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2693A -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2693A
KR980012693A KR1019960031794A KR19960031794A KR980012693A KR 980012693 A KR980012693 A KR 980012693A KR 1019960031794 A KR1019960031794 A KR 1019960031794A KR 19960031794 A KR19960031794 A KR 19960031794A KR 980012693 A KR980012693 A KR 980012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engine
control uni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3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2693A/ko
Publication of KR98001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693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타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어유니트(1)에서 밧데리(4)의 부하전류및 전압을 계속 검출하여 밧데리의 충전전압이 방전종지전압(즉. 17.7V)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는 제1과징과 ; 상기 제1과정에서 밧데리의 밧데리(4)의 전압을 검출한 결과 과부하로 인해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른 경우 자체내에 기 설정해 놓은 발전기(5)의 출력특성곡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엔 진(7)의 회전수를 산정하여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로 출력하는 제2과정 : 상기에서 산정된 값을 토데로 점 화플러그의 스파킹 타임을' 결정하여 엔진의 회전수 및 발전기(5)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 지므로써, 주행 중 만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시동거짐현상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밧데리 충전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도의 (가)는 발전기의 회전수예 따른 전류특성 그래프.
(나)는 밧데리의 방전전압 특성 그래프
[도면의 주요 구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어유니트 2 .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
3 ' 엔진 4 . 밧데리
5 '발전기 6 전압계
7 전류계 8 전기부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엔진의 회전수를 포함하여 밧데리의 전 압 및 전류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제어유니트에서 과부하로 인해 밧데리의 전압이방전종지전압에 이르른 경우 자체내에 기 설정해 놓은 발전기 출력특성곡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회전수를 산정하여 엔진의 회전수 상승시켜주는 방식을 통해 밧데리의 과장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 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자동타의 주행 중 과부하(특히, 여름털 야간 주행시 헤드램프와 에어콘등을 작동시킴으로 인해 과다한 전력이 소모되는데도 불구하고 정체구간이 증가됨으로 인해 발전기의 발전량이 적을시)로 인해 밧데리가 과방전되어 시동이거지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 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자동타에 있어서 밧데리에 대한 충전장치로 사용되는 발전기(Alternator)는 주행중 엔진의 회전 수에 비례하여 전류가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밧데리는 초기시동 및 주행중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 류를 충전하였다가 과부하시 전기부하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에 있어서 충전시스템 관련 경보장치는 메터세트에 "충전(Chanrge)" 경고램프가 설치 되 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이와같은 충전 경보램프는 이미 밧데리의 충전량이 소정량 이하로 저하된 상태에서 점등되어 운전 자로 하여금 가식적으로 인식토록 할 뿐 발전기의 반전량을 상승시키는 기능은 전혀 없으딘로 자동차의 주 행 중 과부하로 인한 밧데리의 과방전을 사전에 예방하기에는 미흡하였다. 특히, 최근들어서는 도로조건의 악화로 인해 아이들(Idle)방치시간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같은 아이들상 태에서 소비전력이 매우 큰 에어콘과 케드램프등을 동시에 작동시킴으로 인해 과부하조건이 되었을시 발전 기의 발전량으로는 부족하여 밧데리의 충전전압가지 소모되므로 밧데리가 과방전되어 시동 자체가 거질 우 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어유니트에서 밧데리의 부하전류 및 전압을 계속 검출하여 밧데리의 충전전압 이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는 제1 과정과 . 상기 제1 과징에서 밧데리의 밧데리의 전압을 검출 한 결과 과부하로 인해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는 경우 자체내에 기 선징해 농은 발전기 출력특성곡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엔진의 회전수를 산정하여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로 출력하는 제2 과정과 ; 상기 제2 과정에서 산징된 계산티를 토데로 점화플러그의 스파킹 타임을 결정하여 엔진의 회전 수 및 발전기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3 과정으로 제어하므로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과부하로 인해 밧데리의 전압이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른 설징해 농은 반전 기의 출력특성곡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회전수를 산정하여 엔진의 회전수 를 상승시켜 주므로써 발전기의 회전수의 자동으로 상승되어 출력전류가 상승되므로 밧데리의 전압이 다시 방전종지전압 이상으로 상승되어 주행 중 밧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시동거짐현상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 는 것 이 다.
[실시 예 ]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밭명 방법이 적용된 밧데리 충전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밧데리(4)에 대해 전압 계(6)와 발전기(5) 및 수개의 전기부하(8)를 병렬 연결하되, 상기 밧데리(4)와 발전기(5) 및 전기부하(8) 사이 에는 전류계(7)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부하(8)들의 작동시 그에 흐르는 전류 및 밧데리(4)의 충전전압을 항상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계(7)및 전압계(6)는 제어유니트(1)에 연결하여 주므로씬, 상기 제어유니트(1)는 밧데리(4)의소비전류 및 현재의 전압상태를 계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니트(1)는 제3도의 (나)와 같은 발전기(5)의 출력특성공선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통상 시 상기 밧데리(4)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여 만약 제3도의 (가)와 같이 방전종지전압(예를들어 17.7V)이 검 출되먼 상기 발전기(5)의 출력특성곡선으로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엔진(3)의 뢰전수를 산정 하게 된 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1)의 출력은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의 입력단자에 연결시켜 주므로써, 엔진(3)의 구동에 대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는 상기 제 어유니트(1)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 에 부웅하여 엔지(3)의 점화플러그에 대한 스파킹 타임을 결정하게 되므로 엔지(3)의 회전수 및 발전기(5)의 회 전수가 변관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밧데리 충전장치에서 밧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은 제2도에 나타낼 바와같이, 상기 제어유니트(1)에서 밧데리(40)의부하전류 및 전압을 계속 검출하여 밧데리의 충전전압이 방전 종지전압(즉, 10.7V)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 상기 제1과정에서 밧데리의 밧데리(4)의 전압을 검 출한 결과 과부하로 인해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른 경우 자체내에 기 설정해 놓은 발전기(5)의 출력특성곡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엔진(3)의 회전수를 산정하여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로 출력하는 제2과정 ; 상기 제2과정에서 산정된 값을 토데로 점화플러그의 스파킹 타임을 결정하여 엔지의 회 전수(rpnl) 및 발전기 및 발전기(5)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니트(1)에서는 자동차의 주행 중 헤드램프 및 에어콘등과 같은 부하(8)들에 흐르는 밧데리 (4)의 전류 및 전압을 계속 검출하여 방전종지전압(즉, 10.7V)이하로 저하되는지를 테크하게 된다. 물론. 그 결과 밧데리(4)의 전압이 방전종지전압 이하로 저하되지 않으면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에 아무 런 출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므로 엔진(3) 및 발전기(5)는 운전자의 악셀궤이터 구동량에 대응되는 회전 수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유니트71)가 부하전류 및 전압을 검출한 결과 과부하등으로 인해 밧데리의 기능이 제3도 의 (가)와 같이 급격히 상실되는 방전종지전압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자체내에 기 설정해 놓은 발전기(5)의 출력특성곡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엔진(3)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그 결과값은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는 상기 제 어유니트(1)에서 산출되어 출력되는 값과 같은 타이밍으로 엔진(3)의 점화플러그가 스파킹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엔진의 회전수(rpnl)가 이전의 회전수 보다 상숭하게 되 틴로 이에 연동되는 발전기(5)의 회전수 역시 상승하여 발전 전류가 상승하게 되므로 밧데리(4)의 충전전압이 다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먼, 과부하로 인해 밧데리의 전압이 방전종지전압 이하로 띨어지뵉 제어유 니트에서 자체내에 기 설정해 놓은 발전기의 출력 특성곡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회전수를 산전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켜 주므로써 발전기의 회전수가 자동으로 상승되어 출력전 류가 상승되므로 만데리의 전압이 다시 상승되어 주행 중 밧데리의 과방전으로 인한 시동거짐현상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어유니트(1)에서 밧데리(4)의 부하전류 및 전압을 계속 검출하여 밧데리의 충전전압이 방전종지전압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 상기 제1과정에서 밧데리의 밧데리(4)의 전압을 검출한 결과 과부하로 인해 방전종지 전압에 이르른 경우 자체내에 기 설정해 놓은 발전기(5)의 출력특성곡선을 통해 현재 방전되고 있 는 전류량을 보상할 수 있는 엔진(3)의 회전수를 산정하여 엔진 전자제어 유니트(2)로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산정된 같을 토데로 점화플러그의 스파킹 타임을 결정하여 엔지의 회전수(rpnl) 및 발전기 (5)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1794A 1996-07-31 1996-07-31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KR980012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794A KR980012693A (ko) 1996-07-31 1996-07-31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794A KR980012693A (ko) 1996-07-31 1996-07-31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693A true KR980012693A (ko) 1998-04-30

Family

ID=6624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794A KR980012693A (ko) 1996-07-31 1996-07-31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2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73B1 (ko) * 2002-12-02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밧데리의 방전 방지 시스템
US20230272756A1 (en) * 2022-02-25 2023-08-31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Function and efficiency mana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73B1 (ko) * 2002-12-02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밧데리의 방전 방지 시스템
US20230272756A1 (en) * 2022-02-25 2023-08-31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Function and efficiency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1219B2 (en) Battery charge indicator
US6472875B1 (en) Method for detecting a motor vehicle battery failure
US6037749A (en) Battery monitor
US4651081A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charging generator
US7898262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equipped power supply having battery deterioration diagnostic feature
US20060108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harging wire is broken
JPH05205781A (ja) 電池の過放電防止装置
EP2058891A1 (en) Charging control device for a storage battery
GB2292274A (en) Vehicle battery charging systems
EP1079496B1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power supply circuit
EP0845383B1 (en) Controller for on-vehicle battery
AU594842B2 (en) Vehicle battery discharge indicator
JP2003127807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機能を有する車両に搭載された二次蓄電池の残存容量を判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980012693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과방전 방지방법
US6675642B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slip of a driving belt of a generator driven by a driving motor
JP7115409B2 (ja) 駆動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960038101A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으로 인한 시동꺼짐 방지방법
JPS58112274A (ja) 自動車蓄電池を検査する方法
KR940000312Y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JPH0588157U (ja) オルタネータの発電制御装置
KR970054772A (ko)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방전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187177B1 (ko) 알터네이터 출력부족 감지 장치
KR20080019816A (ko) 알터네이터 fr 단자 신호를 이용한 배터리 단락 판단방법
JPH05176478A (ja) オルタネータ制御装置
KR970054773A (ko) 자동차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