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38997A1 -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 Google Patents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8997A1
WO2011138997A1 PCT/KR2010/003373 KR2010003373W WO2011138997A1 WO 2011138997 A1 WO2011138997 A1 WO 2011138997A1 KR 2010003373 W KR2010003373 W KR 2010003373W WO 2011138997 A1 WO2011138997 A1 WO 20111389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iner body
flange
push butt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3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중배
Original Assignee
Lee Joong Bae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Joong Bae filed Critical Lee Joong Bae
Publication of WO20111389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89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usion vessel for discharging viscous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quantitatively extract the contents by applying pressure without sudden pressure fluctuations, while simplifying the extrusion vessel structure to improve manufacturing cost and assembly properti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ly reliable viscous content extrusion container that can be economically manufactured at low cost, refill and replace contents during use, and is simple and convenient, and can be reused repeatedly.
  • viscous liquid contents such as detergents or gels in the form of cosmetic liquids, such as shampoos
  • a stopper attached to the inlet, and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While raising the container body by hand, a certain amount of contents were poured into the other hand.
  • the contain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handle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and the contents are consumed more than necessary because the amount of the contents cannot be adjusted.
  • a liquid discharge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liquid by a predetermined amount.
  • the liquid discharge device is installed in the upper body inserted into the stopper and the lower bod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ower body and the transfer member protruding to the upper body upper side, the communication memb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press the discharge nozzle formed on one side
  • the contact pad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ember and the transfer member, and the compression spring returns the contact pad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conveying member When the liquid discharge device discharges the liquid contents,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the conveying member is moved downward, and the contact pad is mov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by the conveying member, while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contact pad is simultaneously pressed It is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member through the discharge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the discharge nozzle of the pressing member.
  • Toothpaste, hair gel, ointment, and gel products which are more viscous than shampoo, are stored in tube-shaped containers, and when used, the lid is opened and squeezed, and the lid is closed after use.
  • Pump type containers which can be discharged and used are also known.
  • the pump type container is highly viscous, and if it is not properly fi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the viscous contents are not completely transported and discharged when discharged,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end of the nozzle outlet through the discharge pressure remaining in the container. Appears.
  • the discharge nozzle is generally open, and thus, a viscous product may be dried or contaminated.
  • Toothpaste extrusion containers for extruding toothpaste using vacuum pressure are known.
  • a piston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upper cylindrical wall of the vessel, and an inward flang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enter tube while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piston center tube, and a valve is installed between the center tube and the inward flange.
  • the extrusion container is introduced so that the contents are extruded only in one direction by causing the piston to move up and down by the spring elastic for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antitatively extract the content by applying a pressure without sudden pressure fluctuations and to simplify the extrusion container structure to manufacture part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extrusion container that can be economically manufactured at low cost b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assemblability, but also concise and convenient in refilling, replacing, and disassembling during use.
  • a viscous content extrusion vessel having a button
  • a container body which is an outer casing
  • a housing coupled to the head of the container body
  • a flange formed along an inner diameter of a head of the container body to couple the container body and the housing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communicate;
  • a flange cap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housing so as to couple the housing to the flange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communicate;
  • a push button which is guid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s a sealing member whose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has a through hole for external air injection;
  • a button cap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push button from being separated and to guide the operation;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ston which is seated in the space of the container body to move to the air pressure.
  • the flang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protruding passage for forming a passage to the upp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cap of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be seated.
  • the flange cap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corresponding protruding passage to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assage formed in the flange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inward direc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ead side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outward direction.
  • the outer wall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ped jaw seated on the head end of the container body.
  • the seal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the outer wall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late is formed elastically deformable.
  • an outlet cap having a stopper tha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o form an outlet and cover and open the outle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antitatively extracting the contents by applying pressure without sudden pressure fluctuations in extracting the contents of the viscous gel, such as toothpaste, shampoo, liquid soap products, general cosmetics, chemicals as necessary.
  • the viscous gel such as toothpaste, shampoo, liquid soap products, general cosmetics, chemicals as necessary.
  •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extrusion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conomically manufactured at a low cost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manufacturing parts and improving the assembly.
  • in refilling and replacing the contents during use it is possible to directly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ontainer body directly and consequently, so that it can be reused repeated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rus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trus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rus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rus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trus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rus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extrusion contain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part consists of the container body 20 which becomes an outer casing, and the housing 24 couple
  • a flange 26 formed along the inner diameter of the head of the container body 20 to couple the container body 20 to the housing 24 and having a passage 25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communicate.
  • the flange cap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24 and has a passage 27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communicate,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nge 26. 28 is configured.
  • the push button 23 is composed of a sealing member 29 is guided to the housing 24 and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4 and the through-hole 30 for external air injection is formed.
  • the button cap 31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4 to prevent the push button 23 from being separated and guide the operation.
  • a spring 32 mounted on the housing 24 to support the push button 23 in order to support the push button 23 in the housing 24.
  • the flange 26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2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protruding passage for forming the passage 25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flange cap 28 of the housing 24 is seated. Can be.
  • the flange cap 26 of the housing 24 is correspondingly projected passage 27 to b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rusion passage 25 formed in the flange 26 of the container body 20 in the inward direction
  • the outer wall 36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ead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may have a stepped jaw 37 seated at the head end of the container body 20. have.
  • the sealing member 29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23, the outer wall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4 is formed in the contact plate 38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 the sealing member 29 maintains a close contact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4 so as to prevent air leakage when the sealing member 29 mov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4.
  • External air can be passed through the passages 25 and 27 so that air press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piston 33 without loss.
  • an outlet cap 35 having a stopper 34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0 to form an outlet 22 and to cover and open the outlet 22.
  • the push button 23 that can be pressed on the upper portion around the container body 20 protrudes,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cap 35 ) Is blocking the outlet 22.
  • the push button 23 causes a pumping action when pressed so tha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4 through the through hole 30 and the piston 33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 is discharged at the inlet air pressure. ) To the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contents 10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 to the outlet 22 by the pushing force.
  • the push button 23 mov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4 has a sealing member 29 so that th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4 is kept airtight by preventing air from escaping.
  • the sealing member 29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4 through the elastically deformable contact plate 38 to prevent the air pressure from leaking between the gaps during operation.
  • the force for pushing the piston 33 can be prevented from decreasing.
  • the sealing member 29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good friction and elastic repulsion.
  • the use of the rubber material may be restricted.
  • the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by adjus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excellent.
  • the push button 23 is assembled to the housing 24 by the button cap 31 and is not detached.
  • the button cap 31 is machined on its inner diameter so that the button cap 31 can be engaged with the thread 24a of the housing 24 so that the button cap 31 can be screwed with the housing 24, so that the initial assembly and the post assembly disassembly can be completed simply. It is supposed to be.
  • the upper head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0 has a passage 25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to seat the protruding passage 27 formed in the flange cap 28 of the housing 24 to pass through the passages 25 and 27.
  • the container body 20 and the housing 24 are coupled so that they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the outer wall 37 of the flange cap 36 of the housing 24 is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20.
  • the outer body 37 of the outer cap 37 forms a threa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contacts the container body 20. If the thread is formed in the head part of the head), screwing is possibl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nd engage an interference fit coupling structure without forming a thread.
  • the container body 20 and the housing 24 can be assembled by screw or one-touch assembly is not difficult and easy to disassemble and simple.
  • the outlet 22 of the end of the container body 20 is equipped with an outlet cap 35 having a stopper 34 to prevent the contents 10 from flowing down, the stopper 3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40 After the outlet cap 35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0, the outlet 22 may be simply opened by using only the stopper 34 without disassembling the outlet cap 35.
  •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extrus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sing the push button 2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upper side, the spring 32 is compressed, the push button 23 moves along the inside of the housing 24, in the flow air flow to the passage (25) (27) Move to start pushing the piston 33 with air compression force.
  • the piston 33 stroke is represented by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10.
  • the piston 33 may be caused to some extent of reverse skid but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compressive force acts, in addition to the fine skid.
  • Pressing push button 23 pumps outside air into housing 24. Responsiveness is fast because the pimping pressure immediately presses the piston 33 without repeating it several times. Therefore, the operability is good because the contents 10 can be taken out without being operated several times.
  • the piston 33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pressure acts in the container body 20 discharges the contents 10 to the outlet 22 as much as the movement amount.
  • the screw-shaped locking jaw 41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push button 23, and the step button 42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41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button cap 31 to push the push button 23 in one direction.
  • the step button 42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41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button cap 31 to push the push button 23 in one direction.
  • Turn to lock, and tur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push button 41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screw bite type locking device that is released from the stepped (42) locking jaw 41 of the push button (23) It may be.
  •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iscous contents such as toothpaste, shampoo, liquid soap products, general cosmetics, chemicals, etc. in the container body 20, and can be artificially extracted as need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23, and sudden pressure fluctuation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tent can be extracted quantitatively as long as no pressure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이 있는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압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급격한 압력 변동 없이 압력을 가한 만큼 내용물을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하면서도, 압출 용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와 조립성을 개선하여 저비용으로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중 내용물 리필과 교체 그리고 분해 조립이 간결하고 편리하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고 신뢰성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몸체(20)와; 상기 용기 몸체(20)의 결합되는 하우징(24)과; 용기 몸체(20)의 헤드부 내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25)를 구비하는 플랜지(26)와; 상기 하우징(24)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27)를 구비하여 플랜지(2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캡(28)과; 상기 하우징(24)에 안내되어 결합 되며 일단부가 하우징(24)의 내벽과 밀착되는 밀폐부재(29)로 이루어지고 외부 공기 주입을 위한 통공(30)이 뚫려 있는 푸쉬 버튼(23)과; 상기 하우징(24)의 선단부에 결합 되어 푸쉬 버튼(23)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을 안내하는 버튼 캡(31)과; 상기 푸쉬 버튼(23)을 하우징(24) 내부에 탄지 하기 위해 하우징(24)에 안착되어 푸쉬 버튼(23)을 받쳐주는 스프링(32)과; 상기 용기 몸체(20)의 공간(21)에 안착 되어 공기압으로 이동하는 피스톤(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본 발명은 점성이 있는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압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급격한 압력 변동 없이 압력을 가한 만큼 내용물을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하면서도, 압출 용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와 조립성을 개선하여 저비용으로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중 내용물 리필과 교체 그리고 분해 조립이 간결하고 편리하며,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고 신뢰성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성을 지닌 액상 상태의 내용물 예를 들어, 샴푸 등의 세제 또는 젤 상태의 화장액 용액은 통상 입구부에 마개가 결합된 용기에 저장되어 내용물을 배출할 경우에는 마개를 개방한 다음 한 손으로 용기 몸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른 한손에 내용물을 일정량 쏟아서 사용하였다.
여기서 용기는 내용물을 배출할 경우 취급이 불편함은 물론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없어 필요 이상으로 내용물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배출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액체배출장치는 마개에 삽입되는 상부몸체 및 이에 삽입 결합 되는 하부몸체와 하부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몸체 상측으로 돌출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 상단과 연통되고, 일측으로 배출노즐이 형성된 누름부재 및 이송부재 하측에 삽입 설치되는 밀착패드와 밀착패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액체배출장치는 액상 내용물을 배출할 경우 누름부재의 상면을 누르면 이송부재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송부재에 의해 밀착패드가 하부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이동되는 한편 압축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밀착패드를 통해 이송부재로 유입되어 누름부재의 배출노즐로 일정량씩 배출된다.
샴푸 보다 점성이 높은 치약, 헤어젤, 연고, 겔 제품 등은 튜브 형상의 용기에 넣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뚜껑을 열어 짜서 사용하며, 사용한 뒤에 뚜껑을 막는 형태의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손잡이를 눌러서 내용물을 방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펌프식 용기도 알려져 있다.
펌프식 용기는 점성이 높아서 방출통로에 제대로 충진 되지 않으면 방출시 점성이 있는 내용물이 완전히 운반되어 배출되지 못하고, 용기 내에 잔류된 배출압에 의해 노즐배출구의 단부를 통하여 내용물이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배출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펌프식의 경우에 배출노즐이 열려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점성을 가진 제품이 건조되거나 오염될 가능성이 많다.
진공압을 이용하여 치약을 압출하는 치약압출용기가 알려져 있다. 미합중국특허 제4,511,068호에는 용기의 상부 원통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피스톤을 설치하고, 이 피스톤 중심관 상단부를 둘러싼 채로 중심관의 상단에 내향 플랜지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중심관과 내향 플랜지 사이에 밸브를 설치하여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이 상하 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일 방향으로만 내용물이 압출되도록 하는 압출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압출용기는 내용물이 압출된 후에 출구에 잔류하는 내용물에 의해 밸브가 대기압을 받는 힘이 약해지고 밸브가 닫혀 지는 시간이 어느정도 필요하게 되어 피스톤이 상승 된 후에 용기체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내용물을 재차 압출시키기 위해서는 피스톤의 상하운동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피스톤을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주변 부품이 많고 스프링이 필요하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관형출구부재 등을 결합해야 하므로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격한 압력 변동 없이 압력을 가한 만큼 내용물을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하고 압출 용기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 제작에 따르는 제조원가와 조립성을 개선하여 저비용으로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사용중 내용물 리필과 교체 그리고 분해 조립이 간결하고 편리한 고신뢰성 압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는,
내용물을 넣는 공간이 있고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용기 몸체가 있고, 그 용기 몸체의 공간에 내용물을 넣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내용물을 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용기 몸체에 결합된 푸쉬 버튼을 갖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이 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용기 몸체와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의 헤드부 내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캡과;
상기 하우징에 안내되어 결합 되며 일단부가 하우징의 내벽과 밀착되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지고 외부 공기 주입을 위한 통공이 뚫려 있는 푸쉬 버튼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결합 되어 푸쉬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을 안내하는 버튼캡과;
상기 푸쉬 버튼을 하우징 내부에 탄지 하기 위해 하우징에 안착되어 푸쉬 버튼을 받쳐주는 스프링과;
상기 용기 몸체의 공간에 안착 되어 공기압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상부측으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돌출 통로로 구성되어 하우징의 플랜지캡이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캡은 안쪽 방향으로 용기 몸체의 플랜지에 형성된 돌출 통로의 내경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돌출 통로가 형성되며, 바깥쪽 방향으로는 용기 몸체의 헤드부측 내벽과 밀착되는 외벽이 형성되고, 용기 본체의 헤드부 선단에 안착 되는 단차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밀폐부재는 푸쉬 버튼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의 내벽과 접촉하는 외벽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밀착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용기 몸체에 결합 되어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를 가리고 열 수 있는 마개를 갖는 배출구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약, 샴푸, 액상 비누제품류, 일반 화장품, 화학제품 등 점성이 있는 겔 상의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추출하는데 있어서 급격한 압력 변동 없이 압력을 가한 만큼 내용물을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출 용기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 제작에 따르는 제조원가를 줄이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저비용으로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중 내용물의 리필과 교체 등에 있어서 직접 용기 본체를 간결하고 편리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반복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출 용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출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출 용기의 작동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출 용기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압출 용기의 작동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내용물(10)을 넣는 공간(21)이 있고 내용물(10)을 배출하는 배출구(22)가 형성된 통 형상의 용기 몸체(20)가 있고, 그 용기 몸체(20)의 공간(21)에 내용물(10)을 넣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내용물(10)을 용기 몸체(2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용기 몸체(20)에 결합된 푸쉬 버튼(23)을 갖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로 구성된다.
주요 부분은, 외부 케이싱이 되는 용기 몸체(20)와, 용기 몸체(20)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용기 몸체(20)와 하우징(24)을 결합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20)의 헤드부 내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25)를 구비하는 플랜지(26)가 있다.
상기 플랜지(26)에 하우징(24)을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24)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27)를 구비하여 플랜지(2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캡(28)이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4)에 안내되어 결합 되며 일단부가 하우징(24)의 내벽과 밀착되는 밀폐부재(29)로 이루어지고 외부 공기 주입을 위한 통공(30)이 뚫려 있는 푸쉬 버튼(23)이 구성되고, 하우징(24)의 선단부에 결합 되어 푸쉬 버튼(23)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을 안내하는 버튼 캡(31)이 구성된다.
그리고, 푸쉬 버튼(23)을 하우징(24) 내부에 탄지 하기 위해 하우징(24)에 안착되어 푸쉬 버튼(23)을 받쳐주는 스프링(32)이 있다.
또한, 용기 몸체(20)의 공간(21)에 안착 되어 공기압으로 이동하는 피스톤(33)이 있다.
선택적으로, 용기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랜지(26)는 상부측으로 통로(25)를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돌출 통로로 구성되어 하우징(24)의 플랜지캡(28)이 안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24)의 플랜지캡(26)은 안쪽 방향으로 용기 몸체(20)의 플랜지(26)에 형성된 돌출 통로(25)의 내경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돌출 통로(27)가 형성되며, 바깥쪽 방향으로는 용기 몸체(20)의 헤드부측 내벽과 밀착되는 외벽(36)이 형성되고, 용기 몸체(20)의 헤드부 선단에 안착 되는 단차턱(37)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폐부재(29)는 푸쉬 버튼(23)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24)의 내벽과 접촉하는 외벽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밀착판(38)이 형성된다.
밀착판(38)이 탄력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면, 밀폐부재(29)가 하우징(24) 내벽을 따라 이동할 때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24) 내벽을 따라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외부 공기를 통로(25)(27)를 통해 공기 압력이 피스톤(33)에 손실 없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용기 몸체(20)에 결합 되어 배출구(22)를 형성하고 배출구(22)를 가리고 열 수 있는 마개(34)를 갖는 배출구 캡(35)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의 외관은 도 1에 나타낸 도면을 참고로 살펴보면, 용기 몸체(20)를 중심으로 상부에 누를 수 있는 푸쉬 버튼(23)이 돌출되어 있고, 하부측은 배출구 캡(35)이 배출구(22)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푸쉬 버튼(23)은 누름시 펌핑 작용을 일으켜 외부 공기를 통공(30)을 통해 하우징(24) 안으로 유입시키고 그 유입되는 공기 압력으로 용기 몸체(20)에 들어 있는 피스톤(33)을 배출구(22)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고, 밀어내는 힘으로 용기 몸체(20) 안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10)을 배출구(22)로 배출시킨다.
하우징(24)의 내벽을 따라 움직이는 푸쉬 버튼(23)에는 밀폐부재(29)가 있어 하우징(24) 내벽과 접촉되는 접촉면은 공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이 유지된다.
밀폐부재(29)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밀착판(38)을 통해 항상 하우징(24) 내벽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시 하우징(24) 내벽과 항상 접촉되어 공기압력이 틈 사이로 새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33)을 밀어내는 힘이 줄어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밀폐부재(29)는 마찰력과 탄성 반발력이 양호한 고무재 재료가 적합하다. 푸쉬 버튼(23)과 일체형 성형물로 구성하는 경우 고무재료의 사용에 제한을 받을 수 있는데 이럴 때는 탄성력이 우수하도록 합성수지재료의 물성을 조절한 것을 사용하여 제작하면 된다.
푸쉬 버튼(23)은 하우징(24)에 버튼 캡(31)에 의해 조립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버튼 캡(31)은 하우징(24)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24)의 나사산(24a)에 맞물려 결합 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경 상에 가공되어 있어 초기 조립 및 후 조립 분해를 간결하게 마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조립과 분해에서 통상의 펌핑 압출 용기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부품 조립이 필요 없이 스프링(32)을 넣고 빼는 것만으로 누구나 손쉽게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다.
용기 몸체(20)의 상부쪽 헤드부에는 통로(25)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4)의 플랜지캡(28)에 형성된 돌출 통로(27)를 안착시켜 통로(25)(27)들이 서로 상통되도록 용기 몸체(20)와 하우징(24)이 결합 된다.
하우징(24)의 플랜지캡(36) 외벽(37)은 용기 몸체(20)의 내벽과 밀착되어 결합되는데 외벽(37)의 외경에 도면에는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와 접촉하는 용기 몸체(20)의 헤드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면 나사 결합이 가능하다.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억지 끼워 맞춤 결합 구조를 선택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 몸체(20)와 하우징(24)은 나사 조립 또는 원 터치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과 분해가 어렵지 않으며 간단하다.
용기 몸체(20)의 단부쪽 배출구(22)에는 내용물(10)의 흘러 내림을 막기 위해 마개(34)를 갖는 배출구 캡(35)이 장착되는데 마개(34)는 연결대(40)로 연결되어 있어 배출구 캡(35)을 용기 몸체(20)에 결합하고 난 후 배출구 캡(35)을 분해 하지 않고 마개(34)만 열어서 배출구(22)를 간단하게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용기의 동작 설명도 이다. 상부측에서 푸쉬 버튼(23)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32)이 압축되면서 하우징(24) 내부를 따라 푸쉬 버튼(23)이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유동 공기를 통로(25)(27)로 이동시켜 공기 압축력으로 피스톤(33)을 밀어내기 시작한다. 피스톤(33) 스트로크는 내용물(10)의 배출량으로 나타난다.
용기 몸체(20) 안에서 피스톤(33)은 어느 정도의 역방향 밀림이 생길 수 있지만 미세한 밀림에 그치고 공기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푸쉬 버튼(23)을 통하여 펌핑 압축력을 가하지 않으면 용기 몸체(20) 내 어느 자리에서 멈춘다.
계속해서 푸쉬 버튼(23)을 누르면 푸쉬 버튼(23)에 뚫려져 있는 통공(30)을 통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24) 안으로 유입되어 피스톤(33)을 용기 몸체(20)의 하단부까지 보낸다.
푸쉬 버튼(23)을 누르면 외부 공기가 하우징(24) 안으로 펌핑된다. 여러 번 반복하지 않아도 핌핑 압력이 바로 피스톤(33)을 가압하므로 응답성이 빠르다. 따라서 여러 번 조작하지 않아도 내용물(10)을 꺼낼 수 있으므로 작동성이 좋다.
그리고 용기 몸체(20) 안에서 공기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33)은 이동량에 해당하는 만큼 내용물(10)을 배출구(22)로 배출한다.
결과적으로 용기 몸체(20)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10)의 배출이 필요할 때 내용물(10)의 정량적 추출이 가능하다. 푸쉬 버튼(23)을 누르는 정도에 따라 내용물(10)의 배출량이 달라지므로 사용시 푸쉬 버튼(23)의 조작 감각만 익히면 과 배출 등에 의한 내용물(10)의 손실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용기 몸체(20)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10)을 피스톤(33)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밀면서 배출하기 때문에 잔량 없이 거의 모두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푸쉬 버튼(23) 외경에 나사형 걸림턱(41)을 형성하고 버튼캡(31)의 내경에는 걸림턱(41)에 대응되는 단턱(42)을 형성하여 한쪽으로 방향으로 푸쉬 버튼(23)을 돌리면 잠기고,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푸쉬 버튼(23)의 걸림턱(41)이 단턱(42)으로부터 이탈되어 풀리는 나사 물림형 잠금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푸쉬 버튼(41)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는 종전 비교되는 압출 용기가 본 발명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몇 가지 특징을 갖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간결하지 않고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치약, 샴푸, 액상 비누제품류, 일반 화장품류, 화학제품류 등 점성이 있는 내용물들을 용기 몸체(20)에 담고 푸쉬 버튼(23)을 눌러서 필요한 만큼 인위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급격한 압력 변동 없이 압력을 가한 만큼 내용물을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기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 제작에 따르는 제조원가를 줄이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며, 내용물 리필을 포함한 교체 등을 손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내용물(10)을 넣는 공간(21)이 있고 내용물(10)을 배출하는 배출구(22)가 형성된 통 형상의 용기 몸체(20)가 있으며 그 용기 몸체(20)의 공간(21)에 내용물(10)을 넣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내용물(10)을 용기 몸체(2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용기 몸체(20)에 결합된 푸쉬 버튼(23)을 갖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이 되는 용기 몸체(20)와; 상기 용기 몸체(20)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4)과;
    상기 용기 몸체(20)와 하우징(24)을 결합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20)의 헤드부 내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25)를 구비하는 플랜지(26)와;
    상기 플랜지(26)에 하우징(24)을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24)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기가 상통할 수 있는 통로(27)를 구비하여 플랜지(2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캡(28)과;
    상기 하우징(24)에 안내되어 결합 되며 일단부가 하우징(24)의 내벽과 밀착되는 밀폐부재(29)로 이루어지고 외부 공기 주입을 위한 통공(30)이 뚫려 있는 푸쉬 버튼(23)과;
    상기 하우징(24)의 선단부에 결합 되어 푸쉬 버튼(23)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을 안내하는 버튼 캡(31)과;
    상기 푸쉬 버튼(23)을 하우징(24) 내부에 탄지 하기 위해 하우징(24)에 안착되어 푸쉬 버튼(23)을 받쳐주는 스프링(32)과;
    상기 용기 몸체(20)의 공간(21)에 안착 되어 공기압으로 이동하는 피스톤(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랜지(26)는 상부측으로 통로(25)를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돌출 통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4)의 플랜지캡(28)이 안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4)의 플랜지캡(26)은 안쪽 방향으로 용기 몸체(20)의 플랜지(26)에 형성된 돌출 통로(25)의 내경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돌출 통로(27)가 형성되며, 바깥쪽 방향으로는 용기 몸체(20)의 헤드부측 내벽과 밀착되는 외벽(36)이 형성되고, 용기 몸체(20)의 헤드부 선단에 안착 되는 단차턱(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29)는 푸쉬 버튼(23)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4)의 내벽과 접촉하는 외벽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밀착판(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20)에 결합 되어 배출구(22)를 형성하고 배출구(22)를 가리고 열 수 있는 마개(34)를 갖는 배출구 캡(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PCT/KR2010/003373 2010-05-07 2010-05-27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WO201113899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28U KR20110010649U (ko) 2010-05-07 2010-05-07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KR20-2010-0004828 2010-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8997A1 true WO2011138997A1 (ko) 2011-11-10

Family

ID=4490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373 WO2011138997A1 (ko) 2010-05-07 2010-05-27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10649U (ko)
WO (1) WO2011138997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682A2 (ko) * 2013-10-25 2015-04-30 (주)연우 리필이 가능한 압출식 앰플용기
CN105292673A (zh) * 2015-10-30 2016-02-03 李克非 一种便携式食品包装桶
DE102014116607A1 (de) * 2014-11-13 2016-05-19 Heinrich König & Co. KG Kartusche zum dosierten Ausbringen von flüssigen Medien und deren Verwendung
CN105730892A (zh) * 2016-03-19 2016-07-06 王才丰 一种高档日化用品包装瓶
CN105905453A (zh) * 2016-05-26 2016-08-31 李克非 一种食品包装盒
CN108891719A (zh) * 2018-08-14 2018-11-27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分装瓶容器
CN108891720A (zh) * 2018-08-14 2018-11-27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结构简单的分装瓶容器
CN109205103A (zh) * 2018-08-14 2019-01-15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便于出料的分装瓶容器
EP3486192A1 (en) * 2017-11-20 2019-05-22 Song, Seon Hye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US10737870B2 (en) 2017-11-20 2020-08-11 Seon Hye Song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N114955214A (zh) * 2022-06-15 2022-08-30 安徽天耘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医用冷敷凝胶挤出装置
CN115258396A (zh) * 2022-07-19 2022-11-01 安徽洁诺德塑胶包装有限公司 一种膏状物挤压容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499B1 (ko) * 2013-08-13 2015-04-06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WO2016068390A1 (ko) * 2014-10-31 2016-05-06 왕정순 바닥면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는 디스펜서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1997484B1 (ko) * 2017-05-24 2019-07-0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잉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문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43Y1 (ko) * 2005-04-18 2005-08-30 조주은 다용도 용기
KR100777364B1 (ko) * 2007-06-07 2007-11-19 손병문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KR20090116957A (ko) * 2008-05-08 2009-11-12 정규천 피스톤방식의 액상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43Y1 (ko) * 2005-04-18 2005-08-30 조주은 다용도 용기
KR100777364B1 (ko) * 2007-06-07 2007-11-19 손병문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KR20090116957A (ko) * 2008-05-08 2009-11-12 정규천 피스톤방식의 액상화장품 용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682A3 (ko) * 2013-10-25 2015-06-18 (주)연우 리필이 가능한 압출식 앰플용기
WO2015060682A2 (ko) * 2013-10-25 2015-04-30 (주)연우 리필이 가능한 압출식 앰플용기
DE102014116607B8 (de) * 2014-11-13 2018-12-13 Heinrich König & Co. KG Kartusche zum dosierten Ausbringen von flüssigen Medien und deren Verwendung
DE102014116607A1 (de) * 2014-11-13 2016-05-19 Heinrich König & Co. KG Kartusche zum dosierten Ausbringen von flüssigen Medien und deren Verwendung
DE102014116607B4 (de) * 2014-11-13 2018-02-22 Heinrich König & Co. KG Kartusche zum dosierten Ausbringen von flüssigen Medien und deren Verwendung
CN105292673A (zh) * 2015-10-30 2016-02-03 李克非 一种便携式食品包装桶
CN105730892A (zh) * 2016-03-19 2016-07-06 王才丰 一种高档日化用品包装瓶
CN105905453A (zh) * 2016-05-26 2016-08-31 李克非 一种食品包装盒
US10737870B2 (en) 2017-11-20 2020-08-11 Seon Hye Song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EP3486192A1 (en) * 2017-11-20 2019-05-22 Song, Seon Hye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N108891720A (zh) * 2018-08-14 2018-11-27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结构简单的分装瓶容器
CN109205103A (zh) * 2018-08-14 2019-01-15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便于出料的分装瓶容器
CN108891719A (zh) * 2018-08-14 2018-11-27 浙江伟飒塑业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分装瓶容器
CN114955214A (zh) * 2022-06-15 2022-08-30 安徽天耘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医用冷敷凝胶挤出装置
CN114955214B (zh) * 2022-06-15 2023-06-20 安徽天耘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医用冷敷凝胶挤出装置
CN115258396A (zh) * 2022-07-19 2022-11-01 安徽洁诺德塑胶包装有限公司 一种膏状物挤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49U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8997A1 (ko) 점성 내용물 압출 용기
WO2015023104A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WO2015008906A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5053555A1 (ko) 공기압에 의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WO2009091173A2 (ko) 수동식 분사펌프
WO2010050772A2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WO2016043370A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WO2014171725A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WO2016032155A1 (ko) 디스펜서 용기
KR100898619B1 (ko) 유체 펌핑장치
WO2009104915A2 (ko) 공기 펌프식 작동구 및 이 작동구를 갖는 용기
WO2018135806A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WO2017188521A1 (ko) 파우더 토출 용기
WO2015147504A2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4208945A1 (ko) 압출식 화장품 용기
WO2018135807A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WO2019164065A1 (ko) 이중 용기
KR102334654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140122386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6104928A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2001062357A (ja) 媒体ディスペンサ
WO2015147526A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WO2015147505A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5072732A1 (ko) 내용물 배출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1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5/01/201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1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