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37026A1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37026A1
WO2014137026A1 PCT/KR2013/003611 KR2013003611W WO2014137026A1 WO 2014137026 A1 WO2014137026 A1 WO 2014137026A1 KR 2013003611 W KR2013003611 W KR 2013003611W WO 2014137026 A1 WO2014137026 A1 WO 20141370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ber
unit
water treatment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36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기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ublication of WO20141370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370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remaining in a fluid.
  •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used in the treatment process of wastewater and wastewater.
  • the waste water separates residues such as sand or contaminants therein, and is purified by using a water treatment device to be discharged to a river or the like.
  •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composed of a collecting tank for treating waste water, an aeration tank and a settling tank.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is structure is usually provided with a sedimentation tank for collecting microorganisms and sludge (flop)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a water collecting tank that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waste water and the reaction unit for receiving the waste water from the water collection tank to treat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using microorganisms or chemicals and suspended solids therein And a reaction / filtration tank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each having fibrous media to filter sequentially according to concentration.
  • each of the filtration unit is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lter medium fixing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tating shaf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rotates along the rotating shaft and the Each end of the filter medium fixing portion is connected to include a fibrous media provided to control the size of the po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to filter and backwash.
  •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may be expanded or shrunk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ber media and the fiber media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o control the pore size of the fiber media such that the fiber media is filtered and reversed. It may include a pore control provided to be washed.
  •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rous bodies and the porous bodi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driven driving body capable of approaching or moving away from any one of the porous bodies, and any one of the porous bodies and the driving body. It is disposed between the sieve, it may include a fibrous media provided to filter or backwash the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e body.
  • the filtration units includ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fibers of the fiber filtration bundle included 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are thinner than the fibers of the fiber filtration bundle included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It may have a thickness. Further, the filtration units includ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fiber filtration bundle included 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ber filtration bundle included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can be sequentially lowered.
  • the filtration units may include a first filtration unit having a hollow loop structure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disposed in the hollow and performing secondary filtration of wastewater filtered primarily from the first filtration unit.
  • the connection line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for the waste water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may purify the treated wate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by including filtration units that may sequentially filter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in the treated water. Furthermore, as the backwas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fibrous media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a separate pickling process for the separator may be omitted. Therefore, the 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applied to a device capable of drinking water by removing suspended solids having a concentration of 2,000 to 30,000 ppm from the waste water. Furthermore, the 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applied to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illustrated in FIG. 1.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a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illustrated in FIG. 1.
  •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 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shown in FIG. 1.
  • 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shown in FIG. 1.
  •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of the filtration units illustrated in FIG. 1.
  •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filtration units illustrated in FIG. 1.
  •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ment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r connected on another element or layer, the element may be placed or connect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and other elements or layers may be placed therebetween. It may be. Alternatively, where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disposed or connected on another element, there may be no other element between them.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items such as various elements, compositions, regions, layers and / or parts, but the item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Will not.
  •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illustrations that are schematic illustrations of idea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changes from the shapes of the illustrations, such as changes in manufacturing methods and / or tolerances, are those that can be expected.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shapes of the areas described as the illustrations, but include deviations in the shapes, the areas described in the figures being entirely schematic and their shapes It is not intended to describe the precise shape of the region nor is i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illustrated in FIG. 1.
  •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a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es a water collecting tank 100 and a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may purify the waste water by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waste water.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may correspond to a device capable of drinking water by removing suspended solids having a concentration of 2,000 to 30,000 ppm from the waste water.
  • the 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applied to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 the sump tank 100 stores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it.
  • the collection tank 100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supplied to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of the next step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 the sump tank 100 may supply treated water to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using a transfer pump and a transfer tube.
  • the water supply tank 1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unit 300 is provided with air from the air supply source 300 to supply oxygen into the water collection tank 100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treated water.
  •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ump tank 100.
  •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may remove contaminants in the treated water and further remove suspended solids containing the contaminants through a filtration process.
  • the reaction / treatment tank 200 includes a reaction unit 210 a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06b (see FIG. 4).
  • the reaction unit 210 removes the pollutant from the waste water supplied from the sump 100 through a chemical or biological reaction.
  • the chemical reaction may proceed by supplying an additive in the reaction unit 210.
  • the additive may include a phosphorus removing material. That is, the phosphorus may be removed from the fluid by forming an insoluble phosphate by supplying a phosphorus removing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salt or an iron salt to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body.
  • the phosphorus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green algae phenomenon of the fluid as a component of the green algae phenomenon of the stream.
  • the biological rea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n aeration process of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treated water through an aerobic reaction using microorganisms and oxygen.
  • the aerobic atmosphere is generated by supplying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300 into the reaction unit 210.
  • the microorganisms remaining in the microorganism carrier present in the reaction unit 210 ingest organic substances, which are contaminants of the treated water, as nutrients, and oxidatively decompose water, gas, and various inorganic substances using oxygen under the aerobic atmosphere.
  • the treated water can be purified.
  • the air supply unit 300 and the reaction unit 210 are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air supply line 215 and the first air supply line 215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n air spray nozzle 213 may be disposed in the reaction unit 210 to supply air.
  • the filtration units 26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reaction unit 210 in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replace the conventional separation membrane and may sequentially perform the fil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include fibrous media.
  •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260 filters the suspended solids by densifying the pores of the fiber media when performing the filtration process.
  •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be subjected to a backwashing process to remove the solids from the fibrous mediar by reducing the voids of the fibrous medial to remove the solids remaining in the fibrous media.
  •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back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fiber media.
  •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260 to filter the treated water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in the treated water.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illustrated in FIG. 1.
  •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include a first filtration unit 260a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260b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ction unit and stacked up and down.
  •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may be adjusted so that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may simultaneously purify the treated water as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backwash process are alternately performed.
  •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performs a first filtration process on the treated 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is applied to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It is filter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can be relatively carried out a secondary filtration process for the treated water.
  •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be provided to be suspended in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be improved.
  • the reaction / aeration tank 2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at is, the first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a and the second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b may be arranged in series.
  • the first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a may firstly purify the treated water
  • the second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b may secondly purify the treated water.
  •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261, filter medium fixing parts 236, and a fiber media 265.
  •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perform a filtration process and a backwash process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fiber media 265.
  • the rotation shaft 26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 the rotation shaft 261 is provided to rotate as the rotation shaft in the first direction.
  • the filter medium fixing parts 263 ar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261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 the filter medium fixing parts 263 may rotate together as the rotation shaft 261 rotates.
  • the fibrous media 265 is connected at its ends to the filter media fixing portions 263.
  • the fiber filter media 265 may adjust the size of the fiber voids in the fiber filter media 265 while the fiber filter media 265 is wound or unrolled as the rotary shaft 261 and the filter media fixing parts 263 rotate together. Can be. That is, the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when the fiber media 265 is wound and the pores of the fiber are dense. On the contrary, when the fiber media 265 is released and the fiber pores are exhausted, the back 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
  • the thick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ber media 265 and the thickness of the fiber media 265 may be adjusted.
  • the fibers may be made of nano-sized fibers, carbon fibers.
  • a metal layer made of metal 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ber constituting the fiber media 265.
  • the filtrate media 265 may more effectively adsorb the ionic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 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shown in FIG. 1.
  • 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shown in FIG. 1.
  •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include fiber media 265 and a pore control unit 262.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260 may perform a filtration process and a back washing process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fiber voids included in the fiber media 265.
  • the fiber media 265 includes a plurality of fiber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 the air gap control unit 26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ber media 265.
  • the pore control unit 262 controls the size of the fiber voids in the fiber media 265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is allows the fiber media 265 to perform the filtration and backwash processes. That is, when the pore control unit 262 approaches the fiber media 265 and compresses the fiber media 265, the fiber voids are pressed to perform a filtration process. When the fibrous median 265 is separated from the fibrous medial 265 away from the center and the fiber voids are exhausted, a backwash process may be performed.
  • the one end of the fibrous media 265 may be gripped and then one end of the fibrous media 265 may be pulled to control the voids of the fibrous media 265.
  •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 the filtration unit includes porous bodies 266, drive body 267 and fiber media 265.
  • the porous bodies 266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porous bodies 266.
  • the driving body 267 is disposed between the porous bodies 266.
  • the driving body 267 may move away from one of the porous bodies 266 or move toward one of the porous bodies 266.
  • the driver 267 may be provided to drive in the first direction.
  •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driving body 267 to allow fluid to pass therethrough.
  • the filter agent may be fixed to the driving body 267.
  • the fiber media 265 may be disposed between one of the porous bodies 266 and the driving body 267.
  • one end of the fiber filtration bundle 265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orous bodies 266 and the driving unit 267.
  • the fiber filtration bundle 265 may have ends thereof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orous bodies 266 and each of the driving body 265.
  • the fiber filtration bundle 265 is connected to one of the porous bodies 266 and each of the driving bodies 267, and the fibers when the driving body 267 approaches the porous body 266.
  • the voids become dense.
  • an impurity inside the fluid adheres to the filter fiber to remove the impurities from the fluid.
  • the driving body 267 descends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body 267 and the porous body 266 becomes far, the fiber voids disappear.
  • a back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remove impurities attached to the fiber using a fluid.
  •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of the filtration units illustrated in FIG. 1.
  •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filtration units illustrated in FIG. 1.
  • the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may be arranged in series.
  • the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include a first filtration unit 260a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260b.
  •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may sequentially filter the suspended solid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in the treated water.
  • the first and first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are disposed in series.
  •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may include a fiber filtration bundle made of fibers therein.
  • the fibers included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may have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while the fibers included 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may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ccordingly,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removes the suspended solids from the treated water of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then removes the suspended solids from the treated water of the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Floating solids can be removed.
  • the fiber filtration bundle included 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has a thickness larger than that of the fiber filtration bundle included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may be sequentially lowered. Can be.
  •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are arranged in series.
  •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has a hollow loop structure.
  •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may have a hollow donut pillar shape.
  •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is disposed inside the hollow.
  •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may perform secondary filtration of the treated water first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may sequentially filter the suspended solid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in the treated water.
  •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or may have a polygonal column shape such as a square column or a pentagonal column.
  • a partition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 a flow path tube is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to communicate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units 260a and 260b with each other.
  • a valve (not shown)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to move the treated water.
  • a connection line part consisting of the flow pipe and the valve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fluid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process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260a may move to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through the flow path.
  • the charge is closed, so that the fluid used for the backwash flows into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to contaminate the second filtration unit 260b. Can be suppressed.
  • the water treatment filtr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unit 300.
  • the air supply unit 3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mp tank 100 and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 the air supply unit 300 may supply air to the water collecting tank 100 to suppress contamination of the treated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100.
  • the air supply unit 300 may supply air to the reaction unit to give up.
  • the supply unit may supply air to the filtration unit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containing impurities during the back washing of the fiber filtration bundle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may further include an oxygen-free tank 400 and a denitrification tank 500 between the water collecting tank 100 and the reaction / filtration tank 200.
  • the anoxic tank 100 may purify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collecting tank 100 in an anoxic atmosphere.
  • the denitrification tank 500 may remove nitrogen in the treated water purified by the anoxic tank 400.
  • the denitrification tank 500 may further remove nitrogen in the treated water using activated sludge.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may purify the treated wate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by including filtration units that may sequentially filter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in the treated water. Furthermore, as the backwas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fibrous media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a separate pickling process for the separator may be omitted. Therefore, the 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applied to a device capable of drinking water by removing suspended solids having a concentration of 2,000 to 30,000 ppm from the waste water. Furthermore, the 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river, a creek, a sewage treatment plant, or 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urifying the fl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수처리 장치는 오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집수조 및 상기 집수조로부터 상기 오폐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또는 약품을 이용하여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을 처리하는 반응 유닛 및 내부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섬유 여재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여과 유닛들을 갖는 반응/여과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체 내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및 폐수 등의 처리과정에 있어서는 수처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오폐수는 그 내의 모래나 협잡물 등과 같은 잔존물을 별도로 분리한 뒤, 수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정화시켜 하천 등에 방류하게 한다.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집수조와, 포기조 및 침전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수처리 장치는 통상적으로 오폐수에 함유된 미생물 및 슬러지(플럭)를 수거하기 위한 침전조가 설치된다.
이러한 침전조는 막대한 비용과 시설 면적이 필요하게 됨으로, 초기 시설비의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나아가 상기 포기조 내부에 분리막이 배치될 경우 상기 분리막에 부착된 유기물을 세척하기 위하여 산세척 공정이 요구된다. 상기 산세척 공정이 수행될 경우 2차 오염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2차 오염원이 상기 분리막을 폐쇄시킴으로써 역세척이 어려운 동시에, 상기 산세척 공정에 필요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분리막에 대한 산세척이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수처리 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오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집수조 및 상기 집수조로부터 상기 오폐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또는 약품을 이용하여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을 처리하는 반응 유닛 및 내부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섬유 여재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여과 유닛들을 갖는 반응/여과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 유닛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하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여과재 고정부들 및 상기 여과재 고정부들에 각각 그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공극 크기를 제어하여 여과 및 역세척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섬유 여재를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여과 유닛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섬유 여재들 및 상기 섬유 여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섬유 여재들의 공극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섬유 여재가 여과 및 역세척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극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유닛들 각각은 상호 마주 보도록 배치된 다공체들 및 상기 다공체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다공체들 중 어느 하나에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동되는 구동체 및 상기 다공체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따라 오폐수를 여과하거나 역세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섬유 여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 유닛들은 상호 직렬 배치된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의 섬유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의 섬유보다 얇은 굵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유닛들은 상호 직렬 배치된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은 상기 제1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보다 큰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부유 고형물의 농도가 순차적으로 낮아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 유닛들은 중공의 루프 구조를 갖는 제1 여과 유닛 및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여과 유닛으로부터 1차 여과된 오폐수를 2차 여과하는 제2 여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을 연통시키며 상기 오폐수에 대한 유로를 개폐하는 연결 라인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처리수 내부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여과 유닛들을 구비함으로써 고농도의 부유 고형물을 갖는 처리수를 정화할 수 있다. 나아가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재에 대한 역세척 공정이 수행함에 따라 분리막에 대한 별도의 산세척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2,000 내지 30,000 ppm의 농도의 부유고형물을 상기 오폐수로부터 제거하여 식수화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처리 장치는 해수를 담수화하는 해수 담수화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응/여과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응 유닛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응/여과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들의 배치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들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응/여과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응 유닛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0)는 집수조(100) 및 반응/여과조(2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처리 장치(1000)는 오폐수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 장치(1000)는 2,000 내지 30,000 ppm의 농도의 부유고형물을 상기 오폐수로부터 제거하여 식수화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처리 장치는 해수를 담수화하는 해수담수화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집수조(100)는 그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수를 저장하다. 상기 집수조(100)는 상기 처리수의 유량을 조정하여 다음 단계인 반응/여과조로 공급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정한다.
상기 집수조(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송 펌프 및 이송관을 이용하여 상기 반응/여과조(200)에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조(100)에는 공기 공급부(300)가 연통되어 상기 공기 공급원(300)으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집수조(100) 내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처리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여과조(200)는 상기 집수조(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반응/여과조(200)는 상기 처리수 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나아가 상기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부유 고형물을 여과 공정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처리조(200)는 반응 유닛(210) 및 여과 유닛들(260a, 206b; 도 4 참조 )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 유닛(210)은 상기 집수조(100)로부터 공급받은 오폐수를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반응을 통하여 오염원을 제거한다.
상기 화학적 반응은 상기 반응 유닛(210) 내부에 첨가제를 공급하여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첨가제는 인(P) 제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염 또는 철염과 같은 인 제거 물질을 상기 몸체 내부에 유입된 유체에 공급함으로써 불용성 인산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을 유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인은 하천의 녹조 현상을 발생하는 성분으로서 유체의 녹조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생물학적 반응은 예를 들면, 미생물 및 산소를 이용하는 호기성 반응을 통하여 상기 처리수 내부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포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기 공정에 따르면, 상기 반응 유닛(210) 내부에 상기 공기 공급부(300)로부터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호기성 분위기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반응 유닛(210)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담체에 잔류하는 미생물이 처리수의 오염 물질인 유기 물질을 영양분으로서 섭취하고 상기 호기성 분위기 하에서 산소를 이용하여 물, 가스, 여러 무기물을 산화 분해하여 상기 처리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300) 및 상기 반응 유닛(210)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1 공기 공급 라인(215) 및 상기 제1 공기 공급 라인(215)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 유닛(210)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분사 노즐(21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여과 유닛(260)들은 상기 반응/여과조(200) 내에 상기 반응 유닛(2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여과 유닛(260)들은 종래의 분리막을 대체하며 상기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여과 유닛들(260)은 섬유 여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유닛들(260) 각각은 상기 여과 공정을 수행할 경우 섬유 여재의 공극을 밀하게 하여 상기 부유 고형물을 여과한다. 또한 상기 여과 유닛들(260) 각각은 상기 섬유 여재에 잔류하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섬유 여재의 공극을 소하게 하여 상기 섬유 여재로부터 상기 고형물을 제거하는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섬유 여재의 공극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여과 공정 및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여과조(200)는 상기 처리수 내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처리수를 여과하도록 복수의 여과 유닛들(260)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응/여과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 유닛들(260)은 상기 반응 유닛에 일측에 배치되며 상하로 적층된 제1 여과 유닛(260a) 및 제2 여과 유닛(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260a, 260b)은 여과 공정 및 역세척 공정이 교대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반응/여과조(200)가 동시에 상기 처리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은 상기 부유 고형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처리수에 대하여 1차 여과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은 제1 여과 유닛(260a)에 의하여 여과되어 상기 부유 고형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처리수에 대하여 2차 여과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유닛들(260)은 상기 반응/여과조(200) 내에 부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 유닛들(260)이 상기 반응/여과조(200) 내에 부유하여 처리수의 상부 수위에 배치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여과 유닛들(260)의 여과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포기조(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반응/여과조(200a) 및 제2 반응/여과조(200b)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응/여과조(200a)가 처리수를 1차 정화하고, 상기 제2 반응/여과조(200b)가 상기 처리수를 2차 정화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 유닛들 각각은 회전축(261), 여과재 고정부들(236) 및 섬유 여재(2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유닛들(260) 각각은 섬유 여재(265)의 공극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여과 공정 및 역세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6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축(261)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여과재 고정부들(263)은 상기 회전축(261)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여과재 고정부들(263)은 상기 회전축(26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여재(265)는 상기 여과재 고정부들(263)에 그 단부들이 연결된다. 상기 섬유 여재(265)는 상기 회전축(261) 및 여과재 고정부들(263)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섬유 여재(265)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섬유 여재(265) 내의 섬유 공극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섬유 여재(265)가 감겨서 상기 섬유의 공극이 밀해질 경우 여과 공정이 수행되며, 반대로 상기 섬유 여재(265)가 풀려서 상기 섬유 공극이 소해질 경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여재(265)를 이루는 섬유의 굵기 및 상기 섬유 여재(265)의 두께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는 나노 크기의 섬유, 탄소 섬유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여재(265)를 이루는 상기 섬유의 표면에는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금속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유 여재(265)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온성 물질을 흡착하여 여과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여과 유닛들(260) 각각은 섬유 여재들(265) 및 공극 제어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유닛들(260) 각각은 섬유 여재(265)에 포함된 섬유 공극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여과 공정 및 역세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여재(265)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공극 제어부(262)는 상기 섬유 여재(265)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공극 제어부(262)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함으로써 상기 섬유 여재(265) 내 섬유 공극의 크기를 제어한다. 이로써 섬유 여재(265)가 여과 및 역세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극 제어부(262)가 상기 섬유 여재(265)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상기 섬유 여재(265)를 압착할 경우 상기 섬유 공극이 밀해져 여과 공정이 수행되며, 반대로 상기 공극 제어부(262)가 상기 섬유 여재(265)를 중심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섬유 여재(265)로부터 이격될 경우 상기 섬유 공극이 소해질 경우,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섬유 여재(265)의 일단을 그리핑한 후 상기 섬유 여재(265)의 일단을 당겨서 상기 섬유 여재(265)의 공극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상기 여과 유닛은 다공체들(266), 구동체(267) 및 섬유 여재(265)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체들(266)은 상호 마주보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체들(266) 각각에는 관통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체(267)는 다공체들(26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체(267)는 상기 다공체들(266) 중 하나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다공체들(266) 중 하나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체(267)는 제1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체(267)에는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유체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체(267)에는 상기 여과제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여재(265)는 상기 다공체들(266) 중 하나 및 상기 구동체(26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여과 다발(265)은 상기 다공체들(266) 및 상기 구동체(267) 중 적어도 하나에 일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 여과 다발(265)은 상기 다공체들(266)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구동체(265) 각각에 그 단부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여과 다발(265)은 다공체들(266)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구동체(267) 각각에 그 단부들이 연결된 경우, 상기 구동체(267)가 상기 다공체(266)를 향하여 접근할 경우 상기 섬유 공극들이 조밀해진다. 이때 처리수가 상기 섬유 여과 다발(265)을 통과하면서 상기 유체 내부의 불순물이 상기 여과 섬유에 부착하여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체(267)가 하강하여 상기 구동체(267) 및 상기 다공체(266)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섬유 공극이 소해진다. 이때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섬유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들의 배치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여과 유닛들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 유닛들(260a, 260b)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여과 유닛들(260a, 260b)은 제1 여과 유닛(260a) 및 제2 여과 유닛, (26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260a, 260b)은 상기 처리수 내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부유 고형물을 여과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 여과 유닛들(260a, 260b)은 직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260a, 260b)은 그 내부에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여과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에 포함된 섬유는 상대적으로 굵은 굵기를 가지는 반면에,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에 포함된 섬유는 상대적으로 얇은 굵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은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부유 고형물의 처리수로부터 부유 고형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은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부유 고형물의 처리수로부터 부유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은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보다 큰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부유 고형물의 농도가 순차적으로 낮아질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260a, 260b)은 직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은 중공의 루프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은 중공의 도넛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은 상기 중공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은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에서 1차 여과된 처리수를 2차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은(260a, 260b) 상기 처리수 내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부유 고형물을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각 기둥 또는 오각 기둥과 같은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 2 여과 유닛들(260a, 260b) 사이에는 격벽(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 2 여과 유닛들(260a, 260b)을 상호 연통시키는 유로관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관 상에는 상기 처리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관 및 상기 밸브로 이루어진 연결 라인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에 의한 여과 공정을 통하여 여과된 유체가 상기 유로를 통하여 제2 여과 유닛(260b)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여과 유닛(260a)의 역세척 공정시 상기 유료를 폐쇄하여, 역세척에 사용된 유체가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2 여과 유닛(260b)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수처리 여과 장치는 공기 공급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상기 집수조(100) 및 반응/여과조(200)와 연통된다.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상기 집수조(100)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집수조(100) 내의 처리수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상기 반응 유닛에 공기를 공급하여 포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부는 상기 여과 유닛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의 역세척시 불순물이 포함된 처리수를 배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집수조(100) 및 반응/여과조(200) 사이에 무산소조(400) 및 탈질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100)는 상기 집수조(100)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교반하여 무산소 분위기에서 정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탈질조(500)는 상기 무산소조(400)에서 정화된 처리수 내에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탈질조(500)는 활성 오니를 이용하여 처리수 내의 질소를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처리수 내부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여과 유닛들을 구비함으로써 고농도의 부유 고형물을 갖는 처리수를 정화할 수 있다. 나아가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재에 대한 역세척 공정이 수행함에 따라 분리막에 대한 별도의 산세척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2,000 내지 30,000 ppm의 농도의 부유고형물을 상기 오폐수로부터 제거하여 식수화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처리 장치는 하천, 개울, 하수처리장 또는 해수 담수화 설비 등에 설치되어 유체를 정화시키는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오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집수조; 및
    상기 집수조로부터 상기 오폐수를 공급받아 미생물 또는 약품을 이용하여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을 처리하는 반응 유닛 및 내부의 부유 고형물의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섬유 여재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여과 유닛들을 갖는 반응/여과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하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여과재 고정부들; 및
    상기 여과재 고정부들에 각각 그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공극 크기를 제어하여 여과 및 역세척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섬유 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섬유 여재들; 및
    상기 섬유 여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섬유 여재들의 공극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섬유 여재가 여과 및 역세척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극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들 각각은,
    상호 마주 보도록 배치된 다공체들;
    상기 다공체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다공체들 중 어느 하나에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동되는 구동체; 및
    상기 다공체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따라 오폐수를 여과하거나 역세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섬유 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들은 상호 직렬 배치된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의 섬유는 상기 제1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의 섬유보다 얇은 굵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들은 상호 직렬 배치된 제1 및 제2 여과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은 상기 제1 여과 유닛에 포함된 섬유 여과 다발보다 큰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부유 고형물의 농도가 순차적으로 낮아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들은 중공의 루프 구조를 갖는 제1 여과 유닛; 및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여과 유닛으로부터 1차 여과된 오폐수를 2차 여과하는 제2 여과 유닛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들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오폐수에 대한 유로를 개폐하는 연결 라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PCT/KR2013/003611 2013-03-06 2013-04-26 수처리 장치 WO201413702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203 2013-03-06
KR20130024203A KR101305567B1 (ko) 2013-03-06 2013-03-06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026A1 true WO2014137026A1 (ko) 2014-09-12

Family

ID=4945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3611 WO2014137026A1 (ko) 2013-03-06 2013-04-26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5567B1 (ko)
WO (1) WO201413702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9377B2 (ja) * 1988-12-08 1998-09-17 オルガノ株式会社 長繊維束を用いた2段式濾過方法および濾過塔
KR20010035528A (ko) * 2001-02-27 2001-05-07 강영배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KR100389795B1 (ko) * 2002-11-26 2003-07-02 주식회사 나노엔텍 공극 제어형 정밀 여과장치
KR100425049B1 (ko) * 2003-08-30 2004-03-31 (주)성신엔지니어링 공극 제어형 심층여과기
KR20090111188A (ko) * 2008-04-21 2009-10-26 엔비넷 주식회사 일체형 방류수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류수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9377B2 (ja) * 1988-12-08 1998-09-17 オルガノ株式会社 長繊維束を用いた2段式濾過方法および濾過塔
KR20010035528A (ko) * 2001-02-27 2001-05-07 강영배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KR100389795B1 (ko) * 2002-11-26 2003-07-02 주식회사 나노엔텍 공극 제어형 정밀 여과장치
KR100425049B1 (ko) * 2003-08-30 2004-03-31 (주)성신엔지니어링 공극 제어형 심층여과기
KR20090111188A (ko) * 2008-04-21 2009-10-26 엔비넷 주식회사 일체형 방류수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류수의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567B1 (ko) 201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2327C (en) Filtration appliance for sewage treatment using ceramic-based membrane
US20100133196A1 (en) Combined gravity separation-filtration for conducting treatment processes in solid-liquid systems
CA217326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polluted water
WO2011126175A1 (ko) 상향류식 여과장치
WO2015030381A1 (en) Partition-type floatation apparatus using fine bubbles
WO2012133957A1 (ko) 용존공기 부상형 전처리장치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CN101952015B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CN202881015U (zh) 工业废水处理设备
WO2014137026A1 (ko) 수처리 장치
WO2017200221A1 (ko)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WO2014051263A1 (ko) 적층형 디스크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기
WO2016140537A1 (ko)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CN209352725U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装置
CN210030264U (zh) 集成式污水处理装置
KR20120005804A (ko) 분리막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WO20100744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KR20080082852A (ko) 오폐수 처리용 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WO2023182600A1 (ko) 응집제로 코팅된 마이크로 파이버 여재를 사용하는 물리·화학적 수처리 공법
KR100356365B1 (ko) 광산 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CN115991540B (zh) 一种自养反硝化脱氮污水处理设备
WO2010101316A1 (ko) 메디아가 내장된 수평류형 침전 시스템
WO2003053866A1 (fr) Systeme de clarification de l'eau
KR20030021022A (ko)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6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PURSUANT TO RULE 112(1) EPC ( EPO FORM 1205A DATED 04-01-2016 )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6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