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0986A4 - 핸드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핸드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0986A4
WO2014030986A4 PCT/KR2013/007692 KR2013007692W WO2014030986A4 WO 2014030986 A4 WO2014030986 A4 WO 2014030986A4 KR 2013007692 W KR2013007692 W KR 2013007692W WO 2014030986 A4 WO2014030986 A4 WO 2014030986A4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creen
battery
operating system
button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76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4030986A1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Lee Young Jae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904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2383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9965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3362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277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0181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013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8968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263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9978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2420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0431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059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1569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314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1925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399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1832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5158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225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5608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558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6501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4306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0001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29220A/ko
Application filed by Lee Young Jae filed Critical Lee Young Jae
Publication of WO20140309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0986A1/ko
Publication of WO2014030986A4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0986A4/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system such as a mobile phone gesture such as a mobile phone that inputs a code such as a V or the like so as not to be erroneously pressed while being pressed on a button in a holding screen.
  • a mobile phone system such as a mobile phone gesture such as a mobile phone that inputs a code such as a V or the like so as not to be erroneously pressed while being pressed on a button in a holding screen.
  • keypad 10-2010-0045488 Speed up the input by using keypad pressure, area, etc.
  • a multi-operating system computer having a plurality of memories (ROM) (Application No. 1997-007506), a computer system for immediately changing to a desired operating system program,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loading a second operating system load 10-2000-0077486, registration number 10-0626361), selectively connecting power to multiple hard drives for two or more operating systems in a computer (application number KR 10-2001-0034415, registration number 10-0464547), removable from a computer (Patent Application No.
  • KR 10-2005-0051615 a patent for a dual operating system of a mobile computer including a point pen, and an operating system identification device for loading one operating system from two or more operating systems Japanese Patent JP 06-187133 A), a technology for simulating a cellular phone operating system in a computer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No. KR 10-2004-0021404), a bios And portable devices that facilitate booting the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number KR 10-2006-0059527).
  • an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which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is displayed in a sliding form from the bottom.
  • the folded folder format of the mobile phone screen is designed to unfold.
  • a method of attaching an auxiliary information indicator to a mobile phone is also devised and in use.
  • the technique of replacing a mobile phone with a sensor on the lid without a termination related to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requires that the internal battery be used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under a certain voltage when the emergency power supply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ortable device are applied.
  • a system has been devised that allows the power to be turned on even when the battery is replaced.
  • a touch pad type keyboard having different sensor intervals and related technology has already been invented to use a touch pad and a keyboard as a single plate and to use the touch pad without a button. (Application No. 10-2006-0009030), and a technique of using a smart TV remote control as a touch pad has already been invented.
  • Smart glass related technologies include wearable computers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such as glasses in the form of smart glasses.
  • Techniques related to text video communication include character video communication in mobile phones and computers, and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 the video screen is too big to use.
  • each code must be stored in a method of executing a program by inputting a code or a gesture on the holding screen.
  • the LCD is getting big by using a pad, a tab or a large screen. Therefore, it is often useful to use the second operating system.
  • the operating system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must be continuously operated, making it difficult to use the second operating system.
  • the mobile phone operating system should be operated stably even if it is operated simultaneously.
  • Windows is easy to use and compatible, so if you have Windows on your phone, you can use your computer with your mobile phone at the same time.
  • the sensor interval is narrow like a touch pad in many c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rice, which is inefficient.
  • the screen When inputting the designated sign on the button on the holding screen, the screen does not move unnecessarily without having to memorize separately.
  • the keypad it is easy to memorize by touching or laying down a finger and marking it with a sign, but the input is easy with one touch.
  •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mobile devices such as display unit, cpu, ram, motherboard, etc. necessary for computer,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operated with two It is possible to equip two or more CPUs, two or more cpu, two or more storage spaces, bootable and simultaneous operation, and to be displayed by a selection unit on one screen.
  • the select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election unit that switches the screen when pressed shortly and is booted when pressed long.
  • the built-in small battery keeps the operating system and can be rebooted.
  • An extended support may be provided for viewing the display from a distance. It can also be done as a convex lens and viewed from afar.
  • the real-time moving image can be repeatedly displayed in connection with the screen name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communicates through character input while viewing a real-time moving picture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n which a camera is running and a display unit exists.
  • each of the parts of the operating system is booted so that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phone continues to operate, so that only the first operating system can turn off the screen. It can be received when the phone is received, and it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creen can be switched quickly.
  • the use of the second operating system for each component makes it unlikely that the system will fail without storing the work even if a call is broken or a call is made. If the phone is not stable, you often miss important things, which is very beneficial because you can use the second operating system while your phone is stable.
  • cpu ram for mobile phone is not so high compared with computer and it is economical because it is low power. You can use a high-end system instead of a computer by connecting your phone to your monitor. At this time,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as a keyboard by using the program. lcd, camera, battery, housing and so on.
  • Two or more operating systems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only the screen can be used to selectively display the screen of an operating system. There is no collision between systems.
  • the screen enlargement is advantageous because it can be used with one hand and can be used quickly.
  • auxiliary screen In case of this mobile phone auxiliary screen, it is possible to use the auxiliary screen without battery, and it is convenient to use like a notebook when needed. You can also use it as a convenient size when you use your mobile phone. There is no need to alternate between notebooks and cell phones. Also, if you use the groove to fix it, you do not need a separate line and you do not need a secondary battery. If a sub-screen is provided inside the sub-screen by giving a groove, the interval between the sub-screen and the liquid crystal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can become closer.
  • the extended support it is possible to keep the focus in an appropriate state, and the camera can also facilitate the video call, and the antenna can be installed in this part.
  • gesture in foreign countries has a lot of influence on communication,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gesture,
  • Mobile phones with wheels are easy to find. Even if it is silent, it can be moved easily by calling a cell phone. It can move to the wireless charging place, and it is possible to charge automatically.
  •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 when a video camera is recorded while a video is being recorded the user can simultaneously view the video while simultaneously viewing the video when necessary.
  • CCTV is also available when you need pictures of a few large pixels to paraphrase a person.
  • FIG. 3 Keypad character input example
  • FIG. 4 Touch area example
  • 311-Holding Screen Algorithm 311-Holding Screen Code of V, etc., set on the button 312-Device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V code 313- Executing the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screen button 310-Holding Screen Algorithm Termination
  • buttons are held on the holding screen and a predetermined symbol such as V is drawn on the button, the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utton can be executed.
  • It has a selection part and can tell which operating system to display.
  • One of the operating systems can use a cell phone operating system capable of calling.
  • the screen When the screen is enlarged, it is enlarged, not the screen movement, in the vicinity of 45 degrees. It can be reduc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monitor of the mobile phone In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use the monitor of the mobile phone with the keyboard type by using the auxiliary screen and putting it on the battery charging terminal.
  • a sensor When replacing a battery, a sensor is placed on the lid and a small battery is placed on the lid. The lid recognizes it and can replace the battery with a small battery so that the battery can be replaced without rebooting.
  • the sensor interval may be wider than the touch pad, and the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de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ensor and the sensor.
  • the supporting part connected to the display part may be an antenna type so that the length can be extended.
  • a moving picture can be displayed repeatedly by placing a moving picture near the nickname portion in front of the character.
  • smartphones are using holding screens with a holding function that does not cause malfunction of the screen commands due to collision of hands.
  • buttons there is one or more buttons on the holding screen, a zone exist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shape, and a predetermined code in each button zone is input in the holding screen, A portable device having a screen is possible.
  • the sign may be a circle, a triangle, a check, or the like. You can include a description of the sign. For example, "draw v on the button.” Etc. can be put on the screen.
  • the sign When the sign is drawn by hand, the sig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latest number can be realized with the widget app. It is possible without input of sign.
  • Full touch and half touch can be applied to the touch of the keypa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hape or area pressed by the sensor or the program. It can be made available only when using a specific program. When a sensor has a vertical sensor and a horizontal sensor, the signal is recognized at this orthogonal point. The number of the orthogonal points and the positional area can be processed and used.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e area separately or to recognize the shape separately and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separately. It can be different for each program. In the keypad, it is convenient to recognize the diameter, area, or shape of the circle as in the previous example, in addition to the center position, as in the keypad.
  • Pressing with a half-touch means pressing the left side with a full-touch, which means the right side.
  • the size of the circle can be drawn differently on the keypad and stored.
  • the right-handed upper oval can be made to mean the right character to the upper left, and the oval ellipse to the left character. If you touch the right thumb naturally, you will make a right oval ellipse on the upper right side. It can be intuitively used to mean the right character. It is advantageous when using both hands.
  •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0.7 mm or more may be 0.01 mm or more and less than 0.7 mm.
  • the boundary of the slanted shape can be similarly set. It can also be set based on the minimum diameter of the circle. When the minimum diameter is 0.5 mm or more, it can be recognized as a large circle.
  • the screen can be enlarged by pushing or touching the screen at an angle.
  • the screen can be enlarged or reduced. If you push it down 45 degrees, you can zoom in by pushing it down 45 degrees.
  • angle is from 30 degrees to 60 degrees.
  • the screen here includes not only mobile phones but also various touchable devices.
  • the position of the releasing part may be placed as a reduced center point, such as when using two fingers, but it does not matter because the difference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ea is expressed more as in the above.
  • the reduction can be reduced to 30 degrees to the left and downward.
  • the angle is set to a certain angle because it can be different from the screen movement. In this case, it is easy to remember and distinguishes from the action of moving the side or the top of the screen. In particular, 45 degrees is advantageous because it is easy to remember.
  • One finger can be set to recognize full touch and half touch. If the front of the first finger of the finger touches, it will be a full touch, and if it touches half, it can be a half touch. It can be used as a recognition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 a circle or in a tangential direction.
  • the angle may be an angle between coordinates when the first touch coordinate is released, and there is a method such that when the touch point is released from the first touch, .
  • the gesture can be set in advance, the length can be used as one piece of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nd the information on the point of taking the gesture is recogniz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a lot of information with one hand while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value.
  • the pushing toward the bottom of the screen can be pushed even with the downward angle. That is, even if it is not vertical, it is possible.
  • the time difference after touching and releasing the hand can be set and limited. If you take a long time to touch the screen after touching, you can only recognize the touch. For example, after 5 seconds after touching, it is possible to make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not to be enlarged to be executed.
  • the initial touch portion can be enlarged or reduced.
  • the touch portion of the second mill can be enlarged or reduced.
  • the start portion can be shortened so as to enlarge quickly. It can be enlarg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ushing direction toward the downward slanting direction. On the contrary, it can be angled upward, and the angles can be erased and the v can be reduced to the inverted shape. You can zoom in on the photo in the direction of pushing, but if you change the angle quickly, you can zoom in before the screen moves.
  • the length can be enlarged or reduced, and the point can be enlarged or reduced.
  • Two operating systems on a mobile phone can be freely executed on a single monitor.
  • Mobile phones, etc. are operated simultaneously and switched to another operating system only by switching screens so that two or more operating systems can be used simultaneously.
  • BIOSes in one housing, two or more CPUs, two or more storage areas, each booting, one operating system running on one or more CPUs, bios and storage, another operating system It can be run with cpu, bios, and storage space and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out collision, so that it can be displayed alternately on one screen by the selection unit.
  • the mobile phone has the necessary functions such as a display unit, a CPU, a RAM, a motherboard, and the like, as well as mobile functions. This can be used to install a second operating system such as a computer operating system. This allows two or more operating systems to run at the same time.
  •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here can be extended to be applied to mobile phones, tabs, tablets, and computers. Therefore, simultaneous operation on all devices is also included.
  • the mobile phone can be divided into a board part and a cpu part, a read part ROM part, a RAM temporary storage part, a permanent storage part, a communication part, a sound part and a camera part.
  • BIOS In ROM, which is a readable area, there is a BIOS.
  • the preprocessing BIOS allows you to choose whether to choose the first or second operating system at startup.
  • the selection unit can be turned on by selecting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t may be possible if the second operating system button is separate or switch type.
  • the bell sound in the first operating system part can be replaced by vibration. This can also be left as an option.
  • the camera part and the sound part can be used by using a separate selection part such as a sound part selection part and a camera part selection part.
  • Two or more systems simultaneously utilize the display.
  • mainboards There can be two mainboards, two of which can be connected to one board, which can be one board.
  • batteries, cameras, speakers, etc. can be shared.
  • each cell phone chip can maintain its cell phone performance.
  •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that not one operating system is selected and operated, but a display can be selected only when the first operating system, which is an operating system enabling a mobile phone, is in use.
  • Cameras, speakers, and monitors can be made accessible by both operating systems.
  • the second operating system other than the operating system that calls the mobile phone is likely to be Windows.
  • This unit can be equipped with a selection unit such as a button or a switch.
  • Pressing a button or a switch will allow the second operating system to operate simultaneously. At this time, the screen can also display the second operating system portion.
  • the first operating system is displayed until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booted up and the startup screen is turned on, so that the time wasted until booting can be reduced. You can use this method to switch the screen by presetting the time for about 5 seconds to boot up.
  • the second operating system can be booted or terminated by pressing and holding a switch-type button or the like in the selection unit.
  • the first operating system can be booted with one button and the second operating system with two buttons.
  •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booting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operating system. Also, if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turned o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cond operating system is turned 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operating system. At this time, the power is checked and this signal can be sent and displayed as a program of the first operating system or the second operating system.
  • a keyboard program, a recording program, a recording program, and a tablet program are examples of the above-mentifacts.
  • a second operating system a program, a recovery CD that can reinstall the driver, and a usb.
  • This program and the operating system's built-in recovery file are also available. Internet connection is also possible.
  • the keyboard program can cause the virtual keyboard to appear on the screen as it does on the cell phone, especially when the keyboard is input. You can make it appear on the screen translucently.
  • a switch-type button can be made to move from a first operating system for a mobile phone to a second operating system screen or from a second operating system screen to a first operating system screen.
  • a cell phone such as a phone call or a character comes in, it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first operating system screen. Vibration detection, sound detection, and the like.
  • Microsoft has released a new version of Windows 8 that runs on low-power, available cpu arm chips for mobile phones.
  • the Lcd panel can display signals of each operating system in each part.
  • the telephone partial panel may have a small screen. This can be troublesome because the pad or tab screen is not so big, but it can be used when there is work at the same time as the telephone. You can also use your phonebook when you need it on a second operating system.
  • Two or more storage spaces may be physically divided and may contain more than one storage space.
  • two or more cpu's can be physically divided into two cpu completely and one type, but they can also be physically divided into two.
  • One storage space can be divided into c and d and used as two or more storage spaces. Each can have two completely separate storage spaces, each of which can be reset, so that when one physical reboot is required, more than one storage space can be used, one rebooted and the other maintained.
  • the cpu is also divided into dual cores or quad core octa cores, which also have two storage areas each, so that when one is physically rebooted, only two completely separate Cpu can also be used.
  • the chip can be completely physically disconnected so that the CPU and storage space can be turned on at the same time, and another CPU and storage space can be kept turned on.
  • ssd can replace hard disk, ssd can be applied as well.
  • the support can be placed on a regular flexible monitor so that it does not b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lexible stand is raised.
  • connection portion may be given a resilient force so as to be slightly fixed.
  • a spring can also be used for fixing.
  • the grooves can be straight or with two fixing parts, but the straight shape is expected to be robust.
  • the pedestal can be used on the back side even if it is connected to the groove, and it can be folded by connecting with the hinge.
  • the connector When connecting with a wire, the connector is located at both ends. In some cases, a pedestal is required.
  • a secondary screen capable of additionally expanding a screen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 a sub-screen of a mobile device that can be used separately from a mobile device, And a sub-screen of the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at the connection site may be provided.
  • the sub screen can be fixed to the mobile device by using a groove that can be fixed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nection part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pedestal, and can be removed immediately when the sub screen is removed from the mobile device.
  • It can also be used in mobile mobile devices. It can also be used on tablets and so on. It can also be used in devices connected to a plug.
  • the pedestal is designed to allow the subscreen to be angled without the anchor. Also, even if there is a connection part, it can be fixed to the rear part of the sub screen by a hinge or the like so as to be supported more securely.
  • the case can be folded like a tripod type antenna to make it easier to take pictures or watch movies. You can place each leg on the four corners of the case.
  • the mobile device When the auxiliary screen is large, the mobile device may be used as a vending machine.
  •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touch pad of the notebook when the sub screen is large when the sub screen is installed. In this case, it is convenient that the auxiliary screen does not need to use touch type. You can also use the mobile device screen as a tablet with a decompression function. You can also change the mode and use it as a keyboard.
  • Flexible display is available on the sub monitor in the cell phone monitor part.
  • the flexible display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groove to be plugged in and out.
  • a very large screen usually a monitor. It can be more than 30cm in width and 20cm in height or mo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onitor of 14 inches or more which is usually used as a monitor. If you attach it to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you can make it look like a monitor. If there is an angle, it becomes more useful like a notebook. Even if the flexible display is used as the sub screen, various methods such as using the mobile phone as the tablet as above can be applied.
  • Flexible displays are expected to be very useful because they are resistant to high strength and warpage when they are not broken by a hammer.
  • a groove may also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so that the side surface can be used as a straight line.
  • the thickness may be 5 mm or less. Or less than 1 mm.
  • a curved groove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upper part of the mobile phone, and a groove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so that the side surface can be used as a straight line.
  • the frame was bent and prevented from collapsing.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straight support.
  • the stiffness of the frame or support must be greater than the force of the force due to the weight due to gravity, in order to prevent buckling (sudden large refraction). You can place the support above the joints, or you can have a rectangular frame. It can also bend if bent.
  • the stiffness or section of the support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load is less than the ultimate load at which buckling occurs.
  • Rotating parts can also be adjusted to adjust the angle so that it can be set to the date when the connection part is removed.
  • It can be programmed to be automatically recognized when connected to a charging terminal or a connecting jack portion of a mobile phone or a camera.
  • Cell phones can act as pedestals and keyboards.
  • connection connector at the connection site.
  • the operating system does not stop, even after the voltage has dropped.
  • the built-in battery is not used for replacing the external battery but is used only for replacement, so that a very small size can be used. I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below a certain voltage, if the battery is changed to the built-in battery, the size of the built-in battery should be more than a certain level. However, if the signal is artificially given, the built-
  • the internal battery capacity may be less than 100mAh. 5 seconds - can be replaced for 20 seconds.
  • the capacity can be determined by giving a spare time of about 1.5 times the maximum time of the average time which is repeated 10 times at the spare speed.
  • the built-in battery capacity can be less than 10mAh. Therefore, the size can usually be less than 1/100 of the replacement battery.
  • the battery replacement time can be up to 1 minute, which is about 2mAh capacity and 1/600 of the battery size. If it can be exchanged 2-3 times, it is possible to be 1/200 size of external battery which is replaceable battery.
  • it since it does not have to be inserted, it can be a shape that is not a square shape, and a space does not have to be separated from a board portion. It may be in a form connected to a board or in a mounted form.
  • the battery When removing the cover, the battery can be connected to the built-in battery. When removing the cover, the battery can be connected to the built-in battery.
  • the cover When the cover is detached from the program setting, it can be automatically set to the internal battery without a message window.
  • the cover connection terminal can be placed inside the cover and cover so that the cover is closed and open. This is especially convenient if you close the cover at the end of the cover and place it in the opening of the opening.
  • the notification window can be a question type or a notification type.
  • the display light may turn off after answering the question type 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the display may be turned off.
  • the sound can also be turned off or muted.
  • the replacement completion signal can be set after the cover is closed or a few seconds after the battery replacement signal. Battery capacity can also be signaled. When the replacement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the battery is replaced with an external battery.
  • the built-in battery can be made invisible even when the battery cover is removed.
  • the program checks the external battery capacity so that when the external battery capacity is increased, the external battery is used again. If the program is programmed, the size of the built-in battery can be further reduced.
  • the minimum size can be up to 1/1000 of the external battery.
  • the port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is portable so that the power is supplied by adding a battery so that the battery can not be re-booted even if the battery is replace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charging voltage compatible by connecting the device to replace the port with the charging terminal.
  • the temporary battery may be the same as the built-in battery, or the charging port may be charged. It is stable because the program is not needed separately.
  • a number or a letter is displayed on the touch pad by printing on a keyboard, a printed film, a transfer, or a nick, and a character or a number can be inputted by touching a specific area.
  • keyboards such as PC keyboards, notebook keyboards and the like. Also available on all devices with buttons.
  • the TV remote control is equipped with a touch pad so that it can serve as a mouse, but the buttons can be used as a substitute. You can print the button or attach the printed film. It can be carved.
  • buttons, letters, and so on By setting the button area and touching the range, you can recognize numbers, letters, and so on.
  • a button area may be displayed around a character such as a number, or an appropriate area may be displayed by a square or a circle.
  • It can be used as a tablet and can be used as a touch pad.
  • the keyboard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printed touchpad like this.
  • Electrostatic touch pads are widely used. In the case of electrostatic type, electric current can be flowed to the grid to save electricity.
  • a grid of 1 mm spacing can be given. Up to 0.5mm-3mm spacing is also possible. It can also be turned off when not in use. It can be turned off automatically when not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1mm-8mm spacing is also possible.
  • the width of the upper keyboard horizontal line can be widened, and the interval at the lower part can be made narrower. It is possible to further narrow the width of the keyboard in the bottom row of the keyboard.
  • the lower part is possible with 0.5mm - 1.5mm. 0.3mm-2mm is also possible. 50% -100% can be added.
  • the bottom keyboard should be more closely spaced, since it is rare to write entire fingers and some of the fingers are used. Therefore, it can be efficiently used by arranging the intervals differently.
  •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also be narrowed at the tip of the little fing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 the longitudinal spacing of the keyboard ends becomes narrow.
  • a point where a touch is felt is generated in a place w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eet.
  • a sensor of 1 mm interval can also be provided by a pressure reduction type.
  • the touch pad and the touch pad of the keyboard portion can be integrated.
  • the touch pad part allows current to flow all the way, and the keyboard part can make current flow.
  • a sensor of 1 mm interval can also be provided by a pressure reduction type.
  • the touch pad and the touch pad of the keyboard portion can be integrated.
  • the touch pad part allows current to flow all the way, and the keyboard part can make current flow.
  • the upper part of the figure can be used to flow the current in a lattice pattern.
  •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make the keyboard recognizable by recognizing the distance of the hand with the keyboard being in the form of a plate, the button character being printed, and infrared rays. It is convenient because no complicated device is needed. When the keyboard is drawn with infrared rays, eyes can be fatigued, and there is less concern about eye fatigue. If you have an infrared device, you can display the location on the keyboard. In case of the notebook, the distance between the infrared ray under the LCD and the LCD angle will be automatically calculated.
  • a spectacular display headset comprising a support and a display portion mountable on a face or head, said support head having a support extending continuous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ar support to allow a distance from the eye to the monitor to be maintained in the eye support,
  • a display type headset connected to a display unit is possible.
  • a mobile phone can be used as a mobile phone, and a headset having a display part can be separated from a mobile phone as an accessory of the mobile phone.
  • the display unit and the earphone unit are expanded one or more by a cell phone.
  • the display unit and the like can be used by adding the same principle as the Bluetooth type earphone, which is an accessory of a mobile phone.
  • the mobile phone may have a cpu portion, a RAM portion, a storage device, 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and the data may be connected to a headset such as a glasses type to enlarge the display portion, the earphone, and the microphone portion one by one.
  • a headset such as a glasses type to enlarge the display portion, the earphone, and the microphone portion one by one.
  • It can be connected to a mobile phone using Bluetooth, and can also be connected using a cable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in real time using Bluetooth or the like and to transmit the command. Every time data is requested or sent, it can be used in real time as in a single machine. In addition, voice data can be transmitted in real time, such as when receiving a mobile phone. It is available in real time synchronized. Available in real time as one accessory. As with wireless headphones with microphones, real-time connection technology allows you to send and receive commands.
  • Real-time connection technology refers to the use of a single machine while exchanging commands as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in the absence of various parts, it transfers data to the parts of the mobile phone and acts as an accessory of the mobile phone. You can insert chips to connect.
  • a camera a glass-type monitor, an earphone, a microphone, and the like.
  • a battery can be added here.
  • a Bluetooth a Bluetooth, a camera, a glass-type monitor, an earphone, and a microphone, which can be connected to a mobile phone.
  • the hair band type can be better fixed to the head.
  • the weight is directed downward by gravity, which is well supported.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back of the head.
  • the length from the ear to the eye is usually about 15cm away from the support can be placed.
  •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laced on the monitor side to keep distance from the head.
  • Antenna, Bluetooth, etc. can be used as a wireless device.
  • This extended support can be folded or folded.
  • An antenna type that can freely adjust the distance is highly efficient.
  • the inner camera In the case of the inner camera, it can be inclined so that its face faces. Alternatively, the entire angle can be rotated. You can rotate the camera so you can see both inside and outside, and you can have only one.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the display unit and the camera unit separately. The camera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rotated so as to give an angle to each other at a certain angle.
  • the area of the display portion may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Google glass. Since a certain distance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be 2 to 4 times.
  • FIG. 2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various chips and to mount the battery.
  • the shapes of FIG. 1 and FIG. 2 can be mixed and used.
  • a hair b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hair band to be fixed with a head.
  • Bluetooth can be plac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part of the camera part of the extended support.
  • a convex lens can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 the display portion is made of glass, the glass itself facing the eyes can be made convex.
  • a convex lens film can be provided on the side facing the eye such as Lcd.
  • Polymer materials such as soft contact lenses can be given.
  • a lens such as a soft lens can be attached toward the eyes. It is possible to attach a convex lens effect to the Lcd. It can be affixed to give the same effect as the original lens. You do not have to adjust to the bad eyesight because you can wear the glasses and use the headset and see the display.
  • the hinge can be fol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headset to lower the support. Only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may be folded.
  • It can be turned on when the extended support is extended. If set, it can change the signal to be turned on. It can also be a switch type.
  • the glasses can be extended from the legs of the glasses to give an extended support.
  • the glasses can be a headset type. There is no part pressed on the nose. It is convenient to put glasses on your head. It is especially convenient in a magnifying glass.
  • the eyeglass legs can be connected to the headband with a hinge and raised and lowered.
  • Google Glass is also slightly out of the eyeglass, but it is about 1 cm - 2 cm apart from an extended support that can be 10-20 cm from the eye. In addition, Google Glass differs from the design that gives the dioptric power to the glasses.
  • the display part can be in the form of projector, LCD, amorphous, glass, polymer and so on.
  • the headset-type mobile phone display headset includes both headset type and eye type.
  • Chatting and video chatting are available.
  • Text touch may interfere with viewing the video, but it can reduce the amount of time the video waits while chatting and enrich the delivery.
  • the size of the image to be transmitted can be adjusted to various levels desired by the user.
  • It can be a text window, a chat window, or a conference window.
  • It can be located next to the screen name. It can be placed in front of the screen name. It can als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nickname. Can be repeatedly positioned.
  • a mobile device composed of a display unit, a processor, a battery, and the like, a mobile device having an electric rotating wheel is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 the motor can run only on the front or rear wheels. Only two wheels can run. Only one wheel can run. It is possible to have only one wheel in the center.
  • the wheels When the wheels are slightly out, it is advantageous because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e compared to before the wheels are attached. Less than 1/4 of the wheel can be made to come out. It is possible to make the wheel come out with a length of more than 1/4 of the thickness of the mobile phone. 1/10 or less.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to move on a carpet. It may be a value between 1/4 and 1/20.
  • the rotation can be manually or programmatically moved. You can apply the app to make the camera angle different.
  • the camera when the mobile phone is placed on the floor with the display unit facing upwards, the camera can be set so that the image is taken so that it can be seen to find the way to the front of the floor,
  • a camera or infrared sensor can be used to stop before it falls off high.
  • the wheel size can have a diameter that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ll phone so that it can move even if left behind or forward.
  • the wheels can be extended to wear.
  • a small simple vacuum cleaner can be used to attach a wheel plate to a mobile phone.
  • a small vacuum cleaner is also available and can be used easily.
  • the above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PDAs, pads, tablets, and the like as well.
  • It can be used as a mobile remote control combined with the function of calling with a remote control app on a mobile phone.
  • the apparatus may be constituted by a display unit, a lens unit, a storage unit, an image sensor unit, and the like.
  • the device is equipped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it is advantageous to create a button with a picture-taking message.
  • This shooting button can also be a normal button. It can be set with various buttons.
  • the image is analyzed automatically, and when the motion is observed, it is possible to shoot the movie in high image quality or to photograph the image in high image to make the face easy to understand.
  • It can be used not only in cameras but also in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camcorders.
  • a large-sized monitor can be connected to a mobile phone and used more conveniently like a computer.
  • the secondary screen can be used with a laptop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If you use a dual operating system, you can use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which can be used like a laptop.
  • the sensor interval is wide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ice.
  • Mobile phones with wheels can easily be us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ovements, and it is easy to connect with new apps, which can increase expon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딩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버튼에 정해진 V등의 부호를 쓰면 버튼에 해당되는 명령이 실행되는 등 핸드폰 제스쳐 등 핸드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홀딩화면에서 부호입력만으로 실행될 경우 부호를 외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버튼에 정해진 하나의 부호를 입력하면 될경우 실행이 간편해지고 빨라진다.

Description

핸드폰 시스템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에서 홀딩화면에서 버튼에 한번에 실행되면서 잘못누르지는 않도록 V 등의 부호를 입력하는 등 핸드폰 제스쳐 등 핸드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호입력과 관련된 특허, 홀딩화면에서 부호나 제스처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카메라에서 부호 입력 출원번호 20-2004-0018242 등록번호 20-0362042.
키패드와 관련하여 10-2010-0045488 키패드 압력, 면적등을 이용하여 입력을 빠르게 한다.
여러 운영체제를 한 기기에서 사용하고 제1운영체제에 이어져서 부팅하는 시스템이 현재 발명되어 있으나 동시에 가동되도록 하는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다. 다수개의 메모리(롬)를 갖는 다중 운영체계의 컴퓨터 (출원번호 1997-007506), 원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으로 즉시 변경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과 중앙처리 장치가 대기중에 제2영역에 제2운영체제 로드 (출원번호 KR 10-2000-0077486, 등록번호 10-0626361), 컴퓨터에서 두개이상의 운영체제를 위해 여러개의 하드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연결 (출원번호 KR 10-2001-0034415, 등록번호 10-0464547), 컴퓨터에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주변장치에 제2 운영체제 탑재 (출원번호 KR 10-2005-0051615 ), 포인트 펜을 포함하는 이동식 컴퓨터의 이중 운영체제에 관한 특허로 운영시스템 식별장치로 두개 이상의 운영체제에서 하나의 운영체제를 로드 (일본 특허 JP 06-187133 A), 핸드폰 운영체제를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시뮬레이션 하는 기술 (출원번호 KR 10-2004-0021404), 바이오스를 각각두어 운영체제 부팅을 원활히 하는 휴대용 기기 (출원번호 KR 10-2006-0059527) 등이 있다.
핸드폰 화면 확대와 관련해서는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고안이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 있다. 한손으로 원을 그리며 화면을 확대하는 한손으로 이용하는 고안이 발명되어있으나 (출원번호 10-2009-0085212), 현재 두손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려 답답할 수 있다
보조화면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핸드폰 화면을 아래에서 슬라이딩 형식으로 이어보는 발명이 이미 고안되어 있다. 또한 핸드폰 화면이 접혀진 폴더형식으로 되어 펼쳐 보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또한 핸드폰에 보조정보표시기를 장착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었다. 또한 현재 핸드폰 전면이 화면으로 나오는 방식이 고안되어 사용중이다.
뚜껑에 센서를 둔 핸드폰 배터리 교체와 관련된 종료없이 교체하는 기술에는 휴대용 장치의 비상 전원 공급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출원번호 10-2003-0045878 에서 배터리가 소진되었을 때 일정전압 이하일 때 내부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여 배터리 교환시에도 전원이 들어오게 하는 시스템이 고안되어 있다.
센서 간격을 달리한 터치패드형 키보드와 관련 기술로는 이미 터치패드와 키보드를 한 판으로 하여 터치패드를 두드려 버튼 없이 사용하는 기술이 발명되어있다. (출원번호 10-2006-0009030), 또한 스마트 TV 리모콘을 터치패드로 하는 기술도 이미 발명되어 있다.
스마트 글래스 관련 기술로는 안경형태의 스마트 글래스 등 여러 웨어러블 컴퓨터와 통신장비가 고안되어 있다.
문자 화상통화 관련 기술로는 핸드폰, 컴퓨터에서의 문자 화상 통화, 화상 회의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동영상 화면이 너무 커서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바퀴달린 핸드폰과 관련된 기술로는 핸드폰과 로봇을 결합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무선충전기까지 이동하는 로봇 청소기가 이미 개발되어 있다.
카메라 관련 기술로는 동영상 촬영 후에 동영상을 보면서 사진을 추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홀딩화면에서 부호나 제스처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은 각각의 부호를 기억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움직여서 키패드를 조작하는 기술은 움직이는 시간 때문에 입력이 빠르지 않다. 또한 면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자음과 모음을 따로 입력하는 방법이라 영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을 기억해야 해서 번거롭고 직관적이지 않다.
핸드폰 등 모바일 통신에서 패드나 탭이나 대형화면을 이용하는 등 LCD가 커지고 있어 제2 운영체제를 사용하면 유용할 때가 많은데 비해 핸드폰 연결용 운영체제가 계속 가동되고 있어야 하여 제2 운영체제를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동시에 가동되더라도 핸드폰 운영체제가 안정적으로 가동되어야 한다.
윈도우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호환이 잘 되어 윈도우를 핸드폰에 가지고 있을 경우 컴퓨터를 핸드폰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유리하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나 포토샵, 인터넷 설치 프로그램은 핸드폰 운영체제로는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호환이 잘 되지 않거나 화면 구성이 다르고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작업을 하는 경우 윈도우와 호환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이용상 제약이 많다.
요즘은 핸드폰 화면에 컴퓨터와 같이 큰 화면이 표현가능하며 디스플레이부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어 핸드폰도 컴퓨터와 같이 사용가능한 성능을 지니고 있어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에도 핸드폰의 통화 성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핸드폰의 고사양을 더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두손으로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은 한손만 쓰는 기기 등에서 어려움이 있다.
핸드폰 화면의 경우 좁은 경우가 많고 대형으로 볼때 세워쓰지 않으면 불편한 경우가 많다.
내장형 배터리를 더 둔 교환장치의 경우 배터리를 뺀 경우 전원이 극소량만 남을 수 있어 소형으로 전원이 교환되기 까지 운영체제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을 수 있다.
터치패드형 키보드의 경우 센서간격이 터치패드와 같이 좁은 경우가 많아 가격이 높아지는 등 비효율적이다.
스마트 글래스의 경우 디스플레이가 너무 가까워 어지럽거나 눈이 피로한 경우가 많다.
핸드폰의 경우 화상 통화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핸드폰 카메라를 봐야 하기 때문에 목소리가 잘 안 들리는 경우가 많다. 문자이용시 동영상 화면이 너무 큰 경우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핸드폰에 로봇을 결합할 경우 부피가 커지는 경우가 많다. 배터리를 충전하기가 귀찮은 경우가 많다.
동영상 촬영시에도 고화소의 사진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추후에 편집하면 시간이 드는 등 불편한 점이 많다.
홀딩화면에서 버튼에 정해진 부호를 입력할 경우 따로 기억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화면이 불필요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키패드의 경우 손가락을 세우거나 눕히고 이것을 부호로 표시함으로써 기억하기 쉬우면서도 입력이 한번의 터치로 간편하다.
핸드폰 등 모바일 기기는 컴퓨터에 필요한 디스플레이부, cpu, 램, 마더보드 등의 해당하는 기기와 기능에 모바일 기능까지 두루 가지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핸드폰을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같은 운영체제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운영체제, 2개 이상의 바이오스를 지니고, 2개 이상의 cpu, 2개 이상의 저장공간을 지녀 각각 부팅하여 동시에 가동 가능하여 한 화면에 선택부에 의해 교체로 디스플레이되는 기기가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선택부에서 짧게 누르면 화면이 전환되고 길게 누르면 부팅이 되는 선택부를 둘 수 있다.
화면 확대에 있어서 특정 각도를 화면 확대로 설정할 경우 한손으로 빠르게 이용가능하다.
보조 영상을 세워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가질 경우 필요할 경우 노트북과 같이 핸드폰을 사용 가능하다.
배터리를 교환시 뚜껑이 열리면 내장된 소형 배터리로 운영체제를 유지하도록 하여 리부팅 없이 할 수 있다.
키보드의 센서 간격을 넓혀 전력과 센서를 아끼고 간격을 달리하여 손가락을 세워치는 부분은 변화를 주어 정확도는 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멀리서 볼 수 있도록 확장된 지지부를 둘 수 있다. 볼록렌즈로 하여 멀리서 보는 것과 같이 할 수도 있다.
카메라가 달리고 디스플레이부가 존재하는 핸드폰 등의 전자기기에서 실시간 동영상을 보면서 글자입력을 통해 대화하는 전자기기에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이 상기 대화명과 연결하여 반복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바퀴달린 핸드폰의 경우 로봇과 결합시킬 경우 부피가 너무 커진다. 또한 무선충전기까지 핸드폰을 놓기가 귀찮은 경우가 많다.
동영상을 찍고 있는 동안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홀딩화면에서의 버튼 부호 입력의 경우 바쁜 일상생활에서 손쉽고 빠르게 핸드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킨다.
작동이 서투른 노인분들이나 업무에 바쁜 사람들에게 효과적이다. 누구나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
이전의 홀딩화면에서 부호나 제스처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은 기억하기가 어려워 사용 빈도가 낮은데 비해 본 방법은 부호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아도 되어 하나의 부호로 사용하여 사용 빈도도 높아지고 사용이 수월하다.
본 키패드 인식시 풀터치와 반터치 등을 이용하면 일반 키패드와 달리 두번 누르는 일이 거의 없어 빠르며 어떤걸 풀터치로 눌러야 하는지 기억할 필요도 없으며 오타도 획기적으로 줄 일 수 있다.
단순한 두가지 부팅이 가능한 시스템이나 두가지 부팅이 연속적으로 가능한 시스템과는 달리 운영체제가 부팅되는 부분의 각각의 부품사용으로 핸드폰 운영체제가 지속되어 제1 운영체제는 화면만 꺼지게 할 수 있어 제2 운영체제를 킨 동안에도 전화가 오면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켜져 있어 빠른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부품 사용으로 제2 운영체제의 사용으로 전화에 이상이 생기거나 전화가 오더라도 작업이 저장되지 않은 채 시스템이 다운될 확률이 낮다. 전화가 안정적이지 않을 경우 중요한 일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핸드폰이 안정적이면서도 제2 운영체제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유리하다.
또한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급하게 꼭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핸드폰으로 핸드폰 받는 일에 영향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탭이나 패드와 같이 화면이 넓을 경우 유리하다. 전화와 동시에 컴퓨터 작업 업무가 있는 경우 특히 유리할 수 있다.
핸드폰용 cpu ram 등의 가격이 컴퓨터에 비해 그리 높지 않고 저전력이라 경제적이다. 핸드폰을 모니터에 연결하여 컴퓨터 대신 고 사양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핸드폰 화면은 터치로 키보드처럼 사용할 수 있다. lcd, 카메라, 배터리, 하우징 등을 컴퓨터와 핸드폰이 공유해 쓰는 것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2개 이상의 운영체제가 동시에 가동되도록 하여 화면만 어떤 운영체제의 화면을 비출지 선택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시스템 끼리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화면 확대의 경우 한손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어 유리하다.
본 핸드폰 보조 화면의 경우 배터리 없이도 보조 화면을 이용할 수 있고 필요할 때 노트북과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평소에 모바일 폰을 사용할 때는 간편한 크기로 사용할 수 있다. 자료를 노트북과 핸드폰으로 번갈아 이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홈을 이용해 고정하면 별도의 선이 필요 없어 깔끔하며 보조화면용 배터리도 필요 없다. 홈을 주어 여기 안으로 보조 화면을 장착하면 보조화면과 휴대폰 화면의 액정부분의 간격이 더욱 밀접하게 될 수 있다.
본 키보드의 경우 센서 간격을 터치패드보다 넓게 하고 키보드에서 아랫판 센서 간격을 좁게 할 경우 아랫판을 칠 때 손가락을 세워치기 쉽고 새끼 손가락으로 타자하는 부분은 손마디가 세로로 닿기 쉬워 터치 면적이 좁아지게 되는데 손가락이 닿는 위치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절전과 자원의 절약역시 가능하다.
핸드폰 글래스의 경우 핸드폰과 연동하여 핸드폰의 부속품으로 연결하여 쓰는 경우 무선 통신이 직접 연결되지 않아 덜 해롭다.
통화용 이어폰형 핸드폰 부속품에 비해 할 수 있는 일이 많다. 마이크와 이어폰이 있으므로 음성명령도 가능해 디스플레이부가 가능하므로 핸드폰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헤드셋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안경 부분과 같은 헤드셋을 꺼 놓아도 핸드폰이 켜져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 등을 꺼 놓을 수 있어 유리하다.
잠깐 이용할 때 편리하다.
영어단어 등을 외울 때 귀로 듣다가 잠깐 단어를 확인할 때 유리하다.
기존 핸드폰과 연동 가능하다.
핸드폰에서 충전전류나 무선전류를 보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경찰의 경우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범인을 실시간으로 빨리 찾을 수 있다.
핸드폰은 모두 사용하는 기기이므로 부속 헤드셋만 있으면 되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확장된 지지대를 가질 경우 초점을 알맞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카메라도 영상통화를 편하게 할 수 있어 유리하며 안테나도 이부분에 설치할 수 있어 여러모로 유리하다.
확장된 지지대가 있을 경우 양쪽 눈으로 볼 수도 있다.
문자 화상통화의 효과의 경우 소리가 잘 안들리는 곳에서 자연스럽게 대화하기 좋다. 문자로 전달 할 때 영상도 함께 전달하여 의사가 잘못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화상회의에 있어서도 화상 문자로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아이디어를 수집하는데 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제로 회의시 아이디어를 쪽지 등에 적어내는 것이 아이디어 수집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문자 등을 통한 대화가 전체 휴대폰 이용에서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문자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고 간략하게 표현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외국에서 특히 제스쳐가 의사소통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문자로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표현하면서도 영상으로 제스쳐 등이 전해져 의사소통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바퀴달린 핸드폰의 경우 핸드폰을 찾기 쉽다. 무음으로 하여도 핸드폰을 부르면 움직여 쉽게 찾을 수 있다. 무선충전장소까지 움직일 수 있어 자동 충전이 가능하다.
진동 모드 대신 핸드폰이 움직이도록 하여 전화를 받기 수월할 수 있다.
장난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로보트 장남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장난감 차 등 여러가지로 이용 가능하다.
여려가지 앱이 더해져 여러 효과를 낼 수 있다. 움직이는 알람 등이 될 수 있다. 아기를 돌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아이 교육용 앱을 만들 수 있다. 영어 등을 들려주면서 움직이면 살아있는 생물체 같아서 더 기억을 잘 할 수 있다.
여러가지 게임을 할 수 있다.
강아지 로보트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바퀴를 작게 할 경우 거추장스럽지 않게 장착하여 사용가능하다.
핸드폰 등의 기기에서 동영상녹화시 카메라도 찍히는 기기의 경우 동영상을 녹화하면서 사진도 동시에 필요할 때 다시 동영상을 보면서 편집하는 중복작업 없이 한번에 할 수 있다.
적은 화소로 촬영 중 화질이 좋은 몇 장면이 필요할 때 찍을 수 있다. 이경우 동영상 촬영물을 편집하여 얻지 못하는 고화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CCTV에서도 인물을 구문하기 위해 몇 장면 큰 화소의 사진이 필요할 때 사용 가능하다.
요즘은 셔터를 누를 때 화면을 누르면 되어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동영상 품질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도1- 이중 운영체제 시스템 예시1
도2- 이중운영체제 시스템 예시2
1- 시작, 2- 제1 전원켜기, 3- 제1 운영체제 부팅
4- 제1 운영체제 시작, 5- 제2 운영체제 필요, 6- 제1 운영체제
7- 제2 전원켜기, 8- 제2운영체제 부팅, 제2화면 전환
9- 핸드폰 울림, 10- 제1 운영체제 화면 전환
21- cpu 1, 22- Rom(롬)1, 23- 저장공간 1, 24- Ram (램)1
25- cpu 2, 26- Rom(롬)2, 27- 저장공간 2, 28- Ram (램)2
29- 선택부 30-디스플레이 부 (display 부)
도3-키패드 문자 입력 예시 도4-터치 면적 예시
11- 왼쪽글자 12- 오른쪽 글자 13- 왼쪽원
14-오른쪽 원 15- 키패드 선택 16- 왼쪽에서 두번째 글자
17-큰원 인식 18- 작은원 인식 19- 오른쪽 위쪽으로 길죽한 타원
도5- 홀딩화면 도6-홀딩화면 제스쳐 알고리즘
301- 이동기기, 302- 홀딩화면, 303- 버튼
304- 부호 - (손으로 그리게 되는 부호 )
310-홀딩화면 알고리즘 시작 311- 홀딩화면 버튼에 설정된 V 등의 부호를 그림 312-장치가 해당되는 버튼과 V 등의 부호를 인식 313- 홀딩화면 버튼에 해당되는 프로그램 실행 310-홀딩화면 알고리즘 종료
화면확대
도7- 화면 확대 화면 예 도8-각도 확대, 축소 알고리즘, 도9- 45도 확대, 축소 알고리즘 도10- 터치후 손을 뗀 후 밀기에 의한 확대, 축소 알고리즘
202 - 화면에 각도를 위로 주어서 밀거나 터치, 205 - 평행한 반대 방향으로의 터치시 축소, 206 - 화면 확대 알고리즘 시작, 207 - 화면 밀기, 208 - 제1 특정각도 근처값 (확대되는 지정각도)
209 - 터치 시작부분 확대, 210 - 제2 특정각도 근처값 (축소되는 지정각도)
211 - 화면 이동 212 - 터치 시작부분 축소
213 - 45도 근처값 (확대를 45도 근처인 45도에서 같은 범위 플러스 마이너스로 지정 시) 214 - -45도 근처값
215 - 확대값밀기 (확대 지정 각도) 216- 축소값 밀기 (축소 지정 각도)
217 - 터치 명령 실행 (본래의 터치 설정 명령), 218 - 화면 터치
220 - 화면 확대 알고리즘 종료
도11- 확장 모니터 평면, 도12-확장 모니터 측면, 도13-확장 모니터 사시도
530-보조화면 532-보조화면 연결부분 541-지지대 542- 힌지 부
이동기기 배터리
도14- 이동기기 배터리 부분 평면
도15- 이동기기 배터리 교체 알고리즘
도16 - 닫을 때도 신호시 배터리 교체 알고리즘
601- 외장 배터리 (교환배터리) 602- 내장 배터리 603- 커버 경계
604- 커버 접속 단자 610- 배터리 교체 알고리즘 시작
611- 배터리 교체 신호를 받음
612- 내부 배터리로 전원공급 613- 배터리 교체 614-교체완성 신호를 받음 615- 외부 배터리로 전원공급 616- 배터리 교체 알고리즘 종료
617- 배터리 커버 열림 618 - 배터리 커버 닫힘
도 17- 키보드 예
41 - 키보드 터치패드 42 - 인식영역 43 - 격자
51 - 좁힌 가로줄 (키보드 아랫부분) 52 - 좁힌 세로줄 (키보드 새끼 손가락 부분)
도18- 안테나형 길이 조절 스마트 글래스
801- 확장된 지지대 길이 조절부분, 802- 확장된 지지대
804- 글래스의 디스플레이 부
805- 안쪽 카메라 806- 바깥쪽카메라
807- 마이크 808 - 이어폰 810- 배터리 811-고정기구 812-헤드셋
도19- 화상통화 화면
901- 확대 동영상 902- 아이콘형 동영상 903- 대화명
904- 대화 내용
도 20-바퀴달린 핸드폰, 도 21- 바퀴달린 핸드폰 예, 도 22- 작은 바퀴의 예
951-바퀴달린 핸드폰의 핸드폰, 952-바퀴
도 23-카메라 알고리즘
971- 카메라 알고리즘 시작 972- 동영상 녹화버튼을 누른다. 973- 동영상이 녹화된다.
974- 사진 필요? 975- 사진버튼을 누른다 976- 사진으로 저장한다
977- 동영상 녹화가 끝나면 녹화정지버튼을 누른다.
978- 동영상녹화가 정지한다 979- 카메라 알고리즘 끝
홀딩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버튼을 두고 미리 정해진 V 와 같은 부호를 버튼에 그리면 해당되는 버튼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하나의 하우징 안에 두개 이상의 운영체제, 2개이상의 바이오스를 지니고, 2개이상의 cpu, 2개 이상의 저장공간을 지녀 각각 부팅하여 하나의 운영체제가 하나 이상의 cpu와 바이오스와 저장공간으로 실행되어 충돌 없이 동시에 가동 가능하여 한 화면에 선택부에 의해 교체로 디스플레이되는 장치가 가능하다.
선택부를 지녀 어떤 운영체제를 디스플레이 할 것인가를 명령할 수 있다.
운영체제 중 하나는 전화를 거는 기능이 있는 핸드폰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다.
키패드에서 문자 입력시 하나의 버튼에서 2개 이상의 문자가 있을 때 손가락을 세우고 터치하면 면적이 좁게 입력되어 인식되어 해당되는 문자가 손가락을 눕히고 터치하면 다른 문자가 선택된다. 이때 원으로 원하는 터치를 표시해 둘 수 있다.
화면 확대시 45도 근처에서 화면 움직임이 아닌 확대가 되도록 한다. 반대 방향으로는 축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V를 그리며 확대 하는 것도 가능하다. V 지점의 꼭지점에서 확대가 되며 거꾸로 그리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 화면에 있어 보조 화면을 두어 배터리 충전단자 등에 끼워 세워 사용하여 핸드폰 터치패드는 키보드 식으로 사용하고 모니터를 크게 사용할 수 있다.
핸드폰 등 모바일 기기 배터리 교체시 뚜껑에 센서를 두고 소형 배터리를 두어 교체시 뚜껑이 이를 인식하고 소형 배터리로 교체하여 리부팅 없이 배터리 교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키보드에서 키보드를 판넬에 인쇄한후 터치패드식으로 하고 센서를 두어 위치로 버튼을 인식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드보다 센서간격을 넓게 하고 센서 간격을 달리하여 밑이나 양 옆은 센서 간격을 줄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스마트 글래스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지지대를 안테나 형으로 하여 길이를 확장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문자 화상통화에서 통화중의 동영상을 문자 앞의 닉네임 부분 근처에 두어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면서 자신을 나타낼 수 있다.
이동형 바퀴가 달린 핸드폰에서 핸드폰을 눕혔을 때 아래부분에 네개의 소형의 바퀴를 두어 인공지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카메라를 찍을때 동영상 중 고화소의 정지화상을 찍을 수 있도록 하여 따로 추출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요즘 스마트폰에는 화면의 명령을 손의 부딪힘 등으로 오작동 하지 않게하는 홀딩 기능이 있는 홀딩화면이 사용되고 있다.
홀딩화면에서 버튼 구역내 부호를 입력하면 구역에 해당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홀딩 화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이 존재하고 상기 버튼 모양만큼과 위치에 구역이 존재하고 상기 홀딩화면에서 각각의 상기 버튼 구역내 정해진 부호를 입력하면 상기 버튼 구역에 해당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홀딩화면을 갖는 휴대용 기기가 가능하다.
버튼이 그려진 이미지 구역내에 부호를 입력하거나 꺽여지는 부분이 버튼 내에 있거나 버튼 주변에 입력해도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홀딩화면에서 버튼 내부뿐만이 아니라 버튼의 일정 범위내 부호를 입력하면 구역에 해당하는 명령이 실행되게 할 수 있다.
부호는 동그라미나 세모, 체크 모양 등으로 할 수 있다. 부호에 대한 설명을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v 를 버튼에 그려 실행시키세요." 등의 문장을 화면에 넣을 수 있다.
작동이 서투른 노인분들이나 업무에 바쁜 사람들에게 효과적이다.
롱터치도 가능하나 오작동 우려가 있다.
카메라,녹음기, 앱 실행, 문자 보내기, 전화, 최근 번호, 설정번호, 단축번호 실행 등이 가능하다. 전자사전, 음악 등의 프로그램도 실행이 가능하다.
부호를 손으로 그리면 화면에 그 부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버튼 주변이나 버튼 내를 움직이면 움직일 때의 명령을 실행한다.
최근번호를 위젯 앱으로 실현 가능하다. 부호의 입력 없이 가능하다.
풀터치와 반터치를 키패드의 터치에 적용할 수 있다. 센서나 프로그램 등이 누르는 모양이나 면적 등을 인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만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가 수직센서와 수평센서가 있을 때 이 직교점에서 신호를 인식하게 되는데 이 직교점의 수나 위치 면적등을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면적을 따로 인식 하거나 모양을 따로 인식하고 여기에 중심점의 위치를 따로 계산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마다 다르게 할 수 있다. 키패드에서는 보통 키패드에서와 같이 중심의 위치에 더하여 바로전에서와 같이 원의 직경이나 면적이나 모양을 인식하게 하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하나는 풀터치로 누르고 하나는 반터치로 눌러 반터치는 손가락을 세워서 누르거나 풀터치는 눕혀서 누르는 방식으로 키패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반터치로 누르면 왼쪽을 풀터치로 누르면 오른쪽을 의미하게 할 수 있다.
도3과 같이 키패드에 원의 크기를 다르게 그려 기억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막대기로 길게나 짧게 그리는 등 다른 기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부속적으로 두번 누르면 다른 글자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버튼에 누르는 글자가 세 개가 있을 경우 두개 있는 것은 해당 위치의 터치 방식으로 두번 나머지 한개는 해당 위치의 터치 방식으로 한번을 눌러 선택할 수 있다.
누르는 모양을 인식하여 오른쪽 위쪽으로 길죽한 타원은 오른쪽 글자를 왼쪽 윗쪽으로 길죽한 타원은 왼쪽 글자를 의미하도록 할 수 있다. 오른쪽 엄지가 자연스럽게 닿으면 오른쪽 위쪽으로 길죽한 타원을 만들게 되는데 오른쪽 글자를 의미하도록 하여 직관적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양손을 사용할 때 유리하다.
큰원과 작은원의 직경이나 반경의 경계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원은 직경 0.7mm 이상 작은 원은 0.01mm 이상 0.7mm 보다 작게 등으로 가능하다. 또한 기울어진 모양의 경계도 마찬가지로 설정 가능하다. 원의 최소직경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최소 직경이 0.5mm 이상일 때는 큰원으로 인식하거나 할 수 있다.
일반 키패드와 달리 두번 누르는 일이 거의 없어 빠르며 오타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영어가 아닌 한글, 독어, 불어와 같은 다른 글자에도 이용가능하다. 한글에서 천지인과 섞어서 사용이 가능하다.
키패드 선택버튼이 있을 수 있다.
면적을 인식하는 프로그램과 운영체제 등으로 게임 등 여러 프로그램과 앱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다.
면적을 좁게 하면 섬세하게 공격하고 면적을 넓게 하면 파워가 강하게 공격 하는 게임 등이 가능하다. 면적을 넓게 하면 공격시 시간은 줄이지만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게임 역시 가능하다. 면적을 좁게 할수록 설정을 달리하거나 넓게 할 수록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게 설정 가능하다. 게임에서 특정 명령 실행시 섬세하게 누르면 점수를 더 많이 주는 설정도 가능하다.
음악앱에서도 면적을 더 많이 누르면 소리가 더 커지는 기능이 가능하다.
화면을 각도를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각도를 위로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확대되고 각도를 아래로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터치 점을 기준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약간만 각도를 주어도 확대되거나 할 경우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45도를 기준으로 여유분을 두어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화면을 45도 방향으로 밀면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 되도록 할 수 있다. 45도 아래로 밀면 축소 45도 위로 밀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각도가 30도에서 60도인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직관적인 방향과 일치하면서도 한 손가락으로 이용가능하다.
또한 많이 밀면 많이 축소되고 조금 밀면 조금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 기기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여기서의 화면은 모바일 폰에서 뿐만 아니라 터치 가능한 여러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에 이제 동안 나온 터치, 멀티 터치 관련 기술을 응용하여 적용가능하다.
오른쪽으로 회전 터치하여 화면을 확대하고 왼쪽으로 회전 터치하여 화면을 축소시킬 수도 있으나 직관적이지 않고 불편할 수 있다.
도1과 같이 각도를 주어 오른쪽 위로 밀거나 오른쪽 아래로 밀 수 있다.
화면을 축소하는 경우는 화면이 확대되었을 때 특정 부분을 크게 보아야 하는 것과는 달리 화면이 축소되어 화면이 더 큰 부분이 표현되므로 축소하고자 하는 위치가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작 부분이 그리 중요하지 않아 제스처가 시작부분을 축소하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더라도 상관없게 된다.
직관적으로 축소되도록 느껴지게 하려면 축소시는 두 손가락을 사용할 때와 같이 손을 떼는 부분의 위치를 축소되는 중심점으로 두도록 할 수도 있으나 차이가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역이 더 많이 표현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상관없게 된다.
설명시 일괄적으로 확대는 오른쪽 위나 축소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하게 할 경우 헷갈릴 염려가 적다. 두 손가락 사용시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위로 밀어낼 때나 터치할 때 손가락으로 확대하는 느낌을 주며 왼쪽 아래로 터치시나 밀어낼 때는 끝나는 부분이 중심점으로 느끼면 줄이는 느낌을 줄수 있다.
한 방향으로 향하면 확대되도록 하고 그 평행한 반대로 향하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평행한 방향으로 오른쪽 위를 향하면 확대되고 왼쪽 아래를 향하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확대가 30도 오른쪽으로 위를 향했으면 축소는 30도 왼쪽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각도가 특정 각도로 정해질 경우 화면 움직이기와 다르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경우 기억하기가 쉽고 화면의 옆이나 위로 움직이도록 하는 행동과 구분된다. 특히 45도의 경우 기억하기가 쉬워 유리하다.
손가락 한마디 풀터치와 반터치를 인식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손가락 첫번째 마디의 전면이 닿을 경우 한마디 풀터치로 하고 반이 닿을 경우 반터치로 할 수 있다. 동그랗게 닿느냐 길죽하게 닿느냐를 인식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를 가지고 키패드 조작 등 여러 명령어를 만들 수 있다.
화면 확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손가락 한마디 풀터치 후 밀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나 다른 각도로 축소하도록 할 수 있다. 오른쪽으로 밀면 확대되고 왼쪽으로 밀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특정 각도를 설정하여도 된다. 각도를 주어 밀때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말한 방법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롱터치후 밀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경우 시간이 걸려 비 효율적일 수 있다. 롱터치 후 오른쪽으로 밀면확대 왼쪽으로 밀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특정 각도를 설정하여도 된다. 각도를 주어 밀때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말한 방법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롱터치 후 미는 방법은 롱터치후 손을 떼지 않고 이어져서 밀 수도 있고 롱터치후 손을 뗀후 다시 터치하여 밀 수 있다.
여기서의 각도는 처음 터치 좌표에 손을 떼었을 때의 좌표 사이의 각도로도 할 수 있으며 처음 터치시부터 좌표에서 손을 떼었을때 설정 각도와 여유뷴 안에서 움직였을때 작동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수직이나 수평이나 사선으로 미는 방법은 화면을 움직일 때 많이 사용되는데 기억하기 쉬운 특정 방향을 설정해 놓을 경우나 롱터치나 손가락 마디 풀터치를 등 한손을 핸드폰으로 잡지 않은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제스쳐를 미리 줄 경우 미는 길이도 동시에 하나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제스처를 취하는 점의 정보까지 인식되어 손쉬우면서도 한손으로도 많은 정보를 인식시켜 해당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는 내용은 컴퓨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노트북 패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pmp, 전자사전 등에도 이용가능하다. 터치 대신 클릭, 밀기 대신 끌기를 사용해도 된다.
위의 롱터치 후의 손을 뗀 후 밀기 대신 터치 후 손을 뗀후 밀기 역시 가능하다.
이때 미는 방향이 위로 향하면 경사져 있더라도 확대로 하고 아래로 향하면 감소로 할 수 있다.
화면 밑방향을 향한 밀기는 밑방향으로 각도만 주어서도 밀기가 가능하다. 즉 수직이 아니어도 가능하다.
또한 터치 부분이 아닌 부분부터 시작해서 밀어도 확대나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한 후 손을 뗀 후의 시간차를 설정하여 제한할 수 있다. 터치한 후 화면을 미는 시간이 길게 걸리면 터치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한 후 5초가 지나면 확대되지 않고 터치에 해당하는 명령어만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한 후 손을 뗀 후 미는 방법도 위의 세부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로 확대나 축소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초기 터치 부분을 확대나 축소 부분으로 할 수 있다. 두번째 밀 때의 터치 부분을 확대나 축소 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위의 방향으로 v 를 그리면 확대되고 아래방향으로 v를 그리면 축소되도록 할수도 있다. 시작부분을 짧게 하여 빨리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아래로 사선지도록 미는 방향이 향하다가 방향을 각지게 바꾸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위로 사선지도록 하다가 각을 지워 v를 거꾸로 세운 형상이 되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미는 방향대로 사진이 움직이다가 확대되어도 되나 빠른시간에 각도를 바꾸면 화면이 미처 움직이기도 전에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방향이 꺽인 후 길이를 확대나 축소 비율로 지점을 확대나 축소 지점으로 할 수 있다.
핸드폰에 두개의 운영체제가 하나의 모니터에서 자유자재로 실행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 등의 기기에서 여러 운영체제가 동시에 가동되어 화면 전환 만으로 다른 운영체제로 전환되어 두개 이상의 운영체제의 동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의 하우징 안에 두개 이상의 운영체제, 2개이상의 바이오스를 지니고, 2개이상의 cpu, 2개 이상의 저장공간을 지녀 각각 부팅하여 하나의 운영체제가 하나 이상의 cpu와 바이오스와 저장공간으로 실행되고 또다른 운영체제 역시 하나 이상의 cpu와 바이오스와 저장공간으로 실행되어 충돌 없이 동시에 가동 가능하여 한 화면에 선택부에 의해 교체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핸드폰은 컴퓨터에 필요한 디스플레이부, cpu, 램, 마더보드 등의 해당하는 기기와 기능에 모바일 기능까지 두루 가지고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운영체제 등 제2의 운영체제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운영체제가 동시에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핸드폰 운영체제와 컴퓨터 운영체제 등 다른 운영체제를 동시에 가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운영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고 있어 화면만 바꾸면 되어 사용 시스템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고 전화를 빠르게 받을 수 있다.
여기서의 핸드폰의 기능은 확장하여 모바일폰, 탭, 타블릿, 컴퓨터에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기기에서의 동시가동 역시 포함한다.
탭이나 패드와 같이 화면이 넓을 경우 유리하다. 컴퓨터 업무가 급히 필요한 경우도 유리하며 컴퓨터를 구입할 경제적인 능력이 부족할 경우도 유리하다. 전화와 동시에 컴퓨터 업무가 있는 경우 또한 유리할 수 있다.
핸드폰은 보드부분과 cpu 부분, 읽기영역인 롬 부분과, 램인 임시저장부분, 영구저장 부분, 통신부분, 소리부분, 카메라부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읽기만 가능한 영역인 롬에서는 바이오스가 있다.
전처리 바이오스가 있어 시작시 제1운영체제를 선택할 것인지 제2 운영체제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핸드폰만 꺼 놓을 때는 선택부를 제2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켜도록 할 수 있다. 제2 운영체제 버튼이 따로 있거나 스위치형일 경우 가능할 수 있다.
제2 운영체제를 이용할 때 제1운영체제 부분에서의 벨 소리는 진동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것 역시 선택사항으로 둘 수 있다. 카메라 부분, 소리부분 등 두가지 운영체제가 이용가능한 부분은 소리부분 선택부, 카메라 부분 선택부 등 별개의 선택부를 두어 사용가능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시스템이 디스플레이부를 동시에 활용한다.
메인보드도 2개가 될 수 있는데 2개가 한 보드로 이어져 하나의 보드여도 된다.
동시에 각각 가동 가능한 메인보드를 만들 수 있다.
cpu 2개, 램 2개 등으로 각자 하나의 운영체제를 맡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만 공유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가능하다.
그밖에 배터리, 카메라, 스피커 등을 공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들이 공유 가능하면서도 핸드폰 칩이 각자 있기 때문에 핸드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하나의 운영체제가 선택되어 가동되는 것이 아니라 핸드폰의 전화를 가능하게 하는 운영체제인 제1 운영체제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만 하나를 선택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카메라, 스피커, 모니터를 양 운영체제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 통화가 되는 운영체제 외의 제2 운영체제는 윈도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 기기에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선택부를 둘 수 있다.
버튼이나 스위치를 누르면 제2 운영체제가 동시에 작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면도 제2 운영체제 부분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화면이 바로 넘어가지 않고 제2운영체제가 다 부팅되어 시작화면이 켜질때 까지 제1운영체제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부팅 될 때까지의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것은 부팅까지 약 5초 등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화면을 전환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쓸 수 있다.
핸드폰에 제2 운영체제가 꺼지는 버튼이나 저장되어 대기 되는 버튼을 설정할 수 있다.
선택부에서 스위치형 버튼 등을 길게 누르면 제2 운영체제가 부팅하거나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부를 길게 누르면 전원을 켜지게 할 수 있다. 제1운영체제는 1버튼 제2운영체제는 2버튼으로 하여 부팅될 수 있다.
제2 운영체제가 부팅되면 부팅되고 있다는 신호를 제 1 운영체제의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운영체제가 켜져 있으면 켜져 있다는 신호를 제1운영체제의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전원을 체크하여 이 신호를 보내어 제1운영체제나 제2운영체제의 프로그램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2 운영체제에 여러 기본 프로그램을 더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키보드 프로그램, 녹화 프로그램, 녹음 프로그램, 타블릿 프로그램 등이 가능하다.
제2운영체제, 프로그램,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할 수 있는 복구 시디, usb 제공 등이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과 운영체제의 복구 파일 내장 역시 가능하다. 인터넷 연결 설치 역시 가능하다.
키보드 프로그램은 가상 키보드가 핸드폰에서와 같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키보드 입력시 자동으로 화면에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반투명하게 화면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 형태의 버튼으로 핸드폰 용인 제1운영체제에서 제2 운영체제화면으로 또는 제2운영체제 화면에서 제1운영체제화면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화나 문자 등 핸드폰이 오면 제1운영체제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진동감지나 소리 감지 등으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운영체제를 잊고 끄지 않을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절전을 위해 핸드폰 전용의 통신이 되는 운영체제 전환 화면을 누르면 저장후 꺼지도록 할 수 도 있고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최대 절전모드로 할 수도 있으며 저장 후 꺼지도록 할 수 도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핸드폰에서 많이 사용하는 cpu arm 칩을 사용가능한 저전력에서 작동하는 윈도우8을 새로 출시하였다.
따라서 핸드폰 칩에서도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가능하게 되었다.
제2 운영체제로 윈도우 8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텔 칩 등을 제2 운영체제 용으로 따로 사용할 수도 있다.
화면을 분할하여 운영체제 2개 이상을 한 화면에 동시에 켜도록 할 수도 있다. 탭이나 패드와 같이 화면이 넓을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컴퓨터의 경우도 가능하다. Lcd 모드를 분할로 두면 Lcd 패널이 각 운영체제의 신호를 각각 일부에 표현하게 할 수 있다. 전화부분 패널은 화면이 작아도 좋다. 이 경우 패드나 탭의 화면이 그렇게 크지 않아 번거로울수 있으나 전화와 동시에 업무가 있는 경우 사용 가능하다. 핸드폰 전화번호부를 제2운영체제에서 필요할 때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cpu와 바이오스 만 운영체제별로 각각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램이나 영구저장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제1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제2운영체제용 램을 쓰거나 영구저장공간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두개이상의 저장 공간이란 물리적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과 하나의 저장공간을 두개 이상으로 나눈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두개 이상의 cpu 역시 물리적으로 두개의 cpu 가 완전히 나누어져 들어가는 것과 하나의 형태이지만 물리적으로 두개로 나뉘어진 것도 포함 될 수 있다.
하나의 저장공간을 c 와 d 등으로 나누어 2개 이상의 저장공간으로 쓸 수 있다. 각각 완전히 나뉘어 있는 2개의 저장공간을 두어 각각 리셋 가능하여 물리적으로 하나를 다시 부팅해야 할 때 하나만 다시 부팅 되고 다른것은 유지 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저장공간을 쓸 수 도 있다.
cpu 도 듀얼코어나 쿼드코어 옥타코어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 또한 각각 2개의 저장공간을 두어 물리적으로 하나를 다시 부팅해야 할 때 하나만 다시 부팅 되고 다른것은 유지 될 수 있는 완전히 나누어진 2개 이상의 Cpu를 쓸 수 도 있다.
부팅시 하나는 유지된 상태로 켜지게 할 경우 칩을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Cpu와 저장공간이 동시에 켜지도록 하고 또다른 Cpu 와 저장공간은 계속 켜져 있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 운영체제는 계속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핸드폰 운영체제를 제1운영체제로 했을 경우는 하나는 유지되도록 물리적으로 각각의 cpu 와 저장공간을 두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ssd 는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데 ssd 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할 수 있다.
제 1운영체제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으로 전환되지 않도록 설정 할 수도 있다.
핸드폰에 모니터를 별도의 연결잭없이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의 이중운영체제도 이용하면 컴퓨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를 플렉서블이 세웠을 때 세로방향으로 휘지 않도록 일반 플렉서블 모니터에도 둘 수 있다.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화면을 보조로 소지하여 연결시켜 보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접촉시켜 연결시키는 경우 각도를 주어 연결시키는 경우가 가능한데 휴대폰 전면에 홈을 주어 여기 안으로 보조 화면을 장착할 수 있다. 이경우 보조화면과 휴대폰 화면의 액정부분의 간격이 더욱 밀접하게 될 수 있다.
이때도 약간 고정되도록 연결부분을 탄력을 주어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완전히 고정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홈이 나오도록 하여 고정한 후 버튼을 누르면 홈이 들어가 빼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고정시에 스프링을 이용할 수 도 있다.
홈은 일자형이나 양쪽 고정부가 있는 형으로 할 수 있으나 일자형이 튼튼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조화면이 클 경우 홈으로 연결할 경우에도 뒷부분에 받침대를 이용가능하며 힌지로 연결하여 접어둘 수 있다.
선으로 연결시키는 경우 양 끝단에 연결 컨넥터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받침대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방법 역시 가능한데 블루투스 등 프린터와 컴퓨터를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이 방법의 경우 배터리가 따로 필요할 수 있다.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부가적으로 화면을 확장시킬 수 있는 보조화면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와 분리하여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보조화면에서 보조화면과 모바일 기기 각각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부위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부위로 모바일 기기에 연결한 모바일 기기의 보조화면을 둘 수 있다.
모바일 기기에 고정할 수 있는 홈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화면을 모바일 기기에 꽂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홈 부분에 연결 컨넥터가 있어서 받침대 없이도 세울수 있고 모바일 기기에서 빼내면 바로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밖에 모바일 휴대기기에서도 가능하다. 타블렛 등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에 연결해서 쓰는 기기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받침대는 보조 화면이 고정부분 없이도 각도를 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연결부분이 있더라도 더 확실하게 지지하도록 힌지 등으로 보조화면 뒷부분에 고정시켜 연결시킬 수 있다.
케이스에 다리를 삼각대 형식의 안테나와 같은 접이식으로 두어 사진을 찍기나 영화보기가 편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 네 모서리에 각각의 다리를 둘 수 있다.
보조화면이 클 경우는 모바일 기기는 자판기로 이용하여도 된다.
모바일 기기는 보조화면 설치시 보조화면이 클 경우 노트북의 터치패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 보조화면이 터치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또한 모바일 기기 부분 화면을 감압기능이 있는 타블렛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드를 바꿔 키보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핸드폰 모니터 부분에서 보조화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홈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연결시켜 뺐다 꽂았다 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통 모니터 정도의 아주 큰 화면도 가능하다. 가로 30cm 이상 세로 20cm 이상도 가능하다. 보통 모니터로 사용하는 14인치 이상의 모니터 역시 가능하다. 핸드폰 측면이 아닌 전면에 부착할 경우 모니터처럼 되어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각도가 있을 경우 노트북과 같이 더욱 유용해 진다. 보조화면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경우에도 위에서와 같이 핸드폰을 타블렛으로 이용하는 등 여러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망치에도 깨지지 않는 경우 등 높은 강도와 휨에 견디는 경우가 많아 매우 유용할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각도 없이도 가능하다.
전면에 더하여 측면에 홈을 또 주어 측면에서도 일자형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고 세워서도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두께가 5mm 이하가 될 수 있다. 1mm 이하도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휘어지는 성질이 있어 휴대폰에서 서있지 못하고 뒤로 휘어져 넘어갈 수 있는데 홈을 곡선형으로 파서 휘어져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면이나 핸드폰 윗 부분에 곡선형 홈을 주고 측면에 홈을 또 주어 측면에서도 일자형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고 세워서도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대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틀 등의 지지대를 만들어 휘어져 쓰러지는 것을 방지했다. 일자모양 지지대를 만들 수도 있다.
좌굴(갑자기 발생하는 큰 굴절)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틀이나 지지대의 강성이 중력에 의한 무게로 인한 힘의 작용보다 커야 한다. 연결 부분을 위로지지대를 둘 수도 있고 사각형 틀을 둘 수도 있다. 이것 역시 구부리면 휘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하중이 좌굴이 일어나는 극한 하중보다 작도록 지지대의 강성이나 단면을 결정할 수 있다.
기존 핸드폰에 끼워쓰도록 할 수 있다. 기존 핸드폰의 측면의 충전단자 부분 등에 연결하여 끼워쓸 수 있다. 회전하는 부분도 함께주어 각도도 조절하여 세울수 있게 할 수 있고 연결부분이 뺐을때 일자로 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충전단자에 꽂으면 바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고 앱을 설치하고 꽂으면 인식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카메라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도 할 수 있다. 카메라 연결부위에 연결할수 있게 한다. 변환잭도 이용할 수 있다.
핸드폰이나 카메라에 충전단자나 연결잭부분에 연결하면 자동인식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게 생산되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이 받침대 역할과 키보드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핸드폰이나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의 기존 생산라인에서 프로그램만 바꾸어주면 될 수 있어 편리하다.
연결부위나 지지대와 플렉서블을 연결함에 있어 끼움 방식과 접착에 의한 방식을 동시에 쓸 수 있다.
연결부위와 지지대를 일자로 연결하고 이것이 휘도록 하는 힌지부가 있게 할 수 있다.
연결부위에 접속 컨넥터가 있게 할 수 있다.
핸드폰 배터리를 교환할 때 신호를 주어 내부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게 하여 핸드폰을 재부팅 하지 않고도 교환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압측정이 아닌 신호를 미리 주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전압이 떨어진 후가 아니어도 되어 운영체제가 정지되지 않는다.
또한 이경우 내장 배터리를 외부 배터리 대체용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교체시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극소형을 이용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이 일정 전압 이하일 경우 배터리가 내장 배터리로 바뀔 경우 내장배터리 크기도 일정 이상이어야 하나 신호를 인위적으로 주는 경우 내장 배터리는 소형으로 장착하게 하여 공간에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내장 배터리 용량이 100mAh 이하여도 된다. 5초- 20여초 동안 갈아 끼울 수 있다. 여유 있는 속도로 10번 정도 반복하여 평균낸 시간의 최대 시간의 1.5배 정도의 여유시간을 주어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평소의 프로그램이 가동되고 있고 디스플레이 전원이 꺼진 경우 내장 배터리 용량이 10mAh 이하여도 가능하다. 따라서 크기가 보통 교환 배터리의 1/100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배터리의 풀가동시의 시간인 10시간을 기준으로 배터리 교환시간을 최대 1분으로 보았을때 2mAh 정도의 용량과 배터리 크기의 1/600 크기로도 가능하다. 2-3번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면 교환 가능한 배터리인 외부 배터리의 1/200 크기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끼워 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네모난 형태가 아닌 형태여도 되고 공간이 보드부와 분리되지 않아도 되어 부담이 전혀 되지 않는다. 보드에 접속된 형태가 되거나 장착된 형태가 되어도 된다.
버튼을 눌러 내부 배터리로 바꾸게 할 수 있다.
커버 분리시 배터리를 내장 배터리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커버 분리시 배터리를 내장 배터리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커버 분리시 신호가 가서 자동인식 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분리시 배터리 교체 질문 알림창을 통해 배터리 교체시 내장 배터리로 연결 되게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설정에서 커버 분리시 알림창 없이 자동으로 내장 배터리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접속 단자는 커버와 커버 내부에 커버가 닫히고 열린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둘 수 있다. 커버 끝 부분에 커버를 닫고 여는 연결부 부분에 둘 경우 특히 편리하다.
알림창은 질문형이나 알림형이 될 수 있다. 질문형에 답하거나 알림형이 일정시간 지난 후 디스플레이의 라이트가 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꺼질 수도 있다. 사운드의 전원역시 꺼지거나 묵음으로 될 수 있다.
교체 완성 신호는 커버가 닫기거나 배터리 교체 신호 후 몇 초 후로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 확대도 신호로 할 수 있다. 교체 완성 신호가 가면 배터리가 외장 배터리로 교환되게 된다.
내장형 배터리는 배터리 커버 분리시에도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외장배터리 용량을 체크하도록 하여 외장 배터리 용량이 올라가면 다시 외장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는 기준이 되도록 프로그램 할 경우 내장 배터리의 크기를 더욱더 작게 할 수 있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장 배터리의 전력을 내부 배터리로 보내게 할 수도 있다. 이경우 내장 배터리의 크기를 더욱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2-3번 충전 교환용으로 준비할 량을 1번에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소형으로 만들수 있다.
최소한의 크기로 할 경우 외장 배터리의 1/1000의 크기까지도 가능하다.
또한 내장 배터리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핸드폰에서는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포트를 휴대용으로 하여 배터리를 추가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배터리를 교환하여도 부팅이 다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충전단자에 포트를 교환하는 장치를 연결하여 충전 전압기가 호환되도록 하기도 하는데 포트도 되고 임시배터리도 될 경우 내장 배터리와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충전시 포트도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안정적이다.
키보드에 있어서 프린트, 인쇄된 필름, 전사, 새김 등을 통해 숫자나 문자를 터치패드에 표시하여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 문자나 숫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PC의 키보드, 노트북의 키보드 등의 키보드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버튼이 달린 모든 기기에서 사용가능하다.
감압식, 정전식 터치패드 모두 사용 가능하다.
TV 리모컨이 터치패드가 장착되어 마우스 겸용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버튼 역시 대용이 가능하다. 버튼을 프린트하거나 인쇄된 필름을 부착 할 수 있다. 새길 수도 있다.
터치패드와 일체로 터치패드 윗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번호를 크게 하여 터치패드 가운데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패드와 하나로 터치 패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두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번호를 가운데 둘 경우 스위치나 스위치 버튼을 두어 터치패드로 사용할지 버튼으로 사용할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불이 들어와 터치패드를 선택하였는지 버튼을 선택하였는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버튼 영역을 설정하여 그 범위를 터치하면 숫자나 문자 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숫자 등의 문자 주위에 버튼 영역을 표시하거나 네모나 동그라미로 적정 영역을 표시해 주어도 된다.
타블릿으로 사용가능하고 터치패드로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키보드를 이와 같이 인쇄된 터치패드의 형식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가 많이 사용되는데 정전식의 경우 전류를 격자로 흘려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1mm 간격의 격자를 줄 수 있다. 0.5mm- 3mm 간격까지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꺼놓게 할 수 있다.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수 있다. 1mm-8mm 간격도 가능하다.
윗쪽 키보드 가로줄의 간격은 넓게 하고 아랫부분 간격은 더 좁게 할 수 있다. 키보드 아랫줄 부분의 자판을 가로줄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할 수 있다. 아랫부분은 0.5mm- 1.5mm 로 가능하다. 0.3mm-2mm 도 가능하다. 50%-100% 추가하여 좁게할 수 있다. 아랫부분 키보드는 손가락 전체를 쓰는 일이 드물고 손가락 일부를 쓰게 되기 때문에 간격이 더 촘촘해야 한다. 따라서 간격을 다르게 배열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세로 방향도 새끼 손가락 끝 부분에서는 좁게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키보드 양끝의 세로방향 간격이 좁게 된다.
넓은 간격의 경우 2.5mm-8mm 간격도 가능하다.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이 만나는 곳에서 터치를 느끼는 지점이 생성된다.
감압식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1mm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또 위와 같은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또한 압력을 주는 점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 터치패드와 키보드 부분의 터치패드를 일체로 할 수 있다. 터치패드 부분은 전체를 전류를 흘리게 하고 키보드 부분은 격자식으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감압식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1mm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 터치패드와 키보드 부분의 터치패드를 일체로 할 수 있다. 터치패드 부분은 전체를 전류를 흘리게 하고 키보드 부분은 격자식으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스마트 리모컨의 경우 윗쪽 숫자 있는 부분은 전류를 격자형으로 흘리도록 할 수 있다.
키보드가 판으로 되어 있고 버튼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적외선으로 손의 거리를 인식하여 키보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복잡한 장치가 필요 없어 편리하다. 적외선으로 키보드 자판이 그려질 경우 눈이 피로할 수 있는데 눈이 피로할 염려도 적다. 적외선 기기가 따로 있을 경우 올려놓는 위치를 키보드 판에 표시해도 되고 노트북의 경우 LCD 아래에 적외선이 나오는 곳이 LCD 각도에 따라 거리가 달라지는데 노트북 각도와 키보드 거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계산하면 된다.
시중에 나온 적외선 키보드를 응용하여 적외선 피아노 건반 등을 만들 수 있다. 적외선 키보드가 있을 경우 프로그램 제작만으로도 가능하다.
키가 있는 곳에 격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보통 키가 입체적으로 생겼는데 네모 안에 네모를 또 그려넣을 수 있다.
현재 나와 있는 형태와 같이 키보드 안이나 아래에 터치패드가 있는 형태 역시 가능하다. 이때 키보드의 격자간격은 크게 되고 터치패드의 격자 간격은 매우 좁을 것이다. 따라서 따로 격자를 만드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가로줄 간격을 더 촘촘히 할 경우 센서의 세로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얼굴이나 머리에 장착 가능한 지지대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안경형 디스플레이 헤드셋에 있어서, 안경지지대에서 눈으로부터 모니터까지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귀 지지대 반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확장된 지지대를 가지고 상기 확장된 지지대 끝 부분에 디스플레이부를 연결시킨 안경형 디스플레이 헤드셋이 가능하다.
핸드폰은 핸드폰대로 쓰고, 디스플레이 부를 갖는 헤드셋을 핸드폰의 부속품으로 핸드폰과 분리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와 이어폰 부 등이 핸드폰에서 한개 이상씩 더 확장된다. 스마트 글래스에 비해 머리 주변의 전자파를 줄인다. 안경 형으로 보는 사용시간을 줄인다. 핸드폰에 있는 여러 칩 등의 부품을 절감하고 무게도 줄인다.
핸드폰의 부속품인 블루투스형 이어폰과 같은 원리로 디스플레이 부 등을 더하여 사용가능할 수 있다.
핸드폰이 cpu 부분과 램부분, 저장장치, 통신장치 등을 갖고 이 데이터를 안경형 등의 헤드셋과 연결시켜 디스플레이 부, 이어폰, 마이크 부 등을 하나씩 더 확장시켜 갖도록 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해서도 핸드폰과 연결 가능하고, 전선 등 케이블을 이용해서도 연결 가능하다. 블루투스 등을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하고 명령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요구하거나 보낼 때마다 실시간으로 하나의 기계에서와 같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음성 데이터도 핸드폰 수신시 등 실시간으로 전송 가능하다. 실시간으로 동기화 되어서 이용가능하다. 실시간으로 하나의 부속품과 같이 이용가능하다. 마이크달린 무선 이어폰을 통화시 쓰듯이 실시간 연결 기술로 명령을 주고 받으면서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간 연결기술이란 위에서와 같이 명령을 주고 받으면서 하나의 기계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여러 부품이 없는 상태로 핸드폰의 부품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핸드폰의 부속품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하는 칩을 넣을 수 있다.
전선을 이용할 경우 데이터뿐만 아니라 배터리도 필요 없게 할 수 있다.
카메라, 글래스형 모니터, 이어폰, 마이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배터리가 추가될 수 있다.
핸드폰과 연결가능한 블루투스, 카메라, 글래스형 모니터, 이어폰, 마이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경형도 가능하지만 헤어밴드형도 가능하다. 헤어밴드형이 머리에 더 잘 고정될 수 있다. 머리 위로 되어 있는 헤어밴드의 경우 특히 중력에 의해 무게가 아래 방향을 향하게 되는데 이를 잘 지지해 준다. 머리 뒤로도 고정 가능하다.
눈 바로 앞에 있는 안경형은 눈이 나빠질 수 있고 초점을 맞추기가 쉽지 않아 잘 보이지 않는다. 바로 앞 눈에서 2cm 정도의 거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므로 어지러움이 높을 수 있다.
눈에서 10cm 정도 떨어지도록 글래스를 눈에서 부터 거리를 두게 하는 확장된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다. 5cm 도 가능하다. 5cm 이상 15cm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안테나 형으로 하여 한번더 길이 조절부를 주어 눈으로 부터의 거리가 20cm 이상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람마다 초점을 맞추기 용이한 길이도 다르므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가 용이하다.
눈에서 10cm 는 되어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30cm 정도 되어야 눈이 편안함을 느끼지만 잠깐 보는 용도로 10cm 정도는 소화할 수 있다.
보통 때는 짧게 해 두었다가 잠시 볼때는 10cm - 15cm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게 하면 된다.
보통 귀에서 눈까지의 길이는 15cm 정도의 거리의 지지대를 둔다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헤드셋에 있을 경우 모니터를 보며 자연스럽게 통화할 수 있어 영상전화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 바로 옆에 자신의 얼굴을 찍게 카메라를 둘 수도 있다. 확장된 지지대에 카메라가 있을 경우 얼굴을 촬영하기 쉬운 거리에 있어 더욱 유리하다.
이곳의 반대편에 바깥쪽을 향하여 자신이 보는 것을 촬영가능하도록 바깥쪽 카메라도 둘 수 있다.
무선통신을 모니터 쪽에 두게 하여 머리로부터 거리를 두게 하여도 된다. 안테나, 블루투스 등을 무선기기로 둘 수 있다.
이 확장된 지지대는 접이식, 주름식 모두 가능하다.
거리 조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안테나형이 효율성이 높다.
안쪽 카메라의 경우 경사를 주어 자신의 얼굴이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전체를 각도를 주어 돌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카메라를 회전하여 안쪽과 바깥쪽 모두 볼 수 있도록 하며 하나만으로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부 각자 각도를 따로 주도록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일체형으로 카메라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어느정도 각도를 주도록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은 구글글래스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일정 거리가 필요하므로 2배에서 4배 이상도 가능하다.
양쪽으로 이어폰이 있어도 된다.
이 부속품을 쓰는 여러 앱을 만들 경우 기능이 더욱 많이 확장 가능하다.
도2 형태에도 여러 칩이 장착가능하게 하고 배터리 장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 1과 도2의 형태는 서로 섞어서 사용 가능하다.
도1에서도 머리로 고정시키는 헤어밴드를 줄 수 있다.
앱에서 헤드셋용 안경형 디스플레이에는 일부분의 화면만 전송되도록 하고 운영체제에서도 헤드셋용으로는 일부분의 디스플레이만 보여 보기 편하도록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구형 핸드폰에 연결하여 쓸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확장된 지지대의 카메라 부분에 무선연결부분에 블루투스를 둘 수 있다.
렌즈를 디스플레이 뒤에 배치하여 렌즈를 가까이서 볼 때도 30cm 이상의 거리에서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30cm 이상의 거리를 두어 보면 눈이 나빠지지 않기 때문에 눈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 20cm 정도에서 보는 것과 같은 효과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볼록렌즈를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유리로 되어 있을 경우 눈을 향한 쪽의 유리 자체를 볼록하게 할 수 있다.
안경을 끼고 디스플레이 부를 봤을 때 30cm 이상의 거리를 볼 때와 같이 편안하고 눈에 해롭지 않게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Lcd 등으로 되어 있을 경우 Lcd 등의 눈을 향한 쪽에 볼록렌즈막을 줄 수 있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와 같은 고분자 재질을 줄 수 있다. 소프트 렌즈와 같은 렌즈를 눈쪽을 향하여 부착할 수 있다. Lcd 에 볼록 렌즈 효과를 주는 것을 부착할 수 있다. 원시용 렌즈와 같은 효과를 주는 것을 부착할 수 있다. 안경을 끼고 헤드셋을 쓰고 디스플레이부를 보면 되기 때문에 시력이 나쁜 사람에게 일일이 맞출 필요가 없다.
눈을 다칠 염려가 적다.
안경을 끼더라도 2cm 정도의 바로 앞을 계속 보고 있으면 초점은 맞더라도 눈에 피로를 주고 눈을 나빠지게 한다.
터치패드를 줄 수 있다. 평면으로 줄 수 있다. 곡면으로 줄 수 있다. 배터리 부분이나 칩 부분에서 위쪽을 터치패드로 하여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지지대를 내리면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지지대 부분과 헤드셋 부분사이에 힌지를 주어 접혀 놓았다가 지지대를 내리도록 할 수 있다. 확장된 지지대 부분만 접히도록 할 수도 있다.
확장된 지지대를 펼칠 경우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설정하면 켜지는 신호를 바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형으로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만 케이스를 두도록 할 수 있다. 칩 등이 있는 부위에 젤리케이스를 둘 수 있다.
안경형에 안경 다리부분에서 확장시켜 확장된 지지대를 주도록 할 수 있다.
안경을 헤드셋형으로 할 수 있다. 코에 눌리는 부분이 없게 된다. 안경을 머리위로 올려놓기 편리하다. 돋보기에서 특히 편리하다. 안경다리를 힌지로 헤드밴드에 연결시켜 올렸다 내릴 수 있다.
구글 글래스의 경우도 안경에서 약간 나와 있는데 1cm - 2cm 정도의 거리로써 눈에서 10-20cm 가 가능한 확장된 지지대와는 다르다. 또한 구글 글라스는 도수를 안경 부분에 주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주는 본 고안과 다르다.
디스플레이부는 프로젝터형과 LCD, 아몰레드, 유리, 고분자 등과 같은 형태가 가능하다. 안경형 핸드폰 디스플레이 헤드셋은 헤드셋형이나 안경형을 모두 포함한다.
화면에서 동영상을 이름이나 별명 등의 근처에 둘수 있다.
화상통화가 되는 채팅, 문자가 가능하다.
핸드폰 등의 채팅에 있어 영상화면을 보면서 소리가 아닌 문자를 이용하여 대화가 가능하다. 채팅창과 같이 글자를 입력하고 사진 등의 프로필 부분에 동영상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문자 터치가 영상을 보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나 영상이 채팅중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고 전달 내용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전달하는 화상의 크기를 자신이 원하는 여러 단계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채팅 창에 있으면 문자 전달 중이 아니어도 화면에 비친 모습을 계속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대기 중에도 메신저에 사람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sn 과 같이 여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여러 채팅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문자를 받는 것과 동시에 영상 채팅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버튼을 누를 수 있다.
프로필사진란에 상대방의 통화 실시간 영상 동영상을 보이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문자창이나 채팅창, 회의창 모두 가능하다.
윗부분에 채팅창에 연결된 사람의 실시간 영상 동영상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화상회의에 있어서도 화상 문자 채팅으로 대화를 할 수 있다.
화면이 나오는 부분만 스트리밍 되도록 할 수 있다.
아이콘형 동영상으로 대화명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대화명 옆에 위치할 수 있다. 대화명 앞에 위치할 수 있다. 대화명 위나 아래에도 위치할 수 있다. 반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전기로 움직이는 바퀴가 달린 핸드폰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와 프로세서와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 기기에 있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기로 회전하는 바퀴가 달린 모바일 기기가 가능하다.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바퀴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네 귀퉁이에 바퀴가 달리도록 할 수 있다. 앞바퀴나 뒷바퀴 부분에만 모터가 달리도록 할 수 있다. 두개의 바퀴만 달리도록 할 수 있다. 한개의 바퀴만 달리도록 할 수도 있다. 가운데 등에 한개의 바퀴만 달리도록 할 수도 있다.
핸드폰 이름을 부르는 등 부르는 메시지를 전하면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오도록 할 수 있다.
바퀴가 살짝 나와 있을 경우 바퀴를 달기 전과 비교해 사용상 불편함 점이 없어 유리하다. 바퀴의 1/4 이하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 두께의 1/4이상의 길이로 바퀴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1/10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경우 카펫등에서는 움직이기 어려울 수 있다. 1/4-1/20 사이의 값이 될 수 있다.
카메라를 회전하는 카메라를 달도록 할 수 있다. 회전을 수동으로나 프로그램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앱을 응용하여 카메라 각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핸드폰을 디스플레이부를 위를 향하여 바닥에 놓았을 때 바닥 앞부분을 향하여 길을 찾아서 막혔는지 앞부분 아래가 아무것도 없는지 알 수 있도록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다.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기 전에 멈춰서도록 할 수 있다.
바퀴크기는 뒤로나 앞으로 놔두어도 움직이도록 핸드폰 두께보다 두꺼운 지름을 가져도 된다.
진동 모드 대신 핸드폰이 움직이도록 하여 전화를 받기 수월할 수 있다.
장난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로봇 장난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로보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여려가지 앱을 만들 수 있다.
알람으로 사용할 때 바퀴를 이용하여 움직이도록 하고 잡으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이때는 불러도 오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아기를 돌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아기를 쫓아다니도록 하여 카메라로 보여주도록 할 수 있다. 멀리서 관찰 가능하다. 아기와 놀아주도록 할 수 있다.
아이 교육용 앱을 만들 수 있다. 영어를 들려주면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영어 대화를 하면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말을 하면서 움직일 수도 있다. 카메라센서를 이용해 물건을 인식한 후 물건까지 가서 움직인 후 물건의 이름을 영어로 부를 수 있다. 영어 다음 우리나라 해석을 하여 영어 공부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o" 라는 말 후 "앞으로" 라는 말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다른 말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화면에는 영어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여러가지 게임을 할 수 있다.
펜을 부착시키면 그림을 그리도록 할 수 있다. 글씨를 쓰도록 할 수 있다.
강아지 로봇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종이, 명함 등을 핸드폰에 올려놓고 상대방 자리에 전해주도록 할 수 있다.
바퀴를 작게 할 경우 거추장스럽지 않게 장착하여 사용가능하다.
바퀴를 확장하여 달도록 할 수 있다.
바퀴 옆에 부착하여 바퀴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앞바퀴나 뒷바퀴에만 큰 바퀴를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신축성 있는 소재로 바퀴를 감싸 더 큰 바퀴를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 밑에 바퀴 판을 장착하고 배터리 충전단자 부분에 선으로 연결시켜 배터리와 정보를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난감 차 등 여러가지로 이용 가능하다.
바퀴를 더 부착하여 핸드폰이 일어서도록 할 수 있다. 핸드폰이 울리면 찾기 쉽게 일어서도록 할 수 있다.
바퀴에 때가 안 타도록 별도의 고무덮개를 끼워 넣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핸드폰 젤리 범퍼와 같이 ㄷ자 형으로 바퀴를 감쌀 수 있다.
더 큰 바퀴를 밖에 끼워넣도록 할 수 있다. 큰 바퀴 부착 후 뒤에 빗자루 등을 매달아 청소 등을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주먹만한 소형의 간이 진공청소기를 매달 수도 있다. 간이 진공 청소기를 핸드폰 뒤에 장착 가능하도록 만들어 장착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람은 왼쪽이나 오른쪽 등 측면으로 나가도록 할 수 있다.
소형 간이 진공청소기를 단 바퀴판을 핸드폰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재 주먹보다 작은 책상 지우개 털이용 소형 진공청소기도 나와 있어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는 Pda, 패드, 태블릿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핸드폰에 리모컨 앱과 함께 써서 부르면 오는 기능과 합쳐서 움직이는 리모컨으로 사용 가능하다.
집에 놔둘 경우 현관문이 잠겼는지 가스밸브를 잠궜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용이하다.
어두울 때 찾을 때도 용이하다.
동영상 촬영시 카메라 촬영이 동시에 되는 기기가 가능하다.
동영상 촬영시 사진이 찍히도록 설정된 사진 버튼을 누르면 사진이 별도로 저장되고 동영상은 계속 촬영되도록 하는 동영상 촬영중에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기기가 가능하다. 이 기기는 디스플레이부와 렌즈부, 저장부, 이미지 센서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기기가 터치형 디스플레이가 있는 장치일 경우 사진촬영 메세지가 있는 버튼을 만드는데 유리하다.
사진모드 교환 버튼 외에 동영상 촬영시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사진 촬영 버튼을 둘 수 있다.
동영상 촬영시 사진 촬영 버튼을 누르면 사진이 찍히도록 할 수 있다.
이 촬영 버튼은 일반 버튼도 가능하다. 여러가지 버튼으로 설정 가능하다.
이때 사진 촬영시 설정해둔 화소로 찍히도록 할 수 있다.
사진 촬영중 화면에도 동영상 촬영 버튼을 두어 한번에 촬영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경비용으로는 적외선으로 사람이 움직임이 관찰 될 때만 고화질의 사진 촬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 수동으로 몇 장면을 고화질로 촬영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적외선 장치가 없더라도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움직임이 관찰되면 동영상을 고화질로 촬영하거나 사진을 고화질로 촬영하여 얼굴이 알아보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뿐만 아니라 휴대폰, 캠코더와 같은 모바일 기기 등 여러기기에서 이용 가능하다.
동영상 녹화를 사진 화면에서 한번에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홀딩화면에서의 부호입력의 경우 홀딩화면만 업데이트 하면되어 이용이 편리할 수 있다.
손가락을 세우거나 눕히는 키패드의 경우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 하면 되어 이용이 편리할 수 있다.
핸드폰 이중 운영체제의 경우 핸드폰 통화 칩이 있으면서도 대형의 패널을 가진 기기가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여기에 사무, 학습에 편리하고 오랫동안 개발된 윈도우와 같은 제2의 운영체제가 핸드폰 통화 운영체제가 가능한 동안에도 켜질 경우 핸드폰에 컴퓨터기능이 완전히 접목되어 컴퓨터를 따로 켤 필요가 없이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다.
최신 시설의 빠른 칩을 이용가능, 컴퓨터를 따로 살 필요도 없을 것이라 예상된다.
대형 모니터를 핸드폰에 연결하여 컴퓨터 본체와 같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기기와 컴퓨터의 2개의 기기를 만들 때 보다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센서 등의 부품을 아낄 수 있으면서도 두가지 운영체제를 각각의 운영체제 처럼 안정적이고 충돌 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한손으로 화면을 확대하는 경우 멀티터치가 불가능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확대가 빨라 사용이 편리하다.
보조 화면의 경우 노트북과 사용할 수 있어 이용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중운영체제를 사용할 경우 윈도우 운영체제도 사용할 수 있어 노트북과 같게 사용 될 수 있다.
배터리의 경우 극소형의 내장 배터리면 충분하여 이용이 편리하다.
키보드의 경우 센서의 간격을 넓혀 가격의 효율성을 높인다.
핸드폰 글래스의 경우 눈이 피로하지 않아 이용을 높일 수 있다.
본 문자 화상통화의 경우 동영상이 크지 않아 사용이 부담스럽지 않아 이용율을 높일 수 있다.
바퀴달린 핸드폰의 경우 인공지능 움직임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사용가능하며 새로운 앱과 연계가 쉬워 이용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일 수도 있다.
동영상과 동시에 카메라 찍는 것이 가능할 경우 일상 생활은 물론 방범에서도 이용이 가능하여 이용율이 높을 수 있다.

Claims (42)

  1. 터치스크린이 있는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홀딩 화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이 존재하고 상기 버튼 모양의 위치에 버튼 구역이 존재하고 상기 홀딩화면에서 각각의 상기 버튼 구역내 정해진 부호를 입력하면 상기 버튼 구역에 해당하는 각각의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홀딩화면을 갖는 휴대용 기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최근번호를 나타낸 휴대용 기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단축번호를 나타낸 휴대용 기기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부호가 V인 휴대용 기기
  5. 하나의 하우징 안에 두개 이상의 운영체제, 2개이상의 바이오스를 지니고, 2개이상의 cpu, 2개 이상의 저장공간을 지녀 각각 부팅하여 충돌 없이 동시에 가동 가능하여 한 화면에 선택부에 의해 교체로 디스플레이되는 장치
  6.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누르면 화면이 상기 2개 이상의 운영체제에서 하나의 운영체제에서 다른 운영체제로 전환되는 버튼으로 되어 있는 장치
  7.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상기 다른 운영체제의 부팅 버튼이 있는 장치
  8.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서 짧게 누르면 화면이 전환되고 길게 누르면 부팅이 되는 선택부를 지니는 장치
  9.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 이상의 운영체제중의 한개 이상이 즉시 전화를 거는 기능을 포함하는 핸드폰 운영체제인 장치
  10.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 이상의 운영체제가 상기 한 화면에서 분할되어 동시에 표현되는 장치
  11.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cpu 와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과 상기 각각의 롬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각각 리셋 가능하여 하나의 시스템은 동작 가능하도록 유지한 채 다른 시스템은 리부팅이 가능한 장치
  12.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서 램이 2개 이상으로 각각 분리되어 각각의 운영체제가 분담하고 있는 장치
  13. 하나의 운영체제에 전원을 누르면 하나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었던 상기 운영체제가 하나의 롬과 cpu로 실행되는 단계와 다른 운영체제 버튼을 누르면 다른 저장공간에 저장되어있던 다른 롬과 다른 cpu로 상기 다른 운영체제가 동시에 실행되는 단계와 그 실행 화면에서 선택부를 누르면 처음의 상기 하나의 운영체제로 곧바로 전환되는 단계를 가지는 방법
  14. 터치스크린이 있는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키패드에 쓰여 있는 글자에 있어서 버튼 하나에 두개 이상의 글자를 지니는 버튼이 있고 상기 두개 이상의 글자 중에 면적을 좁게하면 좁게 터치 했을때 입력되도록 한 하나가 면적을 넓게 터치하면 넓게 터치 했을때 입력되도록한 다른 하나가 선택되는 휴대용 기기
  15. 청구항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글자 부분에 부호가 표시된 휴대용 기기
  16. 청구항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가 하나는 큰 동그라미 이고 다른 하나는 작은 동그라미인 휴대용 기기
  17.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기능 장치에서, 화면을 특정 범위의 각도를 주어 밀거나 각도를 주어 터치하는 신호를 인식하면 이에 따라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화면 스케일이 변하는 화면 터치 방법을 이용한 화면이 손가락의 터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의 장치
  18. 청구항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에서 오른쪽 45도 위를 향하여 45도 이상과 이하로 인식범위에 같은 각도의 여분을 주고 축소는 왼쪽 45도 아래를 향하며 45도 이상과 이하로 같은 각도의 여유분을 주어 설정하는 방법의 장치
  19. 청구항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범위의 각도가 꺾이는 지점을 지니는 v를 그려 상기 꺾이는 지점에서 확대되도록 하는 방법의 장치
  20.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부가적으로 화면을 확장시킬 수 있는 보조화면에 상기 보조화면과 상기 모바일 기기 각각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부위를 마련하여 상기 연결부위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와 분리하여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보조화면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고정할 수 있는 홈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있고 상기 보조화면을 상기 모바일 기기에 꽂아 고정하고 연결할 수 있는 장치가 상기 보조 화면에 있고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일체로 삽입하여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있는 모바일 기기의 보조화면
  21. 청구항 20항에 있어서,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상기 홈이 측면에 있고 상기 연결부위에 컨넥터가 있고 상기 보조 화면의 상기 연결부위에 힌지가 있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의 보조화면
  22. 청구항 2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가 충전단자로 된 모바일기기의 보조화면
  23. 교환 가능한 배터리가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소형 내장 배터리가 있고 상기 교환 가능한 배터리를 빼내기 전에 미리 배터리 교환 신호를 주면 내장 배터리로 배터리 전원을 교환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4. 청구항 23항에 있어서, 배터리커버에 접속 단자를 두어 외장 배터리 커버가 열렸는지 체크하게 하여 상기 교환 신호가 배터리 커버가 열리면 배터리 커버가 열렸음을 나타내는 신호인 휴대용 전자기기
  25. 청구항 2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가능한 배터리의 교환의 완성 신호가 외형 배터리의 교환인 경우
  26. 청구항 2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배터리가 일정이상 소진되었을 때 외장 배터리의 전기를 내장배터리로 보내 충전하도록 전류를 흐르게 하는 휴대폰 기기
  27. 판넬과 그 위에 글자가 표시되어 있고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있는 키보드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는 키보드의 상기 센서 지점의 간격을 다르게 한 키보드
  28. 청구항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아랫부분 자판의 센서의 세로의 센서 간격을 평균 간격 보다 촘촘히 한 키보드
  29. 청구항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양 끝부분 자판의 가로 센서 간격을 평균 간격보다 촘촘히 한 키보드
  30. 청구항 제 27항에 있어서, 설정한 가장 넓은 간격을 2.5mm 이상 8mm 이하로 터치를 감지하게 하는 키보드
  31. 얼굴이나 머리에 장착 가능한 지지대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안경형 디스플레이 헤드셋에 있어서, 안경지지대에서 눈으로부터 모니터까지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귀 지지대 반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확장된 지지대를 가지고 상기 확장된 지지대 끝 부분에 디스플레이부를 연결시킨 안경형 디스플레이 헤드셋
  32. 청구항 제 31항에 있어서,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상기 확장된 지지대의 길이조절부를 갖는 안경형 디스플레이 헤드셋
  33. 청구항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지지대 끝 부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옆부분에 무선 연결장치가 장착된 안경형 핸드폰 디스플레이 헤드셋
  34. 청구항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지지대 끝 부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옆부분에 안쪽 카메라가 장착된 안경형 핸드폰 디스플레이 헤드셋
  35. 청구항 제 31항에 있어서, 실시간 연결 기술 부분으로 이루어진 핸드폰 부속품으로 사용가능한 안경형 핸드폰 디스플레이 헤드셋
  36.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안경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렌즈가 볼록한 렌즈로 되어 멀리서 보는 효과를 지닌 안경형 핸드폰 디스플레이 헤드셋
  37.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가 존재하는 핸드폰 등의 전자기기에서 실시간 동영상을 보면서 글자입력을 통해 대화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이 상기 대화명과 연결하여 반복하여 보이는 화면을 가지는 전자기기
  38. 디스플레이부와 프로세서와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 기기에 있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기로 회전하는 바퀴가 달리고 상기 바퀴의 일부는 케이스에 들어간 상태로 달린 모바일 기기
  39. 렌즈와 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가져 사진과 동영상이 찍히는 디지털 기기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촬영시 사진이 찍히도록 설정된 사진 버튼이 있어 이를 누르면 사진이 별도로 저장되고 상기 동영상은 계속 촬영되도록 하는 동영상 촬영중에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기기
  40. 청구항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에서 찍히는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진을 자동으로 찍어 저장시키는 디지털 기기
  41. 청구항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의 감지가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인 디지털기기
  42. 청구항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이 동영상 촬영시보다 고화소의 사진인 디지털 기기
PCT/KR2013/007692 2012-08-19 2013-08-27 핸드폰 시스템 WO201403098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408 2012-08-19
KR1020120090408A KR20140023838A (ko) 2012-08-19 2012-08-19 핸드폰 운영체제 시스템
KR10-2012-0093988 2012-08-27
KR20120093988 2012-08-27
KR10-2012-0095963 2012-08-30
KR20120095963 2012-08-30
KR10-2012-0099658 2012-09-09
KR1020120099658A KR20140033625A (ko) 2012-09-09 2012-09-09 핸드폰 화면
KR10-2012-0127784 2012-11-12
KR1020120127784A KR101501811B1 (ko) 2012-08-27 2012-11-12 터치 화면 확대 기술
KR1020130001371A KR20140089682A (ko) 2013-01-06 2013-01-06 홀딩화면에서의 프로그램 실행 방법
KR10-2013-0001371 2013-01-06
KR10-2013-0012636 2013-02-04
KR1020130012636A KR20140099788A (ko) 2013-02-04 2013-02-04 핸드폰 배터리 시스템
KR10-2013-0018337 2013-02-20
KR20130018337 2013-02-20
KR1020130024206A KR20140104312A (ko) 2013-02-20 2013-03-06 터치패드 겸용 버튼
KR10-2013-0024206 2013-03-06
KR10-2013-0030591 2013-03-21
KR1020130030591A KR20140115693A (ko) 2013-03-21 2013-03-21 핸드폰 화면
KR10-2013-0033140 2013-03-27
KR1020130033140A KR20140119259A (ko) 2013-03-27 2013-03-27 카메라 촬영 시스템
KR10-2013-0033993 2013-03-28
KR1020130033993A KR20140118323A (ko) 2013-03-28 2013-03-28 핸드폰
KR1020130051585A KR20140132254A (ko) 2013-05-07 2013-05-07 글래스형 핸드폰
KR10-2013-0051585 2013-05-07
KR1020130056089A KR20140135582A (ko) 2013-05-16 2013-05-16 글래스형 핸드폰
KR10-2013-0056089 2013-05-16
KR10-2013-0065018 2013-06-05
KR1020130065018A KR20140143061A (ko) 2013-06-05 2013-06-05 화상통화
KR10-2013-0100017 2013-08-22
KR1020130100017A KR20140029220A (ko) 2012-08-30 2013-08-22 터치 스크린 화면 기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986A1 WO2014030986A1 (ko) 2014-02-27
WO2014030986A4 true WO2014030986A4 (ko) 2014-05-01

Family

ID=5015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7692 WO2014030986A1 (ko) 2012-08-19 2013-08-27 핸드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309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3341A (zh) * 2017-12-27 2018-05-25 兴天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手机的显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3530A (ja) * 2005-06-30 2007-01-18 Orion Denki Kk キーロック解除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608774B1 (ko) * 2009-08-11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587733B2 (ja) * 2010-10-27 2014-09-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ロック状態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ロック状態制御方法
US9027117B2 (en) * 2010-10-04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access-level lock screen
TWI546700B (zh) * 2011-01-13 2016-08-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手持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與電腦程式產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3341A (zh) * 2017-12-27 2018-05-25 兴天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手机的显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986A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440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82508A1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953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9276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420443A2 (en) Mobile device with touch scree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618213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1426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0171287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17119529A1 (ko) 이동 단말기
WO2016200136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of portable device
WO2017034126A1 (ko) 이동단말기
WO2016060342A1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182692A1 (en) A mobile terminal,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WO2015093667A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21246801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7086538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19048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020801A1 (ko) 이벤트에 따라 형태가 전환되는 접이식 전자 장치 및 그 접이식 전자 장치의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
WO2020171318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21033808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21246802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19488A1 (ko)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8070579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8247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1192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WPC Withdrawal of priority claims after completion of the technical preparations for international pub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2012-0090408

Country of ref document: KR

Date of ref document: 20150210

Free format text: WITHDRAWN AFTER TECHNICAL PREPARATION FINISHED

Ref document number: 10-2012-0093988

Country of ref document: KR

Date of ref document: 20150217

Free format text: WITHDRAWN AFTER TECHNICAL PREPARATION FINISHED

WPC Withdrawal of priority claims after completion of the technical preparations for international pub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2012-0099658

Country of ref document: KR

Date of ref document: 20150216

Free format text: WITHDRAWN AFTER TECHNICAL PREPARATION FINISHED

Ref document number: 10-2012-0095963

Country of ref document: KR

Date of ref document: 20150216

Free format text: WITHDRAWN AFTER TECHNICAL PREPARATION FINISHED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43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43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