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05722A1 - 체형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체형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05722A1
WO2013105722A1 PCT/KR2012/009084 KR2012009084W WO2013105722A1 WO 2013105722 A1 WO2013105722 A1 WO 2013105722A1 KR 2012009084 W KR2012009084 W KR 2012009084W WO 2013105722 A1 WO2013105722 A1 WO 20131057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thoracic
coupled
horizontal
cer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0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계훈
Original Assignee
Jang Gye H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ang Gye Hun filed Critical Jang Gye Hun
Priority to CN201280055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998005A/zh
Publication of WO20131057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057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Definitions

  • the area leading to the pelvis, waist, back, shoulders, neck, and head consists of the cervical spine of the neck and the thoracic spine of the back, the lumbar spine of the waist and the sacrum of the pelvis, the spine supporting the waist and protecting the spinal nerves.
  • the incidence of scoliosis that the spine is curved "S" Is located in the office workers or students sitt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incidence of scoliosis that the spine is curved "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also occur such as lumbar disc or spondylosis.
  • the body shape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ax muscles and nerves by laying down comfortably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body, thereby providing the effects of pain relief and body shape correction.
  • the lower unit is divided into the pelvis, thigh, and calf, but the movemen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is connected in turn, and the muscles of the lower body connected from the lumbar region to the foot are simultaneously relaxed, and the motion of the knee and hip joint is performed simultaneously.
  •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pper body unit of the body care device of FIG. 1;
  • FIG. 10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umbar spine of the lower body unit of FIG.
  • the body shape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unit 10, a lower body unit 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body unit 10, and the upper body unit 10 and the lower body unit ( And a controll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 to supply power, and the upper unit 10 and the lower unit 20 are coupled to a seat (not shown) that can provide a cushion to the user.
  • the body shape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raised on the upper body unit 10 and the lower body unit 20, and the upper body unit 10 contributes to the upper body correction of the user by mov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 the lower body unit 20 serves to correct the lower body of the user by moving up and down.
  • the upper thoracic vertebra 200 is a lower upper thoracic frame 210, an upper upper thoracic frame 220 and a lower upper thoracic frame 210 and an upper upper thoracic frame 220 disposed on the lower upper thoracic frame 210.
  • the upper thoracic vertebrae lifter 23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horacic vertebrae frames 220 with respect to the lower thoracic vertebrae frame 210.
  • Hinge bars (111, 211, 31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cervical spine frame 110, both sides of the lower upper thoracic frame (210), the other side of the lower lower thoracic frame (310) rotatab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mutually
  • the other ends of the corresponding hinge bars 111, 211 and 311 overlap and are rotatably cou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upper body drive unit 400 includes a vertical driver 410 and a cervical spine unit 100 for vertically driving the cervical spine unit 100, the upper thoracic spine unit 200, and the lower thoracic spine unit 300, the upper thoracic spine unit 200, and the lower thoracic spine unit 300. It includes a horizontal driver 420 for driving the horizontal.
  • the vertical driving drum is provided with three vertical driving drums having different diame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vertical driving drum 412a, a second vertical driving drum 412b, and a third vertical driving drum 412c. do.
  • first vertical belt 414a a total of three vertical belts are provi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vertical belt 414a, a second vertical belt 414b, and a third vertical belt 414c, respectively.
  • the first vertical belt 414a connects between the first vertical driving drum 412a and the first vertical driven drum 413a
  • the second vertical belt 414b is connected to the second vertical driving drum 412b and the second vertical belt.
  • a connection between the driven drum 413b and a third vertical belt 414c connects between the third vertical driving drum 412c and the third vertical driven drum 413c.
  • the diameter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rizontal driving drums 422a, 422b, and 422c are the smallest in the first horizontal driving drum 422a and the largest in the third horizontal driving drum 422c.
  • the shoulder presser 140 includes a shoulder presser plate 141, a connecting plate 142, a cabl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ables 143 and 145, a hook bar 146, and a shoulder spring 147.
  • the forward refers to the direction that proceeds from the upper thoracic spine 200 to the cervical spine 100 side.
  • Pressurization of the shoulder joint by the shoulder joint pressing unit 140 causes the connecting bar 131 to be reversed as the cervical elevator 130 descends, and is hook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ok bar 146 when the connecting bar 131 is reversed.
  • the shoulder plate pressing plate 141 is also rotated while the connecting plate 142 is rotated to press the shoulder joint of the user.
  • the fixed frame 6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ed lumbar frame 510.
  • the guide frame 710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frame,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ar 630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ar 630 on the guide frame 710 slides back and forth.
  • the lower body pressing unit 730 presses the calf portion of the user by rotating the lower body pressing plate 731 inward while the lower body cable 732 is pulled when the calf frame 7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frame 620.
  • the cam driver 810 lifts both sides of the upper lumbar frame 530 alternately and gently shakes the pelvis, thereby correcting the distorted pelvis while relaxing the body of the vertebral lip and muscles.
  • the vertical driver 410 to raise the cervical elevator 130, the upper thoracic lift 230 and the lower thoracic lift 330, the upper cervical frame 120, the upper upper thoracic frame 220 and
  • the upper lower thoracic vertebrae frame 320 is gradually elevated to the user's upper body while being raised at different angles so that the muscles of the spinal rotator muscles and the back of the neck are relaxed as much as possible.
  • the calf part 700 is also rotated in conjunction with, and at the same time raise the upper part of the body, to correct the pelvic area, especially the lumbar region If the lumbar vertebrae were fully transferred to the intensive bending, the effect would be excell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체형 교정 장치는, 인체의 구조를 고려하여 6등분으로 나누어 근육을 운동시켜 줌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과 신진대사작용을 활성화시키고 근육의 통증 해소 및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체형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편안히 누워서 근육과 신경을 이완시킬 수 있으므로, 통증 해소와 체형 교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형 교정 장치
본 발명은 체형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근육이 수축, 과다 이완, 경직되어 신경과 혈관의 기능이 저하되고, 체형이 변형되어 골격이 틀어지고 통증이 발생되며,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는바 인체의 구조를 고려하여 6등분으로 나누어 근육을 운동시켜 줌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과 신진대사작용을 활성화시키고 근육의 통증 해소 및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체형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쫓겨 운동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공부하는 학생의 경우 발육상태가 예전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되었는데 비하여, 학교나 학원 등의 학습공간에 비치되는 의자나 책상은 기존의 것이 사용됨에 따라 장시간의 학습활동이 반복되는 경우 척추가 굽어지는 현상이 척추만곡증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눈부시게 발전됨과 더불어 인터넷망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서서 활동하는 시간 보다 앉아서 키보드를 조작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요통이나 어깨결림 등의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선상의 신체부위에서 각종 질환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골반, 허리, 등, 어깨, 목, 머리로 이어지는 부위에는 목뼈인 경추와 등부위의 흉추, 허리부위의 요추 및 골반부위의 천추로 이루어지며, 허리를 지지하고 척수신경을 보호하는 척추가 자리잡고 있는바, 장기간 앉아서 근무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척추가 "S"자로 휘는 척추측만증의 발병률이 높고, 이외에도 허리디스크나 척추분리증 등이 발병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부할 때나 책상앞에서 근무할 때의 잘못된 자세,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걷는 동작, 높이가 맞지 않는 베개를 베고 자는 습관 등 잘못된 생활습관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신체의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가 발병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경추나 척추 등의 이상에서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른 생활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나 여러가지 여건상 이를 제대로 지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교정기가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선행기술이 별도의 장치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근육을 잡아당겨 이완시켜 주거나 비틀어 주는데, 이러한 방식은 신경과 근육이 긴장되어 몸이 경직되므로 만족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 교정 시 신경이나 근육이 긴장되어 신체가 경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체형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형 교정 장치는 상체 유닛(10); 상기 상체 유닛(10) 일측에 배치된 하체 유닛(20); 및 상기 상체 유닛(10)과 상기 하체 유닛(20)에 연결된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유닛(10)은: 상체 지지 프레임;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경추 프레임(120) 및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되는 경추 승강기(130)를 가진 경추부(100);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되는 상흉추 승강기(230)를 가지며, 상기 경추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흉추부(200);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과,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및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과 상기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되는 하흉추 승강기(330)를 가지며, 상기 상흉추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흉추부(300); 및 상기 경추 승강기(130)와, 상기 상흉추 승강기(230) 및 상기 하흉추 승강기(330)에 연결되어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수직 구동기(410) 및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및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에 연결되어 수평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평 구동기(420)를 가진 상체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체 유닛(20)은: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일측에 배치된 하체 지지 프레임; 상기 하체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고정 요추 프레임(510)과, 상기 고정 요추 프레임(51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요추프레임 및 상기 하부 요추 프레임(520) 상에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요추프레임을 가진 요추부(500); 상기 요추부(5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요추 프레임(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610)과, 상기 고정 프레임(6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620) 및 상기 회전 프레임(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620)에 결합된 일측보다 타측이 더 낮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지며, 타측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620)을 회전시키는 이동바(630)를 가진 대퇴부(600); 상기 하체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며, 하면 상에 상기 이동바(630)의 타측이 안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프레임(710)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710) 상에 안착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 프레임(620)에 힌지 결합되는 종아리 프레임(720)을 가진 종아리부(700); 및 상기 상부 요추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요추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캠 구동기(810) 및 상기 이동바(6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바(630)의 전후진 동력을 전달하는 전후진 구동기(820)(820)를 가진 하체 구동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상체 구동부(400) 및 상기 하체 구동부(8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체형 교정 장치에 의하면, 신체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편안히 누워서 근육과 신경을 이완시킬 수 있으므로, 통증해소와 체형 교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마기용 바이브레타를 장착하여 흉추2번 옆 부분의 승모근 상부, 견갑거근, 극상근 부위와, 극하근, 대원근의 정지부위, 상완삼두근의 기시부위, 흉추7번 옆 부분의 승모근, 능형근 기시점 부위, 요추3번 옆부분의 척주기립근, 대둔근, 중둔근 부위, 고관절과 좌골결절사이 좌우 12부분을 가볍게 안마를 해주므로써, 처음 시작할 때와 마지막 끝났을 때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어 육체의 긴장이 풀리게 한다.
골반부위에서 좌우 교대로 상하 작동하면서 골반을 가볍게 흔들어주는 동작을 하는데, 상체와 하체의 근육이 교차되는 장골부위와 치골부위, 선추부위가 변형된 것이 바로 잡히는 효과를 볼 수 있고, 전신의 근육이 진동되면서 몸에서 힘이 완전히 빠지고, 근육과 신경, 혈관 등이 이완됨으로써, 신경, 혈관, 인대 등 골격을 지지하는 부분들의 경직되어 있든 것이 풀리면서 당기고, 아프던 통증이 감소하게 된다.
상부 유닛이 좌,우측 방향으로 작동되면, 요추 1~2번 부위, 흉추7~8번, 흉추1번~경추7번 부위에서 회전이 되는데, 각각 각도가 추가되면서 작동되어 몸이 둥근 형태로 굴곡이 되고, 몸의 좌우 측면부분, 즉 옆구리 부분의 요방형근, 측복근, 복사근, 후거근, 광배근, 전거근 등 근육과 옆 목 부분의 승모근 상부, 견갑거근, 경부 후삼각근, 흉쇄유양돌기근 등 근육의 경직이 풀리면서 경추 측만, 흉추 측만, 요추 측만 증상으로 변형된 체형에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흉추7~8번사이 부분에 측만이 자주 발생되는데, 협착되어 있는 늑골부분의 근육들이 이완되면서 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상부 유닛이 상향으로 승강되면, 요추 1~2번 부위, 흉추7~8번, 흉추1번~경추7번 부위가 회전이 되는데, 각각 각도가 추가되면서 승강되어 몸이 둥근 형태로 굴곡이 되고, 후두하근, 횡돌기극군, 승모근, 능형근, 광배근, 척주 기립근 등, 뒷목과 등 쪽 부분의 근육들이 이완되면서 경추의 전만, 흉추의 일자형태 또는 전만, 요추의 전만으로 변형된 체형에 효과를 볼 수 있다.
흉추가 전만되거나 일자인 경우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는데, 흉부를 압박하여 폐,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과 순환기의 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는바, 흉추를 후 방향으로 회복시키는데 좋은 역할을 하는 동작이다.
상부 유닛이 하향으로 하강되면, 요추 1~2번 부위, 흉추7~8번, 흉추1번~경추7번 부위가 회전이 되는데, 각각 각도가 추가되면서 하강되어 몸이 일자형태에서 하방향으로 약 15°정도 굴곡이 된다. 이때 경추부위에서 잡아주고 있던 장치가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견관절 내측, 쇄골외측 부분, 즉 대흉근의 정지부위, 삼각근 기시부 전면 부위를 압박하여 손으로 지긋이 눌러주는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대퇴부와 복부, 가슴, 목의 앞쪽 부분 근육, 대퇴직근, 대퇴근막장근, 봉곤근, 대요근, 장요근, 복직근, 복횡근, 내외사근, 늑간근, 대흉근, 전거근, 대 소원근, 광경근, 흉쇄유돌근, 이설골근, 악설골근 등의 근육이 이완된다.
요추부의 일자 또는 후만, 흉추부의 후만, 몸이 앞쪽으로 굽은등, 경추의 일자 또는 후만 된 경우에 효과를 볼 수 있는데, 특히 흉추가 등 쪽으로 불룩 솟아오른 경우에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복부의 근육이 경직되어 각 장기들이 긴장되면서 기능이 저하되고, 부조화로 인한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복부가 근육이 부드럽게 풀리면서 장기의 기능이 활성화 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하부 유닛이 골반, 대퇴부, 종아리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승강, 하강의 동작이 연계하여 교대로 작동이 되면서 요추부위에서 발까지 연결된 하체의 근육들이 동시에 이완되고, 슬관절과 고관절의 운동이 동시에 된다.
몸이 수평인 상태에서 하체의 슬관절과 고관절 부위가 굴곡되면서 골반부위까지 상향으로 승강한다. 이때 경골 측면에 부착된 장치가 슬관절 하부쪽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하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승강, 하강이 교대로 되면서 장비골근, 전경골근, 장지신근, 신근지대와 대퇴부 후면의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이상근, 쌍지근, 내페쇄근, 대퇴방형근, 태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외측관근, 박근, 대내전근, 척추기립근, 하후거근 등의 근육이 이완되면서 대퇴신경, 좌골신경 등이 경직되면서 발생되었던 하체의 통증이 완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교정 장치의 각 구성부분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체형 교정 장치 중 상체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상체 유닛의 승강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상체 유닛과 결합된 수직 구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5는 상체 유닛의 좌우 이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상체 유닛과 결합된 수평 구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견관절 가압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1의 체형 교정 장치 중 하체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하체 유닛 중 요추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하체 유닛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도.
도 13 및 도 14는 도 9의 하체 유닛 중 하체 가압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형 교정 장치는 상체 유닛(10)과, 상기 상체 유닛(10)의 일측에 결합된 하체 유닛(20) 및 상기 상체 유닛(10)과 하체 유닛(2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콘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 유닛(10) 및 하체 유닛(20)에는 사용자에게 쿠션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미도시)가 결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체형 교정 장치는 사용자가 상체 유닛(10) 및 하체 유닛(20)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상체 유닛(10)은 상하 및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상체 교정에 이바지하고, 상기 하체 유닛(20)은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하체 교정에 이바지한다.
이하에서는 상체 유닛(10) 및 하체 유닛(20)의 움직임과 관련된 각 구성요소 및 그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에 의하여 상체 유닛(10) 및 하체 유닛(2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체 유닛(10)은 상체 지지 프레임(미도시)과, 경추부(100)와, 상흉추부(200)와, 하흉추부(300) 및 상체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은 사각 박스형 프레임으로, 상기 경추부(100)와, 상흉추부(200) 및 하흉추부(30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된다.
상기 경추부(100)는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 상에 배치되는 상부 경추 프레임(120) 및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부 경추 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경추 프레임(120)을 하부 경추 프레임(110)에 대해 승강시키는 경추 승강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흉추부(200)는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에 대해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을 승강시키는 상흉추 승강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흉추부(300)는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과,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및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과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에 대해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을 승강시키는 하흉추 승강기(330)를 포함한다.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사이 및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 사이는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과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사이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사이 및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 사이에는 힌지바(111,211,311)가 결합된다.
힌지바(111,211,311)는 하부 경추 프레임(110)의 일측과,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의 양측,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의 타측에 일단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대응되는 힌지바(111,211,311)의 타단과 중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하부 경추 프레임(110)의 일측과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의 타측에 결합된 힌지바(111,211)의 자유단(서로 마주하는 단부)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의 일측과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의 타측에 결합된 힌지바(211,311)의 자유단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경추 프레임(120)의 일측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의 일측에는 한 쌍의 브라켓(121,221)이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그 사이에 수직 회전바(122,222)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의 타측과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의 타측에는 수평 회전바(223,323)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수평 회전바(223,323)의 타단은 이에 대응되는 수직 회전바(122,222)에 결합되어 수평 회전바(223,323)에 대해 수직 회전바(122,222)가 회전되게 한다.
한편,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에는 콘크롤러와 연결된 바이브레터(90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승모근 상부, 견갑거근 부위, 대원근, 소원근, 삼두박근, 후삼각근이 접하는 부위, 흉추8번 측면 척주기립근, 요추3번 측면, 중둔근, 좌골결절 외측면 좌골신경라인에 가볍게 안마해 주어 신경과 근육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이 풀리게 해 줄 수 있다.
상기 경추 승강기(130)와,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는 자동차 유압 자키 등의 승강수단과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3층 구조인 경우 총 6개의 막대가 각 층에서는 "X"자 형태로 중첩되는 부분에서 힌지 결합되고, 1층과 2층의 결합은 1층 막대의 상단과 2층 막대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고, 2층과 3층의 결합은 2층 막대의 상단과 3층 막대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형태로, "X"자가 3층 구조를 이루는 형태이다.
경추 승강기(130)와,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는 각각 한 쌍이 양측에 배치되되, 상단 양측은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의 하면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하단은 양측 중 일측만이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및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의 상면 일측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결합되지 않고 승강 시 전후진된다.
즉, 비결합된 하단 타측이 후진하면 경추 승강기(130)와,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는 하강하고, 전진하면 상승된다.
한편, 양측의 비결합된 하단 타측은 서로 연결바(131)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상체 구동부(400)는 경추부(100)와, 상흉추부(200) 및 하흉추부(300)를 수직 구동시키는 수직 구동기(410) 및 경추부(100)와, 상흉추부(200) 및 하흉추부(300)를 수평 구동시키는 수평 구동기(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 구동기(410)는 경추 승강기(130)와,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와 연결되어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수평 구동기(420)는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및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수평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수직 구동기(410)는 하흉추부(300) 일측에 배치되는 수직 모터(411)와, 상기 수직 모터(41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수직 구동드럼과, 경추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직 종동드럼 및 수직 구동 드럼과 수직 종동드럼을 연결하는 수직 벨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구동드럼은 서로 직경이 다른 3개의 수직 구동드럼이 구비되며, 이하에서는 각각 제1 수직 구동드럼(412a), 제2 수직 구동드럼(412b) 및 제3 수직 구동드럼(412c)이라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종동 드럼도 총 3개가 구비되며, 이하에서는 각각 제1 수직 종동드럼(413a), 제2 수직 종동드럼(413b) 및 제3 수직 종동드럼(413c)이라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벨트도 총 3개가 구비되며, 이하에서는 각각 제1 수직벨트(414a), 제2 수직벨트(414b) 및 제3 수직벨트(414c)라 한다.
상기 제1,2,3 수직 구동드럼(412a,412b,412c)은 수직 모터(411)의 회전축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며, 그 직경의 크기는 제1 수직 구동드럼(412a), 제2 수직 구동드럼(412b), 제3 수직 구동드럼(412c) 순으로 커진다.
제1 수직벨트(414a)는 제1 수직 구동드럼(412a)과 제1 수직 종동드럼(413a) 사이를 연결하고, 제2 수직벨트(414b)는 제2 수직 구동드럼(412b)과 제2 수직 종동드럼(413b) 사이를 연결하며, 제3 수직벨트(414c)는 제3 수직 구동드럼(412c)과 제3 수직 종동드럼(413c)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수직벨트(414a)에는 경추 승강기(130)의 비고정 하단이 결합되고, 제2 수직벨트(414b)에는 상흉추 승강기(230)의 비고정 하단이 결합되며, 제3 수직벨트(414c)에는 하흉추 승강기(330)의 비고정 하단이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 방향에 의해 경추 승강기(130),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가 상승 또는 하강된다.
여기서, 비고정 하단은 각각의 연결바(131)일 수 있다.
상기 제1,2,3 수직 구동드럼(412a,412b,412c)의 직경은 서로 다르므로, 예컨대 제1 수직 구동드럼(412a)이 1회전 할 경우, 제2 수직 구동드럼(412b)은 3/4 회전되고, 제3 수직 구동드럼(412c)은 1/4 회전되어 경추 승강기(130)와,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의 승강 높이가 달라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은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는 것은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과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이 수직 회전바(122,222)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상기 수평 구동기(420)는 수평 모터(421)와, 직경이 서로 다른 제1,2,3 수평 구동드럼(422a,422b,422c)과, 제1,2,3 수평 종동드럼(423a,423b,423c)과, 경추 전달바(425)와, 상흉추 전달바(426)와, 하흉추 전달바(427) 및 제1,2,3 수평벨트(424a,424b,42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3 수평 구동드럼(422a,422b,422c)의 직경은 제1 수평 구동드럼(422a)이 가장 작고, 제3 수평 구동드럼(422c)이 가장 크다.
또한, 경추 전달바(425)와, 상흉추 전달바(426) 및 하흉추 전달바(427)는 "ㄱ"자 형상을 가지며, "ㄱ"자 중 수평 부분의 단부는 경추 전달바(425)와, 상흉추 전달바(426) 및 하흉추 전달바(427) 각각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수평 구동드럼(422a)은 수평 모터(421)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경추 전달바(425)에는 제1 수평 종동드럼(423a) 및 제1 수평 종동드럼(423a)에 이격되게 제2 수평 구동드럼(422b)이 결합되고, 제1 수평 구동드럼(422a)과 제1 수평 종동드럼(423a) 사이에는 제1 수평벨트(424a)가 연결된다.
상흉추 전달바(426)에는 제2 수평 종동드럼(423b) 및 제2 수평 종동드럼(423b)에 이격되게 제3 수평 구동드럼(422c)이 결합되고, 제2 수평 구동드럼(422b)과 제2 수평 종동드럼(423b) 사이에는 제2 수평벨트(424b)가 연결된다.
하흉추 전달바(427)에는 제3 수평 종동드럼(423c)이 결합되며, 제3 수평 구동 드럼과 제3 수평 종동드럼(423c) 사이에는 제3 수평벨트(424c)가 연결된다.
따라서, 수평 모터(4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경추부(100)와, 상흉추부(200) 및 하흉추부(300)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며 일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되, 경추부(100)의 회전 각도가 가장 크고, 하흉추부(300)의 회전 각도가 가장 작게 형성되며, 여기서, 경추부(100)와 상흉추부(200) 및 상흉추부(200)와 하흉추부(300) 사이의 상대적 회전은 힌지바(111,211,311) 및 수평 회전바(223,323)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에는 양측에 견관절 가압부(14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견관절 부위를 가압한다.
상기 견관절 가압부(140)는 견관절 가압판(141)과, 연결판(142)과, 제1,2 케이블(143,145)로 이루어진 케이블과, 후크바(146) 및 견관절 스프링(147)을 포함한다.
상기 견관절 가압판(141)은 "ㄴ"자 형태로, 상부 경추 프레임(12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142)은 일측단부가 상부 경추 프레임(120)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견관절 가압판(141)의 일측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제1 케이블(143)에 의하여 연결되며, 일면이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연결 스프링(144)에 의하여 연결되어 연결 스프링(144)의 압축 시 견관절 가압판(141)을 회전시켜 사용자의 견관절을 가압하게 하고, 압축 해제 시 원상으로 복귀된다.
상기 후크바(146)는 경추 승강기(130)의 하부, 구체적으로 연결바(131)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연결판(142)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된 제2 케이블(145)의 타측과 결합되고, 타측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견관절 스프링(147)은 일측이 후크바(146)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측이 하부 경추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후진 시 팽창되고, 전진 시 원상으로 회복된다.
여기서, 전진은 상흉추부(200)에서 경추부(100) 측으로 진행되는 방향을 말한다.
견관절 가압부(140)에 의한 견관절의 가압은 경추 승강기(130)가 하강함에 따라 연결바(131)가 후진하게 되고, 연결바(131)의 후진 시 후크바(146)의 타측에 걸려 후크바(146)도 함께 후진시키게 되면, 연결판(142)의 회전되면서 견관절 가압판(141)도 회전시켜 사용자의 견관절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하체 유닛(20)은 상체 지지 프레임 일측에 배치된 하체 지지 프레임(미도시)과, 요추부(500)와, 대퇴부(600)와, 종아리부(700) 및 하체 구동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요추부(500)와, 대퇴부(600) 및 종아리부(700)는 하체 지지 프레임 상에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요추부(500)는 하체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고정 요추 프레임(510)과, 상기 고정 요추 프레임(51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요추 프레임(520) 및 하부 요추 프레임(520) 상에 결합되되, 시소와 같이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이 교대로 승강되는 상부 요추 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상기 대퇴부(600)는 고정 프레임(610)과, 회전 프레임(620) 및 이동바(6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610)은 고정 요추 프레임(5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620)은 고정 프레임(61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동바(630)는 상기 회전 프레임(6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프레임(620)에 결합된 일측보다 타측이 더 낮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타측의 전후 이동에 의해 고정 프레임(610)에 대하여 회전 프레임(620)을 회전시킨다.
즉, 이동바(630)가 요추부(500) 측으로 전진하면 회전 프레임(620)은 수직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종아리부(700)는 가이드 프레임(710) 및 종아리 프레임(7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710)은 하체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며, 하면 상에 이동바(630)의 타측이 안착되어 가이드 프레임(710) 상에서 이동바(630)의 타측이 전후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종아리 프레임(720)은 가이드 프레임(710) 상에 안착되며, 일측이 회전 프레임(620)에 힌지 결합되어 원 상태에서는 회전 프레임(620)과 동일선상에 놓여있다 회전 프레임(620)이 회전되면 전진하면서 가이드 프레임(710)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한편, 종아리부(700)의 양측에는 하체 가압부(730)가 결합된다.
상기 하체 가압부(730)는 견관절 가압부(140)와 같이 종아리 프레임(720)의 양측에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체 가압판(731)과, 일측이 상기 하체 가압판(731)에 결합되는 하체 케이블(732)과, 일측이 하체 케이블(732)의 타측과 결합되는 하체바(733) 및 일측이 하체바(733)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 프레임(7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체 스프링(734)을 포함한다.
상기 하체 가압부(730)는 종아리 프레임(720)이 회전 프레임(620)에 대해 회전 시 하체 케이블(732)이 당겨지면서 하체 가압판(731)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가압한다.
상기 하체 구동부(800)는 캠 구동기(810) 및 전후진 구동기(820)를 포함한다.
상기 캠 구동기(810)는 상부 요추 프레임(530)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요추 프레임(530)을 일정한 간격으로 상승 및 하강시킨다.
상기 전후진 구동기(820)는 이동바(630)에 연결되어 이동바(630)의 전후진 동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전후진 구동기(820)는 이동바(630)의 일측에 배치된 전후진 모터(821)와, 전후진 모터(82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전후진 구동드럼(822)과, 이동바(630)의 타측에 배치된 전후진 종동드럼(823) 및 전후진 구동드럼(822)과 전후진 종동드럼(823)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동바(630)와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바(630)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벨트(82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체형 교정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 상태의 체형 교정 장치 상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바이브레터(900)를 동작시켜 흉추 상부와 흉추 하부를 가볍게 안마해주어 신경과 근육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풀어준다.
다음으로, 수평 상태에서 상체 유닛(10)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수평 구동기(420)를 구동시키면,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및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이 각각 다른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척주기립근을 이완시켜 요추1~3번, 흉추 7~8번, 경추7번~흉추1번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척주 측만 현상을 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캠 구동기(810)에 의하여 상부 요추 프레임(530)의 양 측부를 교대로 승강시켜 골반 부분을 가볍게 흔들어 주면 틀어진 골반이 교정되면서 척주기립근과 하체의 힘이 빠지면서 몸이 편안해진다.
다음으로, 수평 상태의 상체 유닛(10)을 상승과, 수평 및 하강이 번갈아 되도록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수직 구동기(410)를 구동시켜 경추 승강기(130)와,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를 상승시키면,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은 각각 다른 각도로 상승되면서 사용자의 상체를 점진적으로 둥글게 휘어지게 하여 척주기립근과 목 뒷부분의 근육이 최대한 이완되게 한다.
상체 유닛(10)의 하강 시에도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은 각각 다른 각도로 하강되면서 일자 허리나 굽은 등을 가진 사용자의 척추를 바르게 펴지게 하고, 흉쇄유돌근 등이 이완되게 한다.
이때, 상부 경추 프레임(120)의 양측에 구비된 견관절 가압부(140)가 견관절 안쪽을 지긋이 눌러 주어 굽은 등이 펴지게 하고, 복부 근육과 늑골 부위, 대흉근을 이완시켜주며, 하향 시 사용자의 몸이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후진 구동기(820)에 의하여 대퇴 부위를 120도 정도로 세우면, 종아리부(700)도 연동되어 회전되고, 동시에 상체 부위를 위로 올려주게 되면, 틀어진 골반 부위를 바로 잡아주고, 특히 요추 부분에 집중적으로 굴곡이 이루어지면서 요추가 전만된 경우 뛰어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하체 가압부(730)가 종아리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데, 종아리 부분이 접히면서 눌리고, 펴지면서 풀어주는 동작으로 고관절, 무릎 관절 운동과 하체 부위의 모든 근육이 자연스럽게 운동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처음으로 돌아가 바이브레터(900)에 의해 안마를 해줌으로써 신체의 긴장을 풀어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체형 교정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편안히 누워서 근육과 신경을 이완시킬 수 있으므로, 통증 해소와 체형 교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 상체 유닛 20... 하체 유닛
110... 하부 경추 프레임 111,211,311... 힌지바
120...상부 경추 프레임 121,221... 브라켓
130... 경추 승강기 131... 연결바
140... 견관절 가압부 141... 견관절 가압판
142... 연결판 143...제1 케이블
144... 연결 스프링 145... 제2 케이블
146... 후크바 147... 견관절 스프링
200... 상흉추부 210... 하부 상흉추 프레임
220... 상부 상흉추 프레임 223,323...수평 회전바
230... 상흉추 승강기 300... 하흉추부
310... 하부 하흉추 프레임 320... 상부 하흉추 프레임
330... 하흉추 승강기 400... 상체 구동부
410... 수직 구동기 411... 수직 모터
412... 수직 구동드럼 413... 수직 종동드럼
414... 수직벨트 420... 수평 구동기
421... 수평 모터 422... 수평 구동드럼
423... 수평 종동드럼 424... 수평벨트
425... 경추 전달바 426... 상흉추 전달바
427... 하흉추 전달바 500... 요추부
510... 고정 요추 프레임 520... 하부 요추프레임
530... 상부 요추프레임 600... 대퇴부
610... 고정 프레임 620... 회전 프레임
630... 이동바 700... 종아리부
710... 가이드 프레임 720... 종아리 프레임
730... 하체 가압부 731... 하체 가압판
732... 하체 케이블 733... 하체바
734... 하체 스프링 800... 하체 구동부
810... 캠 구동기 820... 전후진 구동기
821... 전후진 모터 822... 전후진 구동드럼
823... 전후진 종동드럼 824... 전후진 벨트
900... 바이브레터

Claims (10)

  1. 상체 유닛(10);
    상기 상체 유닛(10) 일측에 배치된 하체 유닛(20); 및
    상기 상체 유닛(10)과 상기 하체 유닛(20)에 연결된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유닛(10)은:
    상체 지지 프레임;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경추 프레임(120) 및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되는 경추 승강기(130)를 가진 경추부(100);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되는 상흉추 승강기(230)를 가지며, 상기 경추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흉추부(200);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과,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및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과 상기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되는 하흉추 승강기(330)를 가지며, 상기 상흉추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흉추부(300); 및
    상기 경추 승강기(130)와, 상기 상흉추 승강기(230) 및 상기 하흉추 승강기(330)에 연결되어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수직 구동기(410) 및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및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에 연결되어 수평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평 구동기(420)를 가진 상체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체 유닛(20)은:
    상기 상체 지지 프레임 일측에 배치된 하체 지지 프레임;
    상기 하체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고정 요추 프레임(510)과, 상기 고정 요추 프레임(51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요추프레임 및 상기 하부 요추 프레임(520) 상에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요추프레임을 가진 요추부(500);
    상기 요추부(5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요추 프레임(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610)과, 상기 고정 프레임(6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620) 및 상기 회전 프레임(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620)에 결합된 일측보다 타측이 더 낮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지며, 타측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620)을 회전시키는 이동바(630)를 가진 대퇴부(600);
    상기 하체 지지 프레임 상에 결합되며, 하면 상에 상기 이동바(630)의 타측이 안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프레임(710)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710) 상에 안착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 프레임(620)에 힌지 결합되는 종아리 프레임(720)을 가진 종아리부(700); 및
    상기 상부 요추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요추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캠 구동기(810) 및 상기 이동바(6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바(630)의 전후진 동력을 전달하는 전후진 구동기(820)(820)를 가진 하체 구동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상체 구동부(400) 및 상기 하체 구동부(8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체형 교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 승강기(130)와, 상기 상흉추 승강기(230) 및 상기 하흉추 승강기(330)는 지그재그형태로 한 쌍이 양측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 경추 프레임(120,110)과, 상기 상/하부 상흉추프레임(220,210) 및 상기 상/하부 하흉추프레임(320,31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상단 양측 및 하단 일측은 고정되고, 하단 타측은 비고정되어 전후진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동기(410)는:
    수직 모터(411);
    상기 수직 모터(411)의 회전축에 결합되되, 서로 이격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제1,2,3 수직 구동드럼(412a,412b,412c);
    상기 제1,2,3 수직 구동드럼(412a,412b,412c)에 이격 배치된 제1,2,3 수직 종동드럼(413a,413b,413c); 및
    상기 제1 수직 구동드럼(412a)과 상기 제1 수직 종동드럼(413a) 사이, 상기 제2 수직 구동드럼(412b)과 상기 제2 수직 종동드럼(413b) 사이, 상기 제3 수직 구동드럼(412c)과 상기 제3 수직 종동드럼(413c) 사이에 결합된 제1,2,3 수직벨트(414a,414b,414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벨트(414a)에 상기 경추 승강기(130)의 비고정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벨트(414b)에 상기 상흉추 승강기(230)의 비고정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3 수직벨트(414c)에 상기 하흉추 승강기(330)의 비고정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경추 승강기(130)와, 상기 상흉추 승강기(230) 및 하흉추 승강기(330)의 승강 시 승강 높이가 서로 다르며,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및 상기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에는 견관절 가압부(140)가 구비되되,
    상기 견관절 가압부(140)는:
    "ㄴ"자 형태로,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견관절 가압판(141);
    일측단부가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견관절 가압판(141)의 일측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제1 케이블(143)에 의해 연결되며, 일면이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연결 스프링(14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 스프링(144)의 압축 시 상기 견관절 가압판(141)을 회전시키고, 압축 해제 시 원상으로 복귀되는 연결판(142);
    일측이 상기 연결판(142)의 타측에 결합된 제2 케이블(145);
    일측이 상기 제2 케이블(145)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추 승강기(130)가 하강 시 상기 경추 승강기(130)의 비고정된 하단 타측 사이에 연결된 연결바(131)에 상기 후크가 걸려 후진하면서 상기 제2 케이블(145)을 당기는 후크바(146); 및
    상기 후크바(146)의 일측과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크바(146)가 후진 시 팽창되고, 전진 시 원상 회복되는 견관절 스프링(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사이 및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 사이는 서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과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 사이 및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과 상기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 사이는 서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 사이 및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과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 사이에는 힌지바(111,211,311)가 결합되되,
    상기 힌지바(111,211,311)는 일단이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의 일측과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의 타측 및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의 일측과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의 타측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마주한 상기 힌지바(111,211,311)의 타단과 중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경추 프레임(120)의 일측과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의 일측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브라켓(121,221)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121,221)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직 회전바(122,222)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의 타측과 상기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의 타측에는 일단이 상기 상부 상흉추 프레임(220)의 타측과 상기 상부 하흉추 프레임(32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대응되는 상기 수직 회전바(122,222)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평 회전바(223,32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 구동기(420)는:
    수평 모터(421);
    상기 수평 모터(42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 수평 구동드럼(422a);
    상기 하부 경추 프레임(110)의 하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제1 수평 종동드럼(423a) 및 상기 제1 수평 종동드럼(423a)에 이격되어 제2 수평 구동드럼(422b)이 결합된 "ㄱ"자 형태의 경추 전달바(425);
    상기 제1 수평 구동드럼(422a)과 상기 제1 수평 종동드럼(423a)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수평벨트(424a);
    상기 하부 상흉추 프레임(210)의 하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제2 수평 종동드럼(423b) 및 상기 제2 수평 종동드럼(423b)에 이격되어 제3 수평 구동드럼(422c)이 결합된 "ㄱ"자 형태의 상흉추 전달바(426);
    상기 제2 수평 구동드럼(422b)과 상기 제2 수평 종동드럼(423b)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수평벨트(424b);
    상기 하부 하흉추 프레임(310)의 하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제3 수평 종동드럼(423c)이 결합된 "ㄱ"자 형태의 하흉추 전달바(427); 및
    상기 제3 수평 구동드럼(422c)과 상기 제3 수평 종동드럼(423c)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수평벨트(424c);를 포함하되,
    상기 제1,2,3 수평 구동드럼의 직경은 서로 달라 상기 경추부(100)와, 상기 상흉추부(200) 및 상기 하흉추부(300)의 수평 회전 각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구동기(820)는:
    상기 이동바(630) 일측에 배치된 전후진 모터(821);
    상기 전후진 모터(82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전후진 구동드럼(822);
    상기 이동바(630) 타측에 배치된 전후진 종동드럼(823); 및
    상기 전후진 구동드럼(822)과 상기 전후진 종동드럼(823)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이동바(630)와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바(630)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벨트(8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부(700)의 양측에는 하체 가압부(730)가 구비되되,
    상기 하체 가압부(730)는:
    상기 종아리 프레임(720)의 양측에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체 가압판(731);
    일측이 상기 하체 가압판(731)에 결합되는 하체 케이블(732);
    일측이 상기 하체 케이블(732)의 타측과 결합되는 하체바(733); 및
    일측이 상기 하체바(733)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 프레임(7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체 스프링(734);을 포함하여,
    상기 종아리 프레임(720)이 상기 회전 프레임(620)에 대해 회전 시 상기 하체 가압판(731)이 내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종아리 프레임(720)의 원상복귀 시 동반 원상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흉추 프레임 및 상기 하흉추 프레임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할 수 있도록 상기 콘트롤러와 연결된 바이브레터(9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 교정 장치.
PCT/KR2012/009084 2012-01-11 2012-11-01 체형 교정 장치 WO20131057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55589.4A CN103998005A (zh) 2012-01-11 2012-11-01 形体矫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68 2012-01-11
KR1020120003468A KR101133190B1 (ko) 2012-01-11 2012-01-11 체형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722A1 true WO2013105722A1 (ko) 2013-07-18

Family

ID=4614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084 WO2013105722A1 (ko) 2012-01-11 2012-11-01 체형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33190B1 (ko)
CN (1) CN103998005A (ko)
WO (1) WO2013105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719B (zh) * 2015-12-07 2017-06-30 东北大学 一种腰部康复训练机
TWI623290B (zh) * 2016-12-23 2018-05-11 Fu Sui Chang Auxiliary guiding device for human pelvic system
CN107582308A (zh) * 2017-10-16 2018-01-16 从佳乐 一种儿童牙科治疗固定床
KR102334051B1 (ko) * 2020-01-29 2021-12-02 정석환 중심이동 운동기구
CN113440382A (zh) * 2021-08-02 2021-09-28 高庆 一种瘫痪被动训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49A (ja) * 1997-06-25 1999-01-19 Masuo Nishimura 脊椎健康器具
KR200250883Y1 (ko) * 2001-07-21 2001-11-17 김종식 신체 교정 및 맛사지 기기
KR100386481B1 (ko) * 2001-02-01 2003-06-18 최병훈 체형 교정용 신전 운동기
KR20080042427A (ko) * 2006-11-10 2008-05-15 황인철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KR20110093182A (ko) * 2010-02-11 2011-08-18 한국과학기술원 신체교정용 장치, 신체교정용 장치의 제어기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49A (ja) * 1997-06-25 1999-01-19 Masuo Nishimura 脊椎健康器具
KR100386481B1 (ko) * 2001-02-01 2003-06-18 최병훈 체형 교정용 신전 운동기
KR200250883Y1 (ko) * 2001-07-21 2001-11-17 김종식 신체 교정 및 맛사지 기기
KR20080042427A (ko) * 2006-11-10 2008-05-15 황인철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KR20110093182A (ko) * 2010-02-11 2011-08-18 한국과학기술원 신체교정용 장치, 신체교정용 장치의 제어기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190B1 (ko) 2012-04-20
CN103998005A (zh)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05722A1 (ko) 체형 교정 장치
WO2011102578A1 (ko) 척추 교정용 휠백장치
WO2013081362A1 (ko) 전신 운동기
WO2010085111A2 (en)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WO2021070994A1 (ko) 재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 운동방법
WO2013168841A1 (ko)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US9511256B2 (en) Supine cycle
WO2013141613A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CN102028604B (zh) 并联式踝关节康复训练器
KR100957594B1 (ko) 고관절 유연성 운동기구
KR20170139035A (ko) 수직 위치에서의 보행의 구동과 함께 정와위 또는 부분 와위 자세에서 사람의 하지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WO2013162307A1 (ko) 척추교정기
KR20100022212A (ko) 마사지 장치
WO2015142060A1 (ko) 척추 교정기
CN113730175A (zh) 柔性十字架牵引康复床
ITFI20080071A1 (it) Dispositivo robotico per il recupero della funzionalita degli arti inferiori di pazienti allettati nella fase acuta post-ictus
WO2013073782A1 (ko) 교정 보행기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WO2017111286A1 (ko) 관절 재활치료기
WO2022211317A1 (ko) 재활 운동 장치
WO2019143013A1 (ko) 척추 견인기
WO2021162214A1 (ko) 의료용 전동 침대
CN211940926U (zh) 一种辅助下肢锻炼的可穿戴机器人
WO2023048535A1 (ko)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Kobesova et al.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647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647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