나를 나머지 지정된 단자로 인가하는 단자극성 고정부에 연결되는 차폐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성점 전원과 상기 상전압 전원 중 어떠한 전원이 어떠한 단자에 연결되던지 상관없이, 항상 상기 중성점 전원을 인가받는 제1 도선; 및
    상기 중성점 전원과 상기 상전압 전원 중 어떠한 전원이 어떠한 단자에 연결되던지 상관없이, 항상 상기 상전압 전원을 인가받는 제2 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선이 튜브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제2 도선에 포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차폐 부재.
PCT/KR2015/000796 2014-01-27 2015-01-26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WO201511197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28 2014-01-27
KR1020140009928A KR101448720B1 (ko) 2014-01-27 2014-01-27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1976A1 true WO2015111976A1 (ko) 2015-07-30

Family

ID=5199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0796 WO2015111976A1 (ko) 2014-01-27 2015-01-26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8720B1 (ko)
WO (1) WO20151119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50A (ko) * 2018-07-09 2020-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배선을 둘러싸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이 배치된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772B1 (ko) * 2017-07-06 2017-11-28 주식회사 티피티 비접지형 누전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648A (en) * 1993-05-12 1996-01-23 Alcatel Canada Wire Inc. Power cable with longitudinal waterblock elements
US6005192A (en) * 1993-09-29 1999-12-21 University Of Connecticut Jacket for insulated electric cable
KR20020017774A (ko) * 2000-08-31 2002-03-07 박일영 전자파를 흡수, 제거하는 접지 플러그
KR101197414B1 (ko) * 2012-07-20 2012-11-05 (주)디에이치코프 침수 시 누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648A (en) * 1993-05-12 1996-01-23 Alcatel Canada Wire Inc. Power cable with longitudinal waterblock elements
US6005192A (en) * 1993-09-29 1999-12-21 University Of Connecticut Jacket for insulated electric cable
KR20020017774A (ko) * 2000-08-31 2002-03-07 박일영 전자파를 흡수, 제거하는 접지 플러그
KR101197414B1 (ko) * 2012-07-20 2012-11-05 (주)디에이치코프 침수 시 누전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50A (ko) * 2018-07-09 2020-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배선을 둘러싸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이 배치된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0548B1 (ko) 2018-07-09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배선을 둘러싸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이 배치된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20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4572A1 (ko) 검전기 내장 접지형 엘보커넥터
WO2018016817A1 (ko) 배터리 모듈
WO2015111976A1 (ko) 전기장 흡인 효과를 가지는 튜브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WO2016101254A1 (zh) 一种连接器和充电系统
WO2019054543A1 (ko) 로드셀 위치 가변형 무게 측정 장치
WO2018105809A1 (ko) 전기자동차용 휴대용 충전기
WO2015111975A1 (ko) 전기장 흡입 효과를 가지는 다면체형 차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WO2022177247A1 (ko) 전류 센싱 장치
WO2017135781A1 (ko) 클립형 컨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장치
WO2018097672A1 (ko) 회전이 가능한 커넥터
CN108267676A (zh) 一种新型交流耐压检测装置
WO2018186688A1 (ko) 난방필름전용 전원커넥터
WO2015099272A1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장치
WO2015111828A1 (ko) 중성점 접지 방식의 변압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침수 시 감전 방지 장치
WO2014178667A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JP2011119051A (ja) ケーブル接続確認装置
WO2017191968A2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패키지
EP2448071A1 (en) Telecommunication connecting device
CN106129744A (zh) 一种心电导联线及心电测试仪
WO2023063756A1 (ko) 기계식 자석 rf 커넥터
CN105406210A (zh) 一种设备内的布线结构
WO2020106086A1 (ko)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WO2023177069A1 (ko) 초고압 이경 케이블 접속을 위한 이경 pmj 및 이경 고무 유니트
WO2014046468A1 (ko) 지중 송전 케이블 접속함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를 보상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3337144A (ja) 配電線路の検電方法と検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41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41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