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23776A2 -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23776A2
WO2012023776A2 PCT/KR2011/005988 KR2011005988W WO2012023776A2 WO 2012023776 A2 WO2012023776 A2 WO 2012023776A2 KR 2011005988 W KR2011005988 W KR 2011005988W WO 2012023776 A2 WO2012023776 A2 WO 201202377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amper
plate
voice coil
lead
s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9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23776A3 (ko
Inventor
김동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셀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셀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셀웨이
Publication of WO201202377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3776A2/ko
Publication of WO201202377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377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24Tension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s of diaphragm or c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04R9/047Construction in which the windings of the moving coil lay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이스 코일판에 장착되어 진동 효율을 높이면서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연결을 없앰으로써 생산공정의 단축 및 리드선의 끊김에 의한 품질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는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나선형 트랙형태의 보이스 코일이 형성된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과 장착되고,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판에 접착되는 코일판-스플라인(Spline)과, 상기 코일판-스플라인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상하 움직임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움직이는 댐퍼 기능을 갖는 날개-스플라인과, 상기 날개-스플라인의 일측과 연결되며,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부분에 접착되는 외측-스플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스플라인의 양단에는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본 발명은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이스 코일판에 장착되어 진동 효율을 높이면서 보이스 코일의 리드선을 연결을 없앰으로써 생산공정의 단축 및 리드선의 끊김에 의한 품질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는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자석 사이에 개재된 보이스 코일 및 진동판을 구비하며, 보이스 코일의 움직임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함으로써 음을 발생한다.
평판형 스피커는 평판형 보이스 코일과 그 양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자석이 배치되어 플래밍의 왼속 법칙과 로렌쯔 원칙에 의해 유기 기전력을 발생시켜 음성에 따른 주파수를 형성하여 그 주파수가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로 재현된다.
보이스 코일은 플레이트 형상의 코일 베이스 단면 또는 양면에 타원 형태로 와권되거나 인쇄 패턴되어 보이스 코일판을 형성한다.
보이스 코일판 상단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진동판이 부착되며, 보일스 코일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함으로써 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보이스 코일판에 형성된 보이스 코일은 +,- 리드선(은사선)이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양쪽 단자에 본딩되어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보이스 코일판은 세워진 상태에서 진동판과 접착되므로 진동판과의 접착면적이 작아 진동 에너지 전달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보이스 코일판에 형성된 리드선이 베이스 프레임에 본딩되어 있어 보이스 코일판은 상하로 움직이게 되나 베이스 프레임은 고정되어 본딩이 끊어지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이스 코일판의 리드선을 공정상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에 연결시 보통 은사선을 이용하여 납땜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스피커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 왔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이스 코일판 하단에 댐퍼-리드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보다 많은 사운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이스 코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까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리드선(은사선)을 납땜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공정단축 및 리드선 연결에 따른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나선형 트랙형태의 보이스 코일이 형성된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과 장착되고,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판에 접착되는 코일판-스플라인(Spline)과, 상기 코일판-스플라인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상하 움직임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움직이는 댐퍼 기능을 갖는 날개-스플라인과, 상기 날개-스플라인의 일측과 연결되며,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부분에 접착되는 외측-스플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스플라인의 양단에는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위치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재에 전기적으로 2개로 분리되도록 도전성 재료로 코팅되어 이루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날개-스플라인의 일측은 상기 코일판-스플라인의 중심 또는 양단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외측-스플라인의 소정 위치에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스플라인은 상기 코일판-스플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2 쌍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보이스 코일판 하단에 댐퍼-리드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보다 많은 사운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보이스 코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까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리드선(은사선)을 납땜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공정단축 및 리드선 연결에 따른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평판형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110 : 보이스 코일판 112 : 요크
113 : 자석 114 : 자기체
115 : 진동판
111,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 댐퍼-리드 플레이트
301a, 401a, 501a, 601a, 701a, 801a, 901a, 1001a : 제1댐퍼-리드 플레이트
301b, 401b, 501b, 601b, 701b, 801b, 901b, 1001b : 제2댐퍼-리드 플레이트
302a, 402a, 502a, 602a : 외측-스플라인
303a, 403a, 503a, 603a : 코일판-스플라인
304a, 404a, 504a, 604a : 날개-스플라인
305a, 405a, 505a, 605a : 단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평판형 스피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는 트랙형태로 와권되거나 패턴 인쇄되는 보이스 코일이 형성된 보이스 코일판(110)과, 보이스 코일판(110) 좌우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자기체(114, 도 1에는 하나의 자기체만 도시됨)와, 보이스 코일판(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판(110)의 상하 움직임을 보조하는 댐퍼-리드 플레이트(111)와, 보이스 코일판(1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진동에너지를 음으로 전달시키는 진동판(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관을 이루며 각종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의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자기체(114)는 가운데에 자석(113)과 자석(113)의 상하에 요크 또는 자석 플레이트(112)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형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판(110)과 그 양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자기체(114)가 배치됨으로써 보이스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플래밍의 왼속 법칙과 로렌쯔 원칙에 의해 유기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유기 기전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판(110)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판(110)의 하부에 결합된 댐퍼-리드 플레이트(111)는 보이스 코일판(110)의 상하 움직임을 보조하게 되어 진동판(115)으로의 더 많은 진동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래에서 다시 설명되지만 댐퍼-리드 플레이트(111)의 양단에는 단자가 형성되어 이 단자가 베이스 프레임의 전원단자와 연결되고 보이스 코일의 전원 와이어가 댐퍼-리드 플레이트(111)의 일측에 납땜되어 연결되게 함으로써 댐퍼-리드 플레이트(111)로 하여금 보이스 코일과 베이스 프레임의 전원단자를 연결시키는 리드선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10을 통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종래의 평판형 스피커에 없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 새로이 설명된다.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보이스 코일판 하단에 연결되어 보다 많은 진동 에너지를 진동판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보조 수단이 되도록 판스프링 또는 댐퍼 역할을 하며, 또한 양단에 단자를 형성하고 메탈 금속판(또는 절연재판에 도전성재료를 코팅)으로 형성시켜 기존의 보이스 코일과 회로 연결을 위해 사용했던 리드선(은사선)의 납땜 연결을 없애고 리드선 역할을 메탈 금속판으로 대체하여 리드선의 끊김에 의한 불량을 없애고 공정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댐퍼-리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각종의 스플라인은 사전적인 의미로서 금속 등의 가늘고 긴 박판(薄板)을 의미한다.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되는 댐퍼-리드 플레이트(300, 400, 500, 600)는 나선형 트랙형태의 보이스 코일이 형성된 보이스 코일판 하단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스플라인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심부는 보이스 코일판의 상단과 접착되고,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일측 이상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접착되어 어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판스프링 또는 댐퍼 형태로 유동되는 공통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300)는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와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b)의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 301b)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도전성을 지난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져 한쪽은 +단자, 다른 한쪽은 -단자로 회로를 구성한다.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평행한 사선을 기준으로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b)는 대칭된 위치에서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위치를 갖게 되고,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 301b)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을 이루게 된다.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 301b)가 좌우 및 상하 대칭을 이루는 것은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 301b)의 구조가 사실상 동일하도록 하여 생산공정의 잇점을 취하기 위함이며, 진동판(115)에 진동 에너지 전달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지만,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 301b)의 구조를 서로 달리하여 배치시키는 것도 문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도 3에 도시된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며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b) 구조도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와 동일하다.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는 외측-스플라인(302a), 코일판-스플라인(303a), 날개-스플라인(304a) 및 단자(305a)로 이루어지며, 끊김없이 일체로 연결된다.
외측-스플라인(302a)은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부분에 접착되는 부분이며, 코일판-스플라인(303a)은 보이스 코일판(110)에 접착되는 부분이고, 날개-스플라인(304a)은 비접착되어 댐퍼 또는 판스프링과 같이 진동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단자(305a)는 양단에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에 형성된 전원 단자대에 체결되는 부분이며, 보이스 코일의 +, - 와이어 부분은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스플라인에 납땜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날개-스플라인(304a)과 납땜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의 +는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와 연결되고 보이스 코일의 -는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b)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 301b) 각각의 단자(305a)는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대와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기존의 보이스 코일과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대와의 연결은 리드선(은사선)을 납땜공정을 거쳐 구현하였는 데, 작업공정도 문제이지만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대는 고정된 상태고 보이스 코일판은 상하 유동되는 상태이므로 리드선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댐퍼-리드 플레이트(300)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는 보이스 코일의 와이어와 날개-스플라인(304a)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판과 날개-스플라인(304a)이 동시에 유동성을 가지게 되어 보이스 코일과 댐퍼-리드 플레이트(300)가 끊어지는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이스 코일과 날개 스플라인(304a)과의 연결작업에 의해 기존에 리드선(은사선) 공정이 없어지게 되므로 생산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외측-스플라인(302a)은 베이스 프레임에 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 놓이며, 코일판-스플라인(303a)은 보이스 코일판(110)에 접착되어 보이스 코일판(110)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고, 날개-스플라인(304a)은 코일판-스플라인(303a)의 일측과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판(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마치 판스프링처럼 상하 진동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리드 플레이트(300)의 구조는 보이스 코일판(110)에 판스프링 형태로 연결되어 보다 많은 사운드 에너지를 진동판(115)으로 전달함으로써 스피커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댐퍼-리드 플레이트(300)를 금속 박막체로 구성하고 양단에 단자(305a)들을 형성시켜 보이스 코일과 베이스 프레임의 리드선 연결공정을 없앰으로써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401a, 401b)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도전성을 지난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져 한쪽은 +단자, 다른 한쪽은 -단자로 회로를 구성한다.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401a)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평행한 사선을 기준으로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401b)는 대칭된 위치에서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위치를 갖게 되고, 제1 및 제2 진동-리드 플레이트(401a, 401b)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을 이루게 된다.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401a)는 외측-스플라인(402a), 코일판-스플라인(403a), 날개-스플라인(404a) 및 단자(405a)로 이루어지며, 끊김없이 일체로 연결된다.
외측-스플라인(402a)은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부분을 따라 길게 접착되는 부분이며, 코일판-스플라인(403a)은 보이스 코일판(110)에 접착되는 부분이고, 날개-스플라인(404a)은 비접착되어 댐퍼 또는 판스프링 기능을 갖는다.
날개-스플라인(404a)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좌우 두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자(405a)는 양단에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의 단자대에 체결되는 부분이며, 보이스 코일의 +, - 와이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날개-스플라인(404a)과 납땜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의 +는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401a)와 연결되고 보이스 코일의 -는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401b)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401a, 401b) 각각의 단자(405a)는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대와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외측-스플라인(402a)은 베이스 프레임에 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 놓이며, 코일판-스플라인(403a)은 보이스 코일판(110)에 접착되어 보이스 코일판(110)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고, 날개-스플라인(404a)는 코일판-스플라인(403a)의 일측과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판(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마치 판스프링처럼 상하 진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501a, 501b)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도전성을 지난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져 한쪽은 +단자, 다른 한쪽은 -단자로 회로를 구성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301a, 301b, 401a, 401b)는 대칭된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위치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지만 제3 실시예의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501a, 501b)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501a)는 외측-스플라인(502a), 코일판-스플라인(503a), 날개-스플라인(504a) 및 단자(505a)로 이루어지며, 끊김없이 일체로 연결된다.
외측-스플라인(502a)은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부분에 접착되는 부분이며, 코일판-스플라인(503a)은 보이스 코일판(110)에 접착되는 부분이고, 날개-스플라인(504a)은 비접착되어 댐퍼 또는 판스프링 기능을 수행한다.
단자(505a)는 양단에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의 단자대에 체결되는 부분이며, 보이스 코일의 +, - 와이어 부분은 날개-스플라인(504a)과 납땜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의 +는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501a)와 연결되고 보이스 코일의 -는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501b)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501a, 501b) 각각의 단자(505a)는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대와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외측-스플라인(502a)은 베이스 프레임에 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 놓이며, 코일판-스플라인(503a)은 보이스 코일판(110)에 접착되어 보이스 코일판(110)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고, 날개-스플라인(504a)는 코일판-스플라인(503a)의 일측에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판(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마치 판스프링처럼 상하 진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용 댐퍼-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601a, 601b)는 절연재질(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도면상에 표시된 것처럼 도전성 분말을 절연재 상에 코팅처리시켜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601a, 601b)로 하여금 도전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601a, 601b)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하여 +단자, 다른 한쪽은 -단자로 회로를 구성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이 물리적으로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에서는 도전체의 금속박막체로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지만, 제4 실시예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 자체가 어려운 형태인 경우에는 절연재질로 이를 제조하여 도전성 재질로 코팅 처리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601a)는 외측-스플라인(602a), 코일판-스플라인(603a), 날개-스플라인(604a) 및 단자(605a)로 이루어지며, 끊김없이 일체로 연결된다.
외측-스플라인(602a)은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부분에 접착되는 부분이며, 코일판-스플라인(603a)은 보이스 코일판(110)에 접착되는 부분이고, 날개-스플라인(604a)은 비접착되어 댐퍼 또는 판스프링 기능을 수행한다.
단자(605a)는 양단에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의 단자대에 체결되는 부분이며, 보이스 코일의 +, - 와이어 부분은 날개-스플라인(604a)과 납땜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의 +는 제1 댐퍼-리드 플레이트(601a)와 연결되고 보이스 코일의 -는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601b)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601a, 601b) 각각의 단자(605a)는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대와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댐퍼-리드 플레이트]
도 11 내지 도 14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댐퍼-리드 플레이트(700, 800, 900, 1000)가 제1 및 제2 댐퍼-리드 플레이트(701a, 701b, 801a, 801b, 901a, 901b, 1001a, 1001b)로 구분되며 대칭 구조를 이룬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5 및 제6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이며, 도 13에 도시된 제7 실시예는 제4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도 14에 도시된 제8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상적인 실시예로서 8가지 구조예를 설명하였지만, 8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는 한정적으로만 예시한 것일 뿐 이외에 다른 구조를 갖는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기본적으로 외측-스플라인, 코일판-스플라인 및 날개-스플라인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갖으며, 양단에 베이스 프레임의 단자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나선형 트랙형태의 보이스 코일이 형성된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과 장착되고,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판에 접착되는 코일판-스플라인(Spline)과,
    상기 코일판-스플라인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상하 움직임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움직이는 댐퍼 기능을 갖는 날개-스플라인과,
    상기 날개-스플라인의 일측과 연결되며,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부분에 접착되는 외측-스플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스플라인의 양단에는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단자가 형성되는,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위치를 갖는,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재에 전기적으로 2개로 분리되도록 도전성 재료로 코팅되는,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리드 플레이트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는,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스플라인의 일측은 상기 코일판-스플라인의 중심 또는 양단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외측-스플라인의 소정 위치에서 연결되는,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과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스플라인은 상기 코일판-스플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2 쌍 이상으로 형성되는,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과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
PCT/KR2011/005988 2010-08-17 2011-08-16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WO201202377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18 2010-08-17
KR1020100079318A KR101139388B1 (ko) 2010-08-17 2010-08-17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776A2 true WO2012023776A2 (ko) 2012-02-23
WO2012023776A3 WO2012023776A3 (ko) 2012-04-05

Family

ID=4560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988 WO2012023776A2 (ko) 2010-08-17 2011-08-16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9388B1 (ko)
WO (1) WO201202377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0725A1 (zh) * 2017-07-10 2019-01-17 歌尔科技有限公司 扬声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58B1 (ko) * 2012-03-08 2013-08-21 주식회사 엑셀웨이 평판 스피커용 fpcb 일체형 리드 플레이트
KR101506592B1 (ko) * 2012-12-14 2015-03-27 주식회사 블루콤 슬림타입 스피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627A (ko) * 2004-08-23 2004-09-10 주식회사 이엠텍 편평형 보이스코일을 이용한 초슬림 사각형 마이크로 스피커
KR20050080062A (ko) * 2005-07-06 2005-08-11 주식회사 이엠텍 초슬림 사각형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0952A (ko) * 2007-10-23 2009-04-28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전자음향변환기
KR20100011199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박막스피커
KR100963559B1 (ko) * 2009-07-20 2010-06-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036Y1 (ko) * 1988-12-05 1993-11-30 삼성전기 주식회사 평면 진동판 스피커
KR20050043482A (ko) * 2003-11-06 2005-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피커용 댐퍼 및 이를 적용한 스피커
KR100948227B1 (ko) * 2008-01-22 2010-03-18 이재일 평판형 스피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627A (ko) * 2004-08-23 2004-09-10 주식회사 이엠텍 편평형 보이스코일을 이용한 초슬림 사각형 마이크로 스피커
KR20050080062A (ko) * 2005-07-06 2005-08-11 주식회사 이엠텍 초슬림 사각형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0952A (ko) * 2007-10-23 2009-04-28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전자음향변환기
KR20100011199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박막스피커
KR100963559B1 (ko) * 2009-07-20 2010-06-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0725A1 (zh) * 2017-07-10 2019-01-17 歌尔科技有限公司 扬声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776A3 (ko) 2012-04-05
KR101139388B1 (ko) 2012-04-27
KR20120016838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3775A1 (ko)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과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
WO2012169792A2 (ko)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수평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WO2012111943A2 (ko) Pcb 보이스 코일판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갖는 평판형 스피커
WO2013133652A1 (ko) 평판 스피커용 fpcb 일체형 리드 플레이트
WO2019177307A1 (ko) 하이브리드 가동 코일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스피커
WO2013002499A2 (ko) n개의 자석과 n+1개의 보이스 코일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평판형 스피커
WO2019156398A1 (ko) 다층 및 듀얼 트랙의 가동 코일을 구비한 평판형 스피커
WO2010131797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8093043A1 (ko) 하이브리드 스피커
US20130051604A1 (en) Speaker
WO2012111944A2 (ko) 진동판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갖는 평판형 스피커
WO2012023776A2 (ko)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댐퍼 및 리드 와이어 기능을 갖는 댐퍼-리드 플레이트
WO2012144773A2 (ko)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WO2021054707A1 (ko) 평판 스피커용 가동 코일
WO2011083988A2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N214481240U (zh) 扬声器
WO2012086931A1 (ko) 입체형 트랙타입 보이스코일판을 갖는 평판형 스피커
WO2024035093A1 (ko) 하이브리드 코일판과 이를 이용한 평판형 스피커 및 진동 드라이버
WO2013107071A1 (zh) 发声器
WO2021085981A1 (en) Vehicle speaker
WO2024085526A1 (ko) 리드선 및 서스펜션이 일체화된 pcb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WO2023229361A1 (ko) 평판 스피커용 복수의 라인 패턴을 갖는 보이스 코일판
KR200453837Y1 (ko) 스피커
WO2019035560A1 (ko) 안테나 모듈
WO2011111968A9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183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183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