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54302A1 -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54302A1
WO2013154302A1 PCT/KR2013/002855 KR2013002855W WO2013154302A1 WO 2013154302 A1 WO2013154302 A1 WO 2013154302A1 KR 2013002855 W KR2013002855 W KR 2013002855W WO 2013154302 A1 WO2013154302 A1 WO 20131543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adle
terminal
satellite terminal
satellit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8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Park Jong I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Park Jong In filed Critical Park Jong In
Priority to EP13775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38206B1/en
Priority to CN201380029355.7A priority patent/CN104471863B/zh
Priority to US14/394,359 priority patent/US20150080064A1/en
Publication of WO20131543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543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improved structure to be used in a satellite terminal by replacing the cradle when the smartphone terminal is changed.
  • Satellite terminals using satellit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they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call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sea, sky, mountains, relay stations.
  • a general terminal for satellite communication includes a satellite antenna, a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atellite communica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nd a user's voice signal.
  • the smartphone can be fixed using a cradle to be physically combined with the satellite terminal.
  • the satellite terminal 400 includes a microphone 520 for receiving a voice of a caller at a bottom of a front surface of the satellite terminal 400.
  • a speaker 510 for outputting a voice to a caller is installed at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cradle 500 is integral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satellite terminal 400 so that the smartphone 60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cradle 500. .
  • the cradle 500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tellite terminal 400 is limited to the shape of a specific terminal, a smartphone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radle 520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500 of the satellite terminal 400. There was no problem.
  • the conventional satellite terminal 10 when the user replaces the smartphone 600, the conventional satellite terminal 10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 the satellite terminal 400 since the satellite terminal 400 must supply satellite terminals 400 of various models on which the cradles 500 of various shapes are mounted,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cost increas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be mounted on a satellite terminal by replacing and installing the cradle when the smartphone terminal is changed.
  •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is a cradle is provided on the satellite terminal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coupling block; And a second cradle on which a smartphone terminal is seated and a block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lock of the first cradle on one side thereof.
  • the first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ase of the satellite terminal.
  • the first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radle body; And a block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radle body and formed of irregularities.
  • the first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radle body; And a speaker unit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radle body.
  • the second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 cradle body formed with a smart phone receiving groove is seated smart phone terminal; And a block coupling pa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to insert the block into one side of the second cradle body.
  • the second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unit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uni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radle body; And a speaker unit accommodating groove in which a speaker unit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radle body.
  • Cradle for satellite terminal has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 smart phone terminal, the first crad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 phone terminal; A second cradle, wherein the first cradle,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 phone terminal, is universally seated and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and provides power or various electric signals to the various smart phone terminals; And a binding part for binding the first cradle and the auxiliary device to each other, wherein the binding par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plurality of recesses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cradl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auxiliary device to be forced in the insertion groove.
  •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radle and the auxiliary device is formed in a lego press-fit metho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 an inclined entry surface is formed around the end of the fitting protrusion to facilitate entry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corresponds to the inclined entrance surface, so as to easily accommodate the fitting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receiving surface is formed.
  • the first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cradle by the auxiliary binding portion, the auxiliary binding portion,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which is formed at least one recessed on the back of the first cradle; And an auxiliary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radle to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 the cradle and the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groove portion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cradle and the auxiliary device coupled.
  •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groove portion provided to help the separation of the smart phone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the cradle even if the smartphone terminal is changed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satellite terminal already in u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tellite terminal provided with a cra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the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adle 100 for a satellite terminal includes a first cradle 110 and a second cradle 120.
  • the first cradle 110 is installed in the satellite terminal 200 to selectively detach the second cradle 120, the first cradle body 111, the block 112, the microphone unit 113 and the speaker unit ( 114).
  • the first cradle body 111 is a rectangular member and is an outer case of the satellite terminal 200.
  • the blocks 112 are irregularities form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radle body 111, and a plurality of blocks 1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 the microphone unit 113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radle body 111 by protruding a microphone (not shown) installed in the satellite terminal 20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cradle 120. To get close to the user.
  • the microphone 113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radle 120 fastened through the block 112 to prevent the second cradle 120 from flowing.
  • the speaker unit 114 is disposed on the first cradle body 111 by protruding a speaker (not shown) installed in the satellite terminal 20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speaker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cradle 120. To get close to the user.
  • the speaker unit 114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radle 120 fastened through the block 112 to prevent the second cradle 120 from flowing.
  • the second cradle 120 is to support any smartphone terminal 300 to be mounted on the satellite terminal 200, is formed of a plastic resin, the second cradle body 121, the smartphone receiving groove 122 ), The block coupling unit 123, the microphone unit receiving groove 124 and the speaker unit receiving groove 125.
  • the second cradle body 121 is a rectangular plate member, the smartphone receiving groove 122 is formed so that the smartphone terminal 300 having an arbitrary shape is seated along the peripheral edge.
  • the smartphone receiving groove 12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mounting target smartphone terminal 300 is seated, and the front is opened.
  • the block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by drilling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second cradle body 121 corresponding to each block 112 so as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locks 112 installed in the first cradle body 111. do.
  • the block coupling part 123 is fastened through the block 112 formed on the first cradle body 111 through an interference fit so that the second cradle 120 may be fixed to the first cradle 110. .
  • the microphone unit accommodating groove 124 is to allow the microphone unit 113 of the first cradle 110 to be installed under the second cradle body 121, so that the microphone unit 113 is the second cradle body 121.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radle 120 is more firmly supported so as not to shake.
  • the speaker unit accommodating groove 125 is to allow the speaker unit 114 of the first cradle 110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radle body 121, and the speaker unit 114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cradle body 121.
  • the second cradle 120 is firmly supported together with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groove 124 so that the second cradle 12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radle 110 and shaken.
  • 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mbining process of the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cradle 110 of the cradle 100 for the satellite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satellite terminal 200 to perform satellite communication, the block 1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in the center of the first cradle 110. .
  • the second cradle 120 and the first cradle 110 are mounted on the second cradle 120.
  • close contact with the block 112 to be inserted into the block coupling portion 123 is combined.
  • the microphone unit accommodating groove 124 and the speaker unit accommodating groove 125 of the second cradle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microphone unit 113 and the speaker unit 114 of the first cradle 110, respectively. To be combined.
  • the second cradle 120 which is already installed, is separated, and then the second cradle 120 on which the new smartphone terminal can be seated is installed in the satellite terminal 200.
  • the new smartphone terminal 300 can be used by mounting.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cradle for a satellit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A of Figure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 the satellit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radle 20, a second cradle 30 and the binding unit 40.
  • the first cradle 20 has an accommodating space 22 in which the smart phone terminal 10 is accommodated, and is configur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 phone terminal 10.
  • the smart phone terminal 10 and the second cradle are provided. It is provided between 30.
  • the front configuration is different because the receiving space 22 is different.
  • the back structure of the first cradle 20 is always the same because the second cradle 30 will be used universally.
  • the second cradle 30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first cradle 20,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 phone terminal 10 universally, and supplies power or various electrical signals to the various smart phone terminals 10. to provide.
  • the second cradle 30 may include a large capacity battery and a DMB.
  • the second crad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one model, is generally used. It is available.
  • the first cradle 20 is a one-piece component made of plastic,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low.
  • the smartphone terminal 10 is versioned up, the first cradle 20 may be immediately changed and manufactured.
  • the front structure of the upgraded first cradle 20 is changed, but the back structure of the first cradle 20 is not changed, it can be used as it is coupled to the second cradle 30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 the binding unit 40 binds the first cradle 20 and the second cradle 30 to each other.
  • the coupling part 40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42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cradle 20 and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46 formed in the second cradle 30 so as to be forc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 ).
  • the insertion groove 42 and the fitting protrusion 46 are formed in the lego press-fit metho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the first cradle 20 and the second cradle 30.
  • the insertion groove 42 may have a recessed shape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upper part is blocked, or a hole shape penetrated up and down.
  • Insertion groove 42 and the fitting projection 46 may be made of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hown in a state consisting of a circular cross section.
  • An inclined entry surface 48 is formed around the end of the fitting protrusion 46 to facilitate entry into the insertion groove 42.
  •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42 corresponds to the inclined entry surface 48, and the inclined receiving surface 44 is formed to facilitate the fitting projection 46.
  •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42 and the fitting protrusions 46 are coupled by a lego press-fit method, so that the separation is not easily made and can be easily separated even when the separation.
  • the outer diameter of the fitting protrusion 46 is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groove 42, so that it is coupled in a slightly indented state.
  • the first cradle 20 includes an auxiliary binding unit 50 for auxiliary binding the second cradle 30.
  • the auxiliary binding unit 5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radle 30 so as to fit in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52 and at least one recessed on the back of the first cradle 20,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52. It includes an auxiliary fitting protrusion 54.
  •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52 and the auxiliary fitting protrusion 54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radle 20 and the second cradle 30, respectively, but if necessary, any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nly one can be provided.
  • Separation groove 60 i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gap such that the user's fingers can be inserted in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cradle 20 and the second cradle (30).
  • the separation groove 60 may be formed in only one of the first cradle 20 and the second cradle 30.
  • the first cradle 20 is provided with a leaving groove 70 to help the separation of the smart phone terminal 10.
  • the release groove 70 is formed in a cutout shap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cradle 20.
  • the rear structure of the first cradle 20 to the second cradle 30 that is used universally without replacement Form to fit.
  • the first cradle 20 corresponding to the smart phone terminal 10 is combined with the second cradle 30 among the various first cradles 20.
  • the smart phone terminal 10 is inserted into the front accommodating space 22 of the first cradle 20 to accommodate the same.
  • first cradle 20 and the second cradle 30 are more firmly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52 of the first cradle 20 and the auxiliary fitting protrusion 54 of the second cradle 30. Comb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 단말기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블록이 형성된 제1크래들; 및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고 일측에 상기 제1크래들의 블록과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가 형성된 제2크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본 발명은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면 크래들을 교체 설치하여 위성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위성을 통신수단으로 이용하는 위성 단말기는 바다, 하늘, 산, 계국 등 위치에 상관없이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위성 통신용 단말기는 위성 안테나,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 위성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 사용자에게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위성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정보와 사용자의 설정 정보 및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위성 단말기에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설치한 복합 단말기도 제안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기술 발전으로 지상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는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통화가 주요한 기능인 모바일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모바일 단말기로 스마트폰이 급속하게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일반적인 통화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들과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위성 단말기를 결합하여 위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성 통신이 가능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이 위성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크래들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래들이 설치된 위성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단말기(400)는 전면 하부에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520)가 설치되고, 위성 단말기(400)의 전면 상부에는 통화자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510)가 설치되며 위성 단말기(400)의 전면에는 크래들(500)이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크래들(500)에 스마트폰(600)이 물리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위성 단말기(4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크래들(500)은 특정 단말기의 형상에 한정되므로 크래들(520)의 형상과 다른 형상의 스마트폰은 위성 단말기(400)의 크래들(500)에 거치시켜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600)을 교체한 경우 종래에 사용하던 위성 단말기(10)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성 단말기(400)는 다양한 형상의 크래들(500)이 장착된 다양한 모델의 위성 단말기(400)를 공급해야 하므로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부 제1997-01256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면 크래들을 교체 설치하여 위성 단말기에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은 위성 단말기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블록이 형성된 제1크래들; 및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고 일측에 상기 제1크래들의 블록과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가 형성된 제2크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크래들은 위성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크래들은 제1크래들 몸체; 및 상기 제1크래들 몸체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요철로 형성되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크래들은 상기 제1크래들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마이크부; 및 상기 제1크레들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크래들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는 스마트폰 수납홈이 형성된 제2크래들 몸체; 및 상기 제2크래들 몸체의 일측에 상기 블록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블록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크래들은 상기 제2크래들 몸체의 하부에 마이크부가 설치되는 마이크부 수납홈; 및 상기 제2크래들 몸체의 상부에 스피커부가 설치되는 스피커부 수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 형성되는 제1크래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 형성되는 상기 제1크레들이 범용적으로 배면에 안착 지지되고, 다양한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에 전원 또는 다양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제2크래들; 및 상기 제1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크레들의 배면에 다수 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강제 압입되도록 상기 보조장치에 다수 개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삽입홈과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제1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레고 압입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단부 둘레에는 상기 삽입홈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 진입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단부 내측 둘레에는 상기 경사진입면에 대응되고, 상기 끼움돌부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경사 수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크레들은 보조결속부에 의해 상기 제2크래들와 결속되고, 상기 보조결속부는, 상기 제1크레들의 배면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몰 형성되는 보조삽입홈; 및 상기 보조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2크래들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조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의 측면에는 결합된 상기 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크레들에는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의 분리를 도와주는 이탈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어도 크래들만 교체하여 크레들을 이미 사용중인 위성 단말기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래들이 설치된 위성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100)은 제1크래들(110)과 제2크래들(120)을 포함한다.
제1크래들(110)은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제2크래들(120)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것으로서, 제1크래들 몸체(111), 블록(112), 마이크부(113) 및 스피커부(114)를 포함한다.
제1크래들 몸체(111)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위성 단말기(200)의 외부 케이스이다.
블록(112)은 제1크래들 몸체(111)의 외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 요철로써,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마이크부(113)는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된 마이크(미도시)를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켜 제1크래들 몸체(111)의 하부에 배치한 것으로 제2크래들(120)의 설치로 인한 마이크의 위치가 사용자에게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이크부(113)는 블록(112)을 통해 체결된 제2크래들(120)의 하부 일부와 결합하여 제2크래들(1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피커부(114)는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를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켜 제1크래들 몸체(111)의 상부에 배치한 것으로 제2크래들(120)의 설치로 인한 스피커의 위치가 사용자에게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피커부(114)는 블록(112)을 통해 체결된 제2크래들(120)의 상단 일부와 결합하여 제2크래들(1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크래들(120)은 임의의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위성 단말기(2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며, 제2크래들 몸체(121), 스마트폰 수납홈(122), 블록 결합부(123), 마이크부 수납홈(124) 및 스피커부 수납홈(125)을 포함한다.
제2크래들 몸체(121)는 사각 형상의 판 부재로서, 주변 테두리를 따라 임의의 형상을 갖는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안착되도록 스마트폰 수납홈(122)이 형성된다.
스마트폰 수납홈(122)은 거치 대상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안착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블록 결합부(123)는 제1크래들 몸체(111)에 설치된 다수의 블록(112)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2크래들 몸체(121) 상에 각 블록(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천공되어 형성된다.
즉, 블록 결합부(123)는 제1크래들 몸체(111) 상에 형성된 블록(112)과 억지끼움 결합을 통해 체결되어 제2크래들(120)이 제1크래들(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부 수납홈(124)은 제2크래들 몸체(121)의 하부에 제1크래들(110)의 마이크부(113)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마이크부(113)는 제2크래들 몸체(121)를 관통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제2크래들(120)이 흔들리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지지한다.
스피커부 수납홈(125)은 제2크래들 몸체(121)의 상부에 제1크래들(110)의 스피커부(114)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스피커부(114)는 제2크래들 몸체(121)를 관통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제2크래들(120)이 제1크래들(110)과 밀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마이크 수납홈(124)과 함께 더욱 견고하게 지지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100)의 제1크래들(110)은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단말기(200)에 설치되고, 제1크래들(110)의 중앙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블록(112)이 형성된다.
임의의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위성 단말기(200)에 거치시켜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제2크래들(120)에 안착시킨 후 제2크래들(120)과 제1크래들(110)을 밀착시켜 블록(112)이 블록 결합부(123)에 삽입되게 억지끼움시켜 결합한다.
또한, 제2크래들(120)의 마이크부 수납홈(124)과 스피커부 수납홈(125)은 제1크래들(110)의 마이크부(113)와 스피커부(114)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교체될 경우 이미 설치된 제2크래들(120)을 분리시킨 후 새로운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될 수 있는 제2크래들(120)을 설치함으로써, 위성 단말기(200)에 새로운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단말기가 변경되더라도, 플라스틱 재질의 제2크래들만 교체하면 스마트폰 단말의 형상에 상관없이 위성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을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 6 은 도 5 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 은 도 5 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은 제1크래들(20), 제2크래들(30) 및 결속부(40)를 포함한다.
제1크래들(20)은 스마트폰 단말기(10)가 수납되는 수용공간(22)을 갖고, 스마트폰 단말기(10)의 종류에 따라 변경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폰 단말기(10)와 제2크래들(30) 사이에 구비된다.
제1크래들(20)은 스마트폰 단말기(10)의 종류와 모델이 다르고 제조회사가 다른 경우, 수용공간(22)이 달라지므로 전면 구성은 달라진다.
하지만, 제1크래들(20)의 배면 구조는 제2크래들(30)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항상 동일하게 구성한다.
제2크래들(30)은 스마트폰 단말기(10)의 종류에 따라 변경 형성되는 제1크래들(20)이 범용적으로 배면에 안착 지지되고, 다양한 스마트폰 단말기(10)에 전원 또는 다양한 전기 신호를 제공한다.
제2크래들(30)에는 대용량 배터리와 DMB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스마트폰 단말기(10)에 따라 제1크래들(20)의 전면구성이 변경되더라도 제1크래들(20)의 배면 구성은 동일하므로 1개의 모델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크래들(30)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크래들(20)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1종의 부품으로서 제조단가가 매우 저렴한 구성으로서, 스마트폰 단말기(10) 제품이 버전 업(Version up)된 경우, 즉시 변경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버젼 업된 제1크래들(20)의 전면 구조는 바뀌지만, 제1크래들(20)의 배면구조는 바뀌지 않으므로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한 제2크래들(30)에 그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속부(40)는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을 상호 결속한다.
결속부(40)는 제1크래들(20)의 배면에 다수 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42)과, 삽입홈(42)에 강제 압입되도록 제2크래들(30)에 다수 개 형성된 끼움돌기(46)를 포함한다.
삽입홈(42)과 끼움돌기(46)는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레고(Lego) 압입 방식으로 형성된다.
삽입홈(42)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차단된 요홈 형상이거나, 상하로 관통 된 구멍 형상일 수 있다.
삽입홈(42)과 끼움돌기(46)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상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끼움돌기(46)의 단부 둘레에는 삽입홈(42)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 진입면(48)이 형성된다.
삽입홈(42)의 단부 내측 둘레에는 경사 진입면(48)에 대응되고, 끼움돌기(46)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경사 수용면(44)이 형성된다.
즉,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의 결합시 삽입홈(42)과 끼움돌기(46)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더라도 경사 진입면(48)과 경사 수용면(44)으로 인해 삽입홈(42)과 끼움돌기(46)가 위치를 보정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한편, 다수 개의 삽입홈(42)과 끼움돌기(46)는 레고의 압입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분리시에도 간편하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돌기(46)의 외경은 삽입홈(42)의 내경에 비하여 약간 더 크게 형성하므로 약간 압입되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제1크래들(20)은 제2크래들(30)을 보조 결속하는 보조결속부(50)를 포함한다.
보조결속부(50)는 제1크래들(20)의 배면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몰 형성되는 보조삽입홈(52)와, 보조삽입홈(52)에 끼워지도록 제2크래들(30)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조끼움돌기(54)를 포함한다.
보조삽입홈(52)과 보조끼움돌기(54)는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측과 하측 중에 어느 하나에 1개씩만 구비될 수 있다.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의 측면에는 결합된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홈부(60)가 구비된다.
분리홈부(60)는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틈새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분리홈부(60)는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1크래들(20)에는 스마트폰 단말기(10)의 분리를 도와주는 이탈홈부(70)가 구비된다.
이탈홈부(70)는 제1크래들(2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절개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스마트폰 단말기(10)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제1크래들(20)을 제조하도록하고, 이 제1크래들(20)의 배면구조는 교체 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제2크래들(30)에 맞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1크래들(20) 중에 스마트폰 단말기(10)에 해당하는 제1크래들(20)을 제2크래들(30)과 결합하도록 한다.
제2크래들(30)의 끼움돌기(46)를 제1크래들(20)에 형성된 삽입홈(42)에 삽입하면, 끼움돌기(46)의 경사진입면(48)이 삽입홈(42)의 경사 수용면(44)을 따라 진입하면서, 레고 압입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크래들(20)의 전면 수용공간(22)에 스마트폰 단말기(10)를 삽입하여 수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단말기(10), 제1크래들(20), 제2크래들(30) 등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크레들(10)에 형성된 커넥터(24)와 제2크래들(30)에 형성된 충전단자(32)가 결속되면서 전원 또는 전기적인 신호가 제2크래들(30), 제1크래들(20) 및 스마트폰 단말기(10)를 거치면서 전달된다.
한편, 제1크래들(20)의 보조삽입홈(52)과 제2크래들(30)의 보조끼움돌기(54)의 결합에 의해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이 더욱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 후에 분리하고자 한다면, 분리홈부(6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제1크래들(20)과 제2크래들(30)을 분리하고, 이탈방지홈부(7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제1크래들(20)과 스마트폰 단말기(10)를 분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Claims (12)

  1. 위성 단말기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블록이 형성된 제1크래들; 및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고 일측에 상기 제1크래들의 블록과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가 형성된 제2크래들을 포함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래들은 위성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래들은
    제1크래들 몸체; 및
    상기 제1크래들 몸체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요철로 형성되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래들은 상기 제1크래들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마이크부; 및
    상기 제1크레들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래들은
    스마트폰 단말기가 안착되는 스마트폰 수납홈이 형성된 제2크래들 몸체; 및
    상기 제2크래들 몸체의 일측에 상기 블록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블록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래들은
    상기 제2크래들 몸체의 하부에 마이크부가 설치되는 마이크부 수납홈; 및
    상기 제2크래들 몸체의 상부에 스피커부가 설치되는 스피커부 수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7. 스마트폰 단말기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 형성되는 제1크래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 형성되는 상기 제1크레들이 범용적으로 배면에 안착 지지되고, 다양한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에 전원 또는 다양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제2크래들; 및
    상기 제1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크레들의 배면에 다수 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강제 압입되도록 상기 보조장치에 다수 개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제1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레고 압입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의 단부 둘레에는 상기 삽입홈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 진입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단부 내측 둘레에는 상기 경사진입면에 대응되고, 상기 끼움돌부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경사 수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레들은 보조결속부에 의해 상기 제2크래들와 결속되고,
    상기 보조결속부는,
    상기 제1크레들의 배면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몰 형성되는 보조삽입홈; 및
    상기 보조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2크래들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조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의 측면에는 결합된 상기 크레들과 상기 보조장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들에는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의 분리를 도와주는 이탈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PCT/KR2013/002855 2012-04-13 2013-04-05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WO20131543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775985.8A EP2838206B1 (en) 2012-04-13 2013-04-05 Satellite terminal cradle
CN201380029355.7A CN104471863B (zh) 2012-04-13 2013-04-05 卫星终端托架
US14/394,359 US20150080064A1 (en) 2012-04-13 2013-04-05 Satellite terminal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30 2012-04-13
KR1020120038330A KR101398022B1 (ko) 2012-04-13 2012-04-13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302A1 true WO2013154302A1 (ko) 2013-10-17

Family

ID=4932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855 WO2013154302A1 (ko) 2012-04-13 2013-04-05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80064A1 (ko)
EP (1) EP2838206B1 (ko)
KR (1) KR101398022B1 (ko)
CN (1) CN104471863B (ko)
WO (1) WO2013154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9854S1 (en) * 2015-06-30 2016-10-25 Bennett Alexander Duval Mobile phone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strap
USD866498S1 (en) * 2018-09-28 2019-11-12 Ben Mercer Mobile device with an integrated hazardous condition detec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920A (ko) * 1999-11-17 2002-07-10 가네코 히사시 이동체 위성 통신 단말 및 그 사용 방법
US20050277398A1 (en) * 2004-06-15 2005-1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satellite signal receiving antenna
KR20060008605A (ko)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착장치
KR100609427B1 (ko) * 2004-01-31 2006-08-03 아태위성산업 주식회사 위성단말기의 고정장치
KR100608779B1 (ko) * 2004-05-07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0400B1 (en) * 1996-01-16 2002-08-06 Ericsson Inc. Detachable flip cover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DE29903958U1 (de) * 1999-03-04 1999-06-10 Online Gmbh Station für ein schnurlos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US6377825B1 (en) * 2000-02-18 2002-04-23 Cellport Systems, Inc. Hands-fre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vehicle
AU2002237198A1 (en) * 2001-01-18 2002-07-30 Andreas Peiker Arrangement for handling a communication device
AU2006351483A1 (en) * 2006-12-08 2008-06-12 Bury Sp. Z O.O. Satellite phone holder
DE102008005589A1 (de) * 2007-01-29 2008-07-31 Peiker Acustic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EP2125434B2 (de) * 2007-01-29 2014-12-10 Peiker acustic GmbH & Co. KG Anordnung zur Einbindung eines portablen elektronischen Geräts
US8488246B2 (en) * 2010-02-28 2013-07-16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including a curved polarizing film in the image source, a partially reflective, partially transmitting optical element and an optically flat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920A (ko) * 1999-11-17 2002-07-10 가네코 히사시 이동체 위성 통신 단말 및 그 사용 방법
KR100609427B1 (ko) * 2004-01-31 2006-08-03 아태위성산업 주식회사 위성단말기의 고정장치
KR100608779B1 (ko) * 2004-05-07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US20050277398A1 (en) * 2004-06-15 2005-1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satellite signal receiving antenna
KR20060008605A (ko)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착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838206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022B1 (ko) 2014-05-27
CN104471863B (zh) 2016-11-02
US20150080064A1 (en) 2015-03-19
CN104471863A (zh) 2015-03-25
EP2838206A4 (en) 2016-01-06
EP2838206B1 (en) 2017-07-26
KR20130115741A (ko) 2013-10-22
EP2838206A1 (en)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91417A1 (ko) 녹음기능을 갖는 휴대폰 스마트케이스
WO2012030010A1 (ko) 모바일 기기의 송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부스터 케이스
WO20160247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773084B1 (en) Battery-charging base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WO2014119897A1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O2017007231A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WO2012134087A2 (ko) 복합 힌지장치 및 이의 복합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1306992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udio output unit
WO2012169787A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WO2018092996A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WO2014209011A1 (ko) 진공 또는 방수 케이스
WO2019088438A1 (ko) 바닥 접속형 트레이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것의 제조 방법
WO2014168378A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방법
WO2013154302A1 (ko)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WO2015102465A1 (ko)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WO2015160136A2 (ko)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및 그 유에스비 케이블
WO2012108626A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portable terminal
WO2014054850A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5034184A1 (ko) 태블릿 컴퓨터
WO2023043147A1 (ko)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CN103178607A (zh) 用于为电池组充电的装置和方法
WO2021002563A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12070876A2 (en)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peripher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3003371A1 (ko) 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759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94359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759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75985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