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131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131B1
KR101595131B1 KR1020100013907A KR20100013907A KR101595131B1 KR 101595131 B1 KR101595131 B1 KR 101595131B1 KR 1020100013907 A KR1020100013907 A KR 1020100013907A KR 20100013907 A KR20100013907 A KR 20100013907A KR 101595131 B1 KR101595131 B1 KR 101595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relay station
symbol
backhaul
backhaul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503A (ko
Inventor
김학성
권순일
서한별
최영섭
김병훈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80008035.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318229B/zh
Priority to PCT/KR2010/000950 priority patent/WO2010093221A2/ko
Priority to US13/201,805 priority patent/US8576900B2/en
Priority to JP2011550063A priority patent/JP5373924B2/ja
Priority to EP10741438.5A priority patent/EP2398161A4/en
Publication of KR2010009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503A/ko
Priority to US14/044,577 priority patent/US9001876B2/en
Priority to US14/657,976 priority patent/US96989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96Network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오프셋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 시간 정보에 따라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FOR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 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 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Advanced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개선한 LTE-Advanced를 준비하고 있다. LTE-Advanced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LTE-Advanced의 주요 기술에 중계국(relay station) 기술이 포함된다.
중계국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로, 무선통신 시스템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확장시키고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신호 전송 방법은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신호 전송에 종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전송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종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전송방법에서, 일반적으로 단말은 시간 영역에서 볼 때 하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이 서브프레임 전체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한 가지 이유는 단말이 소모하는 순간 최대 전력을 줄이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각 채널의 지속 시간을 가능한 길게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중계국은 시간 영역에서 볼 때 하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중계국은 보통 다수의 단말들을 대상으로 신호를 중계하므로 잦은 수신 모드 및 전송 모드 스위칭(switch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신 모드 및 전송 모드 간의 스위칭 시 수신 모드 구간과 전송 모드 구간 사이에는 신호간 간섭을 방지하고 동작 안정화를 위해 중계국이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 소정의 시간 구간(이를 이하에서 보호 구간(guard time)이라 칭한다)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호 구간으로 인해 중계국은 단말과 달리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종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전송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중계국은 단말에 비해 전력의 제약이 적고, 일반적으로 기지국과의 채널 상태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종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전송 방법을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신호 전송에 그대로 사용할 필요는 없다.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신호 전송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오프셋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 시간 정보에 따라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중계국이 수행할 수 있는 동작과 제한 요건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보호 구간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전달 지연 시간 및 오프셋 시간을 나타낸다.
도 10은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A-DL Tx 서브프레임과의 시간 관계를 나타낸다.
도 11은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과 B-DL Tx 서브프레임,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A-DL Tx 서브프레임과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 및 B-DL Tx 서브프레임,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A-DL Tx 서브프레임과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들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B-UL Tx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으로부터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A-UL Rx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관계를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나타낸 예들이다.
도 22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23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24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5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6 및 도 27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8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9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0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1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간의 시간 관계(timing relationship)를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32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33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4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5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6은 기지국, 중계국 간의 타이밍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7 및 도 38은 백홀 SRS를 전송하는 B-UL Tx 서브프레임의 심벌 인덱스를 예시한다.
도 39는 소스국 및 목적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화 기구에 의한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N(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사용하는 E-UMTS(Evolved-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LTE의 진화이다. 이하에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 (15)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각각의 영역은 섹터(sector)라고 칭한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3)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중계국(12)과 단말(14) 간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리(management), 제어 및 자원 할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국(Relay Station, RS, 12)은 기지국(11)과 단말(14)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기기를 말하며, RN(Relay Node), 리피터(repeater), 중계기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중계국에서 사용하는 중계 방식으로 AF(amplify and forward) 및 DF(decode and forward) 등 어떠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13, 14;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매크로 단말(macro UE, Ma UE, 13)은 기지국(11)과 직접 통신하는 단말이고, 중계국 단말(relay UE, Re UE, 14)은 중계국과 통신하는 단말을 칭한다. 기지국(11)의 셀 내에 있는 매크로 단말(13)이라 할지라도, 다이버시티 효과에 따른 전송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중계국(12)을 거쳐서 기지국(11)과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지국(11)과 매크로 단말(13) 간의 링크를 매크로 링크(macro link)라 칭하기로 한다. 매크로 링크는 매크로 하향링크와 매크로 상향링크로 구분될 수 있다, 매크로 하향링크(macro downlink, M-DL)는 기지국(11)에서 매크로 단말(13)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매크로 상향링크(macro uplink, M-UL)는 매크로 단말(13)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기지국(11)과 중계국(12)간의 링크는 백홀(backhaul) 링크라 칭하기로 한다. 백홀 링크는 백홀 하향링크(backhaul downlink, B-DL)와 백홀 상향링크(backhaul uplink, B-UL)로 구분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는 기지국(11)에서 중계국(12)으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백홀 상향링크는 중계국(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중계국(12)과 중계국 단말(14)간의 링크는 액세스 링크(access link)라 칭하기로 한다. 액세스 링크는 액세스 하향링크(access downlink, A-DL)와 액세스 상향링크(access uplink, A-UL)로 구분될 수 있다. 액세스 하향링크는 중계국(12)에서 중계국 단말(14)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액세스 상향링크는 중계국 단말(14)에서 중계국(12)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양방향 통신은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DD 모드는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서 서로 다른 시간 자원을 사용한다. FDD 모드는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한다.
도 2는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3GPP TS 36.211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4.1절 및 4. 2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DD 및 TDD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 or symbol time)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심벌 구간은 하나의 OFDM 심벌 또는 하나의 SC-FDMA 심벌을 의미할 수 있다. 자원 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롯(예를 들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은 12×7개의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선 3 OFDM 심벌들이 PDCCH가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이다. 제어영역에는 PDCCH 이외에도 PCFICH, PHICH 등의 제어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영역이 3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제어영역에는 2 OFDM 심벌 또는 1 OFDM 심벌이 포함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 제어영역이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수는 PCFICH를 통해 알 수 있다.
제어영역은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인 논리적인 CCE 열로 구성된다. CCE 열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영역을 구성하는 전체 CCE들의 집합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CCE는 9 자원요소 그룹에 대응될 수 있다. 자원요소 그룹은 자원요소로 제어채널을 맵핑하는 것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자원요소 그룹은 4개의 자원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스케줄링 할당과 같은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를 나른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단(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 집단을 구성하는 CCE의 수(Number of CCEs)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 수가 결정된다.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CCE의 수를 CCE 집단 레벨(aggregation level)이라 한다. 또한, CCE 집단 레벨은 PDCCH를 검색하기 위한 CCE 단위이다. CCE 집단 레벨의 크기는 인접하는 CCE들의 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CCE 집단 레벨은 {1, 2, 4, 8}의 원소일 수 있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DCI)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상향링크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 페이징을 위한 제어정보, 랜덤 액세스 응답(RACH response)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정보 등을 포함한다.
DCI 포맷으로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0, 하나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코드워드의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한(compact)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A,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단일 코드워드의 랭크-1 전송에 대한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B,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매우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C,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D, 폐루프(Closed-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 개루프(Open-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A, PUCCH 및 PUSCH를 위한 2비트 전력 조절의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 및 PUCCH 및 PUSCH를 위한 1비트 전력 조절의 TPC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A 등이 있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제어영역(region)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RB) 쌍(pair, 51, 52)으로 할당되고, RB 쌍에 속하는 RB들(51,52)은 2개의 슬롯들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
PUCCH는 다중 포맷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변조 방식(modualtion scheme)에 따라 서브프레임당 서로 다른 비트 수를 갖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을 사용하는 경우(PUCCH 포맷 1a) 1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PUCCH 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을 사용하는 경우(PUCCH 포맷 1b) 2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PUCCH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PUCCH 포맷은 이외에도 포맷 1, 포맷 2, 포맷 2a, 포맷 2b 등이 있다(이는 3GPP TS 36.211 V8.2.0 (2008-03)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5.4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중계국이 수행할 수 있는 동작과 제한 요건을 나타낸다.
중계국은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B-UL Tx), 백홀 하향링크 수신(B-DL Rx)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중계국과의 관계에서 백홀 하향링크 전송(B-DL Tx), 백홀 상향링크 수신(B-UL Tx)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과의 관계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A-DL Tx),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A-UL Rx)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국 단말은 중계국과의 관계에서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A-UL Tx), 액세스 하향링크 수신(A-DL Rx)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과의 관계에서 매크로 하향링크 전송(M-DL Tx), 매크로 상향링크 수신(M-UL Rx)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국은 자기 간섭(self interference)으로 인해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없다. 즉, 중계국은 백홀 하향링크 수신(B-DL Rx)과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A-DL Tx)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중계국은 백홀 상향링크 전송(B-UL Tx)과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A-UL Rx)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전송, 수신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계국은 백홀 하향링크 수신(B-DL Rx) 및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A-DL Tx)의 스위칭 시 보호 구간(guard time, 또는 guard period)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백홀 상향링크 전송(B-UL Tx)과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A-UL Rx) 간의 스위칭 시에 보호 구간이 필요하다. 중계국에서 사용되는 아날로그 증폭기(analog amplifier)의 천이 시간(transient time) 특성을 고려할 때 보호 구간은 대략 20 마이크로 초(μs) 정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보호 구간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보호 구간은 1 심벌(예를 들어 1 OFDM 심벌 또는 1 SC-FDMA 심벌)보다 작은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즉, 보호 구간은 시간 측면에서 1 심벌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보호 구간의 위치 및 시간 구간의 크기는 백홀 서브프레임의 구조와 액세스 서브프레임간의 타이밍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구간 중 어느 하나가 도 7과 같이 서브프레임의 가운데 심벌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각 보호 구간이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및 마지막 심벌에 위치할 수도 있다. 3GPP LTE에서는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가 서브프레임이다. 따라서, 중계국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전송/수신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 서브프레임 단위로 이러한 스위칭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보호 구간은 도 8과 같이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심벌 및 마지막 심벌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심벌 내에 보호 구간이 위치하게 되면 보호 구간이 1 심벌보다 작은 시간 구간을 차지하더라도 해당 심벌을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도 7 및 도 8에서 사용할 수 없는 심벌의 일 부분을 ‘N’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보호 구간을 포함하는 심벌은 낭비된다.
또한, 3GPP LTE에서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구간으로 인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을 사용할 수 없다면, 중계국은 SRS를 전송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새로운 심벌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즉, 종래의 심벌 예컨대, OFDM 심벌 또는 SC-FDMA 심벌보다 작은 시간 구간을 가지는 심벌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심벌을 보호 구간에 의해 낭비되는 시간 구간에 적용하여 무선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기지국, 중계국 및 단말 간의 신호 전송/수신 서브프레임을 오프셋 시간 또는/및 추가적 정렬 정보를 통해 쉬프트 시킴으로써 해결하는 것이다.
먼저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용어를 정의한다.
도 9는 전달 지연 시간 및 오프셋 시간을 나타낸다.
도 9 (a)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백홀 하향링크 전송(B-DL Tx)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중계국이 백홀 하향링크 수신(B-DL Rx)을 수행하는 것은 전달 지연 시간(propagation delay time, Tp) 후이다. 즉, 전달 지연 시간은 소스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과 목적국이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에 있어, 물리적 신호 전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시간이다. 오프셋 시간(offset time, To)은 중계국의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과 액세스 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의도적인 오프셋을 의미한다. 도 9 (a)에서 중계국의 백홀 하향링크 수신(B-DL Rx)과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A-DL Tx)는 오프셋 시간(To)을 가지고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전달 지연 시간 및/또는 오프셋 시간은 기지국에 의해 중계국 및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P-BCH의 동기화 신호를 통해 오프셋 시간을 전송할 수도 있고, 물리적 채널 예를 들면 PDCCH를 통해 오프셋 시간을 전송할 수도 있다. 중계국 또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오프셋 시간을 수신하면 그에 따른 타이밍에 의해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
도 9(b)는 도 9(a)의 전달 지연 시간을 제외하고 나타낸 것이다. 전달 지연 시간을 제외하면 도 9(a)는 도 9(b)와 같이 간단히 표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필요에 따라 전달 지연 시간을 제외하고 기지국, 중계국 및 단말 간의 신호 전송/수신에 대한 시간관계를 표시하기도 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관계를 매크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나타낸 예들이다. 이 때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A-DL Tx 서브프레임과의 시간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매크로 서브프레임과 B-DL Tx 서브프레임은 정렬되어 있다. B-DL Rx 서브프레임은 전달 지연 시간(Tp)을 고려하여 B-DL Tx 서브프레임과 비교하여 Tp만큼 시간적으로 뒤에 위치한다. A-DL Tx 서브프레임은 B-DL Rx 서브프레임에서 고정된 오프셋 시간(offset time, To) 만큼 쉬프트되어 위치한다. 중계국에서의 스위칭 시간이 싸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보다 긴 경우이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서 중계국이 K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중계국 단말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R-PDCCH에 사용되는 심벌의 개수가 K개라고 가정하자(이하 모두 동일). 그러면,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M = K+1에서부터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 인덱스까지의 심벌에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국이 전송하는 R-PDCCH에 사용하는 심벌의 개수가 2개라고 가정하면,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3인 심벌부터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인 심벌 인덱스 13까지의 심벌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가 3인 심벌과 심벌 인덱스가 13인 심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백홀 링크의 가용 무선자원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과 B-DL Tx 서브프레임,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A-DL Tx 서브프레임과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이러한 시간 관계는 중계국의 스위칭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예를 들어 싸이클릭 프리픽스보다 짧은 경우)이고, B-DL Rx 서브프레임과 A-DL Tx 서브프레임이 정렬되어 있는 경우이다. 중계국에서 사용하는 아날로그 증폭기의 성능에 따라 스위칭 시간이 매우 짧을 수 있다. 이 때, 보호 구간은 B-DL Rx 서브프레임의 심벌 인덱스 2인 심벌의 앞, 심벌 인덱스 13인 심벌의 뒤에 위치하게 된다. 보호 구간의 시간 구간이 싸이클릭 프리픽스보다 짧기 때문에 심벌간의 동기화(synchronization)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서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M = K 부터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 인덱스까지의 심벌에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도 10과와 비교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심벌 인덱스가 K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 및 B-DL Tx 서브프레임,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A-DL Tx 서브프레임과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B-DL Tx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의 A-DL Tx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시간에 시작된다(즉, 동기화되어 있다). B-DL Rx 서브프레임은 B-DL Tx 서브프레임에 비해 전달 지연 시간만큼 뒤로 쉬프트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는 전달 지연 시간 Tp 가 하나의 심벌 구간 L 보다 짧고, 전달 지연 시간 Tp 가 보호 구간 G1 보다 짧으며 (Tp + 보호 구간 G2)가 심벌 구간 L 보다 짧은 경우이다. 이것은 [(Tp < L) & (Tp < G1) & (Tp + G2 < L), 심벌 구간 = L]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M이 K 이상인 심벌에서 심벌 인덱스가 n인 심벌까지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심벌 인덱스 n은 전달 지연 시간 Tp 및 스위칭 시간에 따른 보호 구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K=2인 경우, 도 12에서는 중계국이 심벌 인덱스 M = 3부터 12까지의 심벌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보호 구간 G1이 전달 지연 시간 Tp보다 작고, Tp 는 심벌 구간 L 보다 작으며, Tp와 보호 구간 G2의 합이 심벌 구간 L 보다 작은 경우이다. 즉, [( G1 < Tp < L) & (Tp + G2 < L), 심벌 구간 = L ]이다. 이러한 경우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M = 2부터 12까지의 심벌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11개의 심벌을 백홀 하향링크 수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보호 구간 G1이 전달 지연 시간 Tp보다 작고, Tp 는 심벌 구간 L 보다 작으며, Tp 와 보호 구간 G2의 합이 심벌 구간 L 보다 큰 경우이다. 즉, [(G1 < Tp < L) & (Tp + G2 > L), 심벌 구간 = L]이다. 이러한 경우,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M = 2부터 11까지의 심벌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10개의 심벌을 백홀 하향링크 수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1은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B-UL Tx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으로부터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A-UL Rx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관계를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나타낸 예들이다. 이 때,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이 고정된 오프셋 값으로 시차를 두고 있다. 도 15에서는 오프셋 시간(To)이 음의 값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중계국은 SC-FDMA 심벌 인덱스가 0인 심벌은 천공하고, SC-FDMA 심벌 인덱스가 1인 심벌부터 13인 심벌까지 13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즉, 중계국이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B-UL Tx 서브프레임과 중계국 단말로부터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A-UL Rx 서브프레임 간에 오프셋 시간을 주어 중계국이 13개의 심벌을 백홀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6은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 사이에 시차를 두지 않고 있다. 즉, 오프셋 값이 없다. 이러한 시간 관계는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이 정렬되어 있고 중계국의 스위칭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예를 들면 싸이클릭 프리픽스보다 짧은 경우)이다. 중계국의 스위칭 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에는 보호 구간이 매우 짧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중계국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과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의 스위칭에 필요한 보호 구간이 서브프레임 구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중계국은 SC-FDMA 심벌 인덱스가 0인 심벌부터 13인 심벌까지 14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이 고정된 오프셋 값으로 시차를 두고 있다. 오프셋 시간이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6과 비교하여 차이점은 중계국의 A-UL Rx 서브프레임과 B-UL Tx 서브프레임 사이에 필요한 보호 구간이 A-UL Rx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점이다. 따라서, 중계국은 SC-FDMA 심벌 인덱스가 0인 심벌부터 13인 심벌까지 14개의 심벌 모두를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반면 A-UL Rx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에 보호 구간이 위치하므로 중계국 단말은 상기 마지막 심벌에서 SRS를 전송하기 어려울 수 있다. 중계국이 이러한 SRS를 수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18은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이 고정된 오프셋 값으로 시차를 두고 있다. 도 17과의 차이는 오프셋 시간이 양의 값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한다는 점이다. 즉, A-UL Rx 서브프레임이 B-UL Tx 서브프레임보다 오프셋 시간만큼 시간적으로 앞서게 된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서 중계국은 SC-FDMA 심벌 인덱스가 0인 심벌부터 12인 심벌까지 13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B-UL Tx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 즉 심벌 인덱스가 13인 심벌은 보호 구간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다.
도 19는 중계국의 A-UL Rx 서브프레임과 기지국의 B-UL Rx 서브프레임이 정렬되어 있고, B-UL Tx 서브프레임이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시간 관계는 전달 지연 시간 Tp 와 보호 구간 G1의 합이 하나의 심벌 구간 L 보다 작고, 전달 지연 시간 Tp 가 보호 구간 G1 보다 작으며, 전달 지연 시간 Tp 와 심벌 구간 L의 합이 보호 구간 G2보다 큰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 (Tp + G1 < L) & (Tp < G1) & (Tp + L > G2), 심벌 구간 = L ]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중계국은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심벌 인덱스 N이 1보다 큰 심벌에서 심벌 인덱스 N이 12인 심벌까지의 구간을 이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즉, 12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와 마찬가지로 중계국의 A-UL Rx 서브프레임과 기지국의 B-UL Rx 서브프레임이 정렬되어 있고, B-UL Tx 서브프레임이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도 19와의 차이는 적용 요건의 차이이다. 도 20과 같은 시간 관계는 전달 지연 시간 Tp 와 보호 구간 G1의 합이 하나의 심벌 구간 L보다 작고, 보호 구간 G2가 전달 지연 시간 Tp 보다 작고 전달 지연 시간 Tp 는 심벌 구간 L 보다 작은 경우에 이러한 시간 관계가 적용될 수 있다. 즉, [(Tp + G1) < L & (G2 < Tp < L), 심벌 구간 = L ]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N이 1인 심벌부터 13인 심벌까지의 구간을 이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즉, 13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0과 마찬가지로 중계국의 A-UL Rx 서브프레임과 기지국의 B-UL Rx 서브프레임이 정렬되어 있고, B-UL Tx 서브프레임이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도 21의 시간 관계가 적용되는 적용 요건은 전달 지연 시간 Tp 와 보호 구간 G1의 합이 하나의 심벌 구간 L 보다 작고, 보호 구간 G2가 전달 지연 시간 Tp 보다 작으며 전달 지연 시간 Tp 는 심벌 구간 L 보다 작은 경우이다. 즉, [(Tp + G1 > L) & (G2 < Tp < L), 심벌 구간 = L]이다. 중계국은 심벌 인덱스 N이 2인 심벌부터 13인 심벌까지 12개의 심벌을 이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이제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각 장치가 어떠한 시간 관계를 가지고 동작하는지 설명한다.
도 22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22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22를 참조하면, 기지국(eNB)과 중계국(RN) 또는 기지국(eNB)과 중계국 단말(UE) 간에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가 동기화되어 있다. 서브프레임 #(n+1)에서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이 전송하는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A-UL Rx)하고, 서브프레임 #(n+2)에서 백홀 상향링크 신호로 전송(B-UL Tx)한다. 도 2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n+2) 또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백홀 상향링크 신호 전송(B-UL Tx) 시에 서브프레임 내에 보호 구간이 위치하게 되므로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중계국은 축소 포맷 즉,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14개의 심벌 중 첫번째 심벌 및 마지막 심벌을 천공하고 12개의 심벌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축소 포맷을 이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국은 백홀 SRS(S’으로 표시)을 전송하고자 하면 특수한 형태의 SRS를 전송하여야 한다. 즉, 1 심벌보다 작은 구간에 대해 정의된 특수한 형태의 SRS를 생성하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에서 백홀 SRS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23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23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23을 참조하면,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시간 관계와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시간 관계에 있어 고정된 시간만큼 오프셋이 존재한다. 서브프레임 #(n+1)에서 중계국의 A-DL Tx 서브프레임 및 A-UL Rx서브프레임, 중계국 단말의 A-DL R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은 매크로 서브프레임인 M-DL Tx 서브프레임 및 M-UL Rx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To만큼 앞으로 쉬프트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To는 기지국에 의해 주어지는 값이며, 백홀 링크에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에 동작하게 되면, 중계국은 13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즉, 앞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중계국은 10개 또는 11개의 심벌을 통해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즉, 앞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4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4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24를 참조하면,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시간 관계와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시간 관계에 있어 고정된 시간만큼 오프셋이 존재한다. 서브프레임 #(n+1)에서 중계국의 A-DL Tx 서브프레임 및 A-UL Rx서브프레임, 중계국 단말의 A-DL R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은 매크로 서브프레임인 M-DL Tx 서브프레임 및 M-UL Rx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To만큼 뒤로 쉬프트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도 23과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To는 기지국에 의해 주어지는 값이며, 백홀 링크에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에 동작하게 되면, 중계국은 13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앞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3과 비교하여 차이점은 중계국이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B-UL Tx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이 사용가능하며, 매크로 서브프레임과 심벌 단위의 동기가 일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백홀 SRS(S’으로 표시)을 매크로 단말이 전송하는 SRS와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중계국은 14개의 심벌을 모두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노멀 CP의 경우). 즉,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A-UL Rx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에서 중계국은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보호 구간(G1)을 둔다.
또한,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하는 R-PDCCH에 사용되는 심벌의 개수가 K개인 경우, 심벌 인덱스 K+1인 심벌에서 마지막 인덱스의 심벌까지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5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5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25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 즉, M-DL Tx 서브프레임과 M-UL Rx 서브프레임이 정렬되어 있지 않다(misalign). 중계국의 액세스 서브프레임 즉, A-DL Tx 서브프레임 및 A-UL Rx 서브프레임은 정렬되어 있다. 중계국의 액세서 서브프레임은 중계국의 백홀 서브프레임과 To 만큼의 오프셋 시간을 가진다. 즉, 중계국의 액세스 서브프레임이 백홀 서브프레임에 비해 To만큼 시간적으로 앞서 있다. 이러한 오프셋 시간으로 인해 중계국은 B-UL Tx 서브프레임의 13개의 심벌을 사용하여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노멀 CP의 경우). 또한, 중계국이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SRS(S’으로 표시)을 전송하는 경우 매크로 단말이 SRS를 전송하는 심벌과 심벌 단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26 및 도 27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6 및 도 27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M-UL Rx 서브프레임을 B-UL Rx 서브프레임과 심벌 단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앞으로 쉬프트 할 수 있다. 기지국의 B-DL Tx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은 동기화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의 B-UL Rx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은 동기화되어 있다. 중계국에서 액세스 서브프레임 즉, A-DL Tx 서브프레임 및 A-UL Rx 서브프레임은 동기화되어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 의해 M-UL Rx 서브프레임과 B-UL Rx 서브프레임은 심벌 단위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중계국은 백홀 SRS를 1 심벌 보다 작은 시간 영역에 배치하는 특수한 SRS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심벌 단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매크로 단말이 전송하는 SRS와 중계국이 전송하는 백홀 SRS 간의 간섭이 줄어들게 된다. 도 27은 도 26에 대하여 보호 구간을 다른 구간으로 표시한 해석의 차이이다.
도 28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8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28을 참조하면, 기지국의 매크로 서브프레임 및 백홀 서브프레임, 중계국의 백홀 서브프레임 및 액세스 서브프레임, 중계국 단말의 액세스 서브프레임들이 모두 정렬되어 있고, 동기화되어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서 기지국은 B-DL Tx 서브프레임에서 보호 구간으로 인해 2개의 심벌이 낭비되며, 마찬가지로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에서도 보호 구간으로 인해 2개의 심벌이 낭비된다. 기지국의 B-UL Rx 서브프레임,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도 마찬가지이다. 보호 구간을 포함하는 심벌들에서 ‘U’로 표시된 부분이 낭비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심벌의 일부를 일부 심벌(partial symbol)이라 칭한다면, 일부 심벌의 낭비 문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새로운 심벌을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도 29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29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표시한다.
이하에서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시간을 RTDeNB-RN이라 표시하고,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을 RTDRN -UE라고 표시한다. 전달 지연 시간은 기지국과 중계국 간에서 (RTDeNB - RN /2)일 수 있고,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에서 (RTDRN - UE /2)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B-UL Rx 서브프레임은 M-UL Rx 서브프레임과 정렬되어 있다. 중계국은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B-UL Tx 서브프레임이 기지국의 B-UL Rx 서브프레임보다 (RTDeNB - RN /2)만큼 앞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의 B-DL Tx 서브프레임보다 (RTDeNB - RN /2)만큼 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과 B-DL Rx 서브프레임은 RTDeNB - RN만큼 차이가 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중계국의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즉, B-UL Tx 서브프레임 및 B-DL Rx 서브프레임은 정렬되어 있지 않다. 중계국에서 B-DL Rx 서브프레임과 A-DL Tx 서브프레임은 스위칭되어 사용되고,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이 스위칭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면 중계국의 A-D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도 RTDeNB - RN만큼 차이가 나게 위치하여야 한다.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사이를 고려할 때 액세스 상향링크의 경우, 중계국 단말은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RTDRN - UE /2)만큼 앞서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면 된다. 즉, 중계국 단말의 A-UL Tx 서브프레임은 중계국의 A-UL Rx 서브프레임보다 (RTDRN - UE /2)만큼 앞서 위치하면 된다. 액세스 하향링크의 경우, 중계국의 A-DL Tx 서브프레임이 중계국 단말의 A-DL Rx 서브프레임보다 (RTDRN - UE /2)만큼 앞서 위치하면 된다. 그런데 이미 중계국의 A-D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 간에 RTDeNB - RN만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계국 단말의 A-UL Tx 서브프레임과 A-DL Rx 서브프레임은 RTDRN - UE만큼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RTDeNB - RN + RTDRN - UE)만큼 차이가 나게 위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 의하면, 레거시 단말 예를 들어, 3GPP LTE release 8에 의해 동작하는 단말이 셀 내에 진입하는 등의 이유로 최초 접속(initial access)를 시도하는 경우, 레거시 단말은 목적국이 기지국인지 중계국인지 알 수 없으므로 종래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사용하던 방법과 동일하게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중계국의 셀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큰 커버리지를 가지는 프리앰블을 전송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중계국에서 백홀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 가능한 무선자원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0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0에서는 전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표시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중계국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즉, B-DL Tx 서브프레임과 A-DL Tx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즉,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Rx 서브프레임)이 정렬되어 있다. 중계국의 B-UL Tx 서브프레임 및 B-DL Rx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의 B-UL Rx 서브프레임 및 B-DL Tx 서브프레임에 비해 (RTDeNB - RN /2)만큼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는 레거시 단말 예컨대, 3GPP LTE release 8에 의해 동작하는 단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중계국이 백홀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RTDeNB - RN만큼 줄어들게 되지만, 레거시 단말은 종래 A-DL Rx 서브프레임과 A-UL Tx 서브프레임 간의 시차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계국은 만약 RTDeNB - RN이 보호 구간보다 큰 경우, 백홀 SRS를 매크로 단말이 전송하는 SRS와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브프레임의 심벌 단위로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이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시간 관계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G’가 표시된 부분은 보호 구간을 의미하고, ‘S’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SRS, ‘S’’는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백홀 SRS를 의미한다. 전달 지연 시간은 표시하지 않는다.
도 31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간의 시간 관계(timing relationship)를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M-UL Rx 서브프레임, M-DL Tx 서브프레임, B-DL Rx 서브프레임, B-UL Tx 서브프레임, A-DL Rx 서브프레임, A-UL Tx 서브프레임들이 서브프레임 경계(subframe boundary)를 기준으로 정렬(align)되어 있다. B-DL Rx 서브프레임과 B-UL Tx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경계는 정렬되어 있으나, 보호 구간이 포함되어 심벌 단위로는 정렬되어 있지 않다. B-DL Rx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보호 구간은 도 31과 다른 심벌에 포함될 수 있으며 B-UL Tx 서브프레임에 서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심벌의 시작점도 도 31과 다를 수 있다.
도 32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M-UL Rx 서브프레임 및 M-DL Tx 서브프레임에 대해 B-DL Rx 서브프레임, B-UL Tx 서브프레임, A-DL Rx 서브프레임, A-UL Tx 서브프레임들이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다른 타이밍을 가진다. 즉,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B-UL Tx 서브프레임, 중계국 단말의 A-DL Rx 서브프레임, A-UL Tx 서브프레임은 음(negative)의 오프셋 시간을 가진다. 기지국은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이 이러한 시간 관계를 가지도록 오프셋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SRS가 전송되는 심벌은 M-UL Rx 서브프레임에서 매크로 SRS를 수신하는 심벌과 심벌 단위로 정렬된다.
도 33은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3은 도 32와 달리 M-UL Rx 서브프레임 및 M-DL Tx 서브프레임에 대해 중계국의 B-DL Rx 서브프레임 및 B-UL Tx 서브프레임, 중계국 단말의 A-DL R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이 양(positive)의 타이밍 오프셋을 가진다.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백홀 SRS는 매크로 단말이 전송하는 매크로 SRS(즉, M-UL Rx에서 수신하는 매크로 SRS)와 서로 다른 심벌(B-UL Tx 서브프레임의 13번째 심벌)에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매크로 SRS와 백홀 SRS가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14번째 심벌)에서 다중화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4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M-DL Tx 서브프레임, B-DL Rx 서브프레임, A-DL Rx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다. 즉, 매크로 서브프레임과 백홀 서브프레임 및 액세스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다. 반면, M-UL Rx 서브프레임에 대해 B-UL T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다. 기지국은 추가적인 시간 보정 명령(additional timing adjustment command, TA’으로 표시)을 중계국이나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시간 관계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시간 보정 명령은 전달 지연 시간 또는 라운드 트립 시간을 보상하기 위해 기존의 시간 보정 명령에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기존의 레거시 단말은 추가적 시간 보정 명령을 이해할 수 없어 이러한 시간 관계를 적용하기 어려우나, 추가적인 시간 보정 명령(TA’)을 이해할 수 있는 단말에게는 적용할 수 있다. 도 34에서는 음의 값을 가지는 TA’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B-UL T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이 시간적으로 뒤로 쉬프트 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간 관계에서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백홀 SRS와 매크로 SRS는 심벌 단위로 정렬될 수 있다.
도 35는 기지국, 중계국 및 중계국 단말 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도 35는 도 34와 마찬가지로 M-DL Tx 서브프레임, B-DL Rx 서브프레임, A-DL Rx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다. 반면, M-UL Rx 서브프레임, B-UL Tx 서브프레임, A-UL Tx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다. 도 35에서 도 34와의 차이는 추가적인 시간 보정 명령이 양의 값으로 설정되는 차이가 있다. 즉, B-UL T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이 시간적으로 앞으로 쉬프트 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36은 기지국, 중계국 간의 타이밍 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이다.
M-DL Tx 서브프레임, B-DL Rx 서브프레임, A-DL Rx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다. M-UL Rx 서브프레임, B-UL Tx 서브프레임, A-UL Tx 서브프레임에 대해 양의 값을 가지는 시간 보정 명령이 적용된다. 도 35와 비교하여 B-UL T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이 쉬프트 되는 정도가 1 심벌 이상이라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1 심벌 + 보호 구간)만큼 B-UL Tx 서브프레임 및 A-UL Tx 서브프레임이 앞으로 쉬프트 될 수 있다. B-UL Tx 서브프레임과 A-UL Tx 서브프레임이 모두 앞으로 쉬프트 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다.
B-UL Tx 서브프레임이 1 심벌 이상 앞으로 쉬프트되는 경우, 보호 구간을 제외한 첫번째 심벌에서 백홀 SRS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L Rx의 매크로 SRS와 비교하여 심벌 단위로 정렬될 수 있다. 매크로 SRS와 백홀 SRS가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으므로 M-UL Rx에서 수신되는 PUSCH, PUCCH와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백홀 SRS를 전송하는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심벌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에게 항상 축소 포맷(shortened format)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SRS의 전송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매크로 단말이 축소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는 것이다. 또는 매크로 단말이 매크로 SRS를 전송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을 중계국에게 알려주고 기지국은 그러한 서브프레임을 축소 포맷을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중계국은 백홀 SRS의 전송 여부, R-PUSCH 의 포맷 등을 결정할 때 사용 가능한 백홀 자원의 양을 고려할 수 있다. 매크로 SRS 전송 타이밍 및 백홀 SRS 전송 타이밍 정보를 기지국과 중계국 간에 공유함으로써 자원활용을 높일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은 백홀 SRS를 전송하는 B-UL Tx 서브프레임의 심벌 인덱스를 예시한다.
도 37 및 도 3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B-UL Tx 서브프레임의 보호 구간을 제외한 첫번째 심벌에서 백홀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B-UL Tx 서브프레임의 심벌 인덱스는 보호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에서 심벌 단위(예를 들면 OFDM 심벌 또는 SC-FDMA 심벌 단위)로 인덱스를 부여할 수 있다. 도 37에서는 백홀 SRS가 전송되는 첫번째 심벌의 인덱스를 12로 하고, 이후의 심벌에 대해 차례로 0부터 11까지 인덱스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심벌 인덱스 부여 방법에 의해 물리적 자원 위치에도 불구하고 백홀 SRS는 항상 심벌 12에서 전송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도 38에서는 백홀 SRS가 전송되는 첫번째 심벌의 인덱스를 0으로 하고 이후의 심벌에 대해 차례로 1부터 12까지 인덱스를 부여하고 있다. 백홀 SRS가 전송되는 경우,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13개의 심벌이 사용되고, 백홀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B-UL Tx 서브프레임에서 12개의 심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9는 소스국 및 목적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소스국(10)은 기지국일 수 있으며, 소스국(10)은 프로세서(processor, 11), 메모리(memory, 12)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즉, 목적국으로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오프셋 시간, 추가적인 시간 보정 명령(TA’)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는 프로세서(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3)는 프로세서(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목적국(20)은 단말 즉, 중계국, 매크로 단말 또는 중계국 단말일 수 있다. 목적국(20)은 프로세서(21), 메모리(22) 및 RF부(2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는 동기 신호, 오프셋 시간, 추가적인 시간 보정 명령을 수신하여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의 시간을 결정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는 프로세서(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3)는 프로세서(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1,21)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전송기는 프로세서(51,61)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22)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3,23)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2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2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22)는 프로세서(11,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1,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이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및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경계에 시간적으로 정렬되어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및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제1 슬롯 및 제2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및 제2 슬롯 각각은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과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경계에 시간적으로 정렬되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의 제2 슬롯에서 첫번째 OFDM 심벌부터 6번째 OFDM 심벌이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과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경계에 시간적으로 정렬되지 않고 전송되는 경우,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의 제2 슬롯에서 첫번째 OFDM 심벌부터 7번째 OFDM 심벌이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최초 K개의 심벌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심벌 인덱스가 K+1인 심벌에서 마지막 심벌까지의 시간 구간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단. 상기 심벌 인덱스는 0부터 시작된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K 는 1 또는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오프셋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및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 간의 시간 차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과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 간의 스위칭 시간이 싸이클릭 프리픽스보다 짧은 경우,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에서 심벌 인덱스가 K인 심벌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까지의 시간 구간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이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에게 매크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매크로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과 동기화되는 경우,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에서 심벌 인덱스가 K 이상인 심벌부터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에서 노멀 CP의 경우, 10개 또는 11개의 심벌 구간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기지국이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백홀 하향링크 수신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되, 상기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및 상기 백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경계에 시간적으로 정렬되어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상기 백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13907A 2008-06-15 2010-02-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9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08035.XA CN102318229B (zh) 2009-02-16 2010-02-16 在无线通信系统中从中继站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PCT/KR2010/000950 WO2010093221A2 (ko) 2009-02-16 2010-02-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3/201,805 US8576900B2 (en) 2008-06-15 2010-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1550063A JP5373924B2 (ja) 2009-02-16 2010-02-16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局の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EP10741438.5A EP2398161A4 (en) 2009-02-16 2010-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4/044,577 US9001876B2 (en) 2009-02-16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4/657,976 US9698946B2 (en) 2009-02-16 2015-03-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95109P 2009-02-16 2009-02-16
US61/152,951 2009-02-16
US18726609P 2009-06-15 2009-06-15
US61/187,266 2009-06-15
US21972709P 2009-06-23 2009-06-23
US61/219,727 2009-06-23
US23616209P 2009-08-24 2009-08-24
US61/236,162 2009-08-24
US29886210P 2010-01-27 2010-01-27
US61/298,862 201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503A KR20100093503A (ko) 2010-08-25
KR101595131B1 true KR101595131B1 (ko) 2016-02-18

Family

ID=5629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907A KR101595131B1 (ko) 2008-06-15 2010-02-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001876B2 (ko)
KR (1) KR101595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31B1 (ko) * 2009-02-16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690799A4 (en) * 2011-03-25 2014-10-08 Lg Electronics Inc TERRESTRIAL LINK SUB-FRAME STRUCT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WO2013065824A1 (ja) 2011-11-04 2013-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10344597B2 (en) * 2015-08-17 2019-07-0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upped contour for gas turbine engine blade assembly
WO2017052448A1 (en) * 2015-09-25 2017-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EP3457794A4 (en) * 2016-05-10 2019-11-06 NTT DoCoMo,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375707B2 (en) * 2016-08-04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
CN108282303B (zh) * 2017-01-06 2023-03-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信号传输的方法及设备
EP3503637A3 (en) * 2017-12-21 2019-09-0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backhaul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52059B2 (en) * 2018-06-19 2020-05-12 CoreTigo, Ltd. Mission critical wireless communication link master gateway
US11503555B2 (en) * 2018-08-17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iming adjustment for new radio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CN111989957A (zh) 2018-09-27 2020-11-24 三星电子株式会社 集成接入和回程中的功率控制的改进以及与其相关的改进
CN114041313A (zh) * 2019-05-28 2022-02-11 苹果公司 集成接入和回程系统中的软资源信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364A (en) 1995-08-31 2000-08-22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repeater for use in a CDMA system
JP2007166620A (ja) 2005-12-10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ホップ中継方式の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作転換ギャップ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0232A1 (en) 2006-03-03 2007-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5125027B2 (ja) 2006-08-17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中継通信方法並びに無線基地局及び無線中継局
JP4907260B2 (ja) 2006-08-18 2012-03-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中継システム、無線中継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462676B2 (en) * 2006-10-17 2013-06-11 Intel Corporation Frame structure for support of large delay spread deployment scenarios
KR100953590B1 (ko) 2007-03-02 2010-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기지국과 중계국간 프레임 오프셋 교섭 장치 및 방법
KR100895177B1 (ko) 2007-04-16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Tdd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기에서 전송 신호를 분리하는스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US8032183B2 (en) 2007-07-16 2011-10-04 Alcatel Lucent Architecture to support network-wide multiple-in-multiple-out wireless communication
US8681666B2 (en) * 2007-10-01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Partial discarding of cyclic prefix for efficient TDD or half-duplex FDD operation
US20090279458A1 (en) * 2008-03-24 2009-11-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plink and Down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Time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s
US8576900B2 (en) * 2008-06-15 2013-1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595131B1 (ko) * 2009-02-16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318229B (zh) 2009-02-16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从中继站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364A (en) 1995-08-31 2000-08-22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repeater for use in a CDMA system
JP2007110754A (ja) 1995-08-31 2007-04-26 Qualcomm Inc Cdma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時分割デュプレックス中継器
JP2007166620A (ja) 2005-12-10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ホップ中継方式の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作転換ギャップ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29508A1 (en) 2014-01-30
KR20100093503A (ko) 2010-08-25
US9001876B2 (en) 2015-04-07
US9698946B2 (en) 2017-07-04
US20150188676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13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37392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局の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85769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rom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048924B2 (en) Relay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relay station
KR101759366B1 (ko) 기지국과 중계 노드 사이의 백홀 링크 실패를 복구하는 방법 및 장치
US8773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2766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performed by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90140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665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relay station make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a multi-carrier system
KR101339477B1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단위 반송파 이용 방법 및 중계국
KR101643025B1 (ko) 중계국 및 중계국의 백홀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EP24481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2075762B1 (ko) Npusch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EP261345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relay station
KR10163908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61402B1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1002263A2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0137839A2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수행 방법 및 장치
US88674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758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