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32250A1 -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32250A1
WO2013032250A1 PCT/KR2012/006952 KR2012006952W WO2013032250A1 WO 2013032250 A1 WO2013032250 A1 WO 2013032250A1 KR 2012006952 W KR2012006952 W KR 2012006952W WO 2013032250 A1 WO2013032250 A1 WO 20130322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undry
pair
pedestal
fastening hol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9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빈홈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867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2377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9432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28328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빈홈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빈홈아트
Publication of WO20130322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322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수단의 회동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는 각도조절수단과, 지지수단과, 건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각도조절부 한 쌍을 일정한 간격 이격하여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대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수단의 회동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에 대한 것이다.
도 20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의 개념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는 한 쌍의 다리(11)와, 상기 다리(11)에 회동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건조수단(12)으로 크게 구성되는데, 다리(11)들은 저면부가 각각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건조수단(12)에 힌지로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다리(11)가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최대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연결부재(13)로 연결된다. 이 연결부재(13) 또한 절반의 영역이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건조수단(12)들은 일정한 간격마다 걸이부재(14)가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걸이부재(14)에 세탁물을 널어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건조수단(12)은 다리(11)들에 대하여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건조수단(12)들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리(11)에 힌지로 연결되는 간격조절부재(15)의 상단이 걸이부재(14)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0)의 경우 건조수단(12)은 간격조절부재(15)의 상단이 걸이부재(14)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그 회동각도가 몇 개로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건조수단(12)을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0)는 건조수단(12)의 크기 및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고, 걸이부재(14)의 간격이나 길이도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세탁물의 종류나 크기 ,수량 등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으며, 제품의 외형 크기에 비하여 수용할 수 있는 세탁물의 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세탁물 건조대(10)와 세탁기(또는 세탁하는 장소)는 별도의 공간에 마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은 세탁물 바구니에 담겨져 세탁물 건조대(10)가 배치된 장소로 이동된 후 세탁물 건조대(10)에 걸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닥에 놓인 세탁물 바구니의 세탁물을 세탁물 건조대(10)에 걸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혔다가 펴는 동작이 반복되어 허리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아울러, 세탁물이 걸리게 되면 하중이 상부측으로 편중되어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0)는 한 쌍의 건조수단(12)이 한 쌍의 다리(11)에 의해 지지되며, 좌우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세탁물을 거치하는 구조로서 제품의 외형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별도의 넓은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며, 협소한 공간이나 장애물이 있는 공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수단을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받침대를 슬라이딩시켜 더 많은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바구니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이나 장애물이 있는 공간 등에서도 설치 가능한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종류나 크기, 수량 등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건조수단을 변형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수단을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는 각도조절수단과, 지지수단과, 건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각도조절부 한 쌍을 일정한 간격 이격하여 구비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각각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하여 접철 가능하다. 상기 건조수단은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양편에 위치하여 상기 각도조절수단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각각이 각각의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의 축방향을 따라 돌기된 제1돌기가 상기 제1체결공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재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돌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결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재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한다. 그래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버튼이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제3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에만 삽입될 경우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제어부재를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구비된 각각의 버튼을 연결시키는 연결봉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프레임과, 지지봉과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양단이 상기 각각의 회동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봉은 내부에 연결봉을 감싸도록 양단이 상기 각각의 베이스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걸이부재는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상기 지지봉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각각의 지지봉에 설치되며, 상부에 복수의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보조걸이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양단이 상기 각각의 회동부재에 연결된 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지지봉과,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상기 지지봉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는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한 쌍의 다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수단을 접으면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서 포개질 수 있는 받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받침대와, 가이드부와, 받침다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받침대가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에 결합된다. 상기 받침다리는 상기 받침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에 결합된 받침다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어느 한 다리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받침대가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어느 한 다리쪽의 받침대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다른 한 다리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받침대가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수단을 접을 때 접힐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3브라켓과, 제4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브라켓은 상기 어느 한 다리의 타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어느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4브라켓은 상기 다른 한 다리의 타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다른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고정결합된다.
한편,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받침대가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가 이탈할 수 있게 상기 받침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어느 한 다리의 타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어느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된 제3브라켓과, 상기 다른 한 다리의 타측을 지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다른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고정결합된 제4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세탁물 건조대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베이스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각도조절부 한 쌍을 일정한 간격 이격하여 구비하는 각도조절수단; 한 쌍의 베이스부재 각각에 결합된 한 쌍의 흡착판을 구비하는 벽면부착수단; 및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각도조절수단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동부재 각각에 결합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건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부재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제1체결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제1체결공의 축방향을 향하여 돌기된 제1돌기가 제1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회동부재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제1돌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가 형성되도록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제어부재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버튼과, 버튼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며, 각도조절수단은 버튼이 슬라이딩을 하여 제3돌기가 제1결합홈 또는 제2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만 삽입될 경우 회동부재가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조절부는 베이스부재와 회동부재와 제어부재를 날개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하며, 날개부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버튼을 연결시키는 연결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날개부는 양단이 한 쌍의 회동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연결봉을 내부에 두고 감싸도록 양단이 한 쌍의 베이스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지지봉과,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지지봉과 프레임에 연결되거나, 한 쌍의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날개부는 양단이 한 쌍의 회동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한 쌍의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은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을 접철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접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접철부는, 프레임베이스부재와, 프레임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프레임회동부재와, 프레임베이스부재에 대한 프레임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프레임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재와 회동부재와 제어부재를 구비한 각도조절부 한 쌍을 구비한 건조대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건조수단을 임의의 각도로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의 다리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받침대를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받침대에 세탁물 바구니를 올려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 바구니에서 세탁물을 꺼내어 세탁물 건조대에 세탁물을 걸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받침대의 하부에 받침다리가 구비되므로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점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켜서 세탁물 건조대가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대는 벽면부착수단에 의해, 협소한 공간이나 장애물이 존재하는 등 공간적 제약 없이, 벽면이 있으면 어디라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수단을 벽면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대는 각도조절부 또는 프레임접철부의 회동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건조수단을 원하는 만큼 펼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종류나 크기, 수량 등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동작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받침수단의 제1동작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받침수단의 제2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에 사용되는 받침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받침수단의 제1동작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받침수단의 제2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에 사용되는 각도조절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접철부가 구비된 건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수단 101 : 다리
101a : 제1다리 101b : 제2다리
102, 103 : 연결봉 110 : 건조수단
111 : 날개부 111a : 제1날개부
111b : 제2날개부 113 : 프레임
114 : 지지봉 115 : 걸이부재
120 : 각도조절수단 121 : 각도조절부
121a : 제1각도조절부 121b : 제2각도조절부
123 : 베이스부재 123a : 제1체결공
123b : 제1결합홈 123c : 제1돌기
125 : 회동부재 125a : 제2체결공
125b : 제2결합홈 125c : 제2돌기
126 : 연결봉 127 : 제어부재
128 : 버튼 128a : 제3돌기
129 : 탄성스프링 130 : 받침수단
131, 133 : 받침대 132 : 힌지
135 : 가이드부 136 : 제1브라켓
137, 137a : 제2브라켓 138 : 제3브라켓
139, 139a : 제4브라켓 141, 142 : 받침다리
145 : 바퀴 150 : 보조걸이대
151 : 멈춤돌기 153 : 관통구멍
200 : 벽면부착수단 201, 201a, 201b : 흡착판
210 : 건조수단 211 : 날개부
213, 213a, 213b : 프레임 214 : 지지봉
215 : 걸이부재 216 : 프레임접철부
216a : 프레임베이스부재 216b : 프레임회동부재
216c : 프레임제어부재 220 : 각도조절수단
221, 221a, 221b : 각도조절부 223 : 베이스부재
223a : 제1체결공 223b : 제1결합홈
223c : 제1돌기 225 : 회동부재
225a : 제2체결공 225b : 제2결합홈
225c : 제2돌기 226 : 연결봉
227 : 제어부재 228 : 버튼
228a : 제3돌기 229 : 탄성스프링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는 지지수단(100)과, 건조수단(110)과, 각도조절수단(120)과, 받침수단(130)과, 보조걸이대(150)를 포함한다.
지지수단(100)은 한 쌍의 다리(101), 즉 제1다리(101a) 및 제2다리(101b)를 구비하며, 접철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다리(101)는 각도조절수단(120)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즉 지지수단(100)은 한 쌍의 다리(101)가 각도조절수단(12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히거나 펼쳐진다.
건조수단(110)은 세탁물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한 쌍의 날개부(111), 즉 제1날개부(111a) 및 제2날개부(111b)를 구비한다. 제1날개부(111a)는 제1다리(101a)의 좌측에 위치하며, 제2날개부(111b)는 제2다리(101b)의 우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날개부(111)는 프레임(113)과, 지지봉(114)과, 걸이부재(115)를 구비한다. 프레임(113)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봉(114)은 프레임(113)의 양단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걸이부재(115)는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봉(114)과 프레임(113)에 연결된다. 건조수단(110)은 날개부(111)를 한 쌍, 즉 제1날개부(111a) 및 제2날개부(111b)를 구비하므로 지지봉(114)이 한 쌍 구비되고, 서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걸이부재(115)는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었으나, 걸이부재(115)는 도 20에 도시된 종래의 실시예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각도조절수단(120)은 건조수단(110)을 접철시킬 수 있도록 날개부(111)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각도조절수단(120)은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각도조절부(121), 즉 제1각도조절부(121a) 및 제2각도조절부(121b)를 구비한다.
각각의 각도조절부(121)는 베이스부재(123)와, 회동부재(125)와, 제어부재(127)를 구비한다.
베이스부재(123)에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1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체결공(123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123b)이 형성되도록 제1체결공(123a)의 축방향을 따라 돌기된 제1돌기(123c)가 제1체결공(123a)의 원주면을 따라 양각되어 돌기된다.
회동부재(125)는 날개부(111)의 프레임(1113)의 단부에 형성되고, 회동부재(125)에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12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체결공(125a)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123c)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125c)가 형성되도록 제2체결공(125a)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제2결합홈(125b)이 제2체결공(125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음각된다. 그래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동부재(125)의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의 크기는 베이스부재(123)의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의 크기와 같다. 그리고 여기서 제2결합홈(125b)은 회동부재(125)의 제2체결공(125a)의 축방향을 따라 일부의 일정한 길이 만큼만 형성된다. 그래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공(125a)의 하부에만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재(127)는 베이스부재(123)에 대하여 회동부재(125)를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재(127)는 원통형의 버튼(128)과, 탄성스프링(129)을 구비한다. 버튼(128)은 제1체결공(123a)과 제2체결공(125a)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된다. 이때 버튼(128)의 외주면에는 제1체결공(123a)의 제1결합홈(123b) 및 제2체결공(125a)의 제2결합홈(125b)에 삽입되는 제3돌기(128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스프링(129)는 베이스부재(123)의 제1체결공(123a)에 삽입되어 버튼(128)을 지지한다.
따라서 도 3의 (a)를 참조하면 버튼(128)이 제1체결공(123a) 및 제2체결공(125a)에 삽입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는 버튼(128)의 제3돌기(128a)가 베이스부재(123)의 제1결합홈(123b) 및 회동부재(125)의 제2결합홈(125b)에 모두 삽입된다.
이 경우 회동부재(125)는 베이스부재(123)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즉 버튼(128)의 제3돌기(128a)가 제1결합홈(123b) 및 제2결합홈(125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스토퍼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 3의 (b)와 같이 버튼(128)을 상부에서 화살표 1과 같이 누르면 버튼(128)은 제1체결공(123a)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그러면 버튼(128)의 제3돌기(128a)는 베이스부재9123)의 제1결합홈(123b)에만 삽입된다. 이 경우 회동부재(125)를 구속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3돌기(128a)가 제2결합홈(125b)에서 이탈하므로 회동부재(125)는 베이스부재(12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회동부재(125)를 회동시킨 후 버튼(128)을 누르지 않으면 탄성스프링(129)에 의하여 버튼(128)은 상승하여 도 3의 (a)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제3돌기(128a)가 다시 제1결합홈(123b) 및 제2결합홈(125b)에 삽입되므로 회동부재(125)는 구속된다. 그래서 버튼(128)을 누르면 회동부재(125)는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고 버튼(128)을 누르지 않으면 회동부재(125)는 고정된다.
회동부재(125)는 날개부(111)의 프레임(113)의 단부에 고정된다. 그래서 각도조절부(121)의 버튼(128)을 누르면 날개부(111)를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128)을 누르지 않으면 날개부(1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각도조절부(121)를 구비하므로, 제1각도조절부(121a)에는 제1날개부(111a)가 연결되고, 제2각도조절부(121b)에는 제2날개부(111b)가 연결된다. 그래서 제1각도조절부(121a)의 버튼(128)을 눌러서 제1날개부(111a)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2각도조절부(121b)의 버튼(128)을 눌러서 제2날개부(111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각도조절부(121a)의 베이스부재(123)과 제2각도조절부(121b)의 베이스부재(123)는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몸체로 붙어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베이스부재(123)와 회동부재(125)는 회동은 가능하지만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받침수단(130)은 받침대(131)와, 가이드부(135)와, 받침다리(141)를 구비한다.
받침대(131)는 한 쌍의 다리(101a, 101b) 사이에 위치하며, 세탁물 바구니 등을 받치거나, 세탁물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131)에도 동일하게 걸이부재(115)가 형성된다. 또한 건조수단(110)을 접을 때 받침대(131)도 함께 접힐 수 있도록 받침대(131)는 중앙부가 힌지(132)로 결합된다.
가이드부(135)는 받침대(131)가 두 다리(101a, 101b) 사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135)는 제1브라켓(136), 제2브라켓(137), 제3브라켓(138), 제4브라켓(139)을 구비한다.
제1브라켓(136)은 제1다리(101a)에는 고정결합되고, 받침대(131)에는 받침대(131)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1다리(101a)의 연결봉(102)의 일측이 제1브라켓(136)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제1다리(101a) 쪽의 받침대(131)의 일측이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제2브라켓(137)은 제2다리(101b)에는 고정결합되고, 받침대(131)에는 받침대(131)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2다리(101b)의 연결봉(103)이 제2브라켓(137)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받침대(131)의 타측이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제3브라켓(138)은 제1다리(101a)에는 제1다리(101a)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받침대(131)에는 고정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1다리(101a)의 연결봉(102)의 타측이 제3브라켓(138)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삽입되고, 제1다리(101a) 쪽의 받침대(131)의 타측이 제3브라켓(138)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된다.
제4브라켓(139)은 제2다리(101b)에는 제2다리(101b)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받침대(131)에는 고정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2다리(101b)의 연결봉(103)의 타측이 제4브라켓(139)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삽입되고, 제2다리(101b) 쪽의 받침대(131)의 타측이 제4브라켓(139)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받침대(131)가 제1브라켓(136) 및 제2브라켓(137)을 따라 슬라이딩을 하고, 받침대(131)에 고정결합된 제3브라켓(138) 및 제4브라켓(139)이 제1다리(101a) 및 제2다리(101b)를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으므로 받침대(131)는 다리(101)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받침다리(141)는 받침대(1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131)에 결합된다.
이때 받침다리(141)는 받침대(131)를 지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받침대(131)를 슬라이딩시켜 다리(101)로부터 돌출시키면 세탁물 건조대가 전도되지 않도록 세탁물 건조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받침다리(141)는 받침대(131)의 전단에 설치되어 받침대(131)가 다리(101)에서 돌출되면 받침다리(141)도 함께 다리(101)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즉 도 3과 같이 받침대(131)를 슬라이딩시켜서 받침대(131)를 다리(101)로부터 돌출시키면 받침다리(141)도 함께 다리(101)로부터 돌출되므로 건조대의 지지점이 넓어진다. 그래서 건조대가 옆으로 넘어지려는 힘에 대하여 반 모멘트를 발생시켜서 건조대의 전도를 예방한다. 그리고 받침다리(141)는 받침대(131)가 접힐 때 받침다리(141)와 함께 같이 접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다리(141)는 'X'자 형태의 교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교차점에서 핀결합된다. 그래서 받침대(131)가 접히면 받침다리(141)도 함께 접힌다. 한편 받침다리(141)에는 받침대(131)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145)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퀴(145)에는 필요에 따라 굴러가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보조걸이대(150)는 한 쌍의 날개부(111)의 각각의 지지봉(114) 사이에 설치된다. 보조걸이대(150)의 상부에는 복수의 멈춤돌기(151), 내부에는 관통구멍(153)이 형성된다. 보조걸이대(150)에는 옷걸이 등을 걸 수 있으며, 멈춤돌기(151)는 보조걸이대(150)에 옷걸이를 걸어 놓은 경우 옷걸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관통구멍(153)으로는 양말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각도조절부(121a)의 버튼(128)을 눌러서 제1날개부(111a)를 펼칠 수 있고, 제2각도조절부(121b)의 버튼(128)을 눌러서 제2날개부(111b)를 펼칠 수 있다. 이때 제1날개부(111a) 및 제2날개부(111b)는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와는 달리 임의의 각도로 펼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수단(100)의 다리(101)를 펼친 후 도 4와 같이 받침대(131)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가이드부(135)의 안내를 받아서 받침대(131)가 다리(101)에서 돌출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세탁물이 담긴 바구니를 받침대(131)에 올려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세탁물 바구니는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바구니에서 세탁물을 꺼내어 제1날개부(111a) 및 제2날개부(111b)에 거치시킨다. 종래에는 바구니를 바닥에 두어야 하므로 세탁물을 날개부(111)에 널기 위해서 여러 번 허리를 굽혀야 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대(131)에 바구니를 올려놓을 수 있어서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을 날개부(111)에 널 수 있다. 한편 날개부(111)가 세탁물로 다 찬 경우 받침대(131)에서 바구니를 치운 후 받침대(131)에 나머지 세탁물을 걸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받침대(131)는 세탁물 바구니를 거치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을 날개부(111)에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개부(111)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세탁물을 걸 수 있도록 한다.
건조대를 사용한 후 보관하고자 할 경우 받침대(131)를 슬라이딩시켜 다리(101) 사이로 밀어 넣은 후 지지수단(100)을 접는다. 이 경우 받침대(131)가 힌지(132) 결합되어 있어서 받침대(131)가 접힐 뿐만 아니라 받침다리(141)도 함께 접히므로 건조대 전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다른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의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받침대(131)가 힌지(132)로 결합되어 접혀지지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받침대(133)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받침대(133) 자체는 접히지 않는다. 이때 지지수단(100)을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133)는 제1브라켓(136), 제2브라켓(137a), 제3브라켓(138) 및 제4브라켓(139a)과 결합한다.
제1브라켓(136) 및 제3브라켓(138)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다리(101a) 및 받침대(133)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에서는 설명되지 아니하였으나 받침대(133)는 제1브라켓(136) 및 제3브라켓(138)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즉 받침대(133)는 제1브라켓(136) 및 제3브라켓(138)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브라켓(137a)은 제2다리(101b)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받침대(133)가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받침대(133)에 연결된다. 이때 제2브라켓(137a)은 받침대(133)를 지지하며, 받침대(133)가 제1브라켓(136) 및 제3브라켓(138)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받침대(133)가 이탈될 수 있게 받침대(133)에 연결된다. 즉 제2브라켓(137a)은 일측이 제2다리(101b)의 연결봉(103)의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받침대(133)의 하부를 지지한다.
한편 제4브라켓(139a)은 제2다리(101b) 쪽의 받침대(133)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제2다리(101b)의 타측을 지지하여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제2다리(101b)에 연결된다. 즉 제4브라켓(139a)은 일측이 제2다리(101b) 쪽의 받침대(133)의 타측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제2다리(101b)의 연결봉(103)의 상부에서 얹혀서 연결봉(103)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면 받침대(133)는 가이드부(135)에 의해 안내되어 두 개의 다리(101) 사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133)를 제1브라켓(136) 및 제3브라켓(138)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지지수단(100)을 접을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받침다리(142)는 'X'자 형태의 교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교차점에서 핀결합될 뿐만 아니라, 'X'자 형태로 교차된 일측(142a)이 받침대(133)를 따라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받침대(133)에 결합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33)가 화살표 150의 방향으로 회동하면 받침다리(142)는 화살표 151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함께 접혀진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각도조절수단(120)의 다른 예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도조절수단(120)은 날개부(111)의 일단에 설치된다. 이 경우 각도조절수단(120)은 날개부(111)의 일단만 지지한다.
도 9는 날개부(111)의 양단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120)의 실시예이고, 도 10은 도 9의 동작예이다.
도 9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120)의 각도조절부(121)는 한 쌍의 회동부재(125)와, 한 쌍의 베이스부재(123)와, 한 쌍의 제어부재(127)와, 연결봉(126)을 구비한다.
회동부재(125)는 제2체결공(125a)과,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가 제2체결공(125a)의 축방향을 따라 일부의 일정한 길이 만큼만 형성되었으나 도 9의 경우 제2결합홈(125b) 및 제2돌기(125c)는 제2체결공(125a)의 축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회동부재(125)의 제1회동부재(125_1)는 프레임(113)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회동부재(125_2)는 프레임(113)의 타단에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23)는 제1체결공(123a)과,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체결공(123a)은 베이스부재(123)에 일정한 깊이 만큼 형성되었으나 도 9의 경우 제1체결공(123a)는 베이스부재(12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홈(123b) 및 제1돌기(123c)는 제1체결공(123a)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제1체결공(123a)의 축방향으로 일부의 일정한 길이 만큼만 형성된다. 한 쌍의 베이스부재(123)의 제1베이스부재(123_1)는 제1회동부재(125_1)에 결합되며, 제2베이스부재(123_2)는 제2회동부재(125_2)에 결합된다.
제어부재(127)는 한 쌍의 버튼(128)과, 한 쌍의 탄성스프링(129)을 구비한다. 한 쌍의 버튼(128)의 제1버튼(128_1)은 제1베이스부재(123_1) 및 제1회동부재(125_1)에 삽입되고, 제2버튼(128_2)은 제2베이스부재(123_2) 및 제2회동부재(125_2)에 삽입된다. 한 쌍의 탄성스프링(129)의 제1탄성스프링(129_1)은 제1베이스부재(123_1)에 삽입되어 제1버튼(128_1)을 지지하고, 제2탄성스프링(129_2)은 제2베이스부재(123_2)에 삽입되어 제2버튼(128_2)을 지지한다.
연결봉(126)은 제1버튼(128_1)과 제2버튼(128_2)을 연결한다. 즉 일단에 제1버튼(128_1)에 연결되고, 제2버튼(128_2)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봉(126)은 지지봉(114) 내부에 삽입된다. 그래서 외부에서는 연결봉(126)이 보이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회동부재(125_1)가 날개부(111)의 프레임(113)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회동부재(125_2)가 프레임(113)의 타단에 형성되므로, 날개부(111)의 양단의 각도조절부(121)에 의하여 모두 지지된다.
도 10의 (a)의 경우 버튼(128)에 하중에 작동하지 않는 경우 버튼(128)의 제3돌기(128a)는 회동부재(125)의 제2결합홈(125b) 및 베이스부재(123)의 제1결합홈(123b)에 삽입되므로 회동부재(125)는 고정된다. 그러나 버튼(128)을 누르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버튼(128_1)을 누르면, 제1버튼(128_1)은 제1베이스부재(123_1)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그러면 제1버튼(128_1)의 제3돌기(128a)는 제1회동부재(125_1)의 제2결합홈(125b)에서 벗어나서 제1베이스부재(123_1)의 제2결합홈(123b)에만 삽입된다. 그래서 제1회동부재(125_1)는 제1베이스부재(123_1)에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제1버튼(128_1)이 이동하면 제1버튼(128_1)의 방향으로 연결봉(126)이 이동하고, 이로인하여 제2버튼(128_2)도 제1버튼(128_1)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제2버튼(128_2)은 제2회동부재(125_2)에서 돌출된다. 그러면 제2버튼(128_2)의 제3돌기(138)은 제2베이스부재(123_2)의 제1결합홈(123b)에서 벗어나서 제2회동부재(125_2)의 제2결합홈(125b)에만 삽입된다. 그래서 제2회동부재(125_2)도 제2베이스부재(123_2)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111)를 회동시킬 수 있다.
만약 제1버튼(128_1)을 누르는 하중을 제거하면 버튼(128)은 탄성스프링(129)의 복원력에 의하여 도 10의 (a)와 같이 돌아온다. 그러면 회동부재(125)는 고정된다.
도 9 및 도 10은 지지봉(114)이 날개부(111)의 프레임(113)의 양단에 위치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연결봉(126)이 지지붕(114)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는 연결봉(126)이 관찰되지 않는다.
도 11의 경우 지지봉(114)이 프레임(113)의 양단에서 벗어난 부위에 설치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연결봉(126)은 프레임(113)의 양단에 위치하므로 지지봉(114)의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관찰된다.
<제2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는, 벽면부착수단(200), 건조수단(210) 및 각도조절수단(220)을 포함한다.
벽면부착수단(200)은 한 쌍의 흡착판(201), 즉 제1흡착판(201a) 및 제2흡착판(201b)을 구비하여 벽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흡착판(201)은 각도조절수단(220)에 결합되어, 건조수단(210)에 대해 회동된다.
건조수단(210)은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각도조절수단(220)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동부재(225) 각각에 결합된 날개부(21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날개부(211)는 프레임(213)과, 걸이부재(215)를 구비한다. 프레임(213)은 바 형상의 좌측 프레임(213a) 및 우측 프레임(213b)이 한 쌍을 이루어‘11’자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213)은 좌측 프레임(213a) 및 우측 프레임(213b)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ㄷ'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걸이부재(215)는 한 쌍의 프레임(213a, 113b) 사이에 연결되며, 한 쌍의 프레임(213a, 113b)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마련되어, 빨래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각도조절수단(220)은 건조수단(210)을 접철시킬 수 있도록 날개부(211)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각도조절수단(220)은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각도조절부(221), 즉 제1각도조절부(221a) 및 제2각도조절부(221b)를 구비한다.
각각의 각도조절부(221)는 베이스부재(223)와, 회동부재(225)와, 제어부재(227)를 구비한다.
베이스부재(223)에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2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체결공(223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223b)이 형성되도록 제1체결공(223a)의 축방향을 따라 돌기된 제1돌기(223c)가 제1체결공(223a)의 원주면을 따라 양각되어 돌기된다.
회동부재(225)는 날개부(211)의 프레임(2113)의 단부에 형성되고, 회동부재(225)에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22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체결공(225a)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223c)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225c)가 형성되도록 제2체결공(225a)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제2결합홈(225b)이 제2체결공(225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음각된다. 그래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동부재(225)의 제2결합홈(225b) 및 제2돌기(225c)의 크기는 베이스부재(223)의 제1결합홈(223b) 및 제1돌기(223c)의 크기와 같다. 그리고 여기서 제2결합홈(225b)은 회동부재(225)의 제2체결공(225a)의 축방향을 따라 일부의 일정한 길이만큼만 형성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공(225a)의 하부에만 제2결합홈(225b) 및 제2돌기(225c)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재(227)는 베이스부재(223)에 대하여 회동부재(225)를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재(227)는 원통형의 버튼(228)과, 탄성스프링(229)을 구비한다. 버튼(228)은 제1체결공(223a)과 제2체결공(225a)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된다. 이때 버튼(228)의 외주면에는 제1체결공(223a)의 제1결합홈(223b) 및 제2체결공(225a)의 제2결합홈(225b)에 삽입되는 제3돌기(228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스프링(229)은 베이스부재(223)의 제1체결공(223a)에 삽입되어 버튼(228)을 지지한다.
따라서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버튼(228)이 제1체결공(223a) 및 제2체결공(225a)에 삽입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는 버튼(228)의 제3돌기(228a)가 베이스부재(223)의 제1결합홈(223b) 및 회동부재(225)의 제2결합홈(225b)에 모두 삽입된다.
이 경우 회동부재(225)는 베이스부재(223)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즉 버튼(228)의 제3돌기(228a)가 제1결합홈(223b) 및 제2결합홈(225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스토퍼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 14의 (b)와 같이 버튼(228)을 상부에서 화살표 1과 같이 누르면 버튼(228)은 제1체결공(223a)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그러면 버튼(228)의 제3돌기(228a)는 베이스부재9123)의 제1결합홈(223b)에만 삽입된다. 이 경우 회동부재(225)를 구속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3돌기(228a)가 제2결합홈(225b)에서 이탈하므로 회동부재(225)는 베이스부재(22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회동부재(225)를 회동시킨 후 버튼(228)을 누르지 않으면 탄성스프링(229)에 의하여 버튼(228)은 상승하여 도 14의 (a)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제3돌기(228a)가 다시 제1결합홈(223b) 및 제2결합홈(225b)에 삽입되므로 회동부재(225)는 구속된다. 그래서 버튼(228)을 누르면 회동부재(225)는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고 버튼(228)을 누르지 않으면 회동부재(225)는 고정된다.
회동부재(225)는 날개부(211)의 프레임(213)의 단부에 고정된다. 그래서 각도조절부(221)의 버튼(228)을 누르면 날개부(211)를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228)을 누르지 않으면 날개부(2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각도조절부(221)를 구비하므로, 제1각도조절부(221a)에는 날개부(211)의 좌측 프레임(213a)이 연결되고, 제2각도조절부(221b)에는 날개부(211)의 우측 프레임(213b)이 연결된다. 그래서 제1각도조절부(221a)의 버튼(228)을 눌러서 좌측 프레임(213a)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2각도조절부(221b)의 버튼(228)을 눌러서 우측 프레임(213b)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베이스부재(223)와 회동부재(225)는 회동은 가능하지만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각도조절부(221a)의 버튼(228)을 눌러서 좌측 프레임(213a)을 펼칠 수 있고, 제2각도조절부(221b)의 버튼(228)을 눌러서 우측 프레임(213b)을 펼칠 수 있다. 이때 좌측 프레임(213a) 및 우측 프레임(213b)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와는 달리 임의의 각도로 펼칠 수 있다. 그리고 벽면부착수단(200)의 흡착판(201)을 벽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협소한 공간이나, 바닥면에 장애물이 있는 공간에서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를 사용한 후 보관하고자 할 경우, 각도조설수단(220)을 이용하여 건조수단(210)을 상방으로 접철시킴으로써, 벽면에 대하여 세탁물 건조대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할 계획이 없는 경우는, 벽면부착수단(200)을 흡착판(20)을 벽면에서 이탈시키는 방법으로, 세탁물 건조대를 벽면으로부터 제거한 후 보관함, 창고 등에 보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220)의 각도조절부(221)는 한 쌍의 회동부재(225)와, 한 쌍의 베이스부재(223)와, 한 쌍의 제어부재(227)와, 연결봉(226)을 구비한다.
회동부재(225)는 제2체결공(225a)과, 제2결합홈(225b) 및 제2돌기(225c)가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결합홈(225b) 및 제2돌기(225c)가 제2체결공(225a)의 축방향을 따라 일부의 일정한 길이만큼만 형성되었으나 도 16의 경우 제2결합홈(225b) 및 제2돌기(225c)는 제2체결공(225a)의 축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회동부재(225)의 제1회동부재(225_1)는 좌측 프레임(213a)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회동부재(225_2)는 우측 프레임(213b)의 일단에 형성된다.
베이스부재(223)는 제1체결공(223a)과, 제1결합홈(223b) 및 제1돌기(223c)가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체결공(223a)은 베이스부재(223)에 일정한 깊이만큼 형성되었으나 도 16의 경우 제1체결공(223a)은 베이스부재(22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홈(223b) 및 제1돌기(223c)는 제1체결공(223a)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제1체결공(223a)의 축방향으로 일부의 일정한 길이만큼만 형성된다. 한 쌍의 베이스부재(223)의 제1베이스부재(223_1)는 제1회동부재(225_1)에 결합되며, 제2베이스부재(223_2)는 제2회동부재(225_2)에 결합된다.
제어부재(227)는 한 쌍의 버튼(228)과, 한 쌍의 탄성스프링(229)을 구비한다. 한 쌍의 버튼(228)의 제1버튼(228_1)은 제1베이스부재(223_1) 및 제1회동부재(225_1)에 삽입되고, 제2버튼(228_2)은 제2베이스부재(223_2) 및 제2회동부재(225_2)에 삽입된다. 한 쌍의 탄성스프링(229)의 제1탄성스프링(229_1)은 제1베이스부재(223_1)에 삽입되어 제1버튼(228_1)을 지지하고, 제2탄성스프링(229_2)은 제2베이스부재(223_2)에 삽입되어 제2버튼(228_2)을 지지한다.
연결봉(226)은 제1버튼(228_1)과 제2버튼(228_2)을 연결한다. 즉 일단에 제1버튼(228_1)에 연결되고, 제2버튼(228_2)에 연결된다. 이때, 건조수단(210)의 날개부(211)는 연결봉을 내부에 두고 감싸도록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재(223_1, 123_2) 각각에 연결되는 지지봉(214)을 더 구비하여, 연결봉(226)을 지지봉(214) 내부에 삽입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연결봉(226)을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걸이부재(215)는 지지봉(214)과 프레임(213) 사이에 연결되며, 좌측 프레임(213a)으로부터 우측 프레임(213b)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는 것, 즉 걸이부재의 방향을 도 12에서 상술한 방향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회동부재(225_1)가 날개부(211)의 좌측 프레임(213a)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2회동부재(225_2)가 우측 프레임(213b)의 일단에 형성되므로, 날개부(211)의 양단의 각도조절부(221)에 의하여 모두 지지된다.
도 17의 (a)의 경우 버튼(228)에 하중에 작동하지 않는 경우 버튼(228)의 제3돌기(228a)는 회동부재(225)의 제2결합홈(225b) 및 베이스부재(223)의 제1결합홈(223b)에 삽입되므로 회동부재(225)는 고정된다. 그러나 버튼(228)을 누르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버튼(228_1)을 누르면, 제1버튼(228_1)은 제1베이스부재(223_1)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그러면 제1버튼(228_1)의 제3돌기(228a)는 제1회동부재(225_1)의 제2결합홈(225b)에서 벗어나서 제1베이스부재(223_1)의 제2결합홈(223b)에만 삽입된다. 그래서 제1회동부재(225_1)는 제1베이스부재(223_1)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제1버튼(228_1)이 이동하면 제1버튼(228_1)의 방향으로 연결봉(226)이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제2버튼(228_2)도 제1버튼(228_1)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제2버튼(228_2)은 제2회동부재(225_2)에서 돌출된다. 그러면 제2버튼(228_2)의 제3돌기(238)은 제2베이스부재(223_2)의 제1결합홈(223b)에서 벗어나서 제2회동부재(225_2)의 제2결합홈(225b)에만 삽입된다. 그래서 제2회동부재(225_2)도 제2베이스부재(223_2)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부(211)를 회동시킬 수 있다.
만약 제1버튼(228_1)을 누르는 하중을 제거하면 버튼(228)은 탄성스프링(229)의 복원력에 의하여 도 17의 (a)와 같이 돌아온다. 그러면 회동부재(225)는 고정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13)은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을 접철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접철부(216)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8의 (a)와 같이, 건조수단(210)을 벽면으로부터 90°로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최대한 많은 양의 빨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213)을 일직선형으로 펼 수 있으며, 도 18의 (b)와 같이, 세탁물 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서는 프레임접철부(216)를 이용하여, 프레임(213)을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접철시켜 접음으로써, 세탁물 건조대의 부피를 더욱더 출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접철부가 구비된 건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접철부(216)는, 프레임베이스부재(216a)와, 프레임베이스부재(216a)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프레임회동부재(216b)와, 프레임베이스부재(216a)에 대한 프레임회동부재(216b)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프레임제어부재(116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는, 도 19에 건조수단을 일부만을 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각도조절부 또는 프레임접철부의 회동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건조수단을 원하는 만큼 펼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종류나 크기, 수량 등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각도조절부 한 쌍을 일정한 간격 이격하여 구비한 각도조절수단과,
    각각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하여 접철가능한 지지수단과,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양편에 위치하여 상기 각도조절수단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각각이 각각의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한 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의 축방향을 따라 돌기된 제1돌기가 상기 제1체결공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돌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재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버튼이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제3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에만 삽입될 경우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제어부재를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구비된 각각의 버튼을 연결시키는 연결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양단이 상기 각각의 회동부재에 연결된 프레임과,
    내부에 연결봉을 감싸도록 양단이 상기 각각의 베이스부재에 연결된 지지봉
    과,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상기 지지봉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5. 제4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각각의 지지봉에 설치되며, 상부에 복수의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보조걸이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양단이 상기 각각의 회동부재에 연결된 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지지봉과,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상기 지지봉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한 쌍의 다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수단을 접으면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서 포개질 수 있는 받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가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에 결합된 가이드부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에 결합된 받침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어느 한 다리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받침대가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어느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다른 한 다리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받침대가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수단을 접을 때 접힐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어느 한 다리의 타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어느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고정결합된 제3브라켓과,
    상기 다른 한 다리의 타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다른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고정결합된 제4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받침대가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가 이탈할 수 있게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어느 한 다리의 타측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어느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된 제3브라켓과,
    상기 다른 한 다리의 타측을 지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다른 한 다리 쪽의 받침대의 타측에 고정결합된 제4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5.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각도조절부 한 쌍을 일정한 간격 이격하여 구비하는 각도조절수단;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재 각각에 결합된 한 쌍의 흡착판을 구비하는 벽면부착수단; 및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 각각에 결합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건조수단;
    을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일측면에 원통형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1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의 축방향을 향하여 돌기된 제1돌기가 상기 제1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는 원통형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돌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제2돌기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체결공의 내주면을 따라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버튼과,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버튼이 슬라이딩을 하여 상기 제3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만 삽입될 경우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제어부재를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버튼을 연결시키는 연결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연결봉을 내부에 두고 감싸도록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지지봉과,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상기 지지봉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거나,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빨래를 거치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을 접철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접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접철부는, 프레임베이스부재와, 상기 프레임베이스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프레임회동부재와, 상기 프레임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프레임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프레임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PCT/KR2012/006952 2011-08-30 2012-08-30 세탁물 건조대 WO20130322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786A KR20130023775A (ko) 2011-08-30 2011-08-30 세탁물 건조대
KR10-2011-0086786 2011-08-30
KR1020120094323A KR20140028328A (ko) 2012-08-28 2012-08-28 세탁물 건조대
KR10-2012-0094323 2012-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250A1 true WO2013032250A1 (ko) 2013-03-07

Family

ID=4775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952 WO2013032250A1 (ko) 2011-08-30 2012-08-30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0322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7767A (zh) * 2016-08-04 2016-12-21 余庆县黔龙民族药业有限责任公司 用于吴茱萸的加工设备
US9672976B2 (en) 2013-10-28 2017-06-06 Nokia Corporation Multi-mode wireless charg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90B1 (ko) * 2006-06-13 2007-07-09 주식회사아이에스메이드 옷걸이 걸이대가 구비된 y자형 빨래 건조대
KR20090129011A (ko) * 2008-06-12 2009-12-16 주식회사 데이텀디자인 탈부착 빨래건조대
EP2208820A1 (en) * 2009-01-19 2010-07-21 GIMI S.p.A. Clothes drying rack
KR20100084798A (ko) * 2009-01-19 2010-07-28 이종민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110026892A (ko) * 2009-09-09 2011-03-16 송상미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슬라이드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90B1 (ko) * 2006-06-13 2007-07-09 주식회사아이에스메이드 옷걸이 걸이대가 구비된 y자형 빨래 건조대
KR20090129011A (ko) * 2008-06-12 2009-12-16 주식회사 데이텀디자인 탈부착 빨래건조대
EP2208820A1 (en) * 2009-01-19 2010-07-21 GIMI S.p.A. Clothes drying rack
KR20100084798A (ko) * 2009-01-19 2010-07-28 이종민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110026892A (ko) * 2009-09-09 2011-03-16 송상미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슬라이드 빨래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2976B2 (en) 2013-10-28 2017-06-06 Nokia Corporation Multi-mode wireless charging
CN106247767A (zh) * 2016-08-04 2016-12-21 余庆县黔龙民族药业有限责任公司 用于吴茱萸的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2263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5030345A1 (ko) 돌출 굴절 빨래걸이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빨래 건조대
WO2012115467A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0116869A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WO2012046995A2 (ko) 세탁물 건조대
WO201605290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086600A1 (en) Headrest folding device
WO2011108860A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32250A1 (ko) 세탁물 건조대
WO2020189920A1 (ko) 옷걸이
WO2020189921A1 (ko) 옷걸이
WO2013051887A2 (ko)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6148479A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20106130A1 (ko) 다기능 거치대
ATE67801T1 (de) Zusammenklappbarer waescheschirm.
WO201700317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4181974A1 (ko) 천정 빨래 건조대
WO2023096157A1 (ko) 의류 폴딩 머신 및 그 제어방법
WO2015156559A1 (ko)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WO2018074685A1 (ko) 복합 걸이
WO2021112408A1 (ko)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033449A1 (ko) 식기세척기
WO2018155941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6053006A1 (ko) 스탠드형 세탁물 건조대
KR101391581B1 (ko) 세탁물 널기가 편리한 이동식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7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76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