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0948A1 -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0948A1
WO2014010948A1 PCT/KR2013/006157 KR2013006157W WO2014010948A1 WO 2014010948 A1 WO2014010948 A1 WO 2014010948A1 KR 2013006157 W KR2013006157 W KR 2013006157W WO 2014010948 A1 WO2014010948 A1 WO 20140109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lioblastoma
temodal
subtype
azathioprin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1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희영
최길돈
박우규
정대영
김현영
이선경
남도현
설호준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EP13816643.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73419B1/en
Publication of WO20140109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0948A1/ko
Priority to US14/594,448 priority patent/US2015014143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Definitions

  • azathioprin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or temodal resistant glioblastoma, such as a brain tumor (particularly, glioblastoma) containing azathioprine as an active ingredient.
  • glioma Tumors on glial cells that supply nerve cells are called glioma. These gliomas are classified histologically based on nuclear atherosclerosis, apoptosis, vascular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tosis, and are classified as the most malignant grade 4 and diagnosed as glioblastoma multiform (G ⁇ ). [Newlands ES et al. Eur. J. Cancer 32A, 22362241, 1996]. Glioblastoma is the most malignant and most common brain tumor among glioma, accounting for 25% of adult glioma and 15% of pediatric glioma. Currently, there is no medicament other than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and the prognosis i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other tumors.
  • glioblastoma The average survival time after diagnosis is only 14 months [Chakravarti A. et al. Clin Cancer Res. 12, 47384746, 2007. Recently, extensive gene expression studies of glioblastoma have revealed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glioblastoma subtypes. 4 different types of glioblastoma ah form respectively around the nerve subtypes (proneural subtype), mesenchymal i St. subtype (mesenchymal 'subtype), the classical subtype' (c 1 ass i cal subtype ) and Mountain View type subtype (neural subtype). The survival time, average age of patients, and response to existing treatment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subtypes [HS Phillips HS et al, Cancer Ce 11, 9 157173, 2006].
  • Glioblastoma subtypes differ greatly in overexpression and mutation patterns of important genes [Cancer Genome At las Research Network, Nature, 455, 10611068, 2008].
  •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s abnormally overexpressed, and unlike the other three subtypes, there is no mutation in the cancer suppressor gene ⁇ 53.
  • Patients with classical subtypes are known to have a better course of treatment than other subtypes.
  • the ratio of mutations in the ⁇ 53 gene is high in the whole-body subtype, and the mutation rate of the IDHKlsocitrate dehydrogenase (PDHRA) gene and the p late 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a (PDGFRA) gene is also high.
  • PHRA IDHKlsocitrate dehydrogenase
  • PDGFRA p late 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a
  • 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a gene is present only in systemic subtypes. Patients with systemic subtypes are younger than other subtypes, but do not increase their survival with current therapies. In mesenchymal subtypes, mutation ratios of NFl and PTEN cancer suppressor genes are high, as well as mutations of the 'p53' gene. Nerve subtypes are observed mutations in genes found in other subtypes, but do not characteristically show high or low mutation rates.
  • the general method of treating glioblastoma is surgical removal of cancer, followed by radiotherapy followed by chemotherapy with temodal (temozolomide).
  • temodal is the only oral anticancer drug currently used.
  • temodal When temodal is administered to a patient, it initially responds to the drug to some extent, but the resistance to the drug appears quickly, and once the resistance occurs, the treatment is no longer difficult.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ticancer drugs that can treat brain tumors, especially for the treatment of tumors resistant to temodal.
  • the four subtypes of gyo-mose- edema have different genetic backgrounds, so the development of drugs that specifically reflect each subtype is necessary.
  • Temodal is spontaneously degraded in the cell to yield 5- (3-methyltriazine-1-yl) -imidazol-4-carboxamide [5- (3-methyltr iazine-1-yl) -imidazole-4- carboxamide, MITC], which in turn is the active substance 5_ ⁇ ⁇ 1no ol V) dazole ⁇ 4_ ⁇ lebox 1 u] de (5-aminoimidazole-4- Carcinogenic
  • 5-aminoimidazole-4-carboximide can methylate the purine base of DNA, specifically the N7 position (70%) of guanine, N3 position (9%) of adenine and 06 position (6%) of guanine Methylate.
  • methylation of the guanine 06 posi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cancer cell toxicity of temodal.
  • DNA bases modified with 06-methyl guanine induce inconsistencies between DNA strands during DNA replication and result in cell death [Newlands E.S, et al. Cancer Treat. Rev. 23, 3561, 1997].
  • DNA repair protein MGMT (06-me-G methyl transferase) serves to remove the methyl residue from the methylated guanine 06 position.
  • MGMT epigenetic methylation of the MGMT gene promoter inhibits MGMT gene expression and is found in about 45% of glioma patients [Hegi I. E. et al. , N En l J Med. 352, 9971003, 2005].
  • Patients with gene suppression due to meptylation of the MGMT gene promoter have a good therapeutic effect.
  • patients with overexpression of MGMT develop temodal resistance and often fail treatment [Bobola M. S. et al. , Clin Cancer Res. 2, 735741, 1996.
  • Fake substrates include 06-benzylguanine [Dolan ME et al. , Proc Natl Acad Sci USA 87, 53685372, 199 or 06-4- (bromothenyl) guanine [06- (4-bromothenyl) guanine], which transfers benzyl or bromobenzyl residues to the cysteine amino acids of the enzyme Inactivate the enzyme [Clemons M. et al. , Brit J Can 93, 11521156, 2005].
  • Azathioprine is a drug used to treat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kidney transplants and is currently used as a treatment for Crohn's disease [Sandborn, W. J.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Supplement 225, 9299, 1998].
  • Azathioprine is a precursor drug that is converted to 6-mercaptopurin (6-MP) intracellularly, followed by thioxanthine phosphor i bosy 1 transferase (HPRT). Converted back to inosine nucleotide (thioinosine monophosphate, TIMP).
  • TIMP thioinosine monophosphate
  • TPMT thiopurine methyl transferase
  • OneTIMP methylthioinosine nucleotide OneTIMP is produced and used as an inhibitor to inhibit purine biosynthesis in vivo.
  • TIMP converted from 6-MP becomes thioguanine nucleotides via other metabolic pathways, it can be inserted in place of normal nucleotides during DNA or RNA biosynthesis and cause cytotoxicity [ ⁇ Tidd D. ' ⁇ . and Paterson AR Cancer Res 34: 738746, 1974.
  • the thioguanine nucleotide produced by azathioprine is a DNA modification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guanine 06 methyl caused by temodal, and thus is not expected to be affected by the activity of the MGMT gene which causes temodal resistance. Therefore, it has a mechanism of action that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glioblastoma patients with temodal res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such as a brain tumor (particularly glioblastoma), includ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such as a brain tumor (particularly glioblastoma), includ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 brain tumor particularly glioblastoma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emodal (Tmodal, temozolomide) resistant glioblastoma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used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such as brain tumors (particularly —glioblastoma).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used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temodal resistant glioblastoma.
  •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ffectively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 a type of brain tumor, but also has a therapeutic effect on glioblastoma cancer cells showing resistance to the conventional glioblastoma temodal (Temodal, temozolomide). Since it is excellent, it may be useful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such as brain tumors (especially glioblastomas) and temodal resistant glioblastomas.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cell growth inhibition concentration-reaction curve by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 '559T' is a systemic subtype glioblastoma and '592T' liver Lobe subtype glioblastoma
  • '626T' is a classic subtype glioblastoma
  • 'NHA' is normal astrocytic cell
  • 'U87MG' is glioblastoma cell line
  • 'A549' is lung cancer cell line.
  • Comparative Example 1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ompound of Comparative Example 1 (temodal) inhibits the formation of neurospheres in glioblastoma cells.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zathioprine) inhibits neurosphere formation in glioblastoma cells.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nd survival time when the azathiopr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in the treatment of temodal or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that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 multiform (GBM), a malignant brain tumor.
  • GBM glioblastoma multiform
  • the conventional azathioprine used to treat rheumatoid arthritis and kidney transplant patients is a kind of brain tumor. It is new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human glioblastoma, and especially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which is resistant to the conventional glioblastoma therapeutic temodal (temozolomide). It is to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 a a ol-prophylactic or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cancer such as brain tumors, preferably used for brain tumors, more preferably used for glioblastoma among the brain tumors.
  • the subtypes of glioblastoma can be applied to the proneur al subtype, mesenchyma 1 subtype, the classical subtype and the neural subtype. Applicable to other unclassified glioblastomas, it is preferred to apply to mesenchymal subtypes or classical subtypes,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eated to general glioblastoma cell lines and lung cancer cell lines other than glioblastoma cancer cells derived from patients, mesenchymal subtypes, classical glioblastoma cancer cells, glioblastoma cancer cells derived from patients When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was suppressed, whereas normal astrocytic cells, not cancer cells, were not toxic (see Experimental Example 1).
  •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 a type of brain tumor, and thus,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such as brain tumors (particularly, glioblastoma).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Temodal containing an acceptable salt as an active ingredient (Teiiiodal, temozolomide)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lioblastoma resistant.
  • glioblastoma Currently, the general method of treating glioblastoma is surgical removal of cancer,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with temodal (temozolomide).
  • temodal temodal
  • the compound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oader anti-cancer effect on glioblastoma cancer cells than the compound (temodal)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may also inhibit the formation of neurospheres of cancer cells having temodal resistanc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dministered to a patient in need of glioblastoma treatment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emodal (temozolomide).
  •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on glioblastoma cancer cells showing resistance to conventional glioblastoma therapeutic temodal (Temodal, temozolomide), preventing temodal-resistant glioblastoma Or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includ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0.1 to 50%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formul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textrose, sucrose, solbi, manny, xili, erysli, malty.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layering agents, extender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and surfactants that are common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It is prepared by mixing (sucrose) or lactose (gelatin),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ution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In addition to th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water and liquid paraffin, various excipients, for example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in 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any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 can be used.
  • Preferred dosages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action modifiers.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used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such as brain tumors (especially glioblastoma).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cancer such as brain tumors, it is preferable to use for brain tumors, more preferably used for glioblastoma among the brain tumors.
  • the subtypes of glioblastoma can be applied to proneural subtype, mesenchymal subtype, classical subtype and neural subtype, and other unclassifie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o glioblastomas, and is not limited to mesenchymal subtypes or classical subtyp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used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temodal (temozolomide) resistant glioblastoma.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 a patient in need of treatment of glioblastoma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emodal (Tmodal, temozolomide).
  •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 salt is an acid addition salt formed b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ree acid is useful.
  • Acid addition salts include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nitrous acid or phosphorous acid, aliphatic mono and dicarboxylates, phenyl-substituted alkanoates, hydroxy alkanoates and alkanes.
  • Non-toxic organic acids such as dioate, aromatic acids, aliphatic and aromatic sulfonic acids, acetic acid, benzo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eic acid, gluconic acid, methanesulfonic acid, 4-lluenesulfon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 These pharmaceutically toxic salts include sulfate, pyrosulfate, bisulfate, sulfite bisulfite, nitrate, phosphate, monohydrogen phosphate dihydrogen phosphate, metaphosphate, pyrophosphate chloride, bromide, iodide, Fluoride, acetate propionate, decanoate, caprylate, acrylate formate, isobutyrate, caprate, heptanoate propiolate, oxalate, malonate, succinate, subberate sebacate, fumarate , Maleate, butene-1, 4-dioate, nucleic acid 1,6-dioate, benzoate, chlorobenzoate, methylbenzoate dinitrate-low benzoate, hydroxybenzoate-hydroxybenzoate phthalate , Terephthalate , benzenesul Carbonate, the toluene syalpo carbonate chlorobenzene sulf
  • Acid addition sal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conventional manner, for example by the formula
  • Bases can also be used to mak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tal salts.
  •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are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of alkali metal hydroxide 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solution, filtering the compound salt at no cost, and evaporating and drying the filtrate. At this time, it is pharmaceutically suitable to prepare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as the metal salt.
  • Silver salts are also obtained by reacting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with a suitable negative salt (eg, silver nitrat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compound of Formula 1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but also possible solvates, hydrates, and the like that can be prepared therefrom.
  • the present invention administer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patient in need of treating cancer or temodal (temozolomide) resistant glioblastoma. It provides a treat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 the cancer is a brain tumor, etc., preferably applied to brain tumors, more preferably applied to glioblastoma among the brain tumors.
  • glioblastoma can be applied to the p.roneural subtype, mesenchyma 1 subtype, classical subtype and neural subtype. It is also applicable to other unclassified glioblastomas, but is not limited to the mesenchymal subtype or the classical subtype.
  • Azathioprine was purchased from Sigma Aldrich (Reagent No .: T2577) and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Temodal was purchased from Sigma Aldrich (Reagent No. A4638) and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th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 is WST-1 cell proliferation assay (Cell Proliferation) Assay) [ht tp: // www. roche—app 1 i ed— sc i ence. com / PROD_INF / MANUALS / CELL_MAN / apoptos i s_087_088.pdf].
  • the compound of formula 1 was placed in a 384-well cell culture vessel, and three types of glioblastomas (proneural subtype (559T), mesenchymal subtype (592 ⁇ ), and classical subtype (c 1 ass i cal subtype, 626T)], normal human astrocyte (NHA), lung cancer cell line (A549) and glioblastoma cell line (U87MG), each of the cells were dispensed at 4.5 X 10 3 per well and filled to medium.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DMS0, a solvent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was not to exceed 0.2%.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concentration-reaction curve by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 '559T' is a systemic subtype glioblastoma
  • '592T' is mesenchymal subtype Glioblastoma
  • '626T' is a classical subtype glioblastoma
  • 'NHA' is a normal astrocytic cell
  • 'U87MG' is a glioblastoma cell line
  • 'A549' is a lung cancer cell line.
  • the compound of the formula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s,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hibiting the growth of whole body subtype cancer cells among the various subtypes of glioblastoma , Can be useful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such as brain tumors (particularly, glioblastoma).
  • the extent of inhibiting neurosphere formation in glioblastoma cells was examined. Specifically, neurosphere formation ability was confirmed by a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newly formed neurospheres by re-dividing the same number of glioblastoma cells into a culture vessel after a certain period of culture. First, while subcultured with glioblastoma patient-derived cells, 20, 50 and 200 cells were mixed and mixed in 50 ⁇ culture medium in 96-well cell culture vessels. Thioprine) and the compound of Comparative Example 1 (temodal) were each treated with 50 ⁇ to finally reach 1, 3, 10 ⁇ .
  • each of the compounds of Formula 1 (azathioprine) and the compounds of Comparative Example 1 (temodal) were incubated for about 7-23 days, once a week, with each of the compounds of Formula 1 (azatioprine) and Comparative Example 1 added again at the same concentration.
  • the number of neurospheres present in each well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neurospheres by the compound of Formula 1 (azathioprine) and the compound of Comparative Example 1 (temodal). The reduction was compared.
  • the glioblastoma patient-derived cells were measured for neuronal formation inhibition using a total of 10 glioblastoma cells derived from the patient.
  • the glioblastoma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A, ⁇ , C, and!) Types according to the gene expression forms, and MGMT 06-me-G methyl transferase) gene methylation, a DNA repair protein of each cell line, was confirmed.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ompound of Comparative Example 1 (temodal) inhibited neurosphere formation in glioblastoma cells.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zathioprine) inhibits neurosphere formation in glioblastoma cells. As shown in Table 2 and Figures 2-3,
  • the compound of Comparative Example 1 did not inhibit the formation of neurospheres for glioblastomas (marked with "UM '" in the MGMT gene methylation list in Table 2) that the gene promoter was not methylated, suggesting high MGMT activity. Relatively high methylation of MGMT In the case of high glioblastoma cancer cells, temodal showed a tendency to significantly inhibit neuronal formation.
  • the compound of Formula 1 is an anticancer that inhibits the formation of neurospheres in glioblastoma cancer cells GBM # 2, # 3, # 8, # 10, which are resistant to the compound of Comparative Example 1 (temodal) I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 the compound of formula 1 (azathioprine) has a broader anticancer effect on glioblastoma cancer cells than the compound of comparative example 1 (temodal), and can also inhibit the formation of neurospheres of cancer cells having temodal resistance. The fact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temodal resistance.
  • the compound of formula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wide range of therapeutic effects on various types of glioblastoma cancer cells, and also has a therapeutic effect on glioblastoma cancer cells showing resistance to the compound (temodal) of Comparative Example 1 , It may be useful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such as a glioblastoma (particularly glioblastoma), an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emodal (temozolomide) resistant glioblastoma. Can be useful.
  • T planting medulloblastoma cells were cultured in two cells X 10 5/5 ⁇ 6 in the brains of mice 17 days after te modal (65mg / kg, oral administration) or radiotherapy (2Gy) for 5 days each, The intermediate survival period was confirmed.
  • the survival time extension (%) of the radiotherapy group and the temodal administration group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radiotherapy and temodal administra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dministered "Avastin" which is widely known as an anticancer agent in the market for comparison are also shown.
  • mice transplanted with glioblastoma cells in the brain showed that the duration of intermediate survival was insignificant due to the resistance of each treatment method when radiotherapy or temodal administration alone was performed.
  • glioblastoma cells by culturing the 2 X 10 5 / planting 5 cells in the brains of mice 17 days after it is subjected during each 5 days Te modal (65mg / kg, oral gavage) dose or radiation therapy (2Gy) Same as the above experimental method, 11 days after planting glioblastoma cells into the brain of the rat, the compound of formula 1 (Azathiopr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orally in combination with a daily dose of 20 mg / kg to confirm the intermediate survival period. It was.
  • the survival rate (%) of the temodal + azathioprine group and the radiotherapy + azathioprine group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radiation, temodal administration and azathioprin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and FIG. 4.
  • FIG. 4 shows temodal or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It is a graph showing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nd survival time when the azathiopr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combination.
  • Table 4 and FIG. 4 when the amod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temodal administration and / or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survival time was remarkably improved.
  • the compound of formula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erapeutic effect on glioblastoma cancer cells showing resistance to temodal and / or radia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such as brain tumors (especially glioblastoma) It may be useful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particularly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emodal (temozolomide) resistant glioblastoma.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urpose ⁇ The following illustrates some formulation methods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alc 10 mg Powders are prepared by mixing the above ingredients and filling in an airtight cloth. 1-2. Manufacture of tablets
  • Magnesium stearate 2 nig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tablets Tableting to prepare tablets.
  • Magnesium stearate 2 ni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to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 Appropriate amount of purified water Dissolve each component by adding to the purified water according to the usual method of preparing a liquid solution, add a proper amount of lemon flavor, mix the above components, add purified water and adjust the whole to purified water, and then fill it in a brown bottle. Sterilize to prepare a liquid.
  • Azathiop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ffectively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 a kind of brain tumor, but also has a therapeutic effect on glioblastoma cancer cells showing resistance to conventional glioblastoma therapies (Temodal, temozolomide). Since it is excellent, it may be useful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such as brain tumors (particularly, glioblastoma) and temodal resistant glioblastom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은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교모세포종 치료제인 테모달(Temodal, temozolomide)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도 치료효과가 우수하므로, 뇌종양(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 그리고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
【발명의 명칭 】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igure imgf000003_0001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특히 , 교모세포종) 등의 암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신경교세포에 생긴 종양을 신경교종이라 한다. 이러한 신경교종을 핵의 비정형성 , 세포괴시 · , 혈관내피세포 증식도, 유사분열성 등을 기준으로 조직학적으로 분류하여 가장 악성인 4등급으로 분류되면 이를 교모세포종 (G腿, glioblastoma multiform)으로 진단하게 된다 [Newlands E.S. et al . Eur. J. Cancer 32A, 22362241, 1996] . 교모세포종은 신경교종 중에서 가장 악성이며 가장 흔한 뇌종양으로서 성인 신경교종의 25%, 소아 신경교종의 15%를 차지한다 . 현재 수술 및 방사선치료 외에는 치료약이 없고 예후가 다른 종양에 비해 상당히 나빠서 진단 후 평균 생존기간이 14개월 정도에 불과하다 [Chakravarti A. et al. Clin Cancer Res. 12, 47384746, 2007] . 최근에 교모세포종에 대한 방대한 유전자 발현 연구를 통하여 4가지 종류의 교모세포종 아류형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4가지 종류의 교모세포종 아형태는 각각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 고전적 아류형 ' ( c 1 ass i cal subtype) 및 산경형 아류형 (neural subtype)이며 아류형에 따라 환자의 생존기간, 환자의 평균 나이 , 기존 치료제에 대한 반웅도 등이 달라지는 것이 밝혀졌다 [H.S. Phillips H. S. et al , Cancer Ce 11, 9 157173, 2006] .
교모세포종 아류형은 중요 유전자의 과발현이나 돌연변이 양상에 큰 차이가 있다 [Cancer Genome At las Research Network, Nature, 455, 10611068, 2008] . 고전적 아류형에서는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이 비정상적으로 과발현되며, 다른 3가지 아류형과는 달리 암억제유전자 'ρ53'에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는다. 고전적 아류형 환자는 상대적으로 다른 아류형에 비해 치료 경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전적 아류형과는 달리 전신경 아류형에서는 'ρ53' 유전자의 돌연변이의 비을이 높으며 IDHKlsocitrate dehydrogenase) 유전자와 PDGFRA(p late 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a ) 유전자의 돌연변이 비율도 높게 나타난다 이들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암세포의 증식에 매우 중요하며, PDGFRAC pi ate let -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a )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전신경 아류형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전신경 아류형 환자는 다른 아류형에 비해서 환자의 나이가 젊지만 현재 사용하는 치료법으로 생존기간이 늘어나지는 않는다. 간엽성 아류형에서는 ' p53 ' 유전자의 돌연변이뿐만 아니라 NFl, PTEN 암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 비을도 높다. 신경형 아류형은 다른 아류형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관찰되지만 특징적으로 높거나 낮은 돌연변이 비율을 보이지는 않는다. 현재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외과적인 수술로 암을 제거한 후 방사선 치료와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을 이용한 화학요법을 병행한다 . 교모세포종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약물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가운데 현재 테모달이 유일하게 사용되는 경구용 항암제이다. 테모달을 환자에게 투여한 경우 초기에는 어느 정도 약물에 반응을 보이지만 약물에 대한 내성이 빠르게 나타나고 일단 내성이 생긴 경우에는 더 이상 치료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뇌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 특히 테모달에 내성을 가지는 종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교—모세-포종의 4가지 아류형은 서로 다른 유전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서 각각의 아류형에 특이적으로 반웅하는 약물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테모달은 세포내에서 자발적으로 분해되어 5-(3-메틸트리아진- 1-일 ) -이미다졸 -4-카르복사미드 [5-(3-methyltr iazine-1-yl )- imidazole-4-carboxamide, MITC]를 생성하며 MITC는 다시 활성물질인 5_ό 口 1노 ol V)다졸一 4_^ 르복 1 u]드 (5-aminoimidazole-4- 발암대
현한려
carbo져이ximide)를 생성한다 . 5-아미노이미다졸 -4-카르복시미드는 DNA의 퓨린 염기를 메틸화사킬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구아닌의 N7 위치 (70%), 아데닌의 N3 위치 (9%), 구아닌의 06 위치 (6%)를 메틸화시킨다. 특히, 구아닌 06 위치의 메틸화는 테모달의 암세포 독성에 매우 중요하다. 06-메틸 구아닌으로 변형된 DNA 염기는 DNA 복제과정에서 DNA 가닥 사이의 불일치를 유도하며 결과적으로 세포사멸을 일으킨다 [Newlands E.S, et al . Cancer Treat . Rev. 23, 3561, 1997] . 반면에 , DNA 수리 단백질인 MGMT(06-me-G methyl transferase)는 메틸화된 구아닌 06 위치로부터 메틸잔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GMT 단백질 활성은 암환자 사이에 300배 정도의 활성 차이가 존재한다 [Silber J. R. et al.ᅳ Clin Cancer Res. 5, 807814, 1999] . MGMT 유전자 프로모터 (promotor)에 후생유전학적으로 메틸화가 일어나면 MGMT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며 약 45%의 신경교종 환자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견된다 [Hegi I. E. et al. , N En l J Med. 352, 9971003, 2005] . MGMT 유전자 프로모터에 쩨틸화가 일어나 유전자 억제된 환자의 경우에는 테모달의 치료효과가 좋은 것으로 있다 . 반면에, MGMT가 과발현되는 환자의 경우에는 테모달에 저항성이 발생하고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Bobola M. S. et al. , Clin Cancer Res. 2, 735741, 1996] .
MGMT 활성에 의한 알킬화 제제의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독성이 없는 가짜기질을 이용하여 MGMT 단백질 활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가짜 기질로는 06-벤질구아닌 (06-benzylguanine)[Dolan M. E. et al . , Proc Natl Acad Sci USA 87, 53685372, 199이이나 06-4- (브로모테닐)구아닌 [06-(4-bromothenyl)guanine]을 사용하며 이들은 벤질 또는 브로모벤질 잔기를 효소의 시스테인 아미노산에 전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킨다 [Clemons M. et al. , Brit J Can 93, 11521156, 2005] . 06-4- (브로 _모테닐)구아닌의 경우 DNA 알킬화 제제와 병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골수억제부작용이 나타나 사용이 제한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Gerson S. L.. et al . , J Clin Oncol 20, 23882399 , 2002] . MGMT 효소활성 뿐만 아니라 DNA 가닥 불일치를 수리하는 MMR (Mismatch repair) 단백질 복합체의 활성도 테모달 저항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Esteller M. and Herman J. G. Oncogene 23, 18, 2004] . MMR 단백질 복합체의 활성이 높을수록 테모달에 의한 DNA 변형이 세포에 의해 인식되어 DNA 가닥 절단과 이에 따른 세포사가 쉽게 일어난다. 반면에, 유전적인 요인이나 환경적인 요인보로 MMR 활성이 저하되면 테모달에 의한 DNA 변형이 세포사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테모달 저항성이 증가하게 된다 [Palombo F. et al . , Science 268, 19121914, 1995] .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신장 이식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이며 현재 크론병의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Sandborn, W . J.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Supplement 225, 9299, 1998] . 아자티오프린은 전구체형 약물로서 세포내에서 6-메르갑토퓨린 (6-mercaptopur ine, 6- MP)로 변화된 후에 히포크산틴 포스포리보실 트랜스퍼라제 (hypoxanthine phosphor i bosy 1 transferase , HPRT)에 의해 티오이노신 뉴클레오티드 (thioinosine monophosphate, TIMP)로 다시 변환된다. 생성된 TIMP가 티오퓨린 메'틸트웬스파라제 (thiopurine methyl transferase, TPMT)에 의해 변환되면 메틸티오이노신 뉴클레오티드 OneTIMP)가 생성되어 생체 내의 퓨린 생합성을 저해하는 억제제로 사용된다. 반면에, 6-MP로부터 변환된 TIMP가 다른 대사경로를 거쳐서 티오구아닌 뉴클레오티드가 되면 이것이 DNA나 RNA 생합성시 정상적인 뉴클레오티드 대신에 삽입되어 세포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 Tidd D. 'Μ. and Paterson A. R. Cancer Res 34: 738746, 1974] . 아자티오프린에 의해 생성되는 티오구아닌 뉴클레오티드는 테모달에 의해 일어나는 구아닌 06 메틸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 DNA 변형이므로 테모달 저항성의 원인이 되는 MGMT 유전자의 활성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테모달 저항성을 가지는 교모세포종 환자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연구자들은 종래의 교모세포종 치료제인 테모달을 대체할 수 있는 화합물을 연구하던 중,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이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과, 테모달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
【기술적 과제 】
본 발명의 목적은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테모달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합물 또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내이 의성.
Figure imgf000007_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은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교모세포종 치료제인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도 치료효과가 우수하므로,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 그리고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따른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 농도 -반웅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서, '559T'는 전신경 아류형 교모세포종이고 '592T'는 간엽성 아류형 교모세포종이며 , '626T'는 고전적 아류형 교모세포종이고, 'NHA'는 정상 성상세포이며, 'U87MG'는 교모세포종 세포주이고, 'A549'는 폐암세포주이다) .
도 2는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이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신경구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이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신경구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교모세포종 치료를 위하여 테모달투여 또는 방사선치료 시에 본 발명의 아자티오프린을 병용으로 투여할 경우의 축적생존비율과 생존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GBM, gJioblastoma multiform)의 증식을 억제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 구체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과 신장 이식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종래의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을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치료제로 새롭게 활용하고, 특히 종래의 교모세포종 치료제인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치료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으 ᄋ
ᄆ a 효성분으로 함유하 ol-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
[화학식 1]
Figure imgf000009_0001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뇌종양 등의 암 치료에 사용할 수 있고, 뇌종양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뇌종양 중에서 교모세포종에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교모세포종의 아형태 중에서 전신경 아류형 (proneur al subtype) ,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 1 subtype) , 고전적 아류형 (classical subtype) 및 신경형 아류형 (neural subtype)에 적용할 수 있고, 기타 미분류된 교모세포종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 간엽성 아류형 또는 고전적 아류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을 환자에서 유래된 전신경 아류형, 간엽성 아류형, 고전적 아류형 교모세포종 암세포, 환자에서 유래된 교모세포종 암세포가 아닌 일반교모세포종 세포주 및 폐암세포주에 처리할 경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 반면에 , 암세포가 아닌 정상적인 성상세포에 대해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은 뇌종양괴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Figure imgf000009_0002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테모달 (Teiiiodal,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
Figure imgf000010_0001
현재 ,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외과적인 수술로 암을 제거한 후 방사선 치료와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을 이용한 화학요법을 병행한다. 테모달을 사용하여 환자를 치료한 경우 많은 환자들이 초기에는 어느 정도 약물에 반웅을 보이지만, 대부분의 환자에서 약물에 대한 내성이 나타나고 테모달 내성을 가진 종양의 경우 더 이상 치료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뇌종양 (특히 , 교모세포종)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 특히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에 내성을 가지는 종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와 경우 테스트한 10종의 교모세포종 중에서 GM#1에 대해서는 효과가 미약했지만 나머지 9종에 대해서는 신경구 형성을 강력히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자티오프린 1 μ Μ 농도에서 효과가 미약한 GBM #1의 경우에도 약물을 10 μ Μ 농도로 증가하면 신경구 형성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측정한 모든 종류의 교모세포종에 대해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은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 대해서도 신경구 형성을 저해하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이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에 비해서 교모세포종 암세포에 대한 광범위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테모달 내성을 가지는 암세포의 신경구 형성도 저해할 수 있다는 사실은 테모달 내성이 생긴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실헐예 2 참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교모세포종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단독으로 또는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과 함께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은 종래의 교모세포종 치료제인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도 치료효과가 우수하므로,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을 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견,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를, 만니를, 자일리를, 에리스리를 , 말티를.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 칼슘 포스페이트 , 칼슘 실리케이트, 셀롤로즈 메틸 셀를로즈, 미정질 셀를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 0 3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층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calci yM carbonate) , 슈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원 (tween) 61, 카카오지 , 라우린지, 글리세를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웅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imgf000012_0001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뇌종양 등의 암 치료에 사용—할 수 있고, 뇌종양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상기 뇌종양 중에서 교모세포종에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
여기서, 상기 교모세포종의 아형태 중에서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 ,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 고전적 아류형 (classical subtype) 및 신경형 아류형 (neural subtype)에 적용할 수 있고, 기타 미분류된 교모세포종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간엽성 아류형 또는 고전적 아류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 또한, 본 발명은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imgf000013_0001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교모세포종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단독으로 또는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과 함께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 S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를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 -1, 4-디오에이트, 핵산 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 -트, 메록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를루엔샬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 -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 -1-설포네이트, 나프탈렌 -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 예를 들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 예를 들면 메탄을,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하여 제조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하거나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웅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 (예, 질산은)과 반웅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암 또는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암은 뇌종양 등이고, 뇌종양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뇌종양 중에서 교모세포종에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
또한, 상기 교모세포종의 아형태 중에서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 1 subtype) , 고전적 아류형 (classical subtype) 및 신경형 아류형 (neural subtype)에 적용할 수 있고, 기타 미분류된 교모세포종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간엽성 아류형 또는 고전적 아류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6-(1-메틸 -4-니트로 -1H-이미다졸 -5-일티오 )-7H- 퓨린 [6-(l-methyl-4-nitro-lH-imidazol-5-ylthio)-7H-purine]
(아지티오프린, Azathioprine)의 준비
Figure imgf000015_0001
시그마알드리치 (Sigma Aldrich, 시약번호: T2577)사로부터 아자티오프린을 구매하였고,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의 준비
Figure imgf000015_0002
시그마알드리치 (Sigma Aldrich, 시약번호 : A4638)사로부터 테모달을 구매하였고,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세-포증식 억제효과—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이 교모세포종 암세포의 증식을 먹제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ᅳ 구체적으로, 세포증식 억제효과는 WST-1 세포증식 평가법 (Cell Proliferation Assay)으로 즉정하였다 [ht tp: //www . roche—app 1 i ed— sc i ence . com/PROD_INF/MANUALS/CELL_MAN/apoptos i s_087_088.pdf] .
화학식 1의 화합물을 384-웰 (well) 세포배양용기에 넣고, 3종류의 교모세포종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559T) ,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 592Τ) , 고전적 아류형 ( c 1 ass i cal subtype, 626T)] , 정상적인 성상세포 (normal human astrocyte, NHA) , 폐암세포주 (A549) 및 교모세포종 세포주 (U87MG) 각각의 세포를 웰당 4.5 X 103개씩 분주하고 배지를 채워 50 ≠로— 만들었다. 이때,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매인 DMS0의 농도는 0.2%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72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한 후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5 mg/ml 농도의 WST-1 시약을 5 씩 가한 후에 3~4시간 반웅시킨 다음 450 體에서의 흡광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imgf000016_0001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따른 아자티오프린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 농도 -반웅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서, '559T'는 전신경 아류형 교모세포종이고 , '592T'는 간엽성 아류형 교모세포종이며, '626T'는 고전적 아류형 교모세포종이고, 'NHA'는 정상 성상세포이며, 'U87MG'는 교모세포종 세포주이고, 'A549'는 폐암세포주이다).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을 전신경 (559Τ), 간엽성 (592Τ) 및 고전적 (626Τ) 아류형 교모세포종 암세포에 처리한 결과 50% 성장억제농도 (GI50)가 각각 1.3, 5.5, 3.1 μ 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전신경 아류형 교모세포종에 대해서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 -인되었다. 반면에, 암세포가 아닌 정상적인 성상세포에 대해서는 독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교모세포종이 아닌 폐암세포주 (Α549)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U87MG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주이지만 생체외실험 (in vitro)에 용이하게 변형된 세포주이다. 이들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아자티오프린이 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은 교모세포종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교모세포종의 여러 아류형 중에서 전신경 아류형 암세포의 성장을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신경구 (Neurosphere) 형성 저해 평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 및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신경구 (Neurosphere) 형성을 저해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 , 구체적으로, 신경구 형성 능력은 일정기간 배양 후, 같은 숫자의 교모세포종 세포를 배양용기에 재분주하고 추가 배양하여 새롭게 형성된 신경구의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배양중인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를 계대배양하면서 96-웰 세포배양용기에 각각 20 , 50, 200개의 세포를 50 μί의 배양액에 섞어 분주하고 2, 6, 20 μΜ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 및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 ) 각각을 50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1, 3, 10 μΜ이 되도록 한다. 그 후, 1주일에 한 번씩 50 의 세포 배양액에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 및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 각각올 상기와 같은 농도로 다시 첨가해주면서 약 7-23일간 배양하였고,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50 이상의 신경구를 형성하였을 때, 각 웰에 존재하는 신경구의 개수를 측정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 및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에 의한 신경구 개수의 감소 여부를 비교하였다.
이때, 상기 교모세포종 환자유래 세포는 환자로부터 유래한 총 10종의 교모세포종 세포를 사용하여 신경구 형성 저해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교모세포종은 유전자 발현 형태에 따라 A, Β, C 및 !) 형태 4종류로 분류하였고, 각 세포주의 DNA 수리 단백질인 MGMT 06- me-G methyl transferase) 유전자 메틸화를 확인하였다. A 형태 [GBM #1 #2, #3]는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 Β 형태 [GBM #4, #5, #6 #기는 고전적 아류형 (Classical subtype) , C 형태 [GBM #8]는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 D 형태 [GBM #9, #10]는 미분류된 교모세포종이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3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imgf000018_0001
상기 표 2에서,
A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
B 고전적 아류형 (Classical subtype) ,
C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D 미분류 교모세포종,
S 효과 강함,
I 효과 보통,
R 효과 미약,
M 유전자 프로모터 메틸화,
UM 유전자 프로모터 비메틸화,
미평가 도 2는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이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신경구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댄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이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신경구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표 2 및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의 경우 유전자 프로모터가 메틸화되지 않아 MGMT 활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교모세포종 (표 2의 MGMT 유전자 메틸화 목록에서 "UM' '으로 표시 )에 대해서 신경구 형성을 저해하지 못했으며, 상대적으로 MGMT 유전자 메틸화 정도가 높은 교모세포종 암세포의 경우에는 테모달이 신경구 형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의 경우에는 테스트한 10종의 교모세포종 중에서 GBM#1에 대해서는 효과가 미약했지만 나머지 9종에 대해서는 신경구 형성을 강력히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아자티오프린 1 μΜ 농도에서 효과가 미약한 G腿 #1의 경우에도 약물을 10 μ Μ 농도로 증가하면 신경구 형성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측정한 모든 종류의 교모세포종에 대해서 효과가 강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은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GBM#2, #3, #8, #10번 교모세포종 암세포에 대해서도 신경구 형성을 저해하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이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에 비해서 교모세포종 암세포에 대한 광범위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테모달 내성을 가지는 암세포의 신경구 형성도 저해할 수 있다는 사실은 테모달 내성이 생긴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은 여러 형태의 교모세포종 암세포에 광범위한 치료효과를 나타내고, 비교예 1의 화합물 (테모달)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도 치료효과가 있으므로,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고, 또한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테모달 내성 세포를 이용한 동물약효실험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이 교모세포종 동소이식 (orthotopic) 모델에서 나타내는 방사선감수성증가 (radiosensitizing) 효과와 화학요법제 감수성증가 (chemosensitizing)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 먼저 교모세포종의 테모달투여 또는 방사선치료에 대한 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모세포종 세포를 배양하여 2 X 105/5 ·6의 세포를 쥐의 뇌에 심고 17일후부터 테모달 (65mg/kg, 구강투여 )투여 또는 방사선치료 (2Gy)를 각각 5일동안 실시하여, 중간생존기간을 확인하였다. 한편, 방사선치료 및 테모달투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선치료군과 테모달투여군의 생존기간연장을 (%)을 계산하였고, 상기 실험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시중에서 항암제로 널리알려진 "Avastin" 을 투여한 실험군의 결과도 함께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imgf000020_0001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모세포종 세포를 뇌에 이식한 쥐는 방사선치료 또는 테모달투여를 단독으로 실시할 경우 각 치료방법의 내성에 의하여 중간생존기간의 연장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교모세포종 세포를 배양하여 2 X 105/5 의 세포를 쥐의 뇌에 심고 17일후부터 테모달 (65mg/kg, 구강투여 )투여 또는 방사선치료 (2Gy)를 각각 5일동안 실시한 것은 상기 실험방법과 동일하나, 교모세포종 세포를 쥐의 뇌에 심은 11일후부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을 매일 20 mg/kg의 용량으로 병용 구강투여하여, 중간생존기간을 확인하였다. 한편, 방사선치료, 테모달투여 및 아자티오프린 투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여 테모달 +아자티오프린 투여군과 방사선치료 +아자티오프린 투여군의 생존기간연장율 (%)을 계산하였고, 상기 실험결과를 표 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imgf000020_0002
도 4는 교모세포종 치료를 위하여 테모달투여 또는 방사선치료 시에 본 발명의 아자티오프린을 병용으로 투여할 경우의 축적생존비율과 생존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4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 교모세포종 치료를 위하여 테모달투여 및 /또는 방사선치료를 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을 병용 투여하면, 생존기간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이 교모세포종 치료를 위한 테모달투여 또는 방사선치료 시 발생하는 내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아자티오프린)은 테모달 및 /또는 방사선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도 치료효과가 있으므로, 뇌종양 (특히, 교모세포종) 등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고, 특히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ᅳ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 mg
유당 100 ni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흔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ni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nig 상기의 성분들을 흔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 mg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ni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ni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화합물 500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¾플당 (2 mH)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
1-5.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nig
이성화당 10 g
만니를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흔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
본 발명에 따른 아자티오프린 (Azathioprine)은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증식올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교모세포종 치료제인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에 내성을 보이는 교모세포종 암세포에도 치료효과가 우수하므로, 뇌종양 (특히 , 교모세포종) 등의 암, 그리고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할 수 있다.

Claims

【청구의 범위 】
【청구항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 화합물 또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imgf000023_0001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종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뇌종양은 교모세포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모세포종의 아형태는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 고전적 아류형 (classical subtype) 또는 신경형 아류형 (neural sub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청구향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화학식 1]
Figure imgf000024_0001
【청구항 6】
게 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 또는 테모달 (Temodal , temozolomide)과 함께 병용하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교모세포종의 아형태는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 고전적 아류형 ( c 1 ass i ca 1 subtype) 또는 신경형 아류형 (neural sub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청구항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암 또는 테모달 (Temodal, temozolomide) 내성 교모세포종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
[화학식 1]
Figure imgf000024_0002
【청구항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종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
【청구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뇌종양은 교모세포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
【청구항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모세포종의 아형태는 전신경 아류형 (proneural subtype) , 간엽성 아류형 (mesenchymal subtype) , 고전적 아류형 ( c 1 ass i cal subtype) 또는 신경형 아류형 (neural sub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
PCT/KR2013/006157 2012-07-11 2013-07-10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01094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816643.4A EP2873419B1 (en) 2012-07-11 2013-07-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rain tumor or temodal-resistant glioblastoma multiform comprising azathioprine as active ingredient
US14/594,448 US20150141439A1 (en) 2012-07-11 2015-01-1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rain tumor or temodal resistant glioblastoma multiform comprising azathioprine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365 2012-07-11
KR1020120075365A KR101366613B1 (ko) 2012-07-11 2012-07-11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594,448 Continuation-In-Part US20150141439A1 (en) 2012-07-11 2015-01-1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rain tumor or temodal resistant glioblastoma multiform comprising azathioprine as an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0948A1 true WO2014010948A1 (ko) 2014-01-16

Family

ID=4991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157 WO2014010948A1 (ko) 2012-07-11 2013-07-10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41439A1 (ko)
EP (1) EP2873419B1 (ko)
KR (1) KR101366613B1 (ko)
WO (1) WO2014010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7982A1 (en) 2017-03-30 2018-10-04 Administración General De La Comunidad Autónoma De Euskadi Sox1 as a prognostic and predictive biomarker in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tumours
EP3866801A4 (en) * 2018-10-16 2022-11-09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DEGRADING AGENTS OF WILD-TYPE AND MUTANT FORMS OF LRRK2 KINASE
US20230226230A1 (en) * 2021-02-26 2023-07-20 SeeCure Taiwan Co., Ltd. Thiopurine-based compound, composition, method of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915A (en) * 1995-03-30 1998-03-31 Glaxo Wellcome Inc. Use of azathioprine to treat crohn's disease
WO2011017583A1 (en) * 2009-08-07 2011-02-10 The Wistar Institute Compositions containing jarid1b inhibitor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915A (en) * 1995-03-30 1998-03-31 Glaxo Wellcome Inc. Use of azathioprine to treat crohn's disease
WO2011017583A1 (en) * 2009-08-07 2011-02-10 The Wistar Institute Compositions containing jarid1b inhibitor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Non-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OBOLA M. S. ET AL., CLIN CANCER RES., vol. 2, 1996, pages 735 - 741
CANCER GENOME ATLAS RESEARCH NETWORK, NATURE, vol. 455, 2008, pages 1061 - 1068
CHAKRAVARTI A. ET AL., CLIN CANCER RES., vol. 12, 2007, pages 4738 - 4746
CLEMONS M. ET AL., BRIT J CAN, vol. 93, 2005, pages 1152 - 1156
DOLAN M. E.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vol. 87, 1990, pages 5368 - 5372
ESTELLER M.; HERMAN J. G., ONCOGENE, vol. 23, 2004, pages 18
GERSON S. L. ET AL., J CLIN ONCOL, vol. 20, 2002, pages 2388 - 2399
H.S. PHILLIPS H. S. ET AL., CANCER CELL, vol. 9, 2006, pages 157 - 173
HEGI M. E. ET AL., N ENGL J MED., vol. 352, 2005, pages 997 - 1003
MALTZMAN, JONAHAN S. ET AL.: "Azathioprine: old drug, new action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vol. 111, no. 8, 2003, pages 1122 - 1124, XP055172964 *
NEWLANDS E.S ET AL., CANCER TREAT. REV., vol. 23, 1997, pages 3561
NEWLANDS E.S. ET AL., EUR. J. CANCER, vol. 32A, 1996, pages 2236 - 2241
PALOMBO F. ET AL., SCIENCE, vol. 268, 1995, pages 1912 - 1914
PATEL, ACASH A. ET AL.: "Azathioprine in dermatology: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vol. 55, no. 3, 2006, pages 369 - 389, XP005603404 *
SANDBORN, W. J.,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998, pages 9299
See also references of EP2873419A4 *
SILBER J. R. ET AL., CLIN CANCER RES., vol. 5, 1999, pages 807814
TIDD D. M.; PATERSON A. R., CANCER RES, vol. 34, 1974, pages 738 - 74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3419B1 (en) 2016-12-07
KR20140008645A (ko) 2014-01-22
KR101366613B1 (ko) 2014-02-26
EP2873419A4 (en) 2015-06-10
US20150141439A1 (en) 2015-05-21
EP2873419A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7894B (zh) 乳癌的治疗
CN105828822B (zh) 用于治疗癌症的组合疗法
EP2793892A1 (en) Combination therapies for treating hematologic malignancies using pyridopyrimidinone inhibitors of pi3k/mtor with bendamustine and/or rituximab
CN103845317A (zh) 恩他卡朋在预防或治疗肥胖等代谢综合征中的应用
CN107530309A (zh) 共晶组合物及其药物用途
CN113557022A (zh) 用罗达司他乙酯治疗肺动脉高压的给药方案和方法
US20220096482A1 (en) Combination therapies
TW202023563A (zh) 新穎喹唑啉egfr抑制劑
US20180071296A1 (en)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an inhibitor of jak, cdk, and pim
WO2014010948A1 (ko)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8368115A (zh) 吡咯并嘧啶化合物的盐
JP2017521468A (ja) 組み合わせ療法
KR20120099219A (ko) 조합물
CN112457291B (zh) 苯并硫代吡喃酮类化合物的盐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1089005A1 (zh) 一种fgfr抑制剂的用途
WO2015182625A1 (ja) Ras活性阻害薬及びその用途
KR101378410B1 (ko) 벤지다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4641293B (zh) 一种fgfr抑制剂的用途
US20240018522A1 (en) Oligonucleotides useful for modulation of splicing
US20220233550A1 (en) Parp inhibitor pellet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for
US2023011754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rotein kinase inhibitor and chemotherapeutic drug and use thereof
WO2008031358A1 (fr) 1,2-dihydroxy-3-methyl-9,10-anthraquinone utile dans la fabrication de médicaments pour traiter les cancers
CN117919234A (zh) 一种萘酰胺化合物治疗耐药性肿瘤的用途
WO2022228218A1 (zh) 一种喹唑啉化合物及药物组合物的应用
CN114377005A (zh) 泽兰黄酮在制备抗高尿酸血症和抗痛风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16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16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16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