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312A - 터치패드 겸용 버튼 - Google Patents

터치패드 겸용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312A
KR20140104312A KR1020130024206A KR20130024206A KR20140104312A KR 20140104312 A KR20140104312 A KR 20140104312A KR 1020130024206 A KR1020130024206 A KR 1020130024206A KR 20130024206 A KR20130024206 A KR 20130024206A KR 20140104312 A KR20140104312 A KR 20140104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touch pad
button
touch
touch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PCT/KR2013/00769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30986A1/ko
Publication of KR2014010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의 버튼 대용 기능에 관한 발명이다.
키보드를 터치패드 형식으로 할 때에 전력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스마트 리모컨에서 터치패드가 있으면 공간을 많이 차지 할 수 있다.
키보드에서 큰 격자로 전류를 흘리면 전력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리모콘에서 터치패드에 버튼이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터치패드에서 버튼 대용으로 사용하면 리모콘에서도 공간이 많이 절약된다. 키보드에서도 격자형 전류 키보드 사용으로 전기를 절약하여 터치패드 키보드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어 이물질이 끼지 않는 등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터치패드 겸용 버튼 {touch pad button}
본 발명은 터치패드의 버튼 대용 기능에 관한 발명이다.
이미 터치패드와 키보드를 한 판으로 하여 터치패드를 두드려 버튼 없이 사용하는 기술이 발명되어있다. (출원번호 10-2006-0009030)
또한 스마트 TV 리모콘을 터치패드로 하는 기술도 이미 발명되어 있다.
키보드를 터치패드 형식으로 할 때에 전력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리모콘에서 버튼 공간이 부족하며 텔레비젼 숫자 버튼이 있는 경우가 더욱 편리할 가능성이 높다. 숫자를 그리는 경우 귀찮을 수 있다.
프린트, 인쇄된 필름, 전사, 새김 등을 통해 숫자나 문자를 터치패드에 표시하여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 문자나 숫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PC의 키보드, 노트북의 키보드 등의 키보드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버튼이 달린 모든 기기에서 사용가능하다.
감압식, 정전식 터치패드 모두 사용 가능하다.
TV 리모컨이 터치패드가 장착되어 마우스 겸용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버튼 역시 대용이 가능하다. 버튼을 프린트하거나 인쇄된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새길 수도 있다.
터치패드와 일체로 터치패드 윗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번호를 크게 하여 터치패드 가운데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패드와 하나로 터치 패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두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번호를 가운데 둘 경우 스위치나 스위치 버튼을 두어 터치패드로 사용할지 버튼으로 사용할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불이 들어와 터치패드를 선택하였는지 버튼을 선택하였는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버튼 영역을 설정하여 그 범위를 터치하면 숫자나 문자 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숫자 등의 문자 주위에 버튼 영역을 표시하거나 네모나 동그라미로 적정 영역을 표시해 주어도 된다.
타블릿으로 사용가능하고 터치패드로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키보드를 이와 같이 인쇄된 터치패드의 형식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가 많이 사용되는데 정전식의 경우 전류를 격자의 크기를 늘려 전기와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1mm 간격의 격자를 줄 수 있다. 0.5mm- 3mm 간격까지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꺼놓게 할 수 있다.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윗쪽 키보드 가로줄의 간격은 넓게 하고 아랫부분 간격은 더 좁게 할 수 있다. 키보드 아랫줄 부분의 자판을 가로줄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할 수 있다. 아랫부분은 0.5mm- 1.5mm 로 가능하다. 0.3mm-2mm 도 가능하다. 50%-100% 추가하여 좁게할 수 있다. 아랫부분 키보드는 손가락 전체를 쓰는 일이 드물고 손가락 일부를 쓰게 되기 때문에 간격이 더 촘촘해야 한다. 따라서 간격을 다르게 배열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세로 방향도 새끼 손가락 끝 부분에서는 좁게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키보드 양끝의 세로방향 간격이 좁게 된다.
넓은 간격의 경우 2.5mm-8mm 간격도 가능하다.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이 만나는 곳에서 터치를 느끼는 지점이 생성된다.
감압식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1mm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또 위와 같은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또한 압력을 주는 점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 터치패드와 키보드 부분의 터치패드를 일체로 할 수 있다. 터치패드 부분은 전체를 전류를 흘리게 하고 키보드 부분은 격자식으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스마트 리모컨의 경우 윗쪽 숫자 있는 부분은 전류를 격자형으로 흘리도록 할 수 있다.
키보드의 경우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이 잘 들어가지 않는다. 키보드를 닦기 쉽다. 손이 조금만 닿아도 키보드가 쳐져서 누르는 힘이 적게 들고 오타도 줄어들 수 있어 타이핑이 편리하다. 격자형 전류를 흘림으로써 인식능력은 같으면서도 전력이 조금 들 수 있다.
스마트 리모컨의 경우 버튼을 별다른 장치의 추가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키보드에서 아랫판 간격을 좁게 할 경우 아랫판을 칠 때 손가락을 세워치기 쉽고 새끼 손가락으로 타자하는 부분은 손마디가 세로로 닿기 쉬워 터치 면적이 좁아지게 되는데 손가락이 닿는 위치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절전과 자원의 절약역시 가능하다.
한손가락으로 칠때도 마찬가지로 손끝 전체가 닿아 간격이 충분하다.
도1- 격자형 전류 패드 키보드
도2- 숫자가 윗부분에 있는 터치패드 리모컨
도3- 큰 숫자 버튼의 터치패드를 가진 리모컨
도4- 센서 간격에 변화를 준 키보드
프린트, 인쇄된 필름, 전사, 새김 등을 통해 숫자나 문자를 터치패드에 표시하여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 문자나 숫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PC의 키보드, 노트북의 키보드 등의 키보드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버튼이 달린 모든 기기에서 사용가능하다.
감압식, 정전식 터치패드 모두 사용 가능하다.
TV 리모컨이 터치패드가 장착되어 마우스 겸용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버튼 역시 대용이 가능하다. 버튼을 프린트하거나 인쇄된 필름을 부착 할 수 있다. 새길 수도 있다.
터치패드와 일체로 터치패드 윗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번호를 크게 하여 터치패드 가운데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패드와 하나로 터치 패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두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번호를 가운데 둘 경우 스위치나 스위치 버튼을 두어 터치패드로 사용할지 버튼으로 사용할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불이 들어와 터치패드를 선택하였는지 버튼을 선택하였는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버튼 영역을 설정하여 그 범위를 터치하면 숫자나 문자 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숫자 등의 문자 주위에 버튼 영역을 표시하거나 네모나 동그라미로 적정 영역을 표시해 주어도 된다.
타블릿으로 사용가능하고 터치패드로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키보드를 이와 같이 인쇄된 터치패드의 형식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가 많이 사용되는데 정전식의 경우 전류를 격자로 흘려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1mm 간격의 격자를 줄 수 있다. 0.5mm- 3mm 간격까지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꺼놓게 할 수 있다.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수 있다. 1mm-8mm 간격도 가능하다.
윗쪽 키보드 가로줄의 간격은 넓게 하고 아랫부분 간격은 더 좁게 할 수 있다. 키보드 아랫줄 부분의 자판을 가로줄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할 수 있다. 아랫부분은 0.5mm- 1.5mm 로 가능하다. 0.3mm-2mm 도 가능하다. 50%-100% 추가하여 좁게할 수 있다. 아랫부분 키보드는 손가락 전체를 쓰는 일이 드물고 손가락 일부를 쓰게 되기 때문에 간격이 더 촘촘해야 한다. 따라서 간격을 다르게 배열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세로 방향도 새끼 손가락 끝 부분에서는 좁게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키보드 양끝의 세로방향 간격이 좁게 된다.
넓은 간격의 경우 2.5mm-8mm 간격도 가능하다.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이 만나는 곳에서 터치를 느끼는 지점이 생성된다.
감압식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1mm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또 위와 같은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또한 압력을 주는 점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 터치패드와 키보드 부분의 터치패드를 일체로 할 수 있다. 터치패드 부분은 전체를 전류를 흘리게 하고 키보드 부분은 격자식으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감압식으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1mm 간격의 센서를 줄 수 있다.
노트북의 경우 터치패드와 키보드 부분의 터치패드를 일체로 할 수 있다. 터치패드 부분은 전체를 전류를 흘리게 하고 키보드 부분은 격자식으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스마트 리모컨의 경우 윗쪽 숫자 있는 부분은 전류를 격자형으로 흘리도록 할 수 있다.
키보드가 판으로 되어 있고 버튼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적외선으로 손의 거리를 인식하여 키보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복잡한 장치가 필요 없어 편리하다. 적외선으로 키보드 자판이 그려질 경우 눈이 피로할 수 있는데 눈이 피로할 염려도 적다. 적외선 기기가 따로 있을 경우 올려놓는 위치를 키보드 판에 표시해도 되고 노트북의 경우 LCD 아래에 적외선이 나오는 곳이 LCD 각도에 따라 거리가 달라지는데 노트북 각도와 키보드 거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계산하면 된다.
시중에 나온 적외선 키보드를 응용하여 적외선 피아노 건반 등을 만들 수 있다. 적외선 키보드가 있을 경우 프로그램 제작만으로도 가능하다.
키가 있는 곳에 격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보통 키가 입체적으로 생겼는데 네모 안에 네모를 또 그려넣을 수 있다.
현재 나와 있는 형태와 같이 키보드 안이나 아래에 터치패드가 있는 형태 역시 가능하다. 이때 키보드의 격자간격은 크게 되고 터치패드의 격자 간격은 매우 좁을 것이다. 따라서 따로 격자를 만드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가로줄 간격을 더 촘촘히 할 경우 센서의 세로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1 - 터치패드
20 - 숫자 21 - 큰숫자 22 - 스위치 30 - 리모콘
40 - 키보드 41 - 키보드 터치패드 42 - 인식영역 43 - 격자
51 - 좁힌 가로줄 (키보드 아랫부분) 52 - 좁힌 세로줄 (키보드 새끼 손가락 부분)

Claims (6)

  1. 터치패드와 같이 터치를 감지하는 키보드의 센서 지점의 간격을 크게하여 터치를 감지하게 하는 키보드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키보드 아랫부분 자판의 센서의 세로의 간격을 더 촘촘히 한 키보드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키보드 양 끝부분 자판의 가로 간격을 더 촘촘히 한 키보드
  4. 터치패드가 장착된 리모콘에 있어서, 터치패드위에 숫자와 같은 문자가 쓰여져 있고 그 영역을 하나의 문자로 인식하도록 하여 버튼입력과 같이 인식하도록 하여 버튼 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리모컨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숫자가 터치패드 윗부분에 쓰여져 있어 일체형으로 하나의 판으로 되어있는 리모컨
  6.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숫자가 터치패드 가운데 쓰여져 있어 버튼의 인식이 쉽고 스위치 버튼이 존재하여 숫자나 터치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리모컨
KR1020130024206A 2012-08-19 2013-03-06 터치패드 겸용 버튼 KR20140104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7692 WO2014030986A1 (ko) 2012-08-19 2013-08-27 핸드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337 2013-02-20
KR1020130018337 2013-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312A true KR20140104312A (ko) 2014-08-28

Family

ID=5174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206A KR20140104312A (ko) 2012-08-19 2013-03-06 터치패드 겸용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3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0424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virtual keyboard with haptic/tactile feedback
KR102171048B1 (ko) 키 형성 기법
CN203054785U (zh) 侧边触摸感应装置
US20140327621A1 (en) Multi-function keys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and previews of functions
TW201324302A (zh) 觸控按鍵模組及其輸入處理方法
CN207115337U (zh) 具有触摸式面板的键盘、以及电子设备
CN104903836A (zh) 用于在移动计算设备上打字的方法和设备
JP200908735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
JP4918529B2 (ja) 統合入力システム
US20150293623A1 (en) Touch interac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WI450146B (zh) 具動態觸感的觸控裝置及其製作方法
TW201504935A (zh) 控制系統及其功能定義方法
KR20140104312A (ko) 터치패드 겸용 버튼
CN205862311U (zh) 具有发光装置的触摸板及电子装置
JP3171486U (ja) ノートパソコンの薄膜タッチキーボード構造
US20070146329A1 (en) Touch keyboard
CN201903863U (zh) 整合式输入装置
CN103513789A (zh) 触控鼠标
CN204515599U (zh) 一种电子设备
CN207182259U (zh) 触摸屏式键盘
CN206584309U (zh) 电磁脉冲触感反馈键盘
CN201607691U (zh) 具有数字绘图触控板的键盘装置
TWM417605U (en) Thin film touch control keyboard structure of laptop computer
TWI478023B (zh) 觸控裝置
KR102604601B1 (ko) 연성회로 기판을 이용한 경량 터치 기반 키보드를 제어하는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