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93764A1 - 다층 연신 필름 - Google Patents

다층 연신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93764A1
WO2015093764A1 PCT/KR2014/011921 KR2014011921W WO2015093764A1 WO 2015093764 A1 WO2015093764 A1 WO 2015093764A1 KR 2014011921 W KR2014011921 W KR 2014011921W WO 2015093764 A1 WO2015093764 A1 WO 20150937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stretched film
film
acid
multilayer 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9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영민
김철호
유호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50937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93764A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stretched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stretched film capable of selectively reflecting or polarizing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generating uniform luminance with respect to incident light for each film part.
  • An iquid crystal display (LCD) is on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currently used. Such liquid crystal displays generally apply voltages to liquid crystals having specific molecular arrangements and change them to other molecular arrangements, and optical properties such as birefringence, photoreactivity, dichroism, and light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generated by such molecular arrangement change. It is a display device that converts the change of the light into a visual change and uses modulation of light by liquid crystal.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light-receiving element without a self-luminous source, requires a backlight unit capable of illuminating the entire screen of the element from the back.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es not transmit all the light provided from the backlight unit, and thus the brightness of the panel is very important.
  • Various film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pane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 a film obtained by alternately stacking a layer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nd a high layer causes optical interference to selectively reflect or transmit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by interlayer interference. Dozens or more of these layers are sufficient for hundreds of layers, and gradually It is known that the change can enhance the reflection and / or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in the desired wavelength range.
  • the multilayer film composed of a layer having two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s formed of the first layer and the first layer.
  •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two layers, the film thickness, and the number of stacked layers light is reflected at a specific wavelength, and the reflected wavelength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is the reflection wavelength (nm)
  • m is the order of reflect ion
  • Ni and N 2 are the refractive indices of each layer
  • D and D 2 are the thickness of each layer (nm ).
  •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2, 6-PEN) is generally used as a layer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n the multilayer fil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700585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TO95 / 17303). And the like, the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has a large refractive index in the stretching direction (X direction) when uniaxially stretched, b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y direction) in the film plane. There is little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before and after extend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reflect and / or polarize visible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to generate uniform brightness without deterioration in brightness without changing colors with respect to incident light for each part. It is to provide an excellent multilayer stretched fil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layer comprising a first polyester resin prepared from dicarboxylic acid as an acid component, diol as an alcohol component and a trivalent or higher polyhydric alcohol, and (i) as an acid component.
  • a second layer consisting of a second polyester resin prepared from terephthalic acid or ester forming derivatives thereof different from the dicarboxylic acid and from (i) diol and (ii) trivalent or higher polyhydric alcohols as alcohol components.
  • the laminated film formed by laminating layer to 1,000 layers is stretched in the uniaxial direction (X direction), wherein the first layer has a higher refractive index in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X direction) than the second layer, It provides a multilayer stretched film that continuously varies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1.2 to 1.5 times the maximum layer thickness for each minimum layer thickness.
  • the multilayered stretch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ively reflect and / or polarize visible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generates uniform luminance with respect to incident light for each film part, and thus may be usefully used a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laminated film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and is stretched in a uniaxial direction (X direction).
  •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f the crab are alternately stacked to form a laminate, and the laminate may be 250 to 1,000 layers, and preferably 300 to 500 layers.
  • the first layer is made of polyester whose refractive index changes by stretching
  • the second layer is made of polyester having a small change in refractive index due to stretching
  • the first layer is uniaxially (X Direction)
  • it has high refraction in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X direction)
  •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econd charg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it causes optical interference that selectively reflects or transmits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thereby exhibiting reflection characteristics.
  • the reflection ability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does not occur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y direction). Since it does not have a polarization characteristic that reflects only light in a certain direction can be exhibited.
  • the stretching in the X direction may be made 3 to 7 times, preferably 4 to 6 times.
  •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on in the X direction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by the stretching may be 0.1 to 0.5, preferably 0.2 to 0.4.
  •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n the X directio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reflection performance can be efficiently increased.
  •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in the film plan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0.05 or less, preferably 0.04 or less, more preferably May be 0.03 or less.
  •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s in the y and z directions are respectively 0.05 or less, color deviation when polarized light is incident in the oblique direction can be suppressed.
  •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continuously varied such that the maximum layer thickness for each minimum filling thickness is 1.2 to 1.5 times.
  • the minimum layer thickness is, for example, assuming a multilayer stretched film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a first layer having a total of 145 layers and a second layer having a total of 146 layer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t means the thinnest layer in each, and the maximum layer thickness means the thickest layer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s.
  •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f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 reflect only a specific wavelength at a certain thickness
  •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configured to reflect light in various wavelength ranges by laminating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having various thicknesses.
  •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vary continuously, may vary step by step, and preferably reflects light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by continuously changing within the above range.
  •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each have a thickness of 0.05 to 0.5 im, preferably 0.05 to 0.3 mi, and also an average layer of the second layer relative to the average layer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t is preferable to adjust so that the ratio of thickness may be 0.8-1.2.
  •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each have a thickness range as described above, light may be selectively reflected by light interference between layers.
  •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exceeds 1.2, the opt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layers is weakened and the reflectance is lowered, which is not preferable.
  •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ratio between two layers to 1.2 times or less light leakage can be reduced and polarization degree can be maintained at 53 ⁇ 4 or less.
  •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 In a direction (y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1 to 2 times, preferably 1. 1 to 1.6 times further stretch.
  • the stretching in the direction (y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refractive index in the y direction lowered by the stretching in the X direction, and the adjustment between the two layers adjacent to the high stretching axis by adjusting the stretching rati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to make the refraction between two neighboring layers similar for non-stretch or low stretch, and to suppress color variation of transmitted light.
  • the first layer consists of a dicarboxylic acid as an acid component, and a first polyester resin prepared from diol as an alcohol component and a trihydric or higher polyhydric alcohol
  • the second layer is (i) dicarboxyl as an acid component.
  • dicarboxylic acid us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for example, terephthalic acid, dimethyl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dimethyl-2, 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cyclonucleic acid Dicarboxylic acid, diphenoxy ethane dicarboxylic acid, diphenyl dicarboxylic acid, diphenyl ether dicarboxylic acid, anthracene dicarboxylic acid, ⁇ , -bis (2-chlorophenoxy) ethane -4,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4-dicarboxy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adip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decandicarboxylic acid; Alicycl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cyclonucleic acid dicarboxyl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dialloy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for example, ethylene glycol, propane— 1,2, dipropane, propane-1,3-diol, butane—1,3-diol, butene-1, 4-diol, butyne-1,4-diol, pentane-1,5-diol, neopentyl glybullul, 1,4-bis (hydroxymethyl) cyclonucleic acid, 2-methylpropane-1,3-diol, methyl Pentanedi includes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dibutylene glycol and polybutylene glycol.
  • Trivalent or higher polyhydric alcohol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clude trimethyl propane, tris-2-hydroxyethyl isocyanurate, trimethyl ethane, pentaerythritol,
  • Pentanoate [3-hydroxy-2,2-bis (hydroxymethyl) propyl] pentanoate
  • 3-Hydroxy-2-, 2-bis (hydroxymethyl) propyl pentanoate of Formula 1 may be formed by reaction as shown in Reaction Formula 1 below.
  • trihydric or higher polyhydric alcohols reduces the polymerization reaction rate compared to the use of diols to improve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prevent deterioration and lower the color-b value, ultimately making the color-b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s similar. . That is, by using a trivalent or higher polyhydric alcoho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olor mismatch due to the color differe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indexes in the y and z directions between the two layer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
  • the trivalent or higher polyhydric alcoh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0.2 weight 3 ⁇ 4, respectively,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acid component of each layer, preferably 0.05 to 0 1 weight>.
  • terephthalic acid or ester forming derivative thereof different from the dicarboxylic acid is used together with the dicarboxylic aci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erephthalic acid or dimethyl terephthalic acid.
  • Terephthalic acid or ester forming derivatives thereof different from (i) dicarboxylic acid and ( ⁇ ) dicarboxylic acid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layer may be used in a molar ratio of 30:70 to 70:30, preferably It can be used in a molar ratio of 40:60 to 50:50.
  • crystallization of the second layer may be minimized during the stretching for producing the multilayered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retching, the refractive index variation of the film can be minimized.
  •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ayer in the y direction or the z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non-stretched or low stretched axis is changed to the first layer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t can be similar to the refractive index of.
  • a prot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outermost sides of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 and the protective layer may be made of the first polyester resin or the second polyester resin.
  • the protective layer may be 10 to 253 ⁇ 4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entire multi-layer stretched film, preferably 13 to 20%, more preferably 15 to 18%, in the above range if appropriate for the first layer and the agent The breakage and the like of the laminated film of two layers can be prevented.
  • the color deviations ( ⁇ (0 ° ) and Ay (0 ° ; ) ) valu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2 to 5 may both be 0.1 or less, preferably 0.09 or less, and color deviations. ( ⁇ (60 ° ) and Ay (60 °)) values may both be 0.2 or less, preferably h: L5 or less. When the color deviation value exceeds the value, color shift occurs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angle in the oblique direction.
  • ⁇ x (60 ° ) I xw (60 ° ) -xwo (60 ° )
  • ⁇ y (60 ° ) I yw (60 ° :) -ywo (60 ° )
  • the xwo (0 ° ) and ywo (0 ° ) represent the colors X and y of the spectrum measured by the incident light (standard light source C) at the incident angle of 0 ° according to the 1931 CIE standard, respectively, wherein xwo (60 ° ) and ywo (60 ° ) represents the colors X and y of the spectrum, respectively, measured at the incident angle of 60 ° at the incident angle (standard light source C) according to the 1931 CIE standard,
  • the xw (0 ° ) and yw (0 °) represents the color X and y of the spectrum measured by the 1931 CIE standard for the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 at an incident angle of 0 °, respectively
  • the xw (60 ° ) and yw (60 ° ) represents the colors X and y of the spectrum, respectively, measured according to the 1931 CIE standard for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layered stretched film at an incident angle of 60 ° .
  • Example 1
  • the stirrer and the distillation column were prepared so that 100 mol parts of the alcohol component ethylene glycol and pentaerythritol (PEL) were added to 100 mol parts of the acid component, 2, 6-naphthalene dicarboxylate (NDC), and 0.075 weight% of the total acid component, respectively.
  • 2, 6-naphthalene was added to the reactor attached, manganese acetate as a transesterification catalyst It was added so as to be 0.030 weight 3 ⁇ 4> relative to the weight of dicarboxylate (NDC), and then subjected to 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while heating up to 250 ° C. Thereafter, the prepared silica slurry was added and a conventional polycondensation catalyst was added to complete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thereby preparing a first polyester resin having an inherent viscosity of 0.56 dl / g.
  •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resins prepared above were dried using a conventional dehumidifying dryer and a paddle dryer so as to have a water content of 100 to 150 ppm before use, respectively, and then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ruders to each resin.
  • the resin supplied to the multi-layer forming block is branched such that the first polyester resin is 160 layers for the first charge and the second polyester resin is 161 layers for the second layer,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are alternately It was loaded and continuously varied such that the maximum layer thickness for each minimum layer thickness i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was 1.5 times so that a total of 321 layers of laminates were formed.
  • 321 layer after lamination By in order to secure reliability through an extruder of a first polyester resin, a third 'doedo a thickness of 15 to 18% of the total layer Messenger extruded to form a protective layer on both surfaces of the laminate to a new laminated film advance of 323 layers Got it.
  • the obtained non-stretched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5.2 times in the X-axis direction at 140 ° C. and subjected to heat setting treatment at 120 ° C. to obtain a multilayer stretched film having a total thickness of 34.
  • Examples 2-4
  • the film was stretched 1.2 times in the y-axis direction where the stretching was not performed to obtain a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stretched film.
  • the multilayer laminated sheet uniaxially stretched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of Example 1 using the 1st polyester resin and 2nd polyester resin which were prepared above. Comparative Example 2
  • the multilayer laminated sheet uniaxially stretched was produced by the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of Example 1 using the 1st polyester resin and 2nd polyester resin which were prepared above.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 the content of NDC and DMT of the obtained polyester resin was analyzed using.
  •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s prepared in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measured using a thickness gauge (Beta Rei, manufactured by Yokogawa Co., Ltd.).
  • Luminance Rising Rate Luminance after Insertion () / Before Insertion Luminance (L X 100
  • the measured X and y colors are in accordance with the 1931 CIE standard for standard light source C.
  • the color deviation of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 of this invention was measured as follows.
  • X, y values before the insertion of the multilayered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measured at 0 ° and 60 °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surface. Measurement was made at 0 ° and 60 °.
  • ⁇ x (60 ° ) I xw (60 ° ) -xwo (60 ° )
  • the xwo (0 ° ) and ywo (0 ° ) is the incident light at the incident angle of 0 ° (standard light source
  • the xw (0 ° ) and yw ((T) represents the color X and y of the spectrum measured according to the 1931 CIE standard for the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layer stretched film at an incident angle of 0 °, respectively
  • the xw (60 ° ) and yw (60 ° ) represents the spectral colors X and y of the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layered stretched film at an incident angle of 60 ° according to the 1931 CIE standard, respectively.
  • each color deviation value measured at an incident angle of 0 ° was 0.1 or less, and each color deviation value measured at an incident angle of 60 ° was 0.2 or l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 성분으로서의 디카르복실산, 및 알코올 성분으로서의 디올 및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층과, 산 성분으로서의 (i) 디카르복실산 및 (ii)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 및 알코올 성분으로서의 (i) 디올 및 (ii)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층이 교대로 250층 내지 1,000층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 필름이 일축 방향(x 방향)으로 연신된 다층 연신 필름으로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에 비하여 일축 연신 방향(x 방향)에서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두께가 각각의 최소 층 두께에 대한 최대 층 두께가 1.2 내지 1.5배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다층 연신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연신 필름은 특정 파장대의 가시광을 선택적 반사 및/또는 편광시킬 수 있으며, 필름 부위별 입사광에 대해서 균일한 휘도를 발생시키므로,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편광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다층 연신 필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다층 연신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파장대의 광 ( l ight )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편광시킬 수 있으며, 필름 부위별 입사광에 대해서 균일한 휘도를 발생시키는 다층 연신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액정표시장치 ( l 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분자배열을 갖는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화시키고, 이러한 분자배열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액정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액정에 의한 빛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자체 발광원이 없는 수광형 소자인 액정표시장치는 소자의 화면 전체를 후면에서 조명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back l ight unit )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빛을 전부 투과시키는 것이 아니라서 패널의 휘도가 매우 중요하다. 패널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필름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반사 편광 필름이 있다.
굴절률이 낮은층과 높은층을 교대 적층한 필름은 층간의 간섭에 의해서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학 간섭을 일으킨다. 이런 적층올 수십에서 수백층 이상 충분히 하고 이웃한 충의 두께를 서서히 변화시키면 원하는 파장대 영역에서 반사 및 /또는 편광 특성을 높일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한 광학적 원리에 대해서는 문헌 [Vasicek, Opt ics of Thin Fi lm I960, 100 내지 139면, 69 및 70면] 등에 기재되어 있다.
2개의 상이한 굴절률올 갖는 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필름은, 제 1 층과 제
2 층을 구성하는 물질의 굴절률차와 막 두께 및 적층 수에 따라, 특정한 파장의 광올 반사시키게 되는데, 그 반사 파장은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imgf000003_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λ는 반사 파장 (nm) , m은 반사 차수 (order of ref lect ion) , Ni 및 N2는 각각의 층의 굴절률, 및 이 및 D2는 각각의 층의 두께 (nm)를 나타낸다. )
이때, 상기 다층 필름에서 굴절률이 높은 층으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2, 6-PEN)가 사용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997-0700585호 및 국제공개 TO95/17303호 등) , 상기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일축 연신할 경우 연신 방향 (X 방향)의 굴절률이 커지게 되지만, 필름 면 내에서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방향)에서는 연신 전후의 굴절률의 변화가 적고, 필름 두께 방향 (z 방향)의 굴절률은 크게 저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신된 일축 방향 (X 방향)의 편광을 반사시키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 (y 방향)의 편광을 투과시키는 반사필름올 제조할 경우, 일축 방향의 편광 성능을 높이고자 연신 배율을 크게 할 경우 필름 두께 방향 (z)의 굴절률차도 커지게 되어 경사 방향으로 입사된 광에 대한 부분적인 반사가 일어나 투과광의 색상 편차가 발생하고, 부위별로 비균일 휘도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부위별 입사광에 대해서 색상의 변화가 없으면서도, 휘도의 저하 없이 균일한 휘도를 발생시키는 다층 필름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파장대의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및 /또는 편광시킬 수 있으며, 부위별 입사광에 대해서 색상의 변화가 없으면서도, 휘도의 저하 없이 균일한 휘도를 발생시키는 등 광학특성이 우수한 다층 연신 필름올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 성분으로서의 디카르복실산, 및 알코을 성분으로서의 디을 및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을로부터 제조된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층과, 산 성분으로서의 ( i ) 디카르복실산 및
( i i )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 및 알코올 성분으로서의 ( i ) 디을 및 ( i i )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을로부터 제조된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층이 교대로 250층 내지 1 , 000층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 필름이 일축 방향 (X 방향)으로 연신된 다층 연신 필름으로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에 비하여 일축 연신 방향 (X 방향)에서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두께가 각각의 최소 층 두께에 대한 최대 층 두께가 1.2 내지 1.5배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다층 연신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연신 필름은 특정 파장대의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및 /또는 편광시킬 수 있으며, 필름 부위별 입사광에 대해서 균일한 휘도를 발생시키므로,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편광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설명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은 제 1 층과 제 2 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일축 방향 (X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상기 계 1 층과 상기 게 2 층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체를 이루며, 상기 적층체는 250층 내지 1 , 000층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은 상기 제 1 층은 연신에 의해 굴절률이 변화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층은 연신에 의한 굴절률 변화가 작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제 1 층을 일축 방향 (X 방향)으로 연신시키게 되면 일축 연신 방향 (X 방향)으로 높은 굴절를을 가지게 되어 연신 방향으로 제 2 충과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학 간섭을 일으켜 반사 특성올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연신 방향 (X 방향)으로는 굴절률 차이로 인한 반사 능력올 가지는 반면에, 필름 면 내에서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방향)으로는 굴절률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반사 능력을 가지지 않으므로 일정 방향의 빛만 반사시키는 편광 특성올 발휘할 수 있다.
상기 X 방향으로의 연신은 3 내지 7배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배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신에 의한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의 X 방향의 굴절를 차는 0. 1 내지 0.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X 방향의 굴절률 차가 상기 범위일 때 반사 성능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의 필름 면 내에서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방향) 및 필름 두께 방향 (z 방향)의 굴절률 차는 각각 0.05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y 방향 및 z 방향의 굴절률 차가 각각 0.05 이하일 때, 편광이 경사 방향으로 입사되었을 때의 색상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각각의 최소 충 두께에 대한 최대 층 두께가 1.2 내지 1.5배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층 두께는, 예컨대 총 145층인 제 1 층과 총 146충인 제 2 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연신 필름을 가정할 때, 제 1 층 및 제 2 층 각각에 있어 가장 두께가 얇은 층을 의미하고, 상기 최대 층 두께는 제 1 층 및 제 2 층 각각에 있어 가장 두께가 두꺼운 층을 의미한다.
다층 연신 필름을 이루는 제 1 층 및 제 2 층은 일정한 두께에서는 특정 파장만을 반사시키게 되므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제 1 층 및 제 2 층을 적층 시킴으로써 다양한 파장 범위에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두께는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단계적으로 변화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함으로써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계 1 층과 상기 제 2 층은 각각 0.05 내지 0.5 im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 .3 mi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층의 평균 층 두께에 대한 상기 제 2 층의 평균 층 두께의 비가 0.8 내지 1 .2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은 각각 상기와 같은 두께 범위를 가지는 경우 효율적으로 층간의 광 간섭에 의해 선택적으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의 두께비가 1 .2를 초과하게 되면 각 층간의 광 간섭이 약해져 반사율이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두 층간 두께비를 1.2배 이하로 작게 조절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줄이고 편광도를 5¾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은 상기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방향)으로 1 . 1 내지 2배,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6배 추가로 연신될 수 있다. 상기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방향)으로의 연신은 X 방향으로의 연신에 의해 저하되는 y 방향으로의 굴절률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신비의 조절로 고연신축에 대해 이웃한 두 층간의 굴절률 차를 크게 하고, 비연신축 또는 저연신축에 대해 이웃한 두 층간의 굴절를을 유사하게 만들 수 있으며, 투과광의 색상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은 산 성분으로서의 디카르복실산, 및 알코을 성분으로서의 디올 및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층은 산 성분으로서의 ( i ) 디카르복실산 및 ( Π )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 , 및 알코올 성분으로서의 (i) 디올 및 (ii)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을로부터 제조된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예컨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 -2, 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핵산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α , -비스 (2-클로로페녹시)에탄 -4,4-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핵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을로는,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판— 1,2ᅳ디을, 프로판 -1,3-디올, 부탄— 1, 3-디올, 부텐 -1,4-디올, 부틴 -1,4-디을, 펜탄 -1,5-디올, 네오펜틸 글리불, 1,4-비스 (히드록시메틸)사이클로핵산, 2-메틸프로판 -1,3-디올, 메틸펜탄디을,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부틸렌 글리콜 및 폴리부틸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로는 트리메틸을프로판, 트리스 -2-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을에탄, 펜타에리트리를, 하기 화학식 1의
3-하이드톡시 -2, 2-비스 (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펜타노에이트 ([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yl] pentanoate) 및 하기의 화학식 2의 3-하이드록시 -2, 2-비스 (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4-페닐펜타노에이트 ([3-hydroxy— 2, 2-bis(hydroxymethyl)propyl]
4-phenylpentano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imgf000008_0001
상기 화학식 1의 3-하이드톡시 -2, 2-비스 (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펜타노에이트는 하기 반옹식 1과 같은 반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반 1]
Figure imgf000008_0002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의 사용은 디올의 사용에 비해 중합반웅 속도를 을려서 중합도를 개선하고 열화를 방지하며 color-b 값을 낮추어 궁극적으로 제 1 층과 제 2 층의 color-b를 유사하게 만든다. 즉,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을을 사용함으로써 제 1 층과 제 2 층 두 층간의 y 방향 및 z 방향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색 차이에 의한 색상 어긋남 (color matching mi ss)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을은 각 층의 전체 산 성분 100 중량 %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0.2 중량 ¾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 1 중량 >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더불어 상기 디카르복실산과는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가 사용되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산을 들 수 있다.
상기 계 2 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 i ) 디카르복실산과 (Π )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는 30: 70 내지 70 : 30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으며 , 바람직하게는 40 : 60 내지 50 : 50의 몰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상기 ( i ) 디카르복실산과 ( Π ) 이와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 제조를 위한 연신시 제 2 층의 결정화를 최소로 할 수 있어 연신 후 필름의 굴절률 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제 2 층의 공중합 비율을 상기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1축 또는 2축 연신 후에 비연신축 또는 저연신축에 해당하는 y 방향 또는 z 방향에 대하여 제 2 층의 굴절률을 제 1 층 (고굴절률 층)의 굴절률과 유사하게 할수 있다.
상기 다층 연신 필름의 양면 최외곽에는 보호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전체 다층 연신 필름의 총 두께에 대하여 10 내지 25¾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일 경우 적절히 제 1 층과 제 2 층의 적층 필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은 하기 수학식 2 내지 5로 나타내는 색상 편차 ( Δχ(0° ) 및 Ay(0°) )값이 모두 0. 1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9 이하일 수 있으며, 색상편차 ( Δχ(60° ) 및 Ay(60° ) ) 값이 모두 0.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으: L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칼라 편차 값이 상기 값을 넘는 경우 경사 방향의 입사각에 대하여 색상의 어긋남이 발생한다.
[수학식 2]
Δχ(0° )= I xw(0° )-xwo(0° ) I [수학식 3]
ᅀ y(0° )= I yw(0° :) -ywo(0° ) |
[수학식 4]
ᅀ x(60° )= I xw(60° )-xwo(60° ) |
[수학식 5]
ᅀ y(60° )= I yw(60° :) -ywo(60° ) |
상기 수학식 2 내지 5에 있어서,
상기 xwo(0° ) 및 ywo(0° )는 각각 입사각 0° 에서의 입사광 (표준 광원 C)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고, 상기 xwo(60° ) 및 ywo(60° )는 각각 입사각 60° 에서의 입사광 (표준 광원 C)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며,
상기 xw(0° ) 및 yw(0° )는 각각 입사각 0° 에서의 다층 연신 필름을 투과한 투과광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고, 상기 xw(60° ) 및 yw(60° )는 각각 입사각 60° 에서의 다층 연신 필름을 투과한 투과광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낸다.
- 이하, 본 발명올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
산 성분인 2 ,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NDC) 100 몰부에 대하여 알코을 성분인 에틸렌 글리콜 및 펜타에리트리를 (PEL)을 각각 100 몰부 및 전체 산 성분 대비 0.075 중량 %가 되도록 교반기와 증류탑이 부착된 반응기에 투입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웅 촉매로서 아세트산망간을 2 ,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NDC) 중량 대비 0.030 중량 ¾>가 되도록 투입한 다음, 250 °C까지 승온시키면서,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후 준비된 실리카 슬러리를 첨가하고 통상의 중축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을 완결하여 고유 점도가 0.56 dl/g인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
산 성분인 2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NDC) 35 몰부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MT) 65 몰부에 대하여, 알코올 성분인 에틸렌글리콜 및 펜타에리트리를 (PEL)을 각각 100 몰부 및 전체 산 성분 대비 0.075 중량 %가 되도록 교반기와 증류탑이 부착된 반웅기에 투입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로서 아세트산망간을 2 ,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NDC) 중량 대비 0.030 중량 %가 되도록 투입한 다음, 250 °C까지 승온시키면서, 에스테르교환 반웅을 실시하였다. 이후 준비된 실리카 슬러리를 첨가하고 통상의 중축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축합 반웅을 완결하여 고유 점도가 0.62 dl /g인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다층 적층 시트의 제조 >
상기에서 제조한 제 1 및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각각 사용 전 함수율이 100 내지 150 ppm이 되도록 통상의 제습 드라이어와 패들 (paddle)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제 1 및 제 2 압출기에 공급하여 각 수지를 용융온도 (Tm)의 +20 내지 40 °C의 온도 범위인 290 °C에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만들고 다층 형성용 피드 ( feed) 블록에 공급하였다.
다충 형성용 블록으로 공급된 수지를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 1 충용으로 160층,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 2 층용으로 161층이 되도록 분기 시킨 후, 제 1 층과 제 2 층이 교대로 적충되고, 제 1 층과 제 2 층에서 각각의 최소 층 두께에 대한 최대 층 두께가 1.5배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총 321층의 적층체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321층의 적층 형성 후 층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 3의 압출기를 통하여' 전체층의 15 내지 18%의 두께가 되도톡 압출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양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323층의 미연신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140 °C에서 X축 방향으로 5.2배 일축 연신하고 120 °C에서 열고정 처리를 실시하여 총 두께 34 의 다층 연신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4
하기 표 1과 같이,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시 알코을 성분의 비을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1축 연신된 다층 연신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내지 8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다층 연신 필름에 대하여 연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y축 방향으로 각각 1.2배 연신하여 2축 연신된 다층 연신 필름을 얻었다.
【표 1】
Figure imgf000012_0001
비교예 1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
산 성분인 2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NDC) 100 몰부에 대하여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100 몰부를 교반기와 증류탑이 부착된 반웅기에 투입한 후, 에스테르 교환 반웅 촉매로서 아세트산망간을 2 ,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NDC) 중량 대비 0.030 중량 % 투입한 후, 250 °C까지 승온시키면서, 에스테르교환 반웅을 실시하였다. 이후 준비된 실리카 슬러리를 참가하고 통상의 중축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축합 반웅올 완결하여 고유 점도가 0.6 dl /g인 제 1 플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산 성분인 2,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NDC) 48 몰부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MT) 52 몰부에 대하예 알코올 성분인 에틸렌글리콜 100 몰부를 교반기와 증류탑이 부착된 반웅기에 투입한 다음,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로서 아세트산망간을 2 ,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NDC) 중량 대비 0.030 중량 % 투입한 후, 250 °C까지 승온시키면서,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후 준비된 실리카 슬러리를 첨가하고 통상의 중축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축합 반웅을 완결하여 고유 점도가 0.74 dl /g인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다층 적층 시트의 제조 >
상기에서 제조한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1축 연신된 다층 적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
상기 비교예 1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 1 폴리에스터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
산 성분인 2, 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NDC) 48 몰부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MT) 52 몰부에 대하여, 알코을 성분인 에틸렌글리콜 100 몰부를 교반기와 증류탑이 부착된 반응기에 투입한 후,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로서 아세트산망간을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NDC) 중량 대비 0.030 중량 % 투입한 후, 250 °C까지 승온시키면서,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후 준비된 실리카 슬러리를 첨가하고 통상의 중축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축합 반옹을 완결하여 고유 점도가 0.74dl /g인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다층 적층 시트의 제조 >
상기에서 제조한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1축 연신된 다층 적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및 4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다층 연신 필름에 대하여 연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y축 방향으로 각각 1.2배 연신하여 2축 연신된 다층 연신 필름을 얻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사용된 각각의 제 1 및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다층 연신 필름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1 ) 공중합 비율의 측정
을 이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NDC와 DMT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2) 유리전이온도 (Tg) , 용융 온도 ( )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및 제 1 내지 제 4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시차주사형열분석기 (DSC ; 퍼킨앨머 (Perkin-Elmer )사제)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20°C /분으로 측정하여 나타나는 흡열곡선의 피크점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3) 굴절률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수지를 이용하여 개별 압출하여 연신 후, 연신 필름에 대해 아베 (ABBE) 굴절계 및 세론사의 프리즘 커플러를 이용하여 일축 방향 및 타축 방향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4) 두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다층 연신 필름에 대해 두께 측정기 (베타레이, 요코가와사제)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5) 휘도 향상비 측정
적층 필름 샘플을 LCD (삼성 UN46D 6900 2011년 6월 제작) 패널안의 편광판과 프리즘 시트 사이에 삽입하고, LCD에 백색을 표시한 후 이때 휘도계 (CA2000 , 미놀타사제)를 사용해서 중앙 포인트의 휘도값을 측정하였다. 샘플 삽입 전 후의 휘도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휘도 상승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6]
휘도 상승율 = 삽입 후 휘도 ( )/삽입전 휘도 (L X 100
(6) 칼라 편차 측정
상기 (5) 휘도 향상비 측정에서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칼라를 측정하여 삽입 전후의 칼라 편차를 측정하였다. 측정 된 X, y 칼라는 표준 광원 C에 대하여 1931 CIE 규격에 따른 값이다.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의 칼라 편차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올 삽입하기 전의 X, y값을 입사면에 대하여 0° 와 60° 에서 측정한 다음ᅳ 본 발명의 다층 연신 필름을 삽입하여 같은 방법으로 X, y값을 입사면에 대하여 0° 와 60° 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입사각에 대하여 칼라 편차는 하기 수학식 2 내지 5에 의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2]
Δχ(0° )= I xw(0° )-xwo(0° ) I
[수학식 3]
ᅀ y(0° )= I y (0° )-ywo(0° ) |
[수학식 4]
ᅀ x(60° )= I xw(60° )-xwo(60° ) |
[수학식 5]
ᅀ y(60° )=ᅵ yw(60° )-ywo(60° ) |
상기 수학식 2 내지 5에 있어서,
상기 xwo(0° ) 및 ywo(0° )는 각각 입사각 0° 에서의 입사광 (표준 광원
C)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고, 상기 xwo(60° ) 및 ywo(60° )는 각각 입사각 60° 에서의 입사광 (표준 광원 C)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며,
상기 xw(0° ) 및 yw((T )는 각각 입사각 0° 에서의 다층 연신 필름을 투과한 투과광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고, 상기 xw(60° ) 및 yw(60° )는 각각 입사각 60° 에서의 다층 연신 필름을 투과한 투과광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축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입사각 0° 에서 측정된 각각의 칼라 편차 값이 0. 1 이하인 것, 및 입사각 60° 에서 측정된 각각의 칼라 편차 값이 0.2 이하인 것을 양호로 하였다.
【표 2】 제 1층 연신후 제 2층 연신 후
연신바 color shift 굴절을 굴절율
후 1도 ᅀ X. Δ ᅀ y nx ny nz nx ny riz MD TD
상승을 (0°) (0°) (60° ) (60° ) 살시예
1.83 1.59 1.58 1.59 1.59 1.59 321 5.2 1 158 0.005 0.005 0.11 0.12
1
실시예
1.83 1.59 1.58 1.59 1.59 1.59 321 5.2 1 154 0.008. 0.006 ■ 0.16 0.15
2
실시예
1.83 1.59 1.58 1.5.9 1.59 1.59 321 5,2 1 157 0.006 0.006 0,12 0.13 3
실시예
1.83 1.59 1.58 1.59 1.59 1.59 321 5.2 1 152 0.006 0.005 0.13 0.14 4
실시예
1.83 1.595 1.565 1.59 1.59 1.59 1.59 1.59 1.2 161 0.006 0.0.05 0.12 0.13 5
실시예
1.83 1.595 1.585 1.59 L59 1.59 321 5.2 1.2 158 0.007 0.007 0.15 0.14 6
실시예
183 1.595 1.585 1,59 1.59 1,59 .321 5.2 1,2 160, 0.006 0,006 0.14 0.13 7
실시예
1.83 1.59 1.585 1.59 1.59 1.59 321 5.2 1.2 153 0.00& 0.008 0.15 0.15 8
바 H예
1.83 1.615 1,53 1.62 1.615 1.62 321 5.2 1 128 0.18 0.16 0.28 0.26 1
.비 '교예
1,82 1.625 1.58 1,59 1.59 1.59 321 5.2 1 136 0.13 0.13 0.24 0.24 2
비 .교예
1.825 1.62 1.53 1.62 1.62 1.615 321 5.2 1.2 132 0.15 0.12 0.26 0.25 3
비교예
1.815 1.635 1.58 1.59 1.59 1.59 321 5.2 1.2 142 0.12 0.12 0.23 0.22 4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산 성분으로서의 디카르복실산, 및 알코올 성분으로서의 디올 및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을로부터 제조된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층과,
산 성분으로서의 ( i ) 디카르복실산 및 ( i i )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 및 알코을 성분으로서의 (Π 디을 및 ( i i )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층이 교대로 250충 내지 1 ,000층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 필름이 일축 방향 (X 방향)으로 연신된 다층 연신 필름으로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에 비하여 일축 연신 방향 (X 방향)에서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두께가 각각의 최소 층 두께에 대한 최대 층 두께가 1.2 내지 1.5배가 되도톡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시 상기 ( i ) 디카르복실산과 ( Π )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의 몰비가 30 : 70 내지 7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이한 테레프탈산이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산인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 -2-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를, 3-하이드록시 -2 , 2-비스 (하이드톡시메틸)프로필 펜타노에이트 및
3-하이드록시 -2 , 2-비스 (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4-페닐펜타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다가 알코을이 제 1 층 및 제 2 층 각각의 전체 산 성분 100 중량 %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0.2 중량 ¾포함된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 다가 알코올이 3-하이드록시ᅳ 2,2-비스 (하이드록시메틸)프로필 펜타노에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3-하이드록시 -2, 2-비스 (하이드톡시메틸)프로필 4-페닐펜타노에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평균 층 두께에 대한 상기 제 2 층의 평균 층 두께의 비가 0.8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의 상기 일축 방향 (X 방향)의 굴절률 차가 0. 1 내지 0.5인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의 필름 면 내에서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방향) 및 필름 두께 방향 (z 방향)의 굴절를 차가 각각 0.05 이하인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이 일축 방향 (X 방향)으로 3 내지 7배 이루어진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 방향)으로 1.1 내지 2배 추가로 연신된 다층 연신 필름. 청구항 13.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2 내지 5로 나타내는 Δχ(0° ) , ΔΥ(0° ;)값이 0. 1 이하이고, Δχ(60° ) , ΔΥ(60° ) 값이 0.2 이하인 다층 연신 필름:
[수학식 2]
ᅀ x(0° )= I xw(0° )-xwo(0° ) I
[수학식 3]
ᅀ y(0° )= I yw(0° )-ywo(0° ) |
[수학식 4]
Δχ(60° )= I x (60° )-x o(60° ) |
[수학식 5]
ᅀ y(60° )= I y (60° )-ywo(60° ) |
상기 수학식 2 내지 5에 있어서,
상기 xwo(0° ) 및 ywo(0° )는 각각 입사각 0° 에서의 입사광 (표준 광원 C)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고, 상기 xwo(60° ) 및 ywo(60° )는 각각 입사각 60° 에서의 입사광 (표준 광원 C)을 1931 CIE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며,
상기 xw(0° ) 및 yw(0° )는 각각 입사각 0° 에서의 다층 연신 필름을 투과한 투과광을 1931 CIE 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내고, 상기 xw(60° ) 및 yw(60° )는 각각 입사각 60° 에서의 다층 연신 필름을 투과한 투과광을 1931 CIE규격에 따라 측정한 스펙트럼의 색상 X 및 y를 나타낸다.
PCT/KR2014/011921 2013-12-16 2014-12-05 다층 연신 필름 WO201509376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750A KR101399425B1 (ko) 2013-12-16 2013-12-16 다층 연신 필름
KR10-2013-0156750 2013-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764A1 true WO2015093764A1 (ko) 2015-06-25

Family

ID=5089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921 WO2015093764A1 (ko) 2013-12-16 2014-12-05 다층 연신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99425B1 (ko)
TW (1) TWI649201B (ko)
WO (1) WO2015093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5602B (zh) * 2018-09-27 2023-05-26 东洋纺株式会社 多层层叠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392A (ko) * 2002-03-25 2003-10-01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스테르 다층 필름
KR100661807B1 (ko) * 2006-03-30 2006-12-2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엠보싱 가공용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70009658A (ko) * 2004-04-30 2007-01-18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인열 용이성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855662B1 (ko) * 2006-04-11 2008-09-0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엠보싱 가공용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00011590A (ko) * 2008-07-25 2010-02-0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20123271A (ko) * 2009-12-18 2012-11-0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연신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37456D1 (en) * 2000-11-27 2009-03-05 Teijin Ltd Lexionsfolie
JP4167088B2 (ja) * 2003-02-20 2008-10-15 帝人株式会社 二軸延伸多層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576244B (zh) * 2011-10-27 2017-04-0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Un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laminated fil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392A (ko) * 2002-03-25 2003-10-01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스테르 다층 필름
KR20070009658A (ko) * 2004-04-30 2007-01-18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인열 용이성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661807B1 (ko) * 2006-03-30 2006-12-2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엠보싱 가공용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855662B1 (ko) * 2006-04-11 2008-09-0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엠보싱 가공용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00011590A (ko) * 2008-07-25 2010-02-0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20123271A (ko) * 2009-12-18 2012-11-0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연신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9317A (zh) 2015-08-01
TWI649201B (zh) 2019-02-01
KR101399425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7989A1 (en) Multilayer optical film,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transaction card having the same
TWI467246B (zh) 增亮膜及含有該增亮膜的背光單元
JP5776088B2 (ja) 多層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2288503A1 (en) Optical film comprising birefringent naphthalate copolyester having branched or cyclic c4-c10 alkyl units
JP7400723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7400724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KR20200143402A (ko) 적층 필름 및 표시 장치
JP2013003409A (ja) 多層延伸フィルム
JP2012088613A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積層体
JP7386225B2 (ja) 結晶性低屈折率層を有する赤外線反射体及び多層反射偏光子を含む光学フィルム
WO2015093764A1 (ko) 다층 연신 필름
US20200355859A1 (en) Multilayer Reflective Polarizer with Crystalline Low Index Layers
JP2013001013A (ja) 多層延伸フィルム
US20220019009A1 (en) Optical stack
US20210325587A1 (en) Multilayer reflective polarizer with crystalline low index layers
JP2012237853A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729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729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