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96500A2 -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96500A2
WO2012096500A2 PCT/KR2012/000242 KR2012000242W WO2012096500A2 WO 2012096500 A2 WO2012096500 A2 WO 2012096500A2 KR 2012000242 W KR2012000242 W KR 2012000242W WO 2012096500 A2 WO2012096500 A2 WO 201209650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lactic acid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02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96500A3 (ko
Inventor
정대이
허윤정
최창순
최대건
Original Assignee
광주시농업기술센터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시농업기술센터,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filed Critical 광주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US13/978,59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295055A1/en
Publication of WO201209650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96500A2/ko
Publication of WO201209650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9650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an organic aci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 Probiotics are preparations containing live beneficial microorganisms that settle in the intestines of animals to inhibit the growth of harmful microorganisms through competitive exclusion from other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to promote the growth of animals and feed efficiency by helping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the feed consumed. It refers to a microbial agent that improves and is also called probiotic or direct-fedmicrobials (DFM).
  • DFM direct-fedmicrobials
  • lactic acid bacteria having the most effective effects such as improving immunity, improving livestock environment, and raising livestock productivity are most frequently used.
  •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factors that can reduce the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reduce stress on the digestive system due to high unit feed, lack of exercise and disinfection, and reduce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It is an effective alternative.
  • lactic acid bacteria most commonly used as probiotics show various antibacterial activity, which is attributed to various organic acids, hydrogen peroxide, and bacteriocin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 bacteriocin an antibacterial substance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s known to increase steriliza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cell wall penetration rate to harmful strains at low pH. Therefore,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pH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live lactic acid bacteria as the main live bacteria, having a disinfection effect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as well as live bacteria efficacy by adding an organic acid.
  • livestock virus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 as the main probiotic
  •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of live virus efficacy having a disinfection effect against virus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the preservation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a liquid stabilizer to improve the preservation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which comprises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an organic acid, wherein the organic acid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2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
  • the present invention (a) preparing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b) adding an organic acid to the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to prepare a probiotic composition having a pH of 2.1 to 3.5;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a.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an organic acid, wherein the organic acid is a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a liquid stabilizer to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0.002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It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probiotic composition for.
  • an organic acid is added to lactic acid bacteria as a main live bacterium, thereby providing a new economic probiotic composition for livestock while being economical and saf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having a bactericidal effect such as food poisoning bacteria as well as viable bacteria by adding an organic acid to lactic acid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having a disinfection effect against viruses by adding an organic acid to lactic acid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viability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by providing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 1 is a graph showing the pH change according to the culture time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ulture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 test for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6.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ontrol effect of Salmonella bacteria for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Salmonella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tric acid to Salmonella
  • Figure 4b shows the result of adding only citric acid to Salmonella.
  • Figure 5a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Salmonella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lactic acid to Salmonella
  • Figure 5b shows the result of adding only lactic acid to Salmonella.
  • Figure 6a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Salmonella bacteria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malic acid to Salmonella
  • Figure 6b shows the results of adding only malic acid to Salmonella.
  • Figure 7a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E. coli control effect by adding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tric acid to E. coli
  • Figure 7b shows the result of adding only citric acid to E. coli.
  • FIG. 8A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E. coli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lactic acid to E. coli
  • FIG. 8B shows the result of adding only lactic acid to E. coli.
  • FIG. 9a shows the result of evaluating E. coli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malic acid to E. coli
  • FIG. 9b shows the result of adding only malic acid to E. coli.
  • Figure 10a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Listeria bacteria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tric acid to Listeria bacteria
  • Figure 10b shows the results of adding only citric acid to Listeria bacteria.
  • Figure 11a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Listeria bacteria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lactic acid to Listeria bacteria
  • Figure 11b shows the results of adding only lactic acid to Listeria bacteria.
  • Figure 12a show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Listeria bacteria control effect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malic acid to Listeria bacteria
  • Figure 12b shows the results of adding only malic acid to Listeria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es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an organic acid.
  • the lactic acid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microorganisms used as live bacteria, because it does not give a specific pathogenicity to animals or humans is the most effective and safe bacteria to use as live bacteria except in special cases.
  • These lactic acid bacteria are lactic acid bacteria that produce lactic acid as fermentation products by using the sugar component as an energy source, when used in livestock products by inhibiting the growth of decay or pathogenic microorganisms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intestinal function, digestive diseases.
  • the production of digestive enzymes increases the feed efficiency, improves the weight gain of livestock products,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odor of the barn through the inhibition of decaying bacteria, food poisoning bacteria and the like.
  • foot-and-mouth virus which is a problem recently, is most active at pH 7.2 to 7.6, and at 4 ° C. or lower, it can survive for a long time even at a pH of 6.7 or lower or at a pH of 9.5 or higher.
  • it is known to die rapidly at pH 5.0 or lower or pH 11.0 or higher and completely destroy in about 30 minutes at 56 ° C.
  • Avian influenza virus like foot-and-mouth disease virus, is very sensitive to acidity and dies rapidly at pH 5.0 and below.
  • the lactic acid bacteria when used in a foot-and-mouth disease, avian influenza-related livestock buried in large quantities, it can self-proliferate to prevent invasion of decaying bacteria or food poisoning bacteria and to prevent odor of the buried land, and to reduce the generation of gas.
  • the lactic acid bacteria when actually used as a livestock probiotic, the dilution step is performed.
  • the probiotic efficacy can be maintained due to excessive pH rise depending on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and dilution concentration, but it is not easy to achieve the above effects.
  • the present invento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to the livestock product or spraying, after the study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that can exhibit the combined efficacy, such as live virus efficacy, bactericidal efficacy, etc.
  • the combined efficacy such as live virus efficacy, bactericidal efficacy, etc.
  • the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lassified into genus, they can be divided into cocci such as Enterococcus, bacillus such as Lactobacillus, and amorphous such as Bifidobacteria.
  • bacteria having excellent ability to kill harmful bacteria and high viability even at low acidity of 3.0 or les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delbrueckii , Lactobacillus brevis can be used.
  •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pH 4.0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optimum pH for the combined efficacy, such as viable bacteria and disinfection efficacy after the addition and dilution of the organic acid.
  • the organic acid is added to control the excessive increase of the pH due to dilution during administration or sparging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to maintain the probiotic efficacy of the probiotic composition and to exhibit bactericidal efficacy, 0.002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It is preferable to contain it,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contain 0.01-0.02 weight part.
  • the content of the organic acid is less than 0.002 parts by weight, the sterilization efficacy may be insufficient due to excessive pH increase during administration to the livestock product or dilution for spraying the livestock house, etc.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can reduce the viability of the bacteria.
  • the pH of the probio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organic acid addition amount is preferably 2.1 ⁇ 3.5.
  • the organic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hydrous citric acid, malic acid and lactic acid for food addition to ensure safety.
  • the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the organic acid is diluted for application to livestock products or for spraying, etc.
  • the probiotic composition has a dilution ratio of 10 to 100 times and a pH of 4 or less. It is preferably a probiotic composition diluted with.
  •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maintain the same level of probiotic efficacy as the probiotic composition using the existing lactic acid bacteria as a probiotic, and further could be found foot and mouth, bird flu virus killing effect.
  • cattle, pigs, goats, etc. may be mentio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a) preparing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b) adding an organic acid to the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to prepare a probiotic composition having a pH of 2.1 to 3.5;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lactic acid bacteria contained in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Lactobacillus bacteria having excellent ability to kill harmful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to select bacteria suitable for survival even in the pH showing the efficacy of sterilization, killing virus, while having the ability to kill harmful bacteria, if the acid resistance is strong lactic acid bacteria can be us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ation. .
  • the medium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may be a medium that is generally used, the exist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thod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the cost of the culture.
  •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containing 5-50% yeast extract, 1-10% glucose and 1-10% sugar (sucrose)
  • the medium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economical cultur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 the cultur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the vegetable raw material, the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at the level of 2.1 ⁇ 10 8 level shows excellent activity than the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 1.0 ⁇ 10 7 level by the conventionally used medium hav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culture to 1/3.
  • a cultur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can be cultured in stationary culture for 24 to 48 hours at 34 ⁇ 36 °C conditions to produce a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At this time, when out of the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the sterilization efficacy may not be exerted enough to use satisfactory.
  • the above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are applied, and when the pH of the cultured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is 4 or less, it is most preferable for showing bactericidal efficacy.
  •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it is preferable to add 0.05 to 0.15% by weight of glutamic acid and 0.5 to 1.5% by weight of sodium chloride (NaCl)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s an additive for preventing freezing in wint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 the organic acid may be diluted in a ratio of 10 to 100 times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to be adde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so that the pH of the probiotic composition may be 2.1 to 3.5.
  • the type of organic acid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hydrous citric acid, malic acid, and lactic acid for food addition to ensure safety,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al dilution is carried out in distilled water for administration to livestock products or for application to livestock houses. At this time, despite the diluti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proper pH (preferably pH 4 or less) for ex vivo efficacy.
  • the organic acid was adde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then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at a ratio of 10 to 100 tim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iotic composition had an effective disinfection effect while maintaining the pH of 4 or les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live virus effect of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for livestock, wherein the virus is killed by low pH, such as influenza virus, foot-and-mouth disease virus, swine vesicular disease virus, avian influenza virus, etc. It can contain all of the viruses.
  •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diluting 1 to 100-fold, and may be treated by diluting 10 to 50-fol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an organic acid in order to increase the viability of the lactic acid bacteria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contained in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the organic acid, characterized in that 0.002 ⁇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It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orage capacity of a livestock biocide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adding a liquid stabilizer to the livestock biocide composition.
  • the liquid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ehalose, glycerol, fructooligosaccharide, betaine, proline, dextran, maltose, sucrose, mannitol, polyol, silica gel, aminoguanidine, pyridoxamine and mixtures thereof. And preferably glycerol or fructooligosaccharide.
  • the liquid stabiliz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01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nd by adding a liquid stabilizer, the viability of the liquid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roved.
  •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liquid form or powder form, and may be used in the art, for example, well-known methods in the art, for example, lactic acid bacteria perlite and alginate.
  • the prepared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may be added to feed or the like, or directly orally administered, and used by spraying in a livestock barn to disinfect viruses or bacteria in the barn.
  • th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colonies were incubated in MRS liquid medium (Difco) for 24 hours in a constant temperature incubator at 35 ° C., followed by final lactic acid culture to check the pH of the MRS medium to select only lactic acid bacteria below pH3.8.
  • the nucleotide sequence of 16S rDNA of the selected lactic acid bacteria was analyz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 th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by the above method were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lutero,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delbrueckii , Lactobacillus brevis .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teria are strains with sufficient acid resistance, such bacteria were confirmed that the acid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is adjusted.
  • Lactobacillus plantarum was selected from among the above bacteria to perform more specific experiments. Subsequent experiments used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cultures were prepared using the following media to inoculate 1% spaw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t a level of 2.0 ⁇ 10 8 .
  • Preparation of the medium was to include 2.5% by weight yeast extract, 1.5% by weight glucose and 2% by weight sugar.
  •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was prepared for 48 hours at 35 °C culture.
  • 0.1 wt% glutamic acid and 1 wt% sodium chloride were adde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s an additive for preventing freezing.
  •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anhydrous citric acid After adding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anhydrous citric acid, 0.002 parts by weight, 0.0025 parts by weight, 0.0033 parts by weight, 0.005 parts by weight, 0.01 parts by weight, 0.02 parts by weight, 0.03 parts by weight, 0.0 5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 0.07 parts by weight and 0.1 parts by weight were adde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fter dilution with a dilution ratio as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 10 Dilution factor (times) 0 10 14 20 33 50 100 200 300 400 500 Content (parts by weight) 0 0.1 0.07 0.05 0.03 0.02 0.01 0.005 0.0033 0.0025 0.002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Example 4
  • Example 5 Example 6
  • Example 7 Example 8
  • Example 10 pH 3.67 2.16 2.25 2.48 2.68 2.84 3.04 3.21 3.3 3.37 3.45
  •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pH is maintained at 4 or less after 15 hours of incubation time.
  • the pH of the probiotic composition (Examples 1 to 10) is in the range of 2.1 to 3.5 at about 0.002 to 0.1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 100 to 100 by distilled water It can be seen that a probiotic composition (Examples 11 to 26) having a pH of 4 or less diluted with a 200-fold diluted probiotic composition can be obtained.
  • the probiotic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lactic aci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for producing the probiotic composition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1.1, and the lactic acid is diluted after adding lactic acid as in the process of (1). It was prepared to be.
  • Probiotic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malic aci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for producing the probiotic composition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1.1,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malic acid is finally 0.5%, 1%, 2% after adding and adding malic acid as in the process (1) It was prepared to be.
  • citric acid, malic acid, and lactic acid were adde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followed by dilution and treatment with Salmonella, E. coli, and Listeria. Evaluation of the inhibitory effect was performed by evaluating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over time, the number of bacteria was expressed as log 10 CFU / ml below by taking a log value.
  •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9585 and Salmonella typhimurium ATCC 43174 were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nd incubated in Rappaport-Vassiliadis Soya Peptone Broth (CM0866, Oxoid, UK) for 24 hours in a 37 ° C. bacterial incubator. The total bacterial count was used by diluting the stationary strain to 6-7 log (cfu / ml).
  • 10-fold step dilution was applied to MacConkey Agar (CM0115, Oxoid, UK), a plate selection medium of Salmonella.
  • the diluent was used 0.2% peptone water
  • the plated plate medium was counted for 24 hours in 37 °C bacteria incubator and counted the white single colony.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an average of three times in total.
  • Citric acid was added to 0.5%, 1.0% and 2.0%,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Salmonella over time.
  • Tables 5 and 6 show the inhibitory effects over time when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citric acid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added to Salmonella and when only citric acid was added to Salmonella.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4A and 4B, respectively.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terilize Salmonella bacteria, which showed more excellent effects than when citric acid was added alone.
  • Lactic acid was added to 0.5%, 1.0%, and 2.0% of Salmonella single colonie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 of inhibiting Salmonella with time was confirmed.
  • Tables 7 and 8 show the inhibitory effects over time when lactic acid and lactic aci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added to Salmonella and when only lactic acid was added to Salmonella.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5A and 5B, respectively.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terilize Salmonella, which was confirmed to show a more excellent effect than the addition of lactic acid alone. In particular, this difference was confirmed to be noticeable when more than 1% lactic acid was added.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terilize Salmonella, which was confirmed to show a more excellent effect than the addition of malic acid alone.
  • this difference was clearly seen as the concentration of the added malic acid was increased, and the addition of 2% malic acid can confirm that almost all the bacteria can be removed within 1 hour,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xcellent effect It shows.
  • Escherichia coli and the probio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mixed in a 1: 1 ratio, treated for 0 minutes, 10 minutes, 20 minutes, 30 minutes, and 60 minutes, and then plated by diluting 10 times.
  • the diluent was used 0.2% peptone water, the plated plate medium was counted for 24 hours in 37 °C bacteria incubator and counted the white single colony.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an average of three times in total.
  • Citric acid (citric acid, CA) was added to 0.5%, 1.0%, 2.0% respectively to confirm the inhibitory effect of E. coli over time.
  • Tables 11 and 12 show the inhibitory effects over time when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concentrations of citric acid were added to E. coli and when only citric acid was added to E. coli.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7A and 7B, respectively.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show a distinct bactericidal effect in comparison with no change in the number of bacteria with time in the control group added with citric acid alone.
  • the lactic acid was added to 0.5%, 1.0%, and 2.0% of the E. coli single colonie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o confirm the inhibitory effect of E. coli over time.
  • Table 13 and Table 14 show the inhibitory effect over time when lactic acid and lactic aci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added to E. coli and when only lactic acid was added to E. coli.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8A and 8B, respectively.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show a distinct bactericidal effect compared to the number of bacteria did not change with time in the citric acid alone control group.
  • test strain Listeria and the probio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mixed 1: 1, treated for 0 minutes, 10 minutes, 20 minutes, 30 minutes and 60 minutes, and then plated by diluting 10 times. At this time, the diluent was used 0.2% peptone water, the plated plate medium was counted for 24 hours in 37 °C bacteria incubator and counted the white single colony.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an average of three times in total.
  • Citric acid (citric acid, CA) was added to 0.5%, 1.0%, 2.0%,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Listera bacteria over time.
  • Table 17 and Table 18 show the inhibitory effect over time when lactic acid bacteria and citric acid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added to Listeria and when only citric acid was added to Lis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0A and 10B, respectively.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show a distinct bactericidal effect in comparison with no change in the number of bacteria with time in the control group added with citric acid alone.
  • Lactic acid was added to 0.5%, 1.0% and 2.0% of the Listeria bacterium single colonie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o confirm the inhibitory effect of Listeria over time.
  • Tables 19 and 20 show the inhibitory effects over time when lactic acid and lactic aci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added to Listeria and when only lactic acid was added to Lis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1A and 11B, respectively.
  • the additional probiotic mal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reduce the number of Listeria bacteria, and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2% malic acid showed the most effective bactericidal effect.
  • the vir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avian influenza virus AIV0028 (H9N2).
  • Probiotics were prepared by adding citric acid to 2% concentration in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prepared by the above 1.1 method.
  • the probiotic was prepared as a disinfectant solution and peptone water was used as a control diluent.
  • the disinfection effect against viruses was measured by diluent type (distilled water, hard water, organic matter),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was measured at dilutions of 1/50, 1/100, 1/150, and 1/200.
  • Avian influenza virus was used by diluting 1/10 with each dilution.
  • avian influenza virus diluted 1/10 with each dilution and 1 ml of disinfectant diluted by multiples were mixed and reacted at 4 ° C. for 30 minutes.
  • Distilled water, hard water, and organic materials were treat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were removed by filtration with 0.45 nm filter immediately after treatment in all experimental groups.
  • the virus material was mixed with 50% fetal bovine serum-containing cell culture medium (antibiotic and sodium bicarbonate added) in a 1: 1 ratio to neutralize the disinfectant.
  • Inoculation range was performed from 10 ⁇ 1 to 10 ⁇ 6 for the disinfectant treated virus and from 10 ⁇ 4 to 10 ⁇ 7 for the control virus.
  • 0.1 ml virus was inoculated into the allantoic cavity of the 10-12 day-old embryos. After 4-5 days, a small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was collected for each well and plate HA test was performed.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2% citric acid added to lactic acid bacteria exhibited a disinfection effect similar to that of adding 8% citric acid to the avian influenza virus.
  • the effective dilution concentration was examined, the disinfection effect of 50 to 100 times in distilled water, 50 times in hard water, and 25 to 50 times in organic matter was confirmed.
  •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effectively show the virucidal effect by the addition of low concentration of citric acid.
  • the acaricidal effect of the probiotic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using A22 Iraq 106 TCID50 as a foot-and-mouth virus.
  • Probiotics used as virus disinfectant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2.1 above, and other hard water and organic material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 Table 25 shows the results of the virucidal effect of the probiotic according to the dilution ratio.
  •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ulture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 test for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6 of Table 1
  • Figure 2 (a) is Comparative Example 1
  • Example 6 and Example from the left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 FIG. 2 (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amples 4 to 1 from the left.
  • Lactobacillus population (CFU / mL) was examined in MRS agar using the probio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Examples 1 to 7 and 10.
  • Example 10 Population test result 1 time 1.9 x 10 8 6.0 x 10 6 4.0 x 10 7 5.0 x 10 7 4.0 x 10 7 2.0 x 10 8 1.8 x 10 8 1.5 x 10 8 2.2 x 10 8 Episode 2 2.3 x 10 8 1.1 x 10 7 2.0 x 10 7 6.0 x 10 7 5.0 x 10 7 1.6 x 10 8 1.5 x 10 8 1.8 x 10 8 2.3 x10 8 3rd time 2.2 x 10 8 4.0 x 10 6 2.0 x 10 7 4.0 x 10 7 8.0x10 7 1.3 x 10 8 2.4 x 10 8 2.7 x 10 8 2.4 x 10 8 Average 2.1 x 10 8 7.0 x 10 6 2.7 x 10 7 5.0 x 10 7 5.7 x 10 7 1.6 x 10 8 1.9 x 10 8 2.0 x 10 8 2.3 x 10 8
  • the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 (see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prepared by the cultur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the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itric acid content 0.1
  • a larg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survive even until the weight part, especially in the case of 0.002 to 0.02 parts by weight (Examples 5 to 7 and 10), it was found that there is little inhib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growth.
  • Each liquid stabilizer was added at 0.01 part by weight or 0.001 part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 Livestock probio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gent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nd organic acids, but also shows the combined efficacy of the fungicide and disinfectant. Therefore, since it can effectively sterilize and disinfect bacteria and viruses without adding antibiotics, it can be usefully used in the livestock indus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생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유산균 배양액 및 유기산을 포함하되, 상기 유기산을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0.002~0.1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생균제 조성물은 항생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살균, 살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복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산균 배양액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산 현장에서는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항생물질, 합성항균제 등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항생제의 축산물 중 잔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거론되고, 병원균의 내성 획득에 따른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이 동물용 항생제의 과다 사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항생 물질에 대한 사용 규제 및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근래에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경쟁적 배제 효과를 발현하고, 대사산물에 의한 억압 작용으로 가축의 항병성을 강화시켜주는 미생물제제인 생균제를 이용함으로써, 화학약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가축의 성장능력을 극대화시키려는 시도가 실용화되고 있다.
생균제란 살아있는 유익 미생물을 함유한 제제로서 동물의 장내에 정착하여 다른 병원성 미생물과 경쟁적 배제를 통해 유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섭취한 사료의 소화 및 흡수를 도와줌으로써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사료 효율을 개선시켜 주는 미생물제제를 말하며, 프로바이오틱(probiotic) 또는 DFM(direct-fedmicrobials)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생균제의 생균으로 이용되는 미생물 중 동물이나 사람에게 특이한 병원성을 주지 않는 안전한 균으로, 면역력 향상, 축사환경 개선, 가축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산균을 이용한 생균제의 사용은 최근 축산업 규모가 커짐에 따라 사양관리의 집약화, 고단위 사료급여에 의한 소화기관의 스트레스 및 운동부족, 소독 등에 의한 유용 환경미생물의 축소, 가축의 생산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되고 있다.
또한 생균제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유산균은 다양한 항세균 활성을 보이는데 이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각종 유기산, 과산화수소, 박테리오신 등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항세균 물질인 박테리오신은 낮은 pH에서 유해균주에 대한 세포벽 침투율이 높아져 살균 효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유산균 배양액의 pH를 낮춤으로써 유산균의 항균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축산용 생균제에 있어, 생균제 본연의 생균 효능 이외의 유용성을 구비한 축산용 생균제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으며, 축산물의 경우 배설물 등을 통해 전파되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등에 의한 식중독균 문제, 최근 대한민국에서 큰 경제사회적 피해를 낳은 구제역 바이러스, 철새에 의한 전파가 가능하여 해마다 문제가 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과 관련하여 개별 치료제 또는 예방제 이외에 축산용 생균제를 이용하여 복합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축산용 생균제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살모넬라를 위시한 식중독균, 구제역 바이러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을 제어하기 위한 축사내부의 위생관리는 단순히 소독제만을 이용하기는 어렵다. 소독제를 상시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환경 오염과 소독제 상시 노출에 따른 가축의 면역력 저하 등도 축산 현장에는 문제가 되고 있다. 병원균 제어를 위해 유해 살균제와 소독제를 남용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및 잔류성 문제를 해결하고, 이와 동시에 유해 미생물의 증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축 질병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복합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생균제의 개발이 더욱 절실하다. 생균제는 상시 급여를 통해 가축의 생산성에 유익한 기능을 하며 축사 살포를 통해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는 효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
이에, 축산물의 식중독균과 악성 가축 전염병인 구제역 바이러스,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과 관련된 개별 치료제 또는 예방제 이외에, 경제적이고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며 부작용의 염려가 없는 복합 효능을 겸비한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요 생균으로 유산균을 포함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로서, 유기산을 첨가하여 생균 효능은 물론, 식중독균 등에 대한 소독 효능을 구비한 새로운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요 생균으로 유산균을 포함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식중독균 등의 살균 효능을 겸비하도록 하기 위해 유기산을 첨가하는 방법의 최적 조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요 생균으로 유산균을 포함하는 축산용 바이러스 생균제 조성물로서,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를 구비한 살 바이러스 효능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액상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산균 배양액 및 유기산을 포함하되, 상기 유기산은, 상기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0.002~0.1 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유산균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유기산을 상기 (a) 유산균 배양액에 첨가하여 pH 2.1~3.5의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균 배양액 및 유기산을 포함하되, 상기 유기산은, 상기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0.002~0.1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액상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생균으로 유산균에 유기산이 첨가되어 복합 효능을 구비하면서 경제적이고 안전한 새로운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균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생균 효능은 물론, 식중독균 등의 살균 효능을 구비한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주요 생균으로 유산균에 유기산이 첨가된 새로운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균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과를 구비한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내의 유산균의 생존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 배양액의 배양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한 유산균 개체수 검사에 따른 배양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2에 대한 살모넬라 균 제어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살모넬라에 유산균 배양액 및 구연산을 첨가하여 살모넬라 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4b는 살모넬라에 구연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a는 살모넬라에 유산균 배양액 및 젖산을 첨가하여 살모넬라 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5b는 살모넬라에 젖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a는 살모넬라에 유산균 배양액 및 말산을 첨가하여 살모넬라 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6b는 살모넬라에 말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a는 대장균에 유산균 배양액 및 구연산을 첨가하여 대장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7b는 대장균에 구연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a는 대장균에 유산균 배양액 및 젖산을 첨가하여 대장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8b는 대장균에 젖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a는 대장균에 유산균 배양액 및 말산을 첨가하여 대장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9b는 대장균에 말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a는 리스테리아균에 유산균 배양액 및 구연산을 첨가하여 리스테리아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10b는 리스테리아균에 구연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a는 리스테리아균에 유산균 배양액 및 젖산을 첨가하여 리스테리아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11b는 리스테리아균에 젖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a는 리스테리아균에 유산균 배양액 및 말산을 첨가하여 리스테리아균 제어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12b는 리스테리아균에 말산만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K111101
[부처명] 경기도
[연구관리전문기관](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연구사업명] 공공기술개발
[연구과제명] 구제역 예방을 위한 유산균-유기산 복합 사료첨가제 개발
[기여율] 1/1
[주관기관] 광주시농업기술센터
[연구기간] 2011. 06. 01~2012.05. 31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산균 배양액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생균으로 이용되는 미생물 중 가장 대표적인 생균으로, 동물이나 사람에게 특이한 병원성을 주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생균으로 사용하는데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균이다. 이러한 유산균은 에너지원이 되는 당 성분을 이용하여 발효산물로 유산을 생산하는 균으로서, 축산물에 사용할 경우 부패 또는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여 장기능 강화, 소화기 질병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 효소 생산으로 사료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축산물의 증체량을 향상시키며, 부패균 내지 식중독균 등의 억제를 통한 축사의 악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구제역 바이러스는 pH 7.2~7.6에서 가장 활동성이 좋으며, 4℃ 이하에서는 pH 6.7 이하 또는 pH 9.5 이상에서도 상당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 그러나, pH 5.0 이하 또는 pH 11.0 이상에서는 급속히 사멸하고 56℃에서 30분 정도면 완전히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도 구제역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산도에 매우 민감하여 pH5.0 이하에서 급속히 사멸한다. 따라서, 상기 유산균을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관련 축산물 매몰지에 대량 사용할 경우에는, 자가 증식하여 부패균 내지 식중독균의 침입을 막고 매몰지의 악취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가스 발생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통 이러한 유산균을 축산용 생균제로 실제 사용할 경우 희석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유산균 배양 및 희석 농도에 따라 과도한 pH 상승으로 인해 생균 효능은 유지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축산물에의 투여 또는 살포에 있어, 생균 효능을 포함한 살 바이러스 효능, 살균 효능 등 복합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연구 끝에, 가장 우수한 생균 효능을 발휘하는 유산균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생균 효능뿐만 아니라 살 구제역, 살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능, 살균 효능 등 복합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산균을 속으로 분류하면,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와 같은 구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같은 간균 및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와 같은 무정형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능력이 우수하고 3.0 이하의 낮은 산도에서도 생존율이 높은 균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Lactobacillus delbrueckii),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기산 첨가 및 희석 후 생균 효능 및 소독 효능 등 복합 효능 발휘를 위한 최적 pH를 고려하여 pH 4.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은 상기 유산균 배양액의 투여 또는 살포시 희석으로 인한 pH의 과도한 증가를 제어하고, 생균제 조성물의 생균 효능 유지 및 살균 효능 발휘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유산균 배양액 1 중량부에 대하여 0.002~0.1중량부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며, 0.01~0.02 중량부 함유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의 함량이 0.0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축산물에의 투여 또는 축사 등의 살포를 위한 희석 시 과도한 pH 증가로 살균 효능이 미흡할 수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살균 효능은 증가하나 과량의 첨가로 유산균의 생육을 저해하여 생균 효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산 첨가량에 따른 생균제 조성물의 pH는 2.1~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유기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식품첨가용 무수구연산, 말산, 젖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 배양액 및 상기 유기산을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을 축산물에의 투여 또는 축사 등에 살포를 위해 희석하게 되는데, 생균 효능 발휘를 위해 상기 생균제 조성물은, 희석 비율을 10~100배로 하여 pH가 4이하로 희석된 생균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기존 유산균을 생균으로 이용하는 생균제 조성물과 동등한 수준의 생균 효능을 유지하며, 나아가 구제역, 조류 독감 바이러스 사멸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상기 효능들이 발휘될 수 있는 축산물로는, 소, 돼지, 염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a) 유산균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유기산을 상기 (a) 유산균 배양액에 첨가하여 pH 2.1~3.5의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산균 배양액에 포함되는 유산균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능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능력을 가지면서도 살균, 살 바이러스 효능을 나타내는 pH에서도 생존하는 데 적합한 균을 선별하여 사용하였으며, 내산성이 강한 유산균이라면 제한없이 본 발명의 목적에 맞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 배양액 제조에 사용되는 배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배양 단가 측면에서는 기존 유산균 배양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유산균 배양 배지는, 효모추출물 5~50%, 포도당(glucose) 1~10% 및 설탕(sucrose) 1~10 %를 포함하는 유산균용 배양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경제적인 유산균용 배양 배지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용 배양 배지는 식물성 원료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배양시 유산균 개체수가 2.1×108수준으로 기존에 사용되는 배지에 의한 유산균 개체수 1.0×107수준보다 월등히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배양 단가를 1/3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산균용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34~36℃ 조건에서 24~48시간 정치배양하여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벗어날 경우 희석 사용시 살균 효능이 만족할 정도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온도 및 시간 조건을 적용하고, 배양된 유산균 배양액의 pH가 4 이하일 때 살균 효능발휘를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산균 배양 완료 후 겨울철 동결 방지를 위한 첨가제로, 상기 유산균 배양액에 대하여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0.05~0.15중량% 및 염화나트륨(NaCl) 0.5~1.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은 상기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10~100배의 비율로 희석되어 상기 유산균 배양액에 첨가하도록 함으로써, 생균제 조성물의 pH가 2.1~3.5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되는 유기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식품첨가용 무수구연산, 말산, 젖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한 양태에 따르면, 축산물에의 투여 또는 축사에 살포를 위해 증류수 등에 최종 희석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희석에도 불구하고 생균 효능 발휘를 위한 적정 pH(바람직하게는 pH 4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유산균 배양액에 유기산을 첨가 후 증류수 등으로 10배 내지 100배 비율로 희석하여, 생균제 조성물의 pH가 4 이하로 유지되면서 효과적인 소독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살 바이러스 효과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 돼지수포병바이러스,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 일반적으로 낮은 pH 의해 사멸하는, 축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축의 바이러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살 바이러스 효과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1배 내지 100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50배 희석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들어있는 유산균 배양액의 유산균의 생존력을 높이기 위하여 유산균 배양액 및 유기산을 포함하되, 상기 유기산은, 상기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0.002~0.1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액상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안정제는 트레할로스, 글리세롤, 프락토올리고당, 베타인, 프롤린, 덱스트란, 말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폴리올, 실리카겔, 아미노구아니딘, 파이리독사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또는 프락토올리고당일 수 있다. 액상 안정제는 유산균 배양액 1 중량부에 대하여 0.001~0.1 중량부로 첨가 가능하며 액상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액상 유산균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액상형태 또는 분말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분말제제로 제형화하기 위해서 당업계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유산균 펄라이트와 알지네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사료 등에 첨가하여 투여하거나 직접 경구 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축사 내 살포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 축사 내의 바이러스 또는 균을 소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축산용 생균제 살균 효능 평가
1.1 유산균 배양액 제조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충분한 내산성을 가진 유산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분리방법을 취했다.
김치 시료 10개와 양계 분변 10개를 시료로 하여 김치 시료와 양계 분변을 0.85% 식염수로 10 배 희석한 후, 구연산을 2% 첨가하여 4℃에서 48시간 보관하였다. 이 후 상기 시료를 0.1ml씩 MRS 아가 배지(디프코(Difco)) 플레이트에 유리막대로 도말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35℃의 항온 배양기에서 3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각각의 콜로니를 MRS 아가 배지 플레이트에 획선 접종하였고, 35℃의 항온 배양기에서 36시간 동안 배양하여 유산균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유산균 콜로니를 각각 MRS 액상 배지(디프코)에 35℃의 항온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최종 유산균 배양 후 MRS 배지의 pH를 확인하여 pH3.8 이하의 유산균 만을 선택하였다.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선별된 유산균들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로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균들은 충분한 내산성을 가진 균주임을 확인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균들은 본 발명의 산도가 조절된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의 균들 중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을 선택하였다. 이후의 실험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이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의 합제를 2.0×108 수준으로 1% 종균 접종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배지를 사용하여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배지의 제조는 효모 추출물 2.5중량%, 포도당 1.5중량% 및 설탕 2중량%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이후, 35℃에서 48시간 정치배양을 하여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동결 방지를 위한 첨가제로, 유산균 배양액에 대하여 글루타민산 0.1중량% 및 염화나트륨 1중량%를 첨가하였다.
1.2 유기산 희석 및 첨가
(1) 유산균 배양액에 구연산 첨가
상기 유산균 배양 후 식품첨가용 무수구연산을 상기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0.002중량부, 0.0025중량부, 0.0033중량부, 0.005중량부, 0.01 중량부, 0.02 중량부, 0.03 중량부, 0.0 5중량부, 0.07중량부 및 0.1중량부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 하기 표 1과 같은 희석 배율로 희석 후 유산균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표 1
구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희석배율(배) 0 10 14 20 33 50 100 200 300 400 500
함량(중량부) 0 0.1 0.07 0.05 0.03 0.02 0.01 0.005 0.0033 0.0025 0.002
표1에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10에 대하여 각각 증류수(pH 7)로 하기 표 2와 같이, 100배 및 200배의 희석 비율로 희석하였다.
표 2
구분 구연산 함량(중량부) 증류수 희석비율(배)
비교예2 0 100
실시예11 0.1 100
실시예12 0.07 100
실시예13 0.05 100
실시예14 0.03 100
실시예15 0.02 100
실시예16 0.01 100
실시예17 0.005 100
실시예18 0.0033 100
실시예19 0.0025 100
실시예20 0.002 100
비교예3 0 200
실시예21 0.1 200
실시예22 0.07 200
실시예23 0.05 200
실시예24 0.03 200
실시예25 0.02 200
실시예26 0.01 200
실시예27 0.005 200
실시예28 0.0033 200
실시예29 0.0025 200
실시예30 0.002 20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생균제 조성물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의 배양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도 1에, 유산균 배양액에 구연산 첨가 후 pH 변화를 하기 표 3에, 생균제 조성물 희석 후 pH 변화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구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pH 3.67 2.16 2.25 2.48 2.68 2.84 3.04 3.21 3.3 3.37 3.45
표 4
구분 pH
비교예2 4.01
실시예11 2.97
실시예12 3.10
실시예13 3.20
실시예14 3.37
실시예15 3.42
실시예16 3.60
실시예17 3.71
실시예18 3.77
실시예19 3.83
실시예20 3.85
비교예3 5.15
실시예21 3.17
실시예22 3.30
실시예23 3.45
실시예24 3.56
실시예25 3.63
실시예26 3.86
실시예27 4.17
실시예28 4.30
실시예29 4.42
실시예30 4.45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 배양액은 배양시간 15시간 이후에는 pH가 4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3을 참조하면, 구연산 함량이 0.002~0.1중량부에서 생균제 조성물(실시예 1 내지 10)의 pH가 2.1~3.5 범위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표 4를 참조하면, 증류수로 100~200배 희석된 생균제 조성물의 pH가 4 이하인 생균제 조성물(실시예 11 내지 26)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유산균 배양액에 젖산 첨가
유산균 배양액에 젖산을 첨가하여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유산균 배양액의 제조방법은 상기 1.1의 방법과 동일하며, 상기 (1)의 과정과 같이 젖산을 첨가한 후 희석하여 최종적으로 젖산의 농도가 0.5%, 1%, 2%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3) 유산균 배양액에 말산 첨가
유산균 배양액에 말산을 첨가하여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유산균 배양액의 제조방법은 상기 1.1의 방법과 동일하며, 상기 (1)의 과정과 같이 말산을 첨가한 후 희석하여 최종적으로 말산의 농도가 0.5%, 1%, 2%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1.3 축산용 생균제의 살균 효능 평가
제조된 축산용 생균제의 살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산균 배양액에 각각 구연산, 말산, 젖산을 첨가하여 희석 후 살모넬라균, 대장균, 리스테리아균에 처리하였다. 억제 효과의 평가는 시간에 따른 총 균수를 평가하여 수행하였으며, 균수는 로그값을 취하여 log10 CFU/ml로 이하 표시하였다.
(1) 살모넬라균 억제 효능 평가
공시균주인 살모넬라 균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9585 및 Salmonella typhimurium ATCC 43174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매하여, Rappaport-Vassiliadis Soya Peptone Broth(CM0866, Oxoid, 영국)에 37℃ 세균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총균수는 정지기의 균주를 6~7log(cfu/㎖)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1) 구연산(citric acid, CA) 첨가 생균제의 효과
상기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9585 및 Salmonella typhimurium ATCC 43174를 1:1로 혼합한 살모넬라 균과 실시예 5, 6 및 비교예 1에 따른 생균제 조성물을 각각 1:1로 혼합하여, 0분, 10분, 20분, 30분 및 60분 동안 처치한 후, 10배 단계희석하여 살모넬라의 평판 선택배지인 MacConkey Agar(CM0115, Oxoid, 영국)에 도말하였다. 이때, 희석액은 0.2% peptone water를 사용하였으며, 도말된 평판배지는 37℃ 세균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백색의 단일집락을 계수하였다. 평가는 총 3회 반복한 평균으로 실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연산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접종 60분 후에도 여전히 다량(5% 이상)의 살모넬라균이 생존해 있으나, 구연산이 첨가된 실시예 5 및 6의 경우 99.9999% 이상 살균한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5의 경우는 100% 살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 5 및 6에 따른 생균제 조성물을 살모넬라 균에 감염되어 설사병에 걸린 송아지에 경구 투여한 결과 설사 치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연산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살모넬라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5 및 표6은 살모넬라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구연산을 첨가한 경우와 살모넬라에 구연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4a, 4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5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SAL+ LAB 8.59 8.40 8.45 8.28 6.68
SAL+ LAB (CA0.5%) 8.59 8.28 8.22 7.70 4.42
SAL+ LAB(CA1.0%) 8.59 8.02 7.29 6.33 0.00
SAL+ LAB(CA2.0%) 8.59 6.31 3.31 0.00 0.00
표 6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SAL+ BROTH 8.68 8.68 8.67 8.67 8.63
SAL+ BROTH (CA 0.5%) 8.68 8.63 8.62 8.66 8.67
SAL+ BROTH(CA 1.0%) 8.68 8.67 8.70 8.72 8.77
SAL+ BROTH(CA 2.0%) 8.68 8.63 8.63 8.61 8.48
상기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생균제가 살모넬라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구연산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더욱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젖산(lactic acid, LA) 첨가 생균제의 효과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살모넬라 단일 집락에 젖산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살모넬라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7 및 표8은 살모넬라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젖산을 첨가한 경우와 살모넬라에 젖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5a, 5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7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SAL+ LAB 8.55 8.56 8.61 8.49 8.30
SAL+ LAB (LA0.5%) 8.55 8.42 8.56 8.39 7.83
SAL+ LAB(LA1.0%) 8.55 8.37 8.30 8.18 6.30
SAL+ LAB(LA2.0%) 8.55 6.32 4.47 3.22 0.00
표 8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SAL+ BROTH 8.68 8.68 8.67 8.67 8.63
SAL+BROTH(CA 0.5%) 8.68 8.63 8.62 8.66 8.67
SAL+BROTH(CA 1.0%) 8.68 8.67 8.70 8.72 8.77
SAL+BROTH(CA 2.0%) 8.68 8.63 8.63 8.61 8.48
상기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생균제가 살모넬라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젖산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더욱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차이는 1%이상의 젖산을 첨가한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말산(malic acid, MA) 첨가 생균제의 효과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살모넬라 단일 집락에 말산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살모넬라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9 및 표10은 살모넬라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말산을 첨가한 경우와 살모넬라에 말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6a, 6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9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SAL+ LAB 8.55 8.54 8.53 8.49 8.13
SAL+ LAB (MA0.5%) 8.55 8.59 8.39 8.15 6.85
SAL+ LAB(MA1.0%) 8.55 8.40 8.14 7.63 5.31
SAL+ LAB(MA2.0%) 8.55 7.67 6.05 3.51 0.00
표 10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SAL+ BROTH 9.02 9.07 9.03 9.03 9.07
SAL+ BROTH (MA0.5%) 9.02 9.04 9.05 9.04 9.09
SAL+ BROTH(MA1.0%) 9.02 9.03 9.04 9.04 8.88
SAL+ BROTH(MA2.0%) 9.02 8.88 8.73 8.63 7.50
상기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생균제가 살모넬라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말산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더욱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차이는 첨가되는 말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의 말산을 첨가하는 경우 1시간 이내에 거의 모든 균을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생균제가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2) 대장균 억제 효능 평가
공시균주인 대장균과 본 발명의 생균제 조성물을 각각 1:1로 혼합하여, 0분, 10분, 20분, 30분 및 60분 동안 처치한 후, 10배 단계 희석하여 도말하였다. 이때, 희석액은 0.2% peptone water를 사용하였으며, 도말된 평판배지는 37℃ 세균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백색의 단일집락을 계수하였다. 평가는 총 3회 반복한 평균으로 실시하였다.
1) 구연산(citric acid, CA) 첨가 생균제의 효과
구연산(citric acid, CA)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대장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11 및 표12는 대장균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구연산을 첨가한 경우와 대장균에 구연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7a, 7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11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EC+LAB 8.72 8.69 8.62 8.51 8.23
EC+LAB (CA 0.5%) 8.72 8.70 8.74 8.40 8.05
EC+LAB (CA 1.0 %) 8.72 8.70 8.61 8.40 8.03
EC+LAB(CA 2.0 %) 8.72 8.72 8.51 8.39 7.56
표 12
0 10.00 20.00 30.00 60.00
EC+Broth 8.72 8.65 8.69 8.68 8.68
EC+ Broth(CA 0.5%) 8.72 8.70 8.64 8.66 8.67
EC+ Broth(CA 1.0%) 8.72 8.71 8.65 8.70 8.71
EC+ Broth(CA 2.0%) 8.72 8.71 8.67 8.65 8.61
상기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생균제는 구연산 단독 첨가 대조군에서 시간에 따른 균의 수가 변화가 없는 것과 비교하여 뚜렷한 살균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젖산(lactic acid, LA) 첨가 생균제의 효과
상기와 같이 제조된 대장균 단일 집락에 젖산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대장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13 및 표14는 대장균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젖산을 첨가한 경우와 대장균에 젖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8a, 8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13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EC+ LAB 8.80 8.82 8.76 8.71 8.36
EC+LAB LA0.5% 8.80 8.78 8.55 8.47 8.03
EC+LAB LA 1.0% 8.80 8.68 8.21 7.48 6.52
EC+LAB LA 2.0% 8.80 8.64 7.90 6.66 4.43
표 14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EC+Broth 8.61 8.74 8.67 8.76 8.73
EC+Broth (LA 0.5%) 8.61 8.61 8.78 8.76 8.74
EC+ Broth (LA 1.0%) 8.61 8.74 8.63 8.66 8.66
EC+ Broth (LA 2.0%) 8.61 8.64 8.56 8.60 8.63
도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균제는 구연산 단독 첨가 대조군에서 시간에 따른 균의 수가 변화가 없는 것과 비교하여 뚜렷한 살균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말산(malic acid, MA) 첨가 생균제의 효과
상기와 같이 제조된 대장균 단일 집락에 말산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대장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15 및 표16은 대장균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말산을 첨가한 경우와 대장균에 말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9a, 9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15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EC+LAB 8.80 8.70 8.67 8.77 8.74
EC+LAB MA0.5% 8.80 8.78 8.65 8.71 8.43
EC+LAB MA 1.0% 8.80 8.71 8.67 8.56 8.09
EC+LAB MA+2.0% 8.80 8.56 8.44 7.44 0.00
표 16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EC+Broth 8.61 8.73 8.72 8.80 8.90
EC+ Broth (MA 0.5%) 8.61 8.67 8.66 8.86 8.79
EC+ Broth (MA 1.0%) 8.61 8.78 8.74 8.77 8.94
EC+ Broth (MA 2.0%) 8.61 8.69 8.68 8.79 8.63
2% 말산을 추가한 생균제의 경우 60분 경과 후 약 99.999%의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말산 추가 생균제는 효과적으로 대장균을 살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리스테리아균 억제 효능 평가
공시균주인 리스테리아균과 본 발명의 생균제 조성물을 각각 1:1로 혼합하여, 0분, 10분, 20분, 30분 및 60분 동안 처치한 후, 10배 단계 희석하여 도말하였다. 이때, 희석액은 0.2% peptone water를 사용하였으며, 도말된 평판배지는 37℃ 세균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백색의 단일집락을 계수하였다. 평가는 총 3회 반복한 평균으로 실시하였다.
1) 구연산(citric acid, CA) 첨가 생균제의 효과
구연산(citric acid, CA)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리스테이라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17 및 표18은 리스테리아균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구연산을 첨가한 경우와 리스테리아균에 구연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10a, 10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17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Lis + LAB 8.62 8.55 8.50 8.44 8.37
LIS+ LAB (CA 0.5%) 8.62 8.55 8.53 8.47 8.31
LIS+ LAB(CA 1.0%) 8.62 8.56 8.52 8.52 7.98
LIS+ LAB(CA 2.0%) 8.62 8.42 8.31 8.29 7.63
표 18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LIS+ LAB 8.62 8.58 8.48 8.45 8.46
LIS+ BROTH (CA 0.5%) 8.62 8.52 8.48 8.51 8.39
LIS+ BROTH(CA 1.0%) 8.62 8.47 8.48 8.41 8.42
LIS+ BROTH(CA 2.0%) 8.62 8.37 8.37 8.38 8.40
상기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생균제는 구연산 단독 첨가 대조군에서 시간에 따른 균의 수가 변화가 없는 것과 비교하여 뚜렷한 살균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젖산(lactic acid, LA) 첨가 생균제의 효과
상기와 같이 제조된 리스테리아균 단일 집락에 젖산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리스테리아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19 및 표20은 리스테리아균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젖산을 첨가한 경우와 리스테리아균에 젖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11a, 11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19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Lis + LAB 8.89 8.94 8.94 8.86 8.85
LIS+ LAB (LA0.5%) 8.89 8.94 8.92 8.81 8.78
LIS+ LAB(LA1.0%) 8.89 8.93 8.86 8.79 8.78
LIS+ LAB(LA2.0%) 8.89 8.81 8.73 8.64 8.57
표 20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LIS+ broth 8.67 8.61 8.61 8.55 8.50
LIS+ BROTH (LA 0.5%) 8.67 8.59 8.72 8.77 8.57
LIS+ BROTH(LA 1.0%) 8.67 8.56 8.73 8.64 8.48
LIS+ BROTH(LA 2.0%) 8.67 8.51 8.53 8.53 8.31
도11a 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균제는 구연산 단독 첨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간에 따라 지속적인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말산(malic acid, MA) 첨가 생균제의 효과
상기와 같이 제조된 리스테리아균 단일 집락에 말산을 각각 0.5%, 1.0%,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간에 따른 리스테리아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21 및 표22는 리스테리아균에 유산균과 농도를 달리한 말산을 첨가한 경우와 리스테리아균에 말산만을 첨가한 경우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해당 결과를 도 12a, 12b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21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Lis + LAB 8.89 8.83 8.79 8.66 8.62
LIS+ LAB (MA0.5%) 8.89 8.76 8.81 8.68 8.68
LIS+ LAB(MA1.0%) 8.89 8.73 8.73 8.64 8.63
LIS+ LAB(MA2.0%) 8.89 8.78 8.65 8.61 8.22
표 22
0min 10min 20min 30min 60min
LIS+ broth 8.67 8.54 8.51 8.46 8.65
LIS+ BROTH (MA0.5%) 8.67 8.55 8.61 8.56 8.58
LIS+ BROTH(MA1.0%) 8.67 8.69 8.60 8.60 8.59
LIS+ BROTH(MA2.0%) 8.67 8.51 8.62 8.55 8.61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말산 추가 생균제가 리스테리아균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2% 말산의 추가한 경우 가장 효과적인 살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축산용 생균제의 살바이러스 효능 평가
유산균 배양액에 유기산을 첨가한 본 발명의 생균제의 살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2.1 조류독감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능
(1) 실험 준비
본 발명의 바이러스는 조류독감바이러스 AIV0028(H9N2)를 사용하였다. 생균제는 상기 1.1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 배양액에 구연산을 2%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를 용해하여 소독액으로 준비하고 대조 희석액으로는 펩톤 워터를 사용하였다.
증류수에 1리터의 CaCl2 0.305g과 MgCl6H2O 0.139g(w/v)을 첨가하여 경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경수에 소 태아혈청을 5%되게 첨가하여 유기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증류수를 포함한 모든 희석용액과 소독제 및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냉장 온도가 되도록 보관하고 시험도 냉장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는 희석액 종류(증류수, 경수, 유기물)별로 측정하였으며, 소독액은 1/50, 1/100, 1/150, 1/200의 희석 배수에서 효과를 측정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각 희석액으로 1/10 희석시켜 사용하였다.
각 희석액으로 1/10으로 희석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ml과 배수별로 희석한 소독제 1ml을 섞어 4℃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증류수, 경수, 유기물을 처리하였으며, 모든 실험군에서 처리 후 즉시 0.45nm여과지로 여과하여 유산균을 제거하였다. 소독제 처리가 끝난 바이러스 재료는 50% 소 태아혈청 함유 세포배양배지(항생제 및 중조 첨가)와 1:1(동량)로 혼합하여 소독제를 중화하였다. 중화 처리 후 즉시 혈청 무첨가 배지로(항생제 및 중조 첨가) 1/10로 희석하고 얼음에 보관하여 처리 시간이 끝난 후 계속될 수 있는 소독 효과를 희석시켰으며 이는 10-1로 간주하였다. 이후 혈청 무첨가 배지로 10진 희석을 수행하였다.
접종 범위는 소독제 처리 바이러스의 경우 10-1~10-6 로 수행하였으며, 대조 바이러스의 경우 10-4부터 10-7까지 수행하였다.
10~12일령의 배의 요막강(allantoic cavity)으로 0.1ml 바이러스 접종하고 4~5일 후 well별로 배양액 약간씩을 채취하여 plate HA test를 실시하였다.
(2) 희석배수에 따른 효과
2% 구연산이 함유된 본 발명의 생균제를 상기와 같이 소독액으로 제조하여 사용한 경우 표23과 같은 효과를 보였다. 구연산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의 소독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구연산 농도를 2% 내지 8%로 달리하여 조류독감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24에 나타냈다.
표 23
희석액 소독제희석배수 시험 회차별 역가 (log10) 최종 유효희석배수
생균형소독제
1차 2차 3차 4차
연수(증류수) 1:50 0.50 0.50 0.50 0.50 50배
1:100 4.50 4.00 1.25 1.75
1:150 4.50 - - 3.75
1:200 5.25 - - 4.00
병원체 대조 역가 5.50 5.88 4.50 6.00
유효 희석배수 50배 50배 50배 100배
경수 1:25 - 0.50 50배
1:50 0.75 0.50
1:100 2.50 1.50
1:150 - -
병원체 대조 역가 5.88 5.83
유효 희석배수 50배 50배
유기물 1:25 - 1.75 25배
1:50 0.75 2.50
1:100 3.00 3.25
병원체 대조 역가 4.75 5.83
유효 희석배수 50배 25배
표 24
구연산농도 희석액 희석배수 Avian Influenza역가 (log10)
2% 연수(증류수) 1:12.5 1.25
2% 1:25 2.00
4% 1:50 2.00
6% 1:50 2.00
8% 1:50 0.75
병원체 대조 역가 5.00
유산균에 구연산을 2%첨가한 본 발명의 생균제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8%의 구연산을 첨가한 것과 비슷한 정도의 소독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효 희석 농도를 살피면 증류수에선 50~100배까지, 경수는 50배, 유기물에선 25~50배정도의 소독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생균제를 이용하면 저농도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효과적으로 살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구제역 바이러스(FMDV)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능
구제역 바이러스로 A22 Iraq 106 TCID50 사용하여 본 발명의 생균제의 살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바이러스 소독제로 사용된 생균제는 상기 2.1 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기타 경수 및 유기물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희석배율에 따른 생균제의 살바이러스 효과 실험 결과를 표 25에 나타냈다.
표 25
구분 Log 값
소독액(경수희석)+ FMDV      희석배율 반복 1 반복 2 반복 3 비고
10배 - - - No CPE
20배 1.5 - 0.9  
50배 4.5 4.3 4.8  
소독액(유기물포함경수희석)+FMDV    10배 - - - No CPE
20배 1.1 - 0.9  
50배 4.7 4.7 4.9  
경수+FMDV   5.1 5.5 5.5  
유기물포함경수(FBS 5%)+FMDV   5.2 5.3 5.4  
상기 표에서 확인하는 바와 같이 비록 효과가 감소하였으나 50배 희석까지도 살바이러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배까지 희석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살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이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3. 축산용 생균제의 보존력 향상 평가
유산균 배양액에 구연산 첨가 후 유산균 개체수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6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2는 표1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한 유산균 개체수 검사에 따른 배양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2(a)는 왼쪽부터 비교예 1, 실시예 6 및 실시예 5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b)는 왼쪽부터 실시예 4 내지 1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7 및 10의 생균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MRS agar에서 유산균 개체수(CFU/㎖)를 검사하였다.
표 26
구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10
개체수 검사결과 1회 1.9x108 6.0x106 4.0x107 5.0x107 4.0x107 2.0x108 1.8x108 1.5 x 108 2.2x108
2회 2.3x108 1.1x107 2.0x107 6.0x107 5.0x107 1.6x108 1.5x108 1.8x108 2.3 x108
3회 2.2x108 4.0x106 2.0x107 4.0x107 8.0x107 1.3 x108 2.4x108 2.7x108 2.4x108
평균 2.1x108 7.0x106 2.7x107 5.0x107 5.7x107 1.6x108 1.9x108 2.0x108 2.3x108
표 2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용 배양 배지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 배양액의 유산균 개체수(비교예 1 참조)는 종래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구연산 함량이 0.1중량부일 때까지도 다수의 유산균이 생존해 있으며, 특히 0.002~0.02중량부일 경우(실시예 5 내지 7 및 10)에는 유산균 생육 저해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의 생균제에서 상기의 최적의 구연산 농도에서 유산균의 생육 저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 사용 시 축산용 생균제에서 유산균의 생존을 더욱 지속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액상 안정제 탐색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구연산 2% 첨가를 액상제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보존제 종류를 달리하여 유산균의 생존성이 개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액상 안정제는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또는 0.001중량부로 첨가되었다.
표 27
Period of storage(day) 무첨가 트레할로스 글리세롤 프락토올리고당
0.01 0.01 0.01
생균수 생존율 생균수 생존율 생균수 생존율 생균수 생존율
  (CFU/ml) (%) (CFU/ml) (%) (CFU/ml) (%) (CFU/ml) (%)
0 1.62E+09 100 1.50E+09 100 1.59E+09 100 1.67E+09 100
5 1.51E+09 93.2 1.42E+09 94.7 1.44E+09 90.6 1.59E+09 95.2
7 1.50E+09 92.6 1.41E+09 94 1.20E+09 75.5 1.69E+09 101.2
12 6.13E+08 37.8 3.60E+08 24 3.37E+08 21.2 4.37E+08 26.2
14 5.00E+07 3.1 8.67E+07 5.8 6.13E+08 38.6 3.03E+08 18.1
표 27의 결과에 따르면, 구연산을 2%농도로 첨가한 액상제의 생균제 조성물에서 글리세롤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할 경우, 14일의 기간이 지난 후에도 생존율이 약 20% 내지 40%에 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균제 내의 유산균의 생존기간을 연장하여 효과적인 생균제로 사용하기 위해서 액상 안정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장기간의 보존을 위해서는 글리세롤과 프락토올리고당이 가장 적합한 액상 안정제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유산균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친환경 제재이면서도 살균제 및 소독제의 복합 효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균, 바이러스를 살균 및 소독할 있으므로 축산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산균 배양액 및 유기산을 포함하되, 상기 유기산은, 상기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0.002~0.1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말산, 젖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유기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10~100배 비율로 희석된 pH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살균 효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5. (a) 유산균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유기산을 상기 (a) 유산균 배양액에 첨가하여 pH 2.1~3.5의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유산균 배양액은, 효모 추출물 5~50%, 포도당(glucose) 1~10% 및 설탕(sucrose) 1~10%를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34~36℃ 조건에서 15~48시간 정치배양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d) 상기 생균제 조성물을 10~100배 비율로 희석하되, pH 4 이하의 생균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살균 효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살 바이러스 효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구제역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10배 내지 50배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
  12. 유산균 배양액 1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산이 0.002~0.1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에 액상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안정제는 트레할로스, 글리세롤, 프락토올리고당, 베타인, 프롤린, 덱스트란, 말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폴리올, 실리카겔, 아미노구아니딘, 파이리독사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이상의 안정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안정제는 유산균 배양액 1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의 보존력 향상 방법.
  15. 제1항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가축에 경구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소독 방법.
  16. 제1항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을 축사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소독 방법.
  17. 제1항의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은 액상 또는 분말 제제형태로 제형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PCT/KR2012/000242 2011-01-11 2012-01-10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2096500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78,593 US20130295055A1 (en) 2011-01-11 2012-01-10 Probiotic composition for livestock,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613 2011-01-11
KR1020110002613A KR101062555B1 (ko) 2011-01-11 2011-01-11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6500A2 true WO2012096500A2 (ko) 2012-07-19
WO2012096500A3 WO2012096500A3 (ko) 2012-11-22

Family

ID=4495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0242 WO2012096500A2 (ko) 2011-01-11 2012-01-10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95055A1 (ko)
KR (1) KR101062555B1 (ko)
WO (1) WO20120965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646B1 (ko) 2017-02-09 2018-12-2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대체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3786A1 (en) * 1992-01-16 1993-07-22 Stephen Philip Mann Formulation and use of microorganisms in treating livestock
US7150986B2 (en) * 2000-08-25 2006-12-19 Wakamoto Pharmaceutical Co., Ltd.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probiotics products
KR100693764B1 (ko) * 2005-10-05 2007-03-12 주식회사 바이넥스 생균제용 액상 미생물 안정화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0937A1 (en) * 2003-12-23 2005-07-07 Chr. Hansen A/S Compressed tablets comprising viable probiotic microorganisms
EP1781308A4 (en) * 2004-07-20 2009-07-01 Cotde Ltd NATURAL ANTIVIRU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3786A1 (en) * 1992-01-16 1993-07-22 Stephen Philip Mann Formulation and use of microorganisms in treating livestock
US7150986B2 (en) * 2000-08-25 2006-12-19 Wakamoto Pharmaceutical Co., Ltd. Lactic acid bacteria-containing probiotics products
KR100693764B1 (ko) * 2005-10-05 2007-03-12 주식회사 바이넥스 생균제용 액상 미생물 안정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555B1 (ko) 2011-09-06
US20130295055A1 (en) 2013-11-07
WO2012096500A3 (ko)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oah et al.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biotic Bacillus coagulans ATCC 7050, improves the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microflora, immune response, and disease confrontation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KR101629551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WO2013151361A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WO2010074388A1 (ko)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WO2011031020A2 (en) Method for preparing a fermented soybean meal using bacillus strains
WO2015115790A1 (ko) 발효 대두박 생산능이 향상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발효 대두박을 제조하는 방법
WO2013151362A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MX2014009102A (es) Practicas mejoradas de granja avicola.
WO2017191897A1 (ko) 항산화수를 포함하는 영양제 및 그 영양제로 식물재배용, 동물사육용 또는 어류양식용 급수를 제조하는 방법
WO2009102143A2 (ko) 김치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ls41 및 그 용도
WO2013157813A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Shen et al. Control of tobacco mosaic virus by Pseudomonas fluorescens CZ powder in greenhouses and the field
WO2020013669A1 (ko) 항바이러스 효과 및 면역조절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475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57855A (ko)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2071718A1 (ko) 신규한 스타필로코커스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opt-sc01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WO2012096500A2 (ko)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2169842A2 (ko) 차나무 잎에서 분리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O2021162226A1 (ko) 다양한 식물에 저항성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ck-1398 균주,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방제방법
Oyetayo Phenotypic characterisation and assessment of the inhibitory potential of Lactobacillus isolates from different sources
WO2018093199A9 (ko) 바실로펩틴 계열의 고리형 리포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yc7011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WO2016159423A1 (ko) 포졸란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25173B1 (ko)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0096334A1 (ko)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KR100951273B1 (ko) 가축설사 억제제로써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생물활성액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WO2019132600A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바실러스 푸밀러스 균주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췌장염 괴사증 또는 흰반점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339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97859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339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