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2254A - Device isol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Google Patents

Device isol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2254A
KR980012254A KR1019960029876A KR19960029876A KR980012254A KR 980012254 A KR980012254 A KR 980012254A KR 1019960029876 A KR1019960029876 A KR 1019960029876A KR 19960029876 A KR19960029876 A KR 19960029876A KR 980012254 A KR980012254 A KR 98001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insulating film
film
etching
semicondu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190067B1 (en
Inventor
조상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067B1/en
Publication of KR98001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06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20Sequence of activit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easurements, corrections, marking or sorting steps
    • H01L22/26Acting in response to an ongoing measurement without interruption of processing, e.g. endpoint detection, in-situ thickness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3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of trenches having a shape other than rectangular or V-shape, e.g. rounded corners, oblique or rounded trench walls
    • H01L21/76235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of trenches having a shape other than rectangular or V-shape, e.g. rounded corners, oblique or rounded trench walls trench shape altered by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process step, e.g. trench corner rounding by LOC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의 소자분리방법에 있어서 형성하고자 하는 트랜치의 깊이의 80%∼100%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반도체기판과 유사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막을 이용하여 트랜치를 형성한다. 따라서 트랜치형성을 위한 기판의 식각과정에서 상기 물질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므로써 상기 물질막도 함께 유사한 식각율로 식각되어 상기 물질막 아래의 다른 물질막의 계면이 노출된 식각을 종료시킨다. 이에 따라 매 트랜치 형성공정마다 트랜치의 깊이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평탄화 공정을 안정적로 진행할 수 있으며 활성영역과 필드영역간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rench using a material film having an etching rate similar to that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80% to 100% of the depth of a trench to be formed in a device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Therefore, by using the material layer as an etch mask in the process of etching the substrate for trench formation, the material layer is also etched at a similar etching rate to terminate the etching of the interface of the other material layer under the material layer. Thus, the depth of the trench can be uniformly formed in every trench forming proc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lanariz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stably and an advantage that the step between the active region and the field region can be removed can be obtained.

Description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Device isol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랜치형 소자분리방법에서 트랜치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forming a trench in a trench type device isolation method.

반도체장치가 점점 더 고집적화 되면서 소자들간의 간격은 더욱 좁아지고 있고, 소자들간의 전기적인 접촉 가능성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소자들간, 예컨대 메모리 셀간의 전기적인 분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As semiconductor devices become more and more highly integrated, the spacing between elements becomes narrower and the possibility of electrical contact between elements becomes even higher. Therefore, electrical isolation between semiconductor elements, for example between memory cells, becomes more important.

이에 따라 소자들을 분리키시기위한 다양한 소자분리구조나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기존의 소자분리방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으로 로코스(LOCOS)형과 트랜치(trench)형 소자분리방법이 있다. 로코스형은 집적도를 크게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매우 유익한 소자분리방법이 되지만, 현재와 같이 고 집적화 상황에서는 버즈비크(bird's beak)에 의해 소자 형성영역인 활성영역이 상당부분 침범된다. 따라서 활성영역이 좁아지므로 집적도를 높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트랜치형은 반도체기판에 일정깊이의 트랜치를 형성한 다음, 트랜치에 소자분리용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좁은 간격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고 로코스형에서 처럼 버즈비크가 형성되지 않아서 활성영역의 침범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트랜치형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것은 반도체기판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트랜치를 균일하게 형성해야한다는 것이다. 현재 이와 같은 트랜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식각방법은 시간을 정해놓고 식각을 실시하는 타임에칭(time etching)라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식각하는 시간을 정확히 측정하면 되므로 매우 유효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용하는 식각장비가 식각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종료할 때 까지 정확히 동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실제 공정에서는 장비의 상태가 약간씩 변한다. 따라서 단위시간당 식각량 즉, 식각율(etch rate)이 매 식각공정시 마다 달라진다. 따라서 웨이퍼에 따라 트렌치의 깊이가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트랜치의 깊이가 달라질 경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한 후 실시되는 평탄화 공정에서 양호한 평탄면을 얻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해서는 반도체기판에 형성되는 트렌치 깊이와 절연막의 평탄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Accordingly, a variety of device isola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device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there are a LOCOS type and a trench type device isolation method, which are typical in the conventional device isolation method. The LOCOS type is a very useful device isolation method when the integration degree is not considered to a great extent. However, as in the present high integration state, the active region which is the device formation region is largely invaded by the bird's beak. As a result, the active region is narrowed, resulting in a high integration degree. The trench type can form a trench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n form an oxide film for element isolation in a trench. The oxide trench can be formed in a narrow space at a narrow interval. Buzz beaks are not formed as in the LOCOS type,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ench type is to form the trench having a constant depth uniformly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Currently, the etch method used to form such a trench is time etching, which is time-based etching. This method is very effective because it requires accurate measurement of the etching time.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that the etching equipment used be exactly the same from the preparation of the etching to the end of the etching. In actual processes, the state of the equipment changes slightly. Therefore, the etching rate per unit time, that is, the etch rate, is changed in each etching process. Therefore, the depth of the trench may slightly vary depending on the wafer. If the depth of the trench is changed, a good flat surface can not be obtained in the planarization process performed after forming the device isolation film filling the trenches. In this connection, reference is made to Figs. 1 to 3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the trench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flatness of the insulating film.

도 1 내지 도 3에서 (a)도는 반도체기판(10)에 트렌치가 정상치보다 깊게 형성된 경우이고 (b)도는 정상적인 깊이로 트렌치가 형성된 경우이다. 그리고 (c)도는 정상적인 깊이보다 얕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은 반도체기판(10)에 트랜치(12a, 12b 및 12c)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4는 (a) 내지 (c)도의 트랜치 깊이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선으로 편의상 도입한 것이며 정상적으로 형성된 트렌치를 나타내는 (b)도의 트랜치 깊이를 기준으로 하였다. 도 2는 트랜치(12a, 12b, 12c)를 채우는 절연막(16)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트랜치(12a, 12b, 12c)를 채우고 남을 정도로 충분히 형성한다. 도 3은 상기 절연막(16)의 전면을 에치 백이나 화학기계적 폴리싱(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이하, CMP라 한다)방법을 사용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이다. 평탄화 공정에서 트랜치(12a, 12b, 12c)의 깊에 따라 평탄도가 달라진다. 즉, 트랜치의 깊이가 정상깊이보다 깊은 경우인 (a)도에서는 평탄화 공정에 의해 평탄면이 트랜치(12a)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트랜치가 정상적인 깊이로 형성된 경우인 (b)도를 보면, 평탄면이 트랜치(12b)의 상단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트랜치가 정상적인 깊이보다 얕게 형성된 경우인 (c)도를 보면 평탄면이 트랜치(12c)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a)도나 (c)도에서와 같은 평탄면은 이후 계속되는 다수의 박막형성공정에서 높은 단차를 형성하므로 각종 패턴의 스텝 커버리지가 좋지않게 된다.In FIGS. 1 to 3, (a) and (b) show a case where a trench is formed at a normal depth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 and a case where a trench is formed at a normal depth. And (c) shows a case where the depth is shallower than the normal depth. 1 is a step of forming trenches 12a, 12b, and 12c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10. In FIG. Reference numeral 14 in FIG. 1 is a reference line introduced for convenience of comparison of trench depths in FIGS. (A) to (c) and is based on the trench depth of FIG. 2 is a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film 16 filling the trenches 12a, 12b, and 12c. The trenches 12a, 12b, and 12c are formed sufficiently to fill and remain. 3, the entire surface of the insulating film 16 is planarized using an etch-back method or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method. The flatness of the trenches 12a, 12b, and 12c varies in the planarization process.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depth of the trench is deeper than the normal depth, the flat surface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trench 12a by the planarization process in (a). When the trench is formed at a normal depth, the flat surfac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op of the trench 12b. When the trench is formed shallower than the normal depth, it can be seen that the flat surface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trench 12c in the view (c). (a) and (c), the stepped coverage of various patterns is not good because the flat surface forms a high step in the subsequent many thin film forming processes.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중 트랜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트랜치형 소자분리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는 식각마스크로 사용되는 제1 및 제2 절연막(22, 2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기판(20) 상에 서로 다른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갖는 제1 및 제2 절연막(22, 2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기판(20) 상에 서로 다른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갖는 제1 및 제2 절연막(22, 2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제1절연막(22)은 트랜치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식각마스크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상기 절연막(24)은 트렌치 형성공정에서 제1 절연막(22)을 보호하기 위한 막이다. 상기 제1 절연막(22)은 질화막(SiN)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절연막(24)은 산화막(oxide)으로 형성한다.A method of using a trench in a device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4 to 13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a trench type element isola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4 is a step of forming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s 22 and 24 used as an etching mask.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s 22 and 24 having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Specifically,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s 22 and 24 having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The first insulating film 22 is used as an etching mask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enches.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is a film for protecting the first insulating film 22 in the trench forming process. The first insulating film 22 is formed of a nitride film (SiN),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is formed of an oxide film.

도 5는 트랜치를 형성할 영역을 한정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절연막(24)의 전면에 포토레지스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2 절연막(24) 계면이 일정영역을 한정하여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6)으로 패터닝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6)으로 한정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반도체기판에 트랜치가 형성되므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6)은 결국 트랜치를 형성할 영역을 한정한다.FIG. 5 is a step of forming a photoresist pattern defining regions to form trenches. Specifically, a photoresist film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and then the photoresist pattern 26 is patterned so that the inte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exposes a predetermined region. Since the trenches are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regions defined by the photoresist patterns 26, the photoresist patterns 26 eventually define the regions in which the trenches are to be formed.

도 6은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22a, 24a)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토페지스트 패턴(26)을 식각마스크로하여 제2 절연막(24)의 전면을 이방성식각한다. 이때, 이방성식각은 한정된 부분의 제1 절연막(22)이 제거되어 기판의 계면이 노출될 때 까지 실시한다. 이와 같은 이방성식각의 결과 포토레지스트 패턴에 의해 한정된 부분이 제거된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22a, 24a)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6)을 제거한다. 이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22a, 24a)는 트랜치를 형성할 영역 즉, 필드영역을 한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연히 활성영역도 한정된다. 활성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22a, 24a)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6 is a step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s 22a and 24a. Specifically,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is anisotropically etched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26 as an etching mask. At this time, the anisotropic etching is performed until the limited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22 is removed and the interface of the substrate is exposed. As a result of the anisotropic etching,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s 22a and 24a, in which portions defined by the photoresist pattern are removed, are formed. The photoresist pattern 26 is then removed.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s 22a and 24a define the trench region, that is, the field region. Accordingly, the active region is naturally limited. The active region is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s 22a and 24a are formed.

도 7은 반도체기판(20)에 트랜치(28)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22a, 24a)을 식각마스크로하여 반도체기판(20)의 한정된 부분을 이방성식각하여 반도체기판(20)에 일정한 깊이의 트랜치(28)을 형성한다. 상기 이방성식각은 타임식각으로써 트랜치의 깊이를 사전에 설정해놓고 기판물질의 식각을 고려하여 식각시간을 산정한 다음, 이 시간에 맞춰서 식각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타임식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형성되는 트랜치의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후의 평탄화 공정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7 is a step of forming the trench 28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 Specifically, a limited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is anisotropically etch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s 22a and 24a as an etching mask to form a trench 28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 The anisotropic etching is performed by setting the depth of the trench in advance by time etching, estimating the etching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etching of the substrate material, and then performing the etching according to the time. However, such a time etch can vary the depth of the trench formed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subsequent planarization process can be made unstable.

계속해서 상기 결과물을 열 처리하여 상기 트랜치(28)내벽에 열 산화막(30)을 형성한다(도 8). 이어서 상기 트랜치(28)가 형성된 반도체기판(20a) 전면에 상기 트랜치(28)을 채우는 제3 절연막(32)을 충분한 두께로 형성한다(도 9). 제3 절연막(32)은 소자분리용 절연막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3 절연막(32) 전면에는 트랜치영역을 한정하는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34)을 형성한다(도 10).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34)을 식각마스크로하여 상기 제3 절연막(32) 전면을 이방성식각함으로써 활성영역과 트랜치영역간에 단차가 있는 제3 절연막 패턴(32a)을 형성한다(도 11).Subsequently, the resultant is heat-treated to form a thermal oxide film 30 on the inner wall of the trench 28 (FIG. 8). Next, a third insulating film 32 filling the trench 28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a on which the trench 28 is formed (FIG. 9). The third insulating film 32 is used as an insulating film for element isolation. A first photoresist pattern 34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32 to define a trench region (FIG. 10). The third insulating film 32 is anisotropically etched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34 as an etching mask to form a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32a having a step between the active region and the trench region (FIG. 11).

도 12는 상기 결과물 전면을 평탄화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절연막 패턴(32a)의 전면을 에치 백이나 CMP방법으로 평탄화한다. 상기 평탄화 공정에서 상기 제3 절연막 패턴(32a)과 제2 절연막 패턴(24a)이 완전히 제거되고 상기 제1 절연막 패턴(22a)은 얇은 두께만이 남는다.12 is a plan view for planariz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resultant product. Specifically, the entire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32a is planarized by etch back or CMP. In the planarization process,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32a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4a are completely removed, and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22a remains only a thin thickness.

도 13은 트랜치형 소자분리막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서 제1 절연막 패턴(22a)을 습식식각으로 스트립한다. 이 결과 활성영역에서는 절연막이 완전히 제거되고 트랜치(28)에만 절연막이 남아 있게되어 완전한 트랜치형 소자분리막이 형성된다. 상기 소자분리막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치의 깊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한 소자분리막은 정상적으로 형성된 경우이다.13 is a step for completing the trench isolation. Specifically, in FIG. 12,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22a is stripped by wet etching. As a result, in the active region, the insulating film is completely removed and an insulating film remains only in the trench 28, so that a complete trench type device isolation film is formed. The device isolation layer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trench as shown in FIGS. 1 to 3. The device isolation film shown in Fig. 13 is normally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에서는 반고체기판에 트랜치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타임식각을 실시한다. 따라서 식각장비의 상태에 따라 식각율이 달라져서 웨이퍼마다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트랜치가 형성될 수 있다. 트랜치의 깊이가 달라지면, 트랜치에 절연물질을 채운 후 진행되는 평탄화 공정이 불안정하게 진행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device isolation method for a semiconductor device, time etching is performed to form a trench on a semi-solid substrate. Therefore, the etch rate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etching equipment, and trenches having different depths may be formed in each wafer. If the depth of the trench is changed, the planarization process proceeds unstably after filling the trench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깊이를 갖는 트랜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쉽게 트랜치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an uniformly form a trench having a constant depth and can easily confirm the depth of the trench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제1도 내지 제3도는 반도체기판에 형성되는 트랜치 깊이와 절연막의 평탄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FIGS. 1 to 3 are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the trench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flatness of the insulating film.

제4도 내지 제1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트랜치형 소자분리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들이다.FIGS. 4 to 13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a trench type element isola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제14도 내지 제2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트랜치형 소자분리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들이다.FIG. 14 through FIG. 23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a trench type element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20a : 반도체기판 28 : 소자분리 절연막20a: semiconductor substrate 28: element isolation insulating film

40 : 제3 절연막40: Third insulating fil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vice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반도체기판의 한정된 영역에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된 식각종말점 검출층(이하, EPD층이라 한다)과 상기 EPD층 상에 형성된 상기 반도체기판과 식각율이 유사한 물질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형성한다.A method for isolating elements in a semiconducto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n etch endpoint detection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PD layer)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trench formed on the EPD layer A material film having an etch rate similar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formed as an etch mask.

상기 EPD층은 단층 또는 다수의 절연막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절연막으로는 2개의 절연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절연막이라 한다. 상기 물질막은 절연막(이하, 제3 절연막이라 한다)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3 절연막은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물질막의 두께는 상기 트랜치의 깊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한다. 상기 물질막의 두께는 상기 트랜치 깊이의 80%∼100%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막은 상기 트랜치의 형성과정에서 함께 식각한다. 그러나 상기 물질막이 상기 트랜치를 형성한 후 남아있을 경우는 과도식각하여 제거하거나,The EPD layer is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insulating film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insulating films may be formed of two insulating films, which ar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s. The material film is formed of an insulating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insulating film). The third insulating film is formed of an undoped polysilicon film.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film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trench.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layer is preferably about 80% to about 100% of the trench depth. The material film is etched together during the formation of the trench. However, if the material film remains after forming the trench, it may be removed by over-etching,

상기 트랜치내벽에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가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기 트랜치를 채우는 절연막(이하, 제4 절연막이라 한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절연막 전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로 제거한다.Forming a thermal oxide film on the inner wall of the trench; Forming an insulating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insulating film) filling the trench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n which the trenches are formed; And planariz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fourth insulating film.

상기 평탄화 단계에서 평탄화 수단으로는 에치 백이나 CMP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타임식각대신 종말점 검출(End Point Detection:이하, EDP라 한다)방법으로 반도체기판에 트랜치를 형성한다. EDP를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수단으로 트랜치형성공정에서 식각에 의해 활성영역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각마스크를 사용하는데, 상기 식각마스크를 종래의 식각마스크처럼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구성되는 복층절연막에 더해서 트랜치가 형성되는 반도체기판과 유사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층을 사용한다. 따라서 식각장비의 상태 변화에 의해 식각율이 달라지더라도 트랜치의 깊이를 매 식각공정에서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어지는 절연막의 평탄화 공정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트랜치를 채우는 소자분리막의 높이를 트랜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후막 공정까지 결과물 표면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planarization step, etch back or CMP is used as the planariza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rench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by an end point detection (EDP) method instead of a time etch. An etch mask is used to prevent the active region from being etched by the trench in the trench formation process. The etch mask is added to the multi-layer insulating film composed of the oxide film and the nitride film as in the conventional etch mask, Lt; RTI ID = 0.0 > a < / RTI > etch rate. Therefore, even if the etching rate is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state of the etching equipment, the depth of the trench can be uniformly formed in each etching process, so that the subsequent planarization process of the insulating film can be performed stably.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device isolation film filling the trench can be made equal to the height of the trench, and the flatness of the resultant surface can be maintained until the subsequent thick film proces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 기술하는 도면설명에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vice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describing the prior art represent the same members.

도 14 내지 2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트랜치형 소자분리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4는 물질막(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기판(20) 전면에 질화막으로 형성된 제1절연막(22)과 고온 열 산화막(High Temperature Oxide:이하, HTO라 한다)으로 형성된 제2 절연막(24)으로 구성된 복층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절연막(24) 전면에 상기 반도체기판(20)과 유사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막(40)을 형성한다. 상기 물질막(40)은 절연막(이하, 제3 절연막이라 한다)으로 형성한다. 상기 복층 절연막(22, 24)중 제2 절연막(24)은 EPD층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3 절연막(40)은 트랜치(trench) 형성공정에서 트랜치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3 절연막(40)의 두께에 의해 트랜치의 깊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절연막(40)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하고자 하는 트랜치의 깊이를 미리 결정하여야 한다. 트랜치의 깊이를 상기 제3 절연막(40)의 두께를 이용하여 결정하려면, 상기 제3 절연막(40)이 식각된 후에 식각공정은 멈추어져야 한다. 즉, 식각종말점을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제2 절연막(24)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절연막(40)이 식각되어 제2 절연막(24)의 계면이 노출되면 식각공정은 중단되고 반도체기판(20a)에는 상기 제3 절연층(40)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트랜치가 형성된다.FIGS. 14 to 23 are views showing steps of a trench type element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tep of forming the material film 40. Fig. Specifically, a multi-layer insulating film composed of a first insulating film 22 formed of a nitride film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24 formed of a high temperature oxide film (HTO)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A material film 40 having an etching rate similar to the etching 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The material film 40 is formed of an insulating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insulating film).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of the multilayer insulating films 22 and 24 is used as an EPD layer.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forming a trench in a trench forming process. That is, the depth of the trench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Therefore, the depth of the trench to be formed must be determined before forming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In order to determine the depth of the trench using the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the etching process should be stopped after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is etched. That is, there must be means to detect the etch end point. For this purpose, the second insulating film 24 is used. Therefore, when the third insulating layer 40 is etched to expose the inte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4, the etching process is stopped,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a is exposed with a trench having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40, .

상기 제3 절연층(40)을 트랜치의 깊이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 절연층(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식각율이 반도체기판(20)과 유사해야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3 절연막(40)을 반도체기판(20)을 형성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기판(20)을 형성하는 물질이 실리콘이라면, 상기 제3 절연막(40)도 실리콘성분으로 형성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단, 상기 제3 절연막(40)의 형성에 사용되는 실리콘에는 도전성불순물이 도핑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제약은 도핑농도의 양에 따라 상기 제3 절연막(40)의 식각율이 변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3 절연막(40)은 후에 실시하는 과도식각과 트랜치 내벽 산화공정에 의해 모두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 형성두께는 얇게는 형성하고자 하는 트랜치 깊이의 80%까지 두껍게는 형성하고자 하는 트랜치 깊이의 100%까지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use the third insulating layer 40 as a means for determining the depth of the trench, the etching rate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40 should be similar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heighten such a condition,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should be formed using a material for form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 For example, if the material form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is silicon,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is also formed using a material formed of a silicon component. However, the silicon used for forming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should not be doped with conductive impurities. This is because the etching rate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oping concentration.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should be removed by both the transient etching and the trench inner wall oxid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later. Thus, the thickness of the formation can be as thin as 80% of the depth of the trench to be formed and up to 100% of the depth of the trench to be formed.

도 15는 활성영역과 필드영역을 한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3 절연막(40)의 전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포토레지스트 패턴(42)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42)에 의해 덮혀진 부분은 식각공정에서 보호되어야할 활성영역이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42)에 의해 노출된 부분은 식각되는 부분으로 필드영역이 된다.15 is a step of defining an active area and a field area. Specifically, the photoresist pattern 42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and spaced apart from the photoresist pattern 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rtion covered by the photoresist pattern 42 is an active region to be protected in the etching process and the portion exposed by the photoresist pattern 42 is a field region to be etched.

도 16은 필드영역에 해당하는 반도체기판(40)의 계면을 노출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42)을 식각마스크로하여 상기 제3 절연막(40)과 제2 및 제1 절연막(24, 22)의 상기 필드영역으로 한정된 부분을 순차적으로 식각한다. 이 결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42)에 의해 한정되지 않은 부분의 반도체기판(40)은 그 계면이 노출되고 활성영역은 제3 절연막 패턴(40a)과 그 아래의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22a, 24a)에 의해 한정된다.16 is a step of exposing the inte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40 corresponding to the field region. Specifically, portions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40 and the second and first insulating films 24 and 22 defined by the field region are sequentially etched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42 as an etching mask. As a result, the interface of th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40 which is not defined by the photoresist pattern 42 is exposed, and the active region is exposed through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and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s 22a , 24a.

도 17은 반도체기판(20)에 트랜치(28)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최종 결과물 전면을 건식식각한다. 상기 식각과정에서 활성영역을 한정하고 있는 절연막 패턴들중 상층에 있는 제3 절연막 패턴(40a)은 점차적으로 식각되고 동시에 반도체기판(20a)의 필드영역도 점차적으로 식각된다. 상기 식각은 EPD수단으로도 사용되는 상기 제2 절연막 패턴(24a)의 계면이 검출되면 종료된다. 식각이 종료되면, 상기 반도체기판(20a)의 필드영역에는 상기 제3 절연막 패턴(40a)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의 트랜치(28)가 형성된다. 상기 제3 절연막 패턴(40a)은 상기 반도체기판(20a)을 형성하는 물질과 유사한 물질로 형성하므로 식각장비의 식각율의 완급이 변해도 상기 제3 절연막 패턴(40a)과 반도체기판(20a)은 유사한 완급으로 식각되므로 유사한 깊이의 트랜치(2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막 패턴(40a)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트랜치(28)를 형성하고난 후에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상기 제2 절연막 패턴(24a) 상에 일부 남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3 절연막 패턴(40a)은 이후에 잠간동안 실시되는 과도식각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17 is a step of forming a trench 28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 [ Specifically, the entire surface of the final product of FIG. 16 is dry-etched.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on the upper layer among the insulating film patterns defining the active region in the etching process is gradually etched and the fiel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a is also gradually etched. The etching is terminated when the inte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4a used as the EPD means is detected. When the etching is completed, a trench 28 having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is formed in the fiel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a. Since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is formed of a material similar to the material form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a,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a are similar to each other even if the etching rate of the etching equipment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trench 28 with a similar depth because it is etched to the fullest extent. Although not shown,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may be partially left on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4a without being completely removed after the trench 28 is formed. The third insulating layer pattern 40a may be completely removed in a subsequent transient etching for a short time.

도 18 내지 도 2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자분리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도 8 내지 도 11과 동일한 공정으로 진행한다. 즉, 상기 트랜치(28) 내벽에 열 산화막(30)을 형성한다(도 18). 상기 열 산화막(30) 형성공정에서 상기 제 2 절연막 패턴(24a) 상에 상기 제3 절연막 패턴(도 16의 40a)이 남아 있다면, 산화막(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산화막은 후에 실시하는 평탄화공정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8의 최종 결과물 전면에 두꺼운 절연막(32:이하, "제4 절연막"이라 한다)을 형성한다(도 19). 이어서, 상기 제4 절연막(32)상에 필드영역을 한정하는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34)을 형성한다(도 20).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34)을 식각마스크로하여 상기 제4 절연막(32) 전면을 이방성식각한 다음,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34)을 제거한다. 상기 이방성식각에 의해 상기 제4 절연막(32)의 활성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제4 절연막(32)의 두께는 매우 얇아진다(도 21).Figs. 18 to 21 show the same steps as those of Figs. 8 to 11 showing the steps of the device iso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at is, a thermal oxide film 3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ench 28 (FIG. 18). If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in FIG. 16) remains on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4a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ermal oxide film 30, it is formed as an oxide film (not shown). Such an oxide film can be completely removed in the subsequent planarization process. Subsequently, a thick insulating film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insulating film")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nal product of FIG. 18 (FIG. 19). Next, a first photoresist pattern 34 is formed on the fourth insulating film 32 to define a field region (FIG. 20). The entire surface of the fourth insulating film 32 is anisotropically etched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34 as an etching mask, and then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34 is removed. The thickness of the fourth insulating film 32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of the fourth insulating film 32 becomes extremely thin by the anisotropic etching (FIG. 21).

도 22는 평탄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21의 최종 결과물의 전면을 에치 백 또는 CMP방법으로 평탄화한다. 상기 평탄화는 상기 활성영역 상에서 상기 제4 절연막(32)과 제2 절연막 패턴(24a)을 완전히 제거하고 상기 제1 절연막 패턴(22a)도 일정두께 제거한다. 이때, 상기 제2 절연막 패턴(24a) 상에 형성된 상기 제3 절연막 패턴(도 16의 40a)에 의한 산화막(도시하지 않음)도 함께 제거된다. 필드영역 상에서는 상기 평탄화 공정에 의해 활성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절연막 패턴(22a)과 동등한 높이의 제4 절연막 패턴(32a)이 형성된다. 상기 제4 절연막 패턴(32a)은 실질적으로 상기 트랜치(28)를 채우는 소자분리용 절연막이다.22 is a planarization step. Specifically, the entire surface of the final product of FIG. 21 is planarized by an etch-back or CMP method. The planarization completely removes the fourth insulating film 32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4a on the active region and also removes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22a to a certain thickness. At this time, an oxide film (not shown) formed by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40a (FIG. 16)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4a is also removed. On the field region, a fourth insulating film pattern 32a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22a formed on the active region by the planarization process is formed. The fourth insulating film pattern 32a is an element isolation insulating film which substantially fills the trench 28. [

도 23은 활성영역 상에 형성된 제1 절연막 패턴(22a)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22의 최종 결과물에서 상기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상기 제1 절연막 패턴(22a)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한다. 이후 건조 공정을 거치면, 반도체기판(20a)은 활성영역과 필드영역으로 완전히 구분된다. 상기 필드영역에는 소자분리용 절연막이 채워져 있는데, 상기 제4 절연막 패턴(32a)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활성영역과 필드영역간에는 단차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후 이어지는 박막공정에서는 적어도 단차로 인한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반도체기판에 형성되는 트랜치의 깊이를 별도의 절연막을 이용하여 식각장비의 영향으로부터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23 is a step of removing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22a formed on the active region. Specifically,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22a defining the active region is removed by wet etching in the final product of FIG. After the drying process,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0a is completely separated into the active region and the field region. The field region is filled with an element isolation insulating film, which is the fourth insulating film pattern 32a. As can be seen from FIG. 23, a step difference is hardly formed between the active region and the field region. Therefore, the following thin film process will not cause problems due to at least the step difference. This is because the depth of the trench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can be excluded from the influence of the etching equipment by using a separate insulating film.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은 타임식각대신 EDP방법으로 반도체기판에 트랜치를 형성한다. EDP를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트랜치 형성공정에서 식각에 의해 활성영역이 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각마스크를 사용하는데, 상기 식각마스크를 종래의 식각마스크처럼 산화막과 질화막으로 구성되는 복층절연막에 트랜치가 형성되는 반도체기판과 유사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층을 더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ment isolation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rench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by the EDP method instead of the time etching. As an etching mask used to perform the EDP, an etching mask is used to prevent the active region from being etched by etching in the trench formation process. The etch mask is formed by a trench in a multilayer insulating film composed of an oxide film and a nitride film, A material layer having an etching rate similar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o be formed is further used.

따라서 식각장비의 상태 변화에 의해 식각율이 달라지더라도 트랜치의 깊이를 매 식각공정에서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어지는 절연막의 평탄화 공정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트랜치를 채우는 소자분리 절연막의 높이를 트랜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후막 공정까지 결과물 표면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etching rate is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state of the etching equipment, the depth of the trench can be uniformly formed in each etching process, so that the subsequent planarization process of the insulating film can be stably performed.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element isolation insulating film filling the trench can be made equal to the height of the trench, and the flatness of the resultant surface can be maintained until the subsequent thick film proces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실시가능함은 명백하다.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many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반도체기판의 한정된 영역의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된 식각종말점 검출층(이하, EPD층이라 한다)과 상기 EPD층 상에 형성된 상기 반도체기판과 식각율이 유사한 물질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A method for isolating elements in a semiconducto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n etch endpoint detection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PD layer)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trench formed on the EPD layer Wherein a material film having an etch rate similar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formed as an etch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D층은 복층으로서 제1 및 제2 절연막으로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The device isol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PD layer is sequentially formed of a first insulating film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as a multi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은 각각 질화막(SiN) 및 고온 열 산화막(HTO)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films are formed of a nitride film (SiN) and a high-temperature thermal oxide film (HTO),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의 두께는 상기 트랜치의 깊이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The device isol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film is formed to be similar to the depth of the tren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의 두께는 상기 트랜치 깊이의 80%∼100%정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layer is about 80% to about 100% of the depth of the tren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은 상기 트랜치의 형성과정에서 함께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terial film is etched together with the trenches during the formation of the trench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이 상기 트랜치를 형성한 후 남아 있을 경우는 과도식각을 실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The device isol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aterial film remains after forming the trench, excessive etching is performed to remove the material fil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이 상기 트랜치를 형성한 후 남아 있을 경우는 트랜치내벽에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치가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기 트랜치를 채우는 제4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절연막 전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thermal oxide film on the inner wall of the trench when the material film remains after forming the trench; Forming a fourth insulating film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n which the trench is formed, the fourth insulating film filling the trench; And planariz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fourth insulating film.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막은 제3 절연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material film is formed of a third insulating fil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막은 도핑되지 않은 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hird insulating film is formed of an undoped silicon film.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It is disclosed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pplication.
KR1019960029876A 1996-07-23 1996-07-23 Method for isola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190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876A KR100190067B1 (en) 1996-07-23 1996-07-23 Method for isolating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876A KR100190067B1 (en) 1996-07-23 1996-07-23 Method for isolating a semiconduc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254A true KR980012254A (en) 1998-04-30
KR100190067B1 KR100190067B1 (en) 1999-06-01

Family

ID=1946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876A KR100190067B1 (en) 1996-07-23 1996-07-23 Method for isolating a semiconduc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06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0067B1 (en)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862A (en) Core array and periphery isolation technique
KR100213196B1 (en) Trench device separation
KR0155835B1 (en) Method for forming align key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JPH0526337B2 (en)
KR100360739B1 (en) Dram capacitor strap
KR100214917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96321A (en) Method of forming self-aligned contact pad us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KR100273615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5930585A (en) Collar etch method to improve polysilicon strap integrity in DRAM chips
US6232646B1 (en) Shallow trench isolation filled with thermal oxide
US6579801B1 (en) Method for enhancing shallow trench top corner rounding using endpoint control of nitride layer etch process with appropriate etch front
US6660599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ench isolation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928961A (en) Dishing inhibited shallow trench isolation
KR100299379B1 (en) Method for forming metal wiring in semiconductor device
WO1993010559A1 (en) Process for fabricating insulation-filled deep trenches in semiconductor substrates
KR015126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KR100190067B1 (en) Method for isola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219521B1 (en) Trench isolation method
KR100559538B1 (en) Method for forming test pattern of device isolation layer
KR10079270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KR100223266B1 (en) Method of forming an element isolation reg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JP200304595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190065B1 (en) Trench isolation method
JP2003163262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245090B1 (en) Method of forming an element isolation film in a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