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1081A -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1081A
KR980011081A KR1019960028321A KR19960028321A KR980011081A KR 980011081 A KR980011081 A KR 980011081A KR 1019960028321 A KR1019960028321 A KR 1019960028321A KR 19960028321 A KR19960028321 A KR 19960028321A KR 980011081 A KR980011081 A KR 980011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reproducing
reproduction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Lg 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Lg 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2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1081A/ko
Publication of KR98001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081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에 기록하고, 기록한 디스크의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 신호의 품질로부터 광디스크 및 기록재생기의 기록특성을 검출하며, 재생전용 디스크의 재생특성과의 각각의 특성의 차를 검출하여, 특성차로 기록신호처리하여 기록하여, 재생시의 특성이 재생전용 디스크와 같게 하여 기록된 디스크의 신호가 규격에 맞게 하며, 다른 재생기 또는 기록재생기에서 기록한 정보를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하여 재생기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제1도는 종래의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의 기능 블록도.
제2도(a)(b)는 제로크로싱기(레벨 슬라이서)의 기능도.
제3도는 기록디스크의 종류에 따른 기록신호의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기능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어 원리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제7도(a)(b)는 광디스크 위의 3빔의 배열도.
제8도는 다중빔 기록재생기의 기능 블록도.
제9도(a)는 본 발명의 디스크 회전 제어 신호 검출기의 실시도, (b)는 본 발명의 디스크 회전 제어 신호 검출기의 신호.
제10도는 다중빔 기록재생기의 제어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다중빔 기록재생의 실시 개념도.
제12도는 다중빔 기록재생 흐름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1도의 기록지터검출기.
제14도는 제13도의 지터검출기의 신호 파형도.
제15도는 제11도의 기록제어신호기의 실시예의 도면.
제16도는 제11도의 기준신호 제어기의 실시예의 도면.
제17도는 제11도의 기준신호 제어기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18도는 제11도의 에지 시프트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도면.
제19도는 제11도의 실시예의 각부 신호 파형도.
제20도는 제11도의 에지 시프트의 구체적인 제2실시예의 도면.
제21도는 제11도의 에지 시프트의 구체적인 제 3실시예의 도면.
제22도는 제11도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23도는 제11도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24도는 제23도의 후신호 유형 검출기의 상세도.
제25도는 제23도의 후신호 제어 신호 검출기 실시예.
본 발명은 기록신호처리에 의하여 기록 Jitter를 적게 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하면서 재생할 수 있게 한 다중빔 기록재생기에 의하여, 디스크에 기록하면서 동시에 재생한 신호로부터 기록재생특성을 검출하여, 기준 광디스크의 재성특성과의 차를 얻어 기록 Jitter를 검출하여 기록하는 광픽업과 디스크의 기록특성을 검출하며, 검출한 기록재생기의 기록특성을 기록신호처리부에 귀환하여 기록신호처리를 제어하며, 디스크에 기록되는 마크신호를 규격표준에 맞게 하여 다른 광디스크 재생기에서의 재생 호환성을 향상하며, 기록, 재생시의 전후신호간의 간섭에 의한 지터를 개선하는 것에 의하여 재생성능을 향상하여 광디스크의 정보데이터의 기록밀도를 높이고, 기록재생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기록 재생기는 기록신호처리부와 재생신호처리부를 갖고 있으며, 기록신호처리는 재생신호처리의 역으로,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의 기능을 블록도로 보이면 제1도와 같다.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할 때에는 일반의 재생전용의 광디스크의 재생기와 차이가 없다.
또한 포커스서보, 트랙킹서보 및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핀들 서보는 기록시와 재생시에 큰 차이가 없으며, 광픽업으로 신호트랙의 중심에 레이저광을 집광하여 고주파신호RF를 재생하며, 재생한 고주파재생신호RF는 등화기를 거치어서 광픽업에 의한 재생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며, 왜곡을 보상한 등화된 고주파재생신호RFe는 제로크로싱기(레벨슬라이서;)에 입력하며, 제로크로싱기에서 구형파로 하여 찬넬비트신호열을 검출하고, 검출된 찬넬비트신호열로부터 찬넬비트클럭을 재생하며, 클럭과 찬넬비트신호열로부터 싱크신호를 검출하며, 섹터의 ID(물리적인 어드레스) 등 섹터관련신호를 분리검출하는 디멀티풀렉싱을 한다. 싱크신호와 섹터관련신호를 분리한 기록된 정보신호는 디스크에 기록재생하기에 적합하게 변조되어 있으므로 복조하여 변조된 신호를 검출하며, 버스트에러를 분산에러로 하기 위하여 인터리브가 되어 있는 신호열은 디인터리브하여 원신호열로 정열하며,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여 기록한 정보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픽업으로 재생한 고주파재생신호는 제로크로싱하여 찬넬비트를 검출하는바, 지터가 발생하면 재생한 찬넬비트열에 오류가 발생하며, CD에서는 10-5 이하로 유지되고 DVD에서는 10-3 이하로 비트에러율이 유지 되어야 한다. 기록재생기의 재생신호처리부는 기록 가능 광디스크 뿐만 아니라 재생전용 광디스크도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제로크로싱기를 제2도에 보이고 있다. 등화한 고주파신호RFe를 입력하여 기준전압(기준신호, 기준레벨)V∽f과 비교기로 비교하여 기준레벨V∽f 보다 높으면 "1"의 상태를, 낮으면 "0"의 상태를 출력하여 구형파를 만들며, 버퍼를 거쳐 찬넬비트신호열CHBr을 얻는다. 또한 검출한 찬넬비트신호의 구형파를 적분하여 기준전압(기준신호, 기준레벨)V∽f을 발생한다. CD 와 DVD에서는 찬넬부호화를 할 때에 "0"상태와 "1"상태의 비율을 같게 하고 있으므로, 재생한 구형파의 "0"와 "1"의 상태의 비율이 같게 하여 피트(마크)부와 피트(마크)간의 랜드부의 비율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디스크의 기록재생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트(마크)부와 피트(마크)간의 랜드부의 비가 다르게 되어 생기는 재생신호의 아시메트리(Asymetry)가 있어 이를 보정한다. 즉 제로크로싱한 구형파의 "1"의 상태와 "0"의 상태의 비가 똑같게 기준전압(레벨)Vref을 제어하므로서 더욱 정확한 재생이 가능하다.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CHBr은 찬넬비트 재생클럭발생기(PLL)에 보내어 찬넬비트신호 주기의 클럭신호로서 찬넬비트신호열의 상태전환의 엣지(Edge)에 위상을 맞춘 찬넬비트(재생)클럭을 발생한다.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CHBr에서 검출한 찬넬비트클럭 CLKr은 찬넬비트신호열에서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로 상태전환하는 시간에 맞추어 재생한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클럭신호로서, 기준신호(기록시의 찬넬비트클럭에 상당하며,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의 상태전환점에 위상을 맞추게 하는 PLL회로에 의하여 지터의 평균치가 영이 되게 한 클럭신호)에 대하여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의 시간의 앞뒤로 흔들림 즉 시간 지터가 작아야 한다.
또한 반도체 제조기술의 발달과 디지털신호처리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상기의 제2도(a)의 신호 처리를 디지탈화 한다면 제2도(b)와 같이 할 수 있다.
즉 광픽업에서 재생한 고주파재생신호(RF)는 A/D변환기에 의하여 디지탈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신호로 변환한 고주파신호DRF는 디지탈의 등화기에 의하여 등화하며, 등화된 고주파신호 DRFe는 디지탈레벨비교기에 의하며, 디지탈의 기준레벨신호DVref의 크기보다 크면 "1"의 신호를 작으면 "0"의 신호로 한 구형파의 찬넬비트신호열CHBr를 출력한다. 기준레벨신호DVref는 앞에서 설명한 제2도(a)의 아날로그 신호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레벨비교기의 출력의 구형파 찬넬비트신호열CHBr이 "1"(high)의 상태에 대해서는 1의 디지탈 신호값을 "0"(low)상태에 대해서는 -1의 디지탈 신호값을 주어 디지탈 적분기에 의하여 기준레벨신호DVref를 생성한다. 또한 레벨비교기의 구형파 출력신호CHBr는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하여 광변조를 하던 전기신호와 같으며, 찬넬비트의 주기의 정수배의 시간간격으로 상태전환("0"의 상태에서 "1"의 상태 또는 "1"의 상태에서 "0"의 상태로)을 하며, 디지탈 재생클럭발생기(DCO)에 의하여 찬넬비트신호주기의 클럭신호로서 찬넬비트신호열의 상태전환 엣지와 위상이 맞는 신호를 발생한다.
반면 기록시에는 기록하고자 하는 정보데이터를 순차로 배열한 신호로하여, 오류검출부호를 부가하며, 버스트오류를 분산오류로 하기 위하여 인터리브하며, 디스크에 기록하여 재생하기 적합한 신호파형으로 부호화하여 찬넬비트열을 만든다.(CD계열에서는 EFM변조방실, DVD계역에서는 EFM+로 변조한다.)
이 찬넬비트열에 디스크의 섹터ID신호와 싱크신호를 부가하는 등의 멀티플랙싱하여 디스크에 기록하기 적합한 찬넬비트신호열을 만든다.(기록가능 디스크에서는 섹터화하여 관련정보와 어드레스 등은 프리포맷되어 있을 수가 있어 싱크 및 섹터관련신호는 비우고 디스크의 프리포맷된 부위에 위치하게 한다.)
이 찬넬비트신호열은 레이저광의 세기를 제어하여 (온/오프(on/off)또는 광의 강약)기록광향을 제어한다. 또한 기록신호는 디스크의 특성에 따라서 기록되는 마크가 원하는 바와 다르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한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기록신호 파형등화기). 광픽업은 광량의 변화로 변조한 광빔을 집광하여 디스크의 신호트랙 위에 위치시키며, 디스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기록하는 디스크의 신호트랙에서는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은 온도가 상승하며, 레이저광의 세기변화에 의하여 신호트랙의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기록막의 물리적인 변수가 변하게 하고 있다. CD-R등과 같은 1회 기록용 디스크는 광에 의하여 착색이 되어 광을 흡수하게 하여 반사광량의 변화로 기록하며, MO디스크는 박막의 자구의 자기방향을 회전시키어 기록하며, 상변환 디스크는 고체 박막의 상을 변화시키어 반사율의 변화룰 주어 기록하고 있다.
CD-R디스크는 재생전용의 CD와 호환성이 있게 규격화 되어 있어, 기록한 디스크의 재생특성이 재생전용디스크의 재생특성과 같게 하여 재생전용의 재생기에서도 재생이 잘되는 호환성을 유지하여야 힌다. 또한 CD-E의 광디스크는 CD-R 또는 재생전용의 CD와는 반사율의 차가 있으나 그외는 호환성이 있게 규격화 하고 있다. 즉 재생기에서 극히 일부분의 고려만(광량의 감소로인한 재생신호의 이득이 작아지는 바, 이를 일정 이득 이상으로 보상이 필요)한다면 CD계열의 디스크는 모두 호환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록재생용 광디스크는 기록재생기에 의하여 기록하고 재생기에 의하여 재생함으로 호환성이 많이 떨어지며, 특히 열에 의하여 물리적인 변화를 일으키어 신호를 기록하는 방식의 상변환 디스크(CD-E, DVD-RAM등의 디스크)는 더욱 심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기록하는 집광한 광빔은 유한한 크기를 갖으며(광파장보다 크며 집광하는 대물렌즈의 개구수에 반비례), 열전도에 의하여 기록한 마크신호의 시작부와 끝나는 부위 즉 Edge부에서 길어진다. 또한 기록하기 위한 집광한 광범은 사이드로브가 있어, 이와 같은 광범으로 기록할 경우, 트랙의 전후간의 간섭에 의하여 정확한 기록이 되지 않는다. 즉 인접한 마크신호를 기록하는 광빔에 의한 신호간의 간섭이 발생한다. 또한 디스크의 감도 등 광디스크의 물리적인 특성, 기록광의 광량의 변화 및 기록시의 주변온도등 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기록재생특성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기록하는 광픽업의 특성과 디스크의 특성에 따라서 기록한 신호의 재생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간의 호환성 및 기록재생기간의 호환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디스크의 규격, 기록재생기의 기록특성, 재생성능 규격을 설정하고 있다. 기록밀도를 높이고 재생전용의 CD, DVD와의 신호처리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마크에지방식을 채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기록마크의 시작위치와 끝나는 위치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재생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마한 외부 요인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어, 기록재생기, 디스크에 의한 미미한 성능의 변화에도 호환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기록가능 디스크에는 CD-R, DVD-R등과 같은 1회기록가능 디스크가 있으며, CD-E, DVD-RAM과 같은 반복기록가능 디스크가 있으며, 디스크의 기록특성이 다르다. 그러나 기록재생기는 각각의 디스크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하며, 피트로 기록된 재생전용 디스크와 어떤 종류의 기록가능 디스크도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재생전용의 디스크 재생기가 더 보편적이며 앞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기록재생기로 기록한 기록가능 디스크를 재생전용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전용 재생기에서 재생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기록재생기의 기록특성은 기록된 디스크의 재생특성이 재생전용 디스크의 재생특성을 만족할수록 좋다. 이에 각각의 디스크의 기록방법도 달라지고 있다. 즉, 제1도의 기록신호 파형등화기에서 제3도에서와 같이 1회 기록가능 디스크의 CD-R디스크의 기록파형은 (a)와 같으며 재생전용 디스크의 피트에 대응한 (b)에 대하여 상변환 디스크의 CD-E는 (c)와 같은 파형으로 기록하고 있다. 즉 제1도의 기록신호 파형등화기에 의하여 기록하는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서 제3도와 같은 파형을 만든다. 즉 기록하는 마크가 앞뒤로 Shift하여 길어지므로 줄인 기록신호로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간의 기록감도가 다르므로 기록초기에 시험적으로 기록하고 이를 재생하여 재생신호의 품질을 보고 기록광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기록한 신호의 재생 품질을 보고 기록광의 광량을 가감하여 최적의 기록이 되게 하는 디스크의 감도의 차를 보정하는 정도의 제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앞뒤 신호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기록 찬넬비트열의 똑같은 Run-Length의 Pattern에 대하여도앞뒤의 신호에 의하여 달라진다. 제3도에서와 같이, Run-Length에 따른 신호파형 등화를 한다면 불완전하다.
또한 고정한 값으로 제어한다면 제조회사간의 제조방법에 따른 디스크의 특성의 차, 기록재생기간의 광픽업의 기록 재생성능의 차, 및 기록서의 주위환경에 따른 변화, 그리고 광픽업의 제어상태(디포커스량, 디스크와 픽업간의 틸트 등)에 의하여 기록특성이 달라짐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터는 보정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기록가능 광디스크 및 기록재생기의 기록특성의 차 및 기록 환경의 차에 따른 광디스크간 또는 기록재생기간의 기록특성의 차에 의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에 기록하고, 기록한 디스크의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의 품질로부터 광디스크 및 기록재생기의 기록특성을 검출하며, 재생전용 디스크의 재생특성과의 각각의 특성의 차를 검출하여, 특성차로 기록신호처리하여 기록하여, 재생시의 특성이 재생전용 디스크와 같게 하여 기록된 디스크의 신호가 규격에 맞게 하며, 다른 재생기 또는 기록재생기에서 기록한 정보를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하여 재생기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즉 제4도에서와 같이 픽업으로 재생한 고주파신호RF를 등화기에 의하여 등화하고 제로크로싱하며, 제로크로싱하여 얻은 찬넬비트신호를 디멀티프랙싱하고, 복호하며, 에러정정하여 재생정보를 얻는다. 특히 제로크로싱에서는 적절한 제로크로싱 준위를 검출할 수 있게 하며, 제로크로싱한 구형파의 찬넬비트신호열에 대하여 전후의 비트신호 Pattern에 따라서 발생한 지터의 크기를 검출하게 한다(Run-Length에 따른 Jitter를 검출한다).
반면에 기록부에서는 기록하고자 하는 정보데이터를 순차로 배열한 신호로 하여, 오류검출부호를 부가하며, 버스트오류를 분산오류로 하기 위하여 인터리브하며, 디스크에 기록하여 재생하기 좋은 신호파형으로 부호화하여(CD계열에서는 EFM변조방식. DVD계열에서는 EFM+로 변조한다.), 디스크의 섹터ID신호와 싱트신호를 부가하는 등의 멀티풀랙싱하여 디스크에 기록하기 적합한 찬넬비트신호열을 만든다. 이 찬넬비트신호열을 기록신호제어기에 입력하여 찬넬비트열의 전후의 비트열 Pattern을 검지하며(Run-Length를 검출), Pattern(Run-Length)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하여 찬넬비트열의 신호의 상태전환 엣지를 앞뒤로 쉬프트 제어하여 기록된 마크신호가 최적으로 되게 한다. 즉 기록하여 재생할 때의 지터검출기에서 지터를 검출하고, 지터에 따른 데이터는 기록부의 기록신호제어기에 귀환한다.
제5도에서와 같이 기록하고자 하는 찬넬비트열(가)가 있으며, 이로 레이저 광을 제어하여 기록한 마크신호(나)의 전후 쉬프트가 발생한 마크신호열에 대하여 재생한 찬넬비트열(다)가 있어 기록재생지터(기록지터+재생지터)가 발생하나, 이는 기록된 마크의 전후 쉬프트에 의한 기록 지터와 재생특성에 의한 지터가 합하여 있다. 광픽업의 재생특성에 의한 재생지터는 호환성을 위하여 제어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재생전용의 광디스크(규격표준)를 재생할 때의 지터특성을 검출하며, (다)의 기록재생 지터특성으로부터 재생 Jitter를 감한 것을 기록 지터특성으로 다룬다. 즉 기록재생지터로부터 재생지터를 감한 기록지터만큼을 역으로 제어한 기록신호(라)가 있어, 이에 의하여 기록된 마크신호(마)을 재생하여 기록지터가 없는(바)와 같은 재생신호를 얻을 수 있어, 재생전용의 광디스크에서 재생한 것과 같으며, 모든 디스크에 대하여 동일하게 한다. 비트신호열을 기록할 경우의 기록된 마크신호의 Edge가 전 후 Shift하는 기록지터는 전후신호의 간섭에 의한 영향으로 비트열이 Pattern에 따라서 다르며, 일정 비트의 Pattern에 대해서는 일정한 영향을 받아 기록 지터는 일정하다.
이에 일정 비트열 Pattern(Run-Length)을 추적하여 이때의 Edge의 Shift량을 검출하므로서 각각의 간섭량을 검출할 수 있다. 각각의 비트 Pattern(Run-Length)에 대하여 기록 지터를 검출하여 기록계이 간섭을 정의할 수 있어, 기록하는 신호에 대하여 Transition Edge를 Shift하여 보상할 수 있다.
즉 예측하는 Transition Edge에서 전후의 Transition Edge까지의 거리 (Run-Length)에 의하여 전후신호의 Pattern을 구분할 수 있으며, 전후 신호에 의한 간섭량이 작으므로 전후의 간섭신호간의 간섭은 대단히 작아서, 전후 간의 간섭을 독립적으로 다룰 수 있으며, 구분하여야 할 Pattern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록하는 방향성이 있으므로 마크에서 랜드 또는 랜드에서 마크로 Transition하는가를 구분하여야 한다. 즉 Transition Edge로부터 전 Transition Edge까지의 거리(Run-Length)는 3T, 4T........, 11T의 9가지와 high가 low인가에 의하여 구분하여야 하므로 18가지를 구분하며, 마찬가지로 후방향에 대해서도 18가지를 구분하여, 앞의 한 값과 후의 한 값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총 간섭량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간섭량은 모두 정의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리가 멀수록 간섭량은 작아지며 8T이상이 되면 간섭량의 변화는 없다.
따라서 앞 뒤 각각 12가지씩 24가지의 간섭량을 구분한다면 전후신호의 간섭은 24(전의 12가지, 후의 12가지)가지의 제어 값중의 두값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제6도에서와 같이 Random한 찬넬비트열(CD에서는 최소 3비트, 최대 11비트의 거리에서 Transition 즉 Run-Length가 3T에서 11T가 된다)을 기하여 재생함에, 재생한 찬넬비트열의 비트Pattern을 검출하며, 검출한 Pattern에 대하여 재생한 클럭과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제어신호를 검출하며, 각각의 비트열 Pattern에 대하여 검출하며, 찬넬비트신호를 검출하는 레벨스라이서의 기준전압을 제어하며, 재생찬넬비트열의 각각의 비트열 Pattern에 대한 위상차가 최소가 되게 한다. 즉 레벨스라이서의 기준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기록지터에 해당하는 값이 된다. 즉 이를 기록제어신호로 하여 기록신호의 위상을 역으로 제어 한다면 기록 지터가 보상되어 기록 지터가 0이 되게 할 수 있다. 즉 기록비트신호열의 비트Pattern을 검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값을 선택하여 Transition Edge를 전후로 쉬프트한다.
그러나 실제의 기록재생기는 기록하면서 재생할 수 없으며, Real-Time제어가 될 수 없다. 그리하여 기록하는 것과 재생하는 것이 동일 하지 않아, 기록하고, 빈시간(휴지의 시간)에 재생하여 찬넬비트열의 Pattern에 따른 기록재생 지터의 제어값을 얻으며, 제어신호를 기록제어계에 보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록재생기를 제어하는 u-com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는 계를 구성한다. 즉 제6도(a)와 같이 할 수 있다.
기록찬넬비트열CHBw에 대하여 Pattern검출기에 의하여 Transition Edge의 전후의 Run-Length를 검출한다. 전의 Run-Length Bj, 후 Run-Length Aj가 있어 CD의 경우는 Aj, Bj는 3이상 11이하의 값이며, 피트(마크)신호에 대하여 랜드의 신호구분을 하기 위하여 랜드부에 대하여 -Aj, - Bj로 표시하면 Pattern의 구분자 j는 피트에서 랜드로 Transition하면(Bj, -Aj)형이 되며, 랜드에서 피트(마크)로 Transition하면 (-Bj, Aj)로 표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신호 Pattern j에 대하여 제어신호 CP(j)를 선택하여 출력하여 Edge Shifter에 보내며 Edge Shifter는 CP(j)에 해당하는 제어를 하여 기록찬넬비트열이 Transition Edge를 전후로 제어한 CHBw'를 출력하며 광변조기를 제어한다.
반면 재생시에는 재생고주파신호RF를 비교기로 V∽f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재생찬넬비트열CHBr를 검출한다. 재생찬넬비트열에 대하여 재생비트열 Pattern검출기는 전후신호의 Pattern i를 검출하며, (Bi, -Ai) 또는 (-Bi, Ai)로 표현할 수 있다. 전후신호 Pattern i에 의하여 선택한 제어신호발생기의 제어값 D(i)를 출력하여 아시메트리를 제어하기 위한 Vasy와 합하여 기준 슬라이스신호가 된다. 그리고 재생찬넬비트열로부터 검출한 재생클럭신호와 재생찬넬비트클럭의 Transition Edge의 위상을 비교하여 빠르면 1, 느리면 -1의 값을 선택된 제어신호 발생기의 제어값 D(i)에 더한다.
또한 기록재생기의 System제어 u-com은 제어신호 발생기의 제어값 D(i)를 읽어 들일 수 있으며, 이 값을 기록신호제어기에 보내어 CP(i)를 바꿀 수 있게 한다. 이상의 H/W를 제6도(b)의 흐름도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즉 System이 가동하면 u-com은 기록제어값의 SP(i); i=(3, -3)...(11, -11)...(-11, 11)를 System제어기에 설정하여 준 초기값으로하여 기억시킨다. 기록 모드이면 기록제어기에 기록제어값을 보내어 제어신호 CP(i) = SP(i) 되게한다. 이에 의하여 정보 Data(초기에는 테스트신호)를 기록한 후, 기록상 신호를 재생한다. 그리하여 제어신호 발생기에서는 차기록재생신호 D(i)를 검출한다. 즉 CP(i) = SP(i)의 기록제어신호에 의하여 기록하여 재생 지터가 D(i) 이므로 기록재생지터신호는 SP(i)+D(i)가 되며, 표준디스크의 재생지터 P(i)라 한다면 기록 지터 SP(i) = SP(i)+D(i)-P(i)이 된다. 이같이 검출한
기록Jitter는 다음의 기록시에 이용한다.
이상과 같이 한다면 많은 개선이 될 수 있으나, 대단히 큰 정보를 일시에 고속으로 기록할 경우는 1회 검출한 기록 재생특성으로 광범위에 걸치어 기록하므로 부정확할 수 있으며, 기록재생기의 온도 상승등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는 것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하면서 기록하며, 기록한 신호를 재생할 수 있게 하여, 기록한 신호를 재생하여 기록재생특성을 실시간에 검출하여 기록제어부에 귀환 시킬 수 있으면 좋겠다.
제7도(a)(b)에서와 같이 다중광빔을 두어 기록하는 디스크의 신호트랙에 일열로 배열하여 기록하면서 재생할 수 있게하여 기록광에 대하여 일정시간 뒤에 재생하여 재생한 신호의 지터특성을 검출하고 이를 기록부에 귀환하여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광 검출기는 제7도(c)와 같다. 중심의 LD1의 레이저는 집광하여 디스크 위에 LB1의 광빔이 되며, LD2, LD3의 레이저는 LB2, LB3의 빔을 만들며 각각은 거리L씩 떨어져서 디스크 트랙에 일직선으로 배열한다. 반사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는 제7도(c)와 같아서 각각의 소자에서 검출한다. 기록재생기의 전체 기능도를 제8도에 보이고 있다.
제8도에서와 같이 디스크를 회전하게 하는 스핀들 모터에 의하는 틴테이블에 기록하는 디스크를 놓으며,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의 기능블록도를 제8도에 보이고 있다. 모터로 구동할 수 있는 틴테이블에는 본 발명의 제7도에서와 같은 산과 골의 구조를 한 트랙이 프리포맷되어 있는 광디스크가 놓이며, 디스크의 기록재생속도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위의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헤드는 제8도에서의 광픽업(2)으로서, 3개의 레이저 다아오드(LD1, LD2, LD3), 빔스프리터(BS), 포커스구동기(FA)와 트랙킹구동기(TA)에 의하여 디스크의 신호트랙위에 집광하는 대물렌즈(OL), 비점수차법에 의한 포커스제어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렌즈(SL), 반사하여 들어온 광을 검출하기 위한 3개의 광검출기(PD1, PD2, PD3)로 이루어진다. 3개의 레이저 다이오드 LD1, LD2, LD3에서 발광한 광은 각각 빔스프리터(BS)에서 반사하여 대물렌즈(OL)에 의하여 집광되며, 집광된 광빔은 제7도(a)에서와 같이 광디스크의 트랙위에 LB1, LB2, LB3의 각각의 광빔을 앞뒤로 일정간격L로 떨어져서 놓이며,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서 반사한 광은 다시 대물렌즈(OL)를 거쳐 빔스프리터(BS)를 통과하여 센서렌즈(SL)에 의하여 집광하여 각각의 광은 3개의 광검출기(PD1, PD2, PD3)에 입사하며, 각각의 광검출기(PD1, PD2, PD3)는 입사한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로 바꾸어 준다. 집광하는 대물렌즈(OL)를 상하 즉 포커스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포커스구동기(FA)는 포커스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며, 대물렌즈(OL)오 디스크와의 거리를 일정히 유지하여 최적으로 집광하며, 대물렌즈(OL)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구동하는 트랙킹구동기(TA)는 트랙킹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며, 대물렌즈를 구동하여 집광된 광빔을 디스크 위의 신호트랙의 중심에 놓이게 한다. 광검출기(PD1, PD2, PD3)를 제7도(c)에 보여주고 있으며, PD1은 디스크의 트랙방향과 반경방향으로 분할하여 4분할하여 PD1A, PD1B, PD1C, PD1D소자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광검출기소자에서 얻은 전기신호를 a, b, c, d라 한다면 a, b, c, d를 재생신호처리기에 입력하여 (a+c)-(b+d)하여 포커스제어신호 Fe를 얻으며, (a+d)-(b+c)하여 트랙킹제어신호 Te를 얻으며, (a+b+c+d)하여 고주파 재생신호RF1를 얻는다. 광검출기PD2, PD3에서는 디스크의 트랙위의 광빔LB2. LB3에 의하여 검출한 각각의 고주파 재생신호 RF2, RF3를 얻는다. 재생신호처리기에서 얻은 트랙킹제어신호Te는 트랙킹제어기에 입력하여 신호처리를 거쳐 픽업에 입력하여 트랙킹구동기(TA)를 움직이어 트랙킹제어를 하며, 포커스제어신호Fe는 포커스제어기에 입력하여 신호처리를 거쳐 픽업모듈에 입력하여 포커스구동기(FA)를 움직이어 포커스제어를 한다.
기록된 신호를 재생할 경우, 재생신호선택기(SW1)에서 RF1신호를 선택하며, 선택된 RF신호를 A/D변환 및 등화하는 전처리기를 거쳐, 찬넬비트신호처리기(제로크로싱 및 제어신호 검출)에 입력하여 재생찬넬비트신호CHBr12를 재생하며, 재생찬넬비트 선택기(SW2)에 의하여 선택하며, 선택한CHBr신호를 DeMUX에 보내어 싱크신호SYr과 섹터 Address의 IDr를 검출한다. 싱크신호 SYr는 기준신호발생기에서 얻은 기준싱크신호SYref와 위상비교기에서 위상을 비교하여 모터제어신호 Mr를 얻는다.
모터제어신호선택기(SW3)는 이를 선택하여 모터제어신호 Me를 얻으며 이를 모터제어기에 입력하여 신호처리를 거쳐 모터를 구동하여 디스크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재생한 찬넬비트신호CHBr은 복조기(Demodulation)에 보내어 복조하며 디지탈신호처리기에 보내어 에러정정을 하여 재생정보데이터를 얻는다.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LD1, LD2, LD3를 구동하는 광안정변조기는 읽기 동작으로하여 LD1은 일정광이 되게 한다. 반면 LD2, LD3는 제어하여 광출력이 영이 되게 한다.
반면에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는 광안정변조기는 쓰기동작으로하여 레이저다이오드LD1의 광량을 기록세기로 하며, LD2, LD3는 읽기광으로하며, 입력된 기록 정보 데이터를 기록정보디지탈신호처리기에 보내어 적합한 포맷으로 가공하고 오부호검출코드를 부가하며, 변조기(Modulation)에 보내어 디스크에 기록재생하기에 적합한 찬넬비트신호로 부호화하여 기록용 찬넬비트신호CHBw를 생성하며, 찬넬비트가공전달기 (Mux포함)에서 싱크신호를 부가하고 어드레스신호를 부가하여, 기준신호발생기의 기준클럭신호CLKref에 따라서 전송하는 찬넬비트신호열CHBw를 만들며, 이를 기록신호제어기에 의하여 기록하기에 적합한 신호를 만들며, 광안정변조기에 일정속도로 보내어져 LD1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디스크의 트랙에 신호피트를 기록한다. 반면 LD2, LD3는 재생광으로 되게 한다. 광검출기PD1에서 얻은 a, b, c, d, 신호는 재생 신호처리기를 거쳐 트랙킹제어신호Te와 포커스제어신호Fe를 검출하여 광픽업의 트랙킹구동기(TA)와 포커스구동기 (FA)를 제어한다. 재생신호선택기는 RF2를 선택하고 선택한 RF신호는 찬넬비트신호재생기에 입력하여 재생 찬넬비트신호 CHBr12를 검출하며 싱크신호 SYr, 클럭CLKr을 검출한다.
LD3는 읽기광량으로 하며, PD3에서 검출된 고주파 재생신호 RF3는 고주파 신호검출기에 입력하여 재생신호가 있는가를 검출하여 기록재생기 시스템 제어 마이콤에 전달하며, 고주된 재생신호가 있으면 이미 신호가 기록된 디스크이며, 재기록 (Over-write)하게 되는 것이다.
RF3의 고주파재생신호가 있을 경우는 RF3신호는 찬넬비트신호재생기에 입력하여 재생 찬넬비트신호CHBr3를 검출하며 선택기(SW2)는 이를 선택하여 CHBr신호로 하며, 싱크신호 SYr, 클럭CLKr을 검출한다. 재생된 싱크신호 SYr는 기준신호발생기에서 얻은 싱크주기의 표준싱크신호SYref와 함께 재생모터제어신호선택기(위상비교기)에 보내어 디스크 회전속도 제어신호 Mr을 얻으며 모터제어신호선택기(SW3)는 이를 선택하여 모터제어신호 Me를 얻으며 이를 모터제어기에 입력하여 신호처리를 거쳐 모터를 구동하여 디스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하여 이미 기록된 밀도로 싱크신호의 위치를 맞추어 재기록한다.
반면에 고주파신호검출기에서 RF3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초기기록시 즉 빈 디스크에 기록할 경우이며, 이때는 LB1빔으로 기록한 신호를 일정간격을 두고 LB2빔으로 읽은 신호RF2를 재생신호선택 (SW1)로 선택하여 RF를 얻으며, RF신호는 찬넬비트신호처리기에 입력하여 CHBR12를 얻으며, CHBr12신호를 기록모터제어신호검출기에 입력하여 기록신호의 CHBw호와의를 검출하여 모터제어신호 Mw를 얻으며, 모터제어신호선택기(SW3)는 이를 선택하여 모터를 제어하게 한다.
LB1 빔으로 기록하는 CHBw와, L의 거리가 떨어진 뒤에서 일정시간T 지연하여 LB2빔으로 읽어 얻은 고주파재생신호RF2를 처리하여 얻은 찬넬비트열신호CHBr은 일정시간T지연하여 재생된다. 그러나 디스크이 회전속도가 달라지면 지연시간도 달라진다.
그러므로 두신호간의 상관도를 검출하여 디스크의 회전속도의 정확도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9도(a)에서와 같이하여 검출할 수 있다. 기준속도 V에 대하여 지연시간 T가 있으며, T-α, T+α의 지연된 신호와의 상관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두상관도의 크기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게한다. 제9도(b)에 (a)의 검출된 신호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다)의 제어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다중빔광 기록재생기의 기본이 되는 동작을 생각하며, 본 발명에서의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의 기능제어를 제10도의 흐름도로 정리할 수 있다.
실제로 상변환 방식이 디스크와 같이 열에 의하여 기록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기록되는 것으로, 열확산에 의하여 전의 기록신호에 의한 제어된 디스크상의 신호트랙열이 후의 기록에 영향을 주는 것이 심각하여 기록마크에 있어서이 기록지터는 앞의 신호에 의한 영향이 주가 되고 뒤따르는 신호에 의한 영향은 적다. 즉 전의 신호에 의한 영향만을 고려하여 기록하면 개선을 할 수 있으며, 회로를 단순화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각 신호의 Pattern I에 대하여 전의 신호 Ai(CD의 경우 3이상 11이하의 값이 되며, 피트와 랜드의 구분을 하여 '3........11'로 구분할 수 있다)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11도에서와 같이, 신호재생부에 신호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제어신호검출기가 있으며, 신호기록부에는 제어할 수 있는 기록신호제어기를 두어, 기록하고 재생한 신호의 특성을 검출하여 제어변수를 검출하여 기록제어기에 귀환시키어 적합한 기록이 되게 한다. 즉 재생전용의 디스크를 재생할 때의 특성을 기준으로 하며 이것에서 벗어난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하면 재생전용디스크의 호환성이 될 수 있게한 기본규격에 맞게 된다.
그리하여 재생기간의 호환성이 유지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검출하는 특성파라미터로서 전체적인 슬라이스 레벨, 그리고 랜드면의 검출신호와 마크의 검출신호의 Run-Length에 따른 지터를 검출하면 된다. 제11도가 제6도(a)와 다른 점은 기록하면서 뒤따르는 광빔으로 읽을 수 있어 Real-Time기록재생이 가능하며, u-com에 의한 각각의 제어신호의 전송이 필요없다.
우선 기록된 디스크를 재생할 경우에는 재생하는 신호에 대하여 지터를 보상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하면 된다. 즉 제8도의 A/D변환 및 디지탈 등화를 하는 전처리기를 거친 디지탈 고주파재생신호DRFe를 DVref의 기준신호와 디지탈 비교기에 입력하여 신호DRFe가 크면 "1"(high)을 작으면"0"(low)인 구형과 신호의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 CHBr가 있으며, 재생클럭발생기 DCO에 의하여 찬넬비트의 주기의 클럭신호를 발생하여 CLKr의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이 클럭신호는 외부적으로는 CHBr로부터 동시하여 찬넬신호를 검출하게 하며 내부에서는 기준 쿨럭신호로 사용한다. 비교기의 기준레벨신호DVref은 찬넬비트열CHBr신호를 적분하여 아시메트리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신호 Vasy과, 제어신호DVb를 합한 CVr신호이다. 이때 재생신호 Pattern검출기는 Pattern i를 검출하여 제어신호검출기는 D(i)값을 출력한 DVb의 값이며, 위상비교기는 CLKr의 재생클럭신호와 CHBr의 재생찬넬비트열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며 빠르면 1, 느리면 -1의 값을 출력하여 제어신호검출기의 신호 D(i)에 더한다.
반면 기록시에는 재생신호의 슬라이스 레벨 제어신호선택기(SWc)는 CVwr를 선택하여 DVref로 하며 재생신호 Pattern검출기의 검출한 Pattern i에 대하여 P(i)가 DVref가 된다. 제어신호 기억기의 제어값 P(i)는 재생전용의 디스크의 재생특성의 값으로 기준이 되고 있으며, System제어기의 u-com에 설정하여 둔 값으로 u-com에 의하여 초기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기록신호제어부는 입력되는 기록찬넬비트열 CHBw에 대하여 기록신호 Pattern검출기에서 Pattern j를 검출하며 제어신호 CP(j)를 출력하여 CVw의 기록신호제어신호가 되고 Edge-Shifter를 제어한다. 반면 재생신호 Pattern에 해당하는 i에 대한 제어값 CP(i)에 위상자 검출기의 출력값 +-1을 더한다.
이상의 동작을 제12도의 제어흐름도로 정리하였다.
제11도의 재생신호의 지터 툭성검출기의 구체 실시를 제13도에 보이고 있으며, 기록재생지터특성검출부는 제8도의 A/D변환 및 디지탈 등화하는 전처리기를 거친 디지탈 고주파재생신호DRFe를 DVref의 기준신호와 디지탈 비교기에 입력하여 신호 DRFe가 크면 "1"(high)을 작으면 "0"(low)인 구형파 신호의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 CHBr가 있으며, 재생클럭발생기 DCO에 의하여 찬넬비트의 주기의 클럭신호를 발생하여 CLKr의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이 클럭신호는 외부적으로는 CHBr로부터 동기하여 찬넬신호를 검출하게 하며 내부에서는 기준 클럭신호로 사용한다. 비교기의 기준레벨신호DVref은 찬넬비트열 CHBr신호를 적분하여 아시메트리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신호 Vasy과, 제어신호DVb를 합한 신호이다. 제어신호 DVb는 제어신호원인 MSO, CMSi, CMSI′, ......, CMSn, CMSn′의 계수기 중의 하나의 값D으로 이를 선택하는 신호는 SO, Si, Si′ , ......, Sn, Sn′으로서 이는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CHBr를 CLKr의 클럭신호에 의한 쉬프트레지스턴SR(1비트클럭 지연), SR(0.5비트클럭)로 지연 시킨 각각의 신호를 Exclusive OR하여 재생한 찬넬비트신호열의 상태전환 엣지를 1클럭 지연하여 검출한 펄스신호로 계수기를 리셋하며, 계수기로 클럭 CLKr 신호를 계수하며, 계수기의 계수값신호를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딩하는바, 피트에서 랜드 또는 랜트에서 피트로 전환하는 것을 구분하기 위하여 디코더의 E의 입력신호를 필요하여 디코딩하여 얻는다. 이때의 디코더의 상태도를 표1에 표시하고 있다. CD에서는 i=3, n=11이며 DVD에서는 i=3, n=4이다.
제13도의 CMSi, CMSi', ......, CMSn, CM8Sn'의 각각의 계수기는 Up/Down계수기로서 계수기의 상태를 표6에 보이고 있다. 계수기의 Up/Down(계수기의 극성을 제어하는 신호로서, "1"이면 계수기의 출력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계수하며, "0"이면 감소하는 방향으로 계수한다.)을 제어하는 신호는 기준클럭의 위상보다 빠르면 위상이 늦어지게, 역으로 위상이 느리면 위상이 빨라지게 계수하게 하면 된다. 위상비교기는 D-풀립풀롭을 쓰며, 재생한 찬넬비트열신호CHBr와 이를 클럭CLKr로 구동하는 쉬프트레지스터S로 지연시킨 신호를 Exclusive OR하여 상태전환 에지를 검출하며, D-풀립풀롭클럭으로 하며, 입력값D를 클럭신호로 하여, 클럭에 비하여 찬넬비트열의 엣지가 빠르면"0", 늦으면 "1"의값을 출력하는 D-풀립풀롭의 출력 Q가 있다. 이는 각 계수기의 Up/Down제어신호로 한다 계수기의 계수클럭CLKr는 D-풀립풀롭의 클럭으로 쓴 신호를 반전한 신호를 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계수기의 계수 방향은 상태전환 방향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CMSi, ......, CMSn에 대하여 CMSi′, ........., CMSn′는 반전한 신호를 받아야 한다.
제13도의 각부의 신호파형을 제14도에 보이고 있다.
재생한 찬넬비트클럭CLKr을 (가)에 보이고 있으며, 재생고주파신호 DRFe를 (나)에 표시하고, 디지탈 비교기로 비교하는 기준신호DVref를 (다)로 표시하고 있어, (나)의 고주파신호의 레벨이 (다)의 레벨보다 크면 "1"(high)를 , 작으면"0"(low)를 출력하는 비교기의출력 CHBr을 (라)에 보이고 있다.
(라)를 입력으로 하고 구동클럭을 (가)의 재생클럭으로하여 상승하는 Edge에 의하여 쉬프트하는 쉬프트레지스터의 출력을 (마)에 보이고 있다. (라)와 (마)의 신호를 Exclusive OR연산하여 (바)의 신호를 얻어, (라)의 신호의 상태전환을 검출하고 있다. 또한 (마)의 신호를 (가)의 신호를 반전한 클럭으로 구동하는 쉬프트 레지스터(SR′)에 의하여 0.5CLKr지연한 (마′)신호가 있으며, (마)와 (마)′의 신호를 Exclusive OR연산하여 (바)′의 신호를 얻어, 이와 같이 검출한 (바)′의 신호는 계수기를 리셋하여 클럭CLKr의 상승 엣지를 계수하게 하면 계수기의 값은 증가 하는 값인 (사)와 같은 상태가 되며, 다음의 상태전환 점에서 리셋되어 0이 된다. 이를 디코더에 의하여 디코드하여 "1"의 상태인 신호는(아)에 표시하고 있다. 표시된 선택신호에 의하여 제어된 제어신호 DVb와 Vasy를 합하여 얻어진 기준신호가 (다)의 신호가 되게 된다. 또한 재생한 찬넬비트열CHBr의 상태전환을 검출한 펄스신호(바)를 D-풀립풀롭의 클럭신호CLK로 하고 D의 입력을 재생클럭신호CLKR로하여 출력(차)의 신호를 얻는다. 즉 재생한 클럭의 하강하는 에지에 대하여, 재생한 찬넬비트열의 상태전환엣지의 위상이 빠르면 "1"의 값을 느리면 "0"의 값을 내게된다. 이와 같은 (차)의 신호를 제어신호검출용의 계수기 CMSi, CMSI′, ......, CMSn, CMSn′의 계수방향 제어용의 신호로 쓰며, (바)의 신호를 반전한 (카)의 신호를 계수신호로하여 (아)의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계수기에 대하여 계수극성을 제어하는 up/down신호에 따라서 +1또는 -1을 계수하게 된다.
즉 재생하는 찬넬비트열의 상태전환하는 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전의 상태전환 점까지의 거리 Run- Length를 검출하여 비교31의 기준레벨을 선택할 수 있게하여 구형파를 만들고 있다.
이때 제로크로싱하는 기준 준위를 기록재생특성 검출기에서 검출하여 얻은 제어신호를 제어하며, 찬넬비트열의 전후의 Pattern의 유형에 맞추어 펄스의 Edge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 변환 에지를 제어한 구형파를 출력한다.
제11도의 기록신호제어 신호검출기(CP(j)) 검출)는 구체화한 예를 제15도에 보이고 있다. 기능적으로는 제13도와 같으나 입력 선택하는 신호와 출력 선택하는 신호가 달라 출력신호선택은 기록찬넬비트열CHBw와 기록신호 클럭신호 CLKw에 의하여 검출하는 기록신호 Pattern검출하는 계수기의 계수값 j에 의하여 선택되게 하고 있으며 입력선택기는 똑같아서 재생신호 Pattern신호 i에 의하여 제어되고 위상차검출기의 신호에 의하여 CP(i)가 제어되게 되어 있다.
제11도의 기준 디스크의 재생 특성에 해당하는 제어값을 두는 제어부(제어신호 기억기로서 기준 신호 P(i)를 가지고 제어하는 부분)의 구체 실시예를 제16도에 보이고 있다. 제16도의 RMSi, RMSiI′, ......., RMSn, RMSn′의 기억소자는 비트열 Pattern에 따른 제어값을 갖고 있는 기억소지로서, u-com에 의하여 System제어기에 설정한 일정의 값을 기억시킨 값이다.
반면에 제16도의 제어값은 기준디스크의 재생특성을 가지는 고정된 값P(i)로서 u-com에 의하여 기록할 필요 없이 제17도와 같이 각 기억소자에 P(i)를 기억시키어 놓은 기억소자로 할 수 있다.
제11도의 기록신호 Edge Shifter의 제1구체실시예를 제18도에 보이고 있으며, 찬넬코딩하고 싱크/ID신호 등을 멀티플렉싱한 신호의 기록찬넬비트신호열CHBw를 로우패스필터를 거치게하여 거친 신호는 기록재생기에서 재생한 고주파재생신호RFe의 특성과 같게 한다. 즉 광픽업에 의하여 재생함으로 인한 Low Pass Fiter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고주파신호RFw를 제로크로싱기로 제어하여 구형파를 만들며, 이는 재생특성에서 검출한 지터를 감안하여 엣지제어된 신호이며 이로서 광변조기에보내어 광변조하여 기록한다.
로우패스필터에 의하여 고주파RFw신호를 만들며, 이를 제로크로싱하여 구형파로 만들어 이 구형파로 레이저를 제어하게 한다.
제11도에서의 기록신호 Edge- Shifter를 달리 생각 할 수 있으며, 제19도에서와 같이 제어신호값에 따른 Edge Shifter의 지연시간을 제어하여 할 수 있다.
제20도는 제19도의 각 부의 신호파형을 보이고 있다.
제11도의 Edge- Shifter의 다른 실시예를 제21도와 같이 할 수 있다.
제11도에서의 기록신호의 제어신호검출기(CP(j) 검출하는 부분)과 재생신호 제어신호검출기(D(i)를 검출하는 부분)는 기능이 같아서 기록/재생에 따라서 달리하는 MUX를 두어 제22도와 같이 단순화 할 수 있다. 이때의 흐름도를 제22도(b)에 보이고 있다.
재생기에 대해서는 앞뒤의 신호에 의한 영향을 받아 재생기능에 대해서는 전후신호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생성능을 향상할 수 있어 제11도 또는 제22도를 제23도와 같이 함으로써 재생성능이 향상된다.
제23도의 후신호의 Pattern검출기를 제24도에 구체적으로 보이고, 제25도에 후신호 제어신호검출기를 보이고 있다.
제24도에서 제8도의 전처리기를 거친 디지탈 고주파재생신호DRFe를 찬넬비트신호의 주기의 n정수배의 nT시간 지연한 고주파재생신호DRFe를 얻으며, 반면 후의 제어신호는 제어신호원인 CME0, CMEi, CME, ′ ......, CMEn, CMEn'의 계수기의 하나의 값으로 이를 선택하는 신호는 E0, Ei, Ei, ′......, En, En'으로서 이는 제어신호Vasy의 기준레벨신호로 하고, 고주파재생신호DRFe보다 nT시간 뒤의 고주파재생신호DRFe*와 비교하여 얻은 찬넬비트신호CHBr'를 얻게된다, CHBr'의 신호는 CHBr신호와 같은 신호이나 nT시간의 앞에 있는 신호이다. 즉 제24도의 디코더의 쉬프트레지스터를 n개 통과한 신호는 CHBr신호의 상태와 같게 된다.
제24도의 CMEi, CMEi, ′......, CMEn, CMEn'의 각각의 계수기는 up/down 계수기로서 계수기의 상태를 표6에 보이고 있다. 계수기의 up/down(계수기의 극성을 제어하는 신호로서, "1"이면 계수기의 출력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계수하며, "0"이면 감소하는 방향으로 계수한다.)을 제어하는 신호는 기준클럭의 위상보다 빠르면 위상이 늦어지게, 역으로 위상이 느리면 위상이 빨라지게 계수하게 하면 된다. 위상비교기는 D-풀립풀롭을 쓰며, 재생한 찬넬비트열신호 CHBr와 이를 클럭CLKr로 구동하는 쉬프트레지스터SR로 지연시킨 신호를 Exclusive OR하여 상태전환 엣지를 검출하며, D-풀립풀롭클럭으로 하며, 입력한 D를 클럭신호로 하여, 클럭에 비하여 찬넬비트열의 엣지가 빠르면 "0", 늦으면 "1"값을 출력하는 D-풀립풀롭의 출력Q가 있다. 이는 각 계수기의 up/down제어 신호로 한다. 계수기의 계수 클럭CL는 D-풀립풀롭의 클럭으로 쓴 신호를 반전한 신호를 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계수기의 계수 방향은 상태전환 방향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CMEi, .........., CMEn에 대하여 CMEi, ′........., CMEn'는 반전한 신호를 받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기록재생기의 기록지터를 실시간으로 보상하여 기록하여 기록 지터가 없는 기록 마크의 기록을 할 수 있으며 디스크 재생기간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록재생기의 기록특성을 향상하여 광디스크의 기록밀도를 높이며 기록용량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광빔에 의하여 기록하면서 재생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에 있어서, 다중 빔에 의하여 기록하면서 동시에 재생한 신호로부터 기록재생특성을 검출하여 기준 광디스크의 특성과 비교하여 기록특성을 검출하고 상기 기록특성을 기록신호처리부에 귀환시켜 기록신호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기.
  2. 다수의 광빔에 의하여 기록하면서 재생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에 있어서, 기록하면서 재생하는 재생위치를 기준으로 한 기록재생 전, 후 신호간의 간섭량을 검출하는 간섭량 검출부와, 상기 간섭량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간섭량으로부터 기록 재생특성을 검출하는 기록재생특성 검출부와, 상기 기록재생특성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기록 재생 특성을 기록재생신호에 귀환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321A 1996-07-13 1996-07-13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KR980011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321A KR980011081A (ko) 1996-07-13 1996-07-13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321A KR980011081A (ko) 1996-07-13 1996-07-13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081A true KR980011081A (ko) 1998-04-30

Family

ID=6624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321A KR980011081A (ko) 1996-07-13 1996-07-13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10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8656B1 (en) Optical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medium
US7869326B2 (en) Optical disc drive, optical storage medium, optical storage medium inspection apparatus, and optical storage medium inspection method
JP4045269B2 (ja) 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707403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워블 정보 생성 방법
US20160155468A1 (en) Optical medium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optical medium
JP4456928B2 (ja) 光ディスク装置
Satoh et al. Key technology for high density rewritable DVD (DVD-RAM)
EP0784322B1 (e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JP200209288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980011081A (ko)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기
US7330422B2 (en) Optical storage medium having test pattern for measuring a modulation degree during recording process
KR100253179B1 (ko) 광디스크 기록재생기
KR100201407B1 (ko) 광디스크 기록재생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4178267B2 (ja) 相変化型光ディスク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相変化型光ディスク装置
CN100530396C (zh) 信息记录介质和信息重放装置
EP1642270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d/or from the same
JP2800701B2 (ja) 光学的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
JP365771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25024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43564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原盤露光装置
JP2008257802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H07121875A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Chen et al. System design for double-layer Blu-ray Disc recorders
JPH0863751A (ja) 光デイスク、光デイ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イスク再生方法
KR19990084781A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