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5011A1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5011A1
WO2014035011A1 PCT/KR2012/010784 KR2012010784W WO2014035011A1 WO 2014035011 A1 WO2014035011 A1 WO 2014035011A1 KR 2012010784 W KR2012010784 W KR 2012010784W WO 2014035011 A1 WO2014035011 A1 WO 20140350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obile terminal
health car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7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룡
정태충
차정훈
카탁아사드마수드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40350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50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health care service.
  • health care services require information such as user's usual lifestyle and behavior, and the food and diet they normally consume.
  • the user's activity information may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identifying the user's health status and preventing disease.
  • Directly recording and delivering the contents of the user is not only reliable but also does not apply to the health care service as an operation, and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activity and the process of applying the health care system.
  •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better medical service and health care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ctivity, nutrients, diet, social interaction and personal profile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and integrated It is to provide a health care device and method used.
  • Health care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i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receiving user-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s mobile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user personal information, provides stored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request, received changes Knowledge storage for improving stored data upon request, inference unit for requesting information in knowledge storage, generating inferenc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to users based on stored data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knowledge storage, and receiving user-related information
  • the semantic information generated by processing the change management unit and the received user-related information at the semantic level by generating a change request for improving the data of the knowledg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passing it to the knowledge storage unit.
  • To the knowledge store and manages the data in the knowledge store at the semantic level It includes an information processor.
  •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user's treatment schedule, nutrition and dietary expertise information, user activity informa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 the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a short message service or a social network service.
  •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ocesses data having different formats and expressions received from different health care applications or health care systems at a semantic level, so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differs from information an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unit. If there is a difference or new data, it is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 the user collects the activity information, the nutrient information, the dietary information and the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manages the health.
  • the service it is possible to receive a health care service optimized for the individual user.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interaction of the health care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health care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of a health care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interaction of the health care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care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may provide health care services to the user.
  •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tivities in daily life and the user's social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delivered to the health care device.
  • the healthcare device may deliver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including recommended diet, nutrients, and social connections personalized to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Users can manage their health through information about personalized referral diets, referral nutrients and social connections delivered to mobile devices.
  • Social interaction 110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two or more people or groups influence each other.
  • the user may be mentally or physically affected by the social interaction 110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various people. For example, confrontation with people in conflicting relationships can have a negative impact physically and mentally.
  • the social interaction 110 may affect the psychological state or condition of the user, and may be one of factors that may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and predicting the user's state in the health care device.
  • the social interaction 110 may be collected using a user's SMS message or a social network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NS).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social interaction 110 of the user may be grasped through contents exchanged or received through text messages, tweeters, or Facebook of the user.
  • SNS social network service
  • the exercise and activity information 130 includes the type of exercise performed by the user, the amount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exercise, and the activ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intensity, and time of the exercise.
  • information such as a moving speed and a moving distance may be included.
  • the health care device receives the information by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end time of the walk, a walking distance, and intensity into the mobile terminal.
  • the exercise and activity information 130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or collected using a sensor such as a GPS or a gyro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 the healthcare device collects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110, diet and nutrient information 120, and exercise and activity information 130 through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collects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110, Based on the diet and nutrient information 120 and the exercise and activity information 130, a personalized diet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or the user's status may be transmitted. Since the health care device collects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health care device collects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delivers the result, thereby providing an efficient health care service. have.
  • the health care apparatus 200 using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 knowledge storage unit 220, an inference unit 230, a change management unit 240,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 250).
  •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collects user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diet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exercise and activity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400.
  •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may include user's personal information, user's treatment schedule, nutrition and dietary expertise information, user activity information, and user's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stores the change performance data received from the change manager 240 and the semantic corresponding data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or 250. In addition,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provides the stored data at the request of the inference unit 230.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may modify and improve the st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request received from the change manager 240.
  • the information of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may be formed using an ontology technique. Through this,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may manage the stored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 the stored information or data of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may be updated and evolved through received new activity information, information on ingested nutrients, and expert knowledge information.
  • Information or data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is semanticly connected for subsequence processing using the inference unit 230.
  • the model for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ontology configuration of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is shown in Table 1.
  • the inference unit 230 infers new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and generates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r recommend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diet and nutrient information, exercise and activity information, and personal pro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the current health status of the user is determined and the health state change is inferred. In addition,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or recommendations can be delivered to users according to the inferred results, thereby providing services that can effectively manage health. For example, when a user delivers information about food or nutrients inges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400, the receiv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or 210. The inference unit 230 infers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food information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and recommends a suitable diet or exercise.
  • the algorithm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r recommendation to the user in the inference unit 230 is shown in Table 2 below.
  • the format and presentation method may be different.
  • the form and expression when recognized by a computer, if the form and expression are different, they can be judged as different contents. For example, in expressing symptoms for a particular disease, a person's expression method may be different. However, if all of these cases are perceived differently, proper health care services cannot be provided.
  •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50 understands information or data received by different applications or third parties using semantic technology,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teroperation is the same a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Determine what your cognition, differences or changes are. Then, the semantic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user-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knowledge storage unit 220.
  • Change Management Unit 240 Algorithm The algorithm includes multiple submodules that are responsible for other subtasks, such as DAR or rule-based recovery. Multiple submodules are called from the main algorithm.
  • Input An input request (change or audit or recovery) is a dynamic activity ontology from the user or system agent.
  • ChangeRequest ⁇ reform ChangeRequest , O )8. / * Requested change enforcement, change propagation, and log of changes implemented * / 9.
  • propogate ChoangeRequest, RuleBase
  • logChangeRequest ChoangeRequest, ChangeLog
  • recovery.execute ChangeRequest 15. / * If the request is a check, we call the check module * / 16. audit.execute ( ChangeRequest ) 17.End
  • the health care device 200 using the mobile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ynamic, intelligent, and context-aware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can generate personalized and optimized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s). have.
  •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storage and operational limitations and can achieve maximum health care effectiveness with minimal expense.
  • Use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by a mobile terminal is received (301).
  • User-related information includes user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diet and intake nutrient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 User-relat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 user through a mobile terminal.
  • the user may directly input information on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on ingested food, activity information, and the like.
  • the type and amount of food ingested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type, intensity and time of the exercise tak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may be directly input.
  • Stored knowledge information includes user's personal details or body rela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dietary information, nutrient intake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medical record information and expert opinion.
  • the medical recor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current or past surgery or treatment
  • the expert opinion may include a diagnosis result or observation finding of an expert such as a doctor about the user.
  • the changed information is updated based on the user 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ew information is added and stored.
  •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body information can be updated. In addition, you can receive the opinion or treatment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expert.
  •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for the user is inferred based on the improved knowledge information.
  • Infer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user by combining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user's physical condition, medical history, expert opinions, and food, nutrients,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s that the user currently consumes. For example, when the user ingests food, as a result of inferring based on the stored knowledge information, the user may generate a recommendation including stopping the intake when the food is harmful to the disease possessed by the user. Alternatively, when the user is currently exercising, a recommendation including personalized exercise amount may be generated by inferring an appropriate exercise amount based on the stored knowledge information.
  • the generated recommendation is then passed to the user (304).
  • the generated recommendations ar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ingests food, when the user receives a warning that the food is not appropriate for the user,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health care service by stopping the consumption of the food.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the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feren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health care service can be provided at all tim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수신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수신된 변경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개선하는 지식 저장부, 지식 저장부에 정보를 요청하고, 지식 저장부로부터 수신된 저장된 데이터 및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고안을 생성하는 추론부,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변경 정보에 따라 지식 저장부의 데이터를 개선하기 위한 변경 요청을 생성하여 지식 저장부에 전달하는 변경 관리부 및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시멘틱 레벨(Semantic Level)에서 처리하여 생성된 시멘틱 정보를 지식 저장부에 전달하고, 지식 저장부의 데이터를 시멘틱 레벨에서 관리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건강관리 서비스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몸에 문제가 생기거나 질병이 발생하면 병원을 방문하던 종래의 인식과 달리, 평소에도 꾸준히 건강을 지키고 질병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가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요구에 따라 건강관리 서비스(Healthcare Service)가 발전하고 있다. 사람들은 보다 나은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기를 희망하며, 특히 최소의 비용을 지불하면서도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
일반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는 환자의 혈압, 맥박 및 당뇨검사와 같은 의료용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직접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들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측정한 데이터만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뿐 사용자의 생활 습관과 행동 그리고 섭취하는 음식이나 식단 등의 정보를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가 보다 나은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평소 생활 습관과 행동 그리고 평소 섭취하는 음식과 식단 등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질병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항시 수집 및 확인하고 건강관리 시스템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사용자가 해당 내용을 직접 기록하여 전달하는 것은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실시작으로 건강관리 서비스에 적용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활동과 건강관리 시스템에 적용하는 과정 사이에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활동, 섭취하는 영양소, 식이요법, 사회적 상호작용 및 개인 프로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더 나은 의료 서비스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수신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수신된 변경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개선하는 지식 저장부, 지식 저장부에 정보를 요청하고, 지식 저장부로부터 수신된 저장된 데이터 및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고안을 생성하는 추론부,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변경 정보에 따라 지식 저장부의 데이터를 개선하기 위한 변경 요청을 생성하여 지식 저장부에 전달하는 변경 관리부 및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시멘틱 레벨(Semantic Level)에서 처리하여 생성된 시멘틱 정보를 지식 저장부에 전달하고, 지식 저장부의 데이터를 시멘틱 레벨에서 관리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사용자의 치료 일정, 영양 및 식이요법에 관한 전문 지식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서 수집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다른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건강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형식과 표현 방식을 가지는 데이터를 시멘틱 레벨(Semantic Level)에서 처리하여 기존에 지식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차이점이 있거나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지식 저장부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활동 정보, 섭취하는 영양소 정보, 식이요법 정보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건강관리 서비스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에 최적화 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 및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에는 명시된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는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110), 식이요법(Diet) 및 영양소(Nutrition) 정보(120) 및 운동 및 활동 정보(130)의 세가지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사용자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사회적 정보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집되어, 건강관리 장치로 전달된다. 건강관리 장치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 된 추천 식이요법, 추천 영양소 및 사회적 연결을 포함하는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 전달된 개인화 된 추천 식이요법, 추천 영양소 및 사회적 연결에 대한 정보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110)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 또는 집단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를 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110)에 정신적 또는 신체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립하는 관계에 있는 사람들과의 대립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110)은 사용자의 심리 상태나 컨디션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건강관리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예측하는데 고려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110)는 사용자의 SMS 메시지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 칭함)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문자 메시지, 트워터(Tweeter) 또는 페이스북(Facebook) 등을 통해 주고받은 내용이나 관심을 가지는 내용을 통해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110)을 파악할 수 있다.
식이요법 및 영양소 정보(120)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및 약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현재 실시하고 있는 식이요법이나 식단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및 약물에 포함된 영양소는 사용자의 신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사용자의 식이요법 또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및 섭취하는 음식에 따라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건강관리 장치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예측하는데 고려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섭취하는 음식물의 종류와 양 그리고 섭취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에 입력함으로써, 건강관리 장치는 해당 정보를 전달 받는다.
운동 및 활동 정보(130)는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의 종류와 그에 따른 운동량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활동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 운동의 종류와 강도 및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속도와 이동 거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산책을 하는 경우, 산책을 시작하는 시간과 종료 시간, 산책 거리 및 강도 등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에 입력함으로써, 건강관리 장치는 해당 정보를 전달 받는다. 운동 및 활동 정보(13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GPS나 자이로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건강관리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110), 식이요법 및 영양소 정보(120) 및 운동 및 활동 정보(130)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110), 식이요법 및 영양소 정보(120) 및 운동 및 활동 정보(13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 된 식이요법을 추천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건강관리 장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 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결과를 전달함으로써, 효율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200)는 정보 수집부(210), 지식 저장부(220), 추론부(230), 변경 관리부(240) 및 정보 처리부(25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210)는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 식이요법 및 영양소 정보 및 운동 및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모바일 단말(400)을 이용하여 수집한다.
지식 저장부(22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사용자의 치료 스케줄, 영양 및 식이요법에 관한 전문 지식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를 포함한다.
지식 저장부(220)는 변경 관리부(240)로부터 수신된 변경 수행 데이터와 정보 처리부(250)로부터 수신된 시멘틱 대응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지식 저장부(220)는 추론부(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지식 저장부(220)는 변경 관리부(240)로부터 수신된 변경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수정 및 개선할 수 있다.
지식 저장부(220)의 정보는 온톨로지(Ontology)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식 저장부(220)는 저장된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지식 저장부(220)의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는 수신된 새로운 활동 정보, 섭취한 영양소에 대한 정보 및 전문가 지식 정보 등을 통해 갱신되고, 진화될 수 있다.
지식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는 추론부(230)를 이용한 서브 시퀀트(Subsequent) 처리를 위해 시멘틱(Semantic)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식 저장부(220)의 온톨로지 구성의 계층 구조를 위한 모델은 표 1과 같다.
표 1 지식 저장부(220)의 온톨로지 구성의 계층 구조를 위한 모델
O ≡ ∃Activity.(DetectedActivity ?? SocialInteraction) ?? Activity.relatesTo =∃Nutrition ?? ∀Activity.hasPerformer =1Actor.has(Preferences ?? SocialInteractions) ?? ∃Activity.has(Activity ?? Effects ?? Actions ?? Location ?? Duration ?? Condition)
추론부(230)는 지식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론하고,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고 또는 추천을 생성한다. 지식 저장부(220)에 저장된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 식이요법 및 영양소 정보, 운동 및 활동 정보 및 개인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 상태 변경을 추론한다. 그리고 추론한 결과에 따라 개인화된 추천 또는 권고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효과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섭취한 음식 또는 영양소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면, 수신된 정보는 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지식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추론부(230)는 지식 저장부(220)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와 수신된 음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추론하고, 적합한 식이요법 또는 운동을 추천하게 된다.
추론부(230)에서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또는 권고안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추론부(230)에서 개인화된 추천안(권고안)을 생성하는 알고리즘
Algorithm RecommendationService(Process Patient's Activities): 이 알고리즘은 활동의 대응 한계값(Threshold)을 ψ = 0.70로 재정의 함.입력: 역동적 활동 온톨로지 O는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한다. 새로 감지된 활동 A를 예로 들면, (AO) 조건을 만족한다. 결정을 생성하기 위한 규칙 R을 결정.출력: 영양소 섭취, 사회적 상호작용 및 행동 추천안. 1. /* 모바일 단말로부터 감지된 활동을 수신 */2. getActivity(A)3. /* 온톨로지를 파싱, 시멘틱 친화도 계산 */4. O ← parse(O)5. O sub ← semanticAffinity(A, O, ψ)6. /* R을 유지하면서 규칙 베이스로부터 규칙을 읽음 */7. R[]← readRules(Rulesbase)8. /* Start recommendation process using forward chaining */9. foreach R DR[] do10. /* 권고안 생성을 위한 처리 */11. If R D : A ?? ∃ O sub.Activity ?? ∃ O sub.Action then12. /* 권고안 저장 */13. RecomArr[] ← {x ?? < R D, x > Action}14. else 15. /* 상위 단계 활동(higher level activity)을 위한 처리 */16. HA[]O ?? {x ?? < A, x > hasAssociation}17. EndIf18. EndLoop19. /* 권고안을 실행하고 상위 행동을 저장 */20. execute(RecomArr[ψ])21. O / O + HA[ψ] 22. End
정보 처리부(250)는 시멘틱 레벨(Semantic Level)의 데이터를 정보 처리 상호 운용(Interoperability)한다. 정보 처리부(250)는 자식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에 대조적인 서드파티(Third-Party) 시스템 사이의 인커밍(Incomming) 이주 정보를 위한 시멘틱 친화성(Affinity)을 계산한다. 서드 파티는 다른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서로 다른 응용 프르그램이나 서드파이로부터 수신된 정보나 데이터의 경우 서로 형식과 표현 방법이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인식하는 경우 형식과 표현이 다르면 사람과 달리 서로 다른 내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질병에 대한 증상을 기입함에 있어서 사람마다 기입하는 표현 방법이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를 전부 다르게 인식한다면 재대로 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정보 처리부(250)는 서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드파티에 의해 수신된 정보나 데이터를 시멘틱 기술을 이용하여 이해하고 정보 처리 상호운용을 통해 수신된 정보가 지식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인지, 차이점 또는 변경점이 무엇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시멘틱 정보를 생성하여 지식 저장부(22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4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 활동 정보 및 섭취한 음식 정보 등을 수집한다. 이 때,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부(250)는 이러한 다양한 서드 파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상호 운용이 가능하도록 시멘틱 레벨에서 처리한다.
변경 관리부(240)는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분쟁을 해결하며 변경 내용을 전파한다. 변경 정보는 사용자의 일상적인 생활 패턴이나 환경 변화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의사나 간호사 및 간병인 등의 전문 인력으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의학 정보나 사용자에 대한 권고안을 포함할 수 있다. 변경 관리부(240)는 수신된 변경 요청에 포함된 영양 및 식이요법 정보를 포함하는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 전문가 수정사항 및 수집된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경을 통해 지식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변경 관리부(240)는 사용자의 일상 적인 생활 패턴이나 환경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 이러한 정보를 지식 저장부(220)에 반영한다. 이를 통해 변경 관리부(240)는 본 발명의 역동성을 가능하게 한다. 변경 관리부(240)는 수신된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지식 저장부(220)에 변경 요청을 전달한다. 그리고 변경된 내용을 독립된 구성요소에 전파시키는 역할을 한다. 변경 관리부(240)의 작동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표 3 변경 관리부(240)의 작동 알고리즘
변경 관리부(240) 알고리즘(Request): 이 알고리즘은 DAR 또는 규칙 기반 회복(recovery)과 같은 다른 서브 작업을 책임지는 다중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다중 서브 모듈은 메인 알고리즘으로부터 호출된다.입력: 입력 요청(변경 또는 감사 또는 회복)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 기능체(System Agent)로부터 역동적 활동 온톨로지 O를 요청한다.출력: 요청의 실행. 1. /* 만약 입력된 요청이 변경요청 이라면 다음 단계를 수행 */2. If Request = ChangeRequest then3. /*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을 정규화시켜 표현 */4. ChangeRequest ←getChangeRequest(Request)5. ChangeRequestChangeRequest .formulate(ChangeRequest,O)6. /* 변경 요청에 따른 구문론(syntactic) 및 시멘틱(Semantic) 충돌 */7. ChangeRequest ← reform(ChangeRequest ,O)8. /* 요청된 변경 시행, 변경 전파 및 시행된 변경 기록(log) */ 9. O ← implement(ChangeRequest) 10. propogate(ChangeRequest, RuleBase) 11. logChangeRequest(ChangeRequest, ChangeLog)12. EndIf13. /* 만약 요청이 회복이라면, 회복 모듈을 호출 */14. recovery.execute(ChangeRequest)15. /* 만약 요청이 검사라면, 검사 모듈을 호출 */16. audit.execute(ChangeRequest) 17. End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200)는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역동적, 지능적 및 상황 인식(Context-aware)이고, 개인화 및 최적화된 추천안(권고안)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과 연산 한계를 극복하고 최소의 지출로 최대의 건강관리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단말이 수집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301).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 식이요법 및 섭취 영양소 정보 및 활동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 및 활동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그 양을 직접 모바일 단말에 입력하거나, 운동 전후로 취한 운동의 종류, 강도 및 시간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도움을 받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에 바코드 또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하여 섭취하는 제품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 거리나 시간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시간과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활동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지식정보를 갱신 및 개선한다(302). 저장된 지식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신상 명세 정보나 신체 관련 정보, 이전에 저장된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 식이요법 정보, 영양소 섭취 정보, 활동 정보, 의료 기록 정보 및 전문가 의견 등을 포함한다. 의료 기록 정보는 현재나 과거의 수술이나 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전문가 의견은 사용자에 대한 의사와 같은 전문가의 진단 결과나 관찰 소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정보를 갱신하고,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한다. 사용자 개인 신상 정보나 신체 정보 등을 갱신 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소견이나 치료 정보 등을 수신 받을 수 있다.
갱신 및 개선된 지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고안을 생성한다(303).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의해 저장된 지식정보를 갱신하고 개선한 뒤, 개선된 지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권고안을 추론한다. 현재 사용자의 신체 상태, 의료 기록, 전문가 소견 등의 정보와 현재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이나 영양소, 활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등을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개인화된 권고안을 추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저장된 지식정보에 기초하여 추론한 결과, 사용자가 보유한 질병에 해가 되는 음식물일 경우 섭취를 중지할 것을 포함하는 권고안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을 하는 경우, 저장된 지식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운동량을 추론하여 개인화된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고안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성된 권고안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304). 추론한 결과에 따라 생성된 권고안을 모바일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해당 음식물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경고 내용을 수신하면, 사용자는 해당 음식물의 섭취를 중지함으로써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추론 결과에 따른 권고안을 바로 수신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항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된 지식 정보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수신된 변경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개선하는 지식 저장부;
    상기 지식 저장부에 상기 지식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지식 저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및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고안을 생성하는 추론부;
    수신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변경 정보에 따라 상기 지식 저장부의 데이터를 개선하기 위한 변경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지식 저장부에 전달하는 변경 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시멘틱 레벨(Semantic Level)에서 처리하여 생성된 시멘틱 정보를 상기 지식 저장부에 전달하고, 상기 지식 저장부의 데이터를 시멘틱 레벨에서 관리하는 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저장부는,
    온톨로지(Ontology)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일상적인 생활 패턴의 변화, 환경의 변화, 전문 인력으로부터 직접 입력된 의학 정보의 변경 사항 및 권고안의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다른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건강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형식과 표현 방식을 가지는 데이터를 시멘틱 레벨(Semantic Level)에서 처리하여 기존에 상기 지식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차이점이 있거나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상기 지식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사용자의 치료 일정, 영양 및 식이요법에 관한 전문 지식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제품의 바코드 및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통해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상기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지식정보를 개선하는 단계;
    상기 개선된 지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권고안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개인화된 권고안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정보는,
    온톨로지(Ontology) 기술을 이용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사용자의 치료 일정, 영양 및 식이요법에 관한 전문 지식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및 사회적 상호작용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제품의 바코드 및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통해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상기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PCT/KR2012/010784 2012-09-03 2012-12-12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40350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347A KR20140032039A (ko) 2012-09-03 2012-09-03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12-0097347 2012-09-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011A1 true WO2014035011A1 (ko) 2014-03-06

Family

ID=5018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784 WO2014035011A1 (ko) 2012-09-03 2012-12-12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32039A (ko)
WO (1) WO20140350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328A1 (ko) * 2016-01-29 2017-08-03 주식회사 아이센스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사 시간 정보의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03B1 (ko) 2017-03-13 2020-07-29 주식회사 호텔신라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00A (ko) * 2003-07-18 2005-01-25 최지훈 모바일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21513A (ko) * 2006-08-29 2008-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이 요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3177A (ko) * 2009-10-21 2011-04-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화 서비스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KR101098499B1 (ko) * 2006-05-08 2011-12-26 노키아 코포레이션 향상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20076291A (ko) * 2010-11-22 2012-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 장애 및 건강 분류 정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00A (ko) * 2003-07-18 2005-01-25 최지훈 모바일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8499B1 (ko) * 2006-05-08 2011-12-26 노키아 코포레이션 향상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80021513A (ko) * 2006-08-29 2008-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이 요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3177A (ko) * 2009-10-21 2011-04-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화 서비스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KR20120076291A (ko) * 2010-11-22 2012-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 장애 및 건강 분류 정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328A1 (ko) * 2016-01-29 2017-08-03 주식회사 아이센스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사 시간 정보의 제공 방법
CN108496225A (zh) * 2016-01-29 2018-09-04 株式会社I-Sens 用于妊娠性糖尿病患者的提供用餐时间信息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039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ilip et al. Internet of Things for in-home health monitoring systems: Current advance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Kadhim et al. An overview of patient’s health status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Mohammed et al. Real-time remote-health monitoring systems: a review on patients prioritisation for multiple-chronic diseases, taxonomy analysis, concerns and solution procedure
Ko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healthcare
Papi et al. A knee monitoring device and the preferences of patients living with osteoarthritis: a qualitative study
Paschou et al. Health Internet of Things: Metrics and methods for efficient data transfer
Princi et al. Out of control–privacy calculus and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moral considerations on the usage of IoT healthcare devices
Sahu et al. NextGen public health surveilla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CN104917816A (zh) 基于智能设备的医疗导航系统
Othieno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antimicrobial resistance behavior change communication
US20160157789A1 (en) Diagnostic efficiency
Trajkovik et al. General assisted living system architecture model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Triantafyllidis et al. Framework of sensor‐based monitoring for pervasive patient care
Kaul et al. Implementation of the B edside P aediatric E arly W arning S ystem (Bedside PEWS) for nurse identification of deteriorating patients
Vigil et al. How nurse gender influences patient priority assignments in US emergency departments
Chaari Fourati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s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systems
EP3016061A1 (en) Discovery of incentive effectiveness
Nakazawa et al. Solitary death and new lifestyles during and after COVID-19: Wearable devices and public health ethics
WO2019013453A1 (ko) 사물인터넷 기반 대화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4035011A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Jersa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obile health care
McDaniel et al. Parents’ desire to change phone use: Associations with objective smartphone use and feelings about problematic use and distraction
Orr et al. The comfort of adolescent patients and their parents with mobile sensing and digital phenotyping
Doganyigit et al. Mobile health applications user trends in Tur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39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39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