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9475A1 -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9475A1
WO2013089475A1 PCT/KR2012/010894 KR2012010894W WO2013089475A1 WO 2013089475 A1 WO2013089475 A1 WO 2013089475A1 KR 2012010894 W KR2012010894 W KR 2012010894W WO 2013089475 A1 WO2013089475 A1 WO 20130894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nk
rotated
mover
sta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8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EP12858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36064B1/en
Priority to CN201280045374.4A priority patent/CN103797558B/zh
Publication of WO20130894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94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1Details concerning the lever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1Means for breaking welded contacts; Indicating contact welding or other mal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01H71/525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comprising a toggle between cradle and contact arm and mechanism spring acting between handle and toggle kne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Definitions

  •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100 is for rotating the mover 400 to an on / off or trip positi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는, 온/오프 또는 트립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온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 기구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오프 위치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록킹부재와, 전류가 내측으로 유도되어 흐를 수 있도록 도체로 형성된 고정자와, 이상 전류 발생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정자와 접점 및 분리되는 가동자 및, 상기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가 용착되는 경우, 상기 오프 위치로 회전되는 상기 조작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다관절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상 발생시 가동자의 가동 접점과 고정자의 고정 접점이 서로 용착되어 떨어지는 않는 상태가 되는 경우, 온(ON)/오프(OFF) 조작이 가능한 조작레버가 항상 온(ON)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는 크게 전원측과 부하측과의 연결을 이룰 수 있는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 접속 및 분리되도록 구동되는 가동단자와, 접점 개리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 및 전원측에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기구부의 트립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트립부는 고정자와 가동자 간의 접점 용착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접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조작레버의 오 조작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5267호(등록일 : 2011년 11월 14일)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트립 동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한류형 배선용차단기의 트립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자의 가동접점과 고정자의 고정 접점이 서로 용착되는 경우, 조작레버가 탄성력에 의해 온(ON)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현재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오 조작하는 경우에도 안전성이 확보할 수 있는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는, 온/오프 또는 트립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온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 기구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오프 위치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록킹부재와, 전류가 내측으로 유도되어 흐를 수 있도록 도체로 형성된 고정자와, 이상 전류 발생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정자와 접점 및 분리되는 가동자 및, 상기 이상 전류가 발생되어 상기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가 용착되는 경우, 상기 오프 위치로 회전되는 상기 조작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다관절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가동자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작레버가 오프 위치로 회전될 때 연동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타단이 상기 록킹부재를 밀어 걸림을 해제시키는 제3링크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방으로 절곡 위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가 용착되는 경우, 오프 위치로 회전되는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측방으로 펼쳐지며, 상기 제3링크는 상기 제2링크가 측방으로 펼쳐질 때, 길이방향 일단이 측방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링크의 하단에는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제2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자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단은 상기 제4링크의 타단과 상기 조작레버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링크는 상기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가 용착되는 경우, 상기 조작레버의 온 위치로 일정 각 회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설치 각을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동자의 회전과 함께 연동됨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관절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되는 네일과, 상기 네일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3스프링과,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네일이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연동 회전되어 상기 조작레버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레치홀더 및, 상기 레치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4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트립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이상 상태에 의해 가동자와 고정자 간의 접점 용착이 발생하는 경우, 조작레버가 항상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접점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오 조작 하는 경우에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조작레버가 온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조작레버가 오프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고정자와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한 상태에서 조작레버가 온(ON)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고정자와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한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오프(OFF)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고정자와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한 상태에서 조작레버가 오프(OFF) 위치에서 온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배선용 차단기 20: 하우징
30: 소호부 31: 그리드
100: 개폐 기구 110: 조작레버
120: 제1탄성부재 200: 록킹부재
210: 네일 220: 레치홀더
300: 고정자 310: 고정접점
400: 가동자 410: 가동접점
500: 링크부재 510: 제1링크
520: 제2링크 530: 제3링크
540: 제4링크 600: 제2탄성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게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조작레버가 온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조작레버가 오프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고정자와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한 상태에서 조작레버가 온(ON)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고정자와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한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오프(OFF)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고정자와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한 상태에서 조작레버가 오프(OFF) 위치에서 온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립장치는 개폐 기구(100)와, 록킹부재(200)와, 고정자(300)와, 가동자(400) 및, 링크부재(500)로 구성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1)는, 하우징(20)과, 소호부(30)와, 개폐 기구(100)와, 록킹부재(200)와, 고정자(300)와, 가동자(400) 및, 링크부재(500)로 구성될 수 있다.
소호부(30)는,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강자성의 성질을 갖는 금속으로 다수의 그리드(31)들이 구비된다.
아울러, 고정자(300)와 상기 소호부(30)는 일체로 조립되어 절연 재질의 하우징(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호부(30) 및 트립부(30)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개폐 기구(100)는, 가동자(400)를 온(ON)/오프(OFF) 또는 트립(Trip)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폐 기구(100)의 구성은, 온(ON)/오프(OFF) 또는 트립(Trip)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되는 조작레버(110)와, 상기 조작레버(110)를 상기 온(ON)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110)는, 후술될 하우징(20)의 내측 상단에 하단의 회전축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110)의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부위가 온(ON)/오프(OFF) 또는 트립 위치로 회전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110)를 온(ON)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후술 될 가동자(400)의 가동접점(410)이 고정자(300)의 고정접점에 접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작레버(110)를 오프(OFF)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후술 될 가동자(400)의 가동 접점(410)이 고정자(300)의 고정접점(310)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탄성부재(120)는, 일단이 조작레버(110)의 상단 측에 연결되고, 하단이 후술 될 제4링크(540)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1탄성부재(120)는 가동자(400)의 일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록킹부재(200)는, 후술 될 하우징(2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조작레버(110)를 오프(OFF) 위치에서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걸림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록킹부재(200)는, 조작레버(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네일(210) 및, 레치홀더(2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네일(210)은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관절 링크부재(500)와 연동하여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된다.
레치홀더(220)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500)에 연동하여 네일(210)이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연동 회전되어 조작레버(110)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를 위해, 조작레버(110)에는 레치홀더(220)를 시계 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거나, 정상 동작시 레치홀더(220)와 걸림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레치(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일(21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3스프링(미도시)과, 상기 레치홀더(2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4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스프링은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스프링은 레치홀더(220)의 회전 축에 결합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자(300)와 가동자(400)의 용착이 발생한 상태에서 조작레버(110)를 오프(OFF) 위치로 회전시키는 경우, 네일(210)은 후술 될 제3링크(530)와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조작레버(110)와 연동하는 레치홀더(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레치홀더(220)와 조작레버(110) 간의 걸림이 해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레버(110)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제1탄성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이 해제된 조작레버(110)가 온(ON)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고정자(300)는, 후술될 하우징(20)의 내측 하단에 고정되며, 전류가 내측으로 유도되어 흐를 수 있도록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300)는 양측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이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동자(400)는, 이상 전류의 발생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고정자(300)와 온(ON)/오프(OFF) 또는 트립(Trip) 위치로 회전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자(400)는 몸체(2)에 일단에 형성된 회전축이 후술 될 하우징(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고정자(300)와 선택적으로 접점을 이루어 한류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자(300)와 가동자(400)에는 각각 고정접점(310)과 가동접점(410)이 브레이징 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점(310)은, 후단을 엠보싱 처리하여 아크런너(미도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관절 링크부재(500)는, 가동자(400)와 상기 고정가가 용착되는 경우, 상기 오프(OFF) 위치로 회전되는 상기 조작레버(110)와 연동되어 록킹부재(200)의 걸림을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500)는 가동자(400)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작레버(110)가 오프(OFF) 위치로 회전될 때 연동하는 제1링크(5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510)의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2링크(5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링크(520)의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타단에는 록킹부재(200)를 밀어 걸림을 해제시키는 제3링크(5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510)와 제2링크(520)는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방으로 절곡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300)와 상기 가동자(400)가 용착되는 경우, 오프(OFF) 위치로 회전되는 조작레버(110)에 의해 연동하여 측방으로 펼쳐진다.
이때, 상기 제3링크(530)는 제2링크(520)가 측방으로 펼쳐질 때, 길이방향 일단이 측방으로 회전되며, 타단이 전술한 록킹부재(200)의 일단을 밀어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링크(530)의 하단에는 제2링크(520)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제2탄성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600)는, 조작레버(110)가 온(ON) 위치로 회전시에 제1링크(510)와 제2링크(520) 및 제3링크(5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압축력을 작용시킨다.
이와 다르게, 상기 링크부재(500)는 상기 고정자(300)와 상기 가동자(400)가 정상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가동자(400)의 회전과 함께 연동됨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11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고정자(300)의 고정접점과 가동자(400)의 가동접점(410)이 용착 되었을 때에만 조작레버(110)에 의해 연동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가동자(40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5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탄성부재(120)의 양단은 상기 제4링크(540)의 타단과 상기 조작레버(110)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링크(540)는 상기 가동자(400)와 상기 고정자(300)가 용착되는 경우, 상기 조작레버(110)의 온(ON) 위치로 일정 각 회전되어, 제1탄성부재(120)의 설치 각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1)의 이상 상태에 의해 가동자(400)와 고정자(300) 간의 접점 용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조작레버(110)가 항상 온(ON)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접점의 이상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오 조작하는 경우에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온/오프 또는 트립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온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 기구;
    상기 조작레버를 상기 오프 위치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록킹부재;
    전류가 내측으로 유도되어 흐를 수 있도록 도체로 형성된 고정자;
    이상 전류 발생 여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정자와 접점 및 분리되는 가동자; 및
    상기 이상 전류가 발생되어 상기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가 용착되는 경우, 상기 오프 위치로 회전되는 상기 조작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을 해제하는 다관절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가동자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작레버가 오프 위치로 회전될 때 연동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연동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연동 회전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타단이 상기 록킹부재를 밀어 걸림을 해제시키는 제3링크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방으로 절곡 위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가 용착되는 경우, 오프 위치로 회전되는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측방으로 펼쳐지며,
    상기 제3링크는,
    상기 제2링크가 측방으로 펼쳐질 때, 길이방향 일단이 측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의 하단에는,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제2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단은,
    상기 제4링크의 타단과 상기 조작레버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는,
    상기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가 용착되는 경우, 상기 조작레버의 온 위치로 일정 각 회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설치 각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용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동자의 회전과 함께 연동됨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관절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걸림 또는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되는 네일과,
    상기 네일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3스프링과,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네일이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연동 회전되어 상기 조작레버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레치홀더 및,
    상기 레치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4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
  9.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항의 트립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PCT/KR2012/010894 2011-12-16 2012-12-14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WO20130894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858425.7A EP2736064B1 (en) 2011-12-16 2012-12-14 Trip device and circuit breaker for electric wiring having same
CN201280045374.4A CN103797558B (zh) 2011-12-16 2012-12-14 脱扣装置以及具有该脱扣装置的电线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53 2011-12-16
KR1020110136253A KR101326987B1 (ko) 2011-12-16 2011-12-16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475A1 true WO2013089475A1 (ko) 2013-06-20

Family

ID=4861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894 WO2013089475A1 (ko) 2011-12-16 2012-12-14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36064B1 (ko)
KR (1) KR101326987B1 (ko)
CN (1) CN103797558B (ko)
WO (1) WO2013089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96B1 (ko) * 2015-03-31 2019-05-2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및 그 조립방법
KR101749981B1 (ko) 2016-02-12 2017-06-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다극 배선용 차단기
KR20180099330A (ko) 2017-02-28 2018-09-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주접점 인터록 기능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343A (ko) * 2002-09-26 2004-04-01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차단기
KR20090016344A (ko) * 2007-08-10 2009-02-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컨택트 온 기구를 가지는 배선용 차단기
KR20090016345A (ko) * 2007-08-10 2009-02-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콘택트 온 기구를 가진 배선용 차단기
KR101085267B1 (ko) 2010-06-07 2011-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류형 배선용차단기의 트립기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62859B1 (ko) * 1974-03-01 1977-09-23 Merlin Gerin
DE2808609C3 (de) * 1978-02-28 1980-09-1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Niederspannungskippschalter
DE19841685C2 (de) * 1998-09-11 2002-10-31 Aeg Niederspannungstech Gmbh Schalter
JP4059058B2 (ja) * 2002-10-28 2008-03-1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
US6985059B2 (en) * 2003-09-10 2006-01-10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JP4857881B2 (ja) * 2006-04-14 2012-01-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4807135B2 (ja) * 2006-04-26 2011-11-0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KR100914203B1 (ko) * 2007-08-10 2009-08-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컨택트 온 기구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343A (ko) * 2002-09-26 2004-04-01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차단기
KR20090016344A (ko) * 2007-08-10 2009-02-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컨택트 온 기구를 가지는 배선용 차단기
KR20090016345A (ko) * 2007-08-10 2009-02-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콘택트 온 기구를 가진 배선용 차단기
KR101085267B1 (ko) 2010-06-07 2011-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류형 배선용차단기의 트립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73606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97558B (zh) 2016-10-26
CN103797558A (zh) 2014-05-14
KR101326987B1 (ko) 2013-11-13
KR20130068845A (ko) 2013-06-26
EP2736064A1 (en) 2014-05-28
EP2736064A4 (en) 2015-04-29
EP2736064B1 (en)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1263C (en) Disconnect switch including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KR100662752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WO2007056668A2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WO2013089475A1 (ko) 트립장치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EP2455961B1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CN102651292A (zh) 断路器
WO2013108998A1 (ko) 배선용 차단기
JPH0512976A (ja) 配線用遮断器の多極クロスバー組立体
ITMI20072278A1 (it) Interruttore automatico per applicazioni di bassa tensione.
KR101078974B1 (ko) 4극 회로차단기의 동력전달장치
RU2009122482A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ключ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защиты от тока утечки,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защиты от тока утечки и линейным защитным автоматом
CN101086936A (zh) 横杆辅助机构和采用该机构的电气开关装置
JP4128897B2 (ja) 漏電遮断器
US9170293B2 (en) Power line indicator accessory for fusible circuit protection device array
JPS6215726A (ja) 回路遮断器
WO2019221354A1 (ko) 수동 트립 메커니즘을 갖는 직류 차단기
WO2014058147A1 (ko) 범용 영구자석 조작기용 수동조작모듈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WO2021157947A1 (ko) 진공차단기용 플러그 인터록 장치
WO2023195651A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WO2023191277A1 (ko)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WO2021071036A1 (ko) 듀얼 링크 구조를 갖는 진공 차단기용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 차단기
WO2019156319A1 (ko) 차단기
CN216288210U (zh) 断路器
WO2020209515A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8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58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58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