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76375A1 -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 Google Patents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76375A1
WO2013176375A1 PCT/KR2013/000786 KR2013000786W WO2013176375A1 WO 2013176375 A1 WO2013176375 A1 WO 2013176375A1 KR 2013000786 W KR2013000786 W KR 2013000786W WO 2013176375 A1 WO2013176375 A1 WO 20131763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adhesion
temperature
copoly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7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호
강준구
오세행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31763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763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5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4Anti-adhesion ag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having excellent body stability.
  • Adhesion of organs and tissues that occurs frequently after surgery is one of the natural phenomena that occurs when cells of damaged tissues proliferate and regenerate, but they cause continuous discomfort or dysfunction and require reoperation for adhesion detachment. It can also be a life-threatening factor. Especially in women, pelvic surgery may cause infertility due to tissue adhesion of the uterus. The incidence of adhesion after open surgery is reported to be 55-93%.
  • Applic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the Pluronic F127 / F68 system to form a gel phase in vitro and sol in vitro using F127 with sol-ge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LCST) at low temperature and F68 with LCST at high temperature.
  • LCST sol-ge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 Korean Patent No. 10-0552954 discloses a thermally sensitive composition for preventing adhesion, which includes a natural polymer (hyaluronic acid), a PEG-PPG-PEG block copolymer, and a salt solution, but the patent is also easily washed out in the body. There is a problem of low adhesion prevention efficacy.
  • Conventional anti-adhesion agents were most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films using non-degradable polymers and biodegradable polymers.
  • the non-degradable polymers naturally separate wounds and wounds, so adhesion prevention performance is good, but as foreign substances in the body after the procedure. Since it continues to exist, it may cause inflammatory reactions to surrounding tissues or impede tissue regeneration. In some cases, reoperation may be necessary for remova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decomposed and extinguish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body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remain as a foreign material, but the anti-adhesion performance is somewhat lower than the non-degradable polymer yet.
  • the biggest disadvantage of using a film-type adhesion barrier is to suture the surrounding tissue using a sutur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adhesion barrier at the application site. Tissue adhesion occurs frequently at the suture site.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into complex or fine parts, conduit-shaped parts.
  • gel type anti-adhesion agen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gel type anti-adhesion agent is to protect the wound stably while the wound heals, thereby acting as an anti-adhesion agent.
  • commercially available gel type anti-adhesion agents have a disadvantage of being washed away fas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and thus are known to have low efficacy as anti-adhesion agents.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10-0565881
  • 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10-0552954
  •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sol-ge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using a natural polymer (or cross-linked natural polymer) or a separate additive used to increase the anti-adhesion efficacy of the conventional anti-adhesion ag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having a good anti-adhesion effect by stably protecting the wound surface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without the wound being heal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erature-sensitive adhesion agent which is sol in vitro and gel in the body so as to be effectively introduced between complex tissues and tissues after surgery.
  • a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includes at least one amphophilic first copolymer comprising at least 60% by weight of polyethylene oxide (PEO), and polyethylene oxide (PEO). And at least one amphiphilic second copolymer comprising less than 40% by weight).
  •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 is 1,000 ⁇ 100,000 Da
  •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 is preferably 1,000 ⁇ 50,000 Da.
  •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ar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lactic acid copolymer, polyethylene oxide-glycolic acid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lactic glycolic acid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capro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 lactone copolymer, a polyethylene oxide- polydioxanone copolymer, and these copolymers.
  • the both lipophilic secondary copolymers ar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lactic acid copolymer, polyethylene oxide-glycolic acid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lactic glycolic acid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capro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 lactone copolymer, a polyethylene oxide- polydioxanone copolymer, and these copolymers.
  • 1 to 50% by weight of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 and 0.01 to 20% by weight of the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 may be included.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may be a sol state in the body, and a gel state in the body.
  • the phase is changed to the sol state outside the body and to the gel state inside the body so that the wound surface is easily Not only can it be introduced (easily introduced), but also through the stabilization of the copolymer microstructure (microsel) formed in the gel state [hydrophobic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polymer], polyethylene without additional additives
  • the oxide-containing copolymer has excellent stability in the body (in aqueous solution) and prevention of adhesion of tissues.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properties to the extent that the wound can be stably protected during the period of healing of the wound after surgery.
  • Figure 1 shows the microstructure in the gel state of the conventional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
  • Figure 2 shows the microstructure (micro micelle) in the gel state of both the affinity first and second copolym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LCST of the temperature-sensitive 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first copolymer / second copolymer in the temperature-sensitive 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graph of the stability evaluation results of FIGS. 4 and 5;
  • Figure 7 shows the animal experiment process for confirming the anti-adhesion effect
  • Figure 8 show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adhesion in accordance with the animal experiment in four steps
  • FIG. 10 shows the stability mechanism when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Sample 1) containing only both the lipophilic first copolymers is introduced into the body (in aqueous solution),
  • FIG. 11 shows the stability mechanism when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Sample 4) containing both of the first lipophilic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in aqueous solution),
  • Figure 13 is a graph of the ratio of the inflammatory cells through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control and Samples 1, 4.
  • the present invention is phased into a sol state in the body and gel in the body, so that i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organs / tissues of any complex structure, and a temperature-sensitive type having excellent effect of preventing adhesion between tissues by stably protecting the wound surface while the wound is healed. It relates to an anti-adhesion agent.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mphiphilic first copolymer comprising at least 60% by weight of polyethylene oxide (PEO), and at least one both containing less than 40% by weight of polyethylene oxide (PEO). Lipophilic second copolymer.
  • amphiphilic copolymer means a copolymer having bo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properties, and thus, the ratio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polymer By controlling, the hydrophobicity and hydrophilicity of the polymer chain can be controlled.
  • the present invention uses both lipophilic copolymers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PEO) components without additional additives, by adjusting the content ratio of polyethylene oxide (PEO) components in the copolymer sol state in vitro and gel state in the body Copolymer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bilized and stabilized microstructure of the copolymer microstructure (microcell) formed in the gel state as well as being easily introduced into the wound surface in the body (ease of introduction) It is intended to have stability in the body (in aqueous solution) and prevent tissue adhesion.
  • PEO polyethylene oxide
  •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are characterized by making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relatively hydrophilic by including at least 60% by weight of a polyethylene oxide (PEO) component in the entire copolymer.
  • PEO polyethylene oxide
  • PEO polyethylene oxide
  • PPO polypropylene oxide
  • PLA polylactic acid
  • PGA polyglycolic acid
  • PLGA polylactic glycol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PDO polydioxanone
  •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 may be a binary copolymer of the two kinds of components, or may be a terpolymer of three kinds of components copolymerized.
  • polyethylene oxide (PEO) component in the both oleophilic first copolymer When the content of the polyethylene oxide (PEO) component in the both oleophilic first copolymer is less than 60% by weight, the both oleophilic first copolymer is not preferred because it is close to the hydrophilic property, polyethylene oxide (PEO) ) Is most preferably contained in 65 to 85% by weight of the total copolymer.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0 to 50% by weight, preferably 20 to 40% by weight, of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and the content of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is 10% by weight. Less than%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does not exhibit a sol-gel phase transition phenomenon, and if more than 50%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sample is high, it is difficult to inject the body at room temperature, which is not preferable.
  • the content of polyethylene oxide is 60 wt% or more, and the content of polyethylene oxide is 60-75 wt% It is preferable to mix the copolymer (1-1) and both of the lipophilic first copolymers (1-2) having a polyethylene oxide content of 76 to 85% by weight in a weight ratio of 9: 1 to 3: 7, and 8: It is more preferable to mix in the weight ratio of 2-5: 5.
  • the sol-gel phase transition is form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body temperature, so that it is difficult to inject into the wound surface of the body, or the sol-gel phase transition is formed at a temperature too high than the body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is unsuitable for use as an anti-adhesion agent.
  •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s included in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less than 40% by weight of polyethylene oxide (PEO) in the total copolymer, whereby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s are relatively hydrophobic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lose to (hydrophobic).
  • PEO polyethylene oxide
  • the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 is included in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s to impart stability that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do not have.
  • the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ng agent when the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ng agent is prepared, including both the lipophilic first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the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in the sol state
  • the inhibitor is phased in a gel state by body temperature.
  • the hydrophobic components components copolymerized with polyethylene oxide
  • the hydrophilic components polyethylene oxide components
  • hydrophobic portions of the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s meet the hydrophobic portions of the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to form a strong hydrophobic interaction, thereby making the micelles more stable.
  • Hydrophilic components polyethylene oxide components located outside of micelles again form strong hydrogen bonds between micelles, which can be inferred to be stable in the body (aqueous solution, etc.).
  • the temperature-sensitive anti-adhesion agent can effectively function as an anti-adhesion agent because the wound surface can be stably protected (at least 7 days or more) after the wound is healed as in the prior art. have.
  • the both lipophilic secondary copolymer may be a binary copolymer consisting of the two kinds of components, or may be a ter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the three kinds of components.
  • the content of the polyethylene oxide (PEO) component of the both lipophilic secondary copolymer exceeds 40% by weight, the both lipophilic secondary copolymer is insufficient to exhibit a near hydrophobic property, which is undesirable.
  • the (PEO) component is contained in 10 to 40% by weight of the total copolymer.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0.01 to 10% by weight of the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 preferably 0.1 to 5%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both lipophilic second copolymer is 0.01% by weight If it is added in a small amoun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anti-adhesion agent has low stability in the body, so that the anti-adhesion agent can be easily washed off, and if it exceeds 10% by weight, the sol-ge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becomes too low due to their hydrophobicity. It is not desirable.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roperty of phase transition to a sol state in the body and to a gel state in the body.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simply mixing two or more copolymers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as described above, and stably protects the wound while the wound is healed without adding a separate additive as in the prior art. It can have an excellent anti-adhesion effect.
  • a separate crosslinking agent had to be added to improve their stability, but such a crosslinking agent is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using water as a solvent and mixing the two lipophilic first and second copolymers.
  • a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was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10 mL of ultrapure water was charged into a 50 mL glass vial, mix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able 1 and dissolved at about 4 ° C. The total concentration of both the lipophilic first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included in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was adjusted to 30% by weight.
  • (1-1) Terpolymer of PEO (35) / PPO (30) / PEO (35),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12500.
  • both the affinity first copolymer (1-1) / first copolymer (1-2) / second copolymer (2) 6.5 / 3.5 / 0.0-6.5 / 3.5 / 1.0
  • the sol-ge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as the ratio of the second copolymer increases and the first copolymer (1-2) decreases, that is, the ratio of the first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The ge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could be confirmed that easily controlled.
  •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ol-ge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near the body temperature, that is,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ny complex organs / tissues by changing to a sol state in the body and a gel state in the body (sol state)
  • the wound surface can be stably protected (gel state).
  • Residual Ratio (%) (H t / H 0 ) ⁇ 100
  • the hydrophobic components (components copolymerized with polyethylene oxide) included in the both philic first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are present therein, and the hydrophilic components are present.
  • Polyethylene oxide components form an outer micelle (micelle) in which the hydrophobic portions of the both philic second copolymers meet the hydrophobic portions of both lipophilic first copolymers Hydrophobic interactions make the micelles more stable, and the hydrophilic components (polyethylene oxide components) located outside of each of the micelles again form strong hydrogen bonds between the micelles. This is caused by having stability in the body (aqueous solution, etc.).
  • ketamine hydrochloride (10 mg / kg) and 2% nitrazine hydrochloride (2 mg / kg) were mixed, followed by anesthesia by injection into the lower abdomen of rats.
  • the abdomen of the anesthetized rat is incised, a 1 x 1 cm 2 wound is formed on the epidermis of the peritoneum using a surgical knife, and the wound is slightly peeled off from the cecum in contact with the wound.
  • sandpaper was formed using sandpaper.
  • Tissue adhesion was confirmed by dividing the wound control group without any material and suture the control group and 1mL of the materials 1-4 of the sample applied to the wound site 2 x 2 cm 2 and sealed to the experimental group. Since wounds in the body are known to heal within 7 days, tissue adhesion was confirmed 7 days after surger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issue adhesion, the grades were summed and averaged using a grading system (grading system, FIG. 8) of 4 levels (0, 1, 2, 3, the greater the number of adhesions).
  • the microstructure (microcell) Stabilization and hydrogen bonds between stabilized micelles increase the stability in the bod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wound surface is stably protected (more than 7 days)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for the wound to heal,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on.
  • FIG. 12 The degree of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surrounding tissue by the sample introduced into the body was confirmed by ED1 fluorescence staining (FIG. 12,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13 (the ratio of lymphocytes to total cells present in the tissue of the wound).
  • portions indicated by arrows indicate inflammatory cells.
  • FIG. 13 a control group in which wounds were not added without an anti-adhesion agent, sample 1 without a second copolymer, and both lipophilic ag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inflammation results could be seen in sample 4 prepared by mixing the copolymer and both philic second copolymers.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sensitive anti-adhesion agent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biocompatibility that does not cause any inflammatory (abnormal) reaction in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60중량% 이상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40중량% 미만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합체 내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비율이 서로 다른 양쪽 친매성 공중합체들을 이용하고, 이들의 수용액에서의 함량을 조절하여 체외에서는 졸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상태로 상전이 되어 체내 상처면에 손쉽게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입 용이성), 상기 겔 상태에서 형성된 공중합체 미세구조 (마이셀)의 안정화를 통해 [제1 및 제2 공중합체 간의 소수성 상호작용 (hydrophobic interaction)], 별도의 첨가제 없이도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체내 (수용액 내) 안정성 및 조직의 유착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수술 후 상처가 치유되는 기간 동안 상처를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물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본 발명은 체내 안정성이 우수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장기 및 조직의 유착은 손상된 조직의 세포가 증식하고 재생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 중의 하나이지만, 환자에게 계속되는 불편감이나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유착 박리를 위한 재수술이 필요하기도 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골반 수술시 자궁의 조직유착에 의해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개복수술 후 유착 발생율은 55~93%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유착은 근육, 공막, 결막, 테논낭, 근간막 등 인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일어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임상적으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복부수술 후에 발생하는 복막 유착이나 장 유착으로 반복적인 수술, 거친 수술, 과도한 출혈, 봉합물질의 조직 반응, 수술 중의 이물질, 수술 후 염증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술 후 조직 유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술하는 과정에서 상처를 적게 내어서 유착의 원인을 줄이는 수술적 기법; 상처난 조직과 조직 사이에 물리적 장벽을 도입하여 유착을 억제시키는 유착방지제법; 및 약물을 이용하여 유착을 억제하는 화학 방법 등이 적용되어 오고 있으며, 이 중, 조직 유착방지제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플루로닉 F127/F68 시스템을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졸-겔 상전이 온도 (LCST)를 가지는 F127과 높은 온도에서 LCST를 가지는 F68을 이용하여서 체외에서는 졸상태이고 체내에서 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감응성 겔을 제조하였으나, 상기 플루로닉만을 이용한 유착방지제는 다음 도 1에서와 같이 수술 부위의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빨리 씻겨나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루로닉겔 내에 알지네이트를 약하게 가교하여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플루로닉겔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으며, 동물실험을 통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약하게 가교된 알지네이트에 의해 안정성이 부여된 플루로닉겔의 유착방지 효능이 우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천연고분자 (알지네이트)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내독소 (endotoxin) 제거 과정의 복잡성 및 γ-ray 멸균에 따른 천연고분자의 급격한 분자량 감소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숙제로 남아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10-0552954에서는 천연고분자 (히알루론산), PEG-PPG-PEG 블록 공중합체, 및 염 용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착방지용 열감응성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 역시 체내에서 쉽게 씻겨나가 유착방지 효능이 낮은 문제가 있다.
종래의 유착방지제는 비분해성 고분자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된 것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상기 비분해성 고분자의 경우 상처와 상처를 원천적으로 분리하므로 유착방지 성능은 양호하나 시술 후 체내에 이물질로 계속 존재하므로 주변조직에 염증반응을 일으키거나 조직 재생에 장애요인이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기간 후 제거를 위한 재수술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경우는 체내에서 일정기간 후 분해되어 소멸되므로 이물질로 남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으나 아직까지는 비분해성 고분자에 비해 유착방지 성능이 다소 낮은 편이다.
또한, 필름 형태의 유착방지막을 이용할 경우 가장 큰 단점은 적용 부위에서 유착방지막의 이동을 막기 위해 봉합사를 이용해 주변조직과 봉합을 해 주어야 하는데 봉합부위에서 조직유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점과 적용 부위가 복잡하거나 미세한 부분, 도관 형태의 부분에는 도입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겔 형태의 유착방지제의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는데, 이 경우 상처가 치유되기 전 (일반적으로 수술 부위의 상처가 치유되는데 7일 정도가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음)에 체내 (수용액 내)에서 쉽게 분해·흡수되어 유착방지제로서의 효능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기존의 유착방지제를 사용하고도 유착방지 효능이 50 ~ 7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겔 타입의 유착방지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상처를 안정하게 보호하여 유착방지의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겔 타입의 유착방지제들은 조직유착 방지에 필요한 시간보다 빨리 씻겨나가는 단점이 있어 유착방지제로서의 효능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등록 특허 10-0565881
(특허문헌 2) 한국 등록 특허 10-0552954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졸-겔 상전이 온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종래 유착방지제의 유착방지 효능 증대를 위해 사용되던 천연고분자 (혹은 가교된 천연고분자) 혹은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처가 치유되는 충분한 기간 동안 상처면을 안정하게 보호하여 우수한 유착 방지 효능을 가지는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술 후 복잡한 조직과 조직 사이에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체외에서는 졸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상태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를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60중량% 이상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amphiphilic) 제1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40중량% 미만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1,000 ~ 100,000Da 이고,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1,000 ~ 50,000Da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다이옥산온 공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다이옥산온 공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1 ~ 50 중량% 및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가 0.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체외에서는 졸 (sol)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gel) 상태로 전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합체 내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비율이 서로 다른 양쪽 친매성 공중합체들을 이용하고, 이들의 수용액에서의 함량을 조절하여 체외에서는 졸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상태로 상전이 되어 체내 상처면에 손쉽게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입 용이성), 상기 겔 상태에서 형성된 공중합체 미세구조 (마이셀)의 안정화를 통해 [제1 및 제2 공중합체 간의 소수성 상호작용 (hydrophobic interaction)], 별도의 첨가제 없이도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체내 (수용액 내) 안정성 및 조직의 유착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수술 후 상처가 치유되는 기간 동안 상처를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물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의 겔 상태에서의 미세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쪽 친매성 제1, 제2 공중합체의 겔 상태에서의 미세구조 (마이셀)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내 제1공중합체/제2공중합체 비율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의 LCST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 5는 제조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의 수용액 상에서의 안정성 평가 결과로서, 도 4는 시료 1의 결과이고, 도 5는 시료 4의 결과이며,
도 6은 상기 도 4, 5의 안정성 평가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이고,
도 7은 유착방지 효과 확인을 위한 동물실험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동물실험에 따른 유착정도를 4단계로 평가하는 기준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동물실험을 통한 대조군 및 시료 1 ~ 4의 조직유착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만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시료 1)를 체내 (수용액 내) 도입한 경우의 안정성 작용기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시료 4)를 체내 (수용액 내) 도입한 경우의 안정성 작용기전을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의 도입에 따른 주변조직의 염증 반응을 통한 생체적합성의 여부를 확인한 ED1 형광염색 실험 결과이고,
도 13은 대조군과 시료 1, 4의 염증 반응을 통한 염증 세포의 비율을 그래프화한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체외에서는 졸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상태로 상전이 되어 아무리 복잡한 구조의 장기/조직에도 도입이 용이하고,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상처면을 안정하게 보호하여 조직 간의 유착 방지 효과가 뛰어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60중량% 이상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를 40중량% 미만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서 사용된 “양쪽친매성 공중합체 (amphiphilic copolymer)"는 소수성 (hydrophobic)과 친수성 (hydrophilic)을 모두 가지는 공중합체를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고분자 사슬의 소수성과 친수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첨가제 없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을 포함하는 양쪽 친매성 공중합체들을 사용하되, 상기 공중합체 내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의 함량비를 조절하여 체외에서는 졸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상태로 상전이 되어 체내 상처면에 손쉽게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입 용이성), 상기 겔상태에서 형성된 공중합체 미세구조 (마이셀)의 안정화/안정화된 미세구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체내 (수용액 내) 안정성 및 조직 유착 방지 효과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는 전체 공중합체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성분을 60중량% 이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가 비교적 친수성 (hydrophilic)에 가깝도록 한 데 특징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과 공중합되는 다른 성분으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PO), 폴리락틱산 (PLA), 폴리글리콜산 (PGA), 폴리락틱글리콜산 (PLGA), 폴리카프로락톤 (PCL), 폴리다이옥산온 (PDO)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는 상기 2종의 성분들로 된 이원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3종의 성분들이 공중합체를 이룬 삼원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중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이 차지하는 함량이 60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가 친수성에 가까운 성질을 띄는데 미흡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이 전체 공중합체 중 65 ~ 8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들을 10 ~ 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0 ~ 4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에서는 졸-겔 상전이 현상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시료의 점도가 높아 상온에서 체내 주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중에서, 졸-겔 상전이 온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함량이 60중량% 이상인 것 중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함량이 60~75 중량%인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1-1)와,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함량이 76~85 중량%인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1-2)를 9 : 1 ~ 3 : 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 : 2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졸-겔 상전이가 체온보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 형성이 되어 체내 상처면에 주입이 어렵거나, 또는 졸-겔 상전이가 체온보다 너무 높은 온도에서 형성되어 상처면으로부터 흘러버려 유착방지제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에 포함되는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는 전체 공중합체 중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40중량% 미만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가 비교적 소수성 (hydrophobic)에 가깝도록 한 데 특징이 있다.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에 포함되어,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가 가지지 못하는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이는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를 제조하게 되면, 상기 졸 상태의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가 체온에 의해 겔 상태로 상전이 된다. 이때,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소수성을 띄는 성분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공중합되는 성분들)이 내부에 존재하고, 친수성을 띄는 성분들(폴리에틸렌옥사이드 성분들)이 바깥쪽에 존재하는 마이셀 (micelle)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들이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과 만나 강한 소수성 상호작용 (hydrophobic interaction)을 형성하게 되어 마이셀을 보다 안정한 상태로 만들어 주며, 이러한 각각의 마이셀들의 바깥쪽에 위치한 친수성을 띄는 성분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성분들)은 다시 마이셀들 간의 강한 수소 결합 (hydrogen bond)을 형성하게 되어, 체내 (수용액 등)에서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체내 안정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가 종래와 같이 수술 후 상처가 치유되는 기간 동안 (적어도 7일 이상) 상처면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착방지제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과 공중합되는 다른 성분으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PO), 폴리락틱산 (PLA), 폴리글리콜산 (PGA), 폴리락틱글리콜산 (PLGA), 폴리카프로락톤 (PCL), 폴리다이옥산온 (PDO)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는 상기 2종의 성분들로 된 이원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3종의 성분들이 공중합체를 이룬 삼원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 중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이 차지하는 함량이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가 소수성에 가까운 성질을 띄는 데 미흡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성분이 전체 공중합체 중 10 ~ 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0.01 ~ 1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 5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으로 소량 첨가되는 경우 유착방지제의 체내 안정성이 떨어져 유착방지제가 쉽게 씻겨나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들의 소수성으로 인해 졸-겔 상전이 온도가 너무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체외에서는 졸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상태로 상전이되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간단히 혼합하여 제조되며, 종래와 같이 별도의 첨가제를 추가하지 않고도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상처를 안정하게 보호하여 우수한 유착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종래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별도의 가교제를 첨가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가교제도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여기에 각각의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를 넣어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균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등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을 이용하여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를 제조하였다. 10mL의 초순수를 50mL 유리 바이알에 채우고, 표 1의 조성에 맞추어 혼합하여 약 4℃에서 용해시켰다. 상기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에 포함되는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의 총 농도를 30중량%로 맞추었다.
표 1
시료No. 제1공중합체(함량, g(중량비**)) 제2공중합체(함량, g(중량비**))
(1-1) (1-2) (2)
1* 2.7885(6.5) 1.5015(3.5) 0(0.0)
2 2.7885(6.5) 1.4586(3.4) 0.0429(0.1)
3 2.7885(6.5) 1.2870(3.0) 0.2145(0.5)
4 2.7885(6.5) 1.0725(2.5) 0.4290(1.0)
(주) *는 본 발명 범위 외이고, **는 제1공중합체(1-1)/제1공중합체(1-2)/제2공중합체의 혼합시의 중량비임.(1-1) : PEO(35)/PPO(30)/PEO(35)의 삼원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Mw) 12500.(1-2) : PEO(40)/PPO(20)/PEO(40)의 삼원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Mw) 8500.(2) : PEO(15)/PPO(70)/PEO(15)의 삼원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Mw) 5750.
실험예 1 : 겔 형성 유무 (점도) 확인
상기 제조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가 온도 변화에 따라 졸-겔 상전이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1-1, 1-2)/제2공중합체(2) (30wt%) 시료 용액이 담겨진 바이알을 약 4℃의 냉장고에서 30분간 보관 후, 흐름성을 띠는 졸 상태료를의 시 곧바로 50mL 바이알에 조심스럽게 채워주었다. 순환 항온조(circulating water bath)에 상기 바이알을 담그고 항온조의 온도를 서서히 올리면서 시료의 점도가 급격히 변하는 온도 (시료의 흐름성이 없어지는 온도)를 졸-겔 상전이 온도 (LCST)로 규정하였다. 각각 제조된 시료들을 동일한 과정으로 3회 반복하여 (n=3)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와 같이,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1-1)/제1공중합체(1-2)/제2공중합체(2) = 6.5/3.5/0.0~6.5/3.5/1.0의 중량비 범위에서는 제2공중합체의 비율이 증가하고 제1공중합체(1-2)가 감소할수록 졸-겔 상전이 온도가 서서히 낮아지는, 즉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의 비율에 의해 졸-겔 상전이 온도가 손쉽게 조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체온 근처에서 졸-겔 상전이 온도를 형성하는, 즉, 체외에서는 졸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상태로 변하여 어떠한 복잡한 장기/조직에도 손쉽게 적용이 가능 (졸 상태)할 뿐만 아니라 상처면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음 (겔 상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수용액상에서의 안정성 확인
상기 제조된 각 샘플들이 수용액상에서 안정성을 가지는지, 즉 체액이 존재하는 상처면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상처를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측정방법은 바이알에 샘플 1mL을 넣고, 매일 새로운 PBS로 교체하여 초기 시료의 높이 (H0)에 대한 일정 시간 후 존재하는 시료의 높이 (Ht)를 백분율로 계산한 잔류 비율 (%)으로 표현하였으며, 그 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그 결과를 다음 도 4, 5, 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잔류비율 (%) = (Ht/H0) × 100
다음 도 4, 5, 6에서와 같이,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1-1 & 1-2)만으로 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도 4, 시료 1)의 경우 5일까지 샘플이 존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모두 사라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의 수용액에서의 안전성이 높아져 각각 7 (시료 2), 10 (시료 3), 11일 (도 5, 시료 4)까지 수용액에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에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의 수용액상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체내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상처면을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소수성을 띄는 성분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공중합되는 성분들)이 내부에 존재하고, 친수성을 띄는 성분들(폴리에틸렌옥사이드 성분들)이 바깥쪽에 존재하는 마이셀 (micelle)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들이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과 만나 강한 소수성 상호작용 (hydrophobic interaction)을 형성하게 되어 마이셀을 보다 안정한 상태로 만들어 주며, 이러한 각각의 마이셀들의 바깥쪽에 위치한 친수성을 띄는 성분들(폴리에틸렌옥사이드 성분들)은 다시 마이셀들 간의 강한 수소 결합 (hydrogen bond)을 형성하게 되어, 체내 (수용액 등)에서 안정성을 가지는 것에서 기인된 것이다.
실험예 3 : 유착방지 효과 확인을 위한 동물 실험
상기 제조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의 조직유착 방지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은 SD rat을 사용하였으며 다음 도 7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먼저 염산케타민 (10 mg/kg)과 2% 염산질라진 (2 mg/kg)을 혼합 후, 쥐의 하복부에 주사하여 마취를 시행하였다. 마취된 쥐의 복부를 절개하고, 복벽 (peritoneum)의 표피부분에 1 x 1 cm2의 상처를 수술용 칼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고, 이 상처와 맞닿아 있는 맹장에 표피가 살짝 벗겨질 정도의 상처를 사포를 이용하여 형성시켰다. 상처와 상처 사이에 어떠한 재료도 넣지 않고 봉합한 대조군과 시료 1 ~ 4의 재료 1mL을 상처 부위 2 x 2 cm2에 도포하여 봉합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조직유착정도를 확인하였다. 체내의 상처는 7일 이내에 치유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수술 7일 경과 후에 조직 유착정도를 확인하였다. 조직유착정도에 따라 4단계 (0, 1, 2, 3, 숫자가 클수록 유착이 심함)의 유착평가 시스템 (grading system, 도 8)을 이용하여 그 성적을 합산하고 평균내었다.
도 9의 결과에서와 같이, 먼저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를 넣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복막과 맹장, 맹장과 봉합부위가 매우 심하게 유착되어 있는 것 (3단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고 2종의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만으로 된 시료 1도 대조군과 유사한 조직 유착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시료 3, 4에서는 조직 유착정도가 대조군 및 시료 1에 비해 현저히 낮은, 즉 우수한 조직 유착방지 효능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의 혼합에 의한 미세구조 (마이셀)의 안정화 및 안정화된 미세구조 간의 수소결합을 통해 체내에서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상처면을 안정하게 보호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다음 도 10과 11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만을 포함하는 시료 1의 경우 (도 10) 상처 부위에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를 도포하더라도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상기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가 사라져 유착방지제로서의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용액 내 (체내) 안정성 부여를 위해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에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첨가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의 경우 (도 11), 미세구조 (마이셀)의 안정화 및 안정화된 마이셀 간의 수소결합에 의해 체내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져 상처가 치유되는 충분한 기간 동안 (7일 이상) 상처면을 안정하게 보호하여 유착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 생체적합성 실험(염증 반응)
체내에 도입된 시료에 의한 주변조직의 염증반응 정도는 ED1 형광염색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도 12, 그 결과는 (상처부위의 조직에 존재하는 총 세포에 대한 림프구 비율)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 염증 세포를 나타낸 것이다. 전체 세포 중에서 염증 세포의 비율을 계산하여 그래프화한 다음 도 13을 참조하면, 유착방지제를 첨가하지 않고 상처만 낸 대조군,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시료 1 및 본 발명에 따라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와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제조된 시료 4에서 유사한 염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는 체내에서 어떠한 염증 (이상) 반응도 발생시키지 않는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60중량% 이상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제1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40중량% 미만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양쪽 친매성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1,000 ~ 100,000 Da 이고,
    상기 제2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1,000 ~ 50,000 Da 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다이옥산온 공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다이옥산온 공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가 1 ~ 50 중량% 및 상기 제2공중합체가 0.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방지제는 체외에서는 졸 (sol) 상태이고, 체내에서는 겔 (gel) 상태로 전이되는 것인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PCT/KR2013/000786 2012-05-25 2013-01-31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WO201317637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47 2012-05-25
KR1020120056047A KR101389831B1 (ko) 2012-05-25 2012-05-25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6375A1 true WO2013176375A1 (ko) 2013-11-28

Family

ID=4962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786 WO2013176375A1 (ko) 2012-05-25 2013-01-31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9831B1 (ko)
WO (1) WO20131763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00A1 (ko) * 2014-07-24 2016-01-28 (주)메디톡스 열감응성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11635728A (zh) * 2020-05-22 2020-09-08 浙江亚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温敏胶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172B1 (ko) * 2017-10-12 2019-08-09 한국세라믹기술원 레반 수화젤을 이용한 의료용 바이오 필러 소재
KR102444452B1 (ko) 2018-01-09 2022-09-19 주식회사 유영제약 온도 감응성 고분자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891A (ko) * 2003-07-24 2005-01-31 이진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20070078944A (ko) * 2006-01-31 2007-08-03 주식회사 삼양사 유착 방지용 조성물
KR20080096766A (ko) * 2006-02-01 2008-11-03 주식회사 삼양사 유착 방지용 조성물
KR20100056009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동성바이오레인 열감응성 조직 유착 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93211A (ko) * 2010-02-12 2011-08-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이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스터 블록 공중합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891A (ko) * 2003-07-24 2005-01-31 이진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20070078944A (ko) * 2006-01-31 2007-08-03 주식회사 삼양사 유착 방지용 조성물
KR20080096766A (ko) * 2006-02-01 2008-11-03 주식회사 삼양사 유착 방지용 조성물
KR20100056009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동성바이오레인 열감응성 조직 유착 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93211A (ko) * 2010-02-12 2011-08-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이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스터 블록 공중합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00A1 (ko) * 2014-07-24 2016-01-28 (주)메디톡스 열감응성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US10105387B2 (en) 2014-07-24 2018-10-23 Medytox Inc.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o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11635728A (zh) * 2020-05-22 2020-09-08 浙江亚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温敏胶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35728B (zh) * 2020-05-22 2021-05-07 浙江亚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温敏胶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13A (ko) 2013-12-04
KR101389831B1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76375A1 (ko)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US6514534B1 (en) Methods for forming regional tissue adherent barriers and drug delivery systems
US20190167839A1 (en) Absorbable in situ gel-forming system,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KR101330652B1 (ko)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Yu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thermogels in preventing post-operative adhesions and corresponding mechanisms
US20050074495A1 (en) Compositions of polyacid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reducing adhesions
ES2311455T3 (es) Composiciones de poliacidos, de polimeros no ionicos de monomeros de oxido de alquileno y cationes multivalentes y su utilizacion para la reduccion de adherencias.
WO2012057381A1 (ko) 히알루론산 및 l-아르기닌을 함유하는 유착방지제
CA2852386C (en) Absorbable in situ gel-forming system,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Yeo et al. Peritoneal adhesion prevention with an in situ cross-linkable hyaluronan gel containing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in a rabbit repeated-injury model
CN106659823B (zh) 热响应性防粘连用组合物及其用途
Oh et al. Co‐micellized Pluronic mixture with thermo‐sensitivity and residence stability as an injectable tissue adhesion barrier hydrogel
KR100565881B1 (ko)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20090018115A (ko) 장기-유착 방지제 및 그것을 이용한 유착 방지 방법
Erdi et al. Sprayable tissue adhesive with biodegradation tuned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bdominal adhesions
EP3901193A1 (en) Amino acid-modified polymer for adhesion prevention and application thereof
US201500106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Post-Surgical Adhesions
Firsov et al. Biodegradable implants containing gentamicin: drug release and pharmacokinetics
Cashman et al. Camptothecin-loaded films for the prevention of postsurgical adhesions
KR101668349B1 (ko) 유착 방지제
Müller et al. A hydrogel for adhesion prevention: characterization and efficacy study in a rabbit uterus model
AU2021312621A1 (en) Anti-adhesion polymer composition
Esser et al. Preparation of well‐defined calcium cross‐linked alginate films for the prevention of surgical adhesions
EP2997982A1 (en) Substance for preventing adhes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0333804C (zh) 透明质酸钠防粘连薄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931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931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