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220A - 터치 스크린 화면 기술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화면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220A
KR20140029220A KR1020130100017A KR20130100017A KR20140029220A KR 20140029220 A KR20140029220 A KR 20140029220A KR 1020130100017 A KR1020130100017 A KR 1020130100017A KR 20130100017 A KR20130100017 A KR 20130100017A KR 20140029220 A KR20140029220 A KR 20140029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angle
degrees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PCT/KR2013/00769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30986A1/ko
Publication of KR2014002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확대하고 싶은 곳에 각도를 주어 터치하면 한 손가락으로 화면을 확대할 수 있게 하여 손쉽게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고안이다.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기술은 화면을 확대하는데 있어서 한 손가락이 아니라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에 화면을 각도를 주어 밀거나 터치하는 신호를 인식하면 화면이 확대 되거나 축소되어 화면 스케일이 변하는 화면 터치 방법을 이용한 화면이 손가락의 터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두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더 많은 신경을 기울여야 하여 조작이 불편한데 한 손가락을 사용할 경우 한 손으로도 사용가능하여 더 편리하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화면 기술 {A touch screen system}
본 고안은 화면을 확대하고 싶은 곳에 각도를 주어 터치하면 한 손가락으로 화면을 확대할 수 있게 하여 한손으로 손쉽게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고안이다. 또한 터치화면에서 인식을 더쉽게 하기 위한 고안이다.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에 대한 고안이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 있다. 여러가지 화면을 터치하여 인식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기술은 화면을 확대하는데 있어서 한 손가락이 아니라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야 한다.
두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한 손가락에 비해 신경을 더 써야해서 불편하다.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해 불편하다. 또한 두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나머지 손으로는 핸드폰을 받치고 있어야 해서 한 손으로의 작동이 힘들다. 한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엄지만 사용할 수 있어 한 손만으로 이용할 수 있어 유리하다.
키패드에서 선택이 쉽지 않다.
화면을 각도를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위 각도에서 특정 각도만 반응하도록 각도를 지정할 수 있다.
지정한 각도에서 윗방향을 화면 확대, 아래방향을 화면 축소로 설정할 수 있다.
각도를 위로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확대되고 각도를 아래로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터치 점을 기준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약간만 각도를 주어도 확대되거나 할 경우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45도를 기준으로 여유분을 두어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45도 위와 아래의 여유분을 같도록 하여 여유분을 설정할 수 있다. 4분면에서 0도나 180도를 기준으로 위 아래로 45도를 줄 수 있다. 즉 왼쪽아래나 왼쪽 위로 방향을 주어도 좋다. 하지만 헷갈릴 수 있으므로 오른쪽 위나 오른쪽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오른쪽 위나 그 반대인 왼쪽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도 더 좋을 수 있다.
특히 화면을 45도 방향으로 밀면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 되도록 할 수 있다. 45도 아래로 밀면 축소 45도 위로 밀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직관적인 방향과 일치하면서도 한 손가락으로 이용가능하다.
또한 많이 밀면 많이 축소되고 조금 밀면 조금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 기기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여기서의 화면은 모바일 폰에서 뿐만 아니라 터치 가능한 여러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에 이제 동안 나온 터치, 멀티 터치 관련 기술을 응용하여 적용가능하다.
여기서의 각도는 처음 터치 좌표에 손을 떼었을 때의 좌표 사이의 각도로도 할 수 있으며 처음 터치시부터 좌표에서 손을 떼었을 때 설정 각도와 여유뷴 안에서 움직였을때 작동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수직이나 수평이나 사선으로 미는 방법은 화면을 움직일 때 많이 사용되는데 기억하기 쉬운 특정 방향을 설정해 놓을 경우나 롱터치나 손가락 마디 풀터치를 등 한손을 핸드폰으로 잡지 않은 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를 미리 줄 경우 미는 길이도 동시에 하나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어 손쉬우면서도 한손으로도 많은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키패드를 풀터치나 반터치를 이용하여 오른쪽 글자와 왼쪽글자를 구별하는 등 입력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화면을 확대하는데 있어서 두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설명을 들어야 알 수 있으며 두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한 손가락에 비해 불편하다.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해 불편하여 적게 사용하게 될 가능성도 크다. 두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더 많은 신경을 기울여야 하여 조작이 불편하다. 두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나머지 손으로는 핸드폰을 받치고 있어야 해서 한 손으로의 작동이 힘들다. 한 손가락을 이용할 경우 한 손만으로 이용할 수 있어 유리하다.
특히 오른쪽 위를 45도를 향하여 밀경우 확대되고 반대방향으로 향할 경우 축소되면 기억하기 간편하고 한손으로 조작이 쉽게 된다.
수직이나 수평이나 사선으로 미는 방법은 화면을 움직일 때 많이 사용되는데 기억하기 쉬운 특정 방향을 설정해 놓을 경우나 롱터치나 손가락 마디 풀터치를 등 한손을 핸드폰으로 잡지 않은 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제스쳐를 미리 줄 경우 미는 길이도 동시에 하나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제스처를 취하는 점의 정보까지 인식되어 손쉬우면서도 한손으로도 많은 정보를 인식시켜 해당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키패드 인식시 풀터치와 반터치 등을 이용하면 일반 키패드와 달리 두번 누르는 일이 거의 없어 빠르며 오타도 획기적으로 줄 수 있다.
도1 - 예시
도2 - 평행한 반대방향
도3 - 키패드 예시
도4 - 입력 인식 예시
화면을 각도를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각도를 위로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확대되고 각도를 아래로 주어 밀거나 터치하면 화면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터치 점을 기준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약간만 각도를 주어도 확대되거나 할 경우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45도를 기준으로 여유분을 두어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화면을 45도 방향으로 밀면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 되도록 할 수 있다. 45도 아래로 밀면 축소 45도 위로 밀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각도가 30도에서 60도인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직관적인 방향과 일치하면서도 한 손가락으로 이용가능하다.
또한 많이 밀면 많이 축소되고 조금 밀면 조금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 기기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여기서의 화면은 모바일 폰에서 뿐만 아니라 터치 가능한 여러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에 이제 동안 나온 터치, 멀티 터치 관련 기술을 응용하여 적용가능하다.
오른쪽으로 회전터치하여 화면을 확대하고 왼쪽으로 회전 터치하여 화면을 축소시킬 수도 있으나 직관적이지 않고 불편할 수 있다.
도1과 같이 각도를 주어 오른쪽 위로 밀거나 오른쪽 아래로 밀 수 있다.
화면을 축소하는 경우는 화면이 확대되었을 때 특정 부분을 크게 보아야 하는 것과는 달리 화면이 축소되어 화면이 더 큰 부분이 표현되므로 축소하고자 하는 위치가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작 부분이 그리 중요하지 않아 제스처가 시작부분을 축소하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더라도 상관없게 된다.
직관적으로 축소되도록 느껴지게 하려면 축소시는 두 손가락을 사용할 때와 같이 손을 떼는 부분의 위치를 축소되는 중심점으로 두도록 할 수도 있으나 차이가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역이 더 많이 표현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상관없게 된다.
설명시 일괄적으로 확대는 오른쪽 위나 축소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하게 할 경우 헷갈릴 염려가 적다. 두 손가락 사용시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위로 밀어낼 때나 터치할 때 손가락으로 확대하는 느낌을 주며 왼쪽 아래로 터치시나 밀어낼 때는 끝나는 부분이 중심점으로 느끼면 줄이는 느낌을 줄수 있다.
한 방향으로 향하면 확대되도록 하고 그 평행한 반대로 향하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평행한 방향으로 오른쪽 위를 향하면 확대되고 왼쪽 아래를 향하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확대가 30도 오른쪽으로 위를 향했으면 축소는 30도 왼쪽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각도가 특정 각도로 정해질 경우 화면 움직이기와 다르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경우 기억하기가 쉽고 화면의 옆이나 위로 움직이도록 하는 행동과 구분된다.특히 45도의 경우 기억하기가 쉬워 유리하다.
손가락 한마디 풀터치와 반터치를 인식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손가락 첫번째 마디의 전면이 닿을 경우 한마디 풀터치로 하고 반이 닿을 경우 반터치로 할 수 있다. 동그랗게 닿느냐 길죽하게 닿느냐를 인식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를 가지고 키패드 조작 등 여러 명령어를 만들 수 있다.
화면 확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손가락 한 마디 풀터치 후 밀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나 다른 각도로 축소하도록 할 수 있다. 오른쪽으로 밀면 확대되고 왼쪽으로 밀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특정 각도를 설정하여도 된다. 각도를 주어 밀때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말한 방법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롱터치후 밀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이 걸려 비효율적일 수 있다. 롱터치 후 오른쪽으로 밀면확대 왼쪽으로 밀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특정 각도를 설정하여도 된다. 각도를 주어 밀때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말한 방법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롱터치 후 미는 방법은 롱터치후 손을 떼지 않고 이어져서 밀 수도 있고 롱터치후 손을 뗀후 다시 터치하여 밀 수 있다.
여기서의 각도는 처음 터치 좌표에 손을 떼었을 때의 좌표 사이의 각도로도 할 수 있으며 처음 터치시부터 좌표에서 손을 떼었을때 설정 각도와 여유분 안에서 움직였을때 작동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수직이나 수평이나 사선으로 미는 방법은 화면을 움직일 때 많이 사용되는데 기억하기 쉬운 특정 방향을 설정해 놓을 경우나 롱터치나 손가락 마디 풀터치를 등 한손을 핸드폰으로 잡지 않은 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제스처를 미리 줄 경우 미는 길이도 동시에 하나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제스처를 취하는 점의 정보까지 인식되어 손쉬우면서도 한손으로도 많은 정보를 인식시켜 해당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위에서와 언급했던 것과 같이 풀터치와 반터치를 키패드의 터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센서나 프로그램 등이 누르는 모양이나 면적 등을 인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만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가 수직센서와 수평센서가 있을 때 이 직교점에서 신호를 인식하게 되는데 이 직교점의 수나 위치 면적등을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면적을 따로 인식 하거나 모양을 따로 인식하고 여기에 중심점의 위치를 따로 계산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마다 다르게 할 수 있다. 키패드에서는 보통 키패드에서와 같이 중심의 위치에 더하여 바로전에서와 같이 원의 직경이나 면적이나 모양을 인식하게 하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하나는 풀터치로 누르고 하나는 반터치로 눌러 반터치는 손가락을 세워서 누르거나 풀터치는 눕혀서 누르는 방식으로 키패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반터치로 누르면 왼쪽을 풀터치로 누르면 오른쪽을 의미하게 할 수 있다.
도3과 같이 키패드에 원의 크기를 다르게 그려 기억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막대기로 길게나 짧게 그리는 등 다른 기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부속적으로 두번 누르면 다른 글자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버튼에 누르는 글자가 세 개가 있을 경우 두개 있는 것은 해당 위치의 터치 방식으로 두번 나머지 한개는 해당 위치의 터치 방식으로 한번을 눌러 선택할 수 있다.
누르는 모양을 인식하여 오른쪽 위쪽으로 길죽한 타원은 오른쪽 글자를 왼쪽 윗쪽으로 길죽한 타원은 왼쪽 글자를 의미하도록 할 수 있다. 오른쪽 엄지가 자연스럽게 닿으면 오른쪽 위쪽으로 길죽한 타원을 만들게 되는데 오른쪽 글자를 의미하도록 하여 직관적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양손을 사용할 때 유리하다.
큰원과 작은원의 직경이나 반경의 경계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원은 직경 0.7mm 이상 작은 원은 0.01mm 이상 0.7mm 보다 작게 등으로 가능하다. 또한 기울어진 모양의 경계도 마찬가지로 설정 가능하다. 원의 최소직경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최소 직경이 0.5mm 이상일 때는 큰원으로 인식하거나 할 수 있다.
일반 키패드와 달리 두번 누르는 일이 거의 없어 빠르며 오타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영어가 아닌 한글, 독어, 불어와 같은 다른 글자에도 이용가능하다. 한글에서 천지인과 섞어서 사용이 가능하다.
키패드 선택버튼이 있을 수 있다.
면적을 인식하는 프로그램과 운영체제 등으로 게임 등 여러 프로그램과 앱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다.
면적을 좁게 하면 섬세하게 공격하고 면적을 넓게 하면 파워가 강하게 공격 하는 게임 등이 가능하다. 면적을 넓게 하면 공격시 시간은 줄이지만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게임 역시 가능하다. 면적을 좁게 할수록 설정을 달리하거나 넓게 할 수록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게 설정 가능하다. 게임에서 특정 명령 실행시 섬세하게 누르면 점수를 더 많이 주는 설정도 가능하다.
음악앱에서도 면적을 더 많이 누르면 소리가 더 커지는 기능이 가능하다.
1 - 필요시 화면 확대가 필요한 기기
2 - 화면에 각도를 위로 주어서 밀거나 터치
3 - 화면에 각도를 아래로 주어서 밀거나 터치
4 - 확대되는 위치
5 - 평행한 반대 방향으로의 터치시 축소
11- 왼쪽글자 12- 오른쪽 글자 13- 왼쪽원
14-오른쪽 원 15- 키패드 선택 16- 왼쪽에서 두번째 글자
17-큰원 인식 18- 작은원 인식 19- 오른쪽 위쪽으로 길죽한 타원

Claims (13)

  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기능 장치에서, 화면을 특정 범위의 각도를 주어 밀거나 각도를 주어 터치하는 신호를 인식하면 이에 따라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화면 스케일이 변하는 화면 터치 방법을 이용한 화면이 손가락의 터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
  2.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기능 장치에서, 화면을 손가락 한마디가 풀터치 후 0도 또는 그 이상의 각도를 주어 밀면 이 제스쳐가 인식되면 화면이 확대되도록 하는 방법
  3.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기능 장치에서, 화면을 롱터치 후 0도 또는 그 이상의 각도를 주어 밀면 화면이 확대되도록 하는 방법
  4. 청구항 1항 또는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위를 향하면 확대되고 밑을 향하면 축소되는 방법
  5. 청구항 1항 또는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에 있어서 손가락이 처음 닿은 부분이 확대되는 방법
  6. 청구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오른쪽으로 수평으로 밀면 확대되고 왼쪽으로 수평으로 밀면 축소되도록 하는 방법
  7. 청구항 1항 또는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에서 터치 길이를 인식하여 확대나 축소의 배율을 조정하는 방법
  8.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에서 지정한 각도를 주면 확대되고 지정한 각도의 평행한 반대 방향으로 각도를 주면 축소되는 방법
  9.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에서 오른쪽 45도 위를 향하여 45도 이상과 이하로 인식범위에 같은 각도의 여분을 주고 축소는 왼쪽 45도 아래를 향하며 45도 이상과 이하로 같은 각도의 여유분을 주어 설정하는 방법
  10. 지정한 각도 주변으로 위 아래로 같은 여유분을 주어 일정각도 이내를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
  11.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에서 오른쪽 45도 위를 향하고 축소는 왼쪽 45도 아래를 향하는 방법
  12. 화면을 한 손가락으로 특정한 각도를 주어 밀거나 터치하는 신호를 인식하면 제스처를 취한 지점 중심으로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화면 스케일이 변하는 화면 터치 방법을 이용한 화면이 손가락의 터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기
  13.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기능 장치에서, 한 손가락만으로 특정 제스쳐를 취하면서 밀면 미는 길이까지 정보로 인식하여 화면이 일정 비율로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제스처를 취한 지점 중심으로 화면 스케일이 변하는 화면 터치 방법을 이용한 화면이 손가락의 터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
KR1020130100017A 2012-08-19 2013-08-22 터치 스크린 화면 기술 KR20140029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7692 WO2014030986A1 (ko) 2012-08-19 2013-08-27 핸드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963 2012-08-30
KR1020120095963 2012-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220A true KR20140029220A (ko) 2014-03-10

Family

ID=5064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017A KR20140029220A (ko) 2012-08-19 2013-08-22 터치 스크린 화면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9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1665A (zh) * 2018-04-08 2018-10-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操作执行方法、装置及移动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1665A (zh) * 2018-04-08 2018-10-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操作执行方法、装置及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004B2 (en) User interfa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883665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touch input system
US9035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US9280265B2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target upon receiving input on display screen of display device
US20130100051A1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target upon receiving input on display screen of display device
JP5640486B2 (ja) 情報表示装置
US20130328778A1 (en) Method of simulating the touch screen operation by means of a mouse
WO2013181881A1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30088752A (ko) 다방향 버튼, 키 및 키보드
US20180046349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CN103425425A (zh) 手写输入选字系统及方法
TWI483172B (zh) 編排行動裝置用戶介面的方法和系統
KR20160019762A (ko) 터치 스크린 한손 제어 방법
WO2016183912A1 (zh) 菜单布局方法及装置
KR101154137B1 (ko) 터치 패드 상에서 한손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US2014035954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ouch operation in the same
JP6183820B2 (ja) 端末、及び端末制御方法
KR101436585B1 (ko) 원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29220A (ko) 터치 스크린 화면 기술
KR20150106282A (ko) 터치 스크린 키패드 기술
KR101436588B1 (ko) 멀티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01811B1 (ko) 터치 화면 확대 기술
KR101436586B1 (ko) 원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90001944U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포인팅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