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8888A1 -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8888A1
WO2014208888A1 PCT/KR2014/003894 KR2014003894W WO2014208888A1 WO 2014208888 A1 WO2014208888 A1 WO 2014208888A1 KR 2014003894 W KR2014003894 W KR 2014003894W WO 2014208888 A1 WO2014208888 A1 WO 20142088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uit
essential oil
gastrointestinal diseases
oil componen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38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주현
박인재
정용환
최구희
윤원종
박성환
윤지현
백순옥
Original Assignee
(주) 휴럼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럼,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주) 휴럼
Priority to CN201480036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358169A/zh
Priority to US14/899,323 priority patent/US20160129065A1/en
Publication of WO20142088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88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using the ravenous tr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disease containing an essential oil component obtained from the fruit of the ravenous tree as an active ingredient.
  • Digestive system diseases are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such as factors caused by bacterial diseases, stress caused by drugs, ethanol and other factors, factors due to changes in diet, aging due to a variety of causes are not reducing the digestive system diseases.
  • the causes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actors caused by bacterial diseases such as Helicobacter pyrone, physical factors such as stress, and chemical factors such as ethanol.
  • gastrointestinal diseases such as gastritis, gastric ulcer and duodenal ulcer
  • an antacid may be taken as a fast-acting drug, but this is only temporary, and steroidal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re limited in use due to side effects.
  •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such as aspirin and ibuprofen
  • have been severely restricted in their use such as acutely refraining from use in patients with ulcers by deepening stomach ulcers or duodenal ulcer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drugs that can alleviate the symptoms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protect the stomach with less side effects even when taken for a long time.
  • ravenous tree (Litsea japonic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vergreen chlorophyll tree vertically distributed in the seashore and foothills within an elevation of 700 m.
  •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drugs (materials) used conventionall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alleviates the symptoms appearing in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meets the need to develop a drug that can protect the stomach with less side effects even when taking a long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 the present applicant is screening from natural products in order to develop a material that is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hile the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crow (pure fruit or seed fruit or seeds) are various (bacterial cause , Physical causes, chemical causes) has been found to have an excellent effect on diseases caused by gastrointestinal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which contains an essential oil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ravenous tre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ssential oil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crow.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btained from any one of the pure fruit of the crow-wood (seeds removed), the seed fruit (including the seed) or the seed (seeds of the fruit).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is a pure fruit essential oil component obtained as a pure fruit of a crow tree, and a seed essential oil component obtained as a seed of a crow tree, the pure fruit essential oil component and a seed essential oil compon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is obtained by any one method of alcohol extraction method, hexane extraction method,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distillation method, compression method.
  • Method of preparing essential oil components of the ravenous tre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is extracting pure berry or seed of ravenous tree using 95% solvent (EtOH), removing alcohol and then adding water to separate the layers It can be obtained by using a method including a step and a synthetic adsorbent, or 9 to 11 times the weight of normal hexane (n-hexane) as a solvent of pure berry or seed of raven-wood, and at room temperature 24 Extraction by stirring for a period of time and can be obtained by removing the hexane layer.
  • EtOH 95% solvent
  • n-hexane normal hexane
  • Fruit essential oil component of the ravenous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components such as beta-cubebene, beta-selinene, Gamma-Elemene, Beta-Caryophyllene, etc.
  • Gastrointestinal disease function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unction of gastrointestinal disease caused by indomethacin (chemical factor) is excellent and can be usefully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gastrointestinal diseases caused by the stress of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f crowberry tr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improvement effec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induced by indomethacin (Indomethacin) of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f the ravenous tre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ion rate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the cause of stress (soaking restraint model) and the chemical cause (indometacin model) of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f crowberry tr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hromatogram graph of essential oil component of Raspberry tre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5 is a chromatogram graph of essential oil components of crowberry tre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d preven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which ar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which contains an essential oil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ravenous tre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btained from the fruit of the ravenous tree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to seeds (seeds in the fruit), see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ure fruit'), seeds (seeds in the fruit), , From which an essential oil component was obtained, and prepared in the following manner.
  • 'seed fruit' essential oil components from the fr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ed fruit') containing seeds whose seeds (seeds) have not been separated, instead of being divided into pure fruit and seed.
  • the hexane extraction method using hexane is superior in terms of essential oil component extraction than other extraction methods, and is extracted through stepwise treatment from alcohol extraction. Alcohol extraction also has excellent advantages.
  • the dried Raven pure fruit was extracted with 95% of alcohol, which is a solvent, and then alcohol was removed and water was added to obtain essential oil components including stepwise steps such as layer separation. 17 g of essential oil was obtained).
  • N-hexane a solvent
  • n-hexane solvent normal hexane
  • the ravenous pure fruit essential oil component and the seed essential oil component obtained may be used alone, or may be used by mixing at a predetermined ratio.
  •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the crow pure fruit and se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improving the gastrointestinal diseases induced from Helicobacter pyrone, which is the cause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stress (physical cause) and chemical cause (indomethacin).
  • Example 1 Manufacture of essential fruit of crow pure tree
  • Example 2 Manufacture of essential fruit of crow pure tree
  • Example 4 Manufacture of essential fruit of crow pure tree
  • Example 1 Pure fruit essential oil of Example 1 contained Beta-cubebene (19.7 ⁇ 2.4%), Beta-selinene (12.1 ⁇ 3.1%), Beta- Caryophyllene (8.2 ⁇ 1.2%),
  • the pure fruit essential oil of Example 2 contained Beta-cubebene (21.7 ⁇ 1.9%), Beta-selinene (11.1 ⁇ 1.8%), Beta-Caryophyllene (7.4 ⁇ 1.6%), and the like.
  • Example 1 Table 1 Table of Essential Oil Components of Pure Raven Fruits Obtained in Example 1 Compound Name Area (%) peak Remarks beta-cubebene 19.7 ⁇ 2.4 12 beta-selinene 12.1 ⁇ 3.1 13 beta-Caryophyllene 8.2 ⁇ 1.2 9
  • Paper disk ( paper) to confirm the gastrointestinal disease improvement effect of the essential oil component and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f the ravenous tree bark obtain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k ) method was performed as follows.
  • mice Male SD rats (200-220g) were used, and the purified rats had a low concentration (20mg / kg), medium concentration (60mg / kg), and high concentration (120mg / kg) in three levels of test substance and media control group. Positive controls (styrene tablets, 150 mg / kg)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daily for 7 days. After 24 hours of fasting, the restraint device was calibrated, and the calibrated animal was immersed in a 22 ° C. water tank until the xiphoid process caused gastric ulceration.
  • the animal After inducing gastric ulcers, the animal is sacrificed and the stomach is extracted, and then 1% formalin (10 mL) is injected into the stomach, and it is fixed in 1% formalin solution for 1 hour.
  • the length (mm) of the gastric ulcer (bleeding site) was unfolded on the board and measured by using a stereomicroscope and scored.
  • the inhibition rate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 Inhibition rate (%) (Inflammation length of control group-Inflammation length of test substance treatment group) / Inflammation length of control group ⁇ 100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f Ravenberry fruit showed 25.1% inhibition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f Ravenberry fruit showed 63.5% inhibition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 Table 4 Effect of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ease through gastritis Index induced by physical cause (stress) of essential oil component of Raven puree tree according to Example 1 Sample Ulcer Index (mm) Negative Control (Normal) 0 ⁇ 0 Positive Control (Styrene Tablet 150mg / kg) 18.3 ⁇ 3.2 Solvent control 29.6 ⁇ 6.2 Ravenberry essential oil Low concentration (20mg / kg) 22.2 ⁇ 6.4 Medium concentration (60 mg / kg) 10.8 ⁇ 5.9 High concentration (120mg / kg) 9.1 ⁇ 3.2
  • mice Male SD rats (200-220g) were used, and the test substance and medium control group of 3 levels of dose (low concentration (20mg / kg), medium concentration (60mg / kg), high concentration (120mg / kg)) were used in purified rats after purchase. , Positive control group (styrene tablets, 150mg / kg)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daily for 7 days.
  • Inhibition rate (%) (Inflammation length of control group-Inflammation length of test substance treatment group) / Inflammation length of control group ⁇ 100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of Ravenberry fruit showed 39.6% inhibition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fruit (pure fruit, seed fruit, seed) of the ravenous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caused from the Helicobacter pylori bacteria cause, physical cause (stress) or chemical cause (indometacin) The effect is excellent.
  • the essential oil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ravenous tree (pure fruit, seed fruit, se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caused from various ca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까마귀쪽나무를 이용한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로부터 획득되는 정유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순수열매, 종자열매, 종자)로부터 획득되는 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정유성분은 위장질환의 원인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니로 원인과,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물리적 요인, 그리고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화학적 원인으로 야기된 위장질환의 개선 효능평가에서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순수열매, 종자열매, 종자)로부터 얻어지는 정유성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위장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까마귀쪽나무를 이용한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로부터 획득되는 정유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의 소화기질환으로 인한 외래환자 수진율은 10만 명당 599명으로 1156명의 호흡기계 질환에 이어 가장 많은 수진율을 보이고 있으며(보건복지부, 2001), 2001년 우리나라의 위 십이지장 궤양, 대장암 등 소화기계 질환의 인구 10만명 당 사망률은 30.1명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통계청, 2002).
소화기관의 질환은 세균질환에 의한 요인, 스트레스에 의한 요인, 에탄올 등 약물에 의한 요인, 식생활의 변화에 따른 요인, 노령화에 따른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되어 소화기계 질환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위장질환의 원인으로 헬리코박터 파이로니 등 세균질환에 의한 요인, 스트레스 등에 물리적에 의한 요인, 에탄올 등 화학적에 의한 요인 등을 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위장질환(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등)의 주요 증상으로는 복통, 속쓰림, 더부룩함, 소화불량, 트림, 오심, 구토, 출혈 등이 있다. 상기 증상들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속효성으로 제산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일시적일 뿐이고,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들은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특히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들은 오히려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을 심화시켜 궤양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을 극도로 자제하거나, 제산제와 함께 복용시키는 등 사용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위장질환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을 완화시키고, 오랜 시간 복용시에도 부작용이 적으면서 위를 보호할 수 있는 약물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는 상록엽소교목으로서 수직적으로 표고 700m 이내의 바닷가 및 산기슭에 주로 분포한다.
이 식물의 화학적 구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여러 종류의 essential oils, fatty acids, lactones, alkaloids 및 terpenoids가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어있다.
Lactones의 종류로 알려진 hamabiwalactone A, hamabiwalatone B, akolactone B, litsealactone A 및 litsealactoneB가 분리되었다.
또한, 잎으로부터 분리된 flavonoids 성분인 epicatechin, afzelin, quercitrin 및 tiliroside의 anti-complement activity를 조사한 결과 및 tiliroside가 complement system에 대해 가장 강력한 억제작용을 나타냄이 보고되어있다.
까마귀쪽나무 잎 80% EtOH 추출물을 분획 후, 분획물을 사용하여 항산화(DPPH, Xanthine Oxidase, Superoxide radical -> 분획물 EtOAC 층에서 DPPH와 Superoxid radical 억제활성이 우수함) 및 LDH, NO, PGE2(함염)을 측정(윤원종 외, 2010,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1): p 27~32)하였으며, 실리카 컬럼을 이용하여 잎의 플라보노이드종 분리 (Epicatechin, Afzlin, Quercitrin, Tiliroside, Myricitrin,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후 Anti-complement system 활성 측정(Sun Young Lee 외, 2005, PHYTOTHERAPY RESEARCH, 19 : p. 273-276)하였고, 식용 및 약용식물 중 까마귀쪽나무 잎을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후 과산화지질 생성억제 측정(박종철 외, 1997,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6) : p. 1159-1163)하는 연구에서 까마귀쪽나무의 경우 활성도는 10-1 mg/mL 농도에서 약 18%의 억제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의 HL-60 백혈병 세포 Apoptosis 유도효과에 대한 연구(2009, 김엘비라 외, Ykhak Hoeji, 53(1) : p. 6-11)에서 까마귀쪽나무 잎을 이용하여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HL-60(세포독성)-MTT 측정결과 정상세포에는 독성을 갖지 않으며, HL-60(백혈병세포) 세포증식억제효과를 보임, DNA fragmentation 분석, Western blot 분석을 통하여 Bcl-2의 발현 감소 및 caspase를 활성화함으로서 apoptosis를 유도하여 증식을 저해효과를 보고하는 등 까마귀쪽나무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다.
특허문헌의 종래기술로는 (KR) 공개특허 10-2008-0020738(공개일 2008.03.06)호의 항염활성 및 골대사 관련인자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까마귀쪽나무 추출물에 관한 기술과, (KR) 공개특허 10-2009-0091477(공개일 2009.08.28)호의 까마귀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과, (KR) 등록특허 10-1243243(등록일 2012.03.07)호의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약물(물질)과 달리 위장질환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을 완화시키고, 오랜 시간 복용시에도 부작용이 적으면서 위를 보호할 수 있는 약물 개발의 필요성에 부합될 수 있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출원인은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을 갖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로부터 스크리닝하던 중,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순수열매 또는 종자열매 또는 종자)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이 다양한(세균성원인, 물리적원인, 화학적원인) 위장질환의 원인으로 야기되어지는 질환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인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유성분은 까마귀쪽나무의 순수열매(종자를 제거한 것) 또는 종자열매(종자를 포함한 것) 또는 종자(열매의 씨앗)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정유성분은 까마귀쪽나무의 순수열매로 획득되는 순수열매 정유성분과, 까마귀쪽나무의 종자로 획득되는 종자 정유성분이며, 상기 순수열매 정유성분과 종자 정유성분은 단독 또는 혼합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유성분은 주정추출법, 헥산(hexane)추출법, 초임계추출법, 증류법, 압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획득된다.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 조성물용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정유성분의 제조방법은 까마귀쪽나무의 순수열매 또는 종자를 용매인 주정(EtOH) 95%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알코올을 제거한 다음 물을 넣어 층 분리 등의 공정을 포함한 방법과 합성흡착제 등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또는 까마귀쪽나무의 순수열매 또는 종자를 용매인 노말헥산(n-hexane)을 중량대비 9~11배수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켜 추출하고, 헥산(hexane) 층을 제거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정유성분은 Beta-cubebene, Beta-selinene, Gamma-Elemene, Beta- Caryophyllen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실험결과 항헬리코박터 효능과, 스트레스(물리적요인)로 유발되어지는 위장질환 기능개선효과와 인도메타신(화학적요인)로 유발되어지는 위장질환의 기능개선효과 등이 우수하여 위장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스트레스로 유발된 위장질환의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인도메타신(Indomethacin)으로 유발되어진 위장질환의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스트레스원인(수침구속모델)와 화학적원인(인도메타신모델)에서의 위장질환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크로마토그램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크로마토그램 그래프.
본 발명은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로부터 획득되는 정유성분은 종자(열매 속의 씨앗)를 분리한 열매(이하, '순수열매'라 칭함), 종자(열매 속의 씨앗)로 분리하고, 이로부터 정유성분을 획득하였으며,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를 순수열매와 종자로 분리하여 구분하지 않고, 종자(씨앗)이 분리되지 않은 종자를 포함하는 열매(이하, '종자열매'라 칭함)로부터 정유성분의 획득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의약품, 식품 등의 다양한 조성물의 활용을 모색하기 위하여 순수열매와 종자를 분리하여 이로부터 정유성분을 획득하도록 한 것일 뿐, 종자열매(종자(씨앗)를 포함하는 열매)로부터 정유성분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주 안에 있다.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순수열매 또는 종자 또는 종자열매)로부터의 정유성분 추출 방법으로는 주정(EtOH)추출법, 초임계추출방법, 증류법, 압착법, 헥산추출법, 초고압추출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류법과 압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추출되는 정유성분의 양이 적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헥산을 이용한 추출법인 헥산추출법은 다른 추출방법보다 정유성분 추출 측면에서는 우수하며, 주정추출로부터 단계적인 처리를 통하여 추출하는 주정추출법 또한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 주정을 이용한 단계적 추출방법 1(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의 정유성분)
건조된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에 용매인 주정 95%로 추출한 다음, 알코올을 제거하고 합성흡착제인 HP-20 레진을 이용하여 정유성분을 수득한다(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100g을 사용하였을 경우 15g의 정유성분을 수득하였다).
- 주정을 이용한 단계적 추출방법 2(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의 정유성분)
건조된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에 용매인 주정 95%로 추출한 다음, 알코올을 제거하고, 물을 넣어 층 분리 등의 단계적인 공정을 포함하여 정유성분을 수득한다(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100g을 사용하였을 경우 17g의 정유성분을 수득하였다).
- 헥산을 이용한 추출방법(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의 정유성분)
건조된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에 용매인 노말헥산(n-hexane)을 중량대비 9~11배수(바람직하게는 10배수)를 투입한 다음 상온(15~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다음 헥산(hexane) 층을 제거하여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을 수득한다.
- 헥산을 이용한 추출방법(까마귀쪽나무 종자의 정유성분)
건조된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 종자에 용매 노말헥산(n-hexane)을 중량대비 9~11배수(바람직하게는 10배수)를 투입하여 상온(15~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다음 헥산(hexane) 층을 제거하여 까마귀쪽나무 종자 정유성분을 수(획)득한다.
획득되는 상기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과 종자 정유성분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와 종자의 정유성분은 위장질환의 원인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니, 물리적원인(스트레스) 및 화학적원인(인도메타신)으로부터 유발되어지는 위장질환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실시 예 1 :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 제조
동결건조된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 순수열매 500g에 95% 주정 5000㎖를 첨가하여 상온(2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추출한 다음 알코올을 제거하고, 물을 넣은 첨가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추진하여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의 정유성분 85g을 수득하였다.
실시 예 2 :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 제조
동결건조된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 순수열매 500g에 노말헥산(n-hexane) 5000㎖를 첨가하여 상온(2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추출한 다음 헥산을 제거하여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의 정유성분 95g을 수득하였다.
실시 예 3 : 까마귀쪽나무 열매의 종자 정유성분 제조
동결건조된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 종자 500g에 노말헥산(n-hexane) 5000㎖를 첨가하여 상온(2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추출한 다음 헥산을 제거하여 까마귀쪽나무 종자의 정유성분 46g을 수득하였다.
실시 예 4 :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 제조
동결건조된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 순수열매 500g에 95% 주정(EtOH) 5000㎖를 첨가하여 상온(2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추출한 다음 알코올을 제거하고, 합성흡착제인 HP-20 레진을 단계적으로 사용하여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의 정유성분 75g을 수득하였다.
실험 예 1 :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의 성분분석
상기 실시 예1과 실시 예2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의 분석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 : 기기는 Shimadzu, QP2010Plus를 사용하였으며, Column은 RTX-5(30m x 0.25mm, 0.25㎛)을 사용하였고, 기타조건으로는 Injection 온도 250℃, Detector 온도 250℃, Mass range(m/z) 30-400, Injection volume 1μL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 상기 실시 예 1과 실시 예2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을 분석하여 도 4와 도 5, 그리고 아래 표 1과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 예1의 순수열매 정유성분은 Beta-cubebene(19.7 ± 2.4%), Beta-selinene(12.1 ± 3.1%), Beta- Caryophyllene(8.2 ± 1.2%)을 함유되어 있었으며,
실시 예2의 순수열매 정유성분은 Beta-cubebene(21.7 ± 1.9%), Beta-selinene(11.1 ± 1.8%), Beta- Caryophyllene(7.4 ± 1.6%) 등을 함유되어 있었다.
표 1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 분석표
Compound Name Area(%) peak 비 고
beta-cubebene 19.7 ± 2.4 12
beta-selinene 12.1 ± 3.1 13
beta-Caryophyllene 8.2 ± 1.2 9
표 2 실시 예 2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 분석표
Compound Name Area(%) peak 비 고
beta-cubebene 21.7 ± 1.9 14
beta-selinene 11.1 ± 1.8 15
beta-Caryophyllene 7.4 ± 1.6 8
실험 예 2 :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위장기능개선효과(1) : 항헬리코박터 효과
상기 실시 예들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과 종자 정유성분의 위장관 질환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페이퍼 디스크( paper disk ) 방법으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 : H. pylori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항균활성은 paper disc 법(agar diffusion method)으로 실험하였다. 습윤 멸균하여 dry oven 90℃에서 건조시킨 10 mm paper disc (ADVANTEC, Japan)에 준비된 시험용액을 50 μL씩 무균적으로 흡수시키고 건조시켰다. 한천배지에서 배양된 H. pylori를 1X108 CFU(colony forming unit)이상이 되도록 멸균수에 현탁하여 균주액으로 하여,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한천배지에 각각 100 μL씩 균주액을 도말하고, 시험용액을 흡수시켜 건조한 paper disk를 H. pylori가 도말된 한천배지 위에 올려 부착시켰다. 37℃에서 미호기성 상태로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H. pylori가 자라면서 paper disc 주변에 형성된 생육저지환(clear zone)의 크기 (size, mm)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 상기 실시 예들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과 종자 정유성분에 대하여 헬리코박터 파이로니 균 2종(KCTC12083과 KCTC 5335)에 대하여 생육저지환 크기를 측정하여 [표 3]로 나타내었다. 아래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및 종자 정유성분은 각각 항 헬리코박터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및 종자 정유성분의 헬리코박터 파이롤리 균(KCTC12083, KCTC5335)의 생육저지환 크기
시 료 생육저지환 크기(㎜)
KCTC12083 KCTC 5335
대조군(증류수) 0 0
실시예 1(순수열매 정유성분 26 25
실시예 2(순수열매 정유성분) 23 20
실시예 3(종자 정유성분) 20 19
실시예 4(순수열매 정유성분) 28 26
실험 예 3 :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위장기능 개선효과(2) : 스트레스로 유발된 위장질환 개선효과(물리적 원인)
상기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의 위장관 질환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장질환 유발원인 중 물리적 원인인 스트레스로 유발되어진 위장질환의 개선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 : 수컷 SD 랫드 (200~220g)를 사용하였으며, 구입 후 순화시킨 랫드에 저농도(20mg/kg), 중농도(60mg/kg), 고농도(120mg/kg)로 3단계 용량의 시험물질과 매체대조군, 양성대조군(스티렌정, 150mg/kg)을 7일간 매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24시간 절식한 다음 restraint device에 보정하고 보정된 동물을 22℃의 수조에 겸상돌기(xiphoid process)까지 침수시켜 위궤양을 유발시켰다. 위궤양 유발 후, 동물을 희생시켜 위를 적출 한 다음 1% formalin(10 mL)을 위내에 주입하고, 1% formalin액에 넣어 1시간 동안 고정하고 대만곡부를 따라 종 절개하여 위 내용물을 제거하고 cork board에 펼쳐서 위궤양(출혈부위)의 길이(mm)을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점수화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위장질환의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억제율(%) = (대조군의 염증길이 - 시험물질처리군의 염증길이) / 대조군의 염증길이 × 100
실험결과 :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에 대하여 스트레스로 유발되어진 위장질환의 개선효과를 평가하여 Ulcer Index(mm)를 도 1과 [표 4]으로 나타내었으며,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스트레스 원인으로 야기되는 위장질환의 억제율을 도 3과 [표 5]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위장질환에 대하여 개선효과가 있는 결과를 얻었다.
20mg/kg 농도에서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시료는 25.1% 위장질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60mg/kg 농도에서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시료는 63.5% 위장질환 억제율를 나타내었으며,
120mg/kg의 농도에서는 69.2%의 위장질환 억제율를 나타내었다.
이는 양성대조군인 스티렌정(150mg/kg)이 38.2% 위장질환억제율을 나타낸 것과 비교하였을 경우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은 스트레스로 유발된 위장질환을 개선시켜주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표 4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의 물리적 원인(스트레스)으로 유발되어진 위염 Index를 통한 위장질환 개선효과
Sample Ulcer Index(mm)
Negative Control(Normal) 0±0
Positive Control(스티렌정 150mg/kg) 18.3±3.2
용매대조군 29.6±6.2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저농도(20mg/kg) 22.2±6.4
중농도(60mg/kg) 10.8±5.9
고농도(120mg/kg) 9.1±3.2
표 5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물리적 원인(스트레스)으로 유발되어진 위장질환 억제율
Sample Ulcer Index(mm)
Negative Control(Normal) -
Positive Control(스티렌정 150mg/kg) 38.2
용매대조군 0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저농도(20mg/kg) 25.1
중농도(60mg/kg) 63.5
고농도(120mg/kg) 69.3
실험 예 4 :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위장기능 개선효과(3) :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위장질환 개선효과(화학적 원인)
상기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순수열매 정유성분의 위장관 질환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장질환 유발원인 중 화학적 원인인 인토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진 위장질환의 개선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 : 수컷 SD 랫드(200~220g)를 사용하였으며, 구입 후 순화시킨 랫드에 3단계 용량[저농도(20mg/kg), 중농도(60mg/kg), 고농도(120mg/kg)]의 시험물질과 매체대조군, 양성대조군(스티렌정, 150mg/kg)을 7일간 매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16시간 절식 후, 25mg/kg(in 5% sodium bicarbonate)의 indomethacin을 경구 투여하여 위궤양 유발 후, 동물을 희생시켜 위를 적출하여 1% formalin(10 mL)을 위내에 주입하고, 1% formalin액에 넣어 1시간 동안 고정하고 대만곡부를 따라 종절개하여 위 내용물을 제거하고 cork board에 펼쳐서 위궤양(출혈부위)의 길이(mm))을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점수화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위장질환의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억제율(%) = (대조군의 염증길이 - 시험물질처리군의 염증길이) / 대조군의 염증길이 × 100
실험결과 :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에 대하여 인도메티신으로 유발되어진 위장질환의 개선효과를 평가하여 Ulcer Index(mm)를 도 2와 [표 6]으로 나타내었으며,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인도메타신 원인으로 야기되는 위장질환의 억제율을 도 3과 [표 7]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은 화학적 원인인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위장질환에 대하여 개선효과가 있는 결과를 얻었다.
20mg/kg 농도에서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시료는 27.3% 위장질환 억제율를 나타내었으며,
60mg/kg 농도에서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시료는 39.6% 위장질환 억제율를 나타내었으며,
120mg/kg의 농도에서는 41.8%의 위장질환 억제율를 나타내었다.
이는 양성대조군인 스티렌정(150mg/kg)이 30.0% 위장질환억제율을 나타낸 것과 비교하였을 경우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은 화학적인 원인인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위장질환을 개선시켜주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표 6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화학적원인(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위염 Index를 통한 위장질환 개선효과
Sample Ulcer Index(mm)
Negative Control(Normal) 0±0
Positive Control(스티렌정 150mg/kg) 73.8±7.4
용매대조군 103.9±12.2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저농도(20mg/kg) 75.5±12.2
중농도(60mg/kg) 62.8±15.6
고농도(120mg/kg) 60.5±7.4
표 7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의 화학적 원인(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진 위장질환 억제율
Sample Ulcer Index(mm)
Negative Control(Normal) -
Positive Control(스티렌정 150mg/kg) 30.0
용매대조군 0
까마귀쪽나무 열매 정유성분 저농도(20mg/kg) 27.3
중농도(60mg/kg) 39.6
고농도(120mg/kg) 41.8
본 발명인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순수열매, 종자열매, 종자)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니 균 원인, 물리적 원인(스트레스) 또는 화학적 원인(인도메타신)으로부터 유발되는 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인 까마귀쪽나무의 열매(순수열매, 종자열매, 종자)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은 각종의 원인으로부터 유발되는 위장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성분은 까마귀쪽나무의 순수열매 또는 종자열매 또는 종자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성분은 까마귀쪽나무의 순수열매로 획득되는 순수열매 정유성분과, 까마귀쪽나무의 종자로 획득되는 종자 정유성분이며,
    상기 순수열매 정유성분과 종자 정유성분은 단독 또는 혼합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성분은 주정추출법, 헥산(hexane)추출법, 초임계추출법, 증류법, 압착법, 초고압추출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획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14/003894 2013-06-24 2014-04-30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42088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36032.5A CN105358169A (zh) 2013-06-24 2014-04-30 包含从山苍粳果实提取的精油成分的用于预防及治疗肠胃疾病的组合物
US14/899,323 US20160129065A1 (en) 2013-06-24 2014-04-30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containing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litsea japonica fr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363 2013-06-24
KR1020130072363A KR101566924B1 (ko) 2013-06-24 2013-06-24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888A1 true WO2014208888A1 (ko) 2014-12-31

Family

ID=5214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3894 WO2014208888A1 (ko) 2013-06-24 2014-04-30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29065A1 (ko)
KR (1) KR101566924B1 (ko)
CN (1) CN105358169A (ko)
WO (1) WO20142088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2923A (zh) * 2022-07-11 2022-10-11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超声联合山苍子精油纳米乳的果蔬清洗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002B1 (ko) * 2013-05-06 2015-09-07 (주)휴럼 까마귀쪽나무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988479B1 (ko) 2017-10-11 2019-09-24 (주)휴럼 리트세노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주로부터 유래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54800B1 (ko) * 2018-12-28 2020-01-22 김성규 베타카리오필렌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식품 조성물
CN111713552B (zh) * 2020-07-24 2022-05-31 暨南大学 山苍子精油缓释制剂及其在农产品晾晒和夜间储藏中的应用
CN115420832B (zh) * 2022-09-20 2024-03-19 贵州医科大学 大果木姜子油的gc-ms指纹图谱和多指标含量测定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738A (ko) * 2006-09-01 2008-03-0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항염활성 및 골대사 관련인자 억제활성을 나타내는까마귀쪽나무 추출물
KR20090091477A (ko) * 2008-02-25 2009-08-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까마귀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5886A (ko) * 2010-08-13 2012-0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까마쪽 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738A (ko) * 2006-09-01 2008-03-0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항염활성 및 골대사 관련인자 억제활성을 나타내는까마귀쪽나무 추출물
KR20090091477A (ko) * 2008-02-25 2009-08-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까마귀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5886A (ko) * 2010-08-13 2012-0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까마쪽 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HYUN-KYUNG ET AL.: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Native Plant Species in Jeju Island", AGRIC. CHEM. BIOTECHNOL., vol. 47, no. 2, 2004, pages 91 - 9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2923A (zh) * 2022-07-11 2022-10-11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超声联合山苍子精油纳米乳的果蔬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9065A1 (en) 2016-05-12
KR101566924B1 (ko) 2015-11-06
KR20150000204A (ko) 2015-01-02
CN105358169A (zh)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208888A1 (ko) 까마귀쪽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Boskabady et al. Pharmacological effects of Rosa damascena
Panee Potential medicinal application and toxicity evaluation of extracts from bamboo plants
Ahmad et al. Traditional uses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Alhagi maurorum: A review
WO2019083321A2 (ko) 항산화, 항염 또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조성물
WO2018128408A1 (ko) 바이칼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아토피 등의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97170A1 (ko) 복합 이온미네랄 용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또는 항염증 조성물
Du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 of eupatilin, a poly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rgyi H. Lév. & Vaniot, in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via NF-κB signaling pathway
WO2024005561A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156A1 (ko) 양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16862A1 (ko) 금은화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ayakumari et al. Antiulcerogenic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 fraction of Psidium guajava Linn leaves
WO2018131780A1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03251A1 (ko)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WO2018080157A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384661B1 (ko) 항염증 작용을 하는 프레닐화된 프라보노이드 유도체들 및이들을 함유하는 고삼 추출물
WO2014182004A1 (ko) 까마귀쪽나무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WO2020017674A1 (ko) 차즈기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luteolin-7-o-diglucuronide, apigenin-7-o-diglucuronid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피로 개선용 약학 조성물
Ofusori et al. Regenerative potential of aqueous extract of neem Azadirachta indica on the stomach and ileum following ethanol-induced mucosa lesion in adult wistar rats
KR100779026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구골 추출물
AU2009329032B2 (en) Phyto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feic acid derivatives
WO2013147409A1 (ko) 구강질환 예방 및 치료용 천연 추출물
KR102274808B1 (ko)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88479B1 (ko) 리트세노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주로부터 유래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36032.5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169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932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169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