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96334A1 -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96334A1
WO2020096334A1 PCT/KR2019/014950 KR2019014950W WO2020096334A1 WO 2020096334 A1 WO2020096334 A1 WO 2020096334A1 KR 2019014950 W KR2019014950 W KR 2019014950W WO 2020096334 A1 WO2020096334 A1 WO 20200963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in
composition
jef
chicken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9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수
박소은
이미롱
김종철
이세진
김시현
신태영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00963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963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having a chicken mite control effect,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using the same, a method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using the same, and a Boberia bassiana JEF-410 It relates to the use of strains for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 Chicken mite (wagumo, red mite) is a major cause of declining farm productivity in spring and autumn, and is a factor that spreads major diseases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oultry industry.
  • chicken mite It is reported that poultry infected with chicken mite is stressed by vampire, which causes anemia, weakness, and dropping of feathers, resulting in a decrease in spawning rate of about 20% and an increase in mortality of up to 4%.
  • These chicken mites are known to be very difficult to control because they have excellent viability and can reproduce all year round and can survive for 9 months without feeding activity, and the population doubles in 6 days at 25 °C. .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42588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42588.
  • the plant extrac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a control effect only on chicken mite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plant extract due to its action characteristics, and has no control effect on chicken mites that are not directly contacted, such as hiding in a barn.
  • insect-pathogenic fungi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even chicken mites that have not been in direct contact with pesticide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attempted to discover a new insect pathogenic fungus based on microorganisms and have an effective chicken mite management system that has a control effect even when it is indirectly contacted with chicken mites, while dramatically overcoming resistance problems and environmental residual problems of existing synthetic pesticides. I tried to be polite.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e excellent insecticidal power of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which is harmless to humans and is environmentally saf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e excellent insecticidal power of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in of chicken mit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KFCC11791P) having a control effe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comprising a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KFCC11791P), a spore of the strain, or a culture medium of the strai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by treating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KFCC11791P) and Isaria fumosorosea (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spores of the strain or chickens comprising a culture medium of the strain It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tick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 of the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for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having a control effect of chicken mites.
  • the chicken mite may be Dermanyssus gallinae.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including 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spores of the strain, or a culture medium of the strain.
  •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may be formulated a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quid formulations, powder formulations and granular formulations.
  •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may be formulated to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lking agents and surfactants.
  • the surfactant is sodium lignosulfonate (Sodiumlignosulfonate), 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and acetylene diol (whe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is in liquid form) acetylene diol) may be one or more nonionic surfacta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surfactant is sodium lignosulfonate or E0 / P0 / E0 block polymer (EO / PO / EO) when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is in powder form or granular form. block copolymer).
  • the extender may be a mineral powd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chicken mite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including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KFCC11791P) and Isari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spores of the strain, or cultures of the stra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 of the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for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in a spore form, and thus has a control effect against chicken mites that do not directly contact the composition.
  • a chicken mite using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and 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eating with each other than when processing each It has a remarkably high control effect.
  • Figure 1 shows the growth of the mycelium and spores observed by the visual microscope ( Figure 1 (b)) and the observation of the Boberia bassiana ( Beauveria bassiana ) JEF-410 strain with the naked eye (Fig. 1 (b)). .
  • Figure 2 show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ITS (Internal Transribed Spacer) of the Beauveria bassiana ( Beauveria bassiana ) JEF-410 strain.
  • FIG. 4 shows spore production (FIG. 4 (a)) and solid culture production process (FIG. 4 (b)) of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using an Italian millet.
  • FIG. 5 shows the insecticidal rate of chicken mites (By repeat) (FIG. 5 (a)) and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by separation treatment of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Chicken mites killed by day (Day 14) are shown (Fig. 5 (b)).
  • FIG. 6 shows the insecticidal rate of chicken mites (3 repetitions) (FIG. 6 (a)) and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s by separation treatment of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Chicken mites killed by day (Day 14) (Fig. 5 (b)).
  • Figure 7 is a chicken mite by mixing treatment with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and Lecanicillium attenuatum JEF 145 or Isaira fumosorosea (KFCC11757P) strain. It shows the insecticidal rate of (Fig. 7).
  •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reparing a hydrating agent using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and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solidly cultured in millet (Fig. 8 (a)), harvested Incorporating a mixture of spores of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FIG. 8 (b)) and the spores and extenders of the harvested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surfactants, and surfactants Preparation (Fig. 8 (c)).
  •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reparing a liquid formulation using a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a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solid cultured in millet (Fig. 9 (b)) , Spores of harvested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FIG. 9 (b)), mixture of spores and surfactants of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FIG. 9 (c) ) and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shows the preparation of the liquid formulation of the JEF-410 strain (Fig. 9 (d)).
  •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 using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armless to humans and is safe for the environment and provides excellent insecticidal power, and thus is effective as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ain of Boberia bassiana JEF-410 having a control effect against chicken mites.
  • the inventors collected soil from Jeongseon-gun, Gangwon-do. Brown larvae were treated on the collected soil. As a result, brown larvae killed by insect-pathogenic fungi in the soil were obtained. A single colony of insect pathogenic fungi was isolated from the lethal brown larvae (1/4 Sabouraud dextrose agar, 25 ⁇ 2 °C)
  • the new strain of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has a genetic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strain was confirmed.
  • the chicken mite is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Dermanyssus gallinae called Red Mi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comprising a Beveria bassiana JEF-410 strain, a spore of the strain or a culture medium of the strain.
  • the chicken mite control composition is preferably prepared through solid culture by inoculating the suspension of the strain in the grain medium, more preferably millet, rice, restaurant millet, barley, soybean , It is to use a medium consisting of one or more gra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ghum, crude, rice and brown rice, and among them, it is most preferable to inoculate the millet medium and solid culture (FIG. 4).
  • the solid culture is inoculated with a suspension of the strain in a medium, and preferably cultured at 20 to 30 ° C for 5 to 20 days, and then at room temperature It can be dried for 30 days, more preferably after 14 days of incubation at 25 ° C, and preferably for 1 day at room temperature.
  •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spores of the Beveria bassiana JEF-410 strain, the spores attach to the host insects and germinate to cause fungi and the like, resulting in a pesticidal effect.
  • even chicken mite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composition may exhibit a control effect due to the transmission of spores.
  •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liquid, powder or granular.
  • the powder formulation means a powder form
  • the granular formulation means a grain or granule form in which a solid culture is diluted 1 to 100 times by weight using an exten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wder or granul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mixing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a surfactant and a bulking agent in a weight ratio of 001 to 50%, 001 to 30% and 1 to 70%, respectively,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prepare by mixing at a weight ratio of 5: 5: 90, respectively (FIG. 8, Example 7). If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is higher than the above ratio,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control composition flows out from the chicken mite, so that a suitable control effect cannot be seen compared to the control cost, and if it is lower than the ratio, the control composition for the chicken mite is sufficient. Since it is not attached, the control effect may be reduced.
  • the liquid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mixing a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and a surfactant at a weight ratio of 0.01 to 80% and 0.01 to 20%, respectively, and diluting with water at a weight ratio of 1: 10 to 1: 2000.
  • the extender may be added at 1 to 95% by weight, preferably 1 to 50% by weight.
  • the chicken mite control composition and surfactant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0: 1, more preferably 2: 1, and water is 1:10 to 1: 1000 in water, more preferably 1: 100 to 1: It is preferable to prepare by diluting at a weight ratio of 1000 (FIG.
  • Example 7 If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is higher than the above ratio,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composition for control flows out from chicken mites, which is suitable for the control cost If the control effect is not seen, and the ratio is lower than the above ratio, the control effect may be deteriorated because the control composition is not sufficiently attached to the chicken mite.
  • the surfact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ll surfactants that can be used in crop protection agents, and among them, nonionic surfactants are preferred.
  • the nonionic surfactant is polycarboxylate, sodium lignosulfonate, sodium dialkyl sulfosuccinate, sodium alkyl sulfonate,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sodium tripolyphosphate, sodium alkyl aryl sulfonate, 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acetylene diol,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 aryl phosphoric ester, 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 aryl polymer, polyoxyethylene alkyl aryl polymer, polyoxyethylene alkyl aryl polymer, poly Oxyethylene alkyl aryl polymer special, polyoxyalkylone alkyl
  • the surfactants are sodium lignosulfonate, 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and acetylene diol.
  • the surfactant is sodium lignosulfonate and E0 / P0 / E0 block polymer (EO / PO / EO block). copolymer)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e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mineral powder such as diatomaceous earth, talc, lime, apatite, dolomite, mica, kaolinite, bentonite or pyrophyllite, Pyrophyllite is most prefera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s show an excellent effect on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by causing fungi on chicken mite adults.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chicken mite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 described above.
  •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may be prepared as a suspension.
  •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may be contact-treated or spray-treated, and most preferably spray-treated.
  •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harvesting spores of a cultured strain that is a solid culture or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counting it with a hemocytometer, and diluting it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using various surfactants. .
  • the number of spores may be 1x10 7 spores / g to 1x10 10 spores / conidia / g, preferably 5x10 8 spores. It is preferred that / g to 5x10 9 spores (conidia) / g.
  •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suspension is preferably 1x10 5 spores (conidia) to 1x10 8 spores (conidia) / ml, more preferably 1x10 7 spores (conidia) / ml.
  • spraying the chicken mite means spraying 0.1 to 10 ml of suspension per 100 birds on the chicken mite, preferably spraying with 1 ml of the suspension. .
  • spraying the chicken mite means spraying 0.1 to 10 ml of suspension per 100 birds on the chicken mite, preferably spraying with 1 ml of the suspen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or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comprising the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KFCC11791P) and 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spores of the strain or cultures of the strain.
  • Compositions can be provided.
  • the chicken mite is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Dermanyssus gallinae called Red Mite.
  • the chicken mite control composition is preferably prepared through solid culture by inoculating the suspension of the strain in the grain medium, more preferably millet, rice, restaurant millet, barley, soybean , It is to use a medium consisting of one or more gra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ghum, crude, rice and brown rice, and among them, it is most preferable to inoculate the millet medium and solid culture (FIG. 6).
  • the solid culture is inoculated with a suspension of the strain in a medium, and preferably cultured at 20 to 30 ° C for 5 to 20 days, and then at room temperature It can be dried for 30 days, more preferably after 14 days of incubation at 25 ° C, and preferably for 1 day at room temperature.
  •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chicken m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liquid, powder or granular.
  • the powder formulation means a powder form
  • the granular formulation means a grain or granule form in which a solid culture is diluted 1 to 100 times by weight using an exten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 ratio of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KFCC11791P) and 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preferably from 10: 1 to 1:10. May be 5: 1 to 1: 5, and most preferably 1: 1.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 of the Boberia bassiana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for the control of chicken mites.
  • the present inventors isolated insect-pathogenic fungi from soil sample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fter treating 5 g of primary distilled water on 20 g of collected soil, brown larvae were spun into the soil. As a result, after the brown larvae were killed, the mycelium of the fungus was observed in the body. The hyphae were isolated from the body and cultured in 1/4 SDA (Sabouraud dextrose agar) at 25 ⁇ 2 ° C.
  • the agar block cultured with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was transferred to Sabraud Dextrose Agar (SDA) and cultured for 2 days (25 ° C, dark), followed by visual observation and optical microscopy (400 times) ( Fig. 1). White spores and methods of spore formation, which a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ain of the genus Beauveria, have been observed.
  • SDA Sabraud Dextrose Agar
  • Example 2 DNA sequencing of the Beauveria bassiana strain of Example 1
  •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d the Boberia bassiana of Example 1. Specifically, PCR wa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5 minutes at 94 ° C, 60 seconds at 94 ° C, 30 seconds at 62 ° C and 30 seconds at 72 ° C were performed 30 times, and finally, post maturation was performed at 72 ° C for 3 minutes. The sequence was performed using the ⁇ -tubulin primer of Table 1 below. PCR products were electrophoresed at 140 V for 25 minutes using 0.8% agarose gel and Eco dye. The finally obtained product was sequenced and finally identified as B. bassiana (FIG. 2).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named Boberia bassiana of Example 1 as the Boberia bassiana JEF-410 strain.
  • the ⁇ -tubulin sequence of the Beauveria bassiana JEF-410 strain is set forth in SEQ ID NO: 3.
  • the US National Biological Information Center of Beauveria sp 15 species reported in (http://www.ncbi.nlm.nih.gov/) ⁇ -tublin
  • the sequence was compared to the flexible relationship with Beauveria JEF-410 (Fig. 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genetic difference from the known strains.
  • a spore suspension (1x10 7 conidia / ml) was prepared using B. bassiana JEF-410 cultured in millet and sprayed with chicken mite nymphs. On the 7th day of spraying at 25 ° C. conditions, live and dead water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case of JEF-410, when the 3rd day after treatment, the insecticidal rate of more than 50% was confirmed faster than the negative control sprayed with 0.03% silwet. It showed a higher insecticidal effect than the drug treatment (Fig. 5).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judged that the B. bassiana JEF-410 strain showed higher insecticidal activity than chicken B. bassiana strain,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applica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stant chemical agent.
  • a spore suspension (1x10 7 conidia / ml) was prepared using B. bassiana JEF-410 cultured in millet, and then sprayed onto chicken mite nymphs. On the 10th day of spraying at 25 ° C, the number of live and dead insect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JEF-410 strain was found to be 50% faster than the negative control sprayed with 0.03% silwet on the 5th day of treatment, and showed a 100% insecticidal effect on the 10th day of treatment. This showed a higher insecticidal effect than the conventional chemical treatment (Fig. 6). Therefore, based on this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B. bassiana JEF-410 strain showed higher insecticidal activity than chicken B. bassiana strain, and was more applicable than the pyrethroid-based chemical drug (alpha cypermethrin) that showed resistance. It was estimated.
  • Spore suspensions were sprayed under two conditions using B. bassiana JEF-410, L.attenuatum JEF 145 , and I.fumosorosea JEF150 cultured in millet.
  • a spore suspension (1x10 7 conidia / ml) was prepared, and then sprayed on chicken mite nymphs.
  • a spore suspension (2x10 7 conidia / ml) was prepared and then mixed under JEF-410 + JEF-145 (1: 1) or JEF-410 + JEF-150 (1: 1) conditions.
  • JEF-410 On the 4th day, the viability of JEF-410 was 39.4% and that of JEF-150 was 67.3%, but in the case of JEF-410 + JEF-150 mixed treatment, it was 22.6%,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JEF-410 single strain treatment. Lastly, on the 6th day, JEF-410 showed 22.5% and JEF-150 showed 44.1%, but JEF-410 + JEF-150 mixed treatment showed 17.1%, which was lower than JEF-410 single strain treatment. .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e B. bassiana JEF-410 strain was I.fumosorosea JEF150. When mixed with the str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ecticidal effect is improved. However, the synergistic effect of mixing with B. bassiana JEF-140 and L. attenuatum JEF-145 was not confirmed (data not shown).
  • the hydrating agent was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Spores were harvested from solid cultures of JEF-410 strains using millet (Fig. 8 (A), (B)). The obtained spore powder (original agent), extender (pyrophyllite) and surfactant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90: 5: 5 (Fig. 8 (C)). The filtering process was performed using a sieve to secure a particle size of 300 mesh or less. Liquid formulation was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Spores were harvested from the solid cultures of the JEF-410 strains using millet (Fig. 9 (A), (B)). The obtained spore powder (original agent) and the surfactant (surfactant) were mixed in a ratio of about 2: 1 by weight (Fig. 9 (C)). In order to secure the fine powder particle size, fine powder was secured using a sieve. The secured fine powder was diluted in water to prepare a concentrated liquid formulation (FIG. 9 (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닭 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닭진드기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본 출원은 2018년 11월 08일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8-013651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닭 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닭진드기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닭진드기(와구모, red mite)는 봄부터 가을까지 산란계 농가 생산성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주요 질병을 전파하는 요인으로 양계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럽 11개국의 조사 결과, 전체 농가 중 83%가 닭진드기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손실액은 연간 약 1,982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도 닭진드기 감염률이 90% 이상으로 추정되며, 연간 손실액은 약 1,050억원으로 알려져 있다.
닭진드기에 감염된 양계는 흡혈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이로 인해 빈혈, 쇠약, 깃털 탈락 등을 유발시켜 산란율은 약 20% 감소하고, 폐사율이 최대 4%까지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닭진드기는 생존력이 뛰어나 1년 내내 번식이 가능하고, 섭식 활동 없이 9개월 간 생존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5℃ 조건에서 6일 만에 개체수가 2배로 증가되어 방제가 매우 어려운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닭진드기 방제에 등록된 살충제 수는 13종류로 알려져 있으나, 5종류는 판매가 중단되었고, 나머지 중 4종류의 살충제는 빈 축사에서만 사용해야하는 적용상의 한계점이 있다. 현실적으로 닭이 사육되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닭진드기 방제용 약품의 수는 4종류로 인식되고 있으나, 닭진드기의 약제 저항성 증가와, 잔류독성 및 환경오염 등이 근래 크게 대두되고 있음에 따라, 새로운 생물적 살충제에 대한 개발이 사회적으로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닭진드기 방제와 관련하여 살충성 정유 또는 식품 첨가물을 이용한 닭진드기 살충성 조성물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142588호에 의해 제시된바 있다. 하지만 식물 추출물은 작용 특성상 식물 추출물에 직접 접촉한 닭진드기에만 방제 효과가 있고, 축사 내에 숨어있는 등 직접 접촉하지 않은 닭진드기에는 방제효과가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까지 살충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닭진드기들까지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곤충병원성 진균을 이용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합성 살충제의 저항성 문제와 환경 잔류문제를 획기적으로 극복하면서도, 닭진드기에 간접적으로 접촉하여도 방제효과가 있는 미생물 기반 신규 곤충병원성 진균의 발굴 및 효과적인 닭진드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예의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인축에 무해하며 환경에 안전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뛰어난 살충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뛰어난 살충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KFCC11791P),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처리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및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닭진드기는 데르마니수스 갈리나에(Dermanyssus gallinae)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제형, 분말제형 및 입상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증량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형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이 액상제형인 경우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Sodiumlignosulfonate),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에톡실레이트(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및 아세틸렌 다이올(acetylene dio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이 분말제형 또는 입상제형인 경우 소듐 리그노설포테이트(Sodium lignosulfonate) 또는 E0/P0/E0 블록 중합체(EO/PO/EO block copolymer)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량제는 광물성 분말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술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진기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및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방법을 이용하여 닭진드기에 분무 처리하는 경우 기존에 보고된 살충용 조성물보다 현저히 높은 방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포자형태로 포함하고 있어, 조성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닭진드기에 대하여도 방제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및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를 이용하여 닭진드기에 처리할 경우 각각을 처리할 때보다 같이 처리 할 때 현저히 높은 방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것(도 1(a)) 및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균사와 포자의 생장 형태 (도 1(b))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ITS (Internal Transribed Spacer)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존에 보고된 균주들과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유연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Italian millet을 이용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포자 생산 (도 4(a)) 및 고체배양생산 과정 (도 4(b))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분리처리에 의한 닭진드기의 살충률 (단 반복) (도 5(a))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에 의해 치사된 닭 진드기(14일차) (도 5(b))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분리처리에 의한 닭진드기의 살충률 (3 반복) (도 6(a))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에 의해 치사된 닭진드기(14일차) (도 5(b))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와 레카니실리움 아테나텀 (Lecanicillium attenuatum) JEF 145 또는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KFCC11757P) 균주와의 혼합처리에 의한 닭진드기의 살충률 (도 7)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이용한 수화제 제조 방법의 모식도로써, 기장에 고체 배양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도 8 (a)), 수확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포자 (도 8 (b)) 및 상기 수확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포자 및 증량제, 계면활성제를 혼합을 통합 수화제 제조 (도 8 (c))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이용한 액상 제형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로써, 기장에 고체 배양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도 9 (b)), 수확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포자(도 9 (b)),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포자와 게면활성제의 혼합물 (도 9 (c)) 및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액상 제형의 제조(도 9 (d))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합성 살충제의 저항성 문제와 환경 잔류 문제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기존 식물 추출물의 기반의 살충성분이 닭진드기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만 방제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개선하는 미생물 기반 신규 살충성 진균의 발굴 및 효과적인 닭진드기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인축에 무해하고, 환경에 안전하며 뛰어난 살충력을 제공하므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닭 진드기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강원도 정선군에서 토양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토양에 갈색거저리 유충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토양에 있는 곤충병원성 진균에 의해 치사된 갈색거저리 유충을 확보하였다. 치사된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곤충병원성진균의 단일 균총 (single colony)를 분리하였다 (1/4 Sabouraud dextrose agar, 25±2℃)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서 얻은 균주를 시퀀싱하여 최종적으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로 동정하였고 (도 2), 기존에 보고된 15종의 보베리아 (Beauveria) 속의 균주와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시퀀스의 유연관계를 비교하여 (도 3)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가 기존의 균주와 유전적인 차이가 있는 신규한 isolate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닭진드기는 와구모 내지 Red Mite라고 불리는 데르마니수스 갈리나에(Dermanyssus gallina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현탁액을 곡물배지에 접종하여 고체배양을 통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기장(millet), 쌀(rice), 조(Italian millet), 보리, 콩, 수수, 조, 쌀 및 현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로 이루어진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 중 기장(millet)배지에 접종하여 고체 배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
본 발명의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체배양은상기 균주의 현탁액을 배지에 접종한 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5일 내지 20일 동안 배양한 후, 실온 조건에서 1 내지 30일 동안 건조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조건에서 14일간 배양 후, 실온 조건에서 1일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포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포자가 숙주곤충에 부착한 후 발아하여 진균증 등을 일으켜 살충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에 직접적으로 접촉한 닭진드기 외에 조성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닭진드기라도 포자의 전달로 인해 방제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 분말 또는 입상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제형은 가루형태를 의미하며, 상기 입상제형은 고체 배양체를 증량제를 이용하여 중량 대비 1~100 배로 희석한 낟알이나 알갱이 형태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분말 또는 입상제형은,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과 계면활성제 및 증량제를 바람직하게는 각각 001~50%, 001~30% 및 1~7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5 : 5 : 90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실시예 7). 만일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비율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닭진드기로부터 방제용 조성물이 흘러내려 방제 비용 대비 적합한 방제효과를 볼 수 없으며, 상기 비율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닭진드기에 방제용 조성물이 충분하게 부착되지 않아 방제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액상 제형은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과 계면활성제를 각각 0.01~80% 및 0.01~2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물에 1 : 10 내지 1 : 2000의 중량비율로 희석하여 제조하며, 이때 증량제를 전체 중량대비 1 ~ 95%로, 바람직하게는 1 ~ 50%로 첨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과 계면활성제를 100 : 1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로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물에 1 : 10 내지 1 : 1000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0 내지 1 : 1000의 중량비율로 희석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실시예 7) 만일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비율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닭진드기로부터 방제용 조성물이 흘러내려 방제 비용 대비 적합한 방제효과를 볼 수 없으며, 상기 비율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닭진드기에 방제용 조성물이 충분하게 부착되지 않아 방제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계면활성제는 작물 보호제에 사용가능한 모든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그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polycarboxylate),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Sodium lignosulfonate),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alkyl sulfosuccinate), 소듐 알킬 설포네이트(sodium alkyl sulfonate),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sodium tripolyphosphate),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sodium alkyl aryl sulfonate),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에톡실레이트(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아세틸렌 다이올(acetylene diol),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포스포릭 에스테르(polyoxyethylene aryl phosphoric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폴리머(polyoxyethylene alkyl aryl polym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폴리머 스페셜,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polyoxyalkylone alkyl phen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 phenyl ether), 소듐 설포네이트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sodium sulfonatenaphthalene formaldehyde), E0/P0/E0 블록 중합체(EO/PO/EO block copolymer), 트리톤 100 및 트윈 80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이 액상 제형인 경우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Sodium lignosulfonate),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에톡실레이트(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및 아세틸렌 다이올(acetylene di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이 분말 또는 입상제형인 경우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Sodium lignosulfonate) 및 E0/P0/E0 블록 중합체(EO/PO/EO block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증량제는 규조토, 탈크, 석회, 인회석, 돌로마이트(dolomite), 운모(mica),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또는 파이로필라이드(Pyrophyllite) 등의 광물성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파이로필라이드(Pyrophyllit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는 닭진드기 성충에 진균증을 일으켜 닭진드기 방제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술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진기를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접촉 처리, 분무 처리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무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현탁액은 닭진드기 방제용 고체 배양체 내지 조성물인 배양된 균주의 포자를 수확하여 세포계산기(hemocytometer)로 계수한 후,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처리 농도에 맞춰 희석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체배양 완료 후 포자를 세포계산기(hemocytometer)로 계수하였을 때, 포자수는 1x107 포자(conidia)/g 내지 1x1010 포자(conidia)/g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x108 포자(conidia)/g 내지 5x10 9포자(conidia)/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종류는 전술하였는바 그 기재로 대신한다. 현탁액의 처리 농도는 1x105 포자(conidia) 내지 1x108 포자(conidia)/㎖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x107 포자(conidi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닭진드기 방제방법에 있어서, 닭진드기에 분무처리 하는 것은 닭진드기에 100마리당 0.1 내지 10 ㎖의 현탁액을 뿌리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1㎖의 현탁액으로 분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량을 초과하여 현탁액을 처리하는 경우 처리량 대비 방제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상기 용량보다 미만으로 현탁액을 처리하는 경우 높은 방제 활성을 보기 어렵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포자 현탁액을 제조하여 닭진드기 약충에 분무 처리하는 경우, 높은 살충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
본 발명은 또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및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및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균주를 포자현탁액으로 분무 처리한 경우, 단독으로 처리한 것 보다 닭진드기의 살충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상기 닭진드기는 와구모 내지 Red Mite라고 불리는 데르마니수스 갈리나에(Dermanyssus gallina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현탁액을 곡물배지에 접종하여 고체배양을 통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기장(millet), 쌀(rice), 조(Italian millet), 보리, 콩, 수수, 조, 쌀 및 현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로 이루어진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 중 기장(millet)배지에 접종하여 고체 배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6).
본 발명의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체배양은상기 균주의 현탁액을 배지에 접종한 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5일 내지 20일 동안 배양한 후, 실온 조건에서 1 내지 30일 동안 건조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조건에서 14일간 배양 후, 실온 조건에서 1일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 분말 또는 입상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제형은 가루형태를 의미하며, 상기 입상제형은 고체 배양체를 증량제를 이용하여 중량 대비 1~100 배로 희석한 낟알이나 알갱이 형태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및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의 비율은 10:1 내지 1:1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1. 균주의 분리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토양 샘플에서 곤충병원성 진균을 분리하였다. 채집된 토양 20 g 에 1차 증류수 5 ml을 처리 후 갈색거저리 유충을 토양에 방사하였다. 그 결과 갈색거저리 유충이 치사된 후 진균의 균사가 충체에서 관찰되었다. 충체에서 균사를 분리하여 25±2℃ 조건에서 1/4 SDA(Sabouraud dextrose agar)에 배양하였다.
1-2. 분리된 균주의 생육 및 형태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가 배양된 agar block을 Sabraud Dextrose Agar (SDA)에 옮겨 2일간 배양(25℃, dark)한 후 육안관찰 및 광학현미경 (400 배)에서 관찰하였다 (도 1). 보베리아 (Beauveria)속 균주의 전형적인 특징인 흰색 포자 및 포자 형성 방법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균주의 DNA 시퀀싱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를 동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PCR을 진행하였다. 94℃에서 5분, 94℃ 60초, 62℃ 30초, 72℃ 30초를 30회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72℃에서 3분간 후처리(post maturation) 시켰다. 서열은 하기 표 1의 β-튜불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진행 되었다. PCR 산물은 0.8% agarose gel 및 Eco dye를 사용하여 140 V로 25분간 전기영동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산물을 시퀀싱하여 최종적으로 B. bassiana로 동정되었다 (도 2).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의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를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로 명명하였다.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β-튜불린 서열은 서열번호 3번으로 기재하였다. 더불어 기존에 알려진 Beauveria 속 균주들과 유연관계를 확인하고자,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http://www.ncbi.nlm.nih.gov/)에 보고되어 있는 15 종의 Beauveria 속 균주의 β-tublin 서열을 Beauveria JEF-410과의 유연관계를 비교하였다 (도3). 분석 결과, 기존에 알려진 균주들과 유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라이머 방향 서열 서열목록 번호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정방향 5' - CCG TAG GTG AAC CTG CGG - 3' 1
역방향 5' - TCC TCC GCT TAT TGA TAT GC - 3' 2
실시예 3. 기장 (Millet)을 이용한 고체배양조건에서의 포자 생산
배양용 polyvinyl bag에 기장(millet) 200 g씩 넣은 후, 50% citric acid 0.16 ㎖을 추가로 처리하였다. Microwave를 5분간 처리하여 수분이 충분히 millet에 흡수되도록 하였다. Polyvinyl bag의 입구 부분은 원활한 산소공급을 위해 종이컵과 멸균 거즈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Millet이 담긴 polyvinyl bag은 121℃ 조건에서 15 min 간 멸균되었다. 상온에서 냉각 후, B. bassiana JEF-410 균주현탁액 (1x107 conidia/ml)을 1 ml 씩 polyvinyl bag에 접종하였다. 25℃ 조건에서 14일간 배양 후, 실온 조건에서 1일간 건조 시킨 각 균주의 포자를 최종 생산하였다 (도 4).
실시예 4.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 효과
기장 (Millet)에 배양된 B. bassiana JEF-410 을 이용하여 포자 현탁액 (1x107 conidia/ml) 조제한 후 닭진드기 약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25℃ 조건에서 분무 7일차에 생충수와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JEF-410 경우 처리 후 3일차 경과 하였을 때 0.03% silwet을 분무처리한 negative control 보다 50%이상의 빠른 살충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처리 5일차에 95% 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기존 화학약제 처리구보다 높은 살충효과를 보였다 (도 5). 따라서 본 결과를 바탕으로 B. bassiana JEF-410 균주가 다른 B. bassiana 균주에 비해 닭진드기에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다고 판단되었으며, 저항성을 보이는 화학약제보다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시예 5.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의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 효과
기장 (Millet)에 배양된 B. bassiana JEF-410 을 이용하여 포자 현탁액 (1x107 conidia/ml)을 조제한 후 닭진드기 약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25℃ 조건에서 분무 10일차에 생충수와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JEF-410균주 처리 5일차에 0.03% silwet을 분무 처리한 negative control 보다 50%이상의 빠른 살충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처리 10일차에 100% 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이는 기존 화학약제 처리구보다 높은 살충효과를 보였다 (도 6). 따라서 본 결과를 바탕으로 B. bassiana JEF-410 균주가 다른 B. bassiana 균주에 비해 닭진드기에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다고 판단되었으며, 저항성을 보이는 피레스로이드계 화학약제 (alpha cypermethrin)보다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시예 6.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와 레카니실리움 아테나텀 (Lecanicillium attenuatum) JEF 145 또는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균주와의 혼합처리군의 닭진드기에 대한 방제 효과(분무 처리)
기장 (Millet)에 배양된 B. bassiana JEF-410, L.attenuatum JEF 145, I.fumosorosea JEF150 을 이용하여 두 가지 조건으로 포자현탁액을 분무처리하였다. 첫 번째로 단일 균주의 처리구의 경우 포자 현탁액 (1x107 conidia/ml) 조제한 후 닭진드기 약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두 번째로 혼합 균주의 처리구의 경우 포자 현탁액 (2x107 conidia/ml)을 조제한 후 JEF-410 + JEF-145 (1:1) 또는 JEF-410 +JEF-150 (1:1) 조건으로 혼합하여 닭진드기 약충에 최종 1x107 conidia/ml 농도로 처리되도록 분무하였다. 25℃ 조건에서 분무후 매일 생충수와 사충수를 조사하여 8일차까지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B. bassiana JEF-410과 Isaria fumosorosea JEF-150과의 혼합처리에서 처리 2일차부터 6일차까지 살충효과의 상승을 확인하였다 (도 6). 2일차 생충율은 JEF-410은 53.2%, JEF-150은 81.4%를 보였으나, JEF-410+JEF-150 혼합처리의 경우 35.9%로 JEF-410 단일균주 처리보다 월등히 낮은 생충율을 보였다. 4일차 생충율은 JEF-410은 39.4%, JEF-150은 67.3%를 보였으나, JEF-410+JEF-150 혼합처리의 경우 22.6%로 JEF-410 단일균주 처리보다 낮은 생충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6일차 생충율은 JEF-410은 22.5%, JEF-150은 44.1%를 보였으나, JEF-410+JEF-150 혼합처리의 경우 17.1%로 JEF-410 단일균주 처리보다 낮은 생충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결과를 바탕으로 B. bassiana JEF-410 균주를 I.fumosorosea JEF150 균주와 혼합 처리할 경우, 살충효과가 향상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B. bassiana JEF-140과 L. attenuatum JEF-145와 혼합처리에 의한 상승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데이터 제시않음).
실시예 7.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수화제 및 액상 제형 제조.
수화제 제조는 하기 과정을 통해 제조 되었다. 기장 (millet)을 이용하여 진행된 JEF-410 균주의 고체배양체에서 포자가 수확되었다 (도 8(A), (B)). 확보된 포자 분말 (원제), 증량제 (pyrophyllite) 그리고 계면활성제를 90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도 8(C)). 300 mesh 이하의 분말 입도를 확보하기 위해 sieve를 이용하여 filtering 과정을 진행하였다. 액상 제형 제조는 다음 과정을 통해 제조 되었다. 기장 (millet)을 이용하여 진행된 JEF-410 균주의 고체배양체에서 포자가 수확되었다 (도 9(A), (B)). 확보된 포자 분말 (원제) 와 계면활성제 (surfactant)를 약 2 : 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도 9(C)). 미세한 분말 입도를 확보하기 위해, sieve를 이용하여 미세 분말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미세분말을 물에 희석하여 농축된 액상 제형을 제작하였다 (도 9(d)).

Claims (10)

  1.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가지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2.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제형, 분말제형 및 입상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4. 제 2항의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에 증량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형화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이 액상제형인 경우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Sodiumlignosulfonate),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에톡실레이트(isotridecyl alcohol ethoxylate) 및 아세틸렌 다이올(acetylene dio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이 분말제형 또는 입상제형인 경우 소듐 리그노설포테이트(Sodium lignosulfonate) 또는 E0/P0/E0 블록 중합체(EO/PO/EO block copolymer)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량제는 광물성 분말인,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8. 제 3항의 방제용 조성물을 처리하여,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9.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 (KFCC11791P) 및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Isaira fumosorosea) JEF150 (KFCC11757P), 상기 균주의 포자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를 포함하는,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10. 보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JEF-410 균주를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용도.
PCT/KR2019/014950 2018-11-08 2019-11-06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WO20200963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512 2018-11-08
KR1020180136512A KR102105252B1 (ko) 2018-11-08 2018-11-08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닭 진드기 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334A1 true WO2020096334A1 (ko) 2020-05-14

Family

ID=7046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950 WO2020096334A1 (ko) 2018-11-08 2019-11-06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5252B1 (ko)
WO (1) WO2020096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124B1 (ko) 2021-07-02 2023-06-13 주식회사 바이오리브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친환경 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KR102395628B1 (ko) 2021-09-06 2022-05-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aad16 균주와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 및 살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3855A (ko) * 1992-11-13 1995-11-17 곤충 및 응애류 방제용 상승작용성 제제(synergistic agents for controlling insects and mites)
KR20030035708A (ko) * 2001-11-02 2003-05-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패실로마이세스 속 미생물 및 그를 포함하는토양해충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JP2005304421A (ja) * 2004-04-23 2005-11-04 Forestry & Forest Products Research Institute 新規微生物及びその利用
US8574566B2 (en) * 2008-06-23 2013-11-05 Biology Centre As Cr, V.V.I. Strai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fumosorosea CCM 8367 (CCEFO.011.PF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 and mite pes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5101A (ja) * 2013-05-14 2016-07-28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ボーベリア・バッシアナ12b菌株及び該菌株を用いた微生物農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3855A (ko) * 1992-11-13 1995-11-17 곤충 및 응애류 방제용 상승작용성 제제(synergistic agents for controlling insects and mites)
KR20030035708A (ko) * 2001-11-02 2003-05-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패실로마이세스 속 미생물 및 그를 포함하는토양해충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JP2005304421A (ja) * 2004-04-23 2005-11-04 Forestry & Forest Products Research Institute 新規微生物及びその利用
US8574566B2 (en) * 2008-06-23 2013-11-05 Biology Centre As Cr, V.V.I. Strai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fumosorosea CCM 8367 (CCEFO.011.PF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 and mite pes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ERNBERG, T. ET AL.: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the fungus Beauveria bassiana and desiccant dusts applied against poultry red mites (Dermanyssus gallinae", EXPERIMENTAL AND APPLIED ACAROLOGY, vol. 62, 2014, pages 511 - 524, XP0557061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252B1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21797A1 (ko) 천연 휘발성 화합물을 생산하고, 항균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dr-08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2064096A2 (ko) 신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의 식물 뿌리썩음병 방지 용도
WO2020096334A1 (ko) 닭진드기 방제효과를 갖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jef-410 균주,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를 방제하는 방법
WO2020262910A1 (ko) 브레비바실러스 브레비스 hk544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WO2013042900A2 (en) Novel strain bacillus vallismortis bso7m capable of promoting growth of plant and confering cold resistance on plant and microbial formula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6163726A1 (ko) 식물기생선충에 대해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f22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0184771A1 (ko) 농약성분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미생물처리제
WO2015072603A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bn-tk3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제
WO2017179766A1 (ko) 염산 처리에 의한 그람양성 박테리아 고스트의 제조 방법
WO2014069919A1 (ko) 식물의 병원균 예방, 제거 및 토양 복원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162226A1 (ko) 다양한 식물에 저항성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ck-1398 균주,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방제방법
WO2018093199A9 (ko) 바실로펩틴 계열의 고리형 리포펩타이드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yc7011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Prior et al. The infectivity of Metarhizium anisopliae to two insect pests of coconuts
WO2024076222A1 (ko)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ak-10 균주의 배양액 또는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뭄 스트레스 저감용 조성물, 및 가뭄 스트레스 저감 유도 방법
WO2011005042A2 (ko)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르젠테오루스 균주
Pereira et al. Bioactivity under laboratory conditions of Brevibacillus laterosporus towards larvae and adults of Chrysomya putoria (Diptera: Calliphoridae)
WO2022055241A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88770A2 (ko) 새우 조기폐사증후군 감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89166A1 (ko) 신규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바이러스의 방제 방법
WO2021029507A1 (ko) 참다래 궤양병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레이스모크로모제네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2005143A1 (ko) 페니바실러스 엘지아이 jck-5075 균주의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세균병 방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식물세균병 방제 방법
Devi et al. Effect of some bacterial bioagent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race 2)
WO2019212209A1 (ko) 곤충 병원성 미생물 농약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01415A1 (ko)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4085483A1 (ko) 살충 및 살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331r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1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81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