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52B1 -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 Google Patents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52B1
KR101330652B1 KR1020120020554A KR20120020554A KR101330652B1 KR 101330652 B1 KR101330652 B1 KR 101330652B1 KR 1020120020554 A KR1020120020554 A KR 1020120020554A KR 20120020554 A KR20120020554 A KR 20120020554A KR 101330652 B1 KR101330652 B1 KR 101330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polymer composition
peg
weight
pp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768A (ko
Inventor
김정주
소정원
유현승
서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2002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52B1/ko
Priority to ES12869906.3T priority patent/ES2668503T3/es
Priority to EP12869906.3A priority patent/EP2821087B1/en
Priority to CN201280068305.5A priority patent/CN104093432B/zh
Priority to US14/374,988 priority patent/US9327049B2/en
Priority to PCT/KR2012/001689 priority patent/WO2013129719A1/ko
Publication of KR2013009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6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30Insulin-like growth factors (Somatomedins), e.g. IGF-1, IGF-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5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3Mixtures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5Implantable devices for insertion in between organs or other soft tissues
    • A61B2090/0816Implantable devices for insertion in between organs or other soft tissues for preventing adhe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Abstract

본 발명은 유착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상처부위에 지속적으로 잘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성능이 우수하고, 항균성 및 지혈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최소침습수술법, 복강경 수술 등에 적합하도록 주사 가능한 제형으로 이루어진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류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함량이 65~85중량%이고, 분자량이 6,000~20,000Da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공중합체 24~50중량%; 젤라틴 0.03~5중량%; 및 키토산 0.0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Anti―adhesion polymer composition able to load growth factors}
본 발명은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착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상처부위에 지속적으로 잘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성능이 우수하고, 항균성 및 지혈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최소침습수술법, 복강경 수술 등에 적합하도록 주사 가능한 제형으로 이루어진 성장인자를 담지할 수 있는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착이란, 염증, 창상, 마찰, 수술 등에 의한 창상 등 상처의 치유 과정에서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하여 주변 장기 혹은 조직과 일차적인 유착이 발생하며, 여기에 세포가 침투해 들어가 조직화되면서 섬유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할 주변 장기 또는 조직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유착은 수술 부위에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에 의해 수술 부위 주변에서 피브린(fibrin) 수치가 증가하는데 이 때 섬유소 분해작용(fibrinolysis)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유착이 발생하지 않으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섬유소 분해 작용반응이 억제되면 그로 인해 유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착 현상은 특히 수술 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유착 현상은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수술 주변 부위의 장기 또는 조직이 서로 부착하여 심각한 임상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복수술 후 67 ~ 93% 정도의 빈도로 유착이 발생하며 이중 일부는 자발적으로 분해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상처 치유 후에도 유착이 존재하여 각종 후유증을 유발한다. 유착에 의하여 발생하는 후유증으로는, 복강 수술의 경우 장기능 장애, 장폐색, 만성통증 등이 있으며, 특히 산부인과 수술 후의 유착은 불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ur. J. Surg . 1997, Supplement 577 , 32-39) 유착방지제는 수술 후 발생하는 조직 간 유착을 방지하여 2차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으로 환자의 안전에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의료용 제품이다.
이러한 유착의 방지를 위해서 1) 수술 시 상처를 최소화, 2) 항염제 사용 혹은 섬유소 형성을 막기 위해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issue plasminogen activator)로 활성화시키는 방법, 3) 물리적 장벽(anti-adhesion barrier)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물리적 장벽을 사용하는 경우 조직의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인접한 조직 사이에 유착이 형성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물리적 유착방지제는 조직의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인접 조직과의 유착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정 기간 후에는 자연적으로 분해 혹은 흡수되어 제거되어야 하며, 유착방지제에 사용되는 재료 자체 혹은 그 분해산물이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현재 상업화된 유착방지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 (PEG-PPG)],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PEO)], 폴리락틱에시드[Poly(lactic acid) (PLA)],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arboxymethylcellulose (CMC)], 피브리노젠[Fibrinogen], 염화칼슘용액[Calcium chloride solution], 덱스트란[Dextran], 이코덱스트린 중합체[Icodextrin compound], 테프론[Teflon™], 산화재생셀룰로오즈[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폴리글리칸이스터[Polyglycan ester], 폴록사머[poloxamer]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착방지제 중 셀룰로오즈 류나 덱스트란 류 등은 천연고분자이지만 생체를 구성하는 성분은 아니므로 생체 내에 삽입 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체 내에 이러한 재료들에 대한 분해효소가 없어 분해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산화 시키거나, 가수분해될 수 있도록 조작을 해줘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히알루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착방지 용액이 사용되고 있으나, 히알루론산은 생체 내에서 반감기가 3일 에 불과하여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유착방지 역할에 제약이 있다. 그리고 합성고분자 중 폴리락틱에시드[Poly(lactic acid) (PLA)]는 분해 산물이 산성을 띄기 때문에 염증반응과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유착방지제로 사용된 물질에는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있다. 합성고분자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는 바스프사(BASF)에서 생산되는 고분자로써 저온에서는 용액상태로 존재하나 온도가 올라가면 겔 화되는 온도 감응성 재료로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번호 제4,188,373호; 제4,478,822호; 제4,474,751호) 이러한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는 PEG와 PPG 의 비율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폴록사머 407로 알려져 있는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는 PPG블록의 분자량(polyoxypropylene molecular mass)이 4,000 g/mol 이고, 70% polyoxyethylene (PEG) 함량(content)을 갖는다. 또한 폴록사머 188로 알려져 있는 이 고분자의 PPG블록의 분자량(polyoxypropylene molecular mass)이 1,800 g/mol이고, 80% polyoxyethylene (PEG) 함량(content)을 갖는다. 이러한 PEG부분과 PPG 부분의 비율이나 분자량 및 산도와 첨가제에 따라 겔 화 및 물성에 영향을 준다.
또한,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유착방지용 제재로는, 형태적으로 용액, 필름 및 젤 형태의 것들로 구분된다.
첫째로, 용액 형태의 유착방지용 제재는 유착방지 기능을 하기 전에 다른 부위로 흘러 들어가거나 너무 일찍 분해되는 경우가 있어 유착방지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로, 필름 형태의 유착방지용 제재는 Seprafilm (Hyaluronic acid-CMC), Medishield (CMC-PEO), INTERCEED™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SurgiWrap (PLA) 등의 제품이 있으나, 이 제품들은 내부 장기에 적용 시 장기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고, 부착되더라도 장기의 운동으로 인해 상처부위에 지속적으로 위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 및, 조직 자체에서 이물질로 인식되어 서로 뭉쳐져서 장기 유착 방지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유착방지의 원리 중 하나인 물리적 장벽(anti-adhesion barrier)을 확실히 제공할 수 있는 형태라는 점에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이 아직은 확실하게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필름 형태의 제품은 주로 산부인과 또는 척추수술 등 제한적으로만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의 수술 트랜드인 최소침습수술법, 복강경 수술 등에 적용하기에는 형태적인 제약이 크다. 따라서 유착방지 기능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술 시 발생하는 상처부위에 지속적으로 잘 부착할 수 있는 부착성이 우수하고, 현재의 수술 트랜드인 최소침습수술법, 복강경 수술 등에 적합하도록 주사 가능한 제형의 유착방지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젤 형태의 유착방지용 제재는 주사 가능한 제형으로서 필름과 용액 형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발이 되고 있다. 현재 Hyskon™ 이라는 덱스트란 70(Dextran 70)을 사용한 제품, Flowgel™이라는 PEG-PPG-PEG 공중합체를 사용한 제품, ADCON이라는 젤라틴(gelatin)을 사용한 제품, INTERGEL이라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사용한 제품, GUARDIX-sol이라는 히알루론산-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Hyaluronic acid-CMC)를 사용한 제품 등이 있다. 상처 치유에 소요되는 기간은 상처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7일 정도인데 유착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위해서는 7일 정도의 기간 동안은 상처부위가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7일 정도의 기간 동안은 상처 인접 조직들과 섬유조직이 형성되지 못하도록 하고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분해, 흡수, 및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젤 형태의 유착방지제의 경우에는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녹아서 배출되어 상처 조직에 머무르는 시간이 부족하여 유착 방지 효과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할 뿐 아니라, 셀룰로오즈 계열(CMC)과 덱스트란 등의 비 생체유래 물질들은 생체 내에서 이물반응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1082935(2011.11.07)는 다공성 조직유착 방지용 서방성 제제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락티드를 메틸알콜, 에틸알콜 및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에 녹여 다공성 필름으로 제조하고, 표면과 내부에 형성된 미세기공에 항생제 및 소염제를 도포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티드는 폴리락틱에시드(polylactic acid: PLA)라고 불리는 합성고분자로 분해산물이 산성을 띄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분해될 경우 생체 내에 산성의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유해할 수 있고 생체 적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닌다. 또한 필름을 제조할 시, 폴리락티드를 메틸알콜, 에틸알콜 및 아세톤 등의 독성이 있는 유기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유기용매가 제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경우 생체 내에서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를 지닌다.
또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1070358(2011.09.28)는 겔 화가 일어나는 셀룰로오스계 단섬유로 제조한 의료용 부직포 유착방지막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천연셀룰로오스 또는 재생셀룰로오스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가 천연고분자이지만 생체를 구성하는 성분은 아니므로 생체 내에 삽입 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생체 내에 셀룰로오즈 계열의 재료들에 대한 분해효소가 없기 때문에 완전히 분해되어 분해산물로 처리되어 생체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미국 특허번호 제6,294,202호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등의 음이온성 다당류와 폴리글리콜라이드의 소수성 고분자를 결합시켜 비수용성의 겔, 막, 폼, 섬유 등의 형태로 제조한 유착방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생체 유래 물질이 아니므로 생체 내에서 이물반응이나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폴리글리콜라이드 (Polyglycolic acid (PGA))는 분해산물로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을 방출하여 주변의 산도를 산성으로 낮추어 주변 조직을 자극하며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막 형태로 제조할 경우 건조상태에서 재료 자체가 유연하지 못하고 딱딱하여 부서지기 쉬우며 수분에 접촉하는 경우 말리고, 막, 폼 또는 섬유형태로 제조할 경우에는 생체 내에서 고정되지 않고 접히거나 유착방지가 필요한 부분에 접착을 하지 못하는 등 취급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번호 제6,280,745 B1호에는 유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운반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폴리 옥시알킬렌 블록공중합체 등의 하나 이상의 구성 고분자(constitutive polymer)와 셀룰로오스 에테르 류,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류의 변성 고분자(modifier polymer) 및 지방산 비누계의 소듐 올리에이트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카프레이트, 소듐 카프릴레이트의 보조 계면활성제 (co-surfactant)을 포함하고, 여기에 항생제, 항염증제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약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이 중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는 생체 유래 물질이 아닌 식물에서 얻은 셀룰로오스를 가공하여 제조된 것으로 생체 내에서 이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폴리아크릴레이트 류 등의 다른 변성 고분자들도 생체 유래 물질이 아니어서 생체 적합성이 낮아 이 역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유착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수술 시 발생하는 상처부위에 지속적으로 잘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성능이 우수하고, 또 현재의 수술 트랜드인 최소침습수술법, 복강경 수술 등에 적합하도록 주사 가능한 제형으로 된 유착방지제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특허 제1082935호 한국 특허 제1070358호 미국 특허번호 제6,294,202호 미국 특허번호 제6,280,745호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착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수술 시 발생하는 상처부위에 지속적으로 잘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성능이 우수하고, 항균성이나 지혈성도 가지며, 나아가 현재의 수술 트랜드인 최소침습수술법, 복강경 수술 등에 적합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 내에서 염증반응이나 이물반응을 가능한 한 억제하여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증류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함량이 65~85중량%이고, 분자량이 6,000~20,000Da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공중합체 24~50중량%; 젤라틴 0.03~5중량%; 및 키토산 0.0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토산이나 젤라틴과 같은 이른바 생체유래 고분자를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유착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수술 시 발생하는 상처부위에 지속적으로 잘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성능이 우수하고, 항균성 및 지혈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현재의 수술 트랜드인 최소침습수술법, 복강경 수술 등에 적합하도록 주사 가능한 제형으로 이루어진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 유래 고분자를 구성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염증반응이나 이물반응을 가능한 한 억제하여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의 항균성 평가 결과를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의 유착방지 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를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은 외과 또는 복강경 및 내시경 수술로 인한 상처부위에 용액상태로 주사되어 도포되고 체온에 의하여 겔 화됨으로써 상처부위의 유착을 억제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는 독일 바스프사의 시판 상표명 '플루로닉(Pluronic)' 또는 '폴록사머(Poloxam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인체에 무해한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온도 감응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유착방지의 효과를 증진시킨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로 PEG 함량이 서로 다른 2종의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각각의 블록공중합체의 함량은 12~25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EG-PPG-PEG 블록공중합체 중의 polyoxyethylene(PEG) 함량은 제형의 친수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그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 제형 혼합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olyoxyethylene (PEG) 함량이 65~85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68~82%인 블록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는 고분자 조성물의 상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글리세롤과 같은 상 안정화제가 5 내지 25중량% 정도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되는 키토산과 젤라틴은 생체유래 고분자로서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와 사이에 O2----H+, N3----H+ 이온 사이의 수소결합 및/또는 NH3 +---OH- 작용기 사이의 이온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생체유래 고분자는 상처부위의 유착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분자 조성물의 부착성능을 향상시켜 상처부위에 고정됨으로써 다른 부위로 이동하지 않도록 해 준다.
젤라틴은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는 성질이 강한 특성이 있다. 또한 장 표면은 전반적으로 음전하(negative charge)를 띄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에 반해, 양이온성 그룹(Cationic group)에 속하는 장 표면 부착성 고분자인 젤라틴은 전반적으로 양전하(positive charge)를 띄기 때문에, 장 표면과 젤라틴 사이에 전기적인 결합(electrostatic bonds)이 생성되어 접착을 지속함으로써 장 표면에 대한 부착성, 즉 생체 부착성(bioadhesive)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젤라틴은 상처부위의 삼투압을 증가시키고 혈소판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TISSUE ENGINEERING, Volume 11, Number 7/8, 2005) 젤라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지혈특성도 지니고 있다.
키토산은 하이드로겔 류의 장 부착성 고분자 중 양이온성 그룹(Cationic group)에 속하는 고분자로 전반적으로 양전하를 띄기 때문에 장 표면과 전기적인 결합(electrostatic bonds)를 할 수 있으며 장 표면 부착성에 관한 전기적 이론(electronic theory)에 의해서 장 표면에 머무르면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첨가되는 키토산은 젤라틴의 장 표면 부착성을 보조적으로 도와 부착성을 더 향상시킨다. 또한, 키토산은 -NH3 작용기 때문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어 (J. Ocul. Pharmacol. Ther. 16 (2000) 261270) (J. Appl. Polym. Sci. 79 (2001) 13241335) 키토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은 제조과정 중이나 또는 상처부위에 도포하기 전에 성장인자를 포함시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온에 의하여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이 상처부위에 유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을 형성하며, 겔 화됨으로써 성장인자의 방출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의 적용방법은 첫째, 수술 시 또는 수술 후에 용액상태의 고분자 조성물을 상처 부위에 주사하는 단계, 둘째, 고분자 조성물에 포함된 생체유래 고분자에 의해 고분자 조성물이 상처부위에 고정되는 단계, 셋째, 체온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면서 용액상태의 고분자 조성물이 겔화되는 단계, 넷째, 체내 분해효소 및 대사에 의한 조성물의 분해 및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은 적절한 조성으로 화학적으로 결합된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온도 감응성에 의하여 상온에서는 용액상태로 존재하다가 체내에 적용되면 37℃의 온도에 의해 겔 화되어 상처조직 부위에 유착을 방지하는 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온에서는 용액형태로 존재하므로 상처 부위에 주사할 수 있으며, 적용 후 겔 화되어 상처부위에 국소적으로 집중되므로 유착에 대한 장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이 생체 온도에서 바람직한 겔화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키토산이나 젤라틴과 같은 생체유래 고분자가 각각 0.03 내지 5중량%,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24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PEG 함량이 상이한 2종의 PEG-PPG-PEG 블록공중합체 각각을 12 내지 25중량% 범위 내에서 멸균증류수에 혼합하여 화학적 결합에 의해 안정화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온도가 증가하여도 겔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반대로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저온에서도 겔 화되어 있어 사용이 불편하므로 적절한 제어가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키토산과 젤라틴을 각각 0.03 내지 5중량%로 한정하고 있는데, 그 양이 너무 적을 경우 이들 성분의 첨가 효과를 실질적으로 기대하기 어렵고, 반면 이들 각 성분이 5%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 고분자 조성물 내에서 일부가 용해되지 않은 채로 잔류할 가능성이 있고,또한 3개월 정도의 장기간 보관 시 조성물 중에서 키토산과 젤라틴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장기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는 분자량이 커지면 겔화 온도가 높아지며, 조성물 제조 시 혼합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분자량을 6,000 내지 20,000Da가 되도록 하였다. 그 이유는 겔화 온도 및 혼합성이 분자량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적당한 분자량의 블록공중합체를 선정함에 의해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의 제형을 최적화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은 성장인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성장인자의 담지는 제조단계 중에 미리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상처부위에 적용하기 전에 용시로(in situ) 주사기로 성장인자를 주입하여 혼합한 후 사용할 수도 있다. 성장인자로는 상처부위의 조직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s; EGF, beta-urogastrone), 헤파린 결합성 EGF 유사 성장인자(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HB-EGF), 형질전환 성장인자-α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s; FGF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장인자는 생체 항상성 및 부작용을 줄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선행 연구의 동물실험 결과를 기준으로 1 ㎍/㎖ 내지 1 ㎎/㎖가 적당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키토산 3중량%과 PEG-PPG-PEG 블록공중합체 중에서 15중량%의 폴록사머 188과 16중량% 폴록사머 407을 멸균증류수에 첨가하여 5~8℃의 냉장 공정(cold process)에서 물리적 교반기를 이용하여 400~500rpm으로 약 2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얻어진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와 키토산의 혼합용액에 젤라틴(Gelatin) 0.03 내지 5 중량% 및 글리세롤(Glycerol) 10중량%을 첨가한 후 다시 1시간 교반하여 최종적으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젤라틴(Gelatin)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도 측정
실시예 1~9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조성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를 부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16498409-pa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젤라틴의 함량이 0.03중량%에서 5중량%로 많아질수록 35℃에서의 점도가 3.96 배까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상처부위에 적용시 장 부착성능이 높아진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이러한 점도 값은 젤라틴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보다 1.7배 내지 6.6배 정도 높은 값으로서 결과적으로, 비교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서 장 부착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응력 측정
응력도 부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이므로, 표 1의 실시예 7의 고분자 조성물의 응력을 멸균증류수, 폴록사머 샘플과 함께 측정하여 대비하였다.
고분자 조성물 각각 1mL씩 샘플을 도포하고 37℃ 인큐베이터에 10분 정도 넣어두어 겔 화시킨 후, 만능시험기에 샘플을 도포한 슬라이드 글래스(slide glass)를 고정시키고 고분자 조성물과 어댑터 표면을 접착시킨 후, 고분자 조성물과 어댑터가 접착되었다가 분리될 때의 최대 응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112012016498409-pat00002
표 2의 결과를 보면, 멸균증류수나 폴록사머의 경우 그 자체의 응력, 즉 주어진 압력에 반하여 끌어당기는 힘은 0.01MPa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7 고분자 조성물은 최대응력이 0.03MPa로 3배나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이 상처부위에 적용되는 경우 혈류 등의 유체에 의한 흐름성이 감소하고, 상처부위에 국소적으로 머무를 수 있는 부착성능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항균성 시험
수술 시 혹은 수술 후에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수술 현장에서 슈퍼박테리아인 항생제 내성 균, 즉 메타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MRSA) 균에 감염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슈퍼박테리아인 메타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MRSA 균을 TSB 배지에 희석한 균과 TSB 배지 20 ml를 표 1의 실시예 7의 고분자 조성물 시료(A) 및 상용의 유착방지용 겔 제품(B) 각각 4g과 함께 혼합한 후, 각각의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과 균이 혼합된 시료 100㎕을 평판배지 중앙에 떨어뜨리고 멸균 도말봉으로 배지 전체에 고르게 도말한 후 3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균 분포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의 그래프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은 대략 81%의 항균성을 나타냄으로써 45.1%의 항균성을 보이는 상용의 유착방지용 겔 대비 1.79배의 높은 항균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조성물을 수술 시 또는 수술 후의 환자에 적용한다면 수술 현장에서 감염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진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균을 초기 24시간 내에 81% 죽일 수 있어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등 치명적인 위험성을 초기에 낮출 수 있다.
지혈성 시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의 혈액 응고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활성 부분 트롬보프라스틴 시간 측정 키트(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Ki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혈장 0.1mL을 테스트 튜브에 넣고 2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aPPT 시약 0.1m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3분 동안 37 ℃에서 incubation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0.1mL 넣고 10분 동안 응고 시간을 재었다.
Figure 112012016498409-pat00003
표 3으로부터, 젤라틴이 포함된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비교예와는 달리 6분 이내에 혈액 응고반응이 일어나고, 특히 젤라틴의 함량에 따라 응고시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젤라틴이 포함된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지혈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의 유착방지 시험
쥐의 맹장 표면과 복막에 인위적인 상처를 내어 강제유착을 일으키고, 실시예 7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상처부위에 처리하여 1주일 후 쥐의 맹장과 복막의 유착 방지효과를 관찰하였다. 유착 정도는 0 에서 5까지 구분하여 평가(유착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어; 0 = 유착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1 = 점상(focal)의 유착이 일부 일어난 경우, 2 = 점상의 유착이 많은 경우, 3 = 면상의 유착이 발생한 경우, 4 = 면상의 유착이 깊게 발생한 경우, 5 = 면상의 유착과 함께 혈관이 형성된 경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멸균증류수 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라 제조한 고분자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유착의 정도가 4배 정도 낮게 나타나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이 유착방지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종류에 따른 고분자 조성물의 점도 측정
멸균증류수, 키토산 3중량% 및 젤라틴 3중량%를 함유하고,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는 폴록사머 188와 폴록사머 407의 양을 서로 다르게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조성물의 점도를 부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2016498409-pat00004
표 4의 결과에서,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종류와 조성에 따라 점도 값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키토산과 젤라틴을 포함하고 폴록사며 407만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조성물은 20℃에서 점도가 급격히 올라가며 겔 화되는 반면에, 2종의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16중량% : 15중량%로 혼합된 조성은 30℃ 정도에서 겔 화되며, 초기 점도 값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단일 종의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와 키토산 및 젤라틴으로 조성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은 초기 점도 값이 높아서 상처 부위에 주사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폴록사머 407과 폴록사머 188 2종의 PEG-PPG-PEG 블록공중합체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은 초기 점도 값이 낮기 때문에 주사하기가 더 쉽고 최종 점도 값이 더 높아 상처부위에 더 단단히 부착되며, 겔화 온도가 30℃정도이기 때문에 보관과 사용이 보다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증류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함량이 65~85중량%이고, 분자량이 6,000~20,000Da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EG-PPG-PEG) 블록공중합체 24~50중량%; 젤라틴 0.03~5중량%; 및 키토산 0.03~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PEG 함량이 서로 다른 2종의 블록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3. 제2항이 있어서,
    상기 각 블록공중합체의 함량은 12~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조성물은 조성물의 상 분리를 억제하기 위한 안정화제로 글리세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조성물은 성장인자로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s; EGF, beta-urogastrone), 헤파린 결합성 EGF 유사 성장인자(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HB-EGF), 형질전환 성장인자-α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s; FGFs)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KR1020120020554A 2012-02-28 2012-02-28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KR101330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54A KR101330652B1 (ko) 2012-02-28 2012-02-28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ES12869906.3T ES2668503T3 (es) 2012-02-28 2012-03-08 Composición de polímero anti-adhesión capaz de soportar un factor de crecimiento
EP12869906.3A EP2821087B1 (en) 2012-02-28 2012-03-08 Anti-adhesion polymer composition capable of supporting growth factor
CN201280068305.5A CN104093432B (zh) 2012-02-28 2012-03-08 能够负载生长因子的防粘连用高分子组合物
US14/374,988 US9327049B2 (en) 2012-02-28 2012-03-08 Anti-adhesion polymer composition capable of supporting growth factor
PCT/KR2012/001689 WO2013129719A1 (ko) 2012-02-28 2012-03-08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54A KR101330652B1 (ko) 2012-02-28 2012-02-28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68A KR20130098768A (ko) 2013-09-05
KR101330652B1 true KR101330652B1 (ko) 2013-11-18

Family

ID=4908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554A KR101330652B1 (ko) 2012-02-28 2012-02-28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7049B2 (ko)
EP (1) EP2821087B1 (ko)
KR (1) KR101330652B1 (ko)
CN (1) CN104093432B (ko)
ES (1) ES2668503T3 (ko)
WO (1) WO20131297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867A (ko) 2015-07-21 2017-02-03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입자형 무세포 진피 기반의 온도감응성 유착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89740B1 (ko) 2020-07-24 2020-12-14 (주)시지바이오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8863B2 (en) 2008-02-26 2014-03-1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ndritic macroporous hydrogels prepared by crystal templating
EP2624874A4 (en) 2010-10-08 2014-04-02 Univ Texas ADHESIVE MEMBRANE WITH ALGINATE AND HYALURONIC ACI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WO2012048283A1 (en) 2010-10-08 2012-04-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One-step processing of hydrogels for mechanically robust and chemically desired features
US11565027B2 (en) 2012-12-11 2023-01-3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Hydrogel membrane for adhesion prevention
US9662424B2 (en) 2012-12-11 2017-05-3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Hydrogel membrane for adhesion prevention
AU2015297024A1 (en) 2014-07-31 2017-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dherent alcohol-based composition
KR102501943B1 (ko) * 2014-07-31 2023-03-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유착 방지 조성물
WO2016018475A1 (en) 2014-07-31 2016-0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dherent composition
KR102401730B1 (ko) 2015-04-01 2022-05-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그람 음성 박테리아 포획용 섬유 기재
US10489777B2 (en) * 2016-01-05 2019-11-2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Universal access to an electronic wallet
WO2017204806A1 (en) 2016-05-26 2017-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dher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nhibiting the adherence of microbes to a surface
US11939431B2 (en) 2020-04-24 2024-03-26 Proview-Mbd Biotech Co., Ltd. Temperature sensitive composition for tissue adhesion prevention and application thereof
CN113144277B (zh) * 2021-04-13 2022-06-14 武汉理工大学 一种可注射流体明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113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기포를 포함하는 유착방지제
WO2008132233A1 (en) 2007-05-01 2008-11-06 Kuros Biosurgery Ag Composition, methods and kits for prevention of adhesion
KR20100056009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동성바이오레인 열감응성 조직 유착 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25530A (ko) * 2009-09-04 2011-03-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주입형 조직 접착성 하이드로젤 및 이의 생의학적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373A (en) 1976-02-26 1980-02-12 Cooper Laboratories, Inc. Clear, water-miscible, liquid pharmaceutical vehicles and compositions which gel at body temperature for drug delivery to mucous membranes
US4478822A (en) 1983-05-16 1984-10-23 Merck & Co., Inc.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US4474751A (en) 1983-05-16 1984-10-02 Merck & Co., Inc. Ophthalmic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US5036046A (en) * 1988-10-12 1991-07-30 Eye Research Institute Of Retina Foundation, Inc. Method for enhancing healing of corneal endothelial wounds
US5126141A (en) * 1988-11-16 1992-06-30 Mediventures Incorporated Composition and method for post-surgical adhesion reduction with thermo-irreversible gels of polyoxyalkylene polymers and ionic polysaccharides
US6294202B1 (en) 1994-10-06 2001-09-25 Genzyme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nionic polysaccharides and hydrophobic bioabsorbable polymers
US6280745B1 (en) 1997-12-23 2001-08-28 Alliance Pharmaceutical Corp.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delivery of pharmaceutical agents and/or the prevention of adhesions
RU2009136422A (ru) * 2007-03-02 2011-04-10 СЕНТ СИМЕОН ЭлДиЭй (US) Новые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человеческий лизоцим,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лечения состояний глаз и в качестве растворов для контактных линз
CN101318036B (zh) * 2008-06-10 2011-11-23 杭州协合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医用防粘连智能凝胶材料及其制法
US8765787B2 (en) * 2008-11-21 2014-07-01 Bridge Pharma, Inc. Methods of treatment of xerophthalmia with self-preserving ocular formulations of norketotifen
KR101082935B1 (ko) 2009-02-06 2011-11-11 문형순 다공성 조직유착 방지용 서방성 제제 필름의 제조방법
KR101070358B1 (ko) 2009-12-24 2011-10-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료용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113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기포를 포함하는 유착방지제
WO2008132233A1 (en) 2007-05-01 2008-11-06 Kuros Biosurgery Ag Composition, methods and kits for prevention of adhesion
KR20100056009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동성바이오레인 열감응성 조직 유착 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25530A (ko) * 2009-09-04 2011-03-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주입형 조직 접착성 하이드로젤 및 이의 생의학적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867A (ko) 2015-07-21 2017-02-03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입자형 무세포 진피 기반의 온도감응성 유착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89740B1 (ko) 2020-07-24 2020-12-14 (주)시지바이오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WO2022019701A1 (ko) 2020-07-24 2022-01-27 (주)시지바이오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3432A (zh) 2014-10-08
CN104093432B (zh) 2016-03-30
ES2668503T3 (es) 2018-05-18
WO2013129719A1 (ko) 2013-09-06
EP2821087A4 (en) 2015-11-04
US9327049B2 (en) 2016-05-03
EP2821087B1 (en) 2018-03-07
KR20130098768A (ko) 2013-09-05
US20150010490A1 (en) 2015-01-08
EP2821087A1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652B1 (ko)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Yin et al. Bio‐multifunctional hydrogel patches for repairing full‐thickness abdominal wall defects
US20240066179A1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hyaluronic acid-calcium and polylys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292316B1 (en) Hemostatic compositions of polyacids and polyalkylene oxides and methods for their use
Wei et al. Injectable hydrogel based on dodecyl-modified N-carboxyethyl chitosan/oxidized konjac glucomannan effectively prevents bleeding and postoperative adhesions after partial hepatectomy
US10105387B2 (en)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o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US20230220190A1 (en) Anti-adhesion polymer composition
KR102444452B1 (ko) 온도 감응성 고분자 조성물
Zhao et al. An injectable, self-healable, antibacterial, and pro-healing oxidized pullulan polysaccharide/carboxymethyl chitosan hydrogel for early protection of open abdominal wounds
KR20170029817A (ko) 간격체 함유한 생체적합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68349B1 (ko) 유착 방지제
KR101845885B1 (ko) 입자형 무세포 진피 기반의 온도감응성 유착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4728093B (zh) 止血及伤口治愈用创伤敷料及其制备方法
Wang et al. A Composited Povidone-Iodine Silk Fibroin Hydrogel for Wound Infection
US20220160929A1 (en) Solution Blow Spun Polymer Construct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Fabrications and Uses Relating Thereto
KR101651574B1 (ko) 활성 약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CN105363075A (zh) 一种用于止血和防粘连的可吸收医用材料及其制备方法
Esser Adhesive polymer films for the prevention of postsurgical adhesions
de Oliveira Villarim et al. Vitória Ribeiro Dantas Marinho et al
Parker Design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Crosslinked Chitosan Sponges for Tailorable Drug Delivery and Infec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