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3179A -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3179A
KR980013179A KR1019960029160A KR19960029160A KR980013179A KR 980013179 A KR980013179 A KR 980013179A KR 1019960029160 A KR1019960029160 A KR 1019960029160A KR 19960029160 A KR19960029160 A KR 19960029160A KR 980013179 A KR980013179 A KR 98001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line
telephone
modem
use stat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7682B1 (ko
Inventor
유인철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6002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682B1/ko
Publication of KR98001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뎀 등에 구비되어 다이얼톤 뿐만 아니라 전화라인의 사용여부를 검출하므로써 전화선이 사용중이 아닐 경우에 모뎀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사용상태검출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전화라인의 일선에 구비되어 전화기의 온-후크(HOOK)시 오프되고, 오프-후크시 온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교환국측에 연결된 일단에 직렬로 역방향 연결되는 두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저항과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2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1, 2포토다이오드로부터의 광신호를 수광하고 그 콜렉터는 저항을 통해 전원(Vcc)에 연결되는 이미터접지 수광 트랜지스터와, 상기 수광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 회로
본 발명은 처리용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용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송용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용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모뎀(MODEM)에 관련된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모뎀등에 구비되어 다이얼톤 뿐만아니라 전화라인의 사용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전화선이 사용중이 아닐 경우에 모뎀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전화선 사용상태 검출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모뎀(MODEM)은 공중유선통신망(PSTN)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컴퓨터등과 같은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공중유선통신망(PSTN)을 통해 전송가능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거나 공중유선통신망(PSTN)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등에서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데이타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모뎀이 유선통신망에 연결되기 때문에 전문적으로 통신을 하지 않는 가정집등에서는 따로 통신라인을 구비하지 않고, 일반 전화선과 함께 연결하여 하나의 전화라인으로 모뎀과 전화기가 같이 사용하고 있다. 제 1도는 종래의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다이얼톤 검출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로써, 일측은 교환국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화가입자 가정에 구비되는 전화라인에 연결되어 가입자측의 직류신호전류로부터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변압기(T1)과, 상기 변압기(T1)의 타측에 연결되는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전화기(12)와, 상기 변압기(T1)의 타측에 연결되는 전화라인의 일선에 연결되는 콘덴서(C1)와 상기 전화라인의 타선에 연결되는 저항(R1)과 상기 저항 (R11)에 캐소드측이 연결되고 상기 콘덴서(C1)에 애노드측이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PD11)와 상기 저항(R11)에 애노드측이 연결되고 상기 콘덴서(C1)에 캐소드측이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PD12)와 상기 두 포토다이오드(PD11), (PD12)로부터의 광신호를 수광하여 턴온되고 콜렉터는 링검출 출력단과 연결되는 이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10)과, 상기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와 전원(Vcc)을 연결하는 저항(R12)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전화기(12)는 송화기 및 수화기로 구성된 핸드세트(도시생략)를 들어올림으로써 오프-훅상태가 되면, 교환국측과 전화기간에 DC 루프가 형성되어 전화선으로 48Vdc의 전압이 걸리고, 1.6m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모뎀은 전화기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뎀에 구비되는 링잉(RINGING)검출장치(13)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서 RINGER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있으며, 평상시 온훅상태에서는 직류전원은 콘덴서(C1)에서 차단되어, 포토다이오드(PD11, PD12)가 동작하지 않아 수광 트랜지스터(Q10)는 오프상태로 있다. 따라서, 링잉검출 출력단은 전원(Vcc)에 연결되어 하이레벨의 출력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교환국(11)으로부터 소정 주파수의 다이럴톤이 인가되면 상기 교류신호는 저항(R11) 및 콘덴서(C1)가 정합되어 두 포토다이오드(PD11), (PD12)로 인가된다. 그 결과 두 포토다이오드(PD11), (PD12)가 교류신호에 따라 발광동작하고, 그에 의하여 수광트랜지스터(Q10)는 포토트랜지스터(PD11, PD12)의 발광시 턴온되고, 발광되지 않을 때, 턴오프동작함으로써, 출력단으로 다이얼톤을 나타내는 펄스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펄스 신호를 모뎀의 제어부(도시생략)에서 수신하여 데이터변환동작을 제어한다.
이와같이, 모뎀측에는 단지 교환국으로부터의 수신다이얼톤만을 검출하는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데이터 수신을 할 수 있으나, 전화라인의 사용여부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한 전화라인에 연결된 전화기에 의하여 전화라인이 사용중인 경우에도 데이터전송을 시도하여 가입자의 전화통화에 불편함을 주고, 데이터전송도 불안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전화기와 모뎀이 공동으로 연결되는 전화라인의 이용상태를 검출하는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에 있어서, 전화라인의 일선에 구비되어 전화기의 온-후크(HOOK)시 오프되고, 오프-후크시 온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교환국측에 연결된 일단에 직렬로 역방향 연결되는 두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저항과 상기 제너다이오드 사잉에 발광소자가 연결되고 수광소자는 전원과 접지사이에 구비되는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구비한다.
제1도는 모뎀에 구비되는 종래의 링잉(RINGING) 검출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선 사용여부를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전화기, 22; 포토커플러. 23; 스위칭부, ZD1, ZD2 ; 제너다이오드, PD21, PD22 ; 발광다이오드(Photo Diode), Q20 ; 포토트랜지스터, R21, R22 ; 저항.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로써, 그 일단은 교환국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가입자의 전화라인에 연결되어 음성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분리하는 변압기(T2)와 상기 변압기(T2)에 연결되는 가입자 전화라인의 일선에 직렬연결되는 스위칭부(23)와, 상기 스위칭부(23)이 구비되는 가입자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전화기(21)와, 상기 스위칭부(23)가 구비되는 가입자전화라인의 일선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제너다이오드(ZD1)와 상기 제1제너다이오드(ZD1)의 애노드에 그 애노드가 연결되는 제2제너다이오드(ZD2)와, 상기 가입자전화라인 스위칭부(23)가 구비되지 않은 일선에 연결되는 저항(R21)과, 상기 저항(R21)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제너다이오드(ZD2)의 캐소드에 그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포토다이오드(PD21)와, 상기 저항(R21)에 그 캐소드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제너다이오드(ZD2)의 캐소드에 그 애노드가 연결되는 제2포토다이오드(PD22)와, 상기 제1, 2포토다이오드(PD21, PD22)로부터의 광신호에 의하여 턴온되는 이미터접지 트랜지스터(Q20)와, 상기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와 전원(Vcc)를 연결하는 저항(R22)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에 출력단(VO)이 연결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화기(21)의 온-후크시에는 스위칭부(23)는 차단상태가 되어, 변압기(T2)로부터 저항(R21), 제1, 2포토다이오드(PD21, PD22) 및 제 1, 2제너다이오드(ZD1, ZD2)를 통해 DC 루프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2포토다이오드(PD21, PD22)중 어느 하나라도 턴온하여 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광신호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20)가 턴온되어 출력전압(VO)은 로우레벨 상태가 된다. 반대로, 전화기(22)를 사용하는 경우인 오프-후크시에는 스위칭부(23)가 도통상태가 되어, 전화기(21)와 변압기(T2)사이에 루프가 형성되어,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통화가능을 나타내는 다이얼톤(350Hz+440Hz)이 전화기(12)로 인가되고, 상기 전화기(12)로부터 다이얼신호가 교환국으로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전화기(22)와 교환국사이에 폐루프가 형성되어 저항(R21) 및 제너다이오드(ZD1, ZD2)로 인가되는 전압이 없어 포토다이오드(PD21, PD22)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0)는 턴오프되고, 출력단(VO)으로 저항(R22)을 통해 전원(Vcc)이 인가되므로 출력전압은 하이레벨 상태가 된다.
상기에 의하여, 출력단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전화라인의 사용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국으로부터 모뎀으로 인가되는 링잉신호는 제1, 2제너다이오드(ZD1, ZD2)의 브레이크 전압내에서 제1, 2포토다이오드(PD21, PD22)를 온, 오프시킨다. 따라서, 상기 링잉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Q20)가 온, 오프됨으로써 출력단(VO)으로 로우레벨 하이레벨이 반복되는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펄스신호에 의하여 교환국으로부터의 다이얼링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교환국으로부터의 다이얼링신호 뿐만 아니라 전화기와 모뎀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전화라인의 사용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전화라인이 사용상태일 경우 모뎀의 데이터전송을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키고, 전화라인이 프리상태일 때, 모뎀의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인하여 가입자의 전화사용을 더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화기와 모뎀이 공동으로 연결되는 전화라인의 이용상태를 검출하는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에 있어서, 전화라인의 일선에 구비되어 전화기의 온-후크(HOOK)시 오프되고, 오프-후크시 온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교환국측에 연결된 일단에 직렬로 역방향 연결되는 두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스위칭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전화라인에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저항과 상기 제너다이오드 사잉에 발광 소자가 연결되고 수광 소자는 전원과 접지사이에 구비되는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느 전화선 사용상태 검출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160A 1996-07-19 1996-07-19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KR017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160A KR0177682B1 (ko) 1996-07-19 1996-07-19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160A KR0177682B1 (ko) 1996-07-19 1996-07-19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179A true KR980013179A (ko) 1998-04-30
KR0177682B1 KR0177682B1 (ko) 1999-05-15

Family

ID=1946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160A KR0177682B1 (ko) 1996-07-19 1996-07-19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6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7682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267A (en) Telephone line interface and dialer circuitry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CA2285475C (en) Distinctive call waiting alert and management device
US3936617A (en) Code-controlled ringer attachment for telephones
KR980013179A (ko)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US7224793B1 (en) Communication set with detection of set function and line condition
KR100233097B1 (ko)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US4309664A (en) Digital energy line sensor
KR950002583B1 (ko) 키폰 전화기의 음성전송라인 접속회로
JPH057909B2 (ko)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US4001708A (en) Code-controlled ringer attachment for telephones including a-peak-to-peak gain controlled amplifier
KR910004127Y1 (ko) 모뎀 및 전화기의 후크 온/오프상태 지시회로
KR950003791Y1 (ko) 전화기의 착신/사용중 겸용 표시 장치
KR940011235B1 (ko) 통화대기시 재통화 발신음장치
KR930003150B1 (ko) 전화기의 수화기 착지에러 자동인지회로
JPH089963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SU1501304A2 (ru) Устройство питани абонентской телефонной линии
KR940007124Y1 (ko) 전화착신 검출회로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KR0123705Y1 (ko) 전화기 접속회로에서의 링 신호 연결장치
KR940004465B1 (ko) 키폰시스템의 내선 링신호 제어회로
GB2126045A (en) Subscriber carrier system
JP2005094476A (ja) 通信装置
KR19980034665A (ko) 교환기의 절전장치
JPH0481155A (ja) 電話回線状態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