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71381A2 -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 Google Patents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71381A2
WO2010071381A2 PCT/KR2009/007592 KR2009007592W WO2010071381A2 WO 2010071381 A2 WO2010071381 A2 WO 2010071381A2 KR 2009007592 W KR2009007592 W KR 2009007592W WO 2010071381 A2 WO2010071381 A2 WO 201007138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ver
laundry
winding
building
laundry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5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71381A3 (ko
Inventor
진선광
이정순
서태원
백유흠
송승준
Original Assignee
세창인스트루먼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창인스트루먼트 (주) filed Critical 세창인스트루먼트 (주)
Priority to CN200980156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308043B/zh
Publication of WO201007138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1381A2/ko
Publication of WO201007138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1381A3/ko
Priority to HK12101239.5A priority patent/HK1160892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Definitions

  • FIG. 1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laund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surface forming wind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a front 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und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a laundry drying mechanism installed in a balcony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ck member of the laundry drying mechanism 1000 is composed of rails 10 and 10 ', and the movable member is moved between the rails 30 and 30 moving along the rail of the rails 10. ').
  • Mounting brackets 18 and 18 ' are mounted between the rails 10 and 10' so that they are mounted on the ceiling or side walls of the balcony.
  • a cover member 80 is provided in which the upper surface 83, the front surface 81, and both side surfaces 85 and 87 are blocked, and the cover member 80 is provided between the movement portions 30 ( 30 '). (See Figure 5)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s 30 and 30 'are drawn out from the laundry dry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cover 98 is formed from the lower surface forming winding member 90. It is show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member 80 is drawn out.
  • the lower cover 80 is preferably made of a net form.
  • a rotating shaft member 988 is mounted inside the lower surface forming winding member 90, and the lower surface cover 98 is wound thereon, and the lower surface cover through the opening 94 at its tip. 98 is extended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80).
  • a shaft member 968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haft member 988 is installed, and a coil spring 96 is installed around the shaft member 968.
  • Rail rails 10 serving as track members are provided and opposite rail rails 10 'are provided in parallel therewith.
  • Mounting portions 62 and 62 'of the clothes rack 6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moving parts 30 and 30', and these structures are shown in FIGS. 6 and 7.
  • the cover member 80 shields the top, front and both sides of the clothes rack 60, and the drawn bottom cover 98 forms a bottom surface to protect the laundry hanging on the clothes rack from the outside environment. . That is to protect the laundry from rain, snow or wind and if the laundry falls on the cover 98 will be caught.
  • the cover member 80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that the sun is well transmitted, and the lower cover 98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the form of a net so that the wind can be passed, the fast washing of the laundry Will help dry.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drying apparatus 1000 installed in the balcony space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below.
  • the side surface forming member 190 such as the above-described lower surface forming member 9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handrail 700 that is a vertical member of the balcony space S.
  • the side cover 198 is made of cloth or plastic sheet.
  • FIGS. 12 and 13 show that a separate rail member 10 'is insta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1000)는 레일부재(10)(10')를 가지며 상기 레일부재(10)(10')에는 이동간(30)(3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간(30)(30')에는 빨래걸이대(60)가 설치되고 상기 빨래걸이대(60)에 걸린 빨래물을 외부와 차폐하는 덮개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10)(10')는 발코니(S)의 천정 또는 측면벽에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S)의 난간(700)에는 상기 덮개부재(8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하면덮개(98)를 인출 또는 인입하는 하면형성권취부재(9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본 발명은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발코니와 같이 건물의 외부와 연통하는 곳에 설치되어 빨래물을 외부로 인출하고 이후 내부공간으로 인입할 수 있는 빨래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빨래물이 건물외부로 인출되어 건조가 이루어짐으로, 종래 빨래물이 차지하던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내부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빨래물의 건조는 발코니와 같이 건물의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이러한 공간이 햇볕이 잘 들고 공기의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져 빨래물의 건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발코니와 같은 공간은 통상적으로 빨래물건조공간이 되어 버리고 이외 공간적 활용도는 극히 낮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주로 빨래물건조공간이 되어 버리는 발코니와 같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즉 단순히 빨래물의 건조공간으로만 사용되는 곳을 다른 목적으로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관련되어, 본 발명은 빨래물을 건물의 외부로 인출시켜 건조를 이룰 수 있게 하여 그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빨래물을 건물의 외부로 인출시켜 건조를 이루게 하여 그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빨래물은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즉 외부의 바람이나 비나 눈 등으로부터 보호가 되어야 하며, 빨래물이 떨어지는 경우 그 수거가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빨래물을 외부로 인출시켜 건조를 이루게 함으로서 내부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이때, 빨래물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코니와 같이 빨래를 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간의 활용성을 높여 그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이 경우,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빨래가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빨래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란 본 발명은 건물에서 상기 건물의 공간 중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의 연통공간에 설치되는 궤도부재와; 상기 궤도부재를 따라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고 이후 다시 상기 궤도부재를 따라 인입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빨래걸이대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빨래걸이대에 걸리는 빨래물을 외부와 차폐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연통공간에서 상기 외부와의 경계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 된 것으로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권취가 풀려져 나아가 상기 덮개부재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덮개와, 상기 하면덮개의 권취가 풀림에 따라 이에 대항한 장력을 형성하는 권취스프링을 가지는 하면형성권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공간은 건물의 발코니이고 상기 권취부재가 설치되는 수직부재는 상기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빨래걸이대에 걸린 빨래물의 상면과 전면과 양측면을 차폐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덮개부재의 전면과 그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 된 것으로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권취가 풀려져 나아가 상기 덮개부재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덮개와, 상기 측면덮개의 권취가 풀림에 따라 이에 대항한 장력을 형성하는 권취스프링을 가지는 측면형성권취부재를 더욱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측면형성권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덮개는 천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이 유통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경우, 상기 하면덮개는 망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덮개는 천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궤도부재는 레일부재이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빨래걸이대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발코니와 같이 외부와 연통하는 공간에 대하여 빨래걸이대를 외부로 인출하여 빨래를 건조하게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코니와 같은 외부연통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면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빨래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건조함에 있어서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빨래물을 보호하고 빨래물이 떨어지는 경우 등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의 사시도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빨래건조기구에서 이동간이 외부로 인출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형성권취부재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의 정단면도 및 분해사시도를 보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빨래걸이대의 이동간에의 장착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코니 공간에 설치된 빨래건조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에서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1000)의 사시도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기구는 발코니와 같이 건물의 공간 중에서 외부와 연통하는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기구는 상기 건물의 외부와 연통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궤도부재와 상기 궤도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는 이동부재를 가진다. 상기 이동부재는 건물외부로 인출된 후 다시 상기 궤도부재를 따라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빨래건조기구(1000)의 궤도부재는 레일간(10)(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간(10)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간(30)(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간(10)(10')에는 설치 브라켓(18)(18')이 장착되어 이를 통하여 발코니에서 그 천정이나 측면벽에 장착된다.
상기 레일간(10)(10')에는 모터(51)가 설치되고 또한 웜기어(52)(53)를 통하여 상기 모터(51)의 동력을 받는 롤러(33)(33)가 설치된다. 이러한 롤러(33)(33)는 상기 이동간(30)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접하고 있어 모터(51)가 작동하면 상기 이동간(30)은 상기 레일간(10)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일간(10)에 대향하여 평행하게 대향 레일간(10')이 설치되며, 상기 대향 레일간(10')에는 상기 이동간(30)에 대향하는 대향 이동간(30')이 설치되고 이들 이동간(30)(30')은 상호간에 연결대(13)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51)가 작동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간(30)이 전진 또는 후퇴를 하며 그러면 이에 따라 대향 이동간(30')이 상기 대향 레일간(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5 참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동부재에는 빨래걸이대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이동간(30)(30')에 빨래걸이대(60)가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간(30)(30')이 건물외부로 인출되거나, 역으로 건물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빨래걸이대(60)도 건물외부로 인출되거나 또는 건물내부로 인입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빨래걸이대(60)는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빨래걸이대에 걸리는 빨래물을 외부와 차폐하는 덮개부재가 설치된다. 이것은 이동부재를 따라 외부로 인출되는 빨래걸이대에 걸린 빨래물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즉 비나 눈 또는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그 상면(83)과 전면(81) 그리고 양측면(85)(87)이 막힌 덮개부재(80)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덮개부재(80)가 상기 이동간(30)(30')의 사이에서 장착되고 있다. (도 5 참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덮개부재(80)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서 햇볕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가벼운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하면형성권취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형성귄취부재는 내부에 그 일단이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와 연결된 하면덮개가 권취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재가 인출될 때 권취가 풀려 인출되어 상기 덮개부재의 하면을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재가 인입될 때 다시 권취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면형성권취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권취가 풀릴 때 이에 대항하는 장력을 생성하는 권취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하면덮개가 인출 된 후 인입될 때 장력을 유지하면서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하면형성권취부재는 전술한 건물의 연통공간에서 외부와의 경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난간과 같은 수직부재에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 상기 하면형성권취부재는 도시부호 90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1000)에서 상기 이동간(30)(30')이 인출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서, 상기 하면형성권취부재(90)로부터 하면덮개(98)가 인출되어 상기 덮개부재(80)의 하면을 형성한 것을 보인다.
상기 하면덮개(80)는 천이나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바람이 유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경우 상기 하면덮개(80)는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면덮개(98)는 빨래걸이대(60)에 걸린 빨래물이 떨어질 경우 이를 받게 되며, 또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망 형태로서 그 하부로부터 바람이 유통되어 빨래의 빠른 건조를 이루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1000)에서 상기 하면형성권취부재(90)의 구조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면형성권취부재(90)의 내부에는 회전하는 축부재(988)가 장착되고 여기에 상기 하면덮개(98)가 권취되어 있으며 그 선단의 개구부(94)를 통하여 하면덮개(98)가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재(80)의 하부와 연결된다.
상기 축부재(988)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축부재(968)가 설치되며 상기 축부재(968)의 주위를 둘러 코일스프링(96)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재(80)가 이동간(30)(30')을 따라 인출되는 경우 상기 하면덮개(98)는 그 권취가 풀려 인출되며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96)은 이에 대항한 토크를 형성하고 상기 하면덮개에는 장력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덮개부재(80)가 상기 이동간(30)(30')을 따라 인입되면 상기 코일스프링(96)에 형성되는 장력이 유지되면서 상기 하면덮개(98)는 상기 축부재(988)에 권취되어진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1000)의 정단면도 및 분해사시도를 보인다.
궤도부재인 레일간(10)이 제공되고 이에 대향하여 평행하게 대향 레일간(10')이 제공된다. 이러한 레일간(10)(10')은 설치 브라켓(18)(18')을 통하여 발코니의 천정(200)에 설치된 것이 보인다.
상기 레일간(10)의 레일에는 이동간(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간(30)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여 롤러(33)가 배치되며, 상기 롤러(33)는 상기 레일간(10)에 장착된다. 상기 레일간(10)에 모터(51)가 장착되고 이러한 모터(51)의 동력은 웜기어(52)(53)를 통하여 상기 롤러(33)와 연결된다. 상기 이동간(30)의 반대단에는 아이들 롤러(idle roller)(34)가 설치된다.
상기 대향 레일간(10')에는 상기 이동간(30)에 대향하여 대향 이동간(30')이 설치되는데 이들 이동간(30)(30')의 사이에 상기 덮개부재(80)가,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대향 이동간(30')에는 상기 롤러(33)(34)에 대응되어 각각 대향 이동간(30')과 대향 롤러(33')(34')가 설치되고 이들 이동간(30)(30')은 연결대(13)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롤러(33)(33')에 대한 막음재(58)(58')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롤러(34)(34')에 대한 막음재(59)(59')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간(30)(30')에는 빨래걸이대(60)의 장착부(62)(62')가 각각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구조는 도 6 및 7에서 보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1000)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a)를 참고로, 건물의 외부와 연통하는 발코니와 같은 연통공간(S)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10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터(51)가 작동하면, 도 8의 (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이동간(30)(3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며, 이때, 상기 하면형성권취부재(90)로부터 하면덮개(98)의 권취가 풀리면서 인출되어 상기 덮개부재(80)의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부재(80)가 상기 빨래걸이대(60)의 상면, 전면 및 양측면을 차폐하며 또한 상기 인출된 하면덮개(98)가 하면을 형성하여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빨래걸이대에 걸린 빨래물을 보호하게 된다. 즉 비, 눈 또는 바람으로부터 빨래물을 보호하며 만일 빨래물이 낙하시는 상기 하면덮개(98)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80)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서 햇볕이 잘 투과되도록 하며 또한 하면덮개(98)는 바람이 유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망의 형태를 가져, 빨래물의 빠른 건조를 돕게 된다.
이후 도 8의 (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빨래물이 건조된 후, 모터(51)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상기 이동간(30)(30')은 발코니 공간(S)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하부덮개(98)는 상기 하면권형성권취부재(90)의 내부로 권취된다. 이때 상기 빨래걸이대(60)의 높이를 낮추어 빨래물을 수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코니 공간(S)에 설치된 빨래건조기구(1000)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2000)를 보인다.
이 경우, 덮개부재(80')는 상면과 전면과 좌측면만이 막혀져 있으며, 그 우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코니 공간(S)의 수직부재인 난간(700)에는 전술한 하면형성권취부재(90)와 같은 측면형성권취부재(19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측면형성권취부재(190)에 권취된 것은 측면덮개(198)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이 상기 덮개부재(80')의 전면과 그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5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동간(30)(30')이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부재(80')가 움직이고 그러면 상기 측면형성권취부재(190)의 측면덮개(198)가 인출되거나 인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기구(2000)에서, 상기 측면덮개(198)는 천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도 10 및 11의 경우, 우측에 별도의 레일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것을 보이며, 도 12 및 13은 별도의 레일부재(10')가 설치된 것을 보인다.
이와 같은 측면형성권취부재(190)를 설치하는 것은 발코니의 내부공간(S)의 측면 길이가 상기 빨래건조기구(2000)의 측면 길이보다 길 때 유리하다. 즉 측면을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부재(80)의 측면(87)으로 형성되는 것 보다는 상기 천이나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측면덮개(198)가 형성하는 것이 좀 더 온화한 느낌을 제공하고 안전상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궤도부재와 이동부재는 레일간이나 이동간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는 여러 가지 다른 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모터의 동력으로 움직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르레를 궤도부재로 하여 수동으로 이동부재가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발코니와 같이 외부와 연통하는 공간에 대하여 빨래걸이대를 외부로 인출하여 빨래를 건조하게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코니와 같은 외부연통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면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빨래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건조함에 있어서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빨래물을 보호하고 빨래물이 떨어지는 경우 등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11)

  1. 건물에서 상기 건물의 공간 중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a) 상기 건물의 연통공간에 설치되는 궤도부재와;
    (b) 상기 궤도부재를 따라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고 이후 다시 상기 궤도부재를 따라 인입되는 이동부재와;
    (c)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빨래걸이대와;
    (d)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빨래걸이대에 걸리는 빨래물을 외부와 차폐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간에서 상기 외부와의 경계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 된 것으로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권취가 풀려져 나아가 상기 덮개부재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덮개와, 상기 하면덮개의 권취가 풀림에 따라 이에 대항한 장력을 형성하는 권취스프링을 가지는 하면형성권취부재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간은 건물의 발코니이고 상기 하면형성권취부재가 설치되는 수직부재는 상기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빨래걸이대에 걸린 빨래물의 상면과 전면과 양측면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전면과 그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 된 것으로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건물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권취가 풀려져 나아가 상기 덮개부재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덮개와, 상기 측면덮개의 권취가 풀림에 따라 이에 대항한 장력을 형성하는 권취스프링을 가지는 측면형성권취부재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형성권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덮개는 천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이 유통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덮개는 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덮개는 천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재는 레일부재이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기구.
PCT/KR2009/007592 2008-12-19 2009-12-18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WO2010071381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562925A CN102308043B (zh) 2008-12-19 2009-12-18 允许有效利用空间的衣物晾干装置
HK12101239.5A HK1160892A1 (en) 2008-12-19 2012-02-08 Laundry drying equipment allowing efficient use of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10A KR100916983B1 (ko) 2008-12-19 2008-12-19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KR10-2008-0130010 2008-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1381A2 true WO2010071381A2 (ko) 2010-06-24
WO2010071381A3 WO2010071381A3 (ko) 2010-09-30

Family

ID=4068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592 WO2010071381A2 (ko) 2008-12-19 2009-12-18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916983B1 (ko)
CN (1) CN102308043B (ko)
HK (1) HK1160892A1 (ko)
WO (1) WO201007138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3737A (zh) * 2014-12-30 2016-07-27 深圳市浪尖设计有限公司 转动式智能晾衣结构
CN108179604A (zh) * 2018-02-09 2018-06-19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著增强烘干效果的晾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363B1 (ko) * 2013-04-02 2013-07-04 주식회사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발코니난간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구조
WO2016207874A1 (en) * 2015-06-21 2016-12-29 Benjamin Yaron A near- window device for drying of laundry
CN108294589A (zh) * 2017-01-13 2018-07-20 南京工程学院 一种可扩容智能窗帘
CN107816852A (zh) * 2017-11-03 2018-03-20 谢娟 一种折叠式农作物晾晒架
KR102039648B1 (ko) * 2019-04-10 2019-11-01 주식회사 코엘트 트레일러 장착형 복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53B1 (ko) * 2006-02-21 2006-12-13 정시혁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WO2006137702A2 (en) * 2005-06-24 2006-12-28 Jong Chun Lee Lifter for hanging out washing to dry
KR100842795B1 (ko) * 2008-01-09 2008-07-0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공동주택용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6191A (ja) * 1998-02-23 1999-08-31 Kuroi Electric Co Ltd 自動昇降物干方式並びにその方式における昇降ポール及び搬送カート
KR100471048B1 (ko) * 2002-02-16 2005-02-23 정인근 세탁물건조용 텐트
JP3109675U (ja) * 2004-04-20 2005-05-19 リ− ドンヒュン ローラ駆動式洗濯物乾燥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7702A2 (en) * 2005-06-24 2006-12-28 Jong Chun Lee Lifter for hanging out washing to dry
KR100657053B1 (ko) * 2006-02-21 2006-12-13 정시혁 회전식 세탁물 건조대
KR100842795B1 (ko) * 2008-01-09 2008-07-0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공동주택용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3737A (zh) * 2014-12-30 2016-07-27 深圳市浪尖设计有限公司 转动式智能晾衣结构
CN105803737B (zh) * 2014-12-30 2023-07-25 浪尖设计集团有限公司 转动式智能晾衣结构
CN108179604A (zh) * 2018-02-09 2018-06-19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著增强烘干效果的晾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756A (ko) 2009-02-25
HK1160892A1 (en) 2012-08-17
CN102308043A (zh) 2012-01-04
CN102308043B (zh) 2012-11-21
KR100916983B1 (ko) 2009-09-14
WO2010071381A3 (ko)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71381A2 (ko)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WO2013077502A1 (ko)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WO2021241824A1 (ko) 차광막 개폐장치
WO2012102465A2 (ko) 빨래 건조대
WO2011126171A1 (ko)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WO2018021728A1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WO2011078583A2 (ko) 블라인드 장치
WO2015126070A1 (ko)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WO2020197053A1 (ko) 지지대를 형성하는 여행용 가방
WO2013077632A1 (ko) 창틀 건조대
WO2013015643A2 (ko) 블라인드용 안전 보호구
WO2021206266A1 (ko) 환풍기용 방충망 자동 개폐장치
WO2021118290A1 (ko) 슬라이딩 타입의 마사지 장치
WO2019083314A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WO2013180445A1 (ko) 롤 셔터
CN112017378A (zh) 一种物联网快递柜
WO2019054689A1 (ko) 스탠드 타입 공기정화 시스템
CN206658209U (zh) 一种采用低压直流供电的网络设备
WO2023204361A1 (ko) 가변 슬라이딩 맨홀 안전 가드
WO2012008701A2 (ko)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WO2014129699A1 (ko) 전동식 롤 블라인드의 원단 안내장치
WO2018018728A1 (zh) 用于窗帘拉绳的调节装置及收放式窗帘
WO2018212636A1 (ko) 승강식 미세먼지 집진장치
WO2020076084A1 (ko) 제트 블레이드 기술을 이용한 자동 우산건조기
WO2010013957A2 (ko) 드럼 좌우측에 안내롤러를 구비한 그릴 승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56292.5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36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36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