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71784A1 - 향초용기 - Google Patents

향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71784A1
WO2014171784A1 PCT/KR2014/003406 KR2014003406W WO2014171784A1 WO 2014171784 A1 WO2014171784 A1 WO 2014171784A1 KR 2014003406 W KR2014003406 W KR 2014003406W WO 2014171784 A1 WO2014171784 A1 WO 20141717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dle
scented
container
scented can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34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대범
Original Assignee
Lee Daebum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Daebum filed Critical Lee Daebum
Publication of WO20141717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717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7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d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candle container so that the fragrance is spread well without burning soot.
  • the scented container made of a glass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is only open to the upper side.
  • the fragrance since the air inside the candle container becomes hot air due to the heat of flame, the fragrance is only emitted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fragrance does not spread evenly in all directions but only the indoor ceil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burn all the scented candles so that the scent wast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hole having an inlet having a wick and a built-in wick, an outer surface allowing the inner hole to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dri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outer surface,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vent holes to be punctured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 the plurality of vents are made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topper.
  • the ventilation hole is further provid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nt hol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ented candle.
  • the air passage is provided between the scented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inner peripheral surfac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wheel wheel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ented cand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oot is not generated at all, even if the scented wick burns down the inner hole because the oxygen supply is smoothly supplied to the inner hole of the herbal contain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fragrance is relea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a plurality of vents to spread evenly throughout the room.
  •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cand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d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andle containe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ndle containe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Y-Y 'of FIG.
  •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figuration of a candle containe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ndle contai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11a) has an inner hole (11) in which the scented candle (2) with a wick (1) is built, the inner hole ( There is an outer body 12 which allows 11 to be formed.
  • Reference numeral 17 denotes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1a.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vent holes 13 are drill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12 of the candle container 10.
  •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3 to be dri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12).
  •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3 may be drill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round or oval, or rectangular or star-shaped or rectangular.
  • the scented candle container 10 is composed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such as glass material, metal material or ceramic material.
  • Figure 2 shows the scented candle container 10 is made of a glass material, it is prepared by the liquid scented candle (2) with the wick (1) is injected into the inner hole 11 of the scented container (10) to be cured. .
  •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scented candle 2 in a state that each vented hole 13 is sealed by a stopper (14) ) Is input.
  • the vent hole 13 of a larger number is gradually exposed toward the inner hole 11.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hole 11 through a plurality of vent holes 13 expos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andle in the burned state, thereby the inner hole 11 By being in a state where oxygen is sufficiently supplied, soot does not generate soot when it burns, so that it burns well.
  • the wick 1 becomes far from the inlet 11a,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cented candle 2 burns to the bottom of the inner hole 11, Since more air vents 13 are exposed to the top of the scented candle 2, soot air is su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inner air 11 so that soot is not generated until all the remaining scented candles 2 burn out. Will not.
  •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both the scented candle 2 to the remaining amount, thereby preventing the waste of the scented candle 2 in advan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cause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using only the middle portion of the scented candle and discarded due to the generation of soot,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burning all the scented candle 2 to the end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vance. Will be.
  • the burning scented candle (2) is burned as the middle part melts and burns in the form of a wheel wheel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so that the candle does not flow dow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ented candle (2), whereby the candle is vented. Not only does not flow through the (13), but also if the vent hole 13 is clogged by the candle does not occur at all, so that the outside air through the vent hole 13 can fully enter the inner hole (11) will be.
  • the fragrance is released laterally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3 exposed to the inner hole 11, thereby spreading evenly throughout the room.
  •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igure 3 is to be implemented by the herbal container 10 of the metal material.
  • the scented candle 2 is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11).
  • the scented candle 2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11 is caught by the wheel part 15 unless it is forcibly pulled out, the scented candle 2 is fixed so as not to detach from the inner hole 11 by itself.
  • FIG 4 shows the case where the scented candle container 10 is made of a glass material.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 ′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body 12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ented candle 2 to provide a passag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ented candle 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12.
  • vent hole 13 may be provid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body 12,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It may be to be provided wi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향초를 태울 때 그을음이 발생 되지 않으면서도 향기가 사방으로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향초를 모두 태울 수 있게 하여 향초 낭비 및 환경오염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향초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구(11a)를 구비하여 심지(1)를 가진 향초(2)가 내장되는 내부공(11)과, 상기 내부공(11)이 형성되게 하는 외면체(12)와, 상기 외면체(12)에 상하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기공(13)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기공(13)이 외면체(12)의 원주면 방향으로 등간격적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통기공(13)이 마개(1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향초용기
본 발명은 향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향초를 태울 때 그을음이 발생 되지 않고 향기 확산이 잘 되도록 개선된 향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재질이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 향초용기는 상부 쪽으로만 뚫려 있다.
그러므로 향초를 태우게 됨으로써 향초 소모가 되면 될수록 향초용기 내부 아래쪽에서 불꽃이 타게 되는 상태가 되고 그을음이 발생 되고 있다.
그 이유는 불꽃에서 발생 되는 열기에 의해 향초용기 내부 공기가 더운 공기가 되고, 그로 인해 더운 공기는 상부 쪽으로 올라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향초용기 상부를 통해 상승 되는 더운 공기에 의해서 외부 공기가 향초용기 내부로 잘 못들어오기 때문에 산소량 부족에 의해서 불완전연소에 의한 그을음이 발생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을음 냄새와 향초냄새가 섞이게 되어 좋지 못한 향기가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을음에 의해서 실내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 되고 있다.
또한, 향초용기 내부 깊숙히 심지가 타들어 갈수록 그을음이 많이 나기 때문에 향초를 얼마 못 쓰고 버리게 됨에 따라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그리고 불꽃 열기에 의해 향초용기 내부 공기가 더운 공기가 되어 상부 쪽으로만 향기가 방출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향기가 사방으로 골고루 퍼지지 않고 실내 천장 쪽으로만 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향초를 태울 때 그을음이 발생 되지 않으면서도 향기가 사방으로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향초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초를 모두 태울 수 있게 하여 향초 낭비 및 환경오염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입구를 구비하여 심지를 가진 향초가 내장되는 내부공과, 상기 내부공이 형성되게 하는 외면체와, 상기 외면체에 상하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기공이 외면체의 원주면 방향으로 등간격적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통기공이 마개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공 내측으로 외면체와 일체로 되는 돌륜부를 더 구비하여 향초 외주면과 외면체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면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돌륜부를 향초 외주면에 다수 구비하여 향초 외주면과 외면체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향초용기 내부공으로 산소 공급이 원활히 되기 때문에 향초 심지가 내부공 아래쪽으로 타들어 가더라도 그을음이 전혀 발생 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을음이 발생 되지 않게 되므로 그을음 냄새와 섞이지 않은 순수한 향초 냄새만 실내로 퍼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통기공을 통해서 향기가 옆 방향으로 방출되어 퍼지게 됨으로써 실내에 사방으로 골고루 퍼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향초가 그을음 없이 연소되므로 중간에 버리지 않고 향초가 남은 잔량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사용하게 됨으로써 낭비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중간까지 타다 남은 향초를 버리지 않고 모두 소모되게 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향초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초용기의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향초용기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향초용기 일부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3의 Y-Y'선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공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향초용기 구성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심지 2:향초
10:향초용기 11:내부공
12:외면체 13:통기공
14:마개 15,15':돌륜부
16:통기로 17:뚜껑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향초용기(10)는 입구(11a)를 구비하여 심지(1)를 가진 향초(2)가 내장되는 내부공(11)이 있고, 상기 내부공(11)이 형성되게 하는 외면체(12)가 있다. 부호 17은 입구(11a)를 개폐되게 하는 뚜껑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초용기(10)의 외면체(12)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통기공(13)이 뚫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기공(13)은 외면체(12)의 원주면 방향으로 등간격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통기공(1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이나 별모양 형태 또는 장방형 모양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뚫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향초용기(10)는 유리재질이나 금속재질 또는 도자기 재질 등과 같은 불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도 2는 유리재질로 제조되는 향초용기(10)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향초용기(10)의 내부공(11)으로 심지(1)와 함께 액상의 향초(2)가 투입되어 경화되도록 하여 제조된다.
이때, 다수의 통기공(13)으로 액상의 향초(2)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의 통기공(13)이 마개(14)에 의해서 밀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액상의 향초(2)가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향초(2)가 연소 되게 사용할 때에는 통기공(13)으로부터 마개(14)를 제거하고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심지(1)에 불꽃이 일어서 향초(2)가 타들어가게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향초(2)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외면체(12) 상부 쪽에 위치하는 통기공(13)이 내부공(11) 쪽으로 점차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향초(2)가 타들어가면 갈수록 향초(2) 높이가 더욱 낮아지게 됨에 따라 더욱 많은 숫자의 통기공(13)이 내부공(11) 쪽으로 점차 노출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타들어간 상태의 향초(2)의 상부 쪽으로 노출된 다수의 통기공(13)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내부공(11)으로 들어오게 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내부공(11)으로 충분하게 산소공급이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향초가 연소할 때 그을음이 발생 되지 않고 양호하게 연소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향초(2)가 내부공(11) 밑바닥까지 타들어가게 되면 될수록 심지(1)가 입구(11a)로부터 멀어지는 상태가 되지만 본 발명은 향초(2)가 내부공(11) 밑바닥까지 타들어가게 되면 될수록 더 많은 통기공(13)이 향초(2) 상부 쪽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내부공(11)으로 충분히 들어오게 됨으로써 잔량의 향초(2)가 모두 타들어 갈 때까지 그을음이 발생 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그을음 발생으로 인해 예전에 향초 중간 부분까지만 사용하고 폐기하였던 것을 본 발명은 남은 잔량까지 향초(2)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향초(2)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을음 발생으로 인해 예전에 향초 중간 부분까지만 사용하고 폐기함으로써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지만 본 발명은 향초(2)를 끝까지 모두 연소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소 되는 향초(2)는 가운데 부분이 녹으면서 타들어 가게 되어 상부 외주연부에 돌륜부 형태가 되는 상태로 연소 되므로 촛물이 향초(2) 외주면으로 흘러 내리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촛물이 통기공(13)을 통해 흘러내리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촛물에 의해서 통기공(13)이 막히는 경우는 전혀 발생 되지 않게 되므로 통기공(13)을 통해 외부공기가 내부공(11)으로 충분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기공(13)이 막히지 않기 때문에 내부공(11)으로 노출된 다수의 통기공(13)을 통해서 향기가 옆 방향으로 방출되어 퍼지게 됨으로써 실내에 사방으로 골고루 퍼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의 경우는 금속재질의 향초용기(10)에 의해서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향초용기(10)의 경우 통기공(13)을 형성시킬 때 프레스에 의해서 천공되게 할 때 전부 천공되게 하지 않고 일부분만 절단되게 하면서 ㄱ 절단된 부분이 도 3과 같이 내부공(11) 쪽으로 휘어지게 하여 돌륜부(15)가 돌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향초(2)는 별도로 제조되게 하여 내부공(11)으로 삽입되게 한다.
따라서, 내부공(11)으로 삽입된 향초(2)는 억지로 빼내지 않는 한 돌륜부(15)에 걸림 되기 때문에 내부공(11)으로부터 저절로 이탈하지 않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통기공(13) 내측으로 외면체(12)와 일체로 되는 돌륜부(15)가 있기 때문에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초(2) 외주면과 외면체(12)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16)가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도 4에 나타낸 경우는 향초용기(10)가 유리재질로 이루어지게 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도 외면체(12)와 일체로 되는 돌륜부(15)를 구비하도록 하여 향초(2) 외주면과 외면체(12)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16)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에는, 외면체(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돌륜부(15')를 향초(2) 외주면에 다수 구비하여 향초(2) 외주면과 외면체(12)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16)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향초(2)가 타들어감에 따라 도 3의 도시와 같이 내부공(11)으로 노출된 통기공(13)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산소 공급이 된다.
그리고 아직 타지 않고 잔존하는 향초(2) 외주면과 외면체(12)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16)가 있기 때문에 아직 타지 않고 잔존하는 향초(2)의 외주연부에 있는 통기공(13)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통기로(16)로 들어오게 되고, 통기로(16)로 들어온 외부공기는 도 5의 화살표 도시와 같이 돌륜부(15,15')가 없는 부분을 통해서 상승되게 이동하여 향초(2) 상부 쪽의 내부공(11)으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연소에 필요한 더욱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통기공(13)이 외면체(12)의 상하방향으로 구비하면 되는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체(12)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문자 형태나 그림 형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예로 도시된 도면과 설명된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4)

  1. 입구(11a)를 구비하여 심지(1)를 가진 향초(2)가 내장되는 내부공(11)과;
    상기 내부공(11)이 형성되게 하는 외면체(12)와;
    상기 외면체(12)에 상하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기공(13)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기공(13)이 외면체(12)의 원주면 방향으로 등간격적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기공(13)이 마개(14)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3) 내측으로 외면체(12)와 일체로 되는 돌륜부(15)를 더 구비하여 향초(2) 외주면과 외면체(12)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16)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체(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돌륜부(15')를 향초(2) 외주면에 다수 구비하여 향초(2) 외주면과 외면체(12) 내주면 사이에 통기로(16)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초용기.
PCT/KR2014/003406 2013-04-19 2014-04-18 향초용기 WO20141717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25A KR101500436B1 (ko) 2013-04-19 2013-04-19 향초용기
KR10-2013-0043725 2013-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1784A1 true WO2014171784A1 (ko) 2014-10-23

Family

ID=5173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3406 WO2014171784A1 (ko) 2013-04-19 2014-04-18 향초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210184A (ko)
KR (1) KR101500436B1 (ko)
WO (1) WO20141717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0764A1 (fr) * 2015-09-08 2017-03-10 Maria Bosoni Godet pour bougie
CN107929787A (zh) * 2017-12-22 2018-04-20 大连达伦特工艺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香薰机及其装配方法
CN110616117A (zh) * 2019-10-12 2019-12-27 蔓莎(苏州)工艺制品有限公司 环保无烟香薰蜡烛
USD991496S1 (en) * 2022-05-20 2023-07-04 Healing Light Soy Candles, LLC Candle with accoutre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048B1 (ko) * 2015-04-30 2016-02-22 윤여훈 천장마운트형 향초거치대
KR102014422B1 (ko) * 2017-06-12 2019-08-26 정민시 부착 가열용 촛불장치
AT519549B1 (de) * 2017-07-06 2018-08-15 Dr Wilfrid Wetzl Deckel für einen einseitig nach oben offenen Hohlkörper
KR102011416B1 (ko) * 2017-10-24 2019-08-1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향초를 자동으로 점화와 소등시키는 향초 제어 장치
KR102299983B1 (ko) 2019-11-21 2021-09-07 임지현 스마트 스피커용 캔들워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28Y1 (ko) * 1987-10-05 1991-01-18 정수연 개량촛대
KR19980059182U (ko) * 1997-09-09 1998-10-26 김미옥 안전양초
KR19980071120A (ko) * 1998-01-26 1998-10-26 김미옥 안전양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28Y1 (ko) * 1987-10-05 1991-01-18 정수연 개량촛대
KR19980059182U (ko) * 1997-09-09 1998-10-26 김미옥 안전양초
KR19980071120A (ko) * 1998-01-26 1998-10-26 김미옥 안전양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0764A1 (fr) * 2015-09-08 2017-03-10 Maria Bosoni Godet pour bougie
BE1025870B1 (fr) * 2015-09-08 2019-07-31 Maria Bosoni Godet pour bougie
CN107929787A (zh) * 2017-12-22 2018-04-20 大连达伦特工艺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香薰机及其装配方法
CN110616117A (zh) * 2019-10-12 2019-12-27 蔓莎(苏州)工艺制品有限公司 环保无烟香薰蜡烛
USD991496S1 (en) * 2022-05-20 2023-07-04 Healing Light Soy Candles, LLC Candle with accoutr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0184A (ja) 2014-11-13
KR101500436B1 (ko) 2015-03-09
KR20140125648A (ko)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1784A1 (ko) 향초용기
JP6510073B2 (ja) 自動点火式タバコ煙浄化装置
WO2008073533A2 (en) Lamp with means for controlling air and fuel near the flame
CN105841196B (zh) 燃烧炉
KR20170022013A (ko) 향초 용기
CN215294937U (zh) 一种充分吸收废气的燃烧装置
KR200444821Y1 (ko) 가스 숯불 겸용 로스터
US9976747B2 (en) Safe venting control for stoves
WO2022250398A1 (ko) 자동 반복 연소 난로
CN215082730U (zh) 一种可拆卸的两用紫砂香炉
CN218936353U (zh) 一种燃烧充分的焚烧炉
CN215062032U (zh) 一种用于高中生化学实验的防灭型酒精灯
KR200153229Y1 (ko) 알코올 유출이 방지되는 알코올 램프
KR200166072Y1 (ko) 포켓식 모기향 홀더
KR200249584Y1 (ko) 다중 연소식 벽난로
JP3125528U (ja) 灰皿
KR200193734Y1 (ko) 기름 난로
JPH0412341Y2 (ko)
TWM565031U (zh) Aromatherapy structure
KR200371827Y1 (ko) 폐유연소용 난로
CN105605723B (zh) 消防安全通风方法及其装置
CN205909348U (zh) 一种燃烧炉
KR200146717Y1 (ko) 포켓식 모기향 홀더
JPS632730Y2 (ko)
JPS6113512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848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48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