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17Y1 - 포켓식 모기향 홀더 - Google Patents

포켓식 모기향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17Y1
KR200146717Y1 KR2019970008831U KR19970008831U KR200146717Y1 KR 200146717 Y1 KR200146717 Y1 KR 200146717Y1 KR 2019970008831 U KR2019970008831 U KR 2019970008831U KR 19970008831 U KR19970008831 U KR 19970008831U KR 200146717 Y1 KR200146717 Y1 KR 200146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pocket
mesh
hol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183U (ko
Inventor
안재덕
Original Assignee
안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덕 filed Critical 안재덕
Priority to KR2019970008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1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기향 홀더의 바닥판내에 모기향을 보다 확실하게 수납한 상태에서 연소시킬수 있는 불연재로 되는 메쉬형 포켓을 형성하여 모기향의 사용 및 후처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한 것으로서, 상면에 다수의 연통부(21)를 형성한 덮개(2)를 바닥판(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서 되는 모기향 홀더(A)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에는 바닥면(11)으로 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메쉬판(12)을 설치하고 상기 메쉬형 받침판(12)의 대략 절반이상 부분을 별도의 메쉬판(13)으로 덮어 중첩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양 메쉬판(12)(13)사이에 포켓부(3)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모기향 홀더이다.

Description

포켓식 모기향 홀더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 요부인 바닥판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모기향홀더 1 : 바닥판
2 : 덮개 3 : 포켓부
4 : 모기향 11 : 바닥면
12,12 : 메쉬판 21 : 연통부
본 고안은 포켓식 모기향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기향 홀더의 바닥판내에 모기향을 보다 확실하게 수납한 상태에서 연소시킬 수 있는 불연재로 되는 메쉬형 포켓을 형성하여 모기향의 사용 및 후처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에 파리나 모기등으로 부터 신체를 보호하거나 어물전이나 과일가게등에서 파리등의 접근을 막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기향의 경우, 지금까지는 파손되기 쉬운 모기향의 재질특성상 그 취급이 까다로워 모기향 일단을 점화시킨 상태에서 주의깊게 트레이(tray)등의 모기향 홀더상에 그대로 올려 놓거나 또는 별도의 거치대에 꽂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이는 타고 남은 모기향 재가 이리저리 날려 주위환경을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방법에 있어서도 모기향을 트레이나 거치대에 반드시 수평상태로 하여 사용하여야만 하므로 모기향에 대한 사용장소에 제한을 받게 되는 동시에 모기향이 쉽게 파손되어 모기향의 낭비가 심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모기향 홀더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모기향홀더를 이루는 바닥판에 불연재로 되는 메쉬형 포켓을 설치하여 이 포켓에 모기향을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연통부가 형성된 덮개를 덮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기향을 바닥에 놓아 수평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벽이나 걸이구에 매달아 수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모기향의 설치 사용장소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모기향의 타고 남은 재도 포켓내부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므로 모기향 설치장소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포켓식 모기향 홀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면에 다수의 연통부(21)를 형성한 덮개(2)를 바닥판(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서 되는 모기향 홀더(A)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에는 바닥판(11)으로 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메쉬판(12)을 설치하고 상기 메쉬형 받침판(12)의 대략 절반이상 부분을 별도의 메쉬판(13)으로 덮어 중첩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양 메쉬판(12)(13)사이에 포켓부(3)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모기향 홀더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는 모기향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 포켓부(3)를 이루는 양 메쉬판(12)(13)은 석면등의 불연재로 구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그 재질을 한정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포켓식 모기향 홀더(A)의 실시 사용상태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모기향(4)의 끝단을 점화시켜 모기향5(4)이 지속적으로 연소되도록 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모기향 홀더(A)를 이루는 받침판(1)에 설치된 양 메쉬판(12)(13)사이의 공간, 즉 포켓부(3)에 모기향(4)을 그대로 끼워넣고 바닥판(1)상에 덮개판(2)을 덮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모기향(4)은 포켓부(4)에 끼워진채 지속적인 연소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기를 발생시켜 이 연기가 덮개판(2)의 연통부(21)를 통해 휘산되면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때 모기향(4)을 상하에서 협지하도록 포켓부(4)를 이루는 양 메쉬판(12)(13)은 격자형으로 되어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므로 공기의 유통이 원할히 이루어지게 되어 모기향(4)의 연소를 돕게 되므로 모기향이 연소도중 꺼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포켓식 모기향 홀더(A)는 그 사용에 있어서도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포켓식 모기향 홀더(A)를 일반적인 형태 즉, 내부의 모기향(4)이 수평으로 높이도록 한 상태로 사용할수도 있고, 제3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기향 홀더(A)를 별도의 걸이구에 걸어 내부의 모기향(4)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하여 사용할수도 있게 되므로 모기향(4)의 사용범위를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만큼 모기향(4)의 사용편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모기향(4)을 사용하고 남은 부산물로서의 재는 포켓부(3)에 의해 모기향 홀더 외부로 비산되는 일 없이 포켓부(2)내에 그대로 유지되며, 재의 처리에 있어서도 받침판(1)을 그대로 털게 되면 받침판(1)내에 담긴 모기향(4)의 타고 남은 재는 간편히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모기향(4)에 대한 후처리도 위생적으로 처리할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포켓식 모기향 홀더에 의하면 모기향 홀더를 이루는 받침판내부에 불연재로 되는 메쉬판(12)(13)을 일정부분 중첩하는 것에 의해 모기향(4)이 끼워져 연소되는 공간, 즉 포켓부(3)를 형성함으로써 이 포켓부(3)의 존재에 의해 모기향(4)의 사용 및 후처리가 매우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져 모기향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상면에 다수의 연통부(21)를 형성한 덮개(2)를 바닥판(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서 되는 모기향 홀더(A)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에는 바닥판(11)으로 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메쉬판(12)을 설치하고 상기 메쉬형 받침판(12)의 대략 절반이상 부분을 별도의 메쉬판(13)으로 덮어 중첩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양 메쉬판(12)(13)사이에 포켓부(3)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모기향 홀더.
KR2019970008831U 1997-04-26 1997-04-26 포켓식 모기향 홀더 KR200146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831U KR200146717Y1 (ko) 1997-04-26 1997-04-26 포켓식 모기향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831U KR200146717Y1 (ko) 1997-04-26 1997-04-26 포켓식 모기향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183U KR19980064183U (ko) 1998-11-25
KR200146717Y1 true KR200146717Y1 (ko) 1999-06-15

Family

ID=1949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831U KR200146717Y1 (ko) 1997-04-26 1997-04-26 포켓식 모기향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3797A (zh) * 2013-08-20 2014-01-08 王少卿 自灭蚊香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3797A (zh) * 2013-08-20 2014-01-08 王少卿 自灭蚊香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183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3459B1 (en) Heated volatile dispenser
US7757431B2 (en) Lamp with protected combustion chamber
AU763690B2 (en) Heated volatile dispenser
EP1259267B1 (en) A diffuser
KR101973325B1 (ko) 해충퇴치기능이 구비된 향초 워머
KR200146717Y1 (ko) 포켓식 모기향 홀더
DE69910043D1 (de) Aschenbecher mit ventilator
JPH0870841A (ja) 灰 皿
KR100358284B1 (ko) 호롱불 구조의 전기모기향
KR200169905Y1 (ko) 모기향 연소기
KR200166072Y1 (ko) 포켓식 모기향 홀더
KR920001661Y1 (ko) 모기향 홀더
CN221011652U (zh) 蚊香盒装置
KR200227283Y1 (ko) 모기향 수용기
JP3053797U (ja) 灰 皿
JPH11293959A (ja) 墓地用線香立て
KR200349369Y1 (ko) 필터가 달린 모기향케이스
CN201115394Y (zh) 安全蚊香盒
KR790001201Y1 (ko) 안전 모기향 용기
KR20090002569U (ko) 모기향 연소기
JP2001008814A (ja) うず巻線香用容器
KR200319898Y1 (ko) 모기향 연소기
JPH0746265Y2 (ja) 薫香用香炉カバー
JP2002142644A (ja) 蚊取線香消火具及び蚊取線香消火具付き蚊取線香皿
KR200210849Y1 (ko) 모기향 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