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15315A1 -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15315A1
WO2011115315A1 PCT/KR2010/001689 KR2010001689W WO2011115315A1 WO 2011115315 A1 WO2011115315 A1 WO 2011115315A1 KR 2010001689 W KR2010001689 W KR 2010001689W WO 2011115315 A1 WO2011115315 A1 WO 20111153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dule
database
trai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16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용
김학병
Original Assignee
(주)넷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블루 filed Critical (주)넷블루
Publication of WO20111153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153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for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s used to prevent or rehabilitate cognitive decline due to causes such as dementia by providing various contents that can improve human cognitive function.
  • Cognitive function refers to the ability to distinguish, select, accept, understand, and retain appropriate information, and to search for and apply information relevant to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needed. Therefore, when cognitive impairment occurs, the efficiency of such information processing decreases, the speed and continuity of cognitive function decreases, and the function for daily life decreases, and when a problem occurs,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spond to it.
  • dementia is a brain disease that indicates a general cognitive impairment in a clear state of consciousness. It is usually caused by chronic or progressive brain disease and affects many senior cerebral functions such as memory, thinking, understanding, calculation, learning, and language judgment. Disorders appear syndro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having an efficient software structure.
  • a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data for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 UI module for implementing training content in flash us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main program module for controlling the database and the UI module, wherein the UI module accesses the database through the main program module and call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of the main program module according to a user input.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from the UI module for implementing the training content in Flash; Receiving data for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stored in a database; And using the data input from the database, returning a result of performing the calle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to the flash UI module.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service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to be executed in a computer.
  • various training contents can be easily added and updated by storing data about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n an embedded database using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This may be possible, and may be connected to a web server or the like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training result to the outside.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screen provided to a user in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llustrated system includes a database 100, a main program module 110, and a flash UI module 12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database 100 stores data for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problem data, trainer data, and training result data.
  • the problem data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d to the trainer for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nd contents for rehabilitation of the cognitive function may be provided using the problem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00.
  • the database 100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cognitive ability tests such as language, numeracy, and common sense as the training data,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esting language ability, end-to-end, end-to-end, and end-to-end If you test your numeracy skills, you can provide the content that adds interest, etc., and if you test common sense, you can provide content that meets the correct answers to various problems such as economy, society, health, and sports. Can be.
  • the database 100 may store and build various contents that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various grades according to the trainer.
  • the trainer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each trainer using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name, address, ID, password, and cognitive function level corresponding to each trainer. .
  • the training result data may include a training result and the degree of treatment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performed for each of the trainers.
  •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stored in the databas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uses simple tasks to train a patient to improve the speed and response of a patient, for example, by pressing a specific key each time a number appears on the screen, or making a red circle on the screen. There may be training to press a specific key as quickly as possible each time it appears.
  • the concentration rehabilitation program among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may be configured to proceed in a manner of increasing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step by step by applying models such as attention concentration, selective concentration, cross concentration, and split concentration, which are components of concentration. .
  • level 1 concentration refers to training to focus the trainer's attention in one place with attention, for example, by pressing a specific key as quickly as possible whenever a red circle appears on the screen. Can be derived.
  • Level 2 concentration training is selective concentration training, which focuses on one characteristic of a task while suppressing spontaneous responses to other unrelated traits.
  • tasks that can be trained to respond selectively are applied, and tasks with a relatively low mental burden can be used for training.
  • the next step is cross-intensive training, which is the ability to suspend your reactions until all the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is gathered. For example, if you see a red square on the screen, When you see a green square, you can press the left button, or you can briefly show four numbers of the same length on the screen and then disappear, then show the other four and choose the same number as shown earlier.
  • red, yellow, green, and blue letter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ne by one, and then the letters that match the meaning and color of the letters are randomly listed and the letters that do not match, and the meaning and color of the letters match. You can provide content to trainers to find out what they do.
  • the flash UI module 120 may implement training content in Flash us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00, and thus, interactive graphics that may enhance training effects and induce interest to the user. Implementation of the effect may be possible.
  • the main program module 110 may control the flash UI module 120 and the database 100 so that the flash UI module 120 can access the database 100 and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 the flash UI module 120 accesses the database 100 through the main program module 110 to implement the training contents as described above in flash, an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main program module.
  • the training content may be implemented by call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of 110.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database 100 may be built as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using an embedded database, and thus, various training contents may be added or updated.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train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00 may be added and updated based on the embedded databas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 of training content may be possible, and custom content may be added or deleted for each user.
  • the database 100 may access an external web server using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and thus, various web services us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00 may be available.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the flash UI module 120 may not be able to directly access the database 10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 main UI module 110 may be more specifically provided through the main program module 110.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such as access to the database (100).
  • the main program module 110 has direct access to the database 100, control of Flash Movies using ActiveX controls, and other hardware on the system. It can also be implemented using a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C # to enable control over the data.
  • the C # is an object-oriented application language based on the .NET Framework, and the main program module 110 functions a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by functionalizing functions for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the C #. can do.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flash UI module 120 may call and use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of the main program module 110 in an abstract form by using a function such as fscommand ().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database 100 which is a different platform component, is a .NET wrapper so that the embedded database 100, the C # main program module 110, and the flash UI module 120 are interworked.
  • .NET Wrapper so that the embedded database 100, the C # main program module 110, and the flash UI module 120 are interworked.
  • Flash ActionScript C #, ActiveX, etc. can be combined to form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for each processing step and layer.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of the C # main program module 110 and the embedded database 100 in the flash UI module 120 which is the upper platform, by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configured for each step and hierarchy as described above.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omitted below. .
  • a database 100 based o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may access an external web server 300, and may transmit data to or receive data from the web server 300.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refers to software that enables a large number of computer users to quickly, easily, quickly, add, modify, and delete a large number of data contained in a computer.
  • the definition of accumulated data structure, accumulation of data according to the data structure, Functions such as data retrieval and update by database language, security of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possible.
  • the databas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user (or a trainer), problem information, training result information, etc. to the web server 300,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trainer or medical staff through the web server 300. Web services to the back.
  • the individual trainees and the medical staff in charge can use the Internet to grasp the patient's training results and the degree of treatment, so that the beam can efficiently perform rehabilitation treatment of cognitive ability.
  • the flash UI modu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200.
  • the user interface unit 20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210 and a key input module 220.
  • the display module 210 of the user interface unit 200 may implement user interface screens for rehabilitation program of cognitive ability as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using data output from the flash UI module 120. Image contents can be played back.
  • the key input module 2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answer to the progress and training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of the cognitive ability using the key button.
  • the user interface unit 20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10, otherwise, the user interfa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10 and may be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reof.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ice method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shown in FIG. 2.
  • the main program module 110 receive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for executing the cognitive ability rehabilitation program from the flash UI module 120 (operation 400).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calle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may include a database function, a flash control function, a training progress function, a license management function, and the like.
  • the database func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implemented to handle the control of the SQLite database 100, for example, Select, Update, Insert, Delete, and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flash control function may be configured a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for controlling the flash UI module 120 as follows.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training progress func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configured by functionalizing each of the functions for the cognitive ability rehabilitation program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license management func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implemented to perform hardware (H / W) based license check and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may constitute a common module as follows.
  • the flash UI module 120 may load a flash movie into the main program module 110 that is a C # application through the shockwave flash ActiveX control.
  • an ActionScript script file may be included in a flash movie.
  • fscommand may be used to exchange data with a main program module 110 that is a C # application.
  • Various functions can be configured a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to be modularized for use in Flash movies.
  • a callback function is configured to return a result value performed by the main program module 110, which is a C # application, and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call of the application unit of the flash UI module 120 is finished, the callback method is performed. You can return the result.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flash UI module 120 may call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of an application stage using abstracted functions, including a common action script as follows, and thus may use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ActionScript Module Include.
  • the flash UI module 120 may call and use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in the following form in a flash movie file.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main program module 110 which is called th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from the flash UI module 120, accesses the database 100, and stores data for executing the calle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Read from step 100 (step 410).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main program module 110 returns the execution result of the calle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to the flash UI module 120 using the read data (step 420).
  •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the result of invoking th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may be returned to a callback interface as follows. More specifically, the value is reconstructed in a two-dimensional array form and data is similar to a dataset. You can make it available.
  • 4 to 9 illustrate embodiments of a screen provided to a user in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 the trainer may select one of the buttons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key input module 220 provided in the user interface 200 and receive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service corresponding thereto.
  • FIG. 5 when the trainer selects the “environment setting” button illustrated in FIG. 4, various environments related to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s shown may be set.
  • Cognitive ability rehabilitation items such as “person, place, time, knowledge” and “number, quantity, ordering, categorization, physical image, social cognition” may be displayed.
  •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buttons as shown in FIG. 6 by using the key input module 220 to trai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of the corresponding item.
  • the trainer can adjust the difficulty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ability.
  • FIG. 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training content screen provided to a trainer according to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 training is perform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9. The results can be displayed.
  • the service method for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on a computer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a ROM ,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tted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service method may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다수의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은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컨텐츠를 플래시(Flash)로 구현하는 UI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 및 UI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UI 모듈은 메인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인 프로그램 모듈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하여 훈련 컨텐츠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다수의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은 인간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함으로써, 치매 등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인지 기능의 저하를 예방 또는 재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인지 기능은 적절한 정보를 구별하여 선택·수용하고 이해·보유하며, 그 정보가 필요로 되는 상황과 만났을 때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여 적절하게 적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인지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정보 처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인지 기능의 속도 및 지속성이 떨어져 일상생활을 위한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어렵게 된다.
특히, 치매의 경우, 의식이 청명한 상태에서 전반적인 인지 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뇌질환으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며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습,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 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기존의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의 경우 훈련 컨텐츠의 추가 또는 갱신이 어려우며, 훈련 효과가 높은 다양한 그래픽 효과 등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구조를 가지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인지 재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시스템은,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컨텐츠를 플래시(Flash)로 구현하는 UI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UI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UI 모듈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프로그램 모듈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하여 상기 훈련 컨텐츠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서비스 방법은, 훈련 컨텐츠를 플래시로 구현하는 UI 모듈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받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플래시 UI 모듈로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이용하여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다양한 훈련 컨텐츠를 용이하게 추가 및 갱신이 가능할 수 있으며, 웹 서버 등에 연결하여 훈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 가능할 수 있다.
또한, C#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메인 프로그램을 통해 플래시 UI 모듈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함으로써, 훈련 효과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그래픽 효과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를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시스템(1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100),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 및 플래시 UI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00)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예를 들어 문제 데이터, 훈련자 데이터 및 훈련 결과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제 데이터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해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다수의 컨텐츠들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문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 기능의 재활을 위한 컨텐츠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00)는 상기 훈련 데이터로서 언어, 수리, 상식 등의 인지 능력 검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언어능력을 테스트하는 경우에는 끝말잇기, 끝말맞추기, 앞말맞추기 등의 흥미가 가미된 컨텐츠을 제공하고, 수리능력을 테스트하는 경우에는 수치 연산을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식을 테스트하는 경우에는 경제, 사회, 건강, 스포츠 등 다양한 문제의 정답을 맞추는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는 훈련자에 따라서 난이도를 달리하여 여러 가지 등급으로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하여 구축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훈련자 데이터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자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훈련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성명, 주소, ID, 패스워드, 인지 기능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결과 데이터는 상기 훈련자들 각각에 대해 수행된 인지 재활 프로그램의 훈련 성과 및 치료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그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인지 재활 프로그램은 단순한 과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정보처리 속도 및 반응 속도가 향상되도록 훈련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화면에 숫자가 나타날 때마다 특정한 키를 눌러 반응을 보이도록 하거나, 화면에 빨간색의 원이 나타날 때마다 최대한 빠르게 특정한 키를 누르도록 하는 훈련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인지 재활 프로그램 중 집중력 재활 프로그램의 경우, 집중력의 구성요소인 주의 집중, 선택적 집중, 교차 집중, 분할 집중 등의 모형을 적용하여 단계적으로 훈련의 내용을 높여가는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1 단계의 집중력은 주의 집중으로 훈련자의 주의를 한 곳에 집중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화면에 빨간색의 원이 나타날 때마다 최대한 빠르게 특정 키(key)를 누르도록 훈련자를 유도할 수 있다.
2단계의 집중력 훈련은 선택적 집중 훈련으로서, 과제의 한 가지 특성에 집중하는 한편, 관련이 없는 다른 특성에 대한 자발적 반응은 억제하는 집중력을 말한다. 선택적 집중 재활에서는 선택적으로 반응을 하도록 훈련할 수 있는 과제들이 적용되는데 비교적 정신적인 부담이 낮은 수준의 과제들이 훈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작위로 나열된 알파벳 문자들 중 수직 또는 수평으로 순서가 맞게 정렬된 부분이 있는가를 찾아서 그 부위의 글자를 훈련자가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화면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나타나는 도형과 일치하는 도형을 화면의 중앙에서 찾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교차 집중 훈련으로, 상기 교차 집중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모두 수집될 때까지 자신의 반응을 유보할 수 있는 집중력을 말하며, 예를 들어 화면에 빨간색 사각형이 나오면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초록색 사각형이 나오면 왼쪽 버튼을 누르도록 하거나, 또는 화면에 길이가 같은 숫자들 4개를 잠깐보여준 후 사라지게 한 다음 다른 숫자 4개를 보여주고 앞서 보여주었던 숫자와 같은 것을 고르도록 할 수 있다.
가장 높은 단계의 분할 집중력 재활 훈련으로서, 둘 이상의 감각기관, 예를 들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정보가 동시에 유입되는 상황, 또는 한 감각기관을 통해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들이 동시에 유입되는 상황에서 각 자극에 대해 독립적으로 집중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상기 분할 집중을 위해 화면에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글자를 색깔을 맞춰 한 자씩 보여 준 다음 글자의 의미와 색이 서로 일치하는 글자와 그렇지 않은 글자를 무작위로 나열하고 글자의 뜻과 색이 일치하는 것을 찾아내도록 훈련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래시 UI 모듈(120)은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컨텐츠를 플래시(Flash)로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훈련 효과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인터랙티브(nteractive)한 그래픽 효과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은 플래시 UI 모듈(120)이 데이터베이스(100)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플래시 UI 모듈(120) 및 데이터베이스(100)를 제어하여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 UI 모듈(1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훈련 컨텐츠들을 플래시로 구현하기 위해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00)에 접근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하여 상기 훈련 컨텐츠를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0)는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embeded database)를 활용한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훈련 컨텐츠들의 추가 또는 갱신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훈련 데이터들을 추가 및 갱신할 수 있어 훈련 컨텐츠의 효과적인 관리 및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로 커스텀(custom) 컨텐츠의 추가 또는 삭제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0)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이용해 외부의 웹 서버(web server) 등에 접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활용한 다양한 웹 서비스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플래시 UI 모듈(120)은 데이터베이스(100)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00)로의 접근 등과 같은 인지 능력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를 위해,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100)로의 직접적인 접근이 가능하고 엑티브 엑스 컨트롤(ActiveX control)를 이용한 플래시 무비(Flash Movie)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며, 기타 시스템에 구비된 하드웨어들에 대한 제어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C#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C#는 닷넷 프레임워크(.NET Framework) 기반의 객체 지향적인 응용 프로그램 언어로서,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은 상기 C#을 이용해 인지 능력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기능들을 함수화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플래시 UI 모듈(120)은 fscommand()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추상화된 형태로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플랫폼 구성 요소인 데이터베이스(100)는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100), C#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 및 플래시 UI 모듈(120)이 연동 처리되기 위해, 닷넷 레퍼(.Net Wrapper), 플래시 액션 스크립트(Flash ActionScript), C# 및 엑티브 엑스(ActiveX) 등을 융합하여 각 처리 단계별 및 계층별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단계별, 계층별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하여, 상위 플랫폼인 플래시 UI 모듈(120)에서 C#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 및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1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함으로써 각각의 플랫폼들의 장점들을 모두 사용하여 인지 능력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중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기반한 데이터베이스(100)는 외부의 웹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은 다수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컴퓨터에 수록한 수많은 자료들을 쉽고 빠르게 추가·수정·삭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축적된 데이터 구조의 정의, 데이터 구조에 따른 자료의 축적, 데이터베이스 언어에 의한 자료 검색 및 갱신, 정보의 기밀보호(security) 등의 기능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00)는 사용자(또는 훈련자)에 대한 정보, 문제 정보, 훈련 결과 정보 등을 웹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웹 서버(300)를 통해 상기 정보를 훈련자 또는 의료진 등에게 웹 서비스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훈련자 개개인과 담당 의료진이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훈련 성과 및 치료 정도 등을 파악하여, 보가 효율적인 인지 능력의 재활 치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UI 모듈(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키입력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플래시 UI 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인지 능력의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래시로 구현된 영상 컨텐츠들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키입력 모듈(220)은 복수의 키버튼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인지 능력의 재활 프로그램의 진행 및 훈련에 대한 답 등을 상기 키버튼을 이용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는 인지 재활 시스템(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와 달리 인지 재활 시스템(10)과 연결되어 그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재활 서비스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인지 재활 서비스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은 플래시 UI 모듈(120)로부터 인지 능력 재활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받는다(40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호출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는 데이터베이스 함수, 플래시 컨트롤 함수, 훈련진행 함수 및 라이센스 관리 함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함수는 SQLite 데이터베이스(100)의 제어, 예를 들어 선택(Select), 갱신(Update), 삽입(Insert), 삭제(Delete) 등을 를 처리하기 위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BSelectQuery(string strQuery)
// SQLite SQL Select.
DBExecuteQuery(string strQuery)
// SQLite SQL Insert,Update,Delete
또한, 상기 플래시 컨트롤 함수는 플래시 UI 모듈(120)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LoadFlashMovie()
// ShockwaveFlash ActiveX Properties Control
한편, 훈련 진행 함수는 인지 능력 재활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기능들각각을 함수화하여 구성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CreateQuestSchedule()
// Quest Scheduling
StartQuest()
// Quest Start, Scheduler Running.
NextQuest()
// goto Next Quest. Scheduler Running.
EndQuest()
// End Quest. Scheduler Stop, Return.
마지막으로, 라이선스 관리 함수는 하드웨어(H/W) 기반의 라이센스 체크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CheckLisence()
// H/W Lisence Check. KeyCode Ba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재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공통 모듈(common module)을 구성할 수 있다.
Void ShockwaveFlash_FSCommand() // 이벤트 함수
If (0 == e.command.IndexOf(“@DBSelectQuery”)
{
ret = DBSelectQuery(e.command); // API Module의 함수를 호출.
ShockwaveFlash.SetVariable(“g_DBase”, ret); // 호출 결과를 Flash로 Return.
}
한편, 플래시 UI 모듈(120)은 쇼크웨이브 플래시 엑티브엑스 컨트롤(ShockwaveFlash ActiveX Control)을 통하여 플래시 무비(Flash Movie)를 C# 어플리케이션인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로 로드(load)할 수 있다.
또한, 인지 능력 재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엑티브 스크립트(ActionScript) 파일이 플래시 무비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scommand()를 이용하여 C# 어플리케이션인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각종 함수들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로 구성하여, 플래시 무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할 수 있다.
그리고, C# 어플리케이션인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에서 수행한 결과 값을 반환받기 위해 콜백(Callback) 함수를 구성하여, 플래시 UI 모듈(120) 어플리케이션 단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호출이 끝나면 콜백 방식으로 결과 값을 반환받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엑티브 스크립트(ActionScript)에 대한 일예이다.
1. Database IPC Callback
// Shared APP : Database Query ResultData.
var g_DBase = undefined;
function ResponseByAPP(g_DBase)
{
_global.OnRecieveDB(arrRS, g_Col, g_Row, _root.g_DBaseType)
}
2. Flash ActionScript API
function SelectQuery(strQueryType, strQuery)
{
fscommand("@DBSelectQuery " + strQueryType, strQuery);
}
function ExecuteQuery(strQuery)
{
fscommand("@EXECUTE", strQuery);
}
function LoadSwf(strFilename)
{
fscommand("@LOADSWF", strFilename);
}
function StartTest(strIdx)
{
fscommand("@STARTTEST", strIdx);
}
한편, 플래시 UI 모듈(120)은 다음과 같은 공통 액션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추상화된 함수들을 사용해 어플리케이션 단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구현 가능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1. ActionScript Module Include.
// include Common AS File
#include "appipc.as"
2. Database IPC Callback.
// DB Return Callback Interface Function.
_global.OnRecieveDB = function(RS:Array, nCol, nRow, strType)
{
// Database ReturnData Parsing Code Here.
// If you using data, use expression to RS[row][column];
for (var i=0; i<nRow; i++)
{
for (var j=0; j<nCol; j++)
{
_root.txtDBase.text = _root.txtDBase.text + RS[i][j];
}
}
_root.txtSize.text = nCol;
_root.txtTest.text = nRow;
_root.txtType.text = strType;
}
또한, 플래시 UI 모듈(120)은 플래시 무비 파일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SelectQuery("load_date", "select strftime('%Y.%m.%d', datetime('now'), 'localtime') from test_member");
btn.onRelease = function()
{
user_name = name.text;
ExecuteQuery("insert into test_member (name) values ('"+user_name+"');");
trace(user_name);
}
상기와 같이 플래시 UI 모듈(1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받은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100)에 접근하며, 상기 호출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의 수행을 위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읽어들인다(410 단계).
그 후, 메인 프로그램 모듈(110)은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 대한 수행 결과를 플래시 UI 모듈(120)로 반환한다(42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의 호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콜백 인터페이스로 반환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2차원 배열 형태로 값이 재구성되어 데이터 셋(dataset)과 유사한 형태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_global.OnRecieveDB = function(RS:Array, nCol, nRow, strType)
{
// Database ReturnData Parsing Code Here.
// If you using data, use expression to RS[row][column];
for (var i=0; i<nRow; i++)
{
for (var j=0; j<nCol; j++)
{
_root.txtDBase.text = _root.txtDBase.text + RS[i][j];
}
}
_root.txtSize.text = nCol;
_root.txtTest.text = nRow;
_root.txtType.text = strType;
}
도 4 내지 도 9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으로, 화면 상에는 "환자정보", "수행결과", "환경설정", "Reference" 및 "라이센스"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과 "훈련시작"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훈련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0)에 구비된 키입력 모듈(220)을 이용해 상기한 바와 같은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에 대응되는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훈련자가 도 4에 도시된 "환경설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들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훈련자가 도 4에 도시된 "훈련시작"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시지각", "집중력", "기억력". "사람, 장소, 시간, 지식" 및 "수와양, 순서화, 범주화, 신체상, 사회인지" 등의 인지 능력 재활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입력 모듈(220)을 이용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에 대응되는 항목의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훈련받을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자는 자신의 인지 능력에 맞추어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 컨텐츠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와 같은 복수의 훈련 컨텐츠들을 통해 훈련을 완료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훈련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다수의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컨텐츠를 플래시(Flash)로 구현하는 UI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UI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UI 모듈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프로그램 모듈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하여 상기 훈련 컨텐츠를 구현하는 인지 재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문제 데이터, 훈련자 데이터 및 훈련 결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재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훈련 컨텐츠의 추가 및 갱신이 가능한 인지 재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이용하여 웹서버에 연결되어, 훈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인지 재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모듈은
    상기 메인 프로그램 모듈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하기 위한 액션 스크립트(ActionScript) 파일을 포함하는 인지 재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그램 모듈은
    C#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인지 재활 시스템.
  7.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다수의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훈련 컨텐츠를 플래시로 구현하는 UI 모듈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받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플래시 UI 모듈로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 재활 서비스 방법.
PCT/KR2010/001689 2010-03-17 2010-03-18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WO20111153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938 2010-03-17
KR1020100023938A KR20110104820A (ko) 2010-03-17 2010-03-17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5315A1 true WO2011115315A1 (ko) 2011-09-22

Family

ID=4464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1689 WO2011115315A1 (ko) 2010-03-17 2010-03-18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04820A (ko)
WO (1) WO2011115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27B1 (ko) * 2013-05-30 2015-01-29 주식회사 넷블루 치매 예방 인지 훈련 장치
KR101589071B1 (ko) * 2013-07-17 2016-01-27 문경업 인지능력 차등화 기반의 인지 재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모바일단말
KR101589069B1 (ko) * 2013-07-17 2016-01-27 문경업 인지치료를 위한 웹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2622B1 (ko) * 2015-07-15 2017-02-22 대한민국 언어 재활 치료 방법
KR101703253B1 (ko) * 2015-07-15 2017-02-06 대한민국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언어 재활 치료 장치
KR102054564B1 (ko) * 2017-12-19 2019-12-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문 열기 보드 키트를 이용한 손 기능 훈련방법
KR102255405B1 (ko) 2018-11-29 2021-05-24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인지 능력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20129125A (ko) 2021-03-15 2022-09-23 류지인 암환자의 우울증 비대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32B1 (ko) * 2001-12-29 2004-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웹 환경에서 에스.오.에이.피(soap) 통신을 이용한 협업 지원방법
KR100687719B1 (ko) * 2004-12-16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3060A (ko) * 2007-04-02 2009-01-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소프트웨어 구현방법
KR20090064410A (ko) * 2006-08-31 2009-06-18 리얼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Api-접근가능한 미디어 배포 시스템
KR20090083331A (ko) * 2006-11-01 2009-08-03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개인 건강 관련 데이터와 상호작용하는 방법 및 건강 관련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32B1 (ko) * 2001-12-29 2004-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웹 환경에서 에스.오.에이.피(soap) 통신을 이용한 협업 지원방법
KR100687719B1 (ko) * 2004-12-16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4410A (ko) * 2006-08-31 2009-06-18 리얼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Api-접근가능한 미디어 배포 시스템
KR20090083331A (ko) * 2006-11-01 2009-08-03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개인 건강 관련 데이터와 상호작용하는 방법 및 건강 관련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시스템
KR20090003060A (ko) * 2007-04-02 2009-01-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소프트웨어 구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820A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5315A1 (ko)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WO2019214445A1 (zh) 提高注意力的教学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30812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pplication by using keyword
WO2018048118A1 (en)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WO2015194799A1 (ko) 교육용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2050719A1 (ko) 사용자의 치매 정도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00179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O2017111197A1 (ko) 학습 분석에서 빅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EP31648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WO2021070983A1 (ko) Vr 훈련 시스템 및 방법
WO2020233078A1 (zh) 用户信息表单的构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8080272A1 (ko) 게임유저에 실시간 개인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206439A1 (ko) 액티브 시니어 자립 생활 지원 시스템
WO2016076484A1 (ko) Nfc 태그가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부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1162471A1 (ko) 가상 세계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WO2014133333A1 (ko) 전자서적과 게임의 연동을 지원하는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WO2018026082A1 (ko) 애니메이션 제작 장치 및 방법
WO2020218908A1 (ko) 외국어 말하기용 동사 학습방법 및 시스템
WO2013065900A1 (ko) 안구건조 방지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8080270A1 (ko) 애니메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에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WO20191392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 360-degree video
WO2013169020A1 (ko) 통합 학습관리 시스템,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21251648A1 (ko) 콘텐츠 확보가 가능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WO2015041399A1 (ko) 교체 훈련 방식의 외국어 학습을 위한 게임 방법
WO2023172063A1 (ko) 오픈 아바타 제공 서버 및 오픈 아바타 제공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80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80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