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387A -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387A
KR980010387A KR1019960027275A KR19960027275A KR980010387A KR 980010387 A KR980010387 A KR 980010387A KR 1019960027275 A KR1019960027275 A KR 1019960027275A KR 19960027275 A KR19960027275 A KR 19960027275A KR 980010387 A KR980010387 A KR 98001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ir
power shift
shift valv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석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2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0387A/ko
Publication of KR98001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387A/ko

Links

Landscapes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에 장착되어 적은 힘으로 기어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파워 시프트 밸브가 구비된 것에 있어, 그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을 용이하게 측정 및 그 규격을 판정할 수 있는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워 시프트 밸브(20)를 구동시키는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와, 밸브(20)를 지지하는 클램핑장치(650)와, 밸브(20)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구(700)가 구비되고, 에어 공급구(700)에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716, 729, 730, 731, 732)가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중립상태에서 밸브(20)내에 일정 공압을 수초간 인가시켜 실린더(180)의 에어 리크를 검출하고, 그 리크되는 에어량에 따라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합격/불합격을 판정할 수 있도록 된 것임.

Description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제1도는 매뉴얼 트랜스미션에 파워 시프트 시스템이 구비된 사시도
제2도는 파워 시프트 밸브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파워 시프트 밸브의 요부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밸브의 요부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장치를 예시한 전체 구성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장치를 예시한 전체 구성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의 요부확대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측면도.
제10도는 제5도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를 클램핑하기 위한 장치의 요부확대도.
제11도는 제10도의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을 위한 구동회로도.
제13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의 고정을 위한 공압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고정을 위한 공압회로도.
제15도는 본 발명 장치 캐비닛의 안전도어의 구동을 위한 공압회로도.
제16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에 따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매뉴얼 트랜스미션 20 : 파워 시프트 밸브
30, 31 : 컨트롤 링크 40 : 기어 시프트 레버
50 : 하우징 60 : 가이드 파이프
61 : 제4흡기공 62 : 제5흡기공
70 : 오일 시일 71 : 오일 시일
80 : 제1무빙 파이프 81, 341, 381 : 이그져스트 홀
82 : 걸림돌기 90 : 컬러
100 : 보울트 110 : 너트
111 : 구면 120, 121, 122, 123 : O-링
130 : 스트라이커 131 : 가이드 스페이스
132 : 가이드 홀 140,420 : 스냅링
150 : 스프링 160 : 힌지 보올
170 : 부트 180 : 실린더
190 : 세트 스크류 200 : 피스톤
210 : X-링 220 : 제4에어 체임버
230 : 제5에어 체임버 240 : 무빙캡
241 : 걸림홈 250 : 제2무빙 파이프
251 :걸림보스 252 : 인테이크 홀
253 : 제1흡기공 260 : 제1밸브 리프터
270 : 제2밸브 리프터 280 : 밸브 시트
281, 282 : 밸브턱 283 : 제2흡기공
284 : 제3흡기공 290 : 제1밸브판
291 : 제1댐퍼 291a, 301a : 개폐홈
300 : 제2밸브판 301 : 제2댐퍼
310 : 제1리턴 스프링 320 : 제2리턴 스프링
330 : 제3리턴 스프링 340 : 가이드 튜브
350 : 제1에어 체임버 360 : 제2에어 체임버
370 : 제3에어 체임버 380 : 커버 블록
390 : 엔드 플레이트 400 : 부트
410 : 가이드 플레이트 420 : 스냅링
430 : 인테이크 파이프 440 : 에어 필터
450 : 제1밸브 460 : 제2밸브
500 : 캐비닛 510 : 베이스 플레이트
511 : 고정 스토퍼 577 : 지그
600 :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 601 : 가이드 플레이트
602 : 슬라이드 플레이트 602a : 가동 스토퍼
603 : 서포트 베이스 604 : 제1서포트 브래킷
605 : 제2서포트 브래킷 606 : 제3서포트 브래킷
606a : 게이지 브래킷 607 : 스테핑 모터
608 : 카운터 플레이트 608a : 슬릿 홀
609 : 세트 컬러 610 : 에어 실린더
611 : 베어링 612 : 보올 스크류
613 : 무빙 너트 614 : 제1무빙 플레이트
615 : 제2무빙 플레이트 616 : 부시 하우징
617 : 가이드 샤프트 619, 620 : 보올
621 : 디스턴스 컬러 622, 623 : 가이드 브래킷
624a, 624b : 도그 624 : 샤프트
625 : 로드 셀 앰플리파이어 626, 633, 646 : 포토 마이크로 센서
627, 628 : 센서 브래킷 629, 630 :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
631 : 조인트 로드 632 : 서포트 브래킷
634, 638 : 커플링 635 : 고정핀
636 : 콘택트 플레이트 637 : 리니어 게이지
637a : 콘택트 핀 639 : 서포트 브래킷
640 : 지그 로커 641 : 커버
642, 643 : 스톱 가이드 644 : 플로팅 조인트
645 : 에어 실린더 650 : 밸브 클램핑장치
651 : 베이스 652 : 가이드 포스트
652a : 가이드 홀 653 : 서포트 플레이트
654 : 에어 실린더 654a : 피스톤
655 : 스토퍼 656 : 실린더 조인트
657 : 홀더 658 : 가이드 샤프트
659 : 캐리어 플레이트 660 : 서포트 샤프트
661 : 클램프 플레이트 662 : 클램프 패드
663 : 가이드 하우징 664 : 보올 부시
671 : 에어실린더 671a : 피스톤
672 : 안전도어 700 : 에어 공급구
701 : 에어 드라이어 702 : 증압변
703 : 보올 밸브 704 : 유니언 파이프 조인트
705, 740a : 첵 밸브 706 : 에어탱크
706a : 압력 스위치 706b, 713, 714, 715 : 압력계
707 : 에어 필터 708 : 미스트 세퍼레이터
709 : 핸드 밸브 709a, 716a, 717a, 725, 726 : 사일렌서
710 : 제1레귤레이터 711 : 제2레귤레이터
712 : 제3레귤레이터 715a : 압력 스위치
716, 729, 730, 731, 732 : 솔레노이드밸브 733, 734 : 사일렌서
717 : 제1솔레노이드 밸브 721 : 제2솔레노이드 밸브
722 : 제3솔레노이드 밸브 723 : 제4솔레노이드 밸브
735 : 차압센서 736 : 디지틀 마노미터
737 : 교정기 738 : 디지틀 입력센서
739, 740 : 스피드 컨트롤러 740b : 가변유량제어밸브
본 발명은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無負?? 氣密測定方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변속차량의 기어변속시 기어 시프트 레버(gear shift lever)에 배력(倍力)을 작용시켜 운전자가 매우 적은 힘으로 유연하게 기어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된 파워 시프트 시스템(power shift system)에 있어, 무부하(트랜스미션의 중립상태)에서 실린더의 기밀을 측정하여 에어가 실린더내에서 리크(leak)되지 않는가의 여부와, 좌,우 밸브의 압력이 규정범위(에어 누설량의 허용범위)를 만족하는지의 여부와, 파워 시프트 밸브의 제품으로써의 규격을 용이하게 측정 및 판정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이 측정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린더내에서 내부 리크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완함으로써 밸브의 기능이 안정되고 정확하게 행하여지는,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매뉴얼 트랜스미션(manual transmisson)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그 기어변속에 따른 기어 시프트 레버(gear shift lever)의 전,후방향 조작시 시프팅 파워(shifting power)를 증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매우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또한 신속, 간편하게 기어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워 시프트 밸브 시스템이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구비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 매뉴얼 트랜스미션에 파워 시프트 시스템이 구비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 파워 시프트 밸브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또한 제3도는 종래 파워 시프트 밸브의 요부 확대도이고, 제4 도는 제3도에서 밸브의 요부 확대도를 각기 나타낸 것이다.
파워 시프트 밸브 시스템은 제1도와 같이, 매뉴얼 트랜스미션(10)에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출력단이 장착되고,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입력단 및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종방향이 컨트롤 링크(30)로 연결되며, 또한 매뉴얼 트랜스미션(10) 및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횡방향이 컨트롤 링크(31)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전방으로 밀거나 또는 후방으로 당김에 따라 컨트롤 링크(30)가 밀리거나 당겨지면서 파워 시프트 밸브(20)를 작동시켜 기어변속계통에 배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기어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횡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컨트롤 링크(31)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매뉴얼 트랜스미션(10)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20)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50)의 중간부를 통해 가이드 파이프(60)가 직각으로 관통, 설치되고, 하우징(50)의 양측 및 가이드 파이프(60) 사이에 오일 시일(70)이 각기 개재되어 하우징(5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며, 또한 가이드 파이프(60)의 중심을 통해 이그져스트 홀(81)을 포함하는 제1무빙 파이프(80)가 미끄럼이동가능케 삽입되면서 이 제1무빙 파이프(80)의 우측단부에 상기의 기어 시프트 레버(40)가 연결되어 있어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전, 후조작에 따라 제1무빙 파이프(80)가 진퇴가능케 되어 있다.
하우징(5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제1무빙 파이프(80)에 가이드 파이프(60)가 관통되고, 관통된 가이드 파이프(60)의 상측 둘레에 컬러(collar)(90)가 결합되며, 컬러(90)의 중심과 가이드 파이프(60) 및 제1무빙 파이프(80)의 관통부를 통해 보울트(100)가 끼워짐과 동시에 너트(110)가 가이드 파이프(60)의 하방 관통부를 통해 제1무빙 파이프(80)에 결합되면서 보울트(100)에 체결, 고정된다.
컬러(90) 및 너트(110)의 양측과 가이드 파이프(60)사이에는 클리어런스(C)가 형성되어 그 클리어런스(C)의 범위내에서 제1무빙 파이프(80), 컬러(90), 너트(110), 보울트(100)가 일체로 전, 후 이동가능토록 되며, 제1무빙 파이프(80)의 이그져스트 홀(81)이 밀폐되도록 컬러(90)와 제1무빙 파이프(80) 및 너트(110)와 제1무빙 파이프(80) 사이에 O-링(120)이 결합된다.
가이드 파이프(60)에는 하단이 시프트 포크에 분기, 연결되는 스트라이커(130)가 끼워져 있고, 가이드 파이프(60)의 양측 둘레에 스냅링(140)이 결합되어 스트라이커(130)이 이탈을 방지하며, 스트라이커(130)와 가이드 파이프(60)의 저면부 사이에 가이드 스페이스(131)가 형성되면서 그 가이드 스페이스(131)의 하부 끝부분은 너트(110)의 하단과 일치된다.
아울러 너트(110)의 하단 둘레부는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되고, 스트라이커(130)의 하방 중심에 가이드 스페이스(131)와 접하는 가이드 홀(132)이 형성되면서 그 가이드 홀(132)에 스프링(150)이 내장되며, 또한 가이드 홀(132)의 상측에 힌지 보올(160)이 결합되면서 너트(110)와 보울트(100)의 하단면에 접촉된다.
너트(110)의 하단면에는 구면(111)이 형성되고, 그 구면(111)이 힌지 보올(16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제1무빙 파이프(80)의 진퇴 이동에 따라 스트라이커(130)가 힌지 보올(16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좌, 우로 회동가능케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파이프(60)와 제1무빙 파이프(80)의 양측 사이에 O-링(121)이 개재되고, 제1무빙 파이프(80)의 우측단부 및 하우징(50)의 우측단 둘레부에 부트(170)가 연결되어 제1무빙 파이프(80)의 진퇴를 신축적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 3도에서 실린더(180)의 좌측단부가 가이드 파이프(60)를 통해 결합되고, 그 개방된 우측단부는 하우징(5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며, 하우징(50)을 통해 세트 스크류(190)가 체결되어 실린더(180)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실린더(180)의 우측단 및 하우징(50)사이에 O-링(122)이 개재되고, 실린더(180)와 가이드 파이프(60) 사이의 길이방향 중간에 위치하도록 그 가이드 파이프(60)에 피스톤(200)이 고정되며, 피스톤(200) 및 실린더(180)의 내주면 사이에 X-링(210)이 밀폐, 결합되면서 이 피스톤(200)을 중심으로 하여 실린더 및 가이드 파이프(60)사이의 양측에 제 4, 5에어 체임버(220, 230)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80)의 좌측 내주면 및 가이드 파이프(60)사이에 오일 시일(71)이 밀폐, 결합되고, 제1무빙 파이프(80)의 좌측단에 걸림돌기(82)가 형성되며, 또한 이 걸림돌기(82)에 결합되도록 걸림홈(241)을 갖는 무빙캡(240)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60)의 중심을 통해 인테이크 홀(253)을 포함하는 제2무빙 파이프(250)가 위치되면서 제2 무빙 파이프(250)의 우측단에 걸림보스(251)가 형성되어 무빙캡(240)의 중심을 통해 결합되며, 걸림보스(251)는 그 제2무빙 파이프(250)보다 큰 외경을 갖고 무빙캡(240)의 중간 우측부에 위치된다.
또 걸림보스(251)와 무빙캡(240)의 접면은 그 좌측이 상호간 구면형으로 되어 제1무빙 파이프(80)의 우측방향 이동시 무빙캡(240)과 제2무빙 파이프(250)가 일체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고, 제1무빙 파이프(80)의 좌측방향 이동시는 제2무빙 파이프(250)를 제외한 무빙캡(240)만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제2무빙 파이프(250)의 좌, 우측방향으로 제1, 2밸브 리프터(260, 270)가 각기 고정 및 미끄럼이동가능케 삽입되고, 제1, 2밸브 리프터(260, 270) 사이에 밸브 시트(280)가 위치됨과 동시에 가이드 파이프(6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제1, 2밸브판(290, 300)이 밸브 시트(28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면서 제2무빙 파이프(250)에 미끄럼이동가능케 삽입되어 있다.
상기에서 밸브 시트(280)의 좌, 우 내측면에 분리, 밀착되도록 제1, 2밸브판(290, 300)의 우측 및 좌측면 둘레에 고무재질의 제1, 2댐퍼(291, 301)가 부착되고, 상기 제1,2밸브 리프터(260,270)의 우측 및 좌측단이 밸브 시트(280)의 양측을 통해 출몰하여 제1, 2밸브판(290, 300)을 밀어냄과 동시에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밸브의 폐쇄상태에서 제1, 2리프터(260, 270)의 우측 및 좌측단은 제1, 2밸브판(290, 300)으로부터 이격가능하고, 제1, 2댐퍼(291, 301)의 우측 및 좌측 둘레에 경사형으로 된 개폐홈(291a, 301a)이 각기 형성되며, 밸브 시트(280)의 내측 양단 둘레에 경사형으로 된 밸브턱(281, 282)이 형성되어 개폐홈(291a, 301a)에 밀착, 이격되어 있다.
제1, 2밸브판(290, 300)의 외주면과 밸브 시트(280)의 내주면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 2밸브판(290, 300)사이에 제1리턴 스프링(310)이 탄력, 설치되어 제1, 2밸브판(290, 300)을 밸브 시트(280)측으로 가압시키며, 또 제1, 2밸브 리프터(260, 270)와 밸브 시트(280) 사이에는 제2, 3리턴 스프링(320, 33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제1, 2밸브 리프터(260, 270)를 외측방향으로 팽창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2무빙 파이프(250)에 가이드 튜브(340)가 결합되어 그 우측 둘레부가 가이드 파이프(60) 및 제1밸브 리프터(260)사이에 위치되며, 또한 그 우측단부는 밸브 시트(280)의 좌측단부에 밀착된다. 제1, 2 밸브 리프터(260, 270)의 둘레부에 O-링(123)이 각기 결합되어 가이드 튜브(340)의 내주면 및 가이드 파이프(60)의 내주면에 각기 탄력적으로 접촉되며, 제1, 2밸브판(290, 300)의 내주면에 O-링(123)이 각기 결합되어 제2우빙 파이프(250)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상기의 제1, 2밸브판(290, 300)사이에 위치되도록 제2무빙 파이프(250)의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제1 흡기공(253)이 형성되고, 제1흡기공(253)과 연통되도록 제1, 2밸브판(290, 300) 및 밸브 시트(280) 사이에 제 1에어 체임버(350)가 형성되며, 밸브 시트(280)의 양측 및 제1, 2밸브 리프터(260, 270)의 우측 및 좌측 둘레부 사이에 제2, 3에어 체임버(360, 370)가 형성된다.
밸브 시트(280)의 양단 둘레부에 다수의 제2, 3흡기공(283, 284)이 형성되어 제2, 3에어 체임버(360, 370)와 연통되고, 피스톤(200)에 근접위치되도록 가이드 파이프(60)의 양측 둘레에 다수의 제4, 5흡기공(61, 62)이 형성되어 제4, 5에어 체임버(220, 230) 및 제2, 3흡기공(283, 284)과 연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 파이프(60)의 좌측단에 커버 블록(380)이 체결되어 가이드 튜브(340)에 밀착되고, 커버블록(380)의 좌단 둘레에 엔드 플레이트(390)가 체결되며, 실린더(180)의 좌측 둘레부 및 엔드 플레이트(390)의 둘레부에 부트(400)가 연결된다.
아울러 커버 블록(380)의 둘레부 및 가이드 튜브(340)의 좌측 둘레부에 다수의 이그져스트 홀(381,341)이 각기 형성되어 제1밸브 리프터(260)의 작동부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2무빙 파이프(250)에 가이드 플레이트(410) 및 스냅링(420)이 결합되어 제1밸브 리프터(260)가 제2무빙 파이프(250)와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커버 블록(380)의 중앙부 좌측에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인테이크 파이프(430)가, 커버 블록(380)의 중앙부 우측에 제2무빙 파이프(250)의 좌측단이 연통, 설치된다.
상기에서 이그져스트 홀(81)에는 걸림보스(251)와 접하도록 에어필터(440)가 장착되며, 밸브 시트(280)의 좌, 우측 및 제1, 2밸브판(290, 300)에 의해 개폐되는 제1, 2밸브(450, 460)가 구비되어 이상의 파워 시프트 밸브(20)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워 시프트 밸브(20)는,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제1무빙 파이프(80)의 우측단 및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종방향측이 컨트롤 링크(30)에 연결되고, 스트라이커(130)의 하단이 매뉴얼 트랜스미션(10)의 시프트 포크에 연결되며, 또한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횡방향 및 매뉴얼 트랜스미션(10)이 컨트롤 링크(31)로 연결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기어변속을 행할 경우, 중립위치에서 각 전진 1속 내지 전진 5속 및 후진위치로 변속을 행하면 이때 제1무빙 파이프(80)가 기어 시프트 레버(40)에 의해 연동되면서 좌,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아울러 제1무빙 파이프(80)의 진퇴작동에 따라 제1밸브(450) 또는 제2밸브(460)가 개방되면서 스트라이커(130)에 선택적으로 배력을 작용시켜 전, 후방향의 시프트-업 또는 시프트-다운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기어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전방측의 변속방향 즉, 전진 1속, 전진 3속, 전진 5속의 경우에는 제1밸브(450)가 개방되어 제1무빙 파이프(80)의 우측방향으로 배력이 작용하며, 반대로 전진 2속, 전진 4속, 후진의 경우에는 제2밸브(460)가 개방되어 제1무빙 파이프(80)의 좌측 방향으로 배력이 작용한다.
또한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횡방향 조작시 파워 시프트 밸브(20)는 작동되지 아니하며, 이 경우에는 컨트롤 링크(31)에 의해 시프트 포크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매뉴얼 트랜스미션(10)이 직접 작동된다. 이하,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전방운동방향인 전진1, 3, 5속의 변속모드와, 기어 시프트 레버(40)의 후방운동방향인 전진2, 4속 및 후진의 변속모드를 각기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진 1, 3, 5속 변속모드
전진 1속, 전진 3속, 전진 5속의 어느 경우라도 본 발명의 작동기능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우선 파워 시프팅을 위하여 컴프레서로부터 인테이크 파이프(430)를 통해 제2무빙 파이프(250)의 좌측단으로부터 공압이 공급되며, 이 공압은 다수의 제1흡기공(253)을 통해 제1에어 체임버(350)내에 공급되면서 제1, 2밸브판(290, 300)을 상호 좌,우측방향으로 밀어내 제1,2밸브판(290,300)의 제1, 2댐퍼(291, 301)를 밸브 시트(280)의 밸브턱(281, 282)에 가압, 밀착시켜 제1, 2밸브(450, 460)를 각기 폐쇄시킴과 동시에 매뉴얼 트랜스미션(10)의 중립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전진 1속, 전진 3속, 전진 5속으로 각기 시프트-업 또는 시프트-다운을 행하기 위하여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전방측으로 밀면, 이때 컨트롤링크(30)가 당겨지면서 제1무빙 파이프(80)를 우측방향으로 당기고, 또한 제1무빙 파이프(80)의 좌측단의 걸림돌기(82)가 무빙캡(240)에 끼워져 있고 무빙캡(240)은 제2무빙 파이프(250)의 우측단에 형성된 걸림보스(251)에 좌측방향으로 걸려져 있어 제1무빙 파이프(80), 무빙캡(240), 제2무빙 파이프(250)가 일체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무빙 파이프(250)의 좌측에는 제1밸브 리프터(260)가 가이드 플레이트(410) 및 스냅링(420)으로 고정되어 있어, 제2리턴 스프링(320)을 압축시키면서 제2무빙 파이프(250)와 함께 일체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밸브 리프터(260)는 밸브 시트(280)를 통해 제1댐퍼(291)와 제1밸브판(290)을 밀어내 제1댐퍼(291)를 밸브 시트(280)의 밸브턱(281)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이때 제1댐퍼(291) 및 밸브턱(281) 사이 즉, 제1밸브(40)가 개방되어 제1에어 체임버(350)내의 공압이 순간적으로 제1댐퍼(291)와 밸브턱(281) 사이의 통로 및 밸브 시트(280)의 좌측을 통해 제2에어 체임버(360)로 배출되면서 급격한 압력감소를 유도한다.
또 제2에어 체임버(360)내에 유입된 공압은 밸브 시트(280)의 제2흡기공(283)과 가이드 파이프(60)의 제 4흡기공(61)을 통해 제4에어 체임버(220)로 유입되면서 제2무빙 파이프(250)의 둘레와 제1밸브 리프터(260)사이의 틈새 및 이그져스트 홀(341,381)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이 제1에어 체임버(350)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되면서 제2무빙 파이프(250)에 우측방향으로 배력을 작용시키며, 제2무빙 파이프(250), 제1무빙 파이프(80)가 순간적으로 밀려나면서 이때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전방측으로 밀어낸다(이는 제1, 2무빙 파이프(80, 250)가 최초로 이동하려는데 대응하는 저항력이 급속히 소멸되는 것과 같다).
즉, 변속기어의 중립상태에서 공압은 제1에어 체임버(350)내에만 작용하여 높은 압력을 유지시키고, 제 2에어 체임버(360)에는 공압이 작용하지 않아 매우 낮은 압력을 갖고 있으므로, 제1, 2무빙 파이프(80, 250)의 좌측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일정값의 저항력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저항력은 곧 좌측 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제1에어 체임버(350)내의 압력을 급격히 감속시키므로 제1, 2무빙 파이프(80, 250)의 좌측방향 이동력에 대하여 소멸되며, 또한 저항력의 소멸은 곧 제1, 2무빙 파이프(80, 250)에 배력으로 전환, 작용되면서 이들 제1, 2무빙 파이프(80, 250)를 강하게 밀어냄과 동시에 전방측으로 기어변속을 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1무빙 파이프(8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중간부의 보울트(100)와 그에 고정된 너트(110)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너트(110)에 형성된 구면(111)이 힌지 보올(160)에 접촉된 상태에서 힌지 보올(160)을 일정량만큼 하방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힌지 보올(160)을 중심으로 스트라이커(13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량 만큼 회동시켜 스트라이커(130)에 의해 시프트 포크를 움직여 전방측으로 기어변속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기어 시프트 레버(40)가 전방측으로 밀려나므로 운전자는 중립상태로부터 원하는 전방위치의 변속지점까지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완전히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원하는 변속지점의 최초의 종방향 변속라인에서 약간의 힘만을 가하면 이후 기어 시프트 레버(40)가 전방측 변속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므로 기어변속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전진1, 3, 5속의 상태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20)에는 공압이 계속적으로 공급, 유지된다.
한편 전진1, 3, 5속의 주행상태에서 시프트-업, 시프트-다운 등의 변속모드를 행하기 위한 경우에는 중립위치의 변속모드를 경과해야만 하며, 이 경우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후방 중간지점으로 당기면, 이때 제 2무빙 파이프(250), 무빙캡(240) 및 제1무빙 파이프(80)는 압축되었던 제1, 2리턴 스프링(310, 320) 및 스프(150)의 탄발력에 의해 원활하게 좌측방향으로 밀려나며, 또한 제1밸브 리프터(260)와 제1밸브판(29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댐퍼(291)가 밸브 시트(280)의 밸브턱(281)에 밀착됨으로써 제1밸브(450)를 폐쇄시킨다.
제1밸브(450)가 폐쇄됨과 동시에 이와 동기하여 스트라이커(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원위치되고, 컨트롤 링크(31)가 당겨지면서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중립에 위치시킨다.
전진2, 4속 후진 변속모드
이 변속모드는 전진1, 3, 5속의 변속모드와는 반대로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후방측으로 작동시키는 경우를 말하며, 전진 2속, 전진 4속, 후진의 어느 경우라도 본 발명의 작동기능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전진1, 3, 5속의 변속모드와 반대방향으로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중립모드에서와 같이 컴프레서로부터 인테이크 파이프(430)와 제2무빙 파이프(250)를 통해 제1에어 체임버(350)내에 에어가 공급되어 제1, 2밸브판(290, 300)의 제1, 2댐퍼(291, 301)가 밸브 시트(280)의 밸브턱(281, 282)에 밀착,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진 1속으로부터 전진 2속으로, 또는 전진 3속으로부터 전진 4속으로 또는 전진 중립으로부터 후진으로 기어변속을 행하기 위하여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후방측으로 당기면, 이때 컨트롤 링크(30)가 밀리면서 제1무빙 파이프(80)를 좌측방향으로 밀어낸다.
또한 제1무빙 파이프(80)의 좌측단의 걸림돌기(82)는 무빙캡(240)에 끼워져 있어 제1무빙 파이프(80)와 무빙캡(240)이 일체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밸브 리프터(270)를 밀어내고, 제2밸브 리프터(270)의 좌측단은 밸브시트(280)의 우측부를 통해 제2밸브판(300)을 밀어내 제2댐퍼(301)를 밸브시트(280)의 밸브턱(282)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제2밸브(460)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제1밸브 리프터(260)는 이동되지 아니하는데 즉, 무빙캡(240)과 제2무빙 파이프(250)는 좌측방향으로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고, 또한 제1무빙 파이프(80)의 좌측방향 이동에 대하여 제1밸브 리프터(260)의 좌단이 가이드 튜브(340)의 우측단에 의해 걸려져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밸브 시트(280)의 제1밸브(450)는 폐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댐퍼(301)가 밸브 시트(280)의 밸브턱(282)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밸브 시트(280)의 제 2밸브(460)가 개방되며, 이와 동시에 제1에어 체임버(350)내의 공압이 제2밸브(460)를 통해 제3에어 체임버(370)로 급속히 배기된다.
또 제1에어 체임버(350)내의 공압이 우측의 제3에어 체임버(370)로 급속히 배기되므로 제1에어 체임버(350)내의 공압은 급격히 감소되며, 제3에어 체임버(370)내에 유입된 공압은 밸브 시트(280)의 제3흡기공(284)과 가이드 파이프(60)의 제5흡기공(62)을 통해 제5에어 체임버(230)로 유입되면서 제2무빙 파이프(250)의 둘레와 제2밸브 리프터(270)사이의 틈새 및 걸림보스(251)와 무빙캡(240) 사이의 틈새 및 에어 필터(440)와 이그져스트 홀(81)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따라서 제1에어 체임버(350)내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되면서 제2무빙 파이프(250)에 좌측방향으로 배력을 작용시키며, 제2무빙 파이프(250), 제1무빙 파이프(80)가 순간적으로 좌측으로 밀려나 이동된다.
또 제1무빙 파이프(8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무빙 파이프(80)에 고정된 너트(110)의 구면(111)에 접촉되어 있는 힌지 보올(160)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 파이프(60)에 지지된 스트라이커(130)가 반시계방향으로 일정량만큼 회동되며, 스트라이커(130)에 의해 시프트 포크를 움직여 후방측으로 기어변속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기어 시프트 레버(40)가 후방측으로 밀려나므로 운전자는 중립상태로부터 원하는 후방위치의 변속지점까지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완전히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원하는 변속지점의 최초의 라인에서 약간의 힘만을 가하여 당기면 이후 기어 시프트 레버(40)가 후방측 변속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므로 기어변속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후진2, 4속 및 후진 변속모드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20)에는 공압이 계속적으로 공급, 유지되며, 이상의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작동기능은 전진1, 3, 5속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한편 후진2, 4속 및 후진 주행상태에서 시프트-업, 시프트-다운 등의 변속모드를 행하기 위한 경우에 있어서도 중립위치의 변속모드를 경과해야만 하며, 이 경우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전방 중간지점으로 밀어내면, 이때 제2무빙 파이프(250), 무빙캡(240) 및 제1무빙 파이프(80)는 압축되었던 제1, 3리턴 스프링(310, 330) 및 스프링(150)의 탄발력에 의해 원활하게 우측방향으로 밀려나며, 또한 제2밸브 리프터(270)와 제2밸브판(30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댐퍼(301)가 밸브 시트(280)에 밀착됨으로써 제2밸브(460)를 폐쇄시킨다.
제2밸브(460)가 폐쇄됨과 동시에 이와 동기하여 스트라이커(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 원위치되고, 컨트롤 링크(31)가 밀리면서 기어 시프트 레버(40)를 중립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파워 시프트 밸브(20)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은 무부하상태에서 즉, 트랜스미션의 중립상태에서 실린더(180)의 내부기밀이 유지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환언하면 실린더(180)의 내부 기밀은 제1에어 체임버(350)의 에어가 제1밸브(450)를 통해 제2에어 체임버(360)로 누설되거나 또는 제1에어 체임버(350)의 에어가 제2밸브(460)를 통해 제3에어 체임버(370)로 누설될 경우 양측의 제2, 3에어 체임버(360, 370)의 압력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압력평형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처럼 제2, 3에어 체임버(360, 370)의 압력평형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결론적으로 스트라이커(130)가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밀려나는 현상을 초래함과 동시에 저항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130)가 밀려나는 반대방향의 기어변속을 어렵게 만드며, 심한 경우에는 밸브(20)의 기능이 불안정하거나 부정확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실린더(180)의 내부리크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리크되는 방향의 기어변속시 스트라이커(130)의 작동속도가 필요이상으로 급속히 증가되어 변속 시스템에 충격을 유발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러한 실린더(180)의 내부리크나 리크방향에 대해서는 측정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제품으로서의 합격/불합격 판정작업 또한 곤란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부하(트랜스미션의 중립상태)에서 실린더의 기밀을 측정하여 에어가 실린더내에서 리크(leak)되지 않는가의 여부와, 좌, 우 밸브의 압력이 규정범위(에어 누설량의 허용범위)를 만족하는지의 여부와, 파워 시프트 밸브의 제품으로써의 규격을 용이하게 측정 및 판정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이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린더내에서 내부 리크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완함으로써 밸브의 기능이 안정되고 정확하게 행하여지는,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장치를 예시한 전체구성 정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장치를 예시한 전체구성 측면도를 각기 나타낸 것이다.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캐비닛(500)과, 그 캐비닛(500)의 중간에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구비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부 일측에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기어 시프트 레버(40)가 연결되는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제1무빙 파이프(80)에 연결, 제1무빙 파이프(80)를 전진, 후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파워 시프트 밸브(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상방에 밸브 클램핑장치(650)가 설치되며,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커버 블록(380)의 인테이크파이프(430)에 에어 공급구(700)가 연결된다.
제7도는 제5도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의 요부확대도이고,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측면도를 각기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상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601)와, 가이드 플레이트(601)상에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602)와, 슬라이드 플레이트(60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가동 스토퍼(602a)와, 가동 스토퍼(602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주 양측에 형성된 고정 스토퍼(511)로 되어 있다.
또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02)의 상부 중간에 설치된 서포트 베이스(603)와, 서포트 베이스(603)상에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1, 2, 3서포트 브래킷(604, 605, 606)과, 제1서포트 브래킷(604)의 상부에 설치된 스테핑 모터(607)와, 스테핑 모터(607)의 후방 축에 결합된 카운터 플레이트(608) 및 세트 컬러 (609)와, 제1서포트 브래킷(604) 및 스테핑 모터(607)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 실린더(610)로 되고, 제2, 3서포트 브래킷(605, 606) 사이에 베어링(611)으로 회전, 지지되는 보올 스크류(612)와, 보올 스크류(612)에 체결되어 수평이동가능한 무빙 너트(613)와, 무빙 너트(613)에 일체로 형성된 제1무빙 플레이트(614)와, 제1무빙 플레이트(614)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연결된 제2무빙 플레이트(615)와, 제1, 2무빙 플레이트(614, 615)의 양단을 각기 연결하는 부시 하우징(616)과, 부시 하우징(616)의 중심에 관통,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617)와, 부시 하우징(616)내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샤프트(617)의 전, 후에 결합된 보올(619, 620)과, 양측 보올(619, 620)사이에 개재된 디스턴스 컬러(621)와, 가이드 샤프트(617)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602)상에 설치된 가이드 브래킷(622, 623)으로 되어 있다.
또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는, 제2무빙 플레이트(615)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단에 도그(624a, 624b)를 갖는 샤프트(624)와, 제2무빙 플레이트(615)의 상부에 고정된 로드 셀 앰플리파이어(625)와, 제2무빙 플레이트(615)의 일측단에 장착된 포토 마이크로 센서(626)와, 포토 마이크로 센서(626)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측에 설치된 센서 브래킷(627, 628) 및 센서 브래킷(627, 628)에 장착되어 양측 도그(624a, 624b)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629, 630)로 되어 있다.
한편,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는, 로드 셀 앰플리파이어(625)에 체결된 조인트 로드(631)와, 조인트 로드(631)를 지지하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602)에 설치된 서포트 브래킷(632)과, 조인트 로드(631) 및 서포트 브래킷(632) 사이에 장착된 포토 마이크로 센서(633)와, 조인트 로드(631)의 선단에 고정되고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제1무빙 파이프(80)가 착탈되는 커플링(634)과, 커플링(634)에 제1무빙 파이프(80)를 연결시키는 고정핀(635)과, 커플링(634)에 결합된 콘택트 플레이트(636)로 되고, 상기 제3서포트 브래킷(606)의 상단에 게이지 브래킷(606a)이 형성되면서 이 게이지 브래킷(606a)상에 리니어 게이지(637)가 장착됨과 동시에 그 리니어 게이지(637)의 콘택트 핀(637a)이 콘택트 플레이트(636)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의 스테핑 모터(607) 및 보올 스크류(612)는 상호 커플링(638)으로 연결되며, 스테핑 모터(607)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10)상에 서포트 브래킷(639)으로 지지된 지그 로커(640)와, 지그 로커(640)의 둘레에 결합된 커버(641)와, 지그 로커(64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602) 사이에 위치되고,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602)에 양측으로 대응, 고정된 스톱 가이드(642, 643)와, 지그 로커(640)의 일단에 연결된 플로팅 조인트(644)와, 플로팅 조인트(644)에 고정된 에어 실린더(645)로 되며, 상기 스테핑 모터(607)의 카운터 플레이트(608)의 사방에 형성된 슬릿 홀(608a) 및 슬릿 홀(608a)에 대응, 위치하여 스테핑 모터(607)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포토 마이크로 센서(64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는, 파워 시프트 밸브(20)에 에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그 제1무빙 파이프(80)를 전진, 후퇴시키거나 또는 제1무빙 파이프(80)를 고정된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9도와 같이, 피측정물인 파워 시프트 밸브(20)를 지그(577)상에 안치하고,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제1무빙 파이프(80)에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의 커플링(634)이 결합되도록 하며,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우선 스테핑 모터(607)를 시계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커플링(638)을 통해 보올 스크류(612)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보올 스크류(612)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이에 체결된 무빙 너트(613)가 직선운동하면서 제1, 2무빙 플레이트(614, 615) 및 제1, 2무빙 플레이트(614, 615)에 고정된 부시 하우징(616)이 무빙 너트(613)와 함께 가이드 샤프트(617)를 따라 일체로 전진한다.
또한 제2무빙 플레이트(615)에 고정된 로드 셀 앰플리파이어(625)와 함께 조인트 로드(631)와 커플링(634) 및 콘택트 플레이트(636)가 일체로 전진하여 커플링(634)이 제1무빙 파이프(80)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핀(635)을 커플링(634) 및 제1무빙 파이프(80)에 결합함으로써 스테핑 모터(607)에 의한 구동력을 파워 시프트 밸브(2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제1무빙 파이프(8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제1무빙 파이프(80)의 위치값이 "0"이 되도록 스테핑 모터(607)를 정, 역 작동시켜 제1무빙 파이프(8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아울러 제7도 내지 제9도에서 스테핑 모터(607)는, 포토 마이크로 센서(646)에 의해 카운터 플레이트(608)에 형성된 슬릿 홀(608a)의 회전수를 감지함으로써 그 회전수(회전속도)가 제어된다.
또 무빙 너트(613)의 전, 후 이송 스트로크는, 도그(624a, 624b)에 의한 마이크로 리미트 스위치(629, 630)의 동작과, 포토 마이크로 센서(626)의 감지에 의해 제어된다.
로드 셀 앰플리파이어(625)는 파워 시프트 밸브(20)에 대한 입력 하중값을 표시하고, 포토 마이크로 센서(633)는 조인트 로드(631)의 이송량을 감지하며, 리니어 게이지(637)는,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푸쉬/풀 스트로크값을 나타낸다.
제10도는 제5도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를 클램핑하기 위한 장치의 요부확대도이고, 제11도는 제10도의 측면도를 각기 나타낸 것으로, 파워 시프트 밸브(20)가 지그(577)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상부를 압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밸브 클램핑장치(650)에 대한 것이다.
밸브 클램핑장치(65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상에 상부에 베이스(651)를 갖고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652)와, 베이스(651)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고 그 중심이 스트라이커(130)의 중간부에 일치하는 가이드 홀(652a)과, 베이스(651)상에 고정된 서포트 플레이트(653)와, 서포트 플레이트(653)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그 피스톤(654a)이 가이드 홀(652a)의 중심을 통해 돌출된 에어 실린더(654)와, 베이스(651)의 가이드 홀(652a) 하부에 접함과 동시에 피스톤(654a)에 결합되는 스토퍼(655) 및 피스톤(654a)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측이 스토퍼(655)에 접하는 실린더 조인트(656)와, 실린더 조인트(656)의 둘레에 결합된 홀더(657)로 구성된다.
밸브 클램핑장치(650)는 또한 베이스(651)의 양측에 관통, 결합된 가이드 샤프트(658)와, 베이스(651)의 하방에 이격, 홀더(657)에 고정되고 그 양단이 가이드 샤프트(658)에 고정된 캐리어 플레이트(659)와, 캐리어 플레이트(659)의 하부 중심에 고정된 서포트 샤프트(660)와, 서포트 샤프트(660)의 하부에 고정된 클램프 플레이트(661)와, 클램프 플레이트(661)의 하부 중심에 고정된 클램프 패드(662)와, 상기 양측 가이드 샤프트(658)의 둘레를 지지함과 동시에 베이스(651)상에 설치된 가이드 하우징(663)과, 가이드 하우징(663) 및 가이드 샤프트(658) 사이에 개재된 보올 부시(66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밸브 클램핑장치(650)는 제10도, 제11도와 같이, 파워 시프트 밸브(20)가 지그(577)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에어 실린더(654)를 작동, 전진시키면 그 피스톤(654a)과 일체로 캐리어 플레이트(659), 가이드 샤프트(658), 서포트 샤프트(660), 클램프 플레이트(661), 클램프 패드(662)가 동시에 하강하며, 또한 클램프 패드(662)는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중간부를 하방으로 압압, 지지시킨다.
아울러 가이드 하우징(663)은 가이드 샤프트(658)의 승강시 이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며, 보올 부시(664)는 가이드 샤프트(658)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제12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을 위한 구동회로도, 제13도는 논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의 고정을 위한 공압 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고정을 위한 공압회로도, 제15도는 본 발명 장치 캐비닛의 안전도어의 구동을 위한 공압회로도를 각기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제12도는 파워 시프트 밸브(20)에 에어를 공급함에 있어, 그 공압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고, 제13도는 제7도, 제8도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60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회로이고, 제14도는 제10도, 제11도에서 파워 시프트 밸브(20)를 클램핑하기 위한 회로이다.
제15도는 캐비닛(500)의 베이스 플레이트(510)상의 피측정물인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장착부를 은폐하는 안전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회로로써, 제5, 6, 10, 11도에서 가이드 포스트(652)의 선단 상부에 에어 실린더(671)가 장착되고, 에어 실린더(671)의 피스톤(671a)에 안전도어(672)가 고정되며, 안전도어(672)는 가이드 포스트(652)의 전방부, 즉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선단 상방에 위치되어 있어, 에어 실린더(671)의 진퇴작동에 따라 안전도어(672)를 승강, 개폐시키게 된다.
제12도 내지 제15도의 공압회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도는, 컴프레서로부터의 에어를 건조시키는 에어 드라이어(701)와, 에어 드라이어(701)에 연결되어 건조된 에어의 압력을 증압시키는 증압변(702)과, 고압의 에어 유동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보올 밸브(703) 및 증압변(702) 및 보올 밸브(703)를 상호 연결하는 유니언 파이프 조인트(704)와, 보올 밸브(703)에 연결되어 에어를 일방향으로 보내도록 하는 첵 밸브(705)와, 첵 밸브(705)에 연결된 에어탱크(706) 및 에어 탱크(706)에 연결된 에어 탱크(706) 및 에어 탱크(706)에 포함된 압력스위치(706a) 및 압력계(706a)와, 에어 탱크(706)에 연결된 에어 필터(707)와, 에어 필터(707)에 연결되어 에어중의 액체 미립자를 분리하는 미스트 세퍼레이터(708)와, 미스트 세퍼레이터(708)에 연결되어 잔압을 제거하는 핸드 밸브(709) 및 핸드밸브(709)에 포함된 사일렌서(709a)로 되어 있다.
또 핸드 밸브(709)에 각기 분기연결되어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제1, 2, 3레귤레이터(710, 711, 712)와 제1, 2레귤레이터(710,711)에 연결된 압력계(713,714)와, 제3레귤레이터(712)에 분기, 연결된 압력계(715) 및 솔레노이드 밸브(716)로 되어 있고, 압력계(715) 및 솔레노이드 밸브(716)에는 압력 스위치(715a) 및 사일렌서(716a)가 각기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2레귤레이터(711)와 압력계(714)를 연결하는 관로 사이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717)가 연결되어 있고, 제1솔레노이드 밸브(717)에 사일렌서(717a)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1레귤레이터(710)와 압력계(713)를 연결하는 관로 사이에 상호 연결된 제2,3,4솔레노이드 밸브(721, 722, 723)와, 이들 제2, 3, 4솔레노이드 밸브(721, 722, 723)의 입, 출구 포트에 각기 연결된 사일렌서(725, 726)로 되어 있다.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716)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729, 730)와 솔레노이드 밸브(729, 730)에 각기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731, 732)로 되어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731, 732)에 사일렌서(733, 734)가 포함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731, 732)에 연결된 차압센서(735)와, 차압센서(735)에 각기 연결된 디지틀 마노미터(736) 및 교정기(737)로 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31)는 제5도에서의 에어 공급구(700)의 입력포트에 연결되어 있고, 에어 공급구(700)에 디지틀 입력센서(738)와, 첵 밸브 및 가변유량제어밸브가 포함된 스피드 컨트롤러(739)가 연결되어 있다.
또 제2솔레노이드 밸브(721)에는 제6, 11, 15도의 에어 실린더(671)가, 제3솔레노이드 밸브(722)에는 제 8,13도의 에어 실린더(645)가, 제4솔레노이드 밸브(723)에는 제5, 12도의 에어 공급구(700)가 각기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한다.
상기의 에어 실린더(654, 671, 645)들은 첵 밸브(740a) 및 가변유량제어밸브(740b)가 포함되어 피스톤의 작동속도를 제어하는 스피드 컨트롤러(740)와, 피스톤의 스트로크 범위를 규정하기 위하여 그 양측에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된다.
제12도 내지 제15도의 공압회로의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도에서 컴프레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압송되는 에어가 에어 드라이어(701)를 통해 건조되고, 건조 된 에어는 증압변(702)을 통해 고압으로 형성되어 보올 밸브(703)와 첵밸브(705)를 통해 에어 탱크(706)로 유입된다.
에어 탱크(706)내의 에어는 압력 스위치(706a)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에어 필터(707) 및 미스트 세퍼레이터(708)를 통해 이물질, 먼지, 액체 미립자 등이 여과된 상태로 핸드 밸브(709)를 경과하며, 또한 핸드 밸브(709)를 통과하는 에어는 사전에 조정된 제1, 2, 3레귤레이터(710, 711, 712)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각기 제어되는 상태에서 제2, 3, 4솔레노이드 밸브(721, 722, 723)와 제1솔레노이드 밸브(717) 및 솔레노이드 밸브(716)로 공급된다.
솔레노이드 밸브(716)를 통과한 에어는 솔레노이드 밸브(729, 731)를 통해 에어 공급구(700)로 공급되며, 솔레노이드 밸브(730, 732)는 마스터 사용시 작동된다.
마스터 사용시에는 에어가 각기 나누어져 솔레노이드 밸브(729, 731) 및 솔레노이드 밸브 (730, 732)를 통해 압송되며, 이들을 통과한 각 공압은 차압센서(735)에 의해 비교됨과 동시에 각 압력과 차압이 디지틀 마노미터(736)에 표시된다.
차압이 발생할 경우에는 교정기(737)를 조작하여 이를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1솔레노이드 밸브(717)를 통한 공압은 에어 실린더(654)의 상부로 유입, 파워시프트 밸브(20)를 상방으로부터 압압, 클램핑되도록 하거나 또는 클램핑을 해제하도록 하고, 제2, 3, 4솔레노이드 밸브(721, 722, 723)를 통한 공압은 에어 실린더(671, 645)와 에어 공급구(700)로 유입되어 안전도어(672)의 승강, 스테핑 모터(607)의 위치고정 또는 고정해제, 에어 공급구(700)의 공압공급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을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6도는 본 발명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에 따른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피측정물인 파워 시프트 밸브(20)를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지그(577)상에 안치하고,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의 커플링(634)에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제1무빙 파이프(80)를 연결하며, 안전도어(672)를 닫은 상태에서 밸브 클램핑장치(650)에 의해 파워 시프트 밸브(20)를 클램핑시킨 다음, 별도의 스타트 스위치를 조작하여 무부하 기밀테스트를 시작하는데, 여기서 파워 시프트 밸브(20)에는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로부터 압력을 가하지 않은 중립상태에서 측정을 행한다.
제1단계
파워 시프트 밸브 구동장치(600)의 로드 셀 앰플리파이어(625)로부터 압력이 "0"임을 확인한다.
제2단계
솔레노이드 밸브(716, 731)를 ON시킨 다음,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에어 공급구(700)를 통해 에어를 압송한다(에어공급압력은 7.5㎏/㎠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
솔레노이드 밸브(716, 731)를 통해 파워 시프트 밸브(20)에 대하여 에어가 공급되는 상태를 수초간 유지시켜 가압을 행함과 동시에 이 과정중에 에어의 리크를 검출한다(에어공급시간은 약 5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단계
파워 시프트 밸브(20)의 실린더(180)내에 일정 공압이 형성되는 시점으로부터 이를 수초간 유지시키고(약 5초 동안이 바람직함), 솔레노이드 밸브(716, 729, 730, 731, 732)를 ON시킨다.
상기 제3단계에서 4단계의 진행과정에 있어, 에어의 리크가 검출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합격판정으로 작업을 완료하고, 리크가 검출될 경우에는 다음의 제5단계를 진행한다.
제5단계
솔레노이드 밸브(716, 729, 730, 731, 732)가 개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에어의 리크량을 검출한다(약 15초 동안 리크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단계
에어의 리크량(리크압력)이 일정 기준치 보다 적을 경우에는 합격으로 판정하고, 그 이상일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판정한다(리크량의 기준치는 0.1㎏/㎠이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단계
리크판정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716, 729, 730, 731, 732)를 OFF시켜 파워 시프트 밸브(20)내의 에어를 에어 공급구(700)의 배기포트를 통해 배기시켜 모든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상태에서 실린더내의 에어 리크 유무와 그 리크량 및 좌, 우 밸브의 압력이 규정 범위내에서 평형을 이루는지의 무부하 기밀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파워 시프트 밸브의 합격/불합격 판정이 간편하고, 이 측정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린더에서 내부 리크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완함으로서 밸브의 기능을 안정되고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에어의 리크방지와 함께 정확한 압력평형유지로 트랜스미션의 변속이 무리없이 또한 오작동되거나 작동실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입력단이 기어 시프트 레버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포크에 연결되어, 기어 시프트 레버의 전, 후 조작에 따라 복수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동시에 시프트 포크에 파워를 인가하여 전, 후 방향의 기어 변속을 용이케 하는 파워 시프트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즉 중립상태에서의 기밀을 측정하기 위하여, 로드 셀 앰플리파이어로부터 파워 시프트 밸브의 압력이 "0"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파워 시프트 밸브내에 일정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파워 시프트 밸브의 실린더의 내부 리크를 검출하는 단계와; 리크가 검출될 경우 그 리크량을 일정 기준값에 비교하여 합격/불합격을 판정하는 단계와; 파워 시프트 밸브의 에어를 배기시키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 공급된 에어를 수초간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 에어를 가압한 후 이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리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7275A 1996-07-05 1996-07-05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KR980010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275A KR980010387A (ko) 1996-07-05 1996-07-05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275A KR980010387A (ko) 1996-07-05 1996-07-05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387A true KR980010387A (ko) 1998-04-30

Family

ID=6624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275A KR980010387A (ko) 1996-07-05 1996-07-05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03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6662A (zh) * 2021-11-30 2022-03-22 武汉泛洲精冲有限公司 一种换挡轴总检机
CN117030113A (zh) * 2023-08-03 2023-11-10 无锡市特种压力表有限公司 一种抗外环境干扰式压力表性能测试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6662A (zh) * 2021-11-30 2022-03-22 武汉泛洲精冲有限公司 一种换挡轴总检机
CN117030113A (zh) * 2023-08-03 2023-11-10 无锡市特种压力表有限公司 一种抗外环境干扰式压力表性能测试设备
CN117030113B (zh) * 2023-08-03 2024-03-26 无锡市特种压力表有限公司 一种抗外环境干扰式压力表性能测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622B2 (en) Clamp device
EP1055474B1 (en) Clamp apparatus
US20010003388A1 (en) Clamp apparatus
US5971380A (en) Fluid-actuated workholding apparatus
GB2341586A (en) Hydraulic back-up steering system
CA2615284A1 (en) Vehicular brake system
US6565464B1 (en) Hydraulically controlled transmission
US4385746A (en) Four-way plug valve
US5639224A (en) Device for monitoring pressure or temperature in a compressor
KR980010387A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무부하 기밀측정방법
JP5415868B2 (ja) 弁体の試験装置
WO2019181853A1 (ja) 三方弁装置のリークの有無を検査する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980010391A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전부하 기밀측정방법
KR980010390A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전부하 출력측정방법
KR100250650B1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시프팅 스트로크 측정 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980010389A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작동시기 측정방법
US5125323A (en) Pressurized oil supply/discharge circuit and valve device for use in such circuit
KR980010139A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잔류압력 측정방법
KR980010388A (ko) 매뉴얼 트랜스미션용 파워 시프트 밸브의 리프트량 측정방법
US11994155B2 (en) Cylinder device
US5082021A (en) Three way valve assembly with pressure compensating valve
US5311808A (en) Cylinder apparatus
JP2942755B1 (ja) プレス機械用上型ホルダ
JP2005221069A (ja) シリンダーリーク検出構造及び同検出方法
US4515183A (en) Pneumatic contro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