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10710A2 -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 Google Patents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10710A2
WO2009110710A2 PCT/KR2009/001001 KR2009001001W WO2009110710A2 WO 2009110710 A2 WO2009110710 A2 WO 2009110710A2 KR 2009001001 W KR2009001001 W KR 2009001001W WO 2009110710 A2 WO2009110710 A2 WO 200911071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wheel support
shaft member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0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10710A3 (ko
Inventor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로타스포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타스포츠(주) filed Critical 로타스포츠(주)
Priority to CN200980113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014680A/zh
Priority to US12/920,531 priority patent/US20110025002A1/en
Priority to JP2010549562A priority patent/JP2011512984A/ja
Priority to EP09717049A priority patent/EP2250915A2/en
Publication of WO200911071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0710A2/ko
Publication of WO200911071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071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33Multipurpose skat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Definitions

  • the third recessed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base block, and the positioning portion slides along the fourth recessed portion formed in the wheel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recessed portion.
  • a rod member capable of being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pressurizes the rod member in a direction of pushing the protrusion from the third recessed portion, When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is coupled to the fourth recessed portion while the rod member is push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pressed.
  • the positioning unit includes a shaft member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a first uneve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aft member, and the wheel support unit. And a second uneve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and engaged with the first uneven portion, and rotating the shaft member about the first ax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even portion and the second uneven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the wheel to rotate.
  • the support rotat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 the wheel-mounted shoes comprising a whe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uter shell for receiving the wearer's foot; A sol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hell a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wheel assembly installed to be pulled in or pulled out from the inner space provided in the sole.
  • the wheel support is firmly fix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wheel is drawn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ner space, a safety accident is prevented by preventing the wheel from being pulled in or pulled out due to an undesired malfunction of the wheel support.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assembly shown in FIG.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1,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block, the wheel support and the shaft member of the wheel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wheel assembly of FIG. 8 is located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 the wheel-mounted shoe 1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wheel 123 can be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inner space 151 of the sole 170. And includes outer shell 160, sole 170, housing 150, and wheel assembly.
  • the sheath 160 accommodates a shoe wearer's foot and the sole 17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heath 160 and contacts the ground while the shoe wearer walks.
  • the housing 150 is coupled to the sole 170 and includes an inner space 151 for accommodating a wheel assembly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ner space 151 may be an inner space provided in the housing 15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or may be an inner space directly formed in the sole 170 in the absence of the housing.
  • the wheel assembly is configured to be drawn into the inner space 151 formed in the housing 150 so that the wheel 123 can be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inner space 151, the base block 110. ), Wheel support, and positioning unit.
  • the base block 110 is to support the rotating wheel support, it is fixed to the inner space 151 of the housing 150.
  • the wheel support part supports the wheel 123, and the first position (the position shown in FIG. 2) where the wheel 123 is drawn into the inner space 151 and the wheel 123 are drawn out from the inner space 151. It is rotatabl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the position shown in FIG. 1),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121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22.
  • first support member 121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11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block 110 about the first axis a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Is coupled to.
  • first axis a1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base block 110.
  •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about the second axis a2 crossing the first axis a1. I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heel 12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is provided with a cam portion 124 having a protruding shape, and the base block 110 has a cam follower portion having a “b” shape in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is bent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 111 is provided.
  •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block 110 while the cam portion 124 is inserted into the cam follower portion 111.
  •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is in a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2).
  • the member 121 is rotated.
  • the wheel 123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are disposed to be able to travel in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shoe wearer, but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are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151 with the wheel 123 lying down horizontally. I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1st support member 121. FIG.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inner space 151 accommodated wheel support.
  • the second depression 134 is a circular depres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block 110,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pression 133 when the wheel support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at is, the first depression It is formed at a position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the depression 133.
  • the third recess 135 is also a circular reces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block 1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ecess 134 in the arc direction about the first axis a1.
  • the third recessed part 13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ssed part 133 when the wheel support part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that is, a position which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first recessed part 133.
  • the third recess 135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ase block 110.
  • the fourth recess 136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137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wheel support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is the fourth recess 136. It is inserted inside.
  • the rod member 137 is a rod-shaped member slidably disposed along the third recessed portion 135. One end of the rod member 137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32 as the protrusion 132 is inserted into the third recess 135 when the wheel support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A hollow ring member 139 is fit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recessed portion 135 from which the protrusion 132 is inserted,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137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ring member 139. .
  •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is coupled to the rod member 137 so as to be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rod member 137.
  • a spring member is used as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is supported by the rod member 137,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is supported by the ring member 139. Accordingly,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elastically presses the rod member 137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32 is pushed out of the third recess 135.
  • the protrusion 132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recess 133. An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132 exposed from the first recess 13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ss 134.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is fixed to the first position while being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base block 110.
  • the protrusion 132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recess 133.
  • the end of the protrusion 132 exposed from the first recess 133 is inserted into the third recess 135 so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is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base block 110. It is fixed in position.
  • the protrusion 132 is inserted into the third recess 135 to push the one end of the rod member 137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137 as the rod member 137 slides in the "A" direction. It is inserted into the four depressions 136.
  •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and the base block 110 are coupled by the protrusion 132,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and the base block 110 are coupled by the rod member 137.
  • the force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in the second position is increased.
  •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is positioned at one posi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 a force is applied to the shaft member 131 in the direction B from which the protrusion 132 exits from the third depression 134.
  • the shaft member 131 is slid along the first axis a1
  • the protrusion 132 exits from the third recess 134, but remain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 133.
  • the rod member 137 which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32 is slid in the "B" direction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 the other end of the rod member 137 is released from the fourth recessed portion 136.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132 has escaped from the third recessed portion 134 but maintains the inserted state 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3, when the shaft member 131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a1,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2 is rotated.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is rot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lock 110 about the axis a1.
  • the whe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wheel-mounted shoe including the same securely position the wheel at each position where the wheel is introduced into or drawn out from the interior space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eel from being pulled in or pulled out due to unwanted malfunction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base block are coupled by the protrusion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base block are coupled by the rod member.
  • the coupling force to fix the position of the wheel support is increased. Therefore, the wheels are not shaken while traveling,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wheels can be obtained.
  • the base block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base block 110 of FIG. 3,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22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of FIG. 3.
  • the example shaft member 231 corresponds to the shaft member 131 of FIG.
  • the positioning por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haft member 231, the first uneven portion 232, the second uneven portion 241, the uneven member 234, the third uneven portion 236, the fourth uneven The part 242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is included.
  • the uneven member 234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a1, and the shaft member 23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even member 234 is formed with an uneven portion engaged with the third uneven portion 236 to be described later.
  • the third uneven portion 236 is formed through the base block 210, the third uneven portion 236 is always engaged with the uneven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neven member 234 and the first uneven portion 232 ) Is optionally interlocked.
  • the fourth uneven portion 242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1,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uneven portion 241 is formed and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uneven member 234.
  •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shaft member 231 so as to be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shaft member 231.
  • a spring member is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is supported by the housing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40 is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shaft member 231.
  • the first uneven portion 232 includes the second uneven portion 241 and the third uneven portion 236.
  • the uneven member 234 is engaged with the fourth uneven portion 242, whereby the first support member 221 is fixed to the base block 210 without being rotated anymore.
  •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haft member, the first recess is formed to penetrate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n the contrary,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recess is formed in the shaft. 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one end of the member.
  • the wheel support is firmly fix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wheel is drawn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ner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wheel from being pulled out or withdrawn due to an undesired malfunction of the wheel support. This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는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제1위치 및 상기 바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바퀴 지지부; 및 상기 바퀴 지지부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바퀴 지지부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본 발명은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위치에서 바퀴가 위치고정될 수 있는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 뒷부분에 바퀴를 장착하고 그 바퀴를 굴려서 스케이팅(skating)을 즐길 수 있도록 한 바퀴 장착형 신발은, 보행과 함께 뒷부분의 바퀴를 롤링(rolling)하는 동작으로 스케이팅 기능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퀴 장착형 신발의 대부분은 뒷부분의 바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보행시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고자 바퀴가 장착되지 않은 신발의 앞부분과 바퀴가 장착된 신발의 뒷부분 모두를 지면에 접지한 상태로 보행을 하고, 스케이팅을 즐길 때는 신발의 앞부분을 들고 뒷부분의 바퀴를 이용하여 롤링 동작을 행하면서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바퀴 장착형 신발은 신발 뒷부분의 바퀴가 돌출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므로 신발의 앞, 뒷부분을 지면에 접지한 채로 보행한다 하더라도, 보행 동작이 부자연스럽게 되고, 계단 등을 오르내릴 때는 바퀴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위험성도 크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바퀴 장착형 신발을 이용하고자 스케이팅을 즐길 때는 바퀴를 신발 밑창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고 보행 시에는 바퀴를 그 내부공간으로 인입시키도록 개선된 바퀴 장착형 신발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선된 바퀴 장착형 신발은 바퀴가 외부로 인출된 위치 또는 바퀴가 내부에 인입된 위치에서 바퀴 지지부가 그 위치에 단단히 위치고정되지 않으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바퀴가 내부에 인입된 위치에서 바퀴 지지부가 단단히 위치고정되지 않으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때 바퀴 지지부의 고정이 풀리게 되어 바퀴 지지부는 지면 또는 그 하우징과 마찰을 일으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마찰에 의한 반복되는 충격으로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퀴가 인출된 위치에서 바퀴 지지부가 그 위치에 단단히 위치고정되지 않으면, 바퀴에 의해 효과적으로 하중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바퀴 지지부의 작은 떨림에 의해 바퀴의 직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위치에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바퀴를 각 위치에서 단단히 위치고정할 수 있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원하지 않은 오작동으로 인해 바퀴가 인입 또는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바퀴가 인출된 위치에서 바퀴의 작은 위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퀴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바퀴의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퀴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퀴 조립체는,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제1위치 및 상기 바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바퀴 지지부; 및 상기 바퀴 지지부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바퀴 지지부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 및 상기 바퀴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돌출부와, 상기 축부재 및 상기 바퀴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1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함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를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재는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함몰부는 상기 바퀴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퀴 지지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함몰부의 관통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에 마련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함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함몰부와,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원호 방향으로 상기 제2함몰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블록에 마련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함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함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함몰부 및 상기 제2함몰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함몰부 및 상기 제3함몰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위치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재에 끼워져 상기 축부재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함몰부 또는 상기 제3함몰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축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바퀴 지지부에 형성된 제4함몰부와, 상기 제3함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일단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 가능한 봉부재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3함몰부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봉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봉부재가 밀리면서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제4함몰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요철부와, 상기 바퀴 지지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요철부에 맞물리는 제2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를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재는 상기 제1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축선 방향으로 상기 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요철부재와, 상기 베이스 블록에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재에 항상 맞물리고 상기 제1요철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3요철부와, 상기 바퀴 지지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요철부재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4요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1요철부는 상기 제2요철부 및 상기 제3요철부에 맞물리고 상기 요철부재는 상기 제4요철부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위치고정되고,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는, 상기 제1요철부는 상기 제3요철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요철부재는 상기 제4요철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회동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재에 끼워져 상기 축부재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요철부가 상기 제3요철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축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퀴 지지부는,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제1지지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제1축선과 교차하는 제2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동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외피; 상기 외피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 및 상기 밑창에 마련된 내부공간에 인입 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위치에서 바퀴 지지부가 단단히 위치고정되므로, 원하지 않은 바퀴 지지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바퀴가 인입 또는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이 제공된다.
또한, 바퀴가 외부로 노출되어 신발의 착용자의 하중이 바퀴에 작용하게 되는 제2위치에서는 바퀴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력이 증가되므로, 주행시 바퀴가 떨리지 않게 되고 바퀴의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 장착형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 조립체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퀴 조립체의 제2지지부재가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Ⅵ-Ⅵ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 조립체의 베이스 블록, 바퀴 지지부 및 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바퀴 조립체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바퀴 조립체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 장착형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 조립체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퀴 조립체의 제2지지부재가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Ⅵ-Ⅵ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바퀴 장착형 신발(100)은, 바퀴(123)가 밑창(170)의 내부공간(151)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15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피(160)와, 밑창(170)과, 하우징(150)과, 바퀴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160)는 신발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며, 상기 밑창(170)은 외피(160)의 하부에 결합되며 신발 착용자가 보행하는 동안 지면에 접촉한다. 상기 하우징(150)은 밑창(170)에 결합되고, 후술할 바퀴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51)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151)은 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50)에 마련된 내부공간일 수도 있고, 하우징이 없는 상태에서 밑창(170)에 직접 형성된 내부공간일 수도 있다.
상기 바퀴 조립체는 하우징(150)에 형성된 내부공간(151)에 인입되어 바퀴(123)가 그 내부공간(151)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15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베이스 블록(110)과, 바퀴 지지부와, 위치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블록(110)은 회동하는 바퀴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50)의 내부공간(151)에 고정된다.
상기 바퀴 지지부는 바퀴(123)를 지지하며, 바퀴(123)가 내부공간(151)으로 인입되는 제1위치(도 2에 도시된 위치) 및 바퀴(123)가 내부공간(151)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것으로서, 제1지지부재(121)와, 제2지지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121)는 그 일단부는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베이스 블록(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 블록(110)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제2지지부재(122)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축선(a1)은 베이스 블록(1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22)는 그 일단부는 제1축선(a1)과 교차하는 제2축선(a2)을 중심으로 하여 제1지지부재(1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제1지지부재(12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에는 바퀴(1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22)에는 돌출된 형상의 캠부(124)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110)에는 중간부가 대략 90도의 각도로 꺾어지는 "ㄴ"자 형상이며 함몰된 형상의 캠팔로우어부(111)가 마련된다. 캠부(124)가 캠팔로우어부(111)에 삽입된 채로 제1지지부재(121)는 베이스 블록(110)에 대해 회동하게 되는데, 제1지지부재(121)가 제1위치(도 2에 도시된 위치)와 제2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동안 제2지지부재(122)는 제2축선(a2)을 중심으로 캠팔로우어부(111)의 형상을 따라 제1지지부재(121)에 대해 회동한다. 제1지지부재(121) 및 제2지지부재(122)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도록 바퀴(123) 및 제2지지부재(122)가 배치되지만, 제1지지부재(121) 및 제2지지부재(122)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바퀴(123)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내부공간(15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지지부재(122)는 제1지지부재(121)에 대해 회동한다. 따라서, 바퀴 지지부가 수용되는 내부공간(151)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바퀴 지지부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며, 바퀴 지지부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할 때 바퀴 지지부가 베이스 블록(1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바퀴 지지부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축부재(131)와, 제1함몰부(133)와, 돌출부(132)와, 제2함몰부(134)와, 제3함몰부(135)와, 제1탄성부재(140)와, 제4함몰부(136)와, 봉부재(137)와, 제2탄성부재(138)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재(131)는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 제1축선(a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봉 형상의 부재이며, 제1지지부재(121)에 형성된 관통공(141) 및 베이스 블록(110)의 관통공(142)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본 실시예의 축부재(131)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2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있지만, 단일의 부재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132)는 축부재(131)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제1지지부재(121)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함몰부(133)는 제1지지부재(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함몰부(133) 내부로 돌출부(132)가 삽입된다. 축부재(131)에 형성된 돌출부(132)가 제1지지부재(121)에 형성된 제1함몰부(133)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부재(131)를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1지지부재(121)는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베이스 블록(110)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함몰부(133)는 제1지지부재(121)의 일측에서 제1지지부재(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출부(132)는 제1함몰부(133)의 관통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함몰부(134)는 베이스 블록(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원형의 함몰부로서, 바퀴지지부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1함몰부(133)와 대응하는 위치 즉, 제1함몰부(133)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3함몰부(135) 역시 베이스 블록(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원형의 함몰부로서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원호 방향으로 제2함몰부(134)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된다. 상기 제3함몰부(135)는 바퀴 지지부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함몰부(133)와 대응하는 위치 즉, 제1함몰부(133)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3함몰부(135)는 베이스 블록(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140)는 축부재(131)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도록 축부재(131)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140)로서 스프링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40)의 일단부는 하우징(15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140)의 타단부는 축부재(131)의 타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바퀴 지지부가 제1위치에 위치할 때는 돌출부(132)가 제1함몰부(133)를 관통하여 제2함몰부(134)로 결합되는 방향(A)으로 축부재(131)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고, 바퀴 지지부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는 돌출부(132)가 제1함몰부(133)를 관통하여 제3함몰부(135)로 결합되는 방향(A)으로 축부재(131)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한다.
상기 제4함몰부(136)는 제1지지부재(121)의 타측에 형성되며, 바퀴 지지부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후술할 봉부재(137)의 타단부가 제4함몰부(136)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봉부재(137)는 제3함몰부(135)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봉부재(137)의 일단부는 바퀴 지지부가 제2위치에 위치할 때 돌출부(132)가 제3함몰부(135)로 삽입되면서 돌출부(132)와 접촉하게 된다. 제3함몰부(135)에서 돌출부(132)가 삽입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중공 형상의 링부재(139)가 끼워지는데, 봉부재(137)의 타단부는 링부재(139)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38)는 봉부재(137)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도록 봉부재(137)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138)로서 스프링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138)의 일단부는 봉부재(137)에 의해 지지되며, 제2탄성부재(138)의 타단부는 링부재(139)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부재(138)는 돌출부(132)를 제3함몰부(135)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봉부재(137)를 탄성 가압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바퀴 조립체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바퀴(123)가 하우징(150)의 내부공간(151)으로 인입되는 제1위치에 바퀴 지지부가 위치할 때, 돌출부(132)는 제1함몰부(133)를 관통하고 제1함몰부(133)로부터 노출된 돌출부(132)의 단부는 제2함몰부(134)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121)는 베이스 블록(1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 채 제1위치에 위치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바퀴(123)가 하우징(150)의 내부공간(151)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에 바퀴 지지부가 위치할 때, 돌출부(132)는 제1함몰부(133)를 관통하고 제1함몰부(133)로부터 노출된 돌출부(132)의 단부가 제3함몰부(135)로 삽입됨으로써 제1지지부재(121)는 베이스 블록(1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 채 제2위치에 위치고정된다. 또한, 돌출부(132)가 제3함몰부(135)로 삽입되면서 봉부재(137)의 일단부를 밀어주고 "A" 방향으로 봉부재(137)가 슬라이딩되면서 봉부재(137)의 타단부가 제4함몰부(136)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2위치에서는 돌출부(132)에 의해 제1지지부재(121)와 베이스 블록(110)이 결합되고 봉부재(137)에 의해 제1지지부재(121)와 베이스 블록(110)이 결합되어서, 제1지지부재(121)를 제2위치에 위치고정시키는 힘이 강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지지부재(121)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일 위치에 위치한다. 제1지지부재(121)를 제2위치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돌출부(132)가 제3함몰부(134)로부터 빠져 나가는 방향(B)으로 축부재(131)에 힘을 가한다. 축부재(131)가 제1축선(a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돌출부(132)는 제3함몰부(134)로부터 빠져나가지만 제1함몰부(133)에는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돌출부(132)와 접촉하고 있던 봉부재(137)는 제2탄성부재(138)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B"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봉부재(137)가 슬라이딩되면서 봉부재(137)의 타단부는 제4함몰부(136)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돌출부(132)는 제3함몰부(134)로부터 빠져나갔지만 제1함몰부(13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축부재(131)를 회전시키면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베이스 블록(110)에 대해 제1지지부재(121)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위치에서 바퀴를 단단히 위치고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지 않은 오작동으로 인해 바퀴가 인입 또는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바퀴가 외부로 노출되어 신발의 착용자의 하중이 바퀴에 작용하게 되는 제2위치에서는 돌출부에 의해 제1지지부재와 베이스 블록이 결합되고 봉부재에 의해 제1지지부재와 베이스 블록이 결합되므로, 바퀴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시 바퀴가 떨리지 않게 되고 바퀴의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퀴 조립체의 베이스 블록, 바퀴 지지부 및 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베이스 블록(210)은 도 3의 베이스 블록(110)에, 본 실시예의 제1지지부재(221)는 도 3의 제1지지부재(121)에, 본 실시예의 축부재(231)는 도 3의 축부재(131)에 각각 대응한다.
본 실시예의 위치 결정부는 축부재(231)와, 제1요철부(232)와, 제2요철부(241)와, 요철부재(234)와, 제3요철부(236)와, 제4요철부(242)와, 제1탄성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재(231)는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 제1축선(a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봉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제1요철부(232)는 축부재(231)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요철부(241)는 바퀴 지지부, 즉 제1지지부재(221)의 일단부를 관통하도록 제1지지부재(221)에 마련되며 제1요철부(232)에 맞물린다. 축부재(231)에 형성된 제1요철부(232)가 제1지지부재(221)에 형성된 제2요철부(241)에 맞물린 상태에서 축부재(231)를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1지지부재(221)는 제1축선(a1)을 중심으로 베이스 블록(210)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상기 요철부재(234)는 그 중앙부에 제1축선(a1)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그 관통공에는 축부재(231)가 삽입된다. 요철부재(234)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제3요철부(236)와 맞물리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요철부(236)는 베이스 블록(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제3요철부(236)는 요철부재(234)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와는 항상 맞물리고 제1요철부(232)에는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4요철부(242)는 제1지지부재(221)의 타단부, 즉 제2요철부(241)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요철부재(234)에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상기 제1탄성부재(240)는 축부재(231)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도록 축부재(231)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탄성부재(240)로서 스프링부재를 사용한다. 제1탄성부재(240)의 일단부는 하우징(150)에 의해 지지되며, 제1탄성부재(240)의 타단부는 축부재(231)의 타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바퀴 지지부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요철부(232)가 제3요철부(236)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축부재(231)를 탄성가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21)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제1요철부(232)는 제2요철부(241) 및 제3요철부(236)에 맞물리고, 요철부재(234)는 제4요철부(242)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1지지부재(221)는 베이스 블록(210)에 대해 더이상 회동하지 않고 위치고정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21)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는, 제1요철부(232)는 제3요철부(236)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2요철부(241)에만 맞물려지고, 요철부재(234)는 제4요철부(24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3요철부(236)에만 맞물림으로써 제1지지부재(221)는 베이스 블록(21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는 축부재에 형성되고, 제1함몰부는 제1지지부재의 일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었으나, 그와는 반대로 상기 돌출부는 제1지지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함몰부는 축부재의 일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위치에서 바퀴 지지부가 단단히 위치고정되므로, 원하지 않은 바퀴 지지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바퀴가 인입 또는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바퀴가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그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제1위치 및 상기 바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바퀴 지지부; 및
    상기 바퀴 지지부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바퀴 지지부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 및 상기 바퀴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돌출부와, 상기 축부재 및 상기 바퀴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제1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함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를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제1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함몰부는 상기 바퀴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퀴 지지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함몰부의 관통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에 마련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함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함몰부와,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원호 방향으로 상기 제2함몰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블록에 마련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함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함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함몰부 및 상기 제2함몰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함몰부 및 상기 제3함몰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 끼워져 상기 축부재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함몰부 또는 상기 제3함몰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축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블록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바퀴 지지부에 형성된 제4함몰부와, 상기 제3함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일단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 가능한 봉부재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3함몰부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봉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봉부재가 밀리면서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제4함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요철부와, 상기 바퀴 지지부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요철부에 맞물리는 제2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를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제1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축선 방향으로 상기 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요철부재와, 상기 베이스 블록에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재에 항상 맞물리고 상기 제1요철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3요철부와, 상기 바퀴 지지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요철부재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4요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1요철부는 상기 제2요철부 및 상기 제3요철부에 맞물리고 상기 요철부재는 상기 제4요철부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위치고정되고,
    상기 바퀴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는, 상기 제1요철부는 상기 제3요철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요철부재는 상기 제4요철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바퀴 지지부가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 끼워져 상기 축부재와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요철부가 상기 제3요철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축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지지부는, 상기 제1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제1지지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제1축선과 교차하는 제2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조립체.
  10.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외피;
    상기 외피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 및
    상기 밑창에 마련된 내부공간에 인입 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퀴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PCT/KR2009/001001 2008-03-04 2009-03-02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WO2009110710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138656A CN102014680A (zh) 2008-03-04 2009-03-02 滚轮组合件及包括该装置的轮鞋
US12/920,531 US20110025002A1 (en) 2008-03-04 2009-03-02 Wheel Assembly and Wheeled Shoes having the Same
JP2010549562A JP2011512984A (ja) 2008-03-04 2009-03-02 車輪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車輪装着型靴
EP09717049A EP2250915A2 (en) 2008-03-04 2009-03-02 Wheel assembly and wheeled shoe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149A KR20090095067A (ko) 2008-03-04 2008-03-04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008-0020149 2008-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0710A2 true WO2009110710A2 (ko) 2009-09-11
WO2009110710A3 WO2009110710A3 (ko) 2009-10-29

Family

ID=4105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001 WO2009110710A2 (ko) 2008-03-04 2009-03-02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25002A1 (ko)
EP (1) EP2250915A2 (ko)
JP (1) JP2011512984A (ko)
KR (1) KR20090095067A (ko)
CN (1) CN102014680A (ko)
TW (1) TW200946179A (ko)
WO (1) WO20091107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0084B2 (en) * 2015-02-27 2017-04-25 Vladimir Yurkin Inline skate sneaker
CN105854272B (zh) * 2016-06-01 2017-12-01 四川保特尼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收储滑轮的多功能旱冰鞋
CN106474719B (zh) * 2016-11-30 2017-12-01 四川保特尼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折叠滑轮的电动助力旱冰鞋
KR101772843B1 (ko) * 2017-02-28 2017-08-29 전용택 승하강식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슈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809B1 (en) * 1995-07-21 2002-02-05 Karol Designs, L.L.C. Snowboard boot
KR200276793Y1 (ko) * 2002-02-22 2002-05-25 유재열 롤러 블레이드가 장착된 신발
US6634656B1 (en) * 1998-09-18 2003-10-21 Bernard Gervasoni Roller skates having improved appearance and function as walking shoes
KR100666389B1 (ko) * 2006-02-21 2007-01-09 주식회사 슈보텍 출입식 휠을 구비한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0039A (en) * 1999-08-16 2000-09-19 Clementi; Fred Walking and in-line skate shoe
US6572120B2 (en) * 2001-08-21 2003-06-03 Chun-Cheng Chang Wheel assembly for roller skate
WO2006126748A1 (en) * 2005-05-23 2006-11-30 Inter Space Tech. Ltd., Co. Folding type roller assembly and footwear equipped with th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809B1 (en) * 1995-07-21 2002-02-05 Karol Designs, L.L.C. Snowboard boot
US6634656B1 (en) * 1998-09-18 2003-10-21 Bernard Gervasoni Roller skates having improved appearance and function as walking shoes
KR200276793Y1 (ko) * 2002-02-22 2002-05-25 유재열 롤러 블레이드가 장착된 신발
KR100666389B1 (ko) * 2006-02-21 2007-01-09 주식회사 슈보텍 출입식 휠을 구비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6179A (en) 2009-11-16
EP2250915A2 (en) 2010-11-17
KR20090095067A (ko) 2009-09-09
JP2011512984A (ja) 2011-04-28
WO2009110710A3 (ko) 2009-10-29
CN102014680A (zh) 2011-04-13
US20110025002A1 (en)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712B1 (ko) 착탈식 롤러 신발
WO2009110710A2 (ko) 바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JP2005144177A (ja) 履物
WO2011071252A2 (ko) 자전거용 신발
WO2020262997A2 (ko) 기구적 자기강화 작용을 이용한 수동 휠체어 이동 보조 장치
WO2013100503A1 (ko) 이동구조물의 휠 베이스
WO2009110712A2 (ko) 도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KR20110024226A (ko) 전환가능한 보행/인라인 스케이팅 신발
WO2015126170A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WO2014010766A1 (ko)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KR100518113B1 (ko) 바퀴 장착형 신발
WO2009110711A2 (ko) 브레이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바퀴 장착형 신발
CN201082659Y (zh) 改进的轮体结构
JP4579787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プラグ用カバー装置
KR200343141Y1 (ko) 바퀴 장착형 신발
KR200308285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33475Y1 (ko) 취출 수납형 롤러가 구비된 신발
CN216417765U (zh) 一种艾灸器
KR100919379B1 (ko) 접철식 휠장치가 구비된 신발
KR200345591Y1 (ko) 착탈식 인라인 신발
KR200330176Y1 (ko) 힐링 슈즈
KR200323017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157169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KR100542124B1 (ko) 바퀴 수납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1304176B1 (ko) 휠체어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13865.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170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549562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7170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920531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