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34123A2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34123A2
WO2012134123A2 PCT/KR2012/002149 KR2012002149W WO2012134123A2 WO 2012134123 A2 WO2012134123 A2 WO 2012134123A2 KR 2012002149 W KR2012002149 W KR 2012002149W WO 2012134123 A2 WO2012134123 A2 WO 201213412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ode
propagation delay
slot setting
delay value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21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34123A3 (ko
Inventor
김학성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07,592 priority Critical patent/US9184893B2/en
Priority to KR1020137028011A priority patent/KR101973465B1/ko
Priority to EP12765677.5A priority patent/EP2690799A4/en
Publication of WO201213412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123A2/ko
Publication of WO201213412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12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64Dela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Definitions

  •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first node to a second n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etting a first slot according to a propagation delay value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Determining a second slot setting;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hrough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determined by the first slot setting and the second slot setting, wherein the first slot setting and the second slot setting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pagation delay value, respectively.
  •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comprising a start symbol and an end symbol.
  • a second node receives a signal from a first n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first slot setting determined according to a propagation delay value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And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a subframe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second slot configuration, wherein the first slot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slot configuration are respectively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ropagation delay value.
  • a signal receiving method Including, a signal receiving method.
  • the structure of the subframe of the backhaul link may be determined using Table 1 and Table 2 below.
  • the base station of the current LTE / LTE-A system uses a subframe using an OFDM symbol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first slot configuration of Table 1 and the second slot configuration of Table 2 as a backhaul link subframe. .
  •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haul link subframe is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propagation delay value, and at this time, slot configuration (Tables 1 and 2 described above) in the existing LTE / LTE-A system may be used.
  • Table 1 shows the first slot configuration of the backhaul link subframe
  • Table 2 shows the second slot configuration.
  • Tables 3 and 4 are exemplary considering two OFDM symbols as propagation delay values, and may be changed when the propagation delay values are larger.
  •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ckhaul uplink subframe in consideration of a propagation delay value when subframe boundaries are not aligned. 18 may be understood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only time values due to differences in subframe boundaries are further considered.
  • the terminal device 1920 may include a reception module 1921, a transmission module 1922, a processor 1923, a memory 1924, and a plurality of antennas 1925.
  • the plurality of antennas 1925 refers to a terminal device that supports MIM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the receiving module 1921 may receive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on a downlink from the base station.
  • the transmission module 1922 may transmit variou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on the uplink to the base station.
  • the processor 1923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entire terminal device 1920.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 노드가 제2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으로 결정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신호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이하의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 노드가 제2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으로 결정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신호 전송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 노드가 제1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에 해당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모듈; 및 상기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인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으로 결정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4 기술적인 측면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노드 및 상기 장치인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에 해당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내기 제4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의 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는 기지국이며 상기 제2 노드는 모바일 릴레이 노드일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슬롯 설정의 시작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및 상기 제2 노드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가 차지하는 심볼 개수를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슬롯 설정의 종료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및 가드 인터벌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슬롯 설정의 시작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상기 제2 노드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가 차지하는 심볼 개수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의 차이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슬롯 설정의 종료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의 차이값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지연값은 상기 제2노드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파지연값은 상기 제1 노드가 추정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파지연값이 변동에 따라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가 공유되므로 수신측에서 정확한 복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릴레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백홀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가능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 경계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 가능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기지국-릴레이간 하향링크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된 경우 전파지연값이 증가함에 따른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된 경우 전파지연값이 증가함에 따른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는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전파지연값을 고려한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계열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 계열 시스템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120)과 기지국(eNode B, eNB)(110a 및 11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예, 3개)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4, 3,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도 2(a)는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2 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시간은 전송시간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슬롯은 0.5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3GPP LTE 시스템은 하향링크에서 OFDMA 방식을 이용하므로, 상기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길이(period)를 나타낸다. 하나의 심볼은 상향링크에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길이로 칭하여질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개수, 또는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된다.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여기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 ×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4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오프셋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오프셋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는 상향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와 전력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도 6은 릴레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릴레이는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거나 음영 지역에 설치하여 서비스를 원활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릴레이 및 단말을 포함한다. 단말은 기지국 또는 릴레이와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매크로 단말(macro UE)로, 릴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릴레이 단말(relay UE)로 지칭한다.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사이의 통신 링크를 매크로 액세스 링크로 지칭하고, 릴레이와 릴레이 단말 사이의 통신 링크를 릴레이 액세스 링크로 지칭한다. 또한,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의 통신 링크를 백홀 링크로 지칭한다.
릴레이는 멀티 홉(multi hop) 전송에서 얼마만큼의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따라 L1(layer 1) 릴레이, L2(layer 2) 릴레이, L3(layer 3) 릴레이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는 네트워크 링크에 따라 도너(donor) 셀 내에서 네트워크-릴레이 링크와 네트워크-단말 링크가 동일한 주파수 밴드를 공유하는 인-밴드 커넥션(in-band connection), 도너 셀 내에서 네트워크-릴레이 링크와 네트워크-단말 링크가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아웃-밴드 커넥션(out-band connec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자신이 릴레이를 통해 통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없는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 릴레이와 단말이 릴레이를 통해 통신하고 있는지를 알고 있는 논-트랜스패런트(non-transparent) 릴레이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동성 측면에서, 릴레이는 음영지역이나 셀 커버리지 증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고정(fixed) 릴레이, 사용자가 갑자기 증가할 때 임시로 설치하거나 임의로 옮길 수 있는 노매딕(nomadic) 릴레이, 버스나 기차 등 대중교통에 장착 가능한 모바일(mobile) 릴레이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백홀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인-밴드 중계 모드에서 기지국-릴레이 링크(즉, 백홀 링크)는 릴레이-단말 링크(즉, 액세스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릴레이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서, 릴레이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서로 간섭을 유발하므로 릴레이가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는 TDM 방식으로 파티셔닝(partitioning) 된다. LTE-A는 릴레이 존에 존재하는 레거시 LTE 단말의 측정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링크를 설정한다(fake MBSFN 방법). 임의의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시그널링 된 경우,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ctrl)만을 수신하므로 릴레이는 해당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을 이용해 백홀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백홀 링크의 서브프레임은 현재 다음 표 1 및 표 2를 이용하여 그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현재 LTE/LTE-A 시스템의 기지국은 다음 표 1의 제1 슬롯 설정 및 표 2의 제2 슬롯 설정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OFDM 심볼을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을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한다.
표 1
Configuration DL_StartSymbol End symbol index
0 1 6
1 2 6
2 3 6
표 2
Configuration Start symbol index End symbol index
0 0 6
1 0 5
상기 표 1에서 DL_StartSymbol은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사용될 수 있는 OFDM 심볼 중 첫 번째 OFDM 심볼을 지시하고, End symbol index는 첫 번째 슬롯에서 사용될 수 있는 OFDM 심볼 중 마지막 OFDM 심볼을 지시한다. 또한 표 2에서 Start symbol index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에서 사용될 수 있는 OFDM 심볼 중 첫 번째 OFDM 심볼을 지시하고, End symbol index는 첫 번째 슬롯에서 사용될 수 있는 OFDM 심볼 중 마지막 OFDM 심볼을 지시한다. 따라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표 1 및 표 2의 설정의 조합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표 1 에서 설정 0과 표 2에서 설정 0은 동시에 사용되지 않는다.
도 8은 상기 표 1 및 표 2로 결정되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표 1의 설정 0과 표 2의 설정 1의 조합, (b)는 표 1의 설정 1과 표 2의 설정 0의 조합, (c)는 표 1의 설정 1과 표 2의 설정 1의 조합, (d)는 표 1의 설정 2와 표 2의 설정 0의 조합, (e)는 표 1의 설정 2와 표 2의 설정 1의 조합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과 릴레이에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경계(boundary)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슬롯 설정의 조합이 결정되어 있고,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 (b), (c)는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슬롯 설정의 조합을 나타내며, (d), (e)는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슬롯 설정의 조합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되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액세스 링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백홀 링크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정도의 전파지연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기지국-릴레이간 하향링크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는 일치되어 있으며, (a)는 전파지연이 없는 경우를, (b)는 소정 전파지연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G1은 릴레이가 액세스 링크 전송에서 백홀 링크 수신으로 전환 시 필요한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을, G2는 릴레이가 백홀 링크 수신에서 액세스 링크 전송으로 전환 시 필요한 가드 인터벌을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대략 0.5 OFDM 심볼 정도의 전파지연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릴레이의 액세스 링크 전송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PDCCH에 사용되는 OFDM 심볼(OFDM 심볼 인덱스 0, 1), 가드 인터벌(G1) 및 전파지연(Tp)를 고려하면 첫 번째 슬롯의 시작 OFDM 심볼 인덱스는 2가 된다. 또한 두 번째 슬롯의 마지막 OFDM 심볼 인덱스는 5가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첫 번째 슬롯 설정 1 및 두 번째 슬롯 설정 1에 해당하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현재의 LTE/LTE-A 시스템에서의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대략 0.5 OFDM 심볼 정도의 시간에 상응하는 전파지연에만 대처할 수 있다. 즉,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파지연값이 대략 1 OFDM 심볼 정도로 커지는 경우, 도 10(a)와 같은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마지막 OFDM 심볼(인덱스 5)은 가드 인터벌(G2)와 겹치게 되어(즉, 릴레이의 백홀 링크 수신에서 액세스 링크 전송으로 전환 시 필요한 시간을 확보해 주지 못함) 릴레이의 액세스 링크 전송에 지장을 주게 된다.
특히, 릴레이가 이동성을 갖게 되는 모바일 릴레이(Mobile Relay)의 경우에는 전파지연값이 수시로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액세스 링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동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기지국과 릴레이 간 공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 가변하는 전파지연값에 따라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와 전파지연값에 따라 달라지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릴레이에게 어떻게 알려줄 것인지에 관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이하의 실시예는 기지국과 릴레이의 관계를 위주로 설명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지국과 단말의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된 경우 기지국-릴레이 하향링크에 있어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릴레이 하향링크에서 전파지연값의 변동에 따라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한 후, 이 정보를 기지국과 릴레이가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된 경우 전파지연값이 증가함에 따른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릴레이의 액세스 링크 전송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PDCCH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은 처음 두 심볼인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파지연값이 가드 인터벌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a)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액세스 링크에 사용되는 2개의 OFDM 심볼 및 가드 인터벌을 고려하면 첫 번째 슬롯에서 인덱스 3의 OFDM 심볼을 시작 심볼로 가질 수 있다. 두 번째 슬롯에서 종료 심볼은 가드 인터벌을 고려하여 인덱스 5의 OFDM 심볼이 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OFDM 심볼 수는 10개이다.
도 11(b)는 도 11(a)보다 전파지연값이 다소 증가한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첫 번째 슬롯에서 시작 심볼로 인덱스 2의 OFDM 심볼을, 두 번째 슬롯에서 종료 심볼로 인덱스 5의 OFDM 심볼을 가질 수 있다. 사용 가능한 OFDM 심볼 수는 11개가 된다.
계속해서 도 12(a)는 하나의 OFDM 심볼에 상응하는 시간보다 조금 큰 전파지연값을 가지는 경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첫 번째 슬롯에서 시작 심볼로 인덱스 2의 OFDM 심볼을, 두 번째 슬롯에서 종료 심볼로 인덱스 4의 OFDM 심볼을 가질 수 있다. 도 11(b)의 경우와 비교해 전파지연값이 더 커져서 두 번째 슬롯에서 종료 심볼의 인덱스가 5에서 4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 가능한 OFDM 심볼 수는 10개가 된다.
도 12(b)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첫 번째 슬롯에서 시작 심볼로 인덱스 1의 OFDM 심볼을, 두 번째 슬롯에서 종료 심볼로 인덱스 3의 OFDM 심볼을 가질 수 있다. 도 12(a)와 비교해 전파지연값이 조금 더 증가함에 따라 종료 심볼의 인덱스가 3으로 변경되었지만, 시작 심볼의 인덱스가 1로 변경되어 전체적으로 사용 가능한 OFDM 심볼 수는 10개를 유지한다.
도 13(a)는 두 OFDM 심볼보다 조금 큰 전파지연값을 가지는 경우로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은 첫 번째 슬롯에서 시작 심볼로 인덱스 1의 OFDM 심볼을, 두 번째 슬롯에서 종료 심볼로 인덱스 2의 OFDM 심볼을 가질 수 있다. 사용 가능한 OFDM 심볼 수는 10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기지국이 전파지연값을 통해 동적으로 결정되며, 이 때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의 슬롯 설정(상술한 표 1 및 표 2)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전파지연값의 증가에 따른 시작 심볼 및 종료 심볼의 변경을 지원하기 위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 설정을 나타내는 표 1은 다음 표 3으로, 두 번째 슬롯 설정을 나타내는 표 2는 다음 표 4와 같이 수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표 3 및 표 4는 전파지연값으로 두 개의 OFDM 심볼 정도를 고려한 예시적인 것으로써, 전파지연값이 더 큰 경우 변경될 수 있다.
표 3
Configuration DL-startSymbol End symbol index
0 0 6
1 1 6
2 2 6
3 3 6
표 4
Configuration Start symbol index End symbol index
0 0 6
1 0 5
2 0 4
3 0 3
4 0 2
상기 표 3 및 표 4 이외에 추가적으로, 전파지연값과 첫 번째 슬롯 설정 및 두 번째 슬롯 설정의 대응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 표 5와 같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표 5
Propagation delay First slot configuration Second slot configuration
0 <= Tp < gurad interval 3 1
... ... ...
Tp >= 2symbol+gurad interval 0 4
정리하면, 상기 도 11 내지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파지연값의 증가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고, 기지국은 전파지연값에 따라 동적으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릴레이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정확한 복조를 위해 동적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 구조를 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릴레이는 전파지연값(또는 이에 상응하는 타이밍 변경 정보)을 수시로 보고하고, 기지국은 이 전파지연값에 따라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항상 릴레이가 보고한 전파지연값에 따라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므로, 릴레이는 기지국으로부터 새롭게 구성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정확히 복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릴레이는 전파지연값(Tp)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며, 기지국은 이에 따라 첫 번째 슬롯에서 시작 심볼 인덱스 0, 두 번째 슬롯에서 종료 심볼 인덱스 2를 갖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PDSCH, R-PDCCH등을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는 기지국이 자신이 보고한 전파지연값(Tp)를 이용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는 전파지연값만큼 지연된 시간(즉, 액세스 링크에서 PDCCH를 전송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전파지연값(Tp)만큼 경과한 시간)부터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며 그 시작 심볼이 인덱스 0임을 알고 복조할 수 있다.
또는, 릴레이는 전파지연값을 수시로 보고하지만 기지국은 이를 추천값(recommended value)로 고려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릴레이가 자신이 보고한 전파지연값에 따라 기지국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야 한다. 이러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정보는 i)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 설정 정보 + 두 번째 슬롯 설정 정보, ii)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사용되는 시작 OFDM 심볼 인덱스 +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사용되는 총 OFDM 심볼 수, iii)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사용되는 시작 OFDM 심볼 인덱스 + 마지막 OFDM 심볼 인덱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릴레이로부터 전파지연값을 보고 받지 않고 그 값을 추정하여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추정한 타이밍 정보를 RN에서 전송하고 그에 맞추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외에,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사용되는 OFDM 심볼 수를 작은 값으로 미리 설정하여 두고, 기지국이 시작 심볼 또는 마지막 심볼의 인덱스만 알려주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통상적으로 셀 크기 등을 고려할 때 전파지연값은 두개의 OFDM 심볼을 넘지 않으며, 앞서 도 11 내지 도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파지연값이 두개의 OFDM 심볼을 넘지 않는 경우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총 OFDM 심볼 개수는 10 또는 11개임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에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사용되는 OFDM 심볼 개수는 10개로 약속해 두고, 기지국은 전파지연값의 변동에 따라 변경되는 시작 OFDM 심볼의 인덱스만 알려주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파지연값이 더 커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지원 가능한 최대 전파지연값에 따라 사용 가능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OFDM 심볼 개수의 최소값을 릴레이 능력(capability)에 포함시켜 둘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릴레이의 전파지연값의 보고는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지연값의 참조값 및 변동의 임계값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전파지연값이 참조값에 비해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전파지연값을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전파지연값의 측정 및 보고 대신 현재 LTE/LTE-A 시스템에서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에 기반해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릴레이 하향링크에 있어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것에 연유한 차이값(도면에서는 To+Tp)를 더 고려하여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구성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 및 이 정보를 릴레이와 공유하는 방법들은 실시예 1에 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는 경우 릴레이-기지국 상향링크에 있어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된 경우 상향링크에서 전파지연값이 증가함에 따른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파지연값(Tp)으로 인해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액세스 링크의 단말들은 릴레이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OFDM 심볼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상향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전송에 있어서, 다른 단말들로부터 PUSCH 전송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단말들이 마지막 OFDM 심볼을 사용하지 않는 것과 유사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전파지연값이 도 16과 같이 커진 경우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사용 가능한 OFDM 심볼의 손실은 피할 수 없다.
도 16에는 전파지연값의 증가한 경우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가능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a)에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 16(b)는 액세스 링크에서 단말들이 마지막 OFDM 심볼에 추가적으로 한 심볼을 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7에는 도 16보다 전파지연값이 더 큰 경우로써, 도 16(a)에는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처음 두 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한 경우를, 도 16(b)에는 액세스 링크의 단말들이 마지막 두 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7(a)의 경우는 액세스 링크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필수적으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변동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된 실시예 1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파지연값에 따라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변경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기지국은 릴레이로부터 전송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을 정확히 복조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실시예 1에 대한 설명과 중첩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기지국과 릴레이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릴레이-기지국 상향링크에 있어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는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전파지연값을 고려한 백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경우에도 서브프레임 경계의 차이로 인한 시간값만 더 고려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910)는, 수신모듈(1911), 전송모듈(1912), 프로세서(1913), 메모리(19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9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9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9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9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3)는 기지국 장치(19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1910)는 상향링크 다중 안테나 전송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의 프로세서(1913)는, 전파지연값에 따라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으로 결정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910)의 프로세서(1913)는 그 외에도 기지국 장치(19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9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920)는, 수신모듈(1921), 전송모듈(1922), 프로세서(1923), 메모리(19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9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9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9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9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923)는 단말 장치(19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920)는 상향링크 다중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1923)는, 전파지연값에 따라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에 해당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920)의 프로세서(19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19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9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9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9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19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3GPP LTE 계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동일 또는 균등한 원리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 노드가 제2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으로 결정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신호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기지국이며 상기 제2 노드는 모바일 릴레이 노드인, 신호 전송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슬롯 설정의 시작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및 상기 제2 노드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가 차지하는 심볼 개수를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슬롯 설정의 종료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및 가드 인터벌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신호 전송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슬롯 설정의 시작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상기 제2 노드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가 차지하는 심볼 개수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의 차이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슬롯 설정의 종료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의 차이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신호 전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지연값은 상기 제2노드로부터 수신된 것인, 신호 전송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지연값은 상기 제1 노드가 추정한 값인, 신호 전송방법.
  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 노드가 제1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에 해당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기지국이며 상기 제2 노드는 모바일 릴레이 노드인, 신호 수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슬롯 설정의 시작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및 상기 제2 노드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가 차지하는 심볼 개수를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슬롯 설정의 종료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및 가드 인터벌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신호 수신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슬롯 설정의 시작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상기 제2 노드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가 차지하는 심볼 개수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의 차이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슬롯 설정의 종료심볼은, 상기 전파지연값, 가드 인터벌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서브프레임 경계의 차이값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신호 수신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지연값은 상기 제2 노드가 전송한 것인, 신호 수신방법.
  14.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모듈; 및
    상기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인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으로 결정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장치.
  1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노드 및 상기 장치인 제2 노드 사이의 전파지연값에 따라 결정된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에 해당하는 구조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슬롯 설정 및 제2 슬롯 설정은 각각 상기 전파지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작심볼 및 종료심볼을 포함하는, 장치.
PCT/KR2012/002149 2011-03-25 2012-03-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WO2012134123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07,592 US9184893B2 (en) 2011-03-25 2012-03-23 Backhaul link subframe stru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ereof
KR1020137028011A KR101973465B1 (ko) 2011-03-25 2012-03-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EP12765677.5A EP2690799A4 (en) 2011-03-25 2012-03-23 TERRESTRIAL LINK SUB-FRAME STRUCT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7384P 2011-03-25 2011-03-25
US61/467,384 2011-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123A2 true WO2012134123A2 (ko) 2012-10-04
WO2012134123A3 WO2012134123A3 (ko) 2013-01-03

Family

ID=4693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2149 WO2012134123A2 (ko) 2011-03-25 2012-03-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84893B2 (ko)
EP (1) EP2690799A4 (ko)
KR (1) KR101973465B1 (ko)
WO (1) WO20121341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6515A (zh) * 2016-11-11 2018-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时隙的发送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2672B (zh) * 2013-05-09 2018-11-27 英特尔Ip公司 小数据通信
US9572106B2 (en) * 2014-10-31 2017-02-1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bandwidth switching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7213386A1 (en) * 2016-06-08 2017-12-14 Lg Electronics Inc. A communication method of using full duplex in nr
US20200092875A1 (en) * 2017-05-02 2020-03-19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A3092433C (en) * 2018-03-29 2022-04-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lay station, control station, an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CN110475329B (zh) 2018-05-11 2020-11-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装置及网络设备
US11277854B2 (en) 2019-01-22 2022-03-15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spectrum efficiency and to reduce latency by using dynamic guard time selection in wireles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31B1 (ko) * 2009-02-16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356757B1 (en) * 2008-09-19 2016-03-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Network el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element
EP2398161A4 (en) * 2009-02-16 2017-05-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0095871A2 (ko) * 2009-02-18 201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기
KR101625060B1 (ko) 2009-02-19 2016-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및 단말에 대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2326347B (zh) * 2009-02-20 2016-07-06 Lg电子株式会社 在中继通信系统中分配回程链路的参考信号的方法和使用该方法发送/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WO2010107234A2 (ko) * 2009-03-17 2010-09-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릴레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EP2418784B1 (en) * 2009-04-09 2019-06-19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1584820B1 (ko) * 2009-04-15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29274B2 (en) * 2009-08-12 2015-01-06 Lg Electronics Inc. Relay station and method of relay station transmitting backhaul uplink signal
US8576755B2 (en) * 2010-01-11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transition time
WO2011102631A2 (en) * 2010-02-16 2011-08-25 Lg Electronics Inc. Relay nod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according to link operat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1112015A2 (en) * 2010-03-11 2011-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ceiving signal at relay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6515A (zh) * 2016-11-11 2018-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时隙的发送方法和装置
CN108076515B (zh) * 2016-11-11 2023-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时隙的发送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0799A4 (en) 2014-10-08
WO2012134123A3 (ko) 2013-01-03
US20140016541A1 (en) 2014-01-16
KR20140024341A (ko) 2014-02-28
US9184893B2 (en) 2015-11-10
EP2690799A2 (en) 2014-01-29
KR101973465B1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39003A2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2134123A2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WO201413717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WO2010095887A2 (ko) 릴레이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의 기준신호 할당 방법 및 이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2134155A2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WO2010117208A2 (ko) 릴레이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2124917A2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전송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전송 장치
WO201410462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1096699A2 (ko)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19951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0101432A2 (ko) 중계국의 제어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0101366A2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장치
WO2013019046A2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129537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를 위한 검색 영역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132946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릴레이 노드 간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055173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7480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031080A2 (ko) 릴레이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093143A2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및 장치
WO2011139114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릴레이 노드 간의 백홀 서브프레임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132945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to relay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WO2013129866A1 (ko) 캐리어 타입을 고려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24922A2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전송 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WO2010085062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backhau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WO2013024997A2 (ko) 기지국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656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007592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7656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7656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028011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