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53975A2 -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53975A2
WO2012153975A2 PCT/KR2012/003618 KR2012003618W WO2012153975A2 WO 2012153975 A2 WO2012153975 A2 WO 2012153975A2 KR 2012003618 W KR2012003618 W KR 2012003618W WO 2012153975 A2 WO2012153975 A2 WO 201215397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harging
power
contactl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36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53975A3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Kim Chang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Chang Ho filed Critical Kim Chang Ho
Publication of WO201215397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53975A2/ko
Publication of WO201215397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5397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power charging system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power waste in a contactless charger when the contactless charger is completed in an induction or resonance charging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having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charging of mobile phones, PDAs, MP3s, PMPs, notebooks, electric vehicles, etc.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a terminal or charging by a non-contact charging system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primary coil.
  • the secondary coil uses a method of charging electricity induced by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or a resonance-free solid state charging system is used to increase the charging d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one or more contactless chargers (battery, notebook battery, mobile phone, etc.) in an inductiv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or a resonanc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is full.
  • the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saves energy by cutting off the standby power by cutting off the input pow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 charg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 a power supply unit which receives external power and generates charging power for the operation power and the contactless charger of the device;
  • a power supply / blocking unit having a switch structure, the external power being installed in a power supply path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or cut off the external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external control;
  •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providing the charging power for the contactless charger genera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ntactless charger using a contactless charging method of an induction resonance method;
  • a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for performing charging-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actless charger;
  • the power supply / blocker supplies the external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re is a contactless charger, which wakes up from a sleep mo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actless charger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wireless charging operation, and when there is no contactless charger that requires wireless charging, the controller to enter the sleep mode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to cut off the external power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charge pow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 the sleep mode.
  •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implements a switching structure with a latching relay, a relay, or a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using a supercapacitor.
  • control unit is such that the power supply / cut-off unit to the external power is cut off even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tactless charger in the charging is not continuously performed during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ontactless charger Control enters sleep mode.
  • control unit checks the power state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at a predetermined cycle so that power is supplied before all of the charging power of the sleep mode power unit is discharged.
  •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charging power for the operating power supply and the contactless charger of the device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path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 a contactless charging method of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function having a power supply / blocking unit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a confirmation signal for waking up from the sleep mode and confirming the contactless charger at a predetermined cycle; Performing a charging operation by causing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to supply the external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when receiving the charge request signal from the identified contactless charger;
  • the charging operation check that there is no contactless charger to be charged, and if there is no contactless charger to be charged, the external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is cut off so that the power supply / disconnecto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And stopping the process and entering the sleep mode.
  •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llow the external power provided to be cut off.
  • confirming that there is no contactless charger required to be charged is confirmed through reception of a charging completion signal from the contactless charger, and at the same time charging a plurality of contactless charge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or not receiving a charge completion signal from all of the charger or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is no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awback of the conventional contactless charging system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contactless chargers in the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re completely shut off, thereby wasting power even after charging is completed by completely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 Complementary to reduce the waste of power to reduce the waste of energy to prevent waste of energy and reduce the CO2 generated during the power genera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ductiv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esonance typ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of a contactless charging operation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is composed of a contactless charger 1 and a contactless charger 2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less charger 1.
  • a contactless charging method as shown in Figure 1
  • a resonance type contactless charging method the contactless charger (1) is any method.
  • a power supply / blocking unit 15 which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prevent power waste when the contact charger 2 is completely charged, and supplies the power when the contactless charger 2 needs to be charged;
  • the sleep power supply unit 11 supplies power only to the controllers 14 and 140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13 and 150 with the power charged in the sleep mode power supply 11.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mode power supply unit (11, 120).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ductiv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first, an inductive contact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s composed of a contactless charger (1) and a contactless charger (2) spaced apart from it.
  • the control unit 14 which is provided for control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is cut off (sleep mode) and the power is supplied,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every predetermined period T1 to perform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example, AC 220V
  • the power supply unit 10 receives the external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 disconnector 15 to charge the operating power and the contactless charger 2 of the corresponding contactless charger 1. Generate power.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unit 10 supplies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0 provided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by the external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15, and the power supply unit 10 generates the charging power to generate the contactless charging method.
  •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for providing charging power to the contactless charger 2 in the example of Figure 1 provides a high frequency power driver 12 and coil 1. Accordingly, the induction coil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in the contactless charger 2 converts to a high frequency and is applied to the induction coil 1 by converting the power required for charging into a high frequency. The high frequency is induced to the coil 2 provid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1. At this time, the power is charged to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12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14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 in the sleep mode.
  • the contactless charger 1 In the state of being charged, the contactless charger 1 also transmits a signal to check if there is a contactless charger 2 requiring another charging every certain period T1 and charge request signal from the other contactless charger 2. When received, sets the ID numb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 the charging voltage supply unit 17 for supplying a voltage
  • the charging voltage supply unit 17 charges the battery accordingly.
  • the charging voltage detecting unit 18 provided to control and detect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detects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9. do.
  • the control unit 19 transmits or receives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to the contactless charger 1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0 and the antenna 2 provid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to the contactless charger 1.
  • the controller 14 (composed of a microcomputer) periodically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is cut off. And a transmission signal for checking the contactless charger 2, and accordingly a power supply / blocking unit for supplying power when a charg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actless charger 2 to be charged.
  • (15) (comprising a latching relay, a relay, a semiconductor element, or the like) is controlled so that an external power source is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unit 10 supplies power to the high frequency power driver 12 provided to convert power required for charging into high frequency, so that high frequency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 At this time,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12 (which may be configured using a supercapacitor or the like) is also charged.
  •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3 and the antenna 1 is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charging control.
  • th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y may use the 2.4GHz or 5GHz band.
  • the communication protocol may configure the packet in arbitrary bytes. For example, a start indicator 1 byte, a data field size 1 byte, a command 1 byte, a packet type 1 byte, a data buffer variable byte, a packet header, 1 byte, and an end indicator 1 byte may be configured.
  • the control unit 19 (composed of a comput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controls and controls the charging voltage, so tha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 the controller 19 receives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charging is completed to the contactless charger 1,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the contactless charger 1 through the antenna 2.
  • the contactless charger 1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switch 16 for manually operating a wireless charging start operation by a user.
  • a charging switch 16 for manually operating a wireless charging start operation by a user.
  •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power supply blocking unit 15 in the state where the external power is cut off by the current power supply blocking unit 15.
  • the power supply blocking unit 15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10.
  • Such a configuration is more useful when applied to a system in which the contactless charger 1 and the contactless charger 2 are 1: 1 charged, and in this case,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11 is not provided and the charging is performed.
  • the charging start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switch 16.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sonance typ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having a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largely the contactless charger 1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It is composed of a contactless charger (2) spaced apart from this, and also the internal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2 is different in that the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in a resonance method is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may b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 the contactless charger 1 is generated in the induction power transmitter 100 and the induction power transmitter 10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shown in FIG. 1.
  • the received power may be configured as a transmission resonance power conversion unit 200 for converting the power of the resonance method.
  • the contactless battery charger 2 induces the resonance power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resonance power converter 200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and converts the induced power into the received resonance power converter 300 for inducing power. It may be configured as a power receiver 400.
  •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a signal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ontactless charger 2 to be charg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0 and the antenna 3 provided to wake up and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every predetermined period T1.
  • the char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act charger 2
  •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0 provided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15.
  • the high frequency power driver 130 provided to convert the power required for charging to high frequency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coil 111 at high frequency power.
  • the power is charged to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120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50 in the sleep mode.
  • the contactless charger 1 transmits a confirmation signal to check whether there is another contactless charger 2 every certain period T1, an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contactless charger 2, the corresponding ID. Set the number.
  • the transmission resonance power conversion unit 200 provided for the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induction from the receiving coil 2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mission resonance power conversion unit 200 to receive the power induced in the transmission coil 111.
  •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resonance power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reception resonance power conversion unit 300 side, and the power signal generated by the reception coil 211 is transmitted as a resonance signal.
  • the conversion power processor 220, the power signal conversion processor 230, the conversion converter 240, and the conversion controller 210 are provided.
  • the reception resonance power converter 300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has a power receiving core 350 for receiving a power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50 on one side, the induction power receiver An induction transmission coil 36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to induce induced power to the 400, and the power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reception core 350 is induced by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transmitted from the induction transmission coil 360.
  • a resonance reception processor 340, a resonance signal conversion processor 33, a resonance converter 320, and a resonance reception control unit 310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as a signal is provided.
  • the secondary side charging coil 4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duction power receiver 400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transmitted from the induction transmission coil 360 to charge the battery from the secondary side charging coil 460
  • the received power to the battery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unit 440, a charging power supply unit 420, a control unit 410, 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30 and the antenna 4.
  • step 502 the controll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wirelessly transmits a confirmation signal for confirming the contactless charger 2.
  • the controll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receiving the confirmation signal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controls to wirelessly transmit a charge request signal including its own ID in step 504 when charging is required.
  • step 506 the controll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receives the charg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actless charger, thereby confirming the contactless charger required to be charged and performing a charging operation.
  • step 508 the controll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wirelessly transmits a charging completion signal including its own ID to the contactless charger 1 when charging is completed, and in step 510, the contactless charger ( 1) stops the charging operation when there is no contactless charger 2 is required to charge by receiving the charge completion signal, and controls to enter the sleep mode in step 512.
  • the controll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periodically checks at a predetermined period T1 whether there is a contactless charger 2 to be charged in a state of being cut off or in a state of being charged. It wakes up and transmits a confirmat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to see if there is a contactless charger 2 around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 the controll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It generates a unique ID number and sends a signal to charge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antenna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 a unique ID numb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to be charged by the antenna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When a signal having a unique ID numb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to be charged by the antenna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is received, a unique ID number is set and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15 is operated to supply power. Supply it to start charging. At this time, even during charging, the contactless charger 1 periodically transmits a confirmat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to check whether the contactless charger 2 is present, and when a signal to which a unique ID number is assigned is received from the contactless charger 2. Set a unique ID number and charge it.
  • the contactless charger 2 When the contactless charger 2 completes charging, the contactless charger 2 transmits a signal to the antenna via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to complete a charging signal including a unique ID number.
  • the controll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This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of the contactless charger 1 confirms the unique ID number of the contactless charger 2 and judges that the contactless charger 2 of the corresponding ID number has been charged. Clear it.
  • the power supply is periodically checked and a predetermined time period before all the charging power of the sleep mode power supply is discharged.
  • the power supply / blocking unit 15 is controlled to charge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11 so that power is supplied during the T2.
  • the contactless charger ( 1) may wake up from the sleep mode and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on the received contactless charger 2. That is, even in this case, the contactless charger 1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sets a unique ID of the received contactless charger, generates charging power, supplies charging power, and the charging completion signal from the contactless charger 2. And when the unique ID is received, an operation of clearing the set unique ID may be perfor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을 차단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접점무선충전기와 떨어져 있는 무접점피충전기에 무선으로 전력신호가 전송되도록 한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충전이 완료되면 무접점무선충전기에 전원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충전 완료시에도 무접점무선충전기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방지하여 전력생산을 줄여 에너지낭비를 줄이고 전력 생산시 배출되는 CO2의 량을 줄여 환경오염을 늦출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전력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방식 또는 공명방식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무접점피충전기가 충전이 완료되면 무접점충전기에서의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충전기술로는 휴대폰, PDA, MP3, PMP, 노트북, 전기자동차 등의 충전은 일반적으로 단자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거나 또는 무접점 충전시스템으로 유도방식인 경우 1차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2차 코일에 유도기전력으로 유도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이나, 충전거리를 늘리기 위해 공명방식의 무접점 충전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충전시스템은 주변의 피충전기들이 충전이 완료되어도 대기전력이 차단되지 않아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되고, 이는 CO2 배출량이 증가하여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고 있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한 과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도방식 무접점 충전시스템이나 공명방식 무접점 충전시스템에서 한개 또는 다수의 무접점피충전기(배터리. 노트북 배터리, 휴대폰 등)가 만충전되어 충전이 완료되어도 무접점충전기에서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접점충전부의 입력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해당 장치의 동작 전원 및 무접점피충전기를 위한 충전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부와; 스위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 전원이 상기 전원부에 제공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전원부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차단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무접점피충전기를 위한 충전전원을 유도방식 공명방식의 무접점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무접점피충전기로 제공하는 전력 송신 회로부와;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와 충전 관련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가 있을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상기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무선 충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무선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와; 상기 슬립모드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충전하는 슬립모드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차단부는, 래칭릴레이, 릴레이, 또는 반도체소자로 스위칭 구조를 구현하며, 상기 슬립모드전원부는 슈퍼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의 충전 동작 수행 중에서 해당 충전 중인 무접점피충전기와 지속적으로 통신이 안 될 경우에도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원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슬립모드전원부의 충전 전력이 모두 방전이 되기 전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원공급/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부로 상기 외부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장치.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해당 장치의 동작 전원 및 무접점피충전기를 위한 충전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제공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전원부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차단부를 구비하는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장치의 무접점 충전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무접점피충전기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무접점피충전기로부터 충전요구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상기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충전동작 시에,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접피충전기가 없는지 확인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가 없으면,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충전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의 충전 동작 수행 중에서 해당 충전 중인 무접점피충전기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와 지속적인 통신이 안 될 경우에도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접피충전기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무접점피충전기로부터 충전완료 신호의 수신을 통해 확인하며, 다수의 무접점피충전기의 동시 충전시에는 상기 다수의 무접점피충전기 모두로부터 충전완료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지속적인 통신이 안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접점 충전 장치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무접점피충전기가 충전을 완료되면 무접점충전기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충전전이 완료되어도 전력을 낭비되는 종래의 무접점 충전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여 전력의 낭비를 줄여 전력 낭비를 줄여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상기 전력 생산 시 발생되는 CO2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유도방식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공명방식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동작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무접점충전기, 무접접피충전기, 고주파전력구동부, 공명전력변환부, 전원공급/차단부, 슬립모드전원부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다. 이러한 특정 사항들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은, 무접점충전기(1)와 및 이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무접접피충전기(2)로 구성된다. 이때 무접점 충전 방식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방식 무접점 충전 방식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방식 무접점 충전 방식이 있는데, 어느 방식이든 상기 무접점충전기(1)는 무접점피충전기(2)가 충전이 완료되면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고 무접접피충전기(2)가 충전이 필요할 때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한 전원공급/차단부(15)와; 무접점충전기(1)가 전원 차단된 상태, 즉 슬립모드시에는 슬립모드전원부(11)에 충전된 전원으로 제어부(14, 140)와 무선송수신부(13, 15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슬립모드전원부(11, 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유도방식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방식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그 구성은 크게는 무접점충전기(1) 및 이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무접접피충전기(2)로 구성된다.
무접점충전기(1)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슬립모드)및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어를 하기 위해 구비한 제어부(14)는, 미리 설정된 일정주기 T1마다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무선 송수신하기 위해 구비한 무선송수신부(13)와 안테나1을 통해 충전을 하고자하는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지 확인하는 송신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무접점피충전기(2)로부터 충전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전원공급/차단부(15)를 제어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스위치 구조의 전원공급/차단부(15)는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전원(예를 들어AC 220V)을 전원부(10)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0)는 상기 전원공급/차단부(15)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해당 무접점충전기(1)의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 및 무접점피충전기(2)를 위한 충전전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전원공급/차단부(15)의 외부 전원 공급 동작에 의해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전원부(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부(10)는 충전 전원을 발생하여 상기 무접점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무접점피충전기(2)로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송신 회로부, 도 1의 예에서는 고주파전력구동부(12) 및 코일1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고주파로 변환하도록 구비된 고주파전력구동부(12)에서 고주파로 변환하여 유도코일1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무접점피충전기(2)에서 상기 무접점충전기(1)의 유도코일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코일2에 고주파가 유도되어 되도록 한다. 이때, 슬립모드시 제어부(14)와 무선송수신부(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한 슬립모드전원부(12)에 전원이 충전된다.
또한 충전 중인 상태에서도 무접점충전기(1)는 일정 주기T1마다 또 다른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지 체크하기 위해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무접점피충전기(2)로부터 충전요구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무접점피충전기(2)의 ID번호를 세트한다.
무접점피충전기(2)에 구비된 유도 코일2에 유도된 전력은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전압공급부(17)에 공급되며, 충전전압공급부(17)는 이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무접점피충전기(2)의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제어 및 감지하도록 구비된 충전전압감지부(18)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9)로 제공한다. 배터리의 만충전이 되면 제어부(19)는 무접점충전기(1)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구비한 무선송수신부(20)와 안테나2를 통해서 송수신신호를 무접점충전기(1)로 송신하거나 수신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무접점충전기(1)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어부(14)(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가 주기적으로 슬립모드 깨어나 무선송수신부(13)(지그비등으로 구성)에 무접점피충전기(2)의 확인을 위한 송신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충전을 하고자하는 무접점피충전기(2)로부터 충전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차단부(15)(래칭릴레이나, 릴레이, 또는 반도체소자 등으로 구성)를 제어하여 외부 전원이 전원부(10)에 제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원부(10)는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고주파로 변환하도록 구비된 고주파전력구동부(12)로 전원을 공급하여, 고주파 전력이 코일1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도 주기적으로 깨어나 제어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모드전원부(12)(슈퍼캐패시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음)도 충전된다.
한편, 무접점피충전기(2)와 송수신을 하기 위해 무선송수신부(13)와 안테나1을 구비하여 충전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구성한다. 여기서 무선송수신 주파수는 2.4GHz나 5G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프로토콜은 임의의 바이트로(byte)로 패킷을 구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트인디케이터 1byte, 데이터필드사이즈 1byte, Command 1byte, 패킷타입 1byte, 데이터버퍼 가변byte, 패킷첵썸 1byte, End인디케이터 1byte로 구성할 수 있다.
무접점피충전기(2)에 구비된 코일2에 전력이 유도되면 무접점피충전기(2)의 제어부(19)(마이클컴퓨터로 구성)는 충전전압을 제어 감지하여,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만충전이 되면, 제어부(19)는 무접점충전기(1)로 충전완료를 알리는 신호가 무선송수신부(20)에서 안테나2를 통해 무접점충전기(1)로 무선 송수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충전기(1)에서는 무선 충전 개시 조작을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받기 위한 충전용 스위치(16)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충전용 스위치(16)가 사용자에 의해 온 상태로 조작될 경우에 제어부(14)는 현재 전원공급차단부(15)에 의해 외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공급차단부(15)를 제어하여 전원부(10)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결국 무접점피충전기(2)에 대한 충전 동작이 수행되록 하며, 이후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공급차단부(15)를 제어하여 전원부(10)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무접점충전기(1)와 무접점피충전기(2)가 1:1로 충전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에 보다 유용하며, 이 경우에, 슬립모드전원부(11)를 구비하지 않을 수고 상기 충전용 스위치(16)의 조작에 의해서 충전 개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공명방식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그 구성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로 크게는 무접점충전기(1) 및 이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무접접피충전기(2)로 구성되며, 또한 그 내부 구성도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공명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그 외에 구성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공명방식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서는 무접점충전기(1)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유도전력송신부(100)와, 유도전력송신부(100)에서 발생된 전력을 공명방식의 전력을 변환하는 송신공명전력변환부(200)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무접점피충전기(2)에서는 상기 무접점충전기(1)의 송신공명전력변환부(200)에서 발생된 공명방식의 전력을 수신하여 유도전력을 변환하는 수신공명전력변환부(300)와 유도전력수신부(400)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무접점충전기(1)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무접점충전기(1)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슬립모드) 및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어를 하기 위해 구비한 제어부(140)에서, 제어부(140)는 일정 주기 T1마다 깨어나 무선 송,수신하기 위해 구비한 무선송수신부(150) 및 안테나3을 통해 충전을 하고자하는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지 확인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무접점피충전기(2)로부터 충전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전원공급/차단부(15)를 제어하여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전원부(11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고주파로 변환하도록 구비된 고주파전력구동부(130)에서 고주파로 전력으로 전송코일(111)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슬립모드시 제어부(140)와 무선송수신부(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한 슬립모드전원부(120)에 전원이 충전한다. 또한 충전 중인 상태에서도 무접점충전기(1)는 일정주기T1 마다 또 다른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지 체크하기 위해 확인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무접점피충전기(2)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ID번호를 세트한다.
공명전력 전송을 위하여 구비된 송신공명전력변환부(200)에서는, 전송코일(111)에서 유도된 전력을 받기 위해 송신공명전력변환부(200)의 일 측에 구비한 수신코일(211)에서 유도된 전력을 수신공명전력변환부(300)측으로 공명전력신호가 전달되도록 전력송신코일(250)을 타 측에 구비하며, 상기 수신코일(211)에서 발생되는 전력신호를 공명신호로 전력신호가 발신되도록 변환전력처리부(220), 전력신호변환처리부(230), 변환컨버터부(240) 및 변환제어부(210)를 구비한다.
또한, 무접점피충전기(2)의 수신공명전력변환부(300)는 전력송신코일(250)로부터 출력된 전력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전력수신코어(350)가 일 측에 구비되고, 유도전력수신부(400) 측으로 유도전력을 유기되도록 하기 위한 유도전송코일(360)을 타 측에 구비하며, 상기 전력수신코어(350)에서 발생되는 전력신호를 유도전송코일(36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한 신호로 전력신호가 발생 되도록 하기 위한 공명수신처리부(340), 공명신호변환처리부(33), 공명컨버터부(320), 및 공명수신제어부(310)를 구비한다.
한편, 유도전송코일(360)에서 발신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한 신호를 받아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한 유도전력수신부(400)의 일측에 2차측충전코일(460)을 구비하고 2차측충전코일(460)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해 전력수신부(440), 충전전원부(420), 제어부(410), 무선송수신부(430) 및 안테나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동작의 흐름도로서, 상기 도 3에 다른 동작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무접점충전기(1)의 제어부 및 무접점피충전기(2)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502단계에서 무접점충전기(1)의 제어부는 일정주기로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무접점피충전기(2)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무접점충전기(1)의 확인 신호를 수신한 무접점피충전기(2)의 제어부는 충전이 요구될 경우에 504단계에서 자신의 고유 ID를 포함한 충전요구 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506단계에서는, 무접점충전기(1)의 제어부는 상기 무접점피충전기로부터 송신된 충전요구 신호에 수신함으로서,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를 확인하고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508단계에서 무접점피충전기(2)의 제어부는 충전완료가 되었을 경우에 자신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충전완료 신호를 무접점충전기(1)로 무선 송신하고, 510단계에서 무접점충전기(1)는 상기 충전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2)가 없을 경우에 충전 동작을 중단하고, 512단계에서 슬립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3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전원이 차단된 상태나 충전 중 상태에서 주변에 충전을 하고자하는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지 무접점충전기(1)의 제어부는 일정주기T1 마다 주기적으로 깨어나 무선송수신부에 주변에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지 확인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후, 주변에 충전을 하고자하는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 경우에, 무접점피충전기(2)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수신부로 신호가 수신되면 무접점피충전기(2)의 제어부는 임의의 고유의 ID번호를 발생하여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하여 충전하겠다는 신호를 보낸다.
무접점충전기(1)의 안테나로 충전을 하고자하는 무접점피충전기(2)의 고유의 ID번호를 갖는 신호가 수신되면, 고유ID번호를 세트하고 전원공급/차단부(15)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을 시작한다. 이때, 충전 중에도 무접점충전기(1)는 주기적으로 무접점피충전기(2)가 있는지 확인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여 무접점피충전기(2)로부터 임의의 고유의 ID번호를 부여한 신호가 수신되면 고유ID번호를 세트하고 충전을 한다.
무접점피충전기(2)가 충전이 완료되면 무접점피충전기(2)는 고유 ID번호를 포함한 충전완료 신호를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무접점충전기(1)의 제어부는 무접점충전기(1)의 안테나로 수신된 이 신호로 무접점피충전기(2)의 고유의 ID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ID번호의 무접점피충전기(2)가 충전완료되었음을 판단하고 해당 ID번호를 클리어한다.
또한, 세트된 ID번호의 무접점피충전기(2)와 여러 번 통신이 안 될 경우 주변에서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을 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ID번호를 클리어한다.
다수의 무접점피충전기(2)가 충전 중인 경우 세트된 해당 ID번호가 모두 클리어되면,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공급/차단부를 차단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력낭비가 없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슬립모드로 진입하여 주기(T1)로 깨어나 주변에 무접점피충전기(2)의 충전요구 신호가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다시 슬립모드로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장시간 무접점충전기(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슬립모드전원부의 충전 전력이 모두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전원상태를 체크하여, 슬립모드전원부의 충전 전력이 모두 방전이 되기 전에 일정시간T2 동안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차단부(15)를 제어하여 슬립모드전원부(11)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동작 외에도, 무접점충전기(1)가 슬립모드상태에 있는 경우에, 무접점피충전기(2)에서 충전 요구신호가 송신되어 무접접충전기(1)에 수신되는 경우에, 무접점충전기(1)는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수신된 무접점피충전기(2)에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에도 무접점충전기(1)는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수신된 무접점피충전기의 고유ID를 세트하고 충전전원을 발생하여 충전전력을 공급하고, 무접점피충전기(2)에서 충전 완료신호와 고유ID가 수신되면 설정된 고유ID를 클리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접점충전시스템의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필요시 자동으로 충전이 되도록 구성한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해당 장치의 동작 전원 및 무접점피충전기를 위한 충전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부와;
    스위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 전원이 상기 전원부에 제공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전원부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차단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무접점피충전기를 위한 충전전원을 유도방식 공명방식의 무접점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무접점피충전기로 제공하는 전력 송신 회로부와;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와 충전 관련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가 있을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상기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무선 충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무선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와;
    상기 슬립모드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충전하는 슬립모드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차단부는, 래칭릴레이, 릴레이, 또는 반도체소자로 스위칭 구조를 구현하며,
    상기 슬립모드전원부는 슈퍼캐패시터를 이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의 충전 동작 수행 중에서 해당 충전 중인 무접점피충전기와 지속적으로 통신이 안 될 경우에도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원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슬립모드전원부의 충전 전력이 모두 방전이 되기 전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원공급/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부로 상기 외부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충전 개시 조작을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받기 위한 충전용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충전 동작을 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장치.
  6.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해당 장치의 동작 전원 및 무접점피충전기를 위한 충전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제공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전원을 상기 전원부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차단부를 구비하는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장치의 무접점 충전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로,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무접점피충전기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무접점피충전기로부터 충전요구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상기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충전동작 시에,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접피충전기가 없는지 확인하여,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점피충전기가 없으면,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충전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의 충전 동작 수행 중에서 해당 충전 중인 무접점피충전기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접점피충전기와 지속적인 통신이 안 될 경우에도 상기 전원공급/차단부가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외부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이 요구되는 무접접피충전기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무접점피충전기로부터 충전완료 신호의 수신을 통해 확인하며,
    다수의 무접점피충전기의 동시 충전시에는 상기 다수의 무접점피충전기 모두로부터 충전완료 신호의 수신 여부 또는 지속적인 통신이 안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방법.
PCT/KR2012/003618 2011-05-09 2012-05-09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215397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3286 2011-05-09
KR10-2011-0043286 2011-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3975A2 true WO2012153975A2 (ko) 2012-11-15
WO2012153975A3 WO2012153975A3 (ko) 2013-01-03

Family

ID=4713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3618 WO2012153975A2 (ko) 2011-05-09 2012-05-09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9958B1 (ko)
WO (1) WO201215397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1115A1 (zh) * 2021-02-01 2022-08-04 郝韵涵 电源适配器、手机自助快速充电系统、快速充电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08489C (en) 2013-03-29 2016-09-20 Nissan Motor Co., Lt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KR101409719B1 (ko) * 2013-05-21 2014-06-20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409718B1 (ko) * 2013-05-22 2014-06-20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무선 충전장치를 내장한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제어 모듈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481953B1 (ko) 2015-09-09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55Y1 (ko) * 2004-06-25 2004-09-1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무선 충전용 패드 및배터리팩
JP2006131094A (ja) * 2004-11-05 2006-05-25 Toyota Industries Corp 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20080016302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모드에서의 VoIP호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VoIP호 응답방법
KR20090056545A (ko) * 2007-11-30 2009-06-03 정춘길 멀티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315A (ja) * 2000-10-13 2002-04-26 Sony Corp 電源遮断装置
JP3931037B2 (ja) * 2000-12-27 2007-06-13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充電器
KR100792311B1 (ko) * 2005-07-30 2008-0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55Y1 (ko) * 2004-06-25 2004-09-1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무선 충전용 패드 및배터리팩
JP2006131094A (ja) * 2004-11-05 2006-05-25 Toyota Industries Corp 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20080016302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모드에서의 VoIP호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VoIP호 응답방법
KR20090056545A (ko) * 2007-11-30 2009-06-03 정춘길 멀티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1115A1 (zh) * 2021-02-01 2022-08-04 郝韵涵 电源适配器、手机自助快速充电系统、快速充电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958B1 (ko) 2014-05-28
WO2012153975A3 (ko) 2013-01-03
KR20120125968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39825B (zh) 用于向无线功率接收器提供无线充电功率的方法和装置
CN102355037B (zh) 用于向多个电力接收设备无线传输电力的装置
CN103094965B (zh) 无线充电的连接方法和无线设备
US20180227017A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EP328259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43777B1 (ko) 무선 충전 방법
WO2014137199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4010997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2169794A2 (en) Method of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O2012153975A2 (ko)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3275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20130090703A (ko)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장치
CN104094500A (zh) 无线电力发送器、无线电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JP2014522337A5 (ko)
CN104937811A (zh) 共振型无线电力传送系统的无线电力传送控制方法,及利用此方法的无线电力传送装置及无线电力接收装置
CN104539014A (zh) 一种新型无线充电器及其降低无线充电待机功耗的方法
CN102694425A (zh) 无线电力接收装置及其电力控制方法
KR20240015704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20150056222A (ko)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N104467110A (zh) 一种新型无线充电器及其降低无线充电待机功耗的方法
JPWO2013031054A1 (ja) 充電システム、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77444A (ko) 배터리 정보 기반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30127227A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능동형 에너지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03779881B (zh) 电池及具有该电池的充电系统
KR101973406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825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6.03.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825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