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04905A2 - 차음 및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음 및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04905A2
WO2009104905A2 PCT/KR2009/000781 KR2009000781W WO2009104905A2 WO 2009104905 A2 WO2009104905 A2 WO 2009104905A2 KR 2009000781 W KR2009000781 W KR 2009000781W WO 2009104905 A2 WO2009104905 A2 WO 200910490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region
sound insulation
body portio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7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04905A3 (ko
Inventor
조덕현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훼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143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83820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훼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훼이스
Publication of WO200910490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04905A2/ko
Publication of WO200910490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0490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s.
  • Ventilation equipment is installed in apartments, buildings, factories, etc. to exchange the polluted air with fresh air from outside, and to dissipate the air heated by heat generated from the facilities or machinery installed inside to regulate the internal temperature. Make it comfortable.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that can safely protect the operator from contaminants and als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 the body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the entrance is formed on the side
  • the ventila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discharges the fluid in the space inside the body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 An air curtain disposed in the body portion or the ventilation portion and partitioning an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ransferring fluid in the first region to the body portion.
  •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ound absorbing panel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 the ventilator may include: a frame part in which an inner space is connected to an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a roof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a side wall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connect the frame part to the side wall. I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a guide plate for forming a discharge passage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facing the side wall, through which the fluid inside the frame portion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rame portion Can be.
  • the ventilation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frame part.
  •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in which the inner space of the ventila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and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part.
  • the air curtain may be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member.
  •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ckflow prevention panel installed on the air curtain and preventing the fluid of the first region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econd region.
  •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frame part and positioned in the first area and sucking fluid in the first area into the ventilation part.
  • the skylight plate is formed in the roof,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wall may be a semicircle or a semi-ellipse.
  • the exhaus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exhaust port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an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and an exhaust fan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 the intak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intake port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an intake duct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and an intake fan connected to the intake duct.
  •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is a door installed at the doorway, a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proximate to the doorway, and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oor,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door senso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 the door may be made of cloth, and the cloth may be flameproof or windproof.
  •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ind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configured to wind up the door.
  •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winding unit to adjust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unit.
  • the working curtain and the pollutant generating area are separated by the air curtain, and thus the pollutant may be blocked from entering the working area. Therefore, workers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contaminants and further industrial accidents can be prevented.
  • the work environment is improved by continuously supplying fresh outside air to the work space.
  • the guide plate, the roof and the side wall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n water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sealed space. Furthermore, the semicircular sidewalls on both sides of the ventilator space speed up the outflow of contaminants as they flow toward the roof. Therefore, the efficiency of ventilation is improved.
  • the doo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is made of a flameproof and windproof cloth material, the doors and the vehicles are not damaged even when the doors collide with the vehicles.
  • the sound absorbing panel is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work progres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keleton portion, the side wall and the exhaust fan shown in FIG.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using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nhaling outside air by using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of FIG. 1,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inspecting contaminated air using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of FIG. 1;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advances from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of FIG. 1.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keleton portion, the side wall and the exhaust fan shown in Figure 2
  •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by using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by using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member 114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1 having an inner space.
  •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14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11 to communicate.
  • Doors 113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dy 111.
  • the door 121 is provided in the doorway 113.
  • the sound absorbing panel 116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1.
  • the sound absorbing panel 116 may absorb noise generated in the body space 112.
  • the air curtain 115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114, and the air curtain 115 blows air to fill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111 with the first region 141 and the second region ( 151).
  • the door unit includes a door 121, a sensor 124, a control unit 123, and an operation unit.
  • Guides 126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entrance and exit 113, and the door 121 is provided at the guide 126.
  • the display 121 is formed in the door 121 to view the inside of the body 111.
  • the door 121 may be made of a flameproof and windproof cloth. Accordingly, eve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door 121, the door 121 and the vehicle are not damaged.
  • the winding part 125 is disposed above the doorway 113.
  • An operation part (not shown) is disposed inside the winding part 125, and the operation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oor 121.
  • the door 121 is opened or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and the opening attempt 121 of the door 121 may be accommodated while being wound inside the winding unit 125.
  • the sensor 124 is adjacent to the doorway 113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round the doorway 113.
  • the controller 123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sensor 124, and may automaticall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21.
  • the ventilator 130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114, a framework 131, a side wall 137, a roof 133, and a fixing member 136.
  • the connecting member 114 is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111,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14 and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nnection member 114 and the body portion 111 may be integrally connected.
  • the framework 131 is formed on the connection member 114.
  • the roof 133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31.
  • a plurality of side walls 13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31.
  • the side walls 137 are substantially semi-circular pipes 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131.
  • the plurality of side walls 137 are covered by the first cover 132a.
  • the frame portion 131 and the side wall 137 are connected by the fixing member 136.
  • the guide plate 135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134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keleton portion 131 facing the side wall 137, and the fluid inside the skeleton portion 131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34.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wall 137 is semicircle or semi-ellipse, the space between the roof 133 and the side wall 137 is narrow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frame portion 131 and the center of the side wall 137. As a result, the air containing the contaminants flows out toward the roof to increase speed. In other words, the efficiency of ventilation is improved.
  • the roof 133, the first and second covers 132a and 132b, and the guide plate 135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body 111. Rainwater falling on the roof 133 may escape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sidewall 137 and the frame portion 131.
  • the skylight plate 139 is formed on the roof 133 so that external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interior.
  • the air curtain 115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114. However, the air curtain 115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1.
  • a backflow prevention panel 138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curtain 115 to block the contaminated air in the first region 141 from being supplied to the second region 151.
  • the exhaust unit 140 includes an exhaust branch pipe 144, an exhaust duct 145, an exhaust port 142, and an exhaust fan 146.
  • the exhaust branch pipe 144 is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145 and is installed around the first region 141 together with the exhaust duct 145.
  • the first exhaust fan 146 is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145, and the first exhaust fan 146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111.
  • the exhaust port 142 is installed in the exhaust branch pipe 144 and is located below the first region 141. The polluted air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in the first region 141 is sucked into the exhaust port 142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exhaust fan 146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branch pipe 144 and the exhaust duct 145.
  • the number of the exhaust ports 142 may be formed in plural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ody 111 and the degree of generation of pollutants.
  • the exhaust unit 140 includes a second exhaust fan 147 provided above the first region 141.
  • the second exhaust fan 147 is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131.
  • the second exhaust fan 147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on member 114 or the body portion 111.
  • the second exhaust fan 147 allows the polluted air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in the first region 141 to be quickly flowed to the ventilation unit 130.
  • the intake unit 150 includes an intake branch pipe 154, an intake duct 155, an intake port 152, and an intake fan 156.
  • the intake branch pipe 154 is connected to the intake duct 155 and is installed around the second region 151 together with the intake duct 155.
  • An intake fan 156 is connected to the intake duct 155, and the intake fan 156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111.
  • the intake port 152 is provided in the intake branch pipe 154 and is located below the second region 151. However, the position of the intake port 152 in the second area 151 may be changed. External fresh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region 151 through the intake duct 155, the intake branch pipe 154, and the intake port 142 by the operation of the intake fan 156.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enters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of FIG. 1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nspection of contaminated air using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device of FIG. 1
  • FIG. 9 is a sound insulation of FIG. 1. And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advances from the ventilation device.
  •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systems are used as vehicle inspection stations.
  • the sealed space of the sound insulation and ventilation system is not limited to the vehicle inspection station.
  • the sensor 124 detects the vehicle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124.
  • the control unit 123 opens the door 121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and closes the door 121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entered. Since the door 121 is formed of a flame retardant and windproof fabric material, the door 121 and the vehicle are not damaged even when the vehicle is hit.
  • the air curtain 115 is operated to contaminate air generated in the first region 141 such as exhaust gas of the vehicle. Do not forward to.
  • the second area 151 is a space where the worker works, and the worker is protected from the polluted air generated in the first area 141.
  • the backflow prevention panel 138 is installed above the air curtain 115, the contaminated air does not pass to the second region 151 through the top of the air curtain 115. If the air curtain 115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e backflow prevention panel 138 may be omitted.
  • hydrocarbons (HC) and carbon monoxide (CO)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flow upwards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unit 130, and nitrogen compounds, sulfur compounds, and The gas containing other heavy metal flows downwar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42, the exhaust branch pipe 144, and the exhaust duct 145.
  • Fresh air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second region 151 through the intake duct 155, the intake branch pipe 154, and the intake port 152.
  • the worker can work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 the sound absorbing panel 116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11, the noise of the facility itself can be reduced.
  • the working curtain and the pollutant generating area are separated by the air curtain, and thus the pollutant may be blocked from entering the working area. Therefore, workers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contaminants and further industrial accidents can be prevented.
  • the work environment is improved by continuously supplying fresh outside air to the work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음 및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의 유체를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환기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에어 커튼,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영역 내의 유체를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부,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영역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음 및 환기 장치
본 발명은 차음 및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기장치는 아파트, 건물, 공장 등에 설치되어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의 신선한 공기와 교환하고,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이나 기계장치 등에서 발생된 열로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발산하여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환경을 쾌적하게 한다.
특히, 화학약품을 취급하는 작업장이나 오염공기를 검사하기 위한 자동차 검사장과 같은 밀폐공간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는 오염 공기에 노출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받게 된다. 밀폐공간 내의 오염 공기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강제 배기 방식을 사용하고는 있으나, 오염 공기로부터 작업자를 완전히 보호할 수는 없었다.
또한, 밀폐 공간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의 비중이 작을 경우에는 상부로 이송하고, 비중이 클 경우에는 하부로 이송함에 따라 상부와 하부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부와 하부에 배기시설을 각각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설치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실시하면 각종 기계 장치와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공진현상을 일으켜 외부로 발산됨에 따라 소음공해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를 오염 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차음 및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의 유체를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환기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에어 커튼,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영역 내의 유체를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부,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영역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음 및 환기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고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흡음 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내측 공간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는 골조부,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붕, 상기 골조부의 측면에 기설정된 간격 떨어져 있는 측벽, 그리고 상기 골조부와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벽과 마주하는 상기 골조부의 일면에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골조부 내측의 유체가 상기 골조부의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골조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음 및 환기 장치는 상기 환기부의 내측 공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 및 상기 골조부의 내측 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튼은 상기 연결 부재의 내측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음 및 환기 장치는, 상기 에어 커튼의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유체가 상기 제2 영역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 방지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음 및 환기 장치는, 상기 골조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의 유체를 상기 환기부로 빨아들이는 배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붕에 채광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의 단면 모양은 반원 또는 반타원일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어 있는 배기 덕트 및 상기 배기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어 있는 흡기 덕트 및 상기 흡기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흡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음 및 환기 장치는,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상기 출입구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 및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천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천은 방염 또는 방풍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차음 및 환기 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를 감아 올릴 수 있는 권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선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선부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커튼으로 인해 작업 영역과 오염 물질 발생 영역이 구분되어 있는바 작업 영역으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물질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 공간에 신선한 외부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시키므로 작업환경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발생한 오염 물질 중에 비중이 작은 오염 물질은 상부로 상승하여 환기부로 배출되고, 비중이 큰 오염 물질은 제1 영역의 하부에 설치된 배기구를 통해서 배출된다. 즉 오염 물질의 비중에 따라 배기가 이루어지므로 배기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 지붕 및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폐 공간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환기공간의 외부 양측에 반원 형태의 측벽으로 인해, 오염 물질이 지붕 쪽으로 흐름에 따라 외부로 빠져 나가는 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환기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도어가 방염 및 방풍 처리된 천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도어에 차량 등이 부딪혀도 도어 및 차량 등은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내측에 흡음패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 진행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골조부, 측벽 및 배기팬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오염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차음 및 환기장치로 차량이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차음 및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오염 공기 검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차음 및 환기장치로부터 차량이 진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음 및 환기장치 111: 몸체부
113: 출입구 114: 연결 부재
115: 에어 커튼 116: 흡음 판넬
121: 도어 123: 제어부
124: 센서 125: 권선부
126: 가이드 127: 표시창
130: 환기부 131: 골조부
132a, 132b: 덮개 133: 지붕
134: 배출 통로 135: 안내판
136: 고정 부재 137: 측벽
138: 역류 방지 패널 139: 채광판
140: 배기부 141: 제1 영역
142: 배기구 144: 배기분기관
145: 배기덕트 146, 147: 배기팬
150: 흡기부 151: 제2 영역
152: 흡기구 154: 흡기 분기관
155: 흡기 덕트 156: 흡기팬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골조부, 측벽 및 배기팬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오염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음 및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내부 공간을 가지는 몸체부(111)의 상부에 연결 부재(114)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 부재(114)의 내측 공간은 몸체부(111)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통한다. 몸체부(111)의 양측에는 출입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113)에는 도어(121)가 설치되어 있다. 몸체부(111)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흡음판넬(116)이 부착되어 있다. 흡음판넬(116)은 몸체공간(112)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4)의 내측에 에어 커튼(115)이 설치되어 있고, 에어 커튼(115)은,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몸체부(111)의 내부 공간을 제1 영역(141)과 제2 영역(151)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어부는 도어(121), 센서(124), 제어부(123), 그리고 작동부를 포함한다.
출입구(113)의 양측에는 가이드(126)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126)에는 도어(121)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121)에는 몸체부(111)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표시창(127)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121)는 방염 및 방풍 처리된 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21)에 차량 등이 부딪혀도 도어(121) 및 차량이 파손되지 않는다.
출입구(113)의 위쪽에는 권선부(125)가 배치되어 있다. 권선부(125)의 내부에는 작동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고, 작동부는 도어(121)의 한쪽 끝과 연결되어 있다. 도어(121)는 작동부의 동작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며, 도어(121)의 열림 시도어(121)는 권선부(125) 내부에 감기면서 수용될 수 있다.
센서(124)는 출입구(113)와 이웃하며, 출입구(113) 주변에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제어부(123)는 센서(124)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으며, 도어(121)의 개폐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환기부(130)는 연결 부재(114), 골조부(131), 측벽(137), 지붕(133) 및 고정 부재(136)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114)는 몸체부(111)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114)의 내측 공간과 몸체부(111)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통한다. 연결 부재(114)와 몸체부(111)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4) 위에는 골조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골조부(131)의 상부에는 지붕(133)이 연결되어 있다. 골조부(131)의 측면에는 기설정된 간격 떨어져 있는 복수의 측벽(137)이 배치되어 있다. 측벽(137)은 대략 반원 형태의 파이프로, 골조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측벽(137)은 제1 덮개(132a)에 의해 덮여있다. 골조부(131)와 측벽(137)은 고정 부재(136)에 의해 연결된다. 측벽(137)과 마주하는 골조부(131)의 일면에는 배출 통로(134)를 형성하는 안내판(135)이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 통로(134)를 통해 골조부(131) 내측의 유체가 골조부(131)의 외측으로 빠져나간다. 골조부(131)의 위쪽과 아래쪽을 제외한 부분은 제2 덮개(132b)에 의해 덮여있고, 골조부(131)는 제1 및 제2 덮개(132a, 132b)에 의해 외측과 차단된다. 따라서, 골조부(131) 내측에 있는 유체는 배출 통로(134), 골조부(131)와 측벽(137) 중앙부의 사이 공간 및 지붕(133)과 측벽(137)의 사이 공간을 거쳐 환기부(130) 외측으로 빠져나간다.
측벽(137)의 단면 모양은 반원 또는 반타원이므로, 골조부(131)와 측벽(137) 중앙부의 사이 공간보다 지붕(133)과 측벽(137)의 사이 공간이 좁다. 따라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지붕 쪽으로 흐름에 따라 외부로 빠져 나가는 속도가 빨라진다. 즉 환기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지붕(133), 제1 및 제2 덮개(132a, 132b) 및 안내판(135)은 몸체부(111)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지붕(133)으로 떨어진 빗물 등은 측벽(137)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골조부(131)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지붕(133)에는 채광판(139)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빛이 실내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 커튼(115)은 연결 부재(114)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 커튼(115)은 몸체부(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에어커튼(115)의 상부에는 역류 방지 패널(138)을 형성하여 제1 영역(141)에 있는 오염 공기가 제2 영역(151)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배기부(140)는 배기분기관(144), 배기덕트(145), 배기구(142) 및 배기팬(146)을 포함한다. 배기분기관(144)은 배기덕트(145)와 연결되어 있으며 배기덕트(145)와 함께 제1 영역(141) 주위에 설치된다. 배기덕트(145)에는 제1 배기팬(146)이 연결되며, 제1 배기팬(146)은 몸체부(1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42)는 배기분기관(144)에 설치되고, 제1 영역(141)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영역(141)에 있는 비중이 큰 오염 공기는 제1 배기팬(146)의 동작으로 배기구(142)로 흡입되어 배기분기관(144), 배기덕트(145)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구(142)의 숫자는 몸체부(111)의 크기 및 오염 물질의 발생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기부(140)는 제1 영역(1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배기팬(147)을 포함한다. 제2 배기팬(147)은 골조부(131)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배기팬(147)은 연결 부재(114)나 몸체부(111)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배기팬(147)은 제1 영역(141)에 있는 비중이 작은 오염 공기를 환기부(130)로 신속하게 유동되게 한다.
흡기부(150)는 흡기분기관(154), 흡기덕트(155), 흡기구(152) 및 흡기팬(156)을 포함한다. 흡기분기관(154)은 흡기덕트(155)와 연결되어 있으며 흡기덕트(155)와 함께 제2 영역(151) 주위에 설치된다. 흡기덕트(155)에는 흡기팬(156)이 연결되며, 흡기팬(156)은 몸체부(1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기구(152)는 흡기분기관(154)에 설치되고, 제2 영역(151)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2 영역(151) 내에서 흡기구(15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흡기팬(156)의 동작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흡기덕트(155), 흡기분기관(154) 및 흡기구(142)를 거쳐 제2 영역(151)에 공급된다.
다음 위에서 살펴본 차음 및 환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차음 및 환기장치로 차량이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차음 및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오염 공기 검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차음 및 환기장치로부터 차량이 진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음 및 환기 장치는 차량 검사장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차음 및 환기 장치의 밀폐공간은 차량 검사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 차량이 몸체부(111)의 배기부(140) 측 출입구(113)로 다가오면 센서(124)가 차량을 감지하고, 센서(124)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123)는 도어(121)를 개방하여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이 완전이 진입하면 도어(121)를 닫는다. 도어(121)는 방염 및 방풍처리된 천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부딪히더라도 도어(121) 및 차량은 파손되지 않는다.
다음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이 몸체부(111) 내부에 위치하면 에어 커튼(115)을 작동시켜 차량의 배기가스 등 제1 영역(141)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제2 영역(15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영역(151)은 작업자 작업을 진행하는 공간으로, 작업자는 제1 영역(141)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때, 에어 커튼(115)의 위쪽에는 역류방지패널(13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 공기가 에어 커튼(115)의 위쪽을 통해 제2 영역(151)으로 넘어오지 못한다. 에어 커튼(115)을 좀 더 높은 곳에 설치한다면 역류방지패널(138)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영역(141)에서 발생된 오염공기 중 비중이 낮은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 (CO) 따위는 상부로 유동하여 환기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비중이 높은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및 기타 중금속이 함유된 기체는 하부로 유동하여, 배기구(142), 배기분기관(144) 및 배기덕트(145)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제2 영역(151)으로는 흡기덕트(155), 흡기분기관(154) 및 흡기구(152)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쾌적한 환경 내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1) 내부에는 흡음판넬(11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설 자체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 또는 검사가 끝나면 흡기부(150) 측의 출입구(113) 도어(121)가 제어부(123)에 의해 개방되고, 이어서 차량이 몸체부(111)의 외부로 빠져 나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커튼으로 인해 작업 영역과 오염 물질 발생 영역이 구분되어 있는바 작업 영역으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물질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 공간에 신선한 외부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시키므로 작업환경이 향상된다.

Claims (12)

  1. 내부 공간을 가지며, 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의 유체를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환기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에어 커튼,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영역 내의 유체를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부,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영역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부
    를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고,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흡음 판넬을 더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환기부는,
    내측 공간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는 골조부,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붕,
    상기 골조부의 측면에 기설정된 간격 떨어져 있는 측벽, 그리고
    상기 골조부와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과 마주하는 상기 골조부의 일면에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골조부 내측의 유체가 상기 골조부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차음 및 환기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골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환기부의 내측 공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 및 상기 골조부의 내측 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에어 커튼은 상기 연결 부재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커튼의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유체가 상기 제2 영역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 방지 패널을 더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골조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의 유체를 상기 환기부로 빨아들이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지붕에 채광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의 단면 모양은 반원 또는 반타원인 차음 및 환기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어 있는 배기 덕트 및
    상기 배기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배기팬
    을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어 있는 흡기 덕트 및
    상기 흡기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흡기팬
    을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상기 출입구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 및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차음 및 환기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도어는 천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천은 방염 또는 방풍 처리된 차음 및 환기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를 감아 올릴 수 있는 권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선부와 연결되어 상기 권선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차음 및 환기 장치.
PCT/KR2009/000781 2008-02-18 2009-02-18 차음 및 환기 장치 WO200910490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324A KR100838203B1 (ko) 2008-02-18 2008-02-18 밀폐공간의 차음 및 환기장치
KR10-2008-0014324 2008-02-18
KRPCT/KR2009/000311 2009-01-21
KR2009000311 2009-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4905A2 true WO2009104905A2 (ko) 2009-08-27
WO2009104905A3 WO2009104905A3 (ko) 2009-11-26

Family

ID=4098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781 WO2009104905A2 (ko) 2008-02-18 2009-02-18 차음 및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0910490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54B1 (ko) * 2009-06-18 2013-02-20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어뢰를 보관하기 위한 트로프를 구비한 잠수함
CN103669747A (zh) * 2012-08-30 2014-03-26 飞斯有限公司 用于通风的通风顶
CN109556272A (zh) * 2019-01-30 2019-04-02 天津市欣飞同创声学技术有限公司 一种高隔声量隔声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237A (ja) * 1998-09-04 2000-03-21 Sekisui House Ltd 低気密住宅用自然換気建造物の構造及び自然換気システム
KR100656140B1 (ko) * 2006-08-28 2006-12-13 노영환 공조기 및 환기장치를 이용한 금연·흡연구역 구획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774B2 (ja) * 1995-06-19 2005-06-08 株式会社フジタ 建物の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237A (ja) * 1998-09-04 2000-03-21 Sekisui House Ltd 低気密住宅用自然換気建造物の構造及び自然換気システム
KR100656140B1 (ko) * 2006-08-28 2006-12-13 노영환 공조기 및 환기장치를 이용한 금연·흡연구역 구획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54B1 (ko) * 2009-06-18 2013-02-20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어뢰를 보관하기 위한 트로프를 구비한 잠수함
CN103669747A (zh) * 2012-08-30 2014-03-26 飞斯有限公司 用于通风的通风顶
CN103669747B (zh) * 2012-08-30 2016-01-13 飞斯有限公司 用于通风的通风顶
CN109556272A (zh) * 2019-01-30 2019-04-02 天津市欣飞同创声学技术有限公司 一种高隔声量隔声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4905A3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30997A1 (ko) 자연 환기방식을 이용한 터널 환기장치
WO2013024935A1 (en) Gas type fire-fighting apparatus having double detective function for ships
WO2011132995A2 (en) Ventilation device for windows with air purifying function
KR200427932Y1 (ko) 지하철역의 에어커튼 장치
WO2016186273A1 (ko) 창문형 환기 및 공기정화장치
US4023473A (en) Fume hood
WO2016006809A1 (ko) 다기능 환기 시스템
WO2021107628A1 (ko) 지하 매설 설비
WO2009104905A2 (ko) 차음 및 환기 장치
WO2011132998A2 (en) Ventilation device for windows with heat pipe
WO2011132997A2 (en) Ventilation device for windows
WO2013047953A1 (ko) 밀폐 스크린 도어장치
WO2020111681A1 (ko) 환기용 공기청정기와 자율주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KR100838203B1 (ko) 밀폐공간의 차음 및 환기장치
WO2013042805A1 (ko) 창호용 환기장치
WO2012023686A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WO2023204361A1 (ko) 가변 슬라이딩 맨홀 안전 가드
KR102118621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102118622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WO2018030573A1 (ko) 지하주차장의 배기시스템
WO2020060102A1 (ko) 환기장치용 열교환 유닛
WO201002662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WO2020130504A1 (ko) 운송수단용 공기정화 환기 시스템
WO2022071653A1 (ko) 공기 청정기
WO2015088119A1 (ko) 건설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118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118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