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1381A1 -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1381A1
WO2013081381A1 PCT/KR2012/010196 KR2012010196W WO2013081381A1 WO 2013081381 A1 WO2013081381 A1 WO 2013081381A1 KR 2012010196 W KR2012010196 W KR 2012010196W WO 2013081381 A1 WO2013081381 A1 WO 20130813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put
handwriting
phoneme
user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1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경호
Original Assignee
Jang Kyung-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ang Kyung-Ho filed Critical Jang Kyung-Ho
Priority to US14/361,24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344684A1/en
Publication of WO20130813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13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06V30/387Matching; Classification using human interaction, e.g. selection of the best displayed recognition candida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specific handwriting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generate all the syllables by inputting only the minimum input phonemes from the user, converting them to generate modified phonemes, and then combining the input phonemes and the modified phonemes.
  • a user-specific handwriting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for easier and faster generation of user-specific handwriting.
  • the system that inputs the user's handwriting in advance and analyzes the user's handwriting automatically in the same environment as in the personal PC or personal mobile device first receives a certain number of handwriting from the user, and then inputs the user's handwriting through the computer. It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rough a program or other application, and is well-published in Korean Patent Nos. 801224 and 933707.
  • the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a user who enters a syllable may be very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as it is implemented by receiving 190 syllables from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generate a user's own handwriting by implementing the entire Korean syllable by receiving and modifying only 59 phonemes from the user. It is don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phonemes input by the user and to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phonemes based on the inputs, so that the handwriting can be more consistent with the user's handwriting.
  •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the area of the handwriting area input by the user and to deform the phonemes differentially based on this, so that various kinds of modified phonemes can be generated more stably.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principle and operation of a user-specific handwriting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specific handwriting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dified phoneme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point 4a reference connection point 4b: corresponding connection point
  • zoning module 120 phoneme sample management module
  • connection point designator 140 deformation module
  • Example module 161 Example handwriting presentation unit
  • 'AB'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group 1 vowel appears in the form of '' on the left center of the manuscript and forms the syllable with the group 2 vowel.
  • Is the same consonant, such a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 in the upper center portion, but the shap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vowels used together.
  • the "a" used with the 3rd group vowel is similar to the "a” used with the 2nd group vowel, its shape, size and position may change depending on the user's own handwriting characteristics. The same is true for vowels.
  • the Korean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1 to 5 group consonants (consonants used in open syllables), which are used together with 1 to 5 group vowels, respectively.
  • each group consonant means a set of 19 Korean consonants including ' ⁇ ' to ' ⁇ ' and ' ⁇ ', ' ⁇ ', ' ⁇ ', ' ⁇ ', and ' ⁇ '. Consonants of the same kind were defined on the premise that the shapes and positions of the consonants used with each group vowel are different.
  • the user-specific handwriting generation system basically includes a region designation module 110, an input module 130, a transformation module 140, and a handwriting combination module 150. It further includes a phoneme sample management module 120 and an example module 160.
  • the area designation module 110 designates a virtual area by dividing the partition surface 2 on the screen, and classifies the area into a guide area for guiding a user's input and an input area for receiving handwriting data from the user.
  • the partition surface 2 refers to a surface partitioned on the display means 1, and is similar in concept to a column of a manuscript on which one syllable is written.
  • the partition surface 2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unit size of the syllables and to input a phoneme of an appropriate size based on the partition surface 2 so as to receive an input phoneme that more closely matches the user's own handwriting. do.
  • the partition surface 2 is composed of a coordinate plane, which can be used to data input the handwriting and combine them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so that the input module 130 and the handwriting combining module 150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help you to function smoothly.
  • the input regions may be formed in layers so that several input regions each having different handwritings are combined in a stacked form in a handwriting combinat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put module 130 receives 59 input phonemes from a user.
  • the 59 input phonemes include 1 to 5 group vowels (21), 1 consonant set (1 group consonant, 19 groups) used with 1 group vowel, and 2 group vowels used together.
  • group 1 to group 5 vowels can be input based on the corresponding handwriting to modify the shape of the neutral vowels in the lung syllables differing only in a certain level.
  • the first to fifth group vowels to be input from the user are defined as the input vowels
  • the neutral vowels generated by transforming the input vowels are defined as the transform vowels.
  • the basic shape of Group 3 to Group 5 consonants is similar to that of Group 2 consonants, but its size and position are modified.
  • the basic shapes of group 2 to group 5 consonants are very similar, but 2
  • the group consonants and the group 3 consonants have different lengths, and the group 2 consonants, and the group 4 and 5 consonants are different in size and position.
  • the consonants (groups 3 to 5 group consonants) used with the 3rd to 5th group vowels can be generated by modify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2nd group consonants from the user, and in the same manner 1 Group to group 5 consonants can be modified to produce a consonant in the consonant syllables, and the consonant (final consonants in the closed syllables) can also be modified based on the group 2 consonants.
  • the first and second group vowels are defined as input consonant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odified consonants are used as standard data for generating modified consonants.
  • Consonants and support consonants are defined as modified consonants.
  • the input sample generator 122 extracts at least one of the input phonemes to generate an input sample 3b.
  • the input sample 3b is input by the input module 130 and the transformation module 140. And when the modified phoneme is generated, any one of the modified phonemes is selected and displayed as an input sample 3b to guide the input of another input phoneme.
  • the input module 130 includes a guide unit 131 and an input phoneme generator 132.
  • the phoneme samples displayed by repeating this process are initially displayed as the basic samples 3a, and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any one of the input samples 3b from the next round, so that all 59 phonemes can be sequentially input from the user. You will have to.
  • the input phoneme generator 132 generating the input phoneme by this process may designate a connection point to each input phoneme in order to combine the phonemes by combining the phonemes more easily in the handwriting combining module 150 to be described later.
  • the reference connection point designator 132a and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oint designator 132b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handwriting combining module 150 combines the 'ga' using the 'a' and ' ⁇ ', two input areas including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handwriting are stack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on points overlap the same positions. You can create a lot of Hangul syllables by letting you combine each phoneme.
  • the input phoneme analyzer 141 calculates the area of a region, i.e., a handwriting area, occupied by a specific input phoneme in the partition surface 2.
  • the modified phoneme correction value is a value required for resizing the input phone to derive the modified phoneme, that is, the width of the handwriting area or a value to be summed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alues, and adjusts the handwriting area of the input phone as a whole. It may be a percentage value, and may be a different length and width correction value that is multiplied by the length value and the width value, respectively, so that the length and width can be changed individually to change the shape as well as the size.
  • the modified phoneme correction values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dified vowel and the modified consonant, and each modified phoneme correction value may be pre-stored as a predetermined value 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t may be automatically formed according to the width value 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alues of the handwriting area. That is, when the area value of the handwriting area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value of a specific modified phoneme correction value (for example, three-group consonant correction value) is set to 0.7, and when the area value of the handwriting area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specific deformation is made. By using a method such as designing a phoneme correction value to be 0.8, the modified phoneme correction value may be automatically formed according to the area value of the handwriting area.
  • the above-described transformation module 140 analyzes the input phonem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o calculate the area of the handwriting area, and the modified phoneme correction value set for each group in order to generate the deformation phoneme. Each of these numbers can be added together to create different types of modified phonemes.
  • the system receives only 59 input phonemes from the user, and may derive various groups of modified phonemes by differentially resizing them.
  • the handwriting combination module 150 generates a user's own handwriting by combining the phonemes gen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odules, and includes a connection point arrangement unit 151 and a support syllable generator 152.
  • connection point arranging unit 151 extracts two or more phonemes necessary for a combination of specific syllables among the input phone and the phoneme for which the connection point is designated, and combines the phonemes in such a way as to arrange the connection points so as to overlap the same location. Create them.
  • connection point arrangement unit 151 may further include a point designation unit.
  • the point designation part designates a point at which the connection point is to be located on the partition surface 2, where the point at which the connection point is disposed, that is, the point on the partition surface 2, is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case of open syllables, that is, a reference connection 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4a) is the designated position, and in the case of the initial consonants and the neutral vowels of the closed syllables, it may be desirable to arrange them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original position. In this case,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set by a system administrator or a user.
  • connection point Referring again to the process of generating a syllable using the connection point with reference to Figure 4, if you want to combine the 'ga', 'a' (group 1 consonant) and ' ⁇ ' (group 1 vowel) of the input phoneme
  • the syllables can be combined by extracting and arranging each connection point to overlap each other at a specific point on the partition surface 2.
  • the distance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in each syllable is more natural, and only 59 phonemes can be input from the user to create a syllable very similar to the user's actual handwriting. Can produce a beautiful handwriting.
  • the consonant consonants may be design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so that both the consonant consonant, the neutral vowel, and the consonant consonant may be combined based on the connection point, but more consonant than that. It is more preferable to combine the consonant and the neutral vowel based on the connection point, and to place the supporting consonant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most part of the neutral vowel. Accordingly, the handwriting combination module 15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yllable generator 152.
  • the support syllable generation unit 152 is to enable to combine the syllables with a support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only by the connection point correspondence method, the support consonant classification unit 152a, the support position setting unit 152b, and the support syllable combination unit ( 152c).
  • the consonant consonant classification unit 152a classifies at least one of the consonants of the modified phoneme into consonant consonants, and the consonant consonants are preferably modified phonemes modified based on the two-group consonants.
  • the supporting syllable combination unit 152c combines the supporting consonants in the supporting syllables using the supporting position values. As the supporting syllable generator 152 is included, the closed syllable is also more naturally combined.
  •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xample module 160.
  • the input phonemes are sequentially generated and stored by the input module 130.
  • a combination of words that can be implemented by only input phonemes generated at a specific time point is displayed and displayed to the user, thereby reducing boredom and maximizing satisfaction of the user.
  • the input handwriting may be implemented by only input phonemes (group 1 consonants and groups 1 to 2 group vowels) initially input. Words such as “Let's go” or “Let's” can be combined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eans 1.
  • the user may be able to provide a user with various words embodied by his / her own handwriting. It is to make the shape and size more intuitive.
  • the handwriting generation method includes a basic sample presentation step, a vowel input sample 3b generation step, an input consonant generation step, and a modified consonant generation. Step, input vowel generation step, transform vowel generation step, handwriting combination step.
  • the basic sample generator 121 extracts a syllable (preferably 'er' and 'o') of a specific shape from a pre-stored font DB to generate a basic sample 3a, and the guide unit 131 displays display means.
  • the base sample 3a is displayed in the partition plane 2 on the screen via (1).
  • the modified consonants generated at this time are group 3 to group 5 consonants, transformed consonant consonants, and consonant consonants generated based on the group 2 consonants.
  • the handwriting combining module 150 arranges the vowel input sample 3b and the input vowel, the modified vowel, and the connection point of each of the input consonant and the modified consonant so as to overlap a specific point in the partition plane 2. Combine multiple syllables to create your own handwriting.
  • input samples 3b ' ⁇ ' and ' ⁇ ' are generated in the second step, and in the third step, the input collections ' ⁇ ' and ' ⁇ ' respectively.
  • the first group consonants and the second group consonants forming a syllable together are input and generated.
  • the entire group 1 to 5 group vowels are input by each of the five consonant input samples. (At this time, ' ⁇ ' and ' ⁇ ' may be om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최소한의 음소, 예를 들어 한글 59개만의 음소를 입력받아 이를 변형 및 조합하여 음절 전체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음소를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토대로 대응되는 음소들을 입력받도록 형성되어 사용자 필적에 더욱 부합한 필적을 구현하고,복수 개의 음소로 음절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음소에 지정된 연결점을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음절을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필적이 생성되도록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로부터 최소한의 입력 음소만을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여 변형 음소를 생성한 후 상기 입력 음소 및 변형 음소를 조합함으로써 모든 음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PC 혹은 개인 모바일 기기에서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자의 필적을 미리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필적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우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필적을 일정 수만큼 입력받아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필적을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기타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으로서, 국내 특허 제 801224호 및 933707호에 잘 게시되어 있다.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 933707호는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 제 801224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개량하여 801224호에서 대두된 문제점인 사용자의 필적이 획일화 내지 정형화되는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적정 수의 글자를 사용자에게 입력받아 음소/음절 간의 거리, 음소/음절의 형상,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필적을 인식하는 필적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필적 조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적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필적에서 각 음소 내의 세분화된 특정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트 지정 모듈; 상기 필적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소/음절 내부 내지 음소/음절 바깥 영역의 위치에 음소/음절의 변화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준점 설정모듈;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1번째 포인트에 대한 x, y축 좌표 값을 지정하고 1번째 포인트 이후의 포인트는 바로 이전의 포인트에 대한 x, y축 거리에 의하여 좌표 값을 설정하여 각 포인트에 대한 상대 좌표 값을 설정한 다음, 특정 포인트 내지 특정 음소/음절의 상대 좌표 값을 변화하도록 하여 필적의 위치, 거리, 형상을 변형하는 필적 변형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사용자로부터 190자의 음절을 입력받아 구현됨에 따라 음절을 입력하는 사용자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음절 단위가 아닌 음소 단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필적 구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59개만의 음소를 입력받아 이를 변형 및 조합함으로써 한글 음절 전체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소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토대로 대응되는 음소들을 입력받도록 형성되어 사용자 필적에 더욱 부합한 필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음소로 음절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음소에 지정된 연결점을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음절을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필적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필적 영역의 넓이를 산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음소를 차등 변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여러 종류의 변형 음소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받침 자음을 받침 위치 값을 토대로 조합함으로써 연결점 대응 방식으로 부족한 필적 조합 방식을 보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입력 음소가 둘 이상 생성되면 이를 조합하여 예시 필적을 구현함에 따라 사용자 스스로가 자신이 입력하고 있는 음소로 조합되는 음절을 시각적으로 실시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은, 화면상의 구획 면을,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영역과 사용자로부터 필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영역으로 분류하는 영역 지정 모듈; 상기 가이드 영역에 사용자의 필적 입력을 안내하는 음소 샘플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음소 샘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받아 이를 입력 음소로 저장하는 입력 음소 생성부로 이루어진 입력 모듈; 상기 입력 음소 각각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그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의 변형 음소를 생성하고 이를 분류 및 저장하는 변형 모듈; 상기 입력 음소 및 상기 변형 음소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구현하는 필적 조합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은,
1) 사용자로부터 59개만의 음소를 입력받아 이를 변형 및 조합함으로써 한글 음절 전체를 구현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할 수 있고,
2) 사용자가 입력한 음소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토대로 대응되는 음소들을 입력받도록 형성되어 사용자 필적에 더욱 부합한 필적을 구현할 수 있으며,
3) 복수 개의 음소로 음절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음소에 지정된 연결점을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음절을 구현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필적이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4) 사용자가 입력한 필적 영역의 넓이를 산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음소를 변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 음소가 생성되도록 할뿐만 아니라,
5) 상기 입력 음소가 둘 이상 생성되면 이를 조합하여 예시 필적을 구현함에 따라 사용자 스스로가 자신이 입력하고 있는 음소로 조합되는 음절을 시각적으로 실시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원리 및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점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음소 생성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적 구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부호의 설명
1: 디스플레이 수단 2: 구획 면
3a: 기본 샘플 3b: 입력 샘플
4a: 기준 연결점 4b: 대응 연결점
110: 영역 지정 모듈 120: 음소 샘플 관리 모듈
121: 기본 샘플 생성부 122: 입력 샘플 생성부
130: 입력 모듈 131: 가이드부
132: 입력 음소 생성부 132a: 기준 연결점 지정부
132b: 대응 연결점 지정부 140: 변형 모듈
141: 입력 음소 분석부 142: 리사이징부
150: 필적 조합 모듈 151: 연결점 배치부
152: 받침 음절 생성부 152a: 받침 자음 분류부
152b: 받침 위치 설정부 152c: 받침 음절 조합부
160: 예시 모듈 161: 예시 필적 제시부
162: 예시 필적 갱신부
본 발명은 화면상의 구획 면을,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영역과 사용자로부터 필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영역으로 분류하는 영역 지정 모듈; 상기 가이드 영역에 사용자의 필적 입력을 안내하는 음소 샘플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음소 샘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받아 이를 입력 음소로 저장하는 입력 음소 생성부로 이루어진 입력 모듈; 상기 입력 음소 각각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그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의 변형 음소를 생성하고 이를 분류 및 저장하는 변형 모듈; 상기 입력 음소 및 상기 변형 음소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구현하는 필적 조합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은, 하드웨어인 개인 PC 혹은 개인 모바일 기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마우스, 타블렛, 터치스크린 등의 수단을 매개로 사용자 고유의 서체 특징을 가진 59개의 음소를 각각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입력 음소를 사용처에 따라 각각 변형하여 변형 음소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 11,172자의 문자를 조합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서체 특징을 가진 한 벌의 필적을 생성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로부터 글자 단위가 아닌 음소 단위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한 벌의 필적을 구현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야 하는 기본적인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기존 선행기술에 비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원리 및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본 시스템이 설치된 개인 PC 또는 개인 모바일 기기의 모니터, 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야 하는 입력 음소에 대한 정보 및 방법 등을 안내하는 음소 샘플 및 안내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음소 샘플 및 안내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마우스, 타블렛, 터치스크린 등을 매개로 사용자의 필적을 구현하는 데 기본적인 바탕이 되는 입력 음소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 음소를 저장, 변형 및 조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PC나 모바일 기기 등에 설치되어 모니터, 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1)을 이용해 사용자와 소통하며, 마우스, 타블렛,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필적 생성에 필요한 입력 음소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한글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사용자로부터 59개만의 음소를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한글의 모든 음절을 표현하기 위해서, 일정 기준에 따라 한글 음소를 분류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분류한 기준은 표 1과 같다.
물론 한글 이외의 언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표 1 한글 음소 분류 기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포함되는 음소
개음절 음소 종축 모음 1군 모음 ㅏ,ㅐ,ㅑ,ㅒ,ㅓ,ㅔ,ㅕ,ㅖ,ㅣ
횡축 모음 2군 모음 ㅗ, ㅛ, ㅡ
3군 모음 ㅜ, ㅠ
종횡축 모음 4군 모음 ㅚ, ㅙ, ㅢ, ㅘ
5군 모음 ㅟ, ㅞ, ㅝ
한글의 모음은 개음절과 폐음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표 1에 나열된 음소들은 받침이 없는 음절에서 사용되는 음소들의 형태이다.
또한, 21개의 한글 모음을 모음 형태의 축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자음의 형태가 각 군 모음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는 특징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1군 모음)와 '고'(2군 모음), '구'(3군 모음), '괴'(4군 모음), '귀'(5군 모음)에 각각 사용되는 'ㄱ'의 형상이 모두 다르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가령 기존의 '바탕체'의 'ㄱ'을 살펴보면, 1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ㄱ'은 원고지 한 칸을 기준으로 좌측 중앙 부위에 ''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2군 모음과 함께 음절을 이루는 'ㄱ'은 상측 중앙 부위에 ''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등 같은 자음이지만 함께 사용되는 모음의 종류에 따라 그 모양이 변할 수 있다. 3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ㄱ'은 2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ㄱ'과 유사한 형상이긴 하나 사용자 고유의 필적 특징에 따라 그 형상, 크기 및 위치가 바뀔 수 있고 이는 4군 모음과 5군 모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글 자음 역시 상기 각 군 모음을 분류한 바에 따라, 해당 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자음을 각 군 자음으로 분류한다.
즉, 한글의 자음을 1군 내지 5군 모음과 함께 각각 사용되는 1군 내지 5군 자음(개음절에서 사용되는 자음)으로 분류한 것이다.
이 때 각 군 자음은 'ㄱ'부터 'ㅎ'까지의 단자음 및 'ㄲ', 'ㄸ', 'ㅃ', 'ㅆ', 'ㅉ'을 모두 포함한 19개의 한글 자음 한 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같은 종류의 자음이라도 각 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자음의 형상 및 위치가 상이하다는 것을 전제로 정의되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가', '내', '디'(1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1군 자음)에서의 'ㄱ', 'ㄴ', 'ㄷ'의 형상 및 위치와, '고', '뇨', '드'(2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2군 자음)에서의 'ㄱ', 'ㄴ', 'ㄷ'의 형상 및 위치는 서로 다르므로, 각 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자음 한 벌을 묶어 군으로 분류하였다.
상술한 한글 음소의 형태상 특징에 따라, 한글의 모든 음절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음소는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표 1에서 분류된 모음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은 영역 지정 모듈(110)과 입력 모듈(130), 변형 모듈(140) 및 필적 조합 모듈(15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음소 샘플 관리 모듈(120)과 예시 모듈(16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영역 지정 모듈(110)은 화면상의 구획 면(2)을 나누어 가상의 영역을 지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영역과, 사용자로부터 필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영역으로 분류한다.
이 때 상기 구획 면(2)은 디스플레이 수단(1) 상에 구획된 면을 뜻하는 것으로, 한 음절이 쓰여 지는 원고지의 한 칸과 유사한 개념이다. 이러한 구획 면(2)은 사용자가 음절의 단위 크기를 인지하고 구획 면(2)을 기준으로 적정 크기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체와 더욱 부합하는 입력 음소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획 면(2)은 좌표 평면으로 구성되어, 입력된 필적을 데이터화하고, 이를 특정 기준에 따라 조합하는 데 이용될 수 있어, 후술할 입력 모듈(130) 및 필적 조합 모듈(150)의 기능을 원활히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구획 면(2)에는 상기 영역 지정 모듈(110)에 따라 가이드 영역과 입력 영역이 적층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영역은 후술할 음소 샘플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고, 입력 영역은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음소 샘플에 의해 안내되어 입력 음소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분류된 영역이다.
상기 구획 면(2)을 가이드 영역 및 입력 영역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후술할 입력 모듈(130)을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음소를 입력받을 때 음소 샘플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과 필적을 입력받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이드 영역과 입력 영역은 상기 구획 면(2) 상에서 공간적으로 구분될 수 있고, 때에 따라 겹치게 될 수도 있다. 즉, 각 영역을 공간적 구분에 따른 가시적 구획이 아닌 가상의 층(layer)로서 이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입력 영역은 레이어로 형성되어 후술할 필적 조합 모듈 등에서 각각 서로 상이한 필적을 수록한 수 개의 입력 영역이 적층 형식으로 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59개의 입력 음소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이 때 59개의 입력 음소는, 1군 내지 5군 모음(21개)과, 1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자음 한 벌(1군 자음, 19개) 및, 2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자음 한 벌(2군 자음, 19개)로서, 상기 1군 내지 5군 모음을 입력받아 해당 필적을 바탕으로 위치 및 크기만이 일정 수준 상이한 폐음절에서의 중성 모음의 형상을 변형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야 하는 1군 내지 5군 모음을 입력 모음으로, 입력 모음을 바탕으로 변형되어 생성되는 중성 모음을 변형 모음으로 정의한다.
또한, 2군 자음과 3군 내지 5군 자음의 형상 및 위치를 비교해보면, 3군 내지 5군 자음의 기본 형상은 2군 자음의 그것과 유사하되 그 크기 및 위치가 변형된 것이다. 즉, '고'(2군), '구'(3군), '괴'(4군), '귀'(5군)를 살펴보면 2군 내지 5군 자음의 기본 형상은 매우 유사하나, 2군 자음과 3군 자음은 세로 길이가 다르고, 2군 자음과 4군 및 5군 자음은 그 크기와 위치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2군 자음을 입력받아 2군 자음의 크기 및 위치 등을 변형함으로써 3군 내지 5군 모음과 함께 사용되는 자음(3군 내지 5군 자음)을 생성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1군 내지 5군 자음을 변형하여 폐음절에서의 초성 자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받침 자음(폐음절에서의 종성 자음) 역시 상기 2군 자음을 바탕으로 변형 생성될 수 있다.
상기 1군 및 2군 모음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야 하는 필수적인 자음 형태로서 변형 자음이 생성되는 데 표준 데이터로 사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입력 자음으로 정의하고 이와 같은 의미에서 상기 3군 내지 5군 자음과 초성 자음 및 받침 자음은 변형 자음으로 정의한다.
상기 입력 모음 및 입력 자음을 통해 변형 모음 및 변형 자음을 생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한글 음절을 이루는 모든 음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입력 음소를 필요에 따라 변형 구현하는 과정은 후술할 변형 모듈(140)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음소의 입력 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음소 샘플 관리 모듈(120) 및 입력 모듈(130)을 설명하면, 상기 음소 샘플 관리 모듈(120)은, 입력 모듈(130)에서 이용되는 음소 샘플을 관리하는 것으로 상기 음소 샘플은 사용자의 필적이 아닌 임의의 필체로 구성된 음소 형상인 기본 샘플(3a)과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음소 중 어느 하나인 입력 샘플(3b) 및 후술할 변형 모듈(140)에 의해 변형 생성된 변형 샘플을 포함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음소 샘플 관리 모듈(120)은 기본 샘플 생성부(121)와 입력 샘플 생성부(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 샘플 생성부(121)는, 기 저장된 폰트 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음절을 추출하여 기본 샘플(3a)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폰트 DB는 바탕체, 고딕체 등 공지된 임의의 필적 중 어느 하나의 필적에 따른 폰트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기본 샘플 생성부(121)에서 생성되는 상기 기본 샘플(3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군 모음과 1군 자음 또는 2군 모음과 2군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예를 들어, '어'와 '오')을 각각 흐린 선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 영역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가 1군 모음 및 2군 모음('ㅓ'와 'ㅗ')을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때 상기 가이드 영역과 입력 영역은 레이어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본 샘플(3a)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적절한 영역 내에 기본 샘플(3a)과 같은 종류이되 그 형상은 사용자 고유 필체를 따르는 입력 음소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입력 샘플 생성부(122)는, 상기 입력 음소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입력 샘플(3b)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입력 샘플(3b)은 입력 모듈(130) 및 변형 모듈(140)에 의해 입력 음소 및 변형 음소가 생성되면, 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샘플(3b)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또 다른 입력 음소를 입력받도록 안내한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 샘플(3a)을 통해 입력받은 입력 음소 중 어느 하나('ㅓ' 또는 'ㅗ')를 입력 샘플(3b)로서 가이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 샘플(3b)과 함께 특정 음절을 이루는 음소를 입력 영역에 입력받도록 한다. 그 후 입력 받은 입력 음소 중 어느 하나를 다시 입력 샘플(3b)로 생성하고(예를 들어, '거'의 'ㄱ'), 이를 디스플레이한 후 다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 샘플(3b)과 함께 특정 음절을 이루는 음소를 입력 영역에 입력받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59개의 입력 음소를 모두 입력받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음소 샘플이 기본 샘플(3a)과 입력 샘플(3b)로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기 저장해야 하는 기본 샘플(3a)의 수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음소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입력 샘플(3b)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음절 단위가 아닌 음소 단위를 각각 입력받는 프로세스 상에서 벌어질 수 있는 각 음소 간 부조화 등의 문제점을 보다 단순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음소 샘플의 실시예는, 입력 모듈(130)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 모듈(130)은 가이드부(131)와 입력 음소 생성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31)는, 개인 PC 또는 개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수단(1)을 매개로 상기 가이드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을 안내하는 음소 샘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음소 샘플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 고유 필적의 특정 음소를 입력하는 데 있어서 상기 구획 면(2) 내 입력될 위치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입력 음소가 타 음소와 어떤 형상으로 어울리게 되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 음소 생성부(132)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고유의 필적 데이터를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받아 이를 입력 음소로 저장하여 입력 음소 DB를 구축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131)에 의해 음소 샘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소 샘플에 의해 안내된 고유의 필적 데이터를 입력받는데, 이 때 상기 입력 음소 생성부(132) 및 상기 가이드부(131)는, 음소 샘플 디스플레이(가이드부(131)), 필적 데이터 입력 및 입력 음소 생성(입력 음소 생성부(132))이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기능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필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 음소로서 저장한 후 직전에 입력받은 필적 데이터를 포맷하는 과정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나,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디스플레이되는 음소 샘플은, 최초에는 기본 샘플(3a)이었다가, 다음 회차부터는 입력 샘플(3b) 중 어느 하나인 순서로 디스플레이되어, 순차적으로 사용자로부터 59개의 음소를 모두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입력 음소를 생성하는 상기 입력 음소 생성부(132)는, 후술할 필적 조합 모듈(150)에서 보다 용이하게 각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입력 음소에 연결점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기준 연결점 지정부(132a)와 대응 연결점 지정부(132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연결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입력 음소 및 상기 입력 음소를 바탕으로 변형 생성한 변형 음소를 음절 생성을 위해 서로 조합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특정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점에 의해 후술할 필적 조합 모듈(150)에서는 점 대 점 방식으로 각각의 음소들을 조합하게 된다.
상기 기준 연결점 지정부(132a)는, 입력 샘플(3b)의 일 측 단 부위에 기준 연결점(4a)을 지정하는 것이고, 상기 대응 연결점 지정부(132b)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기준 연결점(4a)이 지정된 입력 샘플(3b)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기준 연결점(4a)이 배치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필적의 대응 연결점(4b)를 지정한 후 해당 필적과 상기 대응 연결점(4b)을 상기 입력 음소로서 저장한다.
보다 원활한 작용을 위해, 상기 기준 연결점 지정부(132a)는 기준 연결점 좌표값 추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점 좌표값 추출부는 상기 구획 면상에서 상기 기준 연결점이 위치한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연결점 좌표 값을 생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입력 샘플(3b)은 특정 형상의 사용자의 필적이 수록된 입력 영역(레이어)이므로, 해당 입력 영역 상에 기준 연결점이 지정되면 해당 지점을 구획 면(2) 상의 좌표 평면에 대입하여 좌표값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 연결점 좌표값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대응 연결점 지정부(132b)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연결점이 지정된 상기 입력 샘플을 디스플레이한 경우 상기 연결점 좌표 값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필적의 대응 연결점으로 지정하는 방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연결점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음소 샘플 관리 모듈(120)에서, 상기 기본 샘플(3a)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받은 'ㅓ'(즉, 1군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입력 샘플(3b)로서 설정하고, 상기 기준 연결점 지정부(132a)를 통해 'ㅓ'의 좌측 단 부위에 연결점을 지정한 후 저장한다.
그 후 상기 입력 모듈(130)을 통해 연결점이 지정된 'ㅓ'(입력 샘플(3b))을 가이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 영역에 '거'의 'ㄱ'을 입력받는다.
이 때 상기 대응 연결점 지정부(132b)는 상기 'ㅓ'의 기준 연결점(4a)이 지정된 위치에 입력받은 'ㄱ'의 대응 연결점(4b)을 지정한 후 입력받은 필적 'ㄱ'과 함께 입력 음소로서 저장하는 것이다.
그 후 도면에서처럼 'ㅓ'(입력 샘플(3b))을 가이드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로부터 입력 영역에 '어'의 'ㅇ'을 입력받아 대응 연결점(4b)을 지정한 후, 연결점이 지정된 'ㅇ'을 입력 샘플(3b)로서 디스플레이한 후 '아'의 'ㅏ'를 입력받아 'ㅇ'의 연결점 위치에 'ㅏ'의 연결점을 지정한다.
추후 필적 조합 모듈(150)에서 상기 'ㄱ'과 'ㅏ'를 이용하여 '가'를 조합하고자 할 때 상기 연결점 및 상기 필적을 포함하는 두 개의 입력 영역을 상기 연결점이 같은 위치에 겹치도록 적층 배치시켜 각각의 음소들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많은 한글 음절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모듈(140)은, 상기 입력 음소 각각의 크기를 달리하여(리사이징하여) 그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변형 음소를 생성하여 변형 음소 DB에 각각 저장하는 것으로, 입력 음소 분석부(141)와 리사이징부(142)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음소 생성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입력 음소 분석부(141)는, 상기 구획 면(2) 내에서 특정 입력 음소가 차지하는 영역, 즉 필적 영역의 넓이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는, 상기 입력 음소의 최상측 부위와 최하측 부위에서 각각 연장된 수평선과 최좌측 부위와 최우측 부위에서 각각 연장된 수직선을 서로 연결한 것으로, 상기 구획 면(2)내에서 특정 입력 음소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사각형의 넓이, 즉 상기 사각형의 세로 길이 수치와 가로 길이 수치를 산출하여 이를 곱한 것이다. 다시 말해, 입력 음소가 입력된 영역의 최상측 지점, 최하측 지점 각각에서 수평선을 긋고, 최우측 지점, 최좌측 지점 각각에서 수직선을 그어, 수평선과 수직선의 교차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를 뜻하는 것이다.
리사이징부(142)는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에, 상기 입력 음소의 크기를 변형하기 위해 기 설정된 변형 음소 보정치(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를 곱하여 상기 입력 음소의 크기를 변형시킴으로써 변형 음소를 생성하고 각각을 변형 음소 DB에 분류 및 저장한다.
이 때 상기 변형 음소 보정치는, 입력 음소를 리사이징하여 변형 음소를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즉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가로 수치 및 세로 수치와 합산될 수치로서, 상기 입력 음소의 필적 영역을 전체적으로 조절하는 퍼센트 수치일 수 있고, 세로 및 가로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변화시켜 크기뿐만 아니라 모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세로 수치 및 가로 수치에 각각에 곱해지는 서로 다른 세로 및 가로 보정 수치일 수 있다.
상기 변형 음소 보정치는 변형 모음 및 변형 자음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르게 책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각각의 변형 음소 보정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상에서 일정 수치 등으로 기 저장된 것일 수 있으나, 각 사용자의 필적에 따라, 다시 말해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 값 또는 가로 및 세로 수치에 따라 자동 형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 값이 일정 수준 이상 큰 경우 특정 변형 음소 보정치(예를 들어 3군 자음 보정치)의 값이 0.7이 되도록 하고,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 값이 일정 값 이하로 작은 경우 특정 변형 음소 보정치 값이 0.8이 되도록 설계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필적 영역의 넓이 값에 따라 변형 음소 보정치가 자동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음소는 상기 입력 음소에 포함된 연결점 역시 함께 변형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해, 입력 음소가 변형됨에 따라 해당 입력 음소에 포함된 연결점 역시 함께 같은 비율로 변형되도록 하여 변형 음소끼리의 조합 또한 점 대 점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 값 및 변형 음소 보정치는 상술한 크기 변화에 관련된 수치뿐만 아니라, 음소의 위치나 곡률도 등에 관련된 수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리사이징부(142)에는 보정치 입력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보정치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형 음소 보정치를 0.3 내지 0.9 범위 내에서 입력받는 것으로, 상기 변형 음소 보정치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임의로 각 보정치들을 지정(즉, 보정치 숫자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형 모듈(140)에서 이용되는 변형 음소 보정치를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하여 필적 조합 모듈(150)에서 조합되는 음절의 형상을 더욱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입력 범위를 0.3 내지 0.9 범위 내로 제한하는 이유는 입력 음소에 0.3 이하 혹은 0.9 이상의 값이 곱해져 변형될 경우 이러한 변형 음소로 구현한 필체는 일반적인 한글 필체로 인지할 수 없을 정도로 필적 형태가 망가지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 개인 PC, 모바일 기기의 입력 수단(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매개로 입력받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변형 모듈(140)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입력 음소를 분석하여 필적 영역의 넓이를 산출하고, 변형 음소를 생성하기 위해 각 군별로 설정된 변형 음소 보정치를 상기 필적 영역의 넓이 값 또는 가로 및 세로 수치에 각각 합산하여 여러 종류의 변형 음소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모듈(140)이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59개의 입력 음소만을 입력받아 이를 각각 차등 변형(리사이징)함으로써 여러 군의 변형 음소를 도출해낼 수 있다.
필적 조합 모듈(150)은, 상술한 각 모듈을 통해 생성된 각각의 음소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하는 것으로, 연결점 배치부(151)와 받침 음절 생성부(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점 배치부(151)는, 상기 연결점이 지정된 입력 음소 및 변형 음소 중 특정 음절의 조합을 위해 필요한 둘 이상의 음소를 추출하여 상기 연결점을 동일 위치에 겹치도록 배치하는 방식으로 음소들을 조합함으로써 여러 음절들을 생성한다.
상기 연결점 배치부(151)는 포인트 지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지정부는 상기 연결점이 구획 면(2)상에 위치될 포인트를 지정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연결점이 배치되는 부위, 즉 구획 면(2)상에서의 지점은 개음절의 경우 원래 위치, 즉 기준 연결점(4a)이 지정되던 그 위치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폐음절의 초성 자음과 중성 모음의 경우에는 원래 위치에서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이격 거리는 시스템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점을 이용해 음절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가'를 조합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 음소의 'ㄱ'(1군 자음)과, 'ㅏ'(1군 모음)을 추출하여 각 연결점을 구획 면(2)상 특정 지점에 서로 겹치도록 배치시키는 방식으로 음절을 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점 대응 방식으로 음절을 조합함으로써, 각 음절에서의 자음과 모음 간 거리를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하여 59개의 음소만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의 실제 필적과 매우 유사한 음절을 생성할 수 있어, 적은 시간으로 만족스러운 필적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적 조합 모듈(150)에서 폐음절을 생성하는 경우, 받침 자음에도 일정 기준에 따라 연결점을 지정하여 초성 자음과 중성 모음 및 받침 자음이 모두 연결점을 기준으로 조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나, 그보다 초성 자음과 중성 모음을 연결점을 기준으로 조합한 후 받침 자음을 상기 중성 모음의 최하단 부위에서 일정 간격 띄어진 부위에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필적 조합 모듈(150)은 받침 음절 생성부(15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음절 생성부(152)는, 연결점 대응 방식만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받침이 있는 음절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받침 자음 분류부(152a)와 받침 위치 설정부(152b) 및 받침 음절 조합부(152c)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 자음 분류부(152a)는, 상기 변형 음소의 자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받침 자음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 자음은 상기 2군 자음을 바탕으로 변형된 변형 음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 위치 설정부(152b)는, 상기 받침 자음의 상단 지점과 상기 받침 자음과 음절을 이룰 변형 음소의 하단 지점(바람직하게는 중성 모음의 하당 지점) 간의 거리를 특정 수치로서 지정하여 받침 위치값을 생성하는 것인데, 상기 받침 위치값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픽셀 단위이거나 mm 단위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받침 음절 조합부(152c)는, 상기 받침 위치값을 이용해 받침 음절에서의 받침 자음을 조합한다. 이러한 받침 음절 생성부(152)가 포함됨에 따라, 폐음절 역시 보다 자연스럽게 조합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는, 예시 모듈(16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예시 모듈(160)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자신의 필적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 음소를 차례로 입력하는 중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모듈(130)에 의해 입력 음소가 차례로 생성되어 저장되는 동안, 특정 시점에서 생성된 입력 음소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단어를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지루함을 감소시키고 만족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예시 모듈(160)은, 예시 필적 제시부(161)와 예시 필적 갱신부(162)로 이루어진다.
예시 필적 제시부(161)는, 입력 모듈(130)에서 상기 입력 음소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소가 둘 이상 생성되면 이를 조합하여 특정 음절 혹은 특정 단어를 생성하여 예시 필적을 구현하여 상기 구획 면(2)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예시 필적 제시부(161)의 일 예로서, 상기 입력 모듈(130)에 의해 상기 입력 음소 중 일부가 입력되면, 초기에 입력되는 입력 음소(1군 자음과 1군 내지 2군 모음)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자' 혹은 '보다' 등의 단어를 조합 구현시켜 디스플레이 수단(1)을 매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예시 필적 갱신부(162)는, 상기 예시 필적이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입력 모듈(1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음소가 추가적으로 생성되면, 추가 생성된 입력 음소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다른 단어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예시 필적을 갱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입력 모듈(130)에서 생성되는 입력 음소가 많아질수록 사용자 자신의 필적으로 구현된 다양한 단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예시 필적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이 입력하고 있는 입력 음소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보다 직감적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예시 필적 갱신부(162)는 본 시스템을 이용해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하는 동안 적어도 한 회 이상 기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59개의 입력 음소의 입력만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자신 고유의 필적을 생성시킬 수 있어, 기존의 음절 입력 방식 등에 비해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적 생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필적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필적 생성 방법은 기본 샘플 제시 단계와 모음 입력 샘플(3b) 생성 단계, 입력 자음 생성 단계, 변형 자음 생성 단계, 입력 모음 생성 단계, 변형 모음 생성 단계, 필적 조합 단계로 이루어진다.
1. 기본 샘플 제시 단계
상기 기본 샘플 생성부(121)가 기 저장된 폰트 DB로부터 특정 형상의 음절(바람직하게는 '어'와 '오')을 추출해 기본 샘플(3a)을 생성하고, 상기 가이드부(131)가 디스플레이 수단(1)을 매개로 상기 기본 샘플(3a)을 화면상의 구획 면(2)내에 디스플레이한다.
2. 모음 입력 샘플 생성 단계
입력 음소 생성부(132)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샘플(3a)이 디스플레이된 부위 상에 상기 기본 샘플(3a)로서 가이드되는 모음(1군 모음 중 어느 하나 및 2군 모음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ㅓ' 또는 'ㅗ')의 형상을 사용자 필체의 모음 필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모음 필적의 일 측 단에 기준 연결점(4a)을 지정한 후 상기 구획 면상에서의 해당 지점 좌표 값을 산출하여 기준 연결점 좌표값을 생성하고 상기 모음 필적과 상기 기준 연결점(4a)을 함께 모음 샘플로 저장한다.
3. 입력 자음 생성 단계
가이드부(131)가 상기 모음 샘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 음소 생성부(132)가 상기 모음 샘플과 함께 음절을 이룰 수 있는 자음(바람직하게는 '거', '너', '더' 등의 'ㄱ', 'ㄴ', 'ㄷ' 등 자음 한 벌(1군 자음) 또는 '고', '노', '도' 등의 'ㄱ', 'ㄴ', 'ㄷ' 등 자음 한 벌(2군 자음))의 형상을 사용자 필체의 자음 필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구획 면상의 상기 기준 연결점 좌표 값에 상기 자음 필적의 대응 연결점을 지정한 후 상기 자음 필적과 상기 대응 연결점을 함께 입력 자음으로 저장한다.
4. 변형 자음 생성 단계
상기 변형 모듈(140)이 상기 입력 자음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그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변형 자음을 생성하고 분류 및 저장한다.
이 때 생성되는 변형 자음은, 2군 자음을 바탕으로 변형 생성되는 3군 내지 5군 자음, 폐음절의 초성 자음, 받침 자음이다.
5. 입력 모음 생성 단계
상기 가이드부(131)가 입력 자음 및 상기 변형 자음 중 어느 하나인 자음 입력 샘플을 상기 구획 면(2)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음소 생성부(132)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음 입력 샘플과 함께 음절을 이루는 모음의 형상을 사용자 필체의 모음 필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기준 연결점 위치에 상기 모음 필적의 대응 연결점을 각각 지정한 후 상기 모음 필적과 상기 대응 연결점을 함께 입력 모음으로 저장한다.
즉, 상기 자음 입력 샘플은 1군 내지 5군 자음 중 각 군 당 하나씩으로 구성되어 각 군 자음 입력 샘플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1군 내지 5군 모음 전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6. 변형 모음 생성 단계
변형 모듈(140)이 상기 입력 모음 및 모음 입력 샘플(3b)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그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변형 모음을 생성하고 분류 및 저장한다.
이 때 생성되는 변형 모음은 폐음절의 종성 모음이다.
7. 필적 조합 단계
필적 조합 모듈(150)이 상기 모음 입력 샘플(3b)과 상기 입력 모음, 상기 변형 모음 및 상기 입력 자음과 상기 변형 자음 각각의 연결점을 상기 구획 면(2) 내 특정 지점에 겹치도록 배치하는 방법으로 복수 개의 음절을 조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한다.
이러한 필적 조합 단계는 다시 연결점 위치 지정 단계와 음소 배치 단계로 나뉜다.
7-1. 포인트 지정 단계
상기 포인트 지정부가 상기 연결점이 구획면 상에 위치될 포인트를 지정하는 단계로서, 조합하고자 하는 음절이 개음절인 경우(즉, 1군 내지 5군 모음 및 자음으로 음절을 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결점 좌표값을 상기 연결점이 배치될 연결점 포인트로 지정한다.
반면, 조합하고자 하는 음절이 폐음절인 경우(즉,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 및 받침 자음으로 음절을 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의 연결점은 상기 연결점 좌표값에서 일정 간격 상측으로 이격된 부위에 연결점을 배치한다.
이는 폐음절의 초성 자음 및 중성 모음의 경우 받침 자음이 배치될 공간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제한된 구획 면(2) 내에서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7-2. 음소 배치 단계
제 7-1 단계에서 지정된 연결점 포인트에 조합할 각 음소의 연결점을 겹치도록 배치함으로써 음절을 조합한다.
상기 받침 자음은, 상술한 받침 음절 생성부(152)가 상기 중성 자음 필적의 하단 부위와 일정 간격 이격된 부위에 배치토록 한다.
상기 필적 생성 방법의 각 단계에 따라 생성되는 음소를 설명하면, 제 2 단계에서 입력 샘플(3b) 'ㅓ'와 'ㅗ'가 생성되고, 제 3 단계에서는 입력 모음 'ㅓ'와 'ㅗ' 각각과 함께 음절을 이루는 1군 자음 및 2군 자음이 입력 생성된다.
제 4 단계에서는 2군 자음을 바탕으로 3군 내지 5군 자음, 폐음절의 초성 자음, 받침 자음이 변형 생성된다.
제 5 단계에서는 5개의 자음 입력 샘플 각각에 의해 1군 내지 5군 모음 전체가 입력 생성된다. (이 때 상기 입력 샘플(3b) 'ㅓ'와 'ㅗ'는 생략될 수 있다.)
제 6 단계에서는 1군 내지 5군 모음을 바탕으로 폐음절의 중성 모음 전체가 변형 생성된다.
제 1 내지 6 단계를 거치면서 한글 음절의 조합에 필요한 모든 음소가 입력 생성 혹은 변형 생성되고, 상기 제 7 단계에서는 개음절 및 폐음절 여부에 따라 연결점이 배치될 연결점 포인트를 설정하고 각 음소에마다 부여된 각각의 연결점을 점 대 점 방식으로 겹치게 배치함에 따라 음절을 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패널(터치 스크린)과 연동된 장치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화면 내의 구획 면에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영역과, 사용자로부터 필적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이 적층 구현되도록 설정하는 영역 지정 모듈;
    상기 가이드 영역에 사용자의 필적 입력을 안내하는 음소 샘플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음소 샘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받아 상기 필적을 입력 음소로 저장하는 입력 음소 생성부로 이루어진 입력 모듈;
    상기 입력 음소 각각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그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여러 종류의 변형 음소를 생성하고 이를 분류 및 저장하는 변형 모듈;
    상기 입력 음소 및 상기 변형 음소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구현하는 필적 조합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기 저장된 폰트 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음절을 추출하여 기본 샘플을 생성하는 기본 샘플 생성부와,
    상기 입력 음소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입력 샘플을 생성하는 입력 샘플 생성부로 이루어진 음소 샘플 관리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음소 샘플은,
    상기 기본 샘플과 상기 입력 샘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면은 좌표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 음소 생성부는,
    상기 입력 샘플의 상기 필적의 일 측 단 부위에 기준 연결점을 지정하는 기준 연결점 지정부와,
    상기 구획 면상에서 상기 기준 연결점이 위치한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기준 연결점 좌표 값을 생성하는 연결점 좌표값 추출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기준 연결점이 지정된 상기 입력 샘플을 디스플레이한 경우 상기 기준 연결점 좌표 값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필적의 대응 연결점으로 지정하는 대응 연결점 지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적 조합 모듈은,
    상기 각각의 연결점이 겹치도록 적층 배치시켜 상기 입력 음소 및 상기 변형 음소들을 조합하는 연결점 배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모듈은,
    상기 입력 음소의 최상측 지점과 최하측 지점에서 각각 연장된 수평선과 최좌측 지점과 최우측 지점에서 각각 연장된 수직선의 교차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인 필적 영역의 가로 수치 및 세로 수치를 산출하는 입력 음소 분석부와,
    상기 가로 수치 및 상기 세로 수치에 각각 서로 다른 변형 음소 보정치를 곱하여 상기 필적 영역을 복수 개의 사이즈로 차등 변형시키고 이를 변형 음소로 분류 및 저장하는 리사이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적 조합 모듈은,
    상기 변형 음소의 자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받침 자음으로 분류하는 받침 자음 분류부와,
    상기 받침 자음의 상단 지점과 상기 받침 자음과 음절을 이룰 변형 음소의 하단 지점의 거리를 설정하여 받침 위치값을 생성하는 받침 위치 설정부 및,
    상기 받침 위치값을 이용해 받침 음절에서의 받침 자음을 조합하는 받침 음절 조합부로 이루어진 받침 음절 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입력 음소가 둘 이상 생성되면 이를 조합하여 예시 필적을 구현해 상기 구획 면 중 상기 가이드 영역 및 상기 입력 영역 이외의 부위에 디스플레이하는 예시 필적 제시부와,
    상기 예시 필적이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입력 음소가 추가로 생성되면 추가 생성된 상기 입력 음소를 이용하여 상기 예시 필적을 다른 단어로 갱신하는 예시 필적 갱신부로 이루어진 예시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7. 디스플레이 수단을 매개로 화면상의 구획 면에 기 저장된 필체의 음절 형상인 기본 샘플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본 샘플 제시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샘플이 디스플레이된 부위 상에 사용자 필체의 모음 필적을 입력받아 상기 모음 필적의 일 측 단에 기준 연결점을 지정한 후 상기 구획 면상에서의 해당 지점 좌표 값을 산출하여 기준 연결점 좌표값을 생성하고 상기 모음 필적과 상기 기준 연결점을 함께 모음 샘플로 저장하는 모음 샘플 생성 단계;
    상기 구획 면에 상기 모음 입력 샘플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음 입력 샘플과 함께 음절을 이룰 수 있는 자음의 형상을 사용자 필체의 자음 필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구획 면상의 상기 기준 연결점 좌표 값에 상기 자음 필적의 대응 연결점을 지정한 후 상기 자음 필적과 상기 대응 연결점을 함께 입력 자음으로 저장하는 입력 자음 생성 단계;
    상기 입력 자음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그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변형 자음을 생성하고 분류 및 저장하는 변형 자음 생성 단계;
    상기 입력 자음 및 상기 변형 자음 중 어느 하나인 자음 입력 샘플을 상기 구획 면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음 입력 샘플과 함께 음절을 이루는 모음의 형상을 사용자 필체의 모음 필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기준 연결점 위치에 상기 모음 필적의 대응 연결점을 각각 지정한 후 상기 모음 필적과 상기 대응 연결점을 함께 입력 모음으로 저장하는 모음 필적 입력 단계;
    상기 입력 모음 및 모음 입력 샘플의 크기 및 위치를 달리하여 그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변형 모음을 생성하고 분류 및 저장하는 변형 모음 생성 단계;
    상기 모음 입력 샘플과 상기 입력 모음, 상기 변형 모음 및 상기 입력 자음과 상기 변형 자음 각각의 연결점을 상기 구획 면 내 특정 지점에 겹치도록 배치하는 방법으로 복수 개의 음절을 조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필적을 생성하는 필적 조합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적 조합 단계는,
    조합하고자 하는 음절이 개음절인 경우 상기 기준 연결점 좌표값을 연결점 포인트로 지정하고, 조합하고자 하는 음절이 폐음절인 경우 상기 기준 연결점 좌표값에서 일정 간격 상측으로 이격된 부위에 연결점 포인트를 지정하는 포인트 지정 단계와,
    상기 연결점 포인트에 조합할 각 음소의 연결점을 겹치도록 배치하는 음소 배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방법.
PCT/KR2012/010196 2011-11-28 2012-11-28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8138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61,241 US20140344684A1 (en) 2011-11-28 2012-11-28 System for generating unique handwriting style of user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54 2011-11-28
KR1020110124954A KR101338397B1 (ko) 2011-11-28 2011-11-28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381A1 true WO2013081381A1 (ko) 2013-06-06

Family

ID=4853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196 WO2013081381A1 (ko) 2011-11-28 2012-11-28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44684A1 (ko)
KR (1) KR101338397B1 (ko)
WO (1) WO2013081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5985B2 (en) 2013-06-09 2016-10-11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US9495620B2 (en) 2013-06-09 2016-11-15 Apple Inc. Multi-script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a universal recognizer
US20140361983A1 (en) * 2013-06-09 2014-12-11 Apple Inc. Real-time stroke-order and stroke-direction independent handwriting recognition
US10162809B2 (en) * 2013-10-11 2018-12-25 Conduent Business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ed handwriting entry zones
DK179329B1 (en) 2016-06-12 2018-05-07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monitors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910A (ko) * 1992-12-21 1994-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인식 시스템
KR20040008263A (ko) * 2002-07-17 2004-01-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조입력장치
KR20050012864A (ko) * 2005-01-12 2005-02-02 (주)솔브레인 음소 필체 이미지를 자동 조합하여 자동으로 자필 문장이미지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구현 방법
KR20090124653A (ko) * 2008-05-30 2009-1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필적 조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930A (en) * 1991-06-17 1996-08-2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a handwriting recognizer at the time of misrecognition
US5412771A (en) * 1992-02-07 1995-05-02 Signature Software, Inc. Generation of interdependent font characters based on ligature and glyph categorizations
US6215901B1 (en) * 1997-03-07 2001-04-10 Mark H. Schwartz Pen based computer handwriting instruction
JP2004145072A (ja) * 2002-10-25 2004-05-20 Riso Kagaku Corp 手書き文字フォント作成装置及び手書き文字フォント作成プログラム
US7227993B2 (en) * 2003-01-27 2007-06-05 Microsoft Corporation Learning-based system and process for synthesizing cursive handwriting
US7352899B2 (en) * 2004-10-12 2008-04-01 Loeb Enterprises, Llc Realistic machine-generated handwriting with personalized fonts
US7697001B2 (en) * 2005-01-31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Personalized ink font
TWI282527B (en) * 2005-11-03 2007-06-11 Univ Tamkang A calligraphy practicing system
US7657094B2 (en) * 2005-12-29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Handwriting recognition training and synthesis
KR100801224B1 (ko) * 2006-08-16 2008-02-05 장경호 사용자 필적 구현 시스템 및 방법
JP4582810B2 (ja) * 2006-12-25 2010-1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辞書装置
KR20090046142A (ko) * 2007-11-05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필체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457456B1 (ko) * 2008-01-28 2014-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인 폰트 생성 장치 및 방법
US8373703B2 (en) * 2008-09-24 2013-02-12 Penny Beckwith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a personalized writing style into a word program
WO2010084206A1 (en) * 2009-01-26 2010-07-29 Fontself Sa 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anaging, sharing and displaying personalized fonts on a client-server architecture
US8351700B2 (en) * 2009-04-08 2013-01-08 Gracious Eloise, Inc. Variable glyph system and method
US8749800B2 (en) * 2009-12-30 2014-06-10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zed documents
TW201142624A (en) * 2010-05-21 2011-12-01 Darfon Electronics Corp System for building a personalized-character database and method thereof
WO2012037721A1 (en) * 2010-09-21 2012-03-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L.P. Handwritten character font library
US20140113258A1 (en) * 2012-10-20 2014-04-24 Elizabethtown College Electronic Hand Assessment Too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910A (ko) * 1992-12-21 1994-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인식 시스템
KR20040008263A (ko) * 2002-07-17 2004-01-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조입력장치
KR20050012864A (ko) * 2005-01-12 2005-02-02 (주)솔브레인 음소 필체 이미지를 자동 조합하여 자동으로 자필 문장이미지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구현 방법
KR20090124653A (ko) * 2008-05-30 2009-1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필적 조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97B1 (ko) 2013-12-10
US20140344684A1 (en) 2014-11-20
KR20130058943A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1381A1 (ko) 사용자 고유의 필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51347A1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WO2018056752A1 (ko) 다개국어 문자 입력장치
WO2011102689A2 (en) Multilingua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1096702A2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6043482A1 (en) Method of styling content and touch screen device for styling content
WO2010087566A1 (en) Document analysis system
WO2014185624A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WO2011025200A9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WO2014157872A2 (en) Portable device using touch pen and applic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O2014027818A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touch region to be shown and method thereof
WO2020180034A1 (ko) 사용자 선택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22567A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UTOMATIC COMPLETION SUGGESTIONS BASED ON GESTURES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WO20190501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PUT CHARACTERS BASED ON SCAN INPUT
WO2020141787A1 (ko) 언어 교정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시스템에서의 언어 교정 모델 학습 방법
WO2012173378A2 (ko)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370136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touch interface
WO2013119007A1 (ko) 아이디어 휠 기반의 데이터 생성 장치
WO2022255632A1 (ko) Ux-bit를 이용한 자동 디자인 생성 인공신경망 장치 및 방법
WO2012063981A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빠른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WO2022030776A1 (ko) 전자 장치에서 손 글씨 입력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160436A (zh) 汉字信息记录方法
WO2017116203A1 (ko) 외국어 독해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6200194A1 (ko)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5122597A1 (ko)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28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61241

Country of ref document: US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0508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28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