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31796A1 -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31796A1
WO2010131796A1 PCT/KR2009/004876 KR2009004876W WO2010131796A1 WO 2010131796 A1 WO2010131796 A1 WO 2010131796A1 KR 2009004876 W KR2009004876 W KR 2009004876W WO 2010131796 A1 WO2010131796 A1 WO 20101317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fixed
magnet
frame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48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한량
송청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US13/133,19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243367A1/en
Priority to JP2011547750A priority patent/JP5032707B2/ja
Priority to EP09844670.1A priority patent/EP2432250A4/en
Publication of WO20101317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317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6Loudspeakers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6Transducers having separately controllable opposing diaphragms, e.g. for ring-tone and vo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7Electrical or mechanical reduction of yoke v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7Suspension between moving magnetic core and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Definitions

  • the magnetic force lines from the N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104 form a magnetic field that passes through the plate 103, the voice coil 102, and the yoke 105 in turn to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104.
  •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voice coil 102, it interacts with the magnetic flux by the magnetic circuit, and the diaphragm 101 fixed to the voice coil 104 is vibrated to function as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 the multi-function micro speake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vibration generating plate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vibration is minimized.
  • FIG. 6 is a multi-function micro speake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 micro speaker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 micro speaker of FIG. 2
  •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function micro speaker of FIG. 2. .
  • the frame 10 is usually made of plastic, and forms various external components of the speaker and is fixed therein.
  • the frame 10 further includes an upper frame 12 thereon.
  • the cover member 14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12. Cover member 14 is shown only in FIG. 4 for convenience.
  • the frame 10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s in the shape of a plate and has a disc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ame.
  •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s made of a metal plate such as phosphor bronze.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be made of a polymer elastic material.
  •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42, elastic deformation of a desired degree is possible. By modifying the specific shape of the long hole 4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idth of the vibration.
  •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magnetic circuit plays the role of a vibrating body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for sound generation and the vibrating movement of the assembly constituting the magnetic circuit as the vibrating body are in conflict.
  • the vibrator spaced apart from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agnetic circuit is composed of the second magnet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is disadvantage.
  •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vibration for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elasticity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constituting the vibrator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agnet.
  • 5 and 6 show two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multifunction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 상기 프레임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고정되며, 수용홈을 가지는 요크(yoke);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1 영구자석;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상면에 고정된 플레이트(plate); 상기 제1 탄성부재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에 고정되되,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요크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본 발명은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 자기회로를 탄성부재에 지지시키고, 이와 이격되어 위치한 자석을 진동자로서 또 다른 탄성부재에 구비함으로서, 음향특성 및 진동특성이 향상된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신호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마이크로 스피커는, 주로 크기가 작은 음향기기, 이를 테면, 휴대폰, 노트북, MP3플레이어, 이어폰 등, 근래에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소형의 스피커이다.
그런데, 마이크로 스피커가 채용된 최근의 전자제품 특히,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기기는,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즉, 최근의 이동통신기기는, 착신신호음 대신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진동신호나, 화면에 직접 정보를 입력을 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에 있어서 입력상태를 확인시켜 주는 진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인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음향발생을 위한 구성을 구비한 기존의 마이크로 스피커에 진동신호 발생을 위한 구성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말한다.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다기능 액츄에이터 혹은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종래 구성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판형 스프링에 지지되어 있는 진동체를 공진시켜 진동을 얻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떨림판이라고도 불리는 진동판이 있는 쪽의 자기 회로에 보이스 코일이 있어 여기에 음성신호용 전류가 인가되면 음향이 출력되고, 보이스 코일에 진동신호용 전류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종래 구성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를 도 1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종래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00)는, 케이스(110), 음향 발생용 진동판(101), 보이스 코일(102), 상하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104), 플레이트(103), 요크(105), 웨이트(106), 상측 서스펜션(107) 및 하측 서스펜션(10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이드선 a(114)와 리이드선 b(115)를 통하여 보이스 코일(102)에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102)은, 진동판의 하면에 그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권선되면서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플레이트(103)는 영구자석(10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영구자석(104)은, 플레이트(103) 및 요크(105)와 함께 스피커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웨이트(106)는, 영구자석(104), 플레이트(103) 및 요크(105)와 함께 진동체를 구성한다. 진동체는 상측 서스펜션(107)과 하측 서스펜션(108)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00)의 보이스 코일(102)에 리이드선a(114)와 리이드선 b(115)를 통하여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회로 내의 보이스 코일(102)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동판(101)이 진동하며 음향출력이 이루어진다.
즉 영구자석(104)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력선은 플레이트(103), 보이스 코일(102) 및 요크(105)를 차례로 지나 다시 영구자석(104)의 S극으로 향하는 자계를 형성한다. 이때 보이스 코일(102)에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자기회로에 의한 자속과 상호 작용을 하며, 보이스 코일(104)에 고정된 진동판(101)이 진동되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이스 코일(102)에 리이드선a(114)와 리이드선b(115)를 통하여 저주파의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영구자석(104), 플레이트(103) 및 요크(105)에 웨이트(106)를 추가로 포함하는 진동체의 상하 운동을 촉발시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이 동시에 진동체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진동체의 움직임이 진동판의 움직임과 간섭하여 이질음이 발생하게 되고, 상측과 하측의 서스펜션 간의 평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힘들어 불안정한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통상의 구조 이외에도, 보이스 코일을 다수 개 구비하는 종래기술도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진동체의 공간활용도가 낮아 진동력 향상에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회로와는 이격되되 자기장으로 상호 연결된 별도의 진동자를 구비함으로써, 진동 소음이 감소되고, 상호 움직임 간의 간섭을 최소화시킨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 상기 프레임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고정되며, 수용홈을 가지는 요크(yoke);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1 영구자석;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상면에 고정된 플레이트(plate); 상기 제1 탄성부재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에 고정되되,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요크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는 판형상이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는 판형상이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과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호 대면하며 평행하게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영구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 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S극과 N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이거나,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자석은 전자석(electromagnet)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탄성부재는 판형상이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하면에 제3 자석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 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탄성부재 및 제2자석 중 적어도 하나에, 질량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의하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부분의 변위진폭은 최소화되고, 진동자의 변위진폭은 최대화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피커와 진동자 사이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스피커와 진동자의 특성의 변경 및 개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를 첨부된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나, PMP와 같은 소형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스피커의 음향발생 기능 및 신호로서의 진동발생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는, 프레임(10), 진동판(diaphragm; 20), 보이스 코일(30), 제1 탄성부재(40), 요크(yoke, 50), 제1 영구자석(60). 플레이트(70), 제2 탄성부재(80) 및 제2 자석(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통상 프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스피커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이 고정된다. 프레임(10)은, 상부에 상부프레임(12)을 더 구비한다. 상부프레임(12)에는 덮개부재(14)가 결합된다. 덮개부재(14)는 편의상 도 4에만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다.
상부프레임(12)과 덮개부재(14)의 사이에는 진동판(20)의 외주부가 고정된다. 상부프레임(12)과 덮개부재(14) 및 진동판(20)이 상호 결합된 결합체를 본체의 역할을 하는 프레임(10)에 결합함으로써, 조립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진동판(20)은, 상하 진동하며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압을 만들어 낸다. 진동판(20)의 외주부는 프레임(10)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다. 진동판(20)은, 통상 고분자화합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진동판(20)은, 보이스코일(30)의 상단부가 결합된 경계부분을 기준으로 안쪽에 위치한 내측부분과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부분으로 구분된다. 내측부분과 외측부분은 각각 돔(dome) 형태로 되어 있으며, 경계부분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외측부분은 에지(edge)라고도 불리며 본 실시예의 경우 음향특성을 고려하여 빗살형태의 홈이 원주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진동판은 구체적인 형상, 재질 및 두께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 보이스 코일(30)은, 진동판(20)의 하면에 고정된다. 보이스 코일(30)의 상단부는 진동판(20)의 경계부분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30)은 도선이 상향방향으로 권선되어 형성된 것이다. 보이스 코일(30)은, 프레임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30)은,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보이스 코일(30)의 하부는 플레이트(70)와 요크(5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보이스 코일(30)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1 영구자석(60)에 의한 자기장과 상호 관계로 인해,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30)에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20)이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탄성을 지니며, 프레임(10)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있다. 탄성이라 하면, 물체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부피와 모양이 바뀌었다가, 그 힘을 제거하면 본디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을 말하며, 변형의 종류에 따라 체적 탄성과 형상 탄성으로 나눈다. 본 발명의 경우, 제1 탄성부재(40)는 주로 형상 탄성과 관련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탄성부재(40)는, 판형상이며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원판 형상이다. 제 1 탄성부재(40)는 인청동과 같은 금속판재로 제조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재가 고분자 탄성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1 탄성부재(40)의 외주부는 프레임(10)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의 상면에 고정된다. 제1 탄성부재(40)의 가운데 부분에는 요크(50)가 고정된다. 제1 탄성부재(40)는, 프레임(10)에 고정된 외주부 및 요크(50)가 결합된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장홀(42)을 다수 개 구비하고 있다.
제1 탄성부재(40)에는 장홀(42)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장홀(42)의 구체적인 형상을 변형하면, 진동의 폭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요크(yoke; 50)는, 제1 탄성부재(40)에 고정된다. 요크(50)의 안쪽에는 오목한 수용홈이 구비된다. 요크(50)는 자력이 잘 통하도록 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 영구자석(60)은 요크(50)의 수용홈에 대응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된다. 제1 영구자석(60)은, 요크(5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제1 영구자석(60)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이다.
상기 플레이트(70)는 제1 영구자석(60)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제1 영구자석(6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70)는 자력이 잘 통하도록 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1 영구자석(60) 및 플레이트(70)는 요크(50)의 내측벽과 이격되어 고정된다. 제1 영구자석(60) 및 플레이트(70)의 외측면과 요크(50)의 내측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보이스 코일(30)의 하부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제1 영구자석(60), 플레이트(70)와 요크(50)는 스피커 자기회로를 구성한다. 즉, 영구자석(60)에서 발생한 자속은 플레이트(70)를 거쳐 요크(50)로 들어오는 자속 경로(path)를 만들어 낸다.
상기 제2 탄성부재(80)는, 제1 탄성부재(40)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 탄성부재(4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탄성부재(80)는, 제1 탄성부재(40)와 동일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1 탄성부재(40) 및 제2 탄성부재(80)의 형상과 재질은, 상호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공진주파수, 변위, 진동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제2 탄성부재(80)의 외주부는 프레임(10)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의 하면에 고정된다. 제2 탄성부재(80)에도 다수의 장홀(8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자석(90)은 제2 탄성부재(80)에 고정된다. 제2 자석(90)은 제1 탄성부재(40) 및 요크(50)와 이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요크(50)는 제1 탄성부재(8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자석(90)이 제1 탄성부재(40)와 이격되기만 하면 당연히 요크(50)와도 이격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제1 탄성부재(40)이 형상이 판형태가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 자석(90)이 제1 탄성부재(40) 뿐 아니라, 요크(50)와도 이격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자석(90)은, 제2 탄성부재(8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자석(90)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S극과 N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이다. 따라서, 제2 자석(90)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영구자석(60)과의 사이에는 상호 밀어내는 힘인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S극과 N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인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될 수도 있고, 영구자석이 아닌 전자석(electromagnet)이 될 수도 있다. 제2 자석을 전자석으로 하는 경우에도, 극성의 상하방향의 배치는 영구자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자석의 N극과 S극의 상하방향의 배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진동자의 원하는 진동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자석(90)과 제2 탄성부재(80)는, 진동자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는, 제2 자석(90)과 제2 탄성부재(80)로 이루어진 진동자가, 제1 영구자석(60)과 플레이트(70)와 요크(50)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와 상호 이격되어 있지만, 자기회로와 진동자는 자기장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발생을 위한 진동판(20)의 진동 움직임과, 제2 자석(90)과 제2 탄성부재(80)로 이루어진 진동자의 진동 움직임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경우,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조립체가 진동체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음향발생을 위한 진동판의 움직임과 진동체로서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조립체의 진동 움직임이 상충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의하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과는 이격된 진동자를 제2 자석과 제2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현저히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스피커 자기회로와 진동자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이들을 자기장으로 연결한 특징적인 구성을 구비함으로 인해, 스피커 자기회로가 최소변위로 진동하면서, 동시에 진동자를 진동하게 만드는 진동원으로서 동작도 할 수 있게 된다. 즉, 자기회로의 변위진폭은 최소화하고, 자석 진동자의 변위진폭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스피커의 음향성능 변화는 최소로 하고, 진동자의 기능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진폭과 제동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 소음이 감소된다는 장점도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인해 제조 단가가 낮아진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나의 보이스 코일만으로 소리와 진동을 충실히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판과 진동자의 구동 간섭과 구동력 감소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판(20)과 진동자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음향발생을 위한 진동판(20)과 진동자의 특성을 변경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자를 이루는 제2 탄성부재의 탄성의 정도와 제2 자석의 자력을 조정하여 공진주파수와 진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자와 자기회로의 무게를 조정하여 공진주파수와 진동력을 부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2 탄성부재(40, 80)를 제1, 2 서스펜션(suspension)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1, 2 탄성부재(40, 80)가 본 실시예의 경우, 판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인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2 탄성부재는, 판형상이 아닌 다른 입체적인 형상, 예컨대 코일 형상의 스프링이나 입체적인 굴곡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첫번째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자석(90)이 제2 탄성부재(80)의 하면에 고정되었다는 점이 다르다. 이로 인해 진동자의 진동폭이 좀더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자기회로와 진동자 사이의 자기장의 분포가 보다 일정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로 인한 작용효과 역시 동일하다. 한편,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하측덮개(16)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첫번째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탄성부재(40)의 하면에 제3 자석(62)이 더 구비된 점이 다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3 자석(62)은 영구자석이며,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3 자석(62)을 구비함으로써, 제1 자석(60)의 자력을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총 질량을 증가시킴으로 해서, 진동자의 진폭과 진동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로 인한 작용효과 역시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탄성부재 및 제2 자석 중 적어도 하나에, 질량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진동자를 이루는 제2 자석이나 제2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원하는 무게를 가지는 질량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2 자석과 제2 탄성부재의 양측에 질량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질량부재를 추가함으로써, 공진주파수와 진동력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
    상기 프레임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고정되며, 수용홈을 가지는 요크(yoke);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1 영구자석;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상면에 고정된 플레이트(plate);
    상기 제1 탄성부재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에 고정되되,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요크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는 판형상이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는 판형상이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그 외주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과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호 대면하며 평행하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 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S극과 N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 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은 전자석(electromagn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판형상이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하면 혹은 상기 요크의 하면에 제3 자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석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 및 제2자석 중 적어도 하나에, 질량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을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PCT/KR2009/004876 2009-05-12 2009-08-31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01317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33,191 US20110243367A1 (en) 2009-05-12 2009-08-31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JP2011547750A JP5032707B2 (ja) 2009-05-12 2009-08-31 多機能マイクロスピーカー
EP09844670.1A EP2432250A4 (en) 2009-05-12 2009-08-31 MICRO SPEAKER MULTI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45A KR101111894B1 (ko) 2009-05-12 2009-05-12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2009-0041345 2009-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1796A1 true WO2010131796A1 (ko) 2010-11-18

Family

ID=4295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4876 WO2010131796A1 (ko) 2009-05-12 2009-08-31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43367A1 (ko)
EP (1) EP2432250A4 (ko)
JP (1) JP5032707B2 (ko)
KR (1) KR101111894B1 (ko)
CN (2) CN101888579B (ko)
TW (2) TWI422239B (ko)
WO (1) WO2010131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894B1 (ko) * 2009-05-12 2012-02-14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0455084Y1 (ko) * 2009-09-04 2011-08-16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JP5314588B2 (ja) * 2009-12-21 2013-10-16 株式会社エフ・ピー・エス 複合スピーカ、音声画像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音響システム
CN203289635U (zh) * 2013-05-10 2013-11-1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弹簧板及应用该弹簧板的多功能发声器
CN103297904B (zh) * 2013-05-18 2015-09-0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双振膜扬声器模组
KR102167474B1 (ko) * 2018-04-25 2020-10-19 주식회사 이엠텍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590A (ja) * 1997-06-27 1999-01-26 Sanyo Electric Co Ltd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KR20010055232A (ko) * 1999-12-10 2001-07-04 송재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200349093Y1 (ko) * 2003-12-03 2004-04-30 (주)디지털구미과학기술연구소 두개의 코일을 이용한 골전도 특성을 구비한 체감 진동형마이크로 스피커
KR20050044828A (ko) * 2003-11-08 2005-05-13 신광식 1개의 보이스 코일과 1개의 무빙 코일을 이용한 다기능마이크로 스피커
KR100540289B1 (ko) * 2002-12-24 2006-01-11 주식회사 진영음향 음향 진동 복합 모드의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7300B1 (en) * 1999-12-17 2002-11-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speaker
JP3521830B2 (ja) * 2000-02-14 2004-04-26 ミネベア株式会社 携帯用通信装置における報知装置
KR100370640B1 (ko) * 2000-11-20 2003-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스피커
JP4422354B2 (ja) * 2001-02-09 2010-02-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気−機械−音響変換器
JP3962643B2 (ja) * 2001-07-25 2007-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械−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7194287B2 (en) * 2001-07-25 200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mechanical-acoustic-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419161B1 (ko) * 2001-08-22 2004-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다기능 액츄에이터
KR100395176B1 (ko) * 2001-10-22 2003-08-21 에스텍 주식회사 음향 및 진동발생 스피커
KR100439583B1 (ko) * 2001-12-27 2004-07-12 에스텍 주식회사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CN1431850A (zh) * 2003-02-17 2003-07-23 杨炼 无悬边活塞式振动扬声器
CN2652077Y (zh) * 2003-09-18 2004-10-27 李守雄 震动扬声器
KR100547357B1 (ko) * 2004-03-30 200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US7885425B2 (en) * 2005-01-28 2011-02-08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device
CN2862557Y (zh) * 2005-11-18 2007-01-24 厦门光讯电子有限公司 振动扬声器的改进结构
JP2007243870A (ja) * 2006-03-13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4809719B2 (ja) * 2006-06-16 2011-11-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ー装置
CN201127112Y (zh) * 2007-11-13 2008-10-01 凌正阳 移动通讯用双音圈、双磁场震动扬声器
CN201230371Y (zh) * 2008-03-19 2009-04-29 凌正阳 大功率限振幅振动扬声器
KR101111894B1 (ko) * 2009-05-12 2012-02-14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590A (ja) * 1997-06-27 1999-01-26 Sanyo Electric Co Ltd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KR20010055232A (ko) * 1999-12-10 2001-07-04 송재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100540289B1 (ko) * 2002-12-24 2006-01-11 주식회사 진영음향 음향 진동 복합 모드의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
KR20050044828A (ko) * 2003-11-08 2005-05-13 신광식 1개의 보이스 코일과 1개의 무빙 코일을 이용한 다기능마이크로 스피커
KR200349093Y1 (ko) * 2003-12-03 2004-04-30 (주)디지털구미과학기술연구소 두개의 코일을 이용한 골전도 특성을 구비한 체감 진동형마이크로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2250A4 (en) 2014-03-05
JP2012518919A (ja) 2012-08-16
CN101888579A (zh) 2010-11-17
KR101111894B1 (ko) 2012-02-14
CN201608884U (zh) 2010-10-13
KR20100122349A (ko) 2010-11-22
EP2432250A1 (en) 2012-03-21
US20110243367A1 (en) 2011-10-06
TW201041413A (en) 2010-11-16
CN101888579B (zh) 2013-02-27
JP5032707B2 (ja) 2012-09-26
TWI422239B (zh) 2014-01-01
TWM384481U (en) 201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27938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10924864B2 (en) Speaker assembly
WO2010150942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0131797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N109842701B (zh) 屏幕振动发声装置和电子产品
WO2010150941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0104251A1 (ko) 마이크로 스피커
WO2010044519A1 (ko) 다기능 스피커
WO2010131796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1021745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1055929A2 (ko) 마이크로 스피커
WO2012108581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1030968A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1083959A2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1083988A2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2005433A2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1083914A2 (ko) 사각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21210699A1 (ko) 진동 및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CN201134927Y (zh) 电声转换器
WO2011083960A2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N220292176U (zh) 振动发声装置及电子设备
US20240089662A1 (en) Multifunctional sound device
WO2011083987A2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N116567493A (zh) 振动发声装置及电子设备
CN116684788A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44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33191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47750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44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44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